KR20080010991A -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0991A
KR20080010991A KR1020060071768A KR20060071768A KR20080010991A KR 20080010991 A KR20080010991 A KR 20080010991A KR 1020060071768 A KR1020060071768 A KR 1020060071768A KR 20060071768 A KR20060071768 A KR 20060071768A KR 20080010991 A KR20080010991 A KR 20080010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power
unit
mod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5571B1 (ko
Inventor
조준석
한상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1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571B1/ko
Priority to US11/686,422 priority patent/US7933131B2/en
Priority to EP20070106920 priority patent/EP1883152A3/en
Priority to CNA2007101025716A priority patent/CN101114792A/zh
Priority to JP2007149574A priority patent/JP5273637B2/ja
Publication of KR20080010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991A/ko
Priority to US13/064,384 priority patent/US845687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more than one ouput with independent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복수개의 전압을 출력하고, 각 출력 전압 사이의 교차 전압 안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소모되는 전력량을 절감할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전원공급장치는 외부 전원과 전원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출력 전원과 제2 출력 전원을 각각 생성하는 전원 변환부, 제1 및 제2 출력 전원을 각각 정류 및 평활하는 출력부들을 구비한 전원 출력부, 전원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제1 출력 전원을 피드백받아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출력 제어부 및 제2 출력 전원을 피드백받아 제1 및 제2 출력 전원의 교차 안정도를 향상시키는 안정화 모드로 전원 출력부가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2 출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교차 전압 안정도(cross regulation), PWM, 바이패스(bypass)

Description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POWER SUPPLY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 공급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 출력 제어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원 공급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스위칭 회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2 출력 제어부가 안정화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제2 출력 제어부가 대기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9는 PWM 제어 방식을 이용하는 스위칭 전원공급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은 다중 출력 전원공급장치의 일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원 공급부 120 : 전원 변환부
122 : 제1 전원 변환부 124 : 제2 전원 변환부
140 : 전원 출력부 142 : 제1 출력부
144 : 제2 출력부 160 : 제1 출력 제어부
180 : 제2 출력 제어부 182 : 제1 스위칭 회로부
184 : 차분 회로부 186 : 제2 스위칭 회로부
200 : 인쇄 제어부 300 : 인쇄 엔진부
1000 : 화상형성장치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전위 레벨을 갖는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출력되는 전압 상호 간의 교차 전압 안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력 소모를 감소시킨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용 교류를 정류 및 평활하여 얻어진 직류 전류를 소정 고주파 예를 들어, 100kHz 정도의 고주파로 스위칭하여 변압기에 의해 원하는 전압으로 고효율로 변환되도록 하는 스위칭 방식의 전원공급장치(이하, 스위칭 전원공급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위칭 전원공급장치의 출력 전압의 제어 방식으로는, 출력 전압의 변화에 따라 스위칭 펄스의 시비율을 제어하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제어 방식, 스위칭 펄스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주파수 제어 방식 및 스위칭 펄스의 위상을 제어하는 위상 제어 방식 등이 있다.
도 9는 PWM 제어 방식을 이용하는 스위칭 전원공급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PWM 제어 방식을 사용하는 스위칭 전원공급장치(10)는 변압기(11)의 1차측에 형성된 단일 또는 그 이상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칭 회로부(12)를 구비하고, 스위칭 회로부(12)의 온(On)/오프(Off) 동작을 통해 변압기(11)의 1차측 권선에 인가되는 정류되지 않은 직류입력전압(DC_IN)을 변환하여 직류출력전압(DC_OUT)을 생성한다. 생성된 직류출력전압(DC_OUT)은 변압기(11)의 2차측 권선에 연결된 출력부(13) 내부의 다이오드(D1) 및 커패시터(C1)에 의해 정류되어 출력된다(Vout). 여기서, 스위칭 회로부(12)의 온/오프 동작은 출력부(13)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여 스위칭 펄스의 펄스 폭을 변조하는 출력 제어부(14)의 제어 신호에 따라 수행된다.
이러한 스위칭 전원공급장치는 2차측 권선에 연결된 정류단 구조가 단순하게 형성되어 적은 수의 부품이 사용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전위 레벨의 전압을 출력하는 다중 출력 전원공급장치에 적용하기 적합하다.
도 10과 도 11은 다중 출력 전원공급장치의 일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비교예에 의한 다중 출력 전원공급장치(20)는 복수개의 전원공급장치들(30, 40)을 포함한다.
각각의 전원공급장치들(30, 40)은 도 9에 도시된 전원공급장치와 동일한 구 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전원공급장치들(30, 40)은 직류입력전압(DC_IN)을 각각 입력받는 제1 및 제2 입력부(31, 41), 변압기로 구성된 제1 및 제2 전원 변환부(32, 42), 각 전원 변환부(32, 42)에서 출력되는 직류출력전압(DC_OUT1, DC_OUT2)을 각각 정류하여 출력하는 제1 및 제2 출력부(33, 43) 및 각 출력부들(33, 43)의 직류출력전압(Vout1, Vout2)에 응답하여 펄스 폭을 변조하여 출력하는 제1 및 제2 출력 제어부(34, 44)를 포함한다. 이때, 외부 장치 예를 들어,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50)에 전원공급장치(30, 40)가 사용되는 경우, 인쇄 엔진부(52)가 구동하지 않는 대기 모드에서는 제2 전원공급장치(40)의 구동을 차단하기 위한 On/Off 제어 신호를 제2 출력 제어부(44)로 제공하여 제2 출력 제어부(44)에서 스위칭 펄스가 출력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다중 출력 전원공급장치(20)를 형성하는 경우, 전압의 다중 출력을 위한 복수개의 입/출력부(31, 33, 41, 43), 전원 변환부(32, 42) 및 출력 제어부(34, 44)를 구비하여야 하고, 이에 따른 사용 부품의 증가로 전원공급장치(20)의 크기가 증가하고,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비교예에 의한 다중 출력 전원공급장치(70)는 직류입력전압(DC_IN)을 입력받는 하나의 입력부(71), 하나의 권선으로 구성된 1차측과 두 개의 권선을 구비한 2차측을 갖는 변압기로 구성된 전원 변환부(72), 전원 변환부(72)에서 출력되는 직류출력전압(DC_OUT1, DC_OUT2)을 각각 정류되어 출력하는 제1 및 제2 출력부(73, 74) 및 제2 출력부(74)의 제2 직류출력전압(Vout2)에 응답하여 스위칭 펄스의 펄스 폭을 변조하여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7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다중 출력 전원공급장치(70)를 형성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중 출력 전원공급장치(10)에 비해 입력부(71)의 구성이 단순해지고, 하나의 전원 변환부(72)와 하나의 출력 제어부(75)를 구비함으로 그 구성이 더욱 단순해진다. 이는 전원공급장치(20)의 제조 원가를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제2 비교예에 의한 다중 출력 전원공급장치(70)는 직류출력전압(Vout1, Vout2)을 제어하기 위해 입력부(71)로 입력되는 스위칭 펄스의 펄스 폭이 일측의 제1 출력부(73)의 직류출력전압(Vout1)에 의존하여 변조되기 때문에 제2 출력부(74)의 직류출력전압(Vout2)의 전압 안정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하나의 1차측 권선을 공유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제1 출력부(73) 또는 제2 출력부(74) 부하단의 임피던스가 변동되는 경우 이를 보상하기 위해 스위칭 펄스의 펄스 폭을 가변하였을 경우, 타측의 직류출력전압의 전압 안정도 즉, 교차 전압 안정도(cross regulation)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출력 전원공급장치의 교차 전압 안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대기 모드로 다중 출력 전원공급장치를 구동하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킨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전원 변환부, 전원 출력부, 제1 출력 제어부 및 제2 출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변환부는 외부 전원과 전원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출력 전원과 제2 출력 전원을 각각 생성한다. 상기 전원 출력부는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전원을 각각 정류 및 평활한다. 상기 제1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전원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제1 출력 전원을 피드백받아 상기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2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피드백받아 상기 전원 출력부의 구동 모드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 모드는,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기 정의된 기준값에 대한 오차 허용 범위 이내의 레벨로 출력하는 정상 모드 및 상기 제2 출력 전원의 상기 오차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레벨로 출력되면,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상기 오차 허용 범위 이내의 레벨로 출력하도록 상기 전원 출력부를 제어하는 안정화 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 모드는,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기 정의된 기준값에 대한 오차 허용 범위 이내의 레벨로 출력하는 정상 모드 및 상기 제2 출력 전원의 레벨을 감소시켜 상기 전원 출력부의 전력 소모량이 감소되도록 상기 전원 출력부를 제어하는 대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출력부는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전원을 각각 정류 및 평활하는 제1 및 제2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1 출력부와 상기 제2 출력부를 상호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제2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1 출력부와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출력부와 타단이 연결되는 제1 스위칭 회로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피드백받아, 상기 제2 출력 전원이 상기 제2 출력 전원의 기 정의된 기준값에 대한 오차 허용 범위 내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안정화 모드로 상기 전원 출력부가 구동되도록 제1 모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분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1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출력 제어부는, 외부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제2 출력 전원의 레벨을 감소시켜 상기 전원 출력부의 전력 소모량이 감소되도록 하는 대기 모드로 상기 전원 출력부가 구동되도록 제2 모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스위칭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2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피드백받아 상기 구동 모드 중 제2 출력 전원을 기 정의된 기준값의 허용 오차 범위 이내로 출력되도록 하는 안정화 모드로 상기 전원 출력부가 구동되도록 제1 모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분 회로부 및 외부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구동 모드 중 제2 출력 전원의 레벨을 감소시켜 전력 소모량이 감소되도록 하는 대기 모드로 상기 전원 출력부가 구동되도록 제2 모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스위칭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제1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분 회로부와 상기 제2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1 및 제2 모드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스위칭 회로부로 제공하기 위해 오링(Oring)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바이패스(bypass)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와 직렬 연결되어 상기 전원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제2 출력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는, 상기 대기 모드로 구동 시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 구동의 포화 영역에서 구동하고, 상기 안정화 모드로 구동 시 상기 포화 영역 사이의 선형 영역에서 구동한다.
또한, 상기 차분 회로부는, 상기 제2 출력 전원과 상기 기준값 사이의 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모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분 회로부는, 상기 제1 스위칭 회로부로 과전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충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전원 공급부, 인쇄 제어부 및 인쇄 엔진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외부 전원과 전원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출력 전원과 제2 출력 전원을 생성한다. 상기 인쇄 제어부는 상기 제1 출력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인쇄 동작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상태를 제어한다. 상기 인쇄 제어부는 상기 제2 출력 전원 과 상기 인쇄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인쇄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피드백받아 구동 모드가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 모드는,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기 정의된 기준값에 대한 오차 허용 범위 이내의 레벨로 출력하는 정상 모드 및 상기 제2 출력 전원의 상기 오차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레벨로 출력되면,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상기 오차 허용 범위 이내의 레벨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안정화 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 모드는,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기 정의된 기준값에 대한 오차 허용 범위 이내의 레벨로 출력하는 정상 모드 및 상기 제2 출력 전원의 레벨을 감소시켜 전력 소모량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대기 모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외부 전원과 전원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출력 전원과 제2 출력 전원을 각각 생성하는 전원 변환부,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전압을 각각 정류 및 평활하는 전원 출력부, 상기 전원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제1 출력 전원을 피드백받아 상기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출력 제어부 및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피드백받아 상기 전원 출력부의 구동 모드를 제어하는 제2 출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 출력부는,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전원을 각각 출력하는 제1 출력부와 제2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출력부와 연결되는 제1 스위칭 회로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피드백받아, 상기 제2 출력 전원이 상기 제2 출력 전원의 기 정의된 기준값에 대한 오차 허용 범위 내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안정화 모드로 상기 전원 출력부가 구동되도록 제1 모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분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1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출력 제어부는, 외부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제2 출력 전원의 레벨을 감소시켜 상기 전원 출력부의 전력 소모량이 감소되도록 하는 대기 모드로 상기 전원 출력부가 구동되도록 제2 모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스위칭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2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변압기를 통해 다중 전원 출력을 하는 전원공급장치에서의 교차 전압 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동시에 일측의 전원 출력을 필요로 하지 아니한 경우 전원공급장치를 대기 모드로 구동하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0)는 전원 공급부(100), 인쇄 제어부(200) 및 인쇄 엔진부(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00)는 스위칭 모드형 전원공급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이하 'SMPS'라 함)(10)로 구성되고, SMPS는 인가되는 외부 AC 전원 DC 전원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DC 전원을 소정 레벨 감압하여 화상형성장치(1000) 내부의 각 부로 제공한다. 도 1에서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구성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지 아니하나 브릿지(bridge) 정류 회로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전원 공급부(100)는 DC 입력 전원(DC_IN)을 입력받아 복수개의 DC 출력 전원(Vout1, Vout2)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전원 공급부(100)는 화상형성장치(1000) 각 부에 사용되는 정격 전압을 생성하여 제공하기 위해 복수개의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인쇄 제어부(200)는 마이크로 콘트롤러 및 이에 연결되는 회로 소자들을 구비하고, 이들에 사용되는 정격 전압이 일례로, 5V인 경우 전원 공급부(100)는 5V를 기준으로 허용 오차 범위 이내의 제1 출력 전압(Vout1)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인쇄 엔진부(300)는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 모터 및 이에 연결된 전사 롤러 등을 구비하고, 구동 모터 및 전사 롤러의 발열 등을 위해 24V의 정격 전압을 사용하는 경우, 24V를 기준으로 허용 오차 범위 이내의 제2 출력 전압(Vout2)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의 전원 공급부(100)는 하나의 1차측 권선과 이와 대향하는 복수개의 2차측 권선을 구비한 하나의 변압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원 공급부(100)는 제1 및 제2 출력 전압들(Vout1, Vout2) 사이의 교차 전압 안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안정화 모드와, 제1 및 제2 출력 전압들(Vout1, Vout2) 중 어느 일측의 전원이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인쇄 동작을 수행하지 아니하여 인쇄 엔진부(300)의 구동을 정지하여도 무방한 경우, 대기 모드로 구동한다.
인쇄 제어부(200)는 전원 공급부(100)에서 출력되는 제1 출력 전압(Vout1)에 의해 구동되어, 인쇄 엔진부(300)의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 신호(CS_drv)를 생성하고, 화상형성장치(100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한다.
즉, 인쇄 제어부(200)는 인쇄 엔진부(300)를 제어하여 인쇄 용지의 적재, 이송, 인쇄 데이터를 인쇄 용지상에 화상 형성, 형성된 화상을 정착 및 인쇄 결과물을 배출하는 인쇄 엔진부(30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고, 용지 걸림등의 인쇄 에러 등을 판단하는 등 화상형성장치(1000)의 구동 상태를 제어한다.
또한, 인쇄 제어부(200)는 전원 공급부(100)가 대기 모드로 구동하기 위한 대기 모드 제어신호(CS_stb)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은 대기 모드 제어 신호(CS_stb)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일 수 있고, 인쇄 제어부(200)에서 인쇄 데이터의 처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자동으로 출력하는 신호일 수도 있다.
인쇄 엔진부(300)는 일례로, 화상형성장치(1000)가 레이저 프린터로 구성되는 경우, 감광 드럼(OPC drum), 현상기 및 정착기 등으로 구성되는 정착부와 감광 드럼 상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광 주사 장치(Laser Scanning Unit, LSU)로 구성되며, 인쇄 엔진부(300)의 각 부는 전원 공급부(100)에서 출력되는 제2 출력 전압(Vout2)과 인쇄 제어부(200)에서 출력되는 구동 제어 신호(CS_drv)에 의해 구동되어 인쇄 데이터를 인쇄 용지 상에 소정 화상으로 형성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 공급부(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부(100)는 전원 변환부(120), 전원 출력부(140), 제1 출력 제어부(160) 및 제2 출력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변환부(120)는 DC 입력 전압(DC_IN)을 소정 레벨 감압하여 복수개의 전위 레벨를 각각 갖는 출력 전압들(Vout1', Vout2')을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원 변환부(120)는 복수개의 출력 전압을 제공함과 동시에 전원 공급부(100)에 사용되는 소자 수량 및 전원 공급부(100)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1차측 권선을 공용 사용하는 복수개의 2차 권선들을 구비한 변압기로 구성된다.
또한, 전원 변환부(120)는 스위칭 펄스 신호를 입력받는 스위칭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스위칭 펄스 신호의 펄스 폭에 따라 1차측 권선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어되어 유도 전압을 가변적으로 형성한다.
전원 출력부(140)는 전원 변환부(120)에서 각각 출력되며 정류 및 평활되지 아니한 출력 전압들(Vout1', Vout2')을 인가받아 정류 및 평활된 출력 전압들(Vout1, Vout2)을 각각 출력하는 출력부들(142, 144)을 포함한다.
제1 출력 제어부(160)는 제1 출력부(142)에서 출력되는 제1 출력 전압(Vout1)을 피드백받아 제1 출력 전압(Vout1)이 변동되는 경우, 전원 변환부(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 제어 신호(CS1)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1 제어 신호(CS1)는 스위칭 펄스 신호이고, 제1 제어 신호(CS1)는 제1 출력 전압(Vout1)의 전위 변동에 따라 그 펄스 폭이 변조된다. 펄스 폭이 변조된 제1 제어 신호(CS1)는 전원 변환부(120)로 제공되어 정류 및 평활되지 아니한 제1 및 제2 출력 전압(Vout1', Vout2')의 전위를 제어한다.
제2 출력 제어부(180)는 제2 출력부(144)에서 출력되는 제2 출력 전압(Vout2)에 피드백받아 제2 출력 전압(Vout2)을 기 정의된 기준 전압(Vref)과 비교하고, 제2 출력 전압(Vout2)이 허용 오차 범위의 최대값을 벗어나는 경우, 제1 및 제2 출력 전압(Vout1, Vout2)의 교차 전압 안정도를 향상시키는 안정화 모드로 전원 출력부(140)를 구동시킨다.
또한, 제2 출력 제어부(180)는 도 1에 도시된 인쇄 제어부(200)에서 출력되는 대기 모드 제어신호(CS_stb)와 소정 레벨의 구동 전압(Vcc)를 인가받아 전원 출력부(140)를 대기 모드로 구동시킨다.
이러한 제2 출력 제어부(18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 출력 제어부(180)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출력 제어부(180)는 제1 스위칭 회로부(182), 차분 회로부(184) 및 제2 스위칭 회로부(18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차분 회로부(184)를 먼저 설명하면, 차분 회로부(184)는 제2 출력부(144)에서 출력되는 제2 출력 전압(Vout2)과 기 정의된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여, 제2 출력 전압(Vout2)이 기준 전압(Vref)을 기준으로 소정 오차 허용 범위의 최대값(Vref_max)을 벗어나는 경우, 안정화 모드로 전원 출력부(140)를 구동하 기 위한 안정화 모드 제어신호(CS_sta)를 출력한다.
제2 스위칭 회로부(186)는 전원 전압(Vcc) 및 인쇄 제어부(200)에서 출력되는 대기 모드 제어신호(CS_stb)를 인가받아, 선택적으로 전원 전압(Vcc) 또는 접지 전압(GND)을 출력한다.
제1 스위칭 회로부(182)는 차분 회로부(184)에서 출력되는 안정화 모드 제어신호(CS_sta)에 응답하여 안정화 모드로 구동하거나, 제2 스위칭 회로부(188)에서 출력되는 대기 모드 제어신호(CS_stb)에 응답하여 대기 모드로 구동한다.
또한, 차분 회로부(184)는 상술한 안정화 모드로 구동하지 않는 경우 제1 스위칭 회로부(182)를 비활성화시키는 전위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스위칭 회로부(186) 또한 대기 모드로 구동하지 않는 경우 제1 스위칭 회로부(182)를 비활성화시키는 전위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1 스위칭 회로부(182)는 비활성화되어 전원 출력부(140)는 정상 모드로 구동한다.
여기서 정상 모드는 제1 및 제2 출력 전압(Vout1, Vout2) 모두를 정상적으로 출력하고, 동시에 제2 출력부(144)에서 출력되는 제2 출력 전압(Vout2)이 허용 오차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의 전위 레벨을 갖는 상태에서 구동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2 출력 제어부(180)의 구성 및 그 구동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원 공급부(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스위칭 회로부(18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 다. 또한, 도 6 내지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2 출력 제어부(180)가 안정화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제2 출력 제어부(180)가 대기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부(100)는 제1 전원 변환부(122)와 제2 전원 변환부(124) 및 제1 스위칭 소자(Q1)를 구비한 전원 변환부(120), 제1 출력부(142) 및 제2 출력부(144)를 구비한 전원 출력부(140), 제1 출력부(142)와 제1 스위칭 소자(Q1)에 연결된 제1 출력 제어부(160) 및 제1 출력부(142)와 제2 출력부(144)에 연결되고, 제1 스위칭 회로부(182), 차분 회로부(184) 및 제2 스위칭 회로부(186)를 구비한 제2 출력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변환부(120)는 1차측 권선과 1차측 권선에 연결된 제1 스위칭 소자(Q1)를 포함하고, 제1 전원 변환부(122)는 1차측 권선과 대향하는 2차측 제1권선을 포함하며, 제2 전원 변환부(124)는 1차측 권선과 대향하는 2차측 제2 권선을 포함한다.
제1 스위칭 소자(Q1)의 게이트 단자에는 제1 출력 제어부(160)에서 출력되는 제1 제어 신호(CS1)가 인가되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전원 출력부(140)는 제1 다이오드(D1) 및 제1 커패시터(C1)로 구성된 제1 출력부(142)와 제2 다이오드(D2) 및 제2 커패시터(C2)로 구성된 제2 출력부(144)를 포함한다. 다이오드들(D1, D2) 및 커패시터들(C1, C2)는 제1 및 제2 전원 변환부(122, 124) 각각에서 유도된 직류출력전압들을 각각 정류 및 평활한다.
제1 출력 제어부(160)는 제1 출력부(140)의 제1 노드(N1)에 연결되어 제1 출 력 전압(Vout1)을 피드백 받고, 이에 응답하여 직류입력전압(DC_IN)이 1차측 권선에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칭 펄스 신호의 펄스 폭이 변조된 제1 제어 신호(CS1)를 출력한다.
제2 출력 제어부(180)는 안정화 모드로 구동하기 위한 차분 회로부(184)와 대기 모드로 구동하기 위한 제2 스위칭 회로부(186)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출력 제어부(180)는 차분 회로부(184)만을 포함하거나, 제2 스위칭 회로부(186)만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양자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차분 회로부(184)는 제2 출력부(144)의 제3 노드(N3)에 연결되어 제2 출력 전압(Vout2)를 피드백 받고, 기준 전압(Vref)과 피드백된 제2 출력 전압(Vout2)을 비교하는 오차 검출 회로(OP-AMP)와 검출된 오차를 적분하는 적분 회로(R3, C3) 및 적분된 비교 결과는 분압하여 제1 상으로 제1 스위칭 회로부(182)가 구동하도록 제2 제어 신호(CS2)를 출력하는 분배 회로(R4, R5) 및 제1 스위칭 회로부(182)의 급작스런 온/오프 동작에 따라 과전류가 유입되어 제1 스위칭 회로부(18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프트 스타트(soft star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충전 소자(C4)를 구비한다.
제2 스위칭 회로부(186)는 제3 스위칭 소자(Q3)를 포함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대기 모드 제어신호(CS_stb)에 응답하여 대기 모드로 구동 시 스위칭 소자(Q3)를 제2 상으로 활성화시켜 전원 전압(Vcc)를 제2 제어 신호(CS2)로 출력한다. 또한, 제2 스위칭 회로부(186)는 정상 모드 또는 안정화 모드로 전원 출력부(140)가 구동하는 경우, 제3 스위칭 소자(Q3)를 활성화시켜 전원 전압(Vcc)이 제 2 제어 신호(CS2)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제1 및 제3 스위칭 소자(Q1, Q3)는 npn형 또는 pnp형 트랜지스터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제1 스위칭 회로부(182)는 제1 출력부(142)의 제2 노드(N2)와 제2 출력부(144)의 제4 노드(N4)에서 연결되고, 제4 노드(N4)에서 분압된 정류되지 아니한 제1 출력전압(Vout1')을 정류하는 제3 다이오드(D3) 및 차분 회로부(184) 또는 제2 스위칭 회로부(186)에서 출력되는 제2 제어 신호(CS2)에 응답하여 제1 상 또는 제2 상으로 활성화되는 제2 스위칭 소자(Q2)를 포함한다. 이때, 상술한 차분 회로부(184)와 제2 스위칭 회로부(186)에서 각각 출력되는 제2 제어 신호(CS2)는 제2 스위칭 소자(Q2)의 게이트 단자로 공통 입력되기 위해 오링(Oring)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2 스위칭 소자(Q2)는 바이패스 스위치(bypass switch)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술한 제1 상 및 제2 상으로 구동하는 제2 스위칭 소자(Q2)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바이패스 스위치(Q2)는 빗금친 활성 영역(active region)에서 구동되는 제1 상과, 직선상의 종단점 즉, 포화 영역(saturation)에서 구동하는 제2 상으로 구동한다.
제1 상으로 구동하는 경우, 바이패스 스위치(Q2)에 소정 레벨의 전위가 인가되면 이에 대응하여 바이패스 스위치(Q2)의 드레인-소스 단자를 경유하여 소정 전류가 이동하고, 제2 상으로 구동하는 경우, 바이패스 스위치(Q2)가 온/오프 동작으 로 구동하여 제1 스위칭 회로부(182)가 제2 노드(N2)와 제4 노드(N4)를 쇼트(short) 또는 오픈(open) 시킨다. 이러한 바이패스 스위치(Q2)는 NMOS 트랜지스터 또는 P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전원 출력부(140)가 안정화 모드로 구동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정상 모드(normal mode) 즉, 제2 출력부(144)에서 출력되는 제2 출력 전압(Vout2)가 허용 오차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의 전위 레벨을 갖고 출력되는 모드는 시점 t1이며, 시점 t1에 이르기까지는 차분 회로부(184)의 출력은 오차가 네거티브(-) 값을 가지므로 0 전압을 출력한다. 따라서, 차분 회로부(184)에서는 제2 제어 신호(CS2)를 출력하지 아니하며, 제1 스위칭 소자(Q1)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1차측 권선에는 직류입력전압(DC_IN)에 의해 야기되는 전류(ip)가 인가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전원 변환부(124, 126) 각각의 2차측 권선에는 1차측 권선과의 권선비들에 따라 각각 유도 전압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전원 변환부(124, 126) 각각에 형성된 유도 전압은 제1 출력부(142)의 다이오드(D1) 및 커패시터(C1)와 제2 출력부(144)의 다이오드(D2) 및 커패시터(C2)에 의해 정류 및 평활되어 직류출력전압(Vout)으로 출력된다.
다음으로, 시점 t1 내지 시점 t2에서 제2 출력부(144)의 부하단의 임피던스가 변동되면, 제2 출력부(144)의 제2 출력 전압(Vout2)은 상승하기 시작한다.
시점 t2에서 제2 출력 전압(Vout2)이 허용 오차 범위의 최대값(Vref_max)에 도달하게 되면, 차분 회로부(184)의 적분 회로(R3, C3)의 시정수에 의해 오차 검출 회로(OP-AMP)에서 일정한 시정수를 갖는 제2 제어 신호(CS2)가 출력된다. 이때, 제2 제어 신호(CS2)는 제2 출력 전압(Vout2)에 따라 변동되기 때문에 제2 스위칭 소자(Q2)는 제2 출력 전압(Vout2)이 기준 전압(Vref)에서 고정되도록 도 5에 도시된 직선상의 선형 영역에서 동작한다.
오차 검출 회로(OP-AMP)가 구동함에 따라 제1 스위칭 회로부(182)의 제2 스위칭 소자(Q2)의 드레인-소스간 임피던스가 감소되어, 제2 스위칭 소자(Q2)에 유입되어 제4 노드(N4)에서 제2 노드(N2)로 이동하는 전류(IQ2)는 증가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2 출력부(144)의 제2 다이오드(D2)에 유입되는 전류(ID2)는 감소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시점 t3에 이르면, 제2 출력 전압(Vout2)의 출력은 기준 전압(Vref)의 허용 오차 범위의 최대값(Vref_max)를 초과하지 아니하게 되어 제2 출력부(144)에서 과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스위칭 소자(Q2)에 안정화 모드로 구동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CS2)가 인가됨에 따라 전원 출력부(140)는 안정화 모드로 구동하고, 직류입력전압(DC_IN)에 의해 전원 변환부(120)의 1차측 권선에 인가되는 전류(Ip)로부터 유도되어 제1 출력부(142)로 인가되는 전류(ID1)은 제1 상으로 제1 스위칭 회로부(182)가 구동함에 따라 제2 스위칭 소자(Q2)로 유입되는 전류(IQ2)의 양만큼 감소되어 인가된다. 또한, 제2 출력부(144)에 유입되는 전류(ID2)는 제1 스위칭 회로부(182)가 구동함에 따라 제2 스위칭 소자(Q2)로 유입되는 전류(IQ2)의 양만큼 감소되어 인가된다.
도 4, 도 8을 참조하여, 전원 출력부(140)가 대기 모드로 구동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상 모드(normal mode) 즉, 제2 출력부(144)에서 출력되는 제2 출력 전압(Vout2)이 허용 오차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의 전위 레벨을 갖고 출력되는 t1 시점에 이르기까지의 구동은 도 6을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시점 t1에서 외부로부터 대기 모드 제어신호(CS_stb)가 인가되면, 제2 스위칭 회로부(186)의 제3 스위치 소자(Q3)가 턴-오프된다. 시점 t1이후, 즉 대기 모드로 전원 출력부(140)가 구동하는 경우, 제3 스위치 소자(Q3)는 온/오프 동작으로 구동한다. 여기서, 대기 모드 제어신호(CS_stb)가 제3 스위칭 소자(Q3)를 턴-오프 시키기 위해 논리 "하이"에서 논리 "로우"로 변동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3 스위칭 소자(Q3), 제 스위칭 소자(Q2)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다.
제3 스위치 소자(Q3)가 턴-오프 됨에 따라 제5 노드(N5)는 전원 전압(Vcc)의 전위 레벨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제2 제어 신호(CS2)는 전원 전압(Vcc)의 전위 레벨로 출력되며, 제1 스위칭 회로부(182)의 제2 스위치 소자(Q2)는 턴-온된다. 이때, 제2 스위치 소자(Q2)는 도 5에 도시된 포화 영역에서 구동된다.
제2 스위칭 소자(Q2)가 포화 영역에서 턴-온 됨에 따라 제1 스위칭 회로부(182)는 활성화되어 제4 노드(N4)와 제2 노드(N2)가 동일한 전위 레벨을 갖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제2 스위칭 소자(Q2)로 인가되는 전류(IQ2)는 증가하고, 이에 따라 제1 전원 변환부(122)에서 제1 다이오드(D1)을 통해 부하단으로 인가되는 전류(ID1)와 제2 전원 변환부(122)에서 제2 다이오드(D2)를 통해 부하단으로 인가되는 전류(ID2)는 감소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2 출력부(144)에서 출력되는 제2 출력 전압(Vout2)은 실질적으로 제1 출력부(142)에서 출력되는 제1 출력 전압(Vout1)과 동일한 전위 레벨을 갖도록 출력되어 제2 출력부(144)에서 발생하는 누설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출력부(144)에서의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중 출력 전원공급장치에서 펄스 폭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를 독립적으로 구비하지 않은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과 다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 사이의 교차 전압 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중 출력 전원공급장치를 대기 모드로 구동하여 사용되지 아니하는 출력 전압을 소정 레벨로 감소하여 출력시킴으로써, 전원공급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 스위치를 사용하여 스위치의 전류 용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스위치 방열 수단의 구성을 제거할 수 있어 전원공급장치의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1)

  1. 외부 전원과 전원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출력 전원과 제2 출력 전원을 각각 생성하는 전원 변환부;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전원을 각각 정류 및 평활하는 전원 출력부;
    상기 전원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제1 출력 전원을 피드백받아 상기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출력 제어부; 및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피드백받아 상기 전원 출력부의 구동 모드를 제어하는 제2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드는,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기 정의된 기준값에 대한 오차 허용 범위 이내의 레벨로 출력하는 정상 모드; 및
    상기 제2 출력 전원의 상기 오차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레벨로 출력되면,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상기 오차 허용 범위 이내의 레벨로 출력하도록 상기 전원 출력부를 제어하는 안정화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드는,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기 정의된 기준값에 대한 오차 허용 범위 이내의 레벨로 출력하는 정상 모드; 및
    상기 제2 출력 전원의 레벨을 감소시켜 상기 전원 출력부의 전력 소모량이 감소되도록 상기 전원 출력부를 제어하는 대기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출력부는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전원을 각각 정류 및 평활하는 제1 및 제2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1 출력부와 상기 제2 출력부를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1 출력부와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출력부와 타단이 연결되는 제1 스위칭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피드백받아, 상기 제2 출력 전원이 상기 제2 출력 전원의 기 정의된 기준값에 대한 오차 허용 범위 내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안정화 모드로 상기 전원 출력부가 구동되도록 제1 모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분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1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 제어부는,
    외부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제2 출력 전원의 레벨을 감소시켜 상기 전원 출력부의 전력 소모량이 감소되도록 하는 대기 모드로 상기 전원 출력부가 구동되도록 제2 모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스위칭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2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피드백받아 상기 구동 모드 중 제2 출력 전원을 기 정의된 기준값의 허용 오차 범위 이내로 출력되도록 하는 안정화 모드로 상기 전원 출력부가 구동되도록 제1 모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분 회로부; 및
    외부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구동 모드 중 제2 출력 전원의 레벨을 감소시켜 전력 소모량이 감소되도록 하는 대기 모드로 상기 전원 출력부가 구동되도록 제2 모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스위칭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분 회로부와 상기 제2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1 및 제2 모드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스위칭 회로부로 제공하기 위해 오링(Oring)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바이패스(bypass)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와 직렬 연결되어 상기 전원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제2 출력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 소자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는,
    상기 대기 모드로 구동 시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 구동의 포화 영역에서 구동하고, 상기 안정화 모드로 구동 시 상기 포화 영역 사이의 선형 영역에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13.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분 회로부는,
    상기 제2 출력 전원과 상기 기준값 사이의 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모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분 회로부는,
    상기 제1 스위칭 회로부로 과전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충전 소자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장치.
  15. 인쇄 데이터를 인가받아 인쇄 동작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원과 전원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출력 전원과 제2 출력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제1 출력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인쇄 동작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는 인쇄 제어부; 및
    상기 제2 출력 전원과 상기 인쇄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인쇄 동작을 수행하는 인쇄 엔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피드백받아 구동 모드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드는,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기 정의된 기준값에 대한 오차 허용 범위 이내의 레벨로 출력하는 정상 모드; 및
    상기 제2 출력 전원의 상기 오차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레벨로 출력되면,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상기 오차 허용 범위 이내의 레벨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안정 화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드는,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기 정의된 기준값에 대한 오차 허용 범위 이내의 레벨로 출력하는 정상 모드; 및
    상기 제2 출력 전원의 레벨을 감소시켜 전력 소모량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대기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외부 전원과 전원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출력 전원과 제2 출력 전원을 각각 생성하는 전원 변환부;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전압을 각각 정류 및 평활하는 전원 출력부;
    상기 전원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제1 출력 전원을 피드백받아 상기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출력 제어부; 및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피드백받아 상기 전원 출력부의 구동 모드를 제어하는 제2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출력부는,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전원을 각각 출력하는 제1 출력부와 제2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출력부와 연결되는 제1 스위칭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2 출력 전원을 피드백받아, 상기 제2 출력 전원이 상기 제2 출력 전원의 기 정의된 기준값에 대한 오차 허용 범위 내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안정화 모드로 상기 전원 출력부가 구동되도록 제1 모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분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1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 제어부는,
    외부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제2 출력 전원의 레벨을 감소시켜 상기 전원 출력부의 전력 소모량이 감소되도록 하는 대기 모드로 상기 전원 출력부가 구동되도록 제2 모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스위칭 회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2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60071768A 2006-07-28 2006-07-28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1325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768A KR101325571B1 (ko) 2006-07-28 2006-07-28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11/686,422 US7933131B2 (en) 2006-07-28 2007-03-15 Power supply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EP20070106920 EP1883152A3 (en) 2006-07-28 2007-04-25 Power supply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CNA2007101025716A CN101114792A (zh) 2006-07-28 2007-05-16 电源以及带有所述电源的图像形成设备
JP2007149574A JP5273637B2 (ja) 2006-07-28 2007-06-05 電源供給装置、電源供給装置の電源出力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デバイス
US13/064,384 US8456870B2 (en) 2006-07-28 2011-03-22 Power supply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768A KR101325571B1 (ko) 2006-07-28 2006-07-28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991A true KR20080010991A (ko) 2008-01-31
KR101325571B1 KR101325571B1 (ko) 2013-11-06

Family

ID=38651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768A KR101325571B1 (ko) 2006-07-28 2006-07-28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933131B2 (ko)
EP (1) EP1883152A3 (ko)
JP (1) JP5273637B2 (ko)
KR (1) KR101325571B1 (ko)
CN (1) CN1011147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9212B2 (en) 2009-05-19 2012-10-02 Samsung Display Co., Ltd. Power supply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KR20170131116A (ko) * 2016-05-20 2017-11-29 주식회사 아모센스 가로등용 엘이디 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587B1 (ko) * 2007-06-11 2012-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8099127B2 (en) * 2008-08-01 2012-01-17 Qualcomm Incorporated Multi-mode configurable transmitter circuit
JP5268615B2 (ja) * 2008-12-15 2013-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739053B1 (ko) * 2010-08-09 2017-05-24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JP5729990B2 (ja) * 2010-11-30 2015-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120072933A (ko) * 2010-12-24 2012-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출력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5838808B2 (ja) * 2011-12-28 2016-01-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電源装置、画像形成装置
US9246722B2 (en) * 2012-03-20 2016-01-26 Intel Deutschland Gmbh Device for providing a differential output signal and method for providing a differential output signal
JP6049290B2 (ja) * 2012-04-11 2016-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及びdc/dcコンバータ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
US20150214735A1 (en) * 2012-05-30 2015-07-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ource to provide a redundant output to a converter
US9991808B2 (en) 2014-07-07 2018-06-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Cross regulation circuit for multiple outputs and cross regulation method thereof
US9831768B2 (en) 2014-07-17 2017-11-28 Crane Electronics, Inc. Dynamic maneuvering configuration for multiple control modes in a unified servo system
KR101661319B1 (ko) * 2015-01-06 2016-10-05 주식회사 솔루엠 스위치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대기전력 저감을 위한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US9780635B1 (en) 2016-06-10 2017-10-03 Crane Electronics, Inc. Dynamic sharing average current mode control for active-reset and self-driven synchronous rectification for power converters
US9742183B1 (en) 2016-12-09 2017-08-22 Crane Electronics, Inc. Proactively operational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US9735566B1 (en) 2016-12-12 2017-08-15 Crane Electronics, Inc. Proactively operational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US11157053B2 (en) 2017-05-01 2021-10-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xiliary module power supply
US9979285B1 (en) 2017-10-17 2018-05-22 Crane Electronics, Inc. Radiation tolerant, analog latch peak current mode control for power converters
US10425080B1 (en) 2018-11-06 2019-09-24 Crane Electronics, Inc. Magnetic peak current mode control for radiation tolerant active driven synchronous power converters
CN112835407B (zh) * 2021-04-22 2021-07-20 浙江地芯引力科技有限公司 基于单电源的多电压域产生电路
US11611284B2 (en) * 2021-06-10 2023-03-21 Dialog Semiconductor (Uk) Limited Isolated switching power converter with multiple output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0393B2 (ja) * 1993-11-11 2003-09-22 キヤノン株式会社 複数出力電源装置
US5812383A (en) * 1997-07-31 1998-09-22 Philips Electronics North North America Corporation Low power stand-by for switched-mode power supply circuit with burst mode operation
JPH11187659A (ja) * 1997-12-24 1999-07-09 Canon Inc 多出力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3019093B1 (ja) * 1998-12-11 2000-03-13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0350452A (ja) 1999-06-02 2000-12-15 Canon Inc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スイッチング制御方法
JP2000354375A (ja) 1999-06-08 2000-12-19 Canon Inc 電源装置、電子機器、及び電源装置の制御方法
US6330169B2 (en) 2000-02-25 2001-12-11 Condor D.C. Power Supplies Inc. Converter output regulation via channel resistance modulation of synchronous rectifiers
JP3522191B2 (ja) * 2000-05-19 2004-04-26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多出力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4605532B2 (ja) * 2000-10-24 2011-01-05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多出力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6385058B1 (en) 2001-05-17 2002-05-07 Northrop Grumman Active bleed voltage balancing circuit
GB2384328A (en) * 2002-01-16 2003-07-23 Mitel Knowledge Corp Regulated power supply starting circuit
JP2004187475A (ja) 2002-12-06 2004-07-02 Canon Inc 制御システム
JP2005287244A (ja) * 2004-03-30 2005-10-13 Brother Ind Ltd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71019B2 (ja) * 2005-01-14 2011-04-13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多出力型dc−dcコンバータ
US7911081B2 (en) * 2005-04-21 2011-03-22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structure therefor
US7532494B2 (en) * 2005-05-24 2009-05-12 Thomson Licensing Power supply unit
KR100692567B1 (ko) * 2005-10-28 2007-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절전모드 구현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9212B2 (en) 2009-05-19 2012-10-02 Samsung Display Co., Ltd. Power supply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KR20170131116A (ko) * 2016-05-20 2017-11-29 주식회사 아모센스 가로등용 엘이디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70885A1 (en) 2011-07-14
KR101325571B1 (ko) 2013-11-06
EP1883152A2 (en) 2008-01-30
US7933131B2 (en) 2011-04-26
US8456870B2 (en) 2013-06-04
EP1883152A3 (en) 2008-07-23
JP2008035689A (ja) 2008-02-14
CN101114792A (zh) 2008-01-30
JP5273637B2 (ja) 2013-08-28
US20080024092A1 (en) 200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571B1 (ko)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692567B1 (ko)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절전모드 구현방법
KR100692557B1 (ko) 에너지 절감형 스위칭 전원장치 및 그의 에너지 절감방법
US9998022B2 (en) Current limit peak regulation circuit for power converter with low standby power dissipation
US9306466B2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114364B2 (ja)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303108B2 (en) Switching power supply for enabling switching element to be soft-started in burst mod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oft start method of switching element
US20140301114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80101632A (ko) 전원 공급 장치,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및 전원 공급방법
US9851680B2 (en) Pow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power supply device
JP5696692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3223280A (ja) 電源制御装置
JP2016144310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8213824B2 (en) High voltage power controlling apparatus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9172308B2 (en) Low-capacity power suppl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133587B1 (ko)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N110401347B (zh) 直流电源装置
JP6029388B2 (ja)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727806B2 (ja)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251979A (ja)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885163B2 (ja) 電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8061371A (ja) 自励式共振型スイッチング電源
JP2001103755A (ja) 位相制御型ポストレギュレータ、その動作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パワーコンバータ
KR100629518B1 (ko) 다출력 스위칭 전원장치
JP2007151204A (ja) 電源制御装置及び電源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