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8622A -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8622A
KR20080008622A KR1020060068090A KR20060068090A KR20080008622A KR 20080008622 A KR20080008622 A KR 20080008622A KR 1020060068090 A KR1020060068090 A KR 1020060068090A KR 20060068090 A KR20060068090 A KR 20060068090A KR 20080008622 A KR20080008622 A KR 20080008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nsfer unit
control
power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5080B1 (ko
Inventor
엄윤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8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080B1/ko
Priority to US11/704,218 priority patent/US7574150B2/en
Priority to EP07104340A priority patent/EP1881375B1/en
Priority to CN2007100887123A priority patent/CN101109914B/zh
Publication of KR20080008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52Electr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6Electrical conn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7Frame structures using opening shell type machines, e.g. pivoting assembl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에 포함되는 전사부 및 광주사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이 전원제어장치는 인쇄매체에 현상 잠상을 전사하는 전사부,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부, 상기 전사부 및 상기 광주사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전사부 및 상기 제1 제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의 연결상태에 따라 상기 광주사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image forming device}
도 1은 종래의 전원제어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a는 종래의 전원제어장치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b는 종래의 전원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제어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제어장치에 포함된 전사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전원제어장치의 제1 제어부, 연결부 및 전사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개폐 및 전사부의 장착여부에 따라 전사부(PTB Unit : Paper Transfer Belt Unit) 및 광주사부(LSU : Laser Scanning Unit)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전사부를 통해 이송되는 인쇄용지가 전사벨트에 걸리는 페이퍼 잼(paper jam)이 발생하거나 소모품인 전사벨트를 교환해야 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의 외측 커버를 열고 걸린 용지를 제거하거나, 화상형성장치에서 전사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매체에 레이져 빔을 주사하는 광 주사부가 외측 커버와 마주하여 위치하는 경우, 외측 커버를 열거나 전사부를 분리하게 되면, 레이져 빔이 사용자의 눈에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에는 광주사부에서 주사되는 레이져 빔이 사용자의 눈에 조사되어 발생되는 안전상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레이져 빔이 노광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레이져 빔이 사용자의 눈에 조사되는 경우, 심각하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종 규격에서 이중으로 레이져 빔을 차단하는 장치를 구비할 것이 요구된다.
도 1은 종래의 전원제어장치가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측면도이다. 광주사부(100)는 감광 매체(110)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광을 주사한다. 전사부(120)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용지를 이송하며, 인쇄용지에 현상 잠상을 전사한다. 외측 커버(130)는 외부에서 화상형성장치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의 내부에 접근하여 전사부(120)에 걸린 용지를 제거하거나, 전사부(120)를 화상형성장치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마이크로 스위치(140) 및 제2 마이크로 스위치(150)는 외측 커버(130) 의 개폐에 따라 광주사부(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이며, 레이져 빔 차단기(160)는 외측 커버(130)의 개폐에 따라 광주사부(100)에서 주사되는 레이져 빔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전원제어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에 도시된 종래의 전원제어장치는 전원공급부(180)에서 발생한 전원을 인가받고, 전원제어부(170)는 전원공급부(미도시)에서 인가받은 +24V 및 +5V전원을 제1 마이크로 스위치(140) 및 제2 마이크로 스위치(150)를 통하여 광주사부(100)로 공급한다. 제1 전원차단부(140) 및 제2 전원차단부는 외측 커버(130)의 개폐에 연동되어 온/오프(ON/OFF) 된다. 따라서, 외측 커버(130)가 열리면, 제1 마이크로 스위치(140)는 광주사부(100)의 모터(102)에 공급되는 +24V의 전원을 차단하고, 제2 마이크로 스위치(150)는 광주사부(100)의 레이져 다이오드(104, laser diode)에 공급되는 +5VL의 전원을 차단한다. 전원제어부(170)는 전원공급부(180)에서 인가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3.3V 전원을 생성하고, +3.3V 전원을 전사부(120)의 각종 센서 및 메모리에 공급한다.
도 2a에 도시된 종래의 전원제어장치는 2개의 마이크로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에 비하여, 도 2b에 도시된 종래의 전사부 및 광주사기 전원제어장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하나만 구비하고, 그 대신 광주사부(100)에서 주사되는 레이져 빔을 차단하는 레이져 빔 차단기(160)를 구비한다. 기타 구성은 앞서 도 2a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레이져 빔 차단기(160)에 대해서만 설명하겠다. 레이져 빔 차단기(160)는 광주사부(100)에서 레이져 빔이 주사되는 출구에 설치되고, 외측 커 버(130)의 개폐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레버(Lever)에 의해 외측 커버(130)가 열리는 경우 레이져 빔 차단기(160)가 내려온다. 따라서 외측 커버(130)가 열리는 경우, 외부로 주사되는 레이져 빔을 차단한다.
살펴본 것처럼 도 2a에 도시된 종래의 전원제어장치는 레이져 빔을 규격에 따라 이중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외측 커버(130)의 개폐에 연동하여 온/오프되는 제1 전원차단부(140) 및 제2 전원차단부(150)를 구비한다. 이 경우,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 복수 개를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화상형성장치 내에 복수 개의 마이크로 스위치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 더 필요하며, 생산 비용이 더 소모되고, 기구적인 구현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종래의 전사부 및 광주사부 전원제어장치도 마이크로 스위치의 개수는 한 개로 줄였으나, 추가적으로 레이져 빔 차단기(160)를 더 구미해야 하며, 싱글 패스(single pass)방식이 적용된 컬러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열로(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및 블랙(black)의 화상을 감광하기 위한 각 레이져 빔을 모두 차단해야 하므로, 적어도 4개의 레이져 빔 차단기(160)를 구비해야하며 이는 공간적인 문제는 물론 가격상승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도 2a 및 도2b에 도시된 종래의 전원제어장치들에서는 광주사부(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더라도 전사부(190)에는 계속 전원이 공급되게 되어, 외측 커버(130)가 닫히는 경우 순간적인 접점불안으로 글리치 노이즈(glitch noise)가 발생하여 전사부(190)에 포함된 각 종 센서들 및 메모리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사부로 인가한 전원에 대한 피드백(feedback) 신호를 이용하여,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전사부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사부의 연결 상태에 따라 광주사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므로 구성을 단순화하여 가격 경쟁력 및 화상형성장치의 레이아웃(layout) 경쟁력을 갖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외측 커버의 개폐로 인해 화상형성장치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전사부에 포함된 전사를 위한 각종 센서 및 메모리가 오동작하거나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외측 커버 개폐에 따라 전사부에 포함된 각종 센서 및 메모리에 공급되는 전원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을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사부에 포함된 각종 센서 및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단순화하여 가격 경쟁력 및 화상형성장치의 레이아웃(layout) 경쟁력을 갖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제어장치는 인쇄매체에 현상 잠상을 전사하는 전사부,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부, 상기 전사부 및 상기 광주사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전사부 및 상기 제1 제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결부 는 상기 전사부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시키고, 상기 장착에 연동되어 상기 전사부 및 상기 제1 제어부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의 연결 상태에 따른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신호에 따라 상기 광주사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수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제1 제어부에서 상기 전사부로 인가한 전원에 대한 피드백(feedback) 신호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제어장치는 커버의 개폐에 연동되어 온/오프(ON/OFF)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로부터 수신된 제2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커버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광주사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제어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제어부를 턴 온(trun on) 또는 턴 오프(turn off)하는 제2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제어장치에서 상기 전사부는 전사를 위한 복수개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센서에 공급되는 전원 및 상기 복수개의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전송하고, 상기 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들을 전송받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를 선택하는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받은 상기 제어신호들 중에서 상기 선택된 센서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선택된 센서에 대응하는 제어신호 및 상기 선택신호를 상기 전사부로 전달하고, 상기 전사부는 상기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받은 상기 선택된 센서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복수개의 센서 중 상기 선택된 센서로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제어방법은 인쇄매체에 현상 잠상을 전사하는 전사부 및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전사부 및 상기 광주사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전사부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전사부 및 상기 광주사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a)단계는 (a1) 상기 전사부로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a2) 상기 전사부로 인가된 전원을 피드백하는 단계 및 (a3) 상기 피드백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전사부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제어방법은 (c)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커버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상기 (b)단계는 상기 (a) 및 (c)단계에서 감지된 결과가 상기 전사부가 장착되지 않거나 상기 커버가 열린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한 경우임을 나타낼 때 상기 전사부 및 상기 광주사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제어방법은 상기 전사부가 전사를 위한 복수개의 센서를 포함할 때, 상기 (b)단계는 상기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센서로 공급되는 전원 및 제어신호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제어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원제어장치 및 화상형성장치를 설명하겠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제어장치의 블록도로서, 광주사부(400), 전사부(420), 연결부(490), 제1 제어부(470) 및 제2 제어부(475), 커버 스위치(440) 및 전원공급부(480)를 포함한다. 광주사부(400)는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는 광 다이오드(LD : Laser Diode, 404)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402)를 포함한다. 광주사부(400)는 광 다이오드(404)로 공급되는 +5V 전원과 모터(402)로 공급되는 +24V 전원을 전원제어부(470)에서 인가받는다.
전사부(420)는 현상 잠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기 위하여 인쇄매체를 이송하고, 공급한다. 카세트(미도시)에서 인쇄매체를 픽업(pick-up)하면 인쇄매체가 원활하게 정해진 패스(path)로 이동하면서 인쇄매체에 이미지를 현상하고, 현상된 이미지를 정착시켜 출력하는 동작으로 이어진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사부(420)에는 전사를 위한 각종 센서, 메모리 및 각종 센서와 메모리를 중계하는 중계보드가 포함되는데, 각 종 센세에는 CR센서(Color registration sensor, 520, 530), Home 검지 광센서(540), CTD 센서(550) 등이 있고, 메모리는 중계보드에 설치될 수 있다. 각 종 센서 및 메모리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연결부(490)는 전사부(420)의 장착과 동시에 전사부(420)와 제1 제어부(470)를 연결한다. 전사부(420)는 소모품이기 때문에 화상형성장치의 외측 커버(130)를 열고 사용자가 쉽게 착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490)는 전사부(420)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고 장착된 전사부(420)와 제1 제어부(47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함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결부(490)는 플러그(plug)와 콘센트(receptacle) 암수로 되어 있고, 삽입 장착될 때 가이드 홈(guide home)이 있어 전사부(420)를 쉽게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는 드로워 커넥터(drawer connector)로 구현될 수 있다.
연결부(490)는 전사부(420)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됨과 동시에 전사부(420)와 제1 제어부(470)를 연결하고, 전사부(420)가 화상형성장치에서 착탈됨과 동시에 전사부(420)와 제1 제어부(470)의 연결을 해제한다.
상기 연결부(490)의 특징으로 인해, 제1 제어부(470)는 전사부(420)로 인가한 전원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사용하여 전사부의 장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전사부(420)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상태라면, 제1 제어부(470)에서 인가한 +5V 전원이 연결부(490)를 통해 전사부(420)로 공급될 것이며, 공급된 전원이 다시 연결부(490)를 통해 제1 제어부(470)로 피드백 되는 경우, +5V의 피드백 신호가 제1 제어부(470)로 인가될 것이다. 그러나 전사부(47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라면, 전사부(420)로 인가한 +5V 전원이 전사부(470)로 공급될 수 없으며, 당연히 +5V의 피드백 신호가 제1 제어부로 인가되지 않을 것이다.
연결부(490)가 드로워 커넥터로 구현될 경우, 드로워 커넥터의 하네 스(Harness)핀을 이용하여 제1 제어부(470)에서 전사부(420)로 인가한 전원을 제1 제어부(470)로 다시 피드백 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전사부(420)의 중계보드(500)는 PCB(Printed Circuit Board)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 제어부(470)에서 인가한 전원을 중계보드(500)에 마련된 우회 패턴 이용하여 제1 제어부(470)로 피드백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결부(490)는 제1 제어부(470)에서 전사부(420)로 인가되는 전원 및 각종 센서들의 제어신호들을 전사부(420)로 전달하고, 전사부(420)에서 제1 제어부(470)로 인가되는 신호들 예를 들어, 각 센서에서 센싱된 결과들을 출력하는 출력신호들을 제1 제어부(470)로 전달한다. 따라서, 전사부(420)가 화상형성장치에서 분리되는 경우, 분리됨과 동시에 전사부(420)로 인가되는 전원 및 각종 센서들의 제어신호들의 공급이 차단된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전사부(420)로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피드백 신호을 사용하여 전사부(420)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대신, 전사부(420)에 포함된 각종 센서 및 메모리 등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이 제1 제어부(470)로 인가되는지 여부에 따라 전사부(420)의 장착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커버 스위치(440)는 커버의 개폐에 연동되어 온/오프되는 마이크로 스위치이다. 이 때, 제1 제어부(470)는 커버 스위치(440)로 +24V의 전원을 공급하고, 커버 스위치(440)의 출력신호를 광주사부(400)에 포함된 모터(402)로 인가한다. 또, 커버 스위치(440)의 출력신호를 제1 제어부(470)로 피드백(feedback)한다. 제1 제어부(470)는 전원공급부(480)에서 +24V 전원을 인가받아 커버 스위치(440)로 공급하는데, 화상형성장치의 외측 커버(130)가 닫혀있는 경우는, 커버 스위치(440)가 온(ON)상태 일 것이므로 +24V의 커버 스위치(440) 출력신호가 광주사부(400)의 모터(402)에 공급되고, 또 제1 제어부(470)로 피드백 될 것 이다. 그러나 외측 커버(130)가 열려있는 경우는, 커버 스위치(440)가 오프(OFF)상태일 것이므로 +24V 전원이 제1 제어부로 피드백 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제1 제어부는 커버 스위치(440)에서 수신된 +24V의 피드백 신호를 사용하여 커버의 개폐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제1 제어부(470)에서 커버 스위치(440)로 인가한 +24V 전원이 커버 스위치(440)를 통해 다시 제1 제어부(470) 인가되는 경우는 외측 커버(130)가 닫혀있는 상태이고, +24V 전원이 커버 스위치(440)로부터 피드백 되지 않는 경우는 외측 커버(130)가 열려있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80)는 전사부(420) 및 광주사부(400)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발생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로 구현될 수 있다. SMPS는 광주사부(400)의 모터(402)를 동작시키기 위한 +24V 전원 및 광 다이오드(404)를 포함한 기타 전장물을 동작시키기 위한 +5V 전원을 생성하여 제1 제어부(470)로 공급하고, 제1 제어부(470)는 전원공급부(480)에서 공급된 전원을 제어하여 전사부(420) 및 광주사부(400)로 인가한다.
제1 제어부(470)는 연결부(490)에서 수신된 피드백 신호(이하, 제1 신호)를 사용하여 전사부(420)의 장착여부를 감지하고, 커버 스위치(440)에서 수시된 피드백 신호(이하 제2 신호)를 사용하여 커버의 개폐여부를 감지한다. 제1 및 제2 신호를 사용하여 감지된 전사부 장착여부 및 커버의 개폐여부에 따라 광주사부(4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제1 제어부(470)는 제1 및 제2 신호가 모두 하이(High)인 경우는, 전사부(420)가 장착되고 외측 커버(130)도 닫힌 상태이므로 광주사부(400)의 광 다이오드(404)로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한다. 그러나 제1 및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라도 로(Low)인 경우는 전사부(420)가 장착되지 않았거나 외측 커버(130)가 열린 상태이므로 광주사부(400)의 광 다이오드(404)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제1 제어부(470)는 제1 신호를 사용하여 감지한 전사부의 장착여부에 관한 PTB_EXIST 신호 및 제2 신호를 사용하여 감지한 커버의 개폐여부에 관한 COVER_CLOSED 신호를 제2 제어부(475)로 출력한다. 제1 제어부는 마이컴(micom)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일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기타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제어부(475)는 제1 제어부에서 PTB_EXIST 신호 및 COVER_CLOSED 신호를 입력받고, PTB_EXIST 신호 및 COVER_CLOSED 신호에 따라 제1 제어부를 턴 온(turn on) 또는 턴 오프(turn off)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PTB_EXIST 신호는 전사부(420)가 장착된 상태이면 즉, 제1 신호가 하이(High)이면 온(ON) 신호가 출력되고, 반대의 경우는 오프(OFF) 신호가 출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 COVER_CLOSED 신호는 외측 커버(130)가 닫힌 상태이면 즉 제2 신호가 하이(High)이면 온(ON) 신호가 출력되고, 반대의 경우는 오프(OFF) 신호가 출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2 제어부(475)는 PTB_EXIST 신호 및 COVER_CLOSED 신호 중 어느 한 신호가 오프(OFF)인 경우 제1 제어부를 턴 오프(turn off)하고, PTB_EXIST 신호 및 COVER_CLOSED 신호가 모두 온(ON)인 경우에만 제1 제어부를 턴 온(turn on)한다. 따라서 PTB_EXIST 신호 또는 COVER_CLOSED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한 신호가 오프(OFF)인 경우에 해당되면 제1 제어부(470)를 턴 오프(turn off)하여, 제1 제어부(470)에서 인가되는 모든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광주사부(400)에 인가되는 전원은 물론이고, 전사부(420)에 포함된 각종 센서 및 메모리로 공급되는 전원 및 제어신호들까지도 차단이 되므로, 커버가 열린 상태와 같이 비정상적인 환경에서 각종 센서 및 메모리가 동작하여 발생되는 문제들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제어부(470)에서 출력되는 COVER_CLOSED 신호가 제1 신호 및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라도 로(Low)인 경우에 오프(OFF) 신호로 출력되도록 구현할 수 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COVER_CLOSED 신호만으로 제2 제어부(475)가 제1 제어부(470)를 턴 온/턴 오프하도록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제어부(475)는 제1 제어부(470)에서 출력된 PTB_EXIST 신호 및 COVER_CLOSED 신호에 의해 제1 제어부(470)를 턴 온하는 경우, 제1 제어부(470)를 턴 온하도록 PTB_EXIST 신호 및 COVER_CLOSED 신호가 인가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예를 들어, 수백 ms정도 경과한 후에 제1 제어부(470)를 턴 온하여 전사부(420) 및 광주사부(400)에 공급되는 전원이 갑자기 인가되지 않도록 하므로 시스템이 안정되게 동작하도록할 수 있다. 이는, 외측 커버(130)가 닫히는 순간에 순간적인 채터링 노이즈(chattering noise)가 발생하거나 전사부가 장착되는 순간에 연결부(490)의 커넥터 접점이 순간적으로 접속되었다 떨어지는 글리치 노이즈(glitch noise)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사부(420)에 포함된 각종 센서 및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단순하게 한 전원제어장치를 살펴보겠다.
우선, 도 5를 참조하여, 전사부(420)에 포함된 각종 센서 및 메모리, 중계보드에 대해 살펴본다.
CR 센서(520, 530)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 칼라간의 어긋남 정보를 검지하는 센서로서 인쇄하기 전에 시스템의 자기진단 기능에서 각 칼라마다 전사벨트(PTB : Paper Transfer Belt)에 테스트 패턴을 전사시켜서 칼라간의 어긋남 정보를 검출하고, 메인보드에서 광주사부(400)의 광주사 타이밍(timing)과 마진(margin)을 보정하여 칼라간의 어긋남이 없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홈(Home) 검지 광센서(540)는 전사벨트의 홈 위치를 검지하는 광(Photo Interrupt) 센서이다.
CTD 센서(550)는 칼라화상형성장치의 화상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농도검지를 하는 센서로 CR 센서(520, 530)처럼 자기진단 기능에서 전사벨트 상에 테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농도 검지 후, 메인보드에서 농도 보정을 제어하도록 한다.
CRUM 메모리(510)는 전사벨트의 수명정보와 아이디(ID) 정보를 기억하는 반 도체 메모리 소자로서, 전사벨트의 수명정보란 전사벨트가 소모품이기 때문에 인쇄 매수를 저장하고, 전사벨트이 수명이 총 몇 매인지 및 전사벨트가 제조된 날짜, 단골 거래처(customer vendor),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중계보드(500)는 CRUM 메모리(510)를 구비하고, 상기 각 센서 및 메모리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제어부(470)는 연결부(490)를 통하여 전사부(420)의 각 센서 및 메모리에 전원을 인가하며, 각 센서 및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인가한다. 또한 각 센서 및 메모리의 출력신호들을 연결부(490)를 통하여 인가받는다. 이때, 전사부(420)에 포함된 센서 및 메모리의 수가 많은 경우 제1 제어부(470)와 전사부(420)간에 마련되어야 하는 연결부(490)의 연결선의 수가 많아진다.
이러한 연결선 수를 줄이기 위하여, 제1 제어부(470)는 각 센서 및 메모리를 제어하기 제어신호들을 입력받고, 각 센서 및 메모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된 유닛(unit)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멀티플렉서(MUX)를 구비하고, 전사부(420)는 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된 유닛(unit)으로 입력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디멀티플렉서(DEMUX)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490)는 멀티플렉서의 출력신호 및 선택신호만 전사부(420)로 전달하므로 보다 적은 연결선을 사용하여 전사부(420)의 각 종 센서 및 메모리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본다. 전사부(420)가 제1 CR 센서(520), 제2 CR 센서(530), 홈 검지센서(540), CTD 센서(550) 및 CRUM 메모 리(510)가 포함하는 경우, 제1 제어부(470)는 전사부(420)에 포함된 복수개의 센서(510 내지 55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내지 제5 제어신호를 멀티플렉서(600)의 입력단자에 입력하고, 복수개의 센서(510 내지 55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s0, s1, s2)를 멀티플렉서(600)의 제어단자로 입력한다. 멀티플렉서(600)는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제1 내지 제5 제어신호 중에서 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센서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연결부(490)는 선택된 센서에 대응하는 제어신호 즉, 멀티플렉서(600)의 출력신호 및 선택신호를 전사부(420)로 전달한다.
전사부(420)는 선택된 센서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디멀티플렉서(610)의 입력단자에 입력하고, 선택신호를 선택단자에 입력한다. 디멀티플렉서(610)는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센서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복수개의 센서(510 내지 550) 중 선택된 센서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1 CR 센서(520)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s0, s1, s2)가 "0x000"인 경우, 멀티플렉서(600)의 선택단자에 선택신호(s0, s1, s2) "0x000"를 입력하면, 멀티플렉서(600)는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제1 내지 제5 제어신호 중 제1 CR 센서(52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연결부(490)는 멀티플렉서(600)에서 출력된 1 제어신호(IN1) 및 선택신호"0x000"를 전사부(420)로 전달한다.
전사부(420)는 전달받은 제1 제어신호를 디멀티플렉서(610)의 입력단자로 입력하고, 전달받은 선택신호를 디멀티플렉서의 선택단자에 입력한다. 디멀티플렉 서(610)는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제어신호를 제1 CR센서(520)로 출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사부(420)에 복수개의 센서 및 메모리가 포함된 경우, 복수개의 센서 및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 각각의 연결선을 마련하고, 그 연결선을 통해 제어신호들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멀티플렉서 및 디멀티플렉서를 이용하여 연결부(490)에 마련되어야 연결선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490)의 구성을 단순화하므로 가격 경쟁력 및 화상형성장치의 레이아웃(layout) 경쟁력을 갖춘 전원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제어방법을 살펴본다. 인쇄매체에 현상 잠상을 전사하는 전사부,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부 및 상기 전사부 및 상기 광주사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전사부 및 상기 광주사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제어방법은 전사부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커버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결과에 따라 전사부(420) 및 광주사부(4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제 700단계에서 제어부는 전사부로 +5V의 전원을 인가하고, 제 710단계에서 인가된 전원을 피드백한다.
제 720단계에서 제어부는 피드백된 결과에 따라 전사부의 장착여부를 감지한다. 전사부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었다면, 전사부로 공급된 전원이 그대로 피드백되어 제어부로 인가될 것이고, 전사부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지 않았다면 전사부로 인가된 전원이 피드백되지 않을 것이므로, 제어부는 전사부에 인가한 전원의 피드백 신호에 따라 전사부의 장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 730단계에서 제어부는 커버의 개폐여부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커버의 개폐에 연동되어 온/오프되는 스위치(440)를 이용하여 커버의 개폐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 740단계에서 제어부는 제 720단계 또는 제 730단계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전사부(420) 및 광 주사부(4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전사부(42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 또는 커버(130)가 열린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한 상태가 감지되면 제어부를 턴 오프 시켜 전사부(420) 및 광주사부(4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상기 제 700 내지 730단계에서는 전사부의 장착여부를 먼저 감지한 후, 커버의 개폐여부를 감지한다. 한편, 역으로 다른 실시예에서는 커버의 개폐여부를 먼저 감지한 후, 전사부의 장착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고, 전사부의 장착여부 및 커버의 개폐여부를 동시에 감지하여 둘 중 어느 한 단계에서라도 전원을 차단해야 할 상태가 감지된다면 전사부(420) 및 광주사부(4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광주사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사부로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사용하여,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전사부의 연결 상태에 따라 전사부의 장착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사부의 장착여부에 따라 전사부 및 광주사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므로 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가격 경쟁력 및 화상형성장치의 레이아웃(layout) 경쟁력을 갖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 커버 개폐에 따라 화상형성장치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전사부의 각종 센서 및 메모리가 오동작하거나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외측 커버 개폐에 따라 전사부에 포함된 각종 센서 및 메모리에 공급되는 전원이 순간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하고, 소정 지연시간을 두고 다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므로, 전사부 및 광주사부에 공급되는 전원 및 제어신호들을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제어부 및 전사부에 멀티플렉서 및 디멀티플렉서를 포함하여 커넥터 연결선을 감소시키므로, 전사부에 포함된 각종 센서 및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단순화하여 가격 경쟁력 및 화상형성장치의 레이아웃(layout) 경쟁력을 갖춘 전원제어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17)

  1. 인쇄매체에 현상 잠상을 전사하는 전사부;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부;
    상기 전사부 및 상기 광주사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전사부 및 상기 제1 제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의 연결상태에 따라 상기 광주사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사부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시키고, 상기 장착에 연동되어 상기 전사부 및 상기 제1 제어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의 연결 상태에 따른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전사부의 장착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결과에 따라 n상기 광주사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제1 제어부에서 상기 전사부로 인가한 전원에 대한 피드백(feedback)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커버의 개폐에 연동되어 온/오프(ON/OFF)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광주사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른 제2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커버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광주사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제어부를 턴 온(trun on) 또는 턴 오프(turn off)하는 제2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부를 턴 온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신호가 인가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경과 후에 상기 제1 제어부를 턴 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 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는
    전사를 위한 복수개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센서에 공급되는 전원 및 상기 복수개의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전송하고, 상기 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들을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를 선택하는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받은 상기 제어신호들 중에서 상기 선택된 센서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선택된 센서에 대응하는 제어신호 및 상기 선택신호를 상기 전사부로 전달하고,
    상기 전사부는 상기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받은 상기 선택된 센서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복수개의 센서 중 상기 선택된 센서로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복수개의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
  12. 인쇄매체에 현상 잠상을 전사하는 전사부 및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전사부 및 상기 광주사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전사부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전사부 및 상기 광주사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전사부로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a2) 상기 전사부로 인가된 전원을 피드백하는 단계; 및
    (a3) 상기 피드백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전사부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방법은
    (c)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커버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a) 및 (c)단계에서 감지된 결과가 상기 전사부가 장착되지 않거나 상기 커버가 열린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한 경우임을 나타낼 때, 상기 전사부 및 상기 광주사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가 전사를 위한 복수개의 센서를 포함할 때,
    상기 (b)단계는 상기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센서로 공급되는 전원 및 제어신호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방법.
  17. 인쇄매체에 현상 잠상을 전사하는 전사부 및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전사부 및 상기 광주사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전사부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광주사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60068090A 2006-07-20 2006-07-20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KR101225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090A KR101225080B1 (ko) 2006-07-20 2006-07-20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US11/704,218 US7574150B2 (en) 2006-07-20 2007-02-09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a power control apparatus in an image forming device
EP07104340A EP1881375B1 (en) 2006-07-20 2007-03-16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a power control apparatus in an Image forming device
CN2007100887123A CN101109914B (zh) 2006-07-20 2007-03-20 图像形成设备中的电源控制设备和使用电源控制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090A KR101225080B1 (ko) 2006-07-20 2006-07-20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622A true KR20080008622A (ko) 2008-01-24
KR101225080B1 KR101225080B1 (ko) 2013-01-22

Family

ID=3858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090A KR101225080B1 (ko) 2006-07-20 2006-07-20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74150B2 (ko)
EP (1) EP1881375B1 (ko)
KR (1) KR101225080B1 (ko)
CN (1) CN10110991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8770B2 (en) 2008-07-28 2013-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to control a power supply,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185B1 (ko) * 2006-11-27 2013-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KR101354215B1 (ko) * 2007-02-15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2011130124A (ja) * 2009-12-16 2011-06-3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854754B2 (ja) * 2010-11-22 2016-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04783B2 (ja) * 2012-06-28 2016-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677386B2 (ja) * 2012-08-30 2015-02-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75259B2 (ja) * 2015-09-18 2019-09-1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電源異常検出方法
JP7155823B2 (ja) * 2018-09-28 2022-10-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70926D1 (de) 1986-11-17 1991-07-25 Sharp Kk Mehrteiliges kopiergeraet.
JPH07119144B2 (ja) * 1991-05-17 1995-12-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レーザービームプリンタ
US5201854A (en) * 1991-09-06 1993-04-13 Xerox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an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machine
JP2002187324A (ja) * 2000-10-11 2002-07-0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開閉部スイッチ機構
KR100422008B1 (ko) * 2002-06-25 200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빔의 출력이 안정적인 레이저 프린터
KR100644658B1 (ko) 2004-12-07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101116610B1 (ko) * 2005-05-20 2012-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주사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8770B2 (en) 2008-07-28 2013-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to control a power supply, and method thereof
KR101294215B1 (ko) * 2008-07-28 2013-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개폐 상황을 고려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및 그 방법
US8817293B2 (en) 2008-07-28 2014-08-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to control a power supply,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19709A1 (en) 2008-01-24
EP1881375B1 (en) 2012-12-19
KR101225080B1 (ko) 2013-01-22
CN101109914B (zh) 2011-09-07
CN101109914A (zh) 2008-01-23
US7574150B2 (en) 2009-08-11
EP1881375A1 (en)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5080B1 (ko)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US785618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35992B1 (ko) 화상형성장치
JP2020167312A (ja) 画像形成装置
JP5241448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05988349B (zh) 安装装置及图像形成装置
JP2020118889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46193B2 (ja) 画像形成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103648A (ja) 画像形成装置
JP2012145965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213992A (ja) 画像形成装置
JP744315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0270134A (ja) 複合機
JP202212209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3889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013852A (ja) 複数ユニットを一体化した親ユニットを装着する装置
JP2013097018A (ja) 画像形成装置
JPH0619244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有する電子写真装置
US20060284966A1 (en) Apparatus for disconnecting light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22181145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07684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故障箇所の特定方法
JP2021113856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854465B2 (ja) スキャナ制御装置
JP200620846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320097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