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7450A - 지방 감소에 효과적인 안정된 유제품 성분 - Google Patents

지방 감소에 효과적인 안정된 유제품 성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7450A
KR20080007450A KR1020077025747A KR20077025747A KR20080007450A KR 20080007450 A KR20080007450 A KR 20080007450A KR 1020077025747 A KR1020077025747 A KR 1020077025747A KR 20077025747 A KR20077025747 A KR 20077025747A KR 20080007450 A KR20080007450 A KR 20080007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y
calcium
fat
fresh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5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비. 제멜
Original Assignee
유니버시티 오브 테네시 리서치 파운데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버시티 오브 테네시 리서치 파운데이션 filed Critical 유니버시티 오브 테네시 리서치 파운데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07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0Milk; Whey; Colost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9Dairy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Epidemiology (AREA)
  • Vir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Dairy Produc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중 및/또는 지방 감소를 유도하고, 체중 및/또는 지방 증가를 방지하고, 지방 조직의 대사 소비를 증가시키고, 및/또는 근육량을 유지하는 것에 의해 체질량을 유지하기 위해 유효한 양의 칼슘-함유 신선한 유청 제품을 체중을 조절하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청, 칼슘, 체중 관리, 식이요법, 근육량

Description

지방 감소에 효과적인 안정된 유제품 성분{Stable dairy components effective for fat loss}
본 발명은 체중 관리에서 신선하거나 또는 안정적인 유청(whey) 제품의 용도, 예를 들면, 체중 감소를 유도하고, 체중 증가를 방지하고, 지방 조직의 대사 소비를 증가시키고, 및/또는 열량 제한 식이요법(calorie restricted diet)으로 근육량을 유지하기 위해 유효한 양의 칼슘-함유 신선한 유청 제품을 체중을 조절하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이 칼슘은 체중 감소를 유도하고, 체중 증가를 방지하고, 및/또는 지방 조직의 대사 소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예를 들면, Zemel 등에 의해 공동으로 소유되고, 참조에 의해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 미국특허 제6,384,087호 및 미국공개 특허출원 제2004-0197425호, 제2004-0197423호, 제2004-0197385호, 제2004-0197383호, 제2004-0197382호, 제2002-0132014호, 제2002-0192264호, 및 제2004-0197424호를 참조한다. 신선한 유청 제품을 투여하는 것에 의해 그와 같은 효과가 달성되고 강화될 수 있다는 것은 이전에는 인식되지 못했다.
개체들은 종종 1년에 1-3 파운드의 체중이 증가하고, 식이요법을 통한 다이 어트의 경우, 지방 감소가 달성될 수 있어도, 종종 근육량(lean or muscle mass)의 감소가 동반된다. 선택적으로 특정한 지방 영역을 표적으로 하고, 근육량은 유지시키는 식이요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많은 사람들에 있어서 충분한 양의 칼슘, 특히, 유제품 칼슘(dairy calcium)을 포함하는 건강한 식이요법을 유지하는 것은 어렵다. 일부 사람들의 경우, 우유, 치즈, 또는 요구르트와 같은 유제품을 일일 여러 분량(2회 내지 4회)으로 섭취하는 것이 어렵거나 또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지속적으로 우유의 체중 관리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식이 성분(dietary component)을 강화하기 위해 그들을 식품 및 제제에 첨가하기에 적합한 제형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근육을 보호하면서 체중 감소를 강화할 수 있게 하는 유청으로부터 유래된 성분을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그와 같은 제품을 섭취하는 개체들은 보다 많은 지방 및 보다 적은 양의 근육을 상실한다. 본 발명은 또한 신체가 지방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피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개체의 체중 및/또는 지방 감소를 유도하고, 체중 및/또는 지방 증가를 방지하고, 지방 조직의 대사 소비를 증가시키고, 및/또는 근육량을 유지하기 위해 유효한 양의 칼슘-함유 신선한 유청 제품을 체중을 조절하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칼슘-함유 신선한 유청 제품은 유청이거나 또는 유청 함유 조성물, 유청-유래 단백질 제품, 유청-유래 미네랄 분리물 블렌드(whey-derived isolate blend), 또는 그의 조합일 수 있고, 이들은 선택적으로 내인성(intrinsic) 또는 추가적인 효소-억제 펩티드, 예를 들면,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 억제 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청은 일반적으로, 특히 치즈 제조 과정에서 응고성 부분 또는 커드(curd)로부터 분리된 우유의 물 부분(watery part)으로 알려져 있다(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www.m-w.com>). 유청은 유제품 산업에서 부산물로 용이하게 수득되며, 통상적으로 우유로부터 지방 및 카세인을 제거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고, 락토오스, 일부 염 및 우혈청 알부민 "BSA"(분자량 66,000 달톤), 알파-락토글로불린(분자량 14,000 달톤), 베타-락토글로불린(분자량 16,000 달톤), 카파-카세인 단편 106-109, 락토페린, 락토퍼옥시다아제, 및 면역글로불린을 포함한 다양한 단백질을 포함한다. 유청 또는 우유에 함유된 염은 칼슘, 구리, 마그네슘, 인, 칼륨, 셀레늄 및/또는 아연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청 단백질 제제는 예를 들면, 단백질 및 탄수화물(락토오스)를 포함하는 유청 단백질 농축물(WPC), 예를 들면, AVONLAC 134(Glanbia Nutritionals, Inc. of Monroe, Wis. ("Glanbia")) 또는 유청 단백질 분리물(WPI), 예를 들면, PROVON 190 또는 290 (Glanbia) 또는 PROTARMOR (Armor Proteines SAS, France)로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다른 유청 제공업체는 Davisco (Le Sueur, MN); Bio-Isolates PLC (Deeside, UK); NZMP North America (Santa Rosa Calif.); Formost Farms (Baraboo Wis.); Arla Foods (Union NJ.); Avenmore Waterford (Monroe Wis.); Borculo Fresh whey products; 및 Borculo, Netherlands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선한 유청 제품은 우유 또는 치즈 유청과 같은 유제품으로부터 유래된 임의의 분획일 수 있다. 신선한 유청 제품은 유청, WPC, WPI, 유청 미네랄 농축물, 예를 들면 24% 칼슘 및 13% 인을 함유한 TRUCAL 칼슘 분리물(Glanbia) 또는 VITALARMOR(Armor Proteines SAS)을 포함한, 우유의 분획화 또는 분리 후에 수득된 유청으로부터 제조된 임의의 제품일 수 있다. 신선한 유청 제품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청 분획은 우유 또는 치즈 유청의 추출, 한외여과(ultrafiltration), 전기투석, 증발, 및 역 삼투압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신선한 유청 제품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가공 수단을 통해 카세인, 유청 단백질, 대두 단백질, 또는 기타 임의의 적합한 공급원(source)로부터 유래될 수 있는, 효소-억제 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형일 수 있다. 그와 같은 펩티드의 일 예는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를 억제하는 펩티드이다. 예를 들면, TRUCAL FP(Glanbia) 또는 BIPRO(Davisco)는 유제품 미네랄 및 ACE 억제 펩티드를 포함한다.
신선한 유청 제품은 본 발명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제형으로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유청 제품은 다양한 단계들, 예를 들면, 제조, 보관, 또는 운송(shipping) 단계에서 손상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제품은 "신선한 유청(fresh whey)"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유청 제품은 예를 들면, 조 제품(raw product) 또는 완제품을 잘못 다루지 않거나,적합한 pH에서 유지하고, 수용액과 고형 농축물의 적합한 조합(예를 들면, 건조된 유청 단백질 농축물, 액상 유청 단백질 농축물, 유청 단백질 분리물, 액체 또는 건조된 가당 유청(sweet whey), 액상 또는 건조된 산성 유청)을 사용하거나, 적합한 보관 조건 또는 보존제로 부패성 미생물(putrefying microorganism)의 작용을 방지하거나, 정제하거나 또는 예를 들면, 한외여과, 전기 투석에 의한 탈미네랄화(demineralization)를 적용하고, 다른 유청 유래 성분들과 블렌딩하고, 신선한 유청 제품이 제조된 후에 예를 들면, 특정한 환경에서 포장, 저장 또는 유지하거나 또는 유청 제품을 기능적으로 강화하는 것에 의해 안정화시키는 것에 의해 안정적이고, 신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신선한(fresh)" 유청은 실질적으로 변성되지 않은 유청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분해되지 않고 변성되지 않을 수 있다. 신선한 유청은 생체에서 이용될 수 있으며 소화가능하고, 이는 응고되거나, 덩어리를 형성하거나 결정화되지 않거나, 또는 소화가능하지 않거나 또는 생체에서 생물학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이용가능하지 않은 제형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신선한 유청은 열에 의해 손상되지 않고, 오염되지 않고; 다양한 온도, 예를 들면, 섭씨 5도, 23도, 또는 37도에서 부패성 미생물의 부패 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며; 온도, 수분의 증가된 수준에 대한 노출 또는 미생물에 의한 분해(microbial decay)에 대한 노출 때문에 손상되거나 무력화되지 않았다. 신선한 유청 제품은 섭취될 때 신선하고 따라서 제조, 보관, 수송 및 사용을 위해 적용되는 조건 하에서 안정하다. 신선한 유청 제품은 그와 같은 조건 하에서 신선도(freshness)의 상실을 견뎌내고 그의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안정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 미국특허 제4,081,555호(Sawhill), 미국특허 제4,497,836호 (Marquardt, et al.), 미국특허 제4,748,034호(de Rham), 미국특허 제6,558,716호 (Kent, et al), 또는 미국공개 특허출원 제2003009976호에 공지된 신선한 유청의 다양한 공지된 조성물, 또는 유청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신선한 유청은 또한 안정된 유청으로 불릴 수 있다. 어떠한 이론에 의해서도 한정되지 않으면서, 신선하지 않은 유청 제품은 우유 및 우유의 카세인 분획(치즈에 풍부함)과 같은 다른 식이 칼슘 공급원(source)과 비교해 근육량(lean body mass)을 유지하는데 기여하는 성분이 부족하기 때문에 신선한 유청 제품은 유용할 수 있다. 신선한 유청의 그와 같은 바람직한 특성은 우유의 카세인 분획보다 높은, 유청의 루이신 또는 분지형 아미노산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인 구체예에서, 신선한 유청 제품은 약 25% 내지 약 99%의 단백질, 또는 약 75%, 80%, 85%, 90%, 95%, 또는 그 이상의 단백질을 갖는 유청-유래 단백질 분리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조성물은 10%, 5%, 또는 1% 미만의 탄수화물, 락토오스, 지방 또는 기타 미네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단백질 분리물은 루이신, 에톡시화(ethoxylated) 모노글리세리드 및 디글리세리드와 같은 안정화제 또는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인 구체예에서, 신선한 유청 제품은 약 1-30%, 10-90%, 20-80%, 30-70%, 15-30%, 20-30%, 22-28%, 또는 23-25%의 칼슘을 포함하는 약 1-99%의 유청 유래 미네랄을 포함하는 유청-유래 미네랄 분획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또 다른 대표적인 구체예에서, 신선한 유청 제품은 유청-유래 미네랄 분획 및 유청-유래 단백질 분리물을, 예를 들면, 전술된 함량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예를 들면, 약 78% 이상의 단백질, 약 15% 이상의 총 미네랄 및 약 3.8% 이상의 칼슘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신선한 유청 제품은 칼슘-함유 제품을 강화할 수 있다. 즉, 신선한 유청 제품은 또 다른 제품에 첨가되어 그의 부분이 된다. 신선한 유청 제품으로 강화될 수 있는 칼슘-함유 제품의 예는 식이 칼슘, 탄산칼슘 제제, 및 기타 유제품, 예를 들면, 우유, 크림, 요구르트 또는 치즈로부터 유래된 다른 제품을 포함한다. 칼슘-함유 제품은 예를 들면, 요구르트, 또는 요구르트로부터 유래된 제품, 치즈, 또는 치즈로부터 유래된 제품, 우유, 또는 우유 유래 제품, 예를 들면, 탈지 우유(skim milk), 1% 우유, 2% 우유, 전유(whole milk), 하프 앤 하프(half and half) 또는 휘핑 크림일 수 있다. 또 다른 대표적인 구체예에서, 신선한 유청 제품은 분말의 제형이거나 또는 영양 조성물 또는 식이 조성물 또는 보충제 또는 칼슘 강화 비타민 보충제에 내포(incorporate)될 수 있고, 또는 식품 제품 또는 식료품 또는 칼슘 함량이 높은 기타 식품 또는 개체에 의해 소비되는 임의의 식품 제품으로 내포된다. 식료품은 유제품, 계란, 곡물, 콩류, 채소, 과일, 식육, 생선, 또는 가금류 육류(poultry)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리얼, 연어, 대두, 두부, 시금치, 순무(turnip green), 케일, 브로콜리, 와플, 팬케이크, 피자, 코티지 치즈(cottage cheese), 아이스크림, 또는 얼린 요구르트일 수 있다. 또 다른 대표적인 구체예에서, 칼슘-함유 제품은 영아용 조제분유, 뉴트리슈티컬(nutriceutical), 또는 식사 대용 음료 또는 드링크 또는 상기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분말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제품은 알약, 정제, 캡슐 또는 다른 미네랄 및/또는 비타민과의 배합(combination)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제품은 인간 섭취용 또는 비-인간(non-human)/동물 섭취용, 예를 들면, 애완동물 사료 또는 축산/가축용 동물 사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체중 및/또는 지방 감소를 유도하고, 체중 및/또는 지방 증가를 방지하고, 및/또는 지방 조직의 대사 소비를 증가시키는 원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 개체에 의해 섭취되거나 소비되는 신선한 유청 제품의 양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선택적으로 다른 식이요법 노력과 함께 조합된 방법, 예를 들면 열량 섭취를 제한하거나 또는 운동하거나, 및/또는 연장된 기간 동안 신선한 유청 제품을 투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품은 약 1주, 2주, 3주, 1개월, 6주, 2개월, 3개월, 6개월 또는 1년 이상의 지속적인 기간 동안 투여되며, 상기 제품은 원하는 효과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한 양으로 평균 일일 일회 기준으로 투여된다.
원하는 결과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한 양은 상기 신선한 유청 제품에 함유된 칼슘의 양, 예를 들면, 일일 약 1000 mg 이상의 양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신선한 유청 제품 또는 그의 1회 제공분(serving)은 평균적으로 약 100 mg, 200 mg, 255 mg, 300 mg, 400 mg 또는 500 mg의 양을 포함할 수 있다. 신선한 유청 제품의 섭취는 2주 이상, 1개월, 2개월, 3개월, 또는 그 이상의 기간 동안 평균적으로 약 500 mg, 600 mg, 773 mg, 800 mg, 900 mg, 1000 mg, 1100 mg, 1200 mg, 1300 mg, 1346 mg, 1400 mg, 1500 mg, 1600 mg 또는 그 이상의 칼슘 섭취를 제공할 수 있다. 대표적인 구체예에서, 신선한 유청 제품은 일일 평균 약 1000 mg 이상의 칼슘을 제공하면서 1개월 이상의 지속적인 기간 동안 투여된다. 이와 같은 투여량은 "고 칼슘(high calcium)"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개체의 식이 칼슘 섭취량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개체는 인간이고, (1) 상기 식이 칼슘 섭취량이 1000 mg/일 미만이면, 신선한 유청 제품 섭취량을 증가시키고, (2) 상기 식이 칼슘 섭취량이 약 1000 mg/일 이상이면, 신선한 유청 제품 섭취량을 통해 그 수준을 유지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신선한 유청 제품의 유효량을 투여하기 전에 개인에 의해 섭취되는 칼슘의 양은 약 400 mg/일, 600 mg/일 또는 773 mg/일 미만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투여되는 일일 평균 신선한 유청 제품은 800 mg/일, 1000 mg/일, 1100 mg/일, 1200 mg/일, 1346 mg/일, 또는 1400 mg/일의 칼슘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대표적인 구체예에서, 칼슘-함유 신선한 유청 제품의 유효량은 1일 약 3 내지 4회, 예를 들면, 2.5 또는 3.5회 투여되는 신선한 유청 제품으로 강화된 유제품의 형태일 수 있다. 제공되는 1회 분량(serving size)의 예는 약 8 온스 이상의 우유, 8 온스 이상의 요구르트 또는 1.5 온스의 치즈의 칼슘 함량을 갖는 유청 강화 제품(whey fortified product)를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인 구체예에서, 1회 분 량(serving)은 약 200, 255 또는 300 mg 이상의 칼슘을 포함하고, 2회 분량은 약 700, 773 또는 800 mg의 칼슘을 포함하며, 3회 분량은 1000, 1100, 1300, 1346 또는 1400 mg의 칼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공되는 분량은 평균적으로 약 300 mg 이상의 유청-유래 식이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제공되는 분량은 평균적으로 약 200 mg 이상의 유청-유래 식이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인 구체예에서, 유청-유래 식이 칼슘의 유효량은 일일 약 1000 mg 이상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신선한 유청 제품은 월별 약 50 내지 75회분 또는 월별 100 내지 120회분의 제공과 동등한 1일 평균 기준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칼슘의 양은 체중 및/또는 지방 감소를 유도하고, 체중 및/또는 지방 증가를 방지하고, 및/또는 지방 조직의 대사 소비를 증가시키는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일일 약 1346 mg, 또는 3 내지 3.5회분의 신선한 유청 제품의 제공으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신선한 유청 제품은 높은 칼슘 생체이용률을 제공하고 개체에서 체중 및/또는 지방 감소를 유도하고, 체중 및/또는 지방 증가를 방지하고, 및/또는 지방 조직의 대사 소비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체중 및/또는 체지방을 조절하기 위해 미네랄 칼슘(예를 들면, 탄산칼슘 유래)보다 더 효과적이다. 신선한 유청은 신선하지 않은 유청(안정하지 않은 유청 제품)보다 더 효과적이다. 신선한 유청은 체질량(body mass)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우유와 거의 동일하게 또는 그 이상으로 효과적이고 우유의 카세인 분획보다 더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은 체질량 조절, 예를 들면, 체중, 비만(adiposity) 및 근육량을 조절 또는 제어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이다. 그들은 또한 비만, 고혈압, 뇌졸중, 월경전 증후군, 우울증, 임신중독증, 타입-2 당뇨병, 천식, 염증성 장 질환, 주의력 결팝 장애, 편두통, 신장 질환, 신장 결석, 고콜레스테롤혈증,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면역 결핍증 및 기타 공지된 질환과 같은, 체중 장애 또는 과체중인 것과 연관된 기타 질환을 예방하고, 그 심각도를 경감시키고, 그 위험을 감소시키고 또는 치료하기에 효과적이다.
일부 신선하지 않은 유청 제품을 사용한 실시예 1은 신선한 유청 제품을 사용한 실시예 2와의 비교를 위해 포함된다. 실시예 1은 본 출원과 동일인에 의해 소유되고, 동시-계류 중인 미국 임시출원 제60/558,706호의 발명이다.
본 발명자는 이전에 우유와 같은, 칼슘-함유 제품이 체중 및/또는 지방 감소를 유도하기에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개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놀랍게도, 칼슘-함유 유청 제품 및 신선한 유청 제품은 탄산칼슘과 같은 미네랄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된 동일한 양의 칼슘보다, 동물에서 체중 감소를 유도하고, 체중 증가를 방지하고 및/또는 지방 조직의 대사 소비를 증가시키는데 보다 효과적이다. 신선한 유청, 유청 단백질, 유청 유래 미네랄 분리물 또는 블렌드, 또는 효소-억제 펩티드를 포함하는 유청 유래 미네랄 분리물을 포함하는 식이요법은 체중 및/또는 지방 감소를 유도하는데 있어서 칼슘 단독 또는 기타 비-유청 또는 신선하지 않는 유청과 조합된 칼슘 함유 제품을 투여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개체에게 열량 제한 또는 에너지 제한 식이요법을 유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종종 그와 같은 제한 식이요법은 지방 및 근육의 감소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신체의 특정 영역 및/또는 지방 종류 또는 근육 세포 또는 조직을 선택적으로 표적화하는 것에 의한 체중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대표적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체중 관련 식이요법을 제공하는 방법, 예를 들면, 신선한 유청 제품을 개체에게 투여하여 근육량을 보호하면서, 체중 감소를 강화하는 것에 의해, 근육량을 유지하면서 특정한 지방 세포 또는 조직 영역을 선택적으로 표적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선한 유청 제품은 또한 신체가 운동의 대사 스트레스로부터 신속하게 회복되고 개체들이 과량의 지방을 증가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청-기반 식이요법은 식이 에너지의 지방 조직으로부터 골격근으로의 재분배를 촉진하여, 지방 조직이 손실되면서, 근육량의 보존 및/또는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투여된 신선한 유청 제품은 지방세포에서 아폽토시스(apoptosis)를 촉진한다. 즉, 칼슘의 충분한 수준의 일부로서 신선한 유청 제품을 포함하는 식이요법은 지방 세포의 예정된 세포사(programmed cell death)을 유도하고, 식이요법 중인 개체에서 지방 세포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감소는 우선적으로 복부 또는 몸통 부위에서 일어날 수 있고, 지방량의 감소에 기여한다. 지방 세포 수의 감소는 지방세포의 약 5%, 10%, 20%, 또는 30%의 범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선한 유청 제품 식이요법은 지방 세포의 사멸, 제거 또는 그 수의 감소를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구체예는 체중을 조절하는 개체에게 체중 및/또는 지방 감소를 유도하고, 체중 및/또는 지방 증가를 방지하고 및/또는 지방 조직의 대사 소비를 증가시키기에 유효한 양으로 칼슘 함유 신선한 유청 제품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근육량의 보전은 신체의 다양한 영역, 예를 들면, 골격근, 사지(예를 들면, 팔 및 다리), 또는 몸통에서 선택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선한 유청 제품의 소비는 비복근(gastrocnemius) 근육을 유지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방 감소의 유도도 선택적으로 특정한 영역 또는 종류, 예를 들면, 지방 패드 매스(fat pad mass), 복부 지방, 신장주위(perirenal) 지방 또는 견갑하(subscapular) 지방 및/또는 그의 조합을 표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근육량을 유지하면서 지방 감소를 유도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근육량을 유지하는 것은 신선한 유청 제품이 섭취되는 식이요법 기간 동안 약 1, 2, 5 또는 10% 이상의 근육량의 증가 또는 근육량의 유지, 또는 약 1%, 2% 또는 5% 이하의 근육량의 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체중 및 지방을 제한하기 위한 다양한 성분을 포함하는 식이요법의 효능은 하기와 같이, 최저 효과부터 최고 효과의 성분들로 측정되었다: 저 칼슘, 고 미네랄 칼슘, 유청 미네랄 분리물, 및 유청 단백질 및 우유. ACE 억제제는 유청 미네랄 분리물 및 유청 단백질 식이요법의 효능을 개선시켰다.
실시예 2는 예를 들면, 그룹 4에서 신선한 유청 제품이 예를 들면, 그룹 3의 우유 제품과 동일하게 효과적이고, 유청-유래 미네랄 분획을 포함하는 신선한 유청 제품은 비만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적어도 다른 보충적인 칼슘 공급원(예를 들면, 탄산칼슘)만큼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데이터는 또한 유청은 놀랍게도 우유에서 발견되는 생물활성의 대부분 또는 전부를 보전하고 유청-유래 ACE 억제제가 이 효과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ACE 억제성 작용은 비만도, 체중 손실 등에서 일관성 있는 개선을 유발하나, 완전한(intact) 신선한 유청이 훨씬 더 큰 효과를 갖는다.
또 다른 대표적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체중 감소를 강화시키고 및/또는 체중 증가를 제한하고 우수한 건강을 도모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predetermined) 체중 범위를 유지하고 과체중 상태 또는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체중 및 비반은 유제품의 부적합한 섭취,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제품에 존재하는 미네랄과 어느 정도 관련된다. 과체중 상태 및 비만은 영양 보충용 조성물(nutritional supplement composition)을 직접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상기 조성물로 강화된 식품 제품을 통해 투여하는 것에 의해 효과적으로 치료될 수 있다. 영양 보충용 조성물은 치료적 유효량(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의 유청 미네랄, 유청 단백질 및/또는 유청-유래 효소-억제 펩티드를 포함하고, 식사 전 또는 식사 동안 투여된다. 영양 보충용 조성물은 또한 원하는 체중을 유지하고자 하는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치료는 체중 조절을 위한 다른 메카니즘을 다루기 위해 조성물에서 추가적인 성분의 사용에 의해 강화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지방 대사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비만의 조절을 보조하기 위해 효소-억제 펩티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치료하다(treat)," "치료하는(treating)," "치료(treatment)," 및 유사한 용어들은 과체중이거나 또는 비만한 개체, 특히 인간에 게 상기 개체가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정도 또는 그와 연관된 임의의 증상을 경감, 저하, 억제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영양 보충용 조성물의 상기 개체로의 투여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치료하다(treat)," "치료하는(treating)," "치료(treatment)," 및 유사한 용어들은 또한 과체중이거나 비만이 될 위험에 있을 수 있거나, 과체중이나 비만이 되는 것을 피하고자 하는 개체에 대한 영양 보충용 조성물의 예방적 투여를 의미한다.
영양 보충용 조성물의 하나의 성분은 유청 미네랄이다.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포함된, 2003년 9월 4일에 공개된 Ward 등에 의한 미국공개 특허출원 제2003/0165574호를 참조한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우유 미네랄 제품은 예를 들면, TRUCAL 제품(Glanbia)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청 미네랄 조성물의 일 예가 하기의 표 1에 예시된다.
Figure 112007079663664-PCT00001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신선한 유청 조성물은 유청 단백질을 포함한다. 유청 단백질은 우유에 가용성, 구형(globular) 단백질로서 존재하고, 현탁된 카세인 입자와는 다르다. 일반적으로, 유청 단백질은 전반적인 건강 및 영양을 위해 필요한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다. 유청 단백질로부터 유래된 주요한 단백질 및 펩티드 성분은 알파-락트알부민 및 베타-락토글로불린, 카파-카세인, 락토페린, 우혈청 알부민, 락토퍼옥시다아제, 및 면역글로불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신선한 유청 조성물은 활성의 효소-억제 펩티드를 포함한다. 예들은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를 억제하는 펩티드를 포함한다. 안지오텐신 II는 지방 세포에 의해 합성되어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문헌들은 안지오텐신 II가 지질 합성 및 지방세포의 저장의 조절을 통해 비만의 조절에 관여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일부 유제품 펩티드가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의 억제와 연관된다. 따라서, 치료적 유효량의 ACE-억제 펩티드를 포함하는 신선한 유청을 투여하는 것에 의해, 체중 감소가 강화될 수 있다. 이론에 의해 한정될 의도 없이, 신선하지 않은(non-fresh) 유청 제품은 신선한 유청에 비해 보다 낮은 수준의 ACE 억제제와 같은 효소-억제 펩티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수득하기 위해, 상기 조성물을 위해 선택된 성분들은 유청 제품의 안정성 또는 신선도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영양 보충용 조성물의 제조 전에 원하는 데로 가공될 수 있다. 유청 미네랄 추출물은 통상적으로 원하는 경우, 액체 또는 고체 식품 제품과의 혼합을 허용하기 위해 정제되고, 분무 건조되며 적합한 입자 크기를 갖는 분말로 분쇄된다. 마찬가지로, 단백질 성분은 통상적으로 정제되고, 건조되며, 분말로 분쇄된다. ACE-억제 펩티드가 또한 조성물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이 보충물(dietary supplement) 또는 식품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법에 따라, 선택적으로, 미네랄, 비타민, 향미제 및 착색제와 같은 기타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을 위한 적합한 입자 크기는 분말이 혼합되는 식품 제품의 물리적 특성(예를 들면, 액체 또는 고체, 비중, pH, 점도, 등), 및 안정적인 신선한 유청 제품을 유지하기 위한 필요성과 같은 인자들에 의존적일 것이다.
신선한 유청 제품은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식품 제품을 위한 첨가제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신선한 유청 제품을 포함하는 식품 제품 조성물은 산성 쥬스 및 스포츠 음료(sport beverage), 중성 pH 음료(예를 들면, 우유 UHT 유제품, RTD 영양소, 두유, 또는 밀크셰이크, 스무디(smoothie), 프라페(frappe)와 같은 셰이크 및 기타 혼합 음료, 영양 보충용 식품(예를 들면, 고-에너지 단백질 바), 제과 제품((예를 들면, 고 칼슘 츄(chew), 츄잉 검, 초콜렛, 또는 쿠키), 유제품(예를 들면, 요구르트, 아이스크림, 우유, 치즈, 가공 치즈, 또는 버터), 및 곡물(farinaceous) 제품(예를 들면, 빵, 머핀, 비스켓, 시리얼, 또는 롤)을 포함한다. 식품 제품과 배합된 신선한 유청 조성물의 상대적인 중량부(amount by weight)는 식품 제품의 밀도 및 1회 제공분 크기(serving size)와 같은 인자에 의존적이다. 통상적으로, 신선한 유청 조성물의 양은 식품 제품의 총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약 10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조성물의 제제 및 식품 제품을 통해 투여되는 경우, 상기 식품 제품에 혼합된 조성물의 양은 체질량을 유지하기 위해 효과적일 수 있게 특정한 성분의 원하는 양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예로서, 전형적인 영양 보충용 조성물은 조성물의 1회 분(serving) 당 약 1, 2, 5, 10, 또는 15 그램 이상의 단백질, 약 0.2, 약 0.5 또는 약 6 그램 또는 그 이상의 칼슘, 및 약 0.1, 0.5, 1, 2, 3, 5, 또는 10 그램 또는 그 이상의 ACE-억제 펩티드를 제공하도록 투여될 수 있다. 투여되는 조성물의 양은 상기 조성물이 투여되는 개체의 신체적 특성 및 영양적 요구 및 체질량 지표(body mass index)의 차이를 고려하여 원하는 정도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과체중 및 비만을 포함하는 체중 상태가 효과적으로 관리되고 치료된다. 즉, 건강한 상태 및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체중을 갖는 개체는 체중을 관리하고 원하는 체중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원하는 범위를 초과하는 체중을 갖고 과체중 또는 비만으로 간주될 수 있는 개체는 근육량을 유지하면서 체중 증가를 제한하고 및/또는 체중 감소를 촉진하는 것에 의해 효과적으로 치료될 수 있다. 영양 보충용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이 이와 같은 이점들을 제공하기 위해 개체에게 투여된다.
본 발명은 체중 감소를 유도하거나, 체중을 유지하거나, 또는 근육 보전(muscle retention)을 증가시키기 위해 신선한 유청 제품을 투여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인 구체예에서, 개체의 열량 섭취는 변형되지 않거나 또는 무제한으로(ad lib)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식이요법 계획의 일부로서 개체의 열량 섭취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변형되지 않은 또는 무제한의 열량 섭취의 제한은 개체가 체중을 유지하거나 또는 감소하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미량이거나 또는 보다 광범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체는 변형되지 않은 열량 섭취, 예를 들면, 원하는 만큼(만족할 때까지 이용가능한 식품 또는 열량의 비제한적인 섭취)의 열량 섭취와 함께 신선한 유청 제품을 섭취하는 것에 의해 체중을 유지하고 및/또는 근육 보전을 증가시키고 지방 감소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개체는 열량 섭취를 무제한적인 섭취 미만으로 제한하는 것에 의해 지방 또는 체중 감소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열량 제한의 예는 비변형(unmodified) 또는 무제한과 대조적으로, 약 200 내지 500 칼로리/일, 예를 들면,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200 또는 1500 칼로리/일씩 열량 섭취를 감소시킬 수 있다. 개체는 또한, 열량 섭취를 총 약 500 내지 5000 칼로리/일, 또는 4500, 4000, 3500, 3000, 2500, 2000, 1500, 또는 1000 칼로리/일 미만으로 제한할 수 있다.
또 다른 대표적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서 체중 및/또는 지방 감소를 유도하고, 체중 및/또는 지방 증가를 방지하고, 및/또는 지방 조직의 대사 소비를 증가시키면서 근육량을 유지 및/또는 증가시키기 위한 유효량의 유청 제품을 섭취하는 효과에 관한 정보 또는 설명을 표시한 포장에 담긴, 유청-유래 미네랄 분획, 유청-유래 단백질 분리물 및 유청-유래 효소-억제 펩티드 분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포함하는 신선한 유청 제품의 치료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체중 관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정보 또는 설명은 인쇄된 매체 또는 물질의 형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제품은 포장되고 상기 설명은 포장지의 일부이거나, 삽입물 또는 라벨(label)로서 직접 제품에 동반되거나, 또는 제품상에 표시(imprint)될 수 있다. 표지화(labeling)는 또한 제품 포장과 관련된 통보 또는 정보, 예를 들면, 상점 진열대 상, 상점 복도의 통보 또는 정보의 형태, 또는 표준 인쇄물 또는 인터넷,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를 포함한 전자 매체에서의 통보 또는 광고일 수 있다.
또 다른 대표적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잠재적인 소비자에게 신선한 유청 제품의 섭취가 체중 또는 체지방 및/또는 근육 보전에 대해 유용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통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통지는 상기 제품의 소비에 상업적 이해를 갖는 객체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 방법일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제품의 판매에 재무적 이해를 갖는 상업적 객체에 의한, 신선한 유청 제품의 섭취를 유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객체가 상기 제품의 섭취로부터 기인될 수 있는 신선한 유청 제품의 체중-조절 및/또는 근육 보전 이점을 기술하는 정보를 배포하는 것인 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신선한 유청 제품의 섭취를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품의 칼슘의 소비에서 기인하는 상기 제품의 체중 또는 비만-조절 이점을 기술하는 정보의 대중 배포(public distribution)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정보의 전달(communicate), 배포 또는 대중 배포는 구술 전달, 팜플렛 배포, 인쇄 매체, 오디오 테이프, 자기 매체(magnetic media), 디지털 매체, 시청각 매체, 광고판(billboard), 광고, 신문, 잡지, 다이렉트 메일(direct mailing), 라디오, 텔레비전, 인터넷 웹사이트, 전자 메일, 전자 매체, 배너 광고, 광섬유, 및 상품 포장, 삽입지, 또는 라벨 상의 정보, 또는 상품에 직접 동반된 정보를 포함한다.
또 다른 대표적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개체의 체중을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상기 개체에게 신선한 유청 제품의 섭취가 체중 및/또는 지방의 감소 또는 감소된 증가 및/또는 지방 조직의 대사 소비 및/또는 근육 보전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건강 효과와 연관된다는 것을 개시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개체에게 상기 하나 이상의 건강 효과를 유도하기에 충분한 유효량의 신선한 유청 제품을 포함하는 제품을 섭취하기 위한 식이요법 계획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 다른 대표적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과다한 체중 및/또는 과다한 체지방 때문에 건강 문제의 위험에 있는 개체에서 건강 문제의 위험을 피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신선한 유청 섭취의 최적 미만의 양(suboptimal amount)에 비해 대사 변화(metabolic change)를 유도하기 위해 충분한 양의 신선한 유청 제품을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건강 문제는 관상동맥 질환, 뇌졸중, 골다공증, 골관절염, 인대 손상, 회음부 피부염(perineal dermatitis), 당뇨병, 심근증, 및/또는 비뇨기 증후군(urologic syndrome)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 다른 대표적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서 체중 감소를 유도하고, 체중 증가를 방지하고, 및/또는 지방 조직의 대사 소비 및/또는 근육 보전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신선한 유청 제품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체중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양태에서, 상기 동물은 애완용 포유동물, 예를 들면, 개 또는 고양이, 또는 마우스 또는 가축(farm animal)일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신선한 유청 제품 동물 사료 및 체중 감소를 유도하고, 체중 증가를 방지하고, 및/또는 지방 조직의 대사 소비 및/또는 근육 보전을 증가시키는 데 있어서 신선한 유청 섭취의 이점의 설명서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 포장일 수 있다. 상기 동물 사료는 애완동물용 사료 또는 가축용 사료일 수 있다.
도 1은 신선한 유청 제품의 효과 및 메카니즘의 개략적인 예시이다. 식이 칼 슘의 불충분은 인간 지방세포에서 세포내 칼슘([Ca2 +]i)을 증가시키고, 이에 의해 지방 생성(lipogenesis)을 촉진하고, 지방분해를 억제하며, 트리글리세리드의 축적을 증가시킨다. 이와 대조적으로, 신선한 유청 제품과 같은 유제품에 의한 식이 칼슘의 증가는 칼시토트로픽(calcitrophic) 호르몬, lα,25-(OH)2-D3를 억제하고, 이에 의해 [Ca2 +]i을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트리글리세리드 축적을 감소시킨다.
도 2는 지방 세포에서 aP2 프로모터의 제어 하에 아구티(agouti)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마우스의 8개의 그룹에 대한 칼슘 및 선택적인 유제품 성분의 특정한 공급 패턴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지방 세포에서 aP2 프로모터의 제어 하에 아구티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마우스에서 6주간의 칼슘 및 선택적인 유제품 성분의 섭취가 체중 변화에 대해 갖는 효과를 도시한다.
도 4는 지방 세포에서 aP2 프로모터의 제어 하에 아구티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마우스에서 6주간의 칼슘 및 선택적인 유제품 성분의 섭취가 지방 패드 매스(fat pad mass)에 대해 갖는 효과를 예시한다.
도 5는 지방 세포에서 aP2 프로모터의 제어 하에 아구티(agouti)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마우스에서 6주간의 칼슘 및 선택적인 유제품 성분의 섭취가 복부 지방에 대해 갖는 효과를 도시한다.
도 6은 지방 세포에서 aP2 프로모터의 제어 하에 아구티를 발현하는 형질전 환 마우스에서 6주간의 칼슘 및 선택적인 유제품 성분의 섭취가 신장주위 지방(Perirenal Fat)에 대해 갖는 효과를 예시한다.
도 7은 지방 세포에서 aP2 프로모터의 제어 하에 아구티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마우스에서 6주간의 칼슘 및 선택적인 유제품 성분의 섭취가 견갑하 지방(Subscapular Fat)에 대해 갖는 효과를 예시한다.
도 8은 지방 세포에서 aP2 프로모터의 제어 하에 아구티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마우스에서 6주간의 칼슘 및 선택적인 유제품 성분의 섭취가 비복근 매스(Gastrocnemius Mass)에 대해 갖는 효과를 도시한다.
도 9는 지방 세포에서 aP2 프로모터의 제어 하에 아구티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마우스에서 6주간의 칼슘 및 신선한 유청 제품을 포함한 선택적인 유제품 성분의 섭취가 체중 변화에 대해 갖는 효과를 보여준다.
도 10은 지방 세포에서 aP2 프로모터의 제어 하에 아구티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마우스에서 6주간의 칼슘 및 선한 유청 제품을 포함한 선택적인 유제품 성분의 섭취가 지방 패드 매스(Fat Pad Mass)에 대해 갖는 효과를 예시한다.
도 11은 지방 세포에서 aP2 프로모터의 제어 하에 아구티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마우스에서 6주간의 칼슘 및 신선한 유청 제품을 포함한 선택적인 유제품 성분의 섭취가 비복근 매스에 대해 갖는 효과를 도시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식이요법에 의해 유도된(diet-induced) 비만증 형질전환 마우스 에서 칼슘의 항-비만 근육량 보전 효과의 유제품에 의해 유도된 강화에 기여하는 유제품 분획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는 고 지방/고-수크로오스/저 지방 식이요법이 공급된 아구티(agouti)-형질전환 마우스에서 열량 제한에 부수적인 체중 및 지방 감소를 가속화시키는데 있어서 유청-기반 고 칼슘 식이요법 vs. 카세인-, 대두-, 및 우유-기반 고 칼슘 식이요법(저-칼슘 대조군 대비)의 유효성 및 유청의 증대된 항-비만 효과가 유청에서 발견되는 칼슘 외에, 유청 단백질(들) 또는 미네랄의 혼합물에서 기인하는 것인지 여부에 관한 것이다.
동물 및 식이요법
인 비보(in vivo)에서 비만의 조절에서 식이 칼슘의 역할을 평가하기 위해, aP2 프로모터 제어하에서 구체적으로 지방세포에서 아구티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마우스를 연구하였다. 이 동물들은 렙틴 발현의 정상적인 패턴 및 인간에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한 활성을 보이고, 인간의 아구티 발현 패턴(지방세포-특이적)을 보였다. 이 마우스들은 표준 AIN-93G 식이요법에서 비만이 아니나, 인슐린 투여 또는 고-수크로오스 식이요법에 의해 유도된 고인슐린혈증에 대한 반응으로 비만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식이요법-유도 비만증에 대한 유용한 모델이다. 별개의 연구에서, 이 동물 모델은 체중 감소, 체중 증가, 지방량, 및 근육량을 포함한 체질량과 관련하여 인간에 대한 영양적 효과를 반영(predictive)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방법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에 비만을 유도하기 위해 6주 동안 저 칼슘(0.4%), 고 수크로오스, 고 지방 식이요법을 공급했다. 모든 식이요법은 유일한 탄수화물로서, 수크로오스와 25% 지방(라드 + 대두 오일), 및 표시된 단백질을 유일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포함했다. 그룹 1에는 상기 식이요법을 6주간 무제한으로(ad libitum) 지속적으로 공급했다.
그룹 2-8에는 6주간 제한된 식이요법(원하는 에너지 섭취량의 70%)을 제공했다. 그룹 2에는 우유 카세인으로부터의 단백질 및 CaCO3로부터 유래된 칼슘 0.4%를 포함하는 저 칼슘 식이요법(카세인/0.4% 칼슘)을 유지시켰다.
그룹 3-6은 고 칼슘, 에너지 제한 식이요법을 지속시켰다. 그룹 3에는 대부분은 우유로부터 유래되고, 일부는 CaCO3로부터 유래된 1.2% 칼슘을 갖는 분유를 포함하는 탈지 분유(non-fat dry milk)/1.2% 칼슘을 유지시켰다. 그룹 4는 유청으로부터 유래된 단백질과 대부분은 유청으로부터 유래되고 미량은 CaCO3(예를 들면, PROVON 190)로부터 유래된 칼슘을 포함하는 유청 단백질 분리물/1.2% 칼슘으로 유지시켰다. 그룹 5는 카세인으로부터 유래된 단백질 및 CaCO3로부터 유래된 1.2% 칼슘을 포함하는 카세인/1.2% 칼슘으로 유지시켰다. 그룹 6은 대두로부터 유래된 단백질 및 CaCO3로부터 유래된 1.2% 칼슘을 포함하는, 대두 단백질 분리물/1.2% 칼슘으로 유지시켰다.
그룹 7 및 8은 고 칼슘(1.2%), 에너지 제한 식이요법을 지속시켰다. 그룹 7은 1.2% 칼슘 및, 유청-유래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억제제(TRUE-CAL)불포함의 카세인으로부터 유래된 단백질을 포함하는 유청 미네랄 분리물을 이용했다. 그룹 8 은 유청-유래 ACE-억제제(TRUE-CAL FP)를 포함한 유청 미네랄 분리물을 이용했다.
6주 동안, 체중, 음식물 섭취량 및 심부 체온(core temperature)을 주별로 측정하였다. 6주의 종료 시에, 지방 패드 매스(fat pad mass), 지방세포의 세포내 Ca2+([Ca2+]i), 지방산 신타아제 발현 및 활성 및 지방 분해를 측정하였다.
결과
도 3은 고 칼슘 우유 그룹 3 마우스가 가장 유의성 있고 실질적인 체중 변화를 보였고, 뒤이어 고 칼슘 유청 단백질 분리물 그룹 4 마우스가 큰 체중 변화를 가졌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고 칼슘 카세인 그룹 5 및 대두 그룹 6은 우유 또는 유청 단백질 분리물의 경우보다 작으나, 저 칼슘 그룹 2 및 고 칼슘 유청 미네랄 그룹 7 및 유청 미네랄/ACE 그룹 8보다는 큰 체중 변화를 보였다. 가장 작은 양의 체중 변화는 무제한(Ad lib) 그룹 1에서 관찰하였다.
도 4에서 관찰되는 바와 같이, 무제한 그룹 1 마우스는 다른 칼슘 함유 그룹들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의 지방 패드 매스를 가졌다. 가장 작은 양의 지방 패드 매스는 고 칼슘 우유 그룹 3에서 관찰되었고, 뒤이어 고 칼슘 유청 단백질 분리물 그룹 4의 순서였다. 고 칼슘 카세인 그룹 5 및 대두 그룹 6 및 유청 미네랄/ACE 그룹 8은 우유 또는 유청 분리물의 경우보다 많으나, 고 칼슘 유청 미네랄 그룹 7보다 적은 지방 패드 매스를 가졌고, 저 칼슘 그룹 2보다 훨씬 적었다.
도 5에서, 무제한 그룹 1 마우스는 다른 칼슘 함유 그룹들보다 훨씬 더 많은 복부 지방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최소량의 복부 지방은 고 칼슘 우유 그룹 3 및 뒤이어 고 칼슘 유청 단백질 분리물 그룹 4, 고 칼슘 카세인 그룹 5 및 대두 그룹 6에서 관찰하였다. 고 칼슘 유청 미네랄 그룹 7 및 유청 미네랄/ACE 그룹 8은 다른 고 칼슘 함유 그룹보다 많으나, 저 칼슘 그룹 2보다 작은 복부 지방을 가졌다.
도 6은 무제한 그룹 1 마우스가 다른 칼슘 함유 그룹들보다 훨씬 많은 신장주위 지방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을 나타낸다. 최소량의 신장주위 지방은 고 칼슘 우유 그룹 3에서 관찰되고, 뒤이어 고 칼슘 유청 단백질 분리물 그룹 4, 고 칼슘 카세인 그룹 5, 대두 그룹 6 및 유청 미네랄/ACE 그룹 8에서 관찰되었다. 저 칼슘 그룹 2는 다른 고 칼슘 함유 그룹들보다 많으나, 고 칼슘 유청 미네랄 그룹 7보다는 적은 양의 신장주위 지방을 가졌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제한 그룹 1 마우스는 다른 칼슘 함유 그룹들보다 훨씬 많은 견갑하 지방을 가졌다. 최소량의 견갑하 지방은 고 칼슘 우유 그룹 3 및 유청 단백질 분리물 그룹 4에서 관찰되고, 뒤이어 고 칼슘 카세인 그룹 5, 대두 그룹 6, 유청 미네랄 그룹 7 및 유청 미네랄/ACE 그룹 8에서 관찰되었고, 이들은 저 칼슘 그룹 2보다 훨씬 적은 양을 가졌다.
도 8에서, 고 칼슘 우유 그룹 3 및 유청 단백질 분리물 그룹 4가 가장 많은 비복근 매스를 가졌고, 뒤이어, 고 칼슘 카세인 그룹 5, 대두 그룹 6 및 저 칼슘 그룹 2의 순서로 많은 비복근 매스를 가졌다. 고 칼슘 유청 미네랄 그룹 7 및 유청 미네랄/ACE 그룹 8은 무제한 그룹 1을 제외하고는 모든 다른 그룹들보다 적은 양을 가졌다.
표 2는 이 결과들을 요약한다.
표 2
Figure 112007079663664-PCT00002
1=무제한(Ad Lib) 2=저 칼슘(loCa) 3=우유(milk) 4=유청 단백질(whey protein) 5=카세인(casein) 6=대두(soy) 7=유청 미네랄(whey mineral) 8=유청 미네랄/ACE(whey mineral/ACE)
결론
본 실시예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고 칼슘 식이요법은 저 칼슘 식이요법에 비해 32%의 지방 감소 증가를 유발했고(p<O.OOOl), 반면에 우유는 이 지방 감소를 다른 고 칼슘 식이요법들에 비해 62.5% 증가시켰다(p<0.001). 유청은 우유만큼 효과적이지 않았고, 유청 미네랄은 추가적인 지방 감소를 제공하지 않았다. 유청 ACE 억제제의 첨가는 지방량을 22% 감소시켰으나(p<0.001), 완전한 우유가 여전히 훨씬 더 효과적이었고, 이는 가공의 인위적 결과(artifact) 때문에, 생체이용률의 저하를 초래되었기 때문일 수 있다. 따라서, 유청 성분은 항-비만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저 칼슘 식이요법에서 에너지 제한은 유청 식이요법에 의해 방지되나(적절한, 유의성 있는 증가를 생성함), 칼슘-보충 카세인 및 대두 식이요법에 의해서는 방지되지 않는 비복근 매스의 감소를 초래했다.
유청-기반 식이요법은 지방 조직으로부터 골격근으로의 식이 에너지의 재분 배를 촉진하여, 근육량의 보존 및/또는 개선을 가져오나, 지방 조직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신선한 유청 제품은 완전한 항-비만 효과를 생성하고 골격근 보존 효과(skeletal muscle sparing effect)를 생성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실시예는 이 마우스의 식이요법에 증가된 칼슘 또는 칼슘이 풍부한 유청 제품을 포함시키는 것이 식이요법에 의해 유도되는 비만증을 상당히 약화시키고 열량 제한에 부수적인 체중 및 지방 감소를 크게 촉진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효과들은 부분적으로는 칼슘에서 기인하나, 칼슘의 유청-유래 공급원이 보충물로부터 유래된 동일한 양의 칼슘보다 더 큰 효과를 발휘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식이요법에 의해 유도된 비만증의 형질전환 마우스에서 항-비만 근육량 보전 효과의 유제품-유도 강화에 기여하는 신선한 유청 분획을 비교했다. 고 지방/고 수크로오스/저 지방 식이요법이 공급된 아구티-형질전환 마우스에서 열량 제한에 부수적인 체중 및 지방 감소를 가속화시키는 데 있어서, 신선한 유청 제품-기반 고 칼슘 식이요법의 효과를 카세인-, 대두- 및 우유-기반 고 칼슘 식이요법(저 칼슘 대조군 대비)과 비교하였다.
동물 및 식이요법
실시예 1과 동일한 동물을 사용하였다.
방법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에 비만을 유도하기 위해 6주 동안 저 칼 슘(0.4%), 고 수크로오스, 고 지방 식이요법을 공급했다. 모든 식이요법은 유일한 탄수화물로서, 수크로오스와 25% 지방(라드 + 대두 오일), 및 표시된 단백질을 유일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포함했다. 그룹 1에는 상기 식이요법을 6주간 무제한으로(ad libitum) 지속적으로 공급했다.
그룹 2-8에는 6주간 제한된 식이요법(원하는 에너지 섭취량의 70%)을 제공했다. 그룹 2에는 우유 카세인으로부터의 단백질 및 CaCO3로부터 유래된 칼슘 0.4%를 포함하는 저 칼슘 식이요법(카세인/0.4% 칼슘)을 유지시켰다.
그룹 3-6에는 고 칼슘, 에너지 제한 식이요법을 지속시켰다. 그룹 3에는 대부분은 우유로부터 유래되고, 일부는 CaCO3로부터 유래된 1.2% 칼슘을 갖는 분유를 포함하는 탈지 분유(non-fat dry milk)/1.2% 칼슘을 유지시켰다. 그룹 4는 신선한 유청으로부터 유래된 단백질과 대부분은 유청으로부터 유래되고 미량은 CaCO3(예를 들면, PROTARMOR)로부터 유래된 칼슘을 포함하는 유청 단백질 분리물/1.2% 칼슘으로 유지시켰다.
그룹 5는 카세인으로부터 유래된 단백질 및 CaCO3로부터 유래된 1.2% 칼슘을 포함하는 카세인/1.2% 칼슘으로 유지시켰다. 그룹 6은 대두로부터 유래된 단백질 및 CaCO3로부터 유래된 1.2% 칼슘을 포함하는, 대두 단백질 분리물/1.2% 칼슘으로 유지시켰다.
그룹 7 및 8은 고 칼슘(1.2%), 에너지 제한 식이요법을 지속시켰다. 그룹 7 은 1.2% 칼슘 및, 유청-유래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억제제(예를 들면, VITALARMOR) 불포함의 카세인으로부터 유래된 단백질을 포함하는 유청 미네랄 분리물을 이용했다. 그룹 8은 유청-유래 ACE-억제제(예를 들면, BIPRO)를 포함한 신선한 유청 미네랄 분리물을 이용했다.
6주 동안, 체중, 음식물 섭취량 및 심부 체온(core temperature)을 주별로 측정하였다. 6주의 종료 시에, 지방 패드 매스, 지방세포의 세포내 Ca2 +([Ca2 +]i), 지방산 신타아제 발현 및 활성 및 지방 분해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심부 체온은 열전대(thermocouple)를 사용하여 간접적인 대사 지표로서 주별로 모니터링하였고, 절식 상태(fasting)의 인슐린(방사성면역분석법을 통해), 렙틴(방사성면역분석법을 통해), 및 글루코오스(글루코오스 옥시다아제를 통해) 수준을 기준시점(baseline) 및 2주차와 6주차에 평가하였다. 연구의 종료 시에, 모든 마우스를 이소플루란 마취 하에 희생시키고 내장 지방 축적부위(visceral fat depot)를 절제하고 그룹들 간에 지방 축적량을 비교하기 위해 중량을 측정하고 쿨터 카운터(Coulter Counter) 방법을 통해 지방세포의 크기 및 수를 평가하였다. 그 후, 지방 조직의 분량(aliquot)을 뒤이은 유전자 발현의 연구를 위해 액체 질소로 즉시 동결시켰다. 다른 지방 조직 분획들은 지방산 신타아제 활성, 기본(basal) 지방분해 및 포스콜린(forkolin)-촉진 지방분해 및 세포내 Ca2 +의 결정을 위해 즉시 이용하였다.
결과
도 9는 고 칼슘 우유 그룹 3의 마우스 및 신선한 유청 단백질 분리물 그룹 의 마우스가 가장 유의성 있고, 실질적인 체중 변화를 가졌고, 뒤이어 고 칼슘 그룹이 큰 체중 변화를 가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고 칼슘 카세인 그룹 5, 대두 그룹 6, 고 칼슘 유청 미네랄 그룹 7 및 유청 미네랄/ACE 그룹 8은 우유 또는 유청 단백질 분리물보다 적으나, 저 칼슘 그룹 2보다는 큰 체중 변화를 가졌다. 최소량의 체중 변화는 무제한(Ad Lib) 그룹 1에서 관찰되었다.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제한 그룹 1의 마우스는 다른 칼슘 함유 그룹들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의 지방 패드 매스를 가졌다. 최소량의 지방 패드 매스는 고 칼슘 우유 그룹 3 및 유청 단백질 분리물 그룹 4 및 뒤이어 유청 미네랄/ACE 그룹 8에서 관찰되었다. 고 칼슘 카세인 그룹 5, 고 칼슘 대두 그룹 6 및 고 칼슘 유청 미네랄 그룹 7은 그룹 3, 4 또는 8보다 많으나, 저 칼슘 그룹 2보다는 적은 지방 패드 매스를 가졌다.
도 11에서, 고 칼슘 우유 그룹 3 및 신선한 유청 단백질 분리물 그룹 4가 가장 큰 비복근 매스를 가졌고, 뒤이어 무제한 그룹 1(또한 높은 체중 및 지방을 가짐) 및 저 칼슘 그룹 2, 고 칼슘 카세인 그룹 5, 대두 그룹 6, 고 칼슘 신선한 유청 미네랄 그룹 7 및 신선한 유청 미네랄/ACE 그룹 8의 순서였다. 따라서, 신선한 유청 단백질 분리물은 낮은 비만도와 높은 근육량을 조화시켜, 근육량(lean body mass)에 대해 최적의 체질량 관리를 제공하였다.
표 3은 이 결과들을 요약한다.
Figure 112007079663664-PCT00003
1=무제한 2=저칼슘 3=우유 4=신선한 유청 단백질 5=카세인 6=대두 7=신선한 유청 미네랄 8=신선한 유청 미네랄/ACE
검토 및 결론
전반적으로, 이 데이터는 칼슘 및 유제품이 모두 열량 제한 동안 체중 및 지방 감소를 가속화시키며, 유제품이 훨씬 더 큰 효과를 발휘한다는 이전의 발견사항을 확인한다. 놀랍게도, 신선한 유청 제품은 탈지 분유와 동등한 효과를 발휘하고,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신선하지 않은 유청 단백질보다 탁월했다. 신선한 유청 유래의 ACE 억제제는 또한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신선하지 않은 유청 물질의 ACE 억제제보다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우유의 "항-비만" 인자들은 주로 신선한 유청 분획에서 발견된다. 저 칼슘 식이요법을 적용받은 동물들은 인간에서 식이요법 동안 일어나는 근육량의 감소와 유사하게, 열량 제한 동안 상당한 양의 근육량을 잃었다. 그러나, 신선한 유청-함유 식이요법은 근육의 감소를 완전히 방지하고 실제로 열량 제한에도 불구하고 우유에서 달성되는 것과 유사한, 근육의 적절한 증가를 유발했다. 이 효과는 신선한 유청 및 우유-기반 식이요법에 특이적이며, 이는 다른 고 칼슘 식이요법 중 어느 것도 근육에 대해 그와 같은 보호 효과를 발휘하지 않았기 때 문이다.
유청에서 유래된 미네랄 혼합물(mineral mix)은 보충성 칼슘보다 더 큰 항-비만 활성을 발휘하지 않았다. 신선한 유청-유래 ACE 억제제를 유청-유래 미네랄 혼합물에 첨가하면, 지방 감소가 유의성있게 증가되었으나, 완전한 우유 및 신선한 유청이 지방 감소를 촉진하는데 있어서 훨씬 더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의 발견사항은 신선한 유청이 보충성 칼슘보다 훨씬 더 큰 항-비만 효과를 발휘하고, 우유의 실질적으로 모든 "항-비만" 활성이 신선한 유청 분획에서 발견된다는 것을 확인한다. 칼슘은 이 효과에 대해 명확하게 부분적으로 기여하며, 본 연구의 데이터는 추가적인(비-칼슘(non-calcium) 관련) 활성의 부분이 신선한 유청-유래 ACE 억제제에 기인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유제품의 전반적인 효과는 주로 신선한 유청에서 발견되는 유제품의 복수의 성분들 간의 상승적 효과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고; 결과적으로, 유제품의 분리된 성분들은 완전한(신선한, 안정된) 유청 제품 및/또는 유제품의 항-비만 효과를 재현할 것 같지 않다. 또한, 신선한 유청 단백질 및 펩티드 제제에 존재하는 항-비만제는 일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유청 제제에서 분명히 분해되거나, 결여되거나 또는 이용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신선한 유청은 체질량 관리를 위한 유제품 성분으로서 예상치않게 유리하다. 저 칼슘 기초 식이요법(low calcium basal diet)에 의한 에너지 제한이 체중(p<0.01) 및 체지방(p<O.OOl)의 예측가능한 감소를 생성했으나, 양자 모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 칼슘 식이요법에 의해 유의성 있게 강화되었다. 본 발명자들의 이전의 발견과 일치하여, 칼슘 공급원으로서 탈지분유의 이용은 이 항-비만 효과의 유의성 있고 실질적인 증가를 초래했고(도 9 및 도 10); 또한 신선한 유청은 칼슘의 항-비만 효과를 증가시키는데 있어서 탈지분유 만큼 효과적이었고, 이는 유제품의 비-칼슘 항-비만 효과의 대부분 또는 전부는 신선한 유청에서 유래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유청-유래 미네랄 혼합물을 이용하여 칼슘 섭취를 증가시키는 것은 실시예 1에서 비만을 감소시키는 데 있어서 우유 또는 탄산칼슘만큼 효과적이지 않았고, 이는 저 칼슘 식이요법에 비해 총 지방 패드 매스에 대한 효과를 거의 생성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유청-유래 미네랄 혼합물의 가공으로부터 유발되어, 감소된 생체이용률을 초래한 변형(anomaly)인 것으로 의심되었다. 결과적으로, 실시예 2에서, 두 개의 상이한 유청-유래 미네랄의 공급원을 사용하였고(또 다른 배치(batch)의 TRUECAL 및 일 배치의 VITALARMOR 포함) 양자는 탄산칼슘에 의한 항-비만 효과와 유사하나, 그보다 크지 않은 항-비만 효과를 생성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상이한 입자 크기(10 마이크론 미만 또는 초과)의 유청-유래 미네랄 제제를 비교하였다. 이 인자는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a) 원래의 발견사항이 변형이었고, (b) 유청에 함유된 미네랄의 "패키지(package)"는 체중 및 지방 감소를 강화하는데 있어서 분리된 칼슘보다 더 효과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유청의 비-미네랄 성분들이 항-비만 효과에 기여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성분들 중 하나는 유청 유래 ACE 억제 활성인 것으로 보이며, 이는 유청-유래 ACE 억제제를 고 칼슘 식이요법에 첨가하는 것은 지방 감소의 추가적인 증가를 가져왔기 때문이다(도 10).
그러나, 유청-유래 ACE 억제제를 유청-유래 미네랄 혼합물에 첨가하는 것은 지방 감소를 유의성 있게 증가시켰으나, 우유 및 신선한 유청이 더 효과적이었다. 이는 두 가지 가능성을 시사한다. 하나의 가능성은 추가적인 활성을 제공하는 유청의 추가적인 특정한 별개의 성분이 있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의 가능성은 칼슘 및 ACE 억제제가 유제품의 항-비만 효과의 일부에 기여하나, 유제품의 전체 효과는 신선한 유청에서 발견되는 복수의 성분들 간의 상승적 효과로부터 초래되는 것으로 보인다. 만약 후자의 경우라면, 유제품의 분리된 성분들은 신선한 유청 단백질과 같은 완전한 유제품의 항-비만 효과를 재현할 것 같지 않다.
도 11은 골격 근육량에 대한 식이 치료법의 효과를 요약한다. 예상된 바와 같이, 저 칼슘 식이요법에서의 에너지 제한에 의해 골격근 매스의 감소가 있었고, ACE 억제와 함께 또는 ACE 억제 없는 칼슘(탄산칼슘 또는 유청-유래 미네랄 믹스)의 첨가는 이 감소를 변형하거나 약화시키지 않았다. 대조적으로, 우유 및 신선한 유청-기반 식이요법은 에너지 제한 동안 비복근 매스의 감소를 완전히 방지했고 실질적으로, 무제한 공급 동물에 비해, 미약하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p<0.01) 증가를 가져왔다. 이 데이터는 유제품-기반 식이요법이 지방조직으로부터 골격근으로의 식이 에너지의 재분배를 촉진하여, 지방 조직이 감소되면서, 근육량의 보존 및/또는 개선을 가져왔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시예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완전한 우유 및 신선한 유청은 완전한 항-비만 효과 및 골격근 보존 효과를 생성했다. 이론에 의해 한정될 의도 없이, 신선한 유청 및 완전한 우유 내의 분지쇄(branched chain) 아미노산은 골격근 매스의 이와 같은 보존에 기여할 수 있다.
칼슘과 유제품 식품이 지방세포의 기능을 조절하고 그에 의해 비만 위험을 변화시킬 수 있는 다수의 메카니즘이 있다. 예를 들면, 저 칼슘 식이요법에 대응하여 생산된 증가된 칼시트리올(calcitriol)은 지방세포의 [Ca2 +]i 유입(influx)을 촉진하고, 이는 증가된 지방 생성 및 감소된 지방 분해를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지방세포 트리글리세리드의 저장의 확장을 초래한다. 대조적으로, 보다 높은 칼슘 식이요법은 마우스에서 지방 생성을 억제하고, 지방 분해, 지방 산화 및 열발생을 촉진하고, 식이요법-유도 비만증을 억제한다. 또한, 칼리트리올은 지방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언커플링(mitochondrial uncoupling) 및 아폽토시스를 억제하여, 저 칼슘 식이요법에서 에너지 저장의 효율 증가를 초래하고, 반면에 보다 높은 함량의 칼슘 식이요법에서는 보다 큰 지방세포 언커플링 및 아폽토시스가 관찰된다. 본 실시예의 결과는 이와 같은 결론들을 지지한다. 모든 고 칼슘 식이요법은 지방세포의 세포내 칼슘을 294 ± 46 nM 에서 118 ± 34 nM로 감소시켰고(p<0.0001), 식이 칼슘의 공급원들 간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모든 고 칼슘 식이요법은 저 칼슘 다이어트 대비 지방조직 지방산 신타아제 유전자 발현을 42% 감소시켰고(p<0.001), 반면에, 신선한 유청 및 우유-기반 식이요법은 추가적인 54%의 억제를 가져왔다(고 칼슘 대비 p<0.001). 또한, ACE 억제제의 고 칼슘 식이요법으로의 첨가는 유사한 효과를 생성했으나(고 칼슘에서 관찰되는 것보다 47% 더 높은 억제; 고 칼슘 대비 p<0.001; 우유 또는 신선한 유청과 유 의성 있게 상이하지 않음), 이는 칼슘 대비 유제품에 의한 지방산 신타아제의 추가적인 억제는 주로 유제품 식품에서 ACE 억제 활성의 존재 때문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지방 조직 UCP2 발현은 우유 및 신선한 유청 기반 식이요법에 의한 추가적인 35% 촉진(p<0.01)과 함께, 고 칼슘 다이어트에 의해 ~2배 증가되었고(p<0.001), 반면에, ACE 억제제는 효과가 없었다. 골격근에서, 고 칼슘 식이요법은 PPARα 발현에 대해 유의성 있는 효과가 없었으나; 우유 및 신선한 유청 식이요법은 2배보다 높은(>2-fold) 촉진(모든 다른 식이요법 대비 p<0.01)을 유도했고, 이는 이용가능한 식이 에너지의 지방 조직에서의 저장으로부터 골격근에서의 산화로의 재분배에서의 유제품의 역할을 더 지지한다.
표 4는 이와 같은 분자생물학 결과를 요약한다.
Figure 112007079663664-PCT00004
1=무제한 2=저칼슘 3=우유 4=신선한 유청 단백질 5=카세인 6=대두 7=신선한 유청 미네랄 8=신선한 유청 미네랄/ACE
요약하면, 신선한 유청-유래 ACE 억제제를 섭취하는 것은 적어도 지방 조직 지방산 신타아제의 경우, 미네랄 칼슘만 함유하거나 또는 저 칼슘을 함유한 식이요법보다 탁월한 대사 효과를 제공하고, 신선한 유청 및 우유는 다른 유전자 발현 척 도의 측면에서 탁월한 결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는 우유의 추가적인(비-칼슘) 항-비만이 주로 또는 배타적으로 유청 분획에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유청의 ACE 억제 활성이 이 생물활성에 기여하나, 다른 인자들이 이를 강화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또는 상승적으로 작용해야 하며, 이는 칼슘과 ACE 억제제의 배합은 우유 또는 신선한 유청보다 훨씬 덜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칼슘은 유제품의 부재 시에 제한된 항-비만 생물활성을 발휘하나, 이는 이 마우스 모델에서 체중 감소를 위한 에너지 제한 동안 골격근의 감소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지 못하고, 반면에 우유 및 신선한 유청은 이 손실로부터 보호하며 지질 산화의 마커인 골격근 PPARα를 촉진한다. ACE 억제는 여기에서 역할을 갖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분지쇄 아미노산의 높은 농도가 주로 이 효과에 기여하는 것으로 제안된다.
전술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필수적인 특징들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원리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다양한 용도 및 조건으로 개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변경 및 수정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인 설명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전술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을 완전히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전술된 대표적인 특정한 구체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명세서의 나머지 개시 사항들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이전 및 이후 및 도면에서 인용된 모든 출원, 특허 및 공보물의 전체 개시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1. Zemel, M.B. (2002) Regulation of adiposity and obesity risk by dietary calcium: mechanisms and implications. J Am Coll Nutr 21 : 146S-15 IS
2. Shi, H., Norman, A.W., Okamura, W.H., Zemel, M.B. (2002) l[alpha],25-dihydroxyvitamin D3 inhibits uncoupling protein 2 expression in human adipocytes. FASEB J 16:1808- 1810 (expanded version on-line: FASEB J 10.1096/fj.02-0255fje, published on-line September 5, 2002)
3. Zemel, M.B. (2002) Calcium, dairy products and weight control. Sciences de Aliments 22:451-458.
4. Zemel, M.B. (2003) Mechanisms of dairy modulation of adiposity. Journal of Nutrition 133:252S-256S.
5. Sun, X. and Zemel, M.B. (2003) Effects of mitochondrial uncoupling on adipocyte intracellular Ca2 + and lipid metabolism. J Nutr Biochem 14:219-226.
6. Zemel, M.B. (2003) The metabolic shift: Role of dietary calcium and dairy products in modulating adiposity. Lipids 38:139-146.
7. Zemel, M. (2003) Calcium modulation of adiposity. Obesity Research 11 :375-376.
8. Ha, E., and Zemel, M.B. (2003) Functional properties of whey, whey components, and essential amino acids: Mechanisms underlying health benefits for active people. J Nutr Biochem 14:251-258.
9. Zemel, M.B., Thompson, W., Milstead, A., Morris, K., Campbell, P. (2004) Calcium and dairy acceleration of weight and fat loss during energy restriction in obese adults. Obesity Research 12:582-590.
10. Zemel, M.B. and Miller, S.L. (2004) Dietary calcium and dairy modulation of adiposity and obesity risk. Nutrition Rev 62:125-131.
11. Zemel, M.B. (2004) Role of calcium and dairy products in energy partitioning and weight management. Am J Clin Nutr 79:907s-912s.
12. Sun, X. and Zemel, M.B. (2004) Role of uncoupling protein 2 (UCP2) expression and lα, 25-Dihydroxyvitamin D3 in modulating adipocyte apoptosis. FASEB J 18:1430- 1432.
13. Sun, X. and Zemel, M.B. (2004) Calcium and dairy inhibit weight and fat regain during ad libitum consumption following energy restriction in aP2-agouti transgenic mice. J Nutr 134:3054-3060.
14. Morris, K.L. and Zemel, M.B. (2005) Effect of dietary carbohydrate source on the development of obesity in agouti transgenic mice. Obesity Res (in press)
15. Zemel, M.B., Richards, J., Mathis S., Milstead A., Gebhardt L. and Silva E. (2005). Dairy augmentation of total and central fat loss in obese subjects. Int J Obesity (in press).
16. Zemel, M.B., Zemel, P., Nocton, A-M, Milstead, A., Morris, K. Campbell, P. (2002) Dietary Calcium and Dairy Products Accelerate Weight and Fat Loss During Energy Restriction in Obese Adults. Am J Clin Nutr 75(2S):342S.
17. Zemel, M.B., Morgan, K. (2002) Interaction Between Calcium, Dairy and Dietary Macronutrients in Modulating Body Composition in Obese Mice. FASEB J 301.6.
18. Sun, X., Zemel, M.B. (2002) Effects of Mitochondrial Uncoupling on Adipocyte Intracellular Ca2 + and Lipid Metabolism. FASEB J 463.7.
19. Shi, H., Norman, A. W., Okamura, W.H., Zemel, M.B. (2002) l[alpha],25-Dihydroxyvitamin D3 (l[alpha],25-(OH)2-D3) Inhibits Uncoupling Protein 2 Expression in Human Adipocytes. FASEB J 463.8.
20. Zemel, M.B., Nocton, A.M., Richards, J., Milstead, A., Gebhardt, L. Campbell, PJ. (2002) Increasing dairy calcium intake reduces adiposity in obese African-American adults. Circulation 106 (suppl 2) 11-610.
21. Zemel, M.B., Nocton, A.M., Richards, J.D., Russell, S. M., Milstead, A.M., Gebhardt, L.P. (2003) Dairy (yogurt) augments fat loss and reduces central adiposity during energy restriction in obese subjects. FASEB J. A1088:679.3.
22. Zemel, M.B., Sobhani, T. (2003) Intracellular calcium modulation of Cortisol production in human adipocytes. FASEB J. A323: 198.3.
23. Sun X., Zemel, M.B. (2003) Calcium and dairy inhibition of weight and fat regain during ad libitum feeding following energy restriction in aP2-agouti transgenic mice. FASEB J. A746:453.6.
24. Causey, K.R., Zemel, M.B. (2003) Dairy augmentation of the anti-obesity effect of Ca in aP2-agouti transgenic mice. FASEB J. A746:453.7.
25. Truett, G.E., Dubbs, T.M., Urs, S.K., Moustaid-Moussa, N., Zemel, M.B. (2003) Gene expression in inguinal adipose tissue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the onset of hyperphagia in fatty rats. FASEB J. A274: 177.1.
26. Sun, X., Zemel, M.B. (2003) Role of uncoupling protein 2 (UCP2) expression and l[alpha],25-Dihydroxyvitamin D3 in modulating adipocyte apoptosis. Obesity Res. 11 :A37.
27. Zemel, M.B., Teegarden, D., Van Loan, M., Schoeller, D.A., Matkovic, V., LyIe R.M., Craig, B.A. (2004) Role of dairy products in modulating weight and fat loss: A multi-center trial. FASEB J 18:abstract 566.5.
28. Melanson, EJL., Ida, T., Donahoo, WX, Zemel, M.B., Hill, J.O. (2004) The effects of low- and high-dairy calcium diets on resting energy expenditure and substrate oxidation. FASEB J 18:abstract 566.6.
29. Morris, K.L., Miller, S.L., Zemel, M.B. (2004) Calcitriol regulation of 11-3 hydroxysteroid dehydrogenase 1 (11-[Xi]-HSD1) and angiotensin II receptor 1 (ATI) expresson in human adipocytes. FASEB J 18:abstract 585:11.
30. Radak, T.L., Gertz, E., Zemel, M.B., Teegarden, D., LyIe, R., Craig, B., Matkovic, V., Van Loan, M.D. (2004) Effect of caloric restriction o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turnover in overweight individuals with differing calcium intake levels. FASEB J 18:abstract 612.1.
31. Sun, X. and Zemel, M.B. (2004) Reactive oxygen species stimulate cell proliferation and down-regulate UCP expression in 3T3-L1 adipocytes. Obesity Res 12:A21
32. Morris, K. and Zemel, M.B. (2004) Interactive effects of calcitriol and Cortisol in regulation of human adipocyte metabolism. Obesity Res 12:A31.

Claims (27)

  1. 칼슘을 함유한 신선한 유청 제품의 유효량을 체중을 조절하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상기 개체에서 체중 및/또는 지방 감소를 유도하고, 체중 및/또는 지방 증가를 방지하며, 및/또는 지방 조직의 대사 소비를 증가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근육량(muscle mass)을 유지하고 및/또는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선한 유청 제품은 상기 개체에서 체중 및/또는 지방 감소를 유도하고, 체중 및/또는 지방 증가를 방지하며, 지방 조직의 대사 소비를 증가시키고, 및/또는 근육량을 유지하기 위해 우유만큼 효과적인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열량 제한 식이요법(caloric restricted diet)을 유지하는 것인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육은 사지에서 유지되는 것인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육은 골격근인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된 신선한 유청 제품은 선택적으로 지방 패드 매스, 복부 지방, 신장주위 지방 또는 견갑하(subscapular) 지방 및 그의 조합의 감소를 유도하는 것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선한 유청 제품은 근육량의 증가를 유도하는 것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선한 유청 제품은 유청-유래 단백질 분리물(isolate) 또는 유청-유래 미네랄 분획 + 유청-유래 효소-억제 펩티드 분획, 및/또는 그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청-유래 단백질 분리물은 우혈청 알부민, 알파-락토글로불린, 베타-락토글로불린, 카파-카세인, 락토페린, 락토퍼옥시다아제, 및/또는 면역글로불린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청-유래 미네랄 분획은 칼슘, 구리, 마그네슘, 인, 칼륨, 셀레늄, 아연 및/또는 그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청-유래 미네랄 분획은 칼슘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선한 유청 제품은 유제품을 강화하는 것인 방법.
  14. 제13에 있어서, 상기 유제품은 우유, 요구르트 또는 치즈인 것인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선한 유청 제품은 효소-억제 펩티드 분획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억제 펩티드 분획은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 억제 펩티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선한 유청 제품은 분말의 제형인 것인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선한 유청 제품은 영양 또는 식이 조성물 또는 보충물에 내포되는 것인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선한 유청 제품은 식품 제품에 내포되는 것인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제품은 음료인 것인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제품은 산성 쥬스 음료, 산성 음료, 중성 pH 음료, 영양 보충 식료품, 제과 제품, 유제품, 제빵 제품 및 곡물(farinaceous) 제품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선한 유청 제품 조성물은 정제, 캡슐의 제형이거나 또는 다른 미네랄 및/또는 비타민과 조합된 것인 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선한 유청 제품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에 의해 고혈압, 뇌졸중, 비만증, 신장결석, 결장암, 유방암, 두경부암, 월경전 증후군, 산후 우울증, 임신 중독증, 타입-2 당뇨병, 우울증, 천식, 염증성 장 질환, 주의력 결핍 장애, 편두통, 신장질환, 고콜레스테롤혈증, 울혈성 심부전, 및 면역결핍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치료하는 것인 방법.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선한 유청 제품은 비만증을 치료하기 위해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되는 것인 방법.
  25. 유청-유래 미네랄 분획, 유청-유래 단백질 분리물, 및 유청-유래 효소-억제 펩티드 분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둘 이상의 체중 조절 성분을 포함하는 신선한 유청 제품의 치료적 유효량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상기 개체에서 체중 및/또는 지방 감소를 유도하고, 체중 및/또는 지방 증가를 방지하고, 및/또는 지방 조직의 대사 소비를 증가시키는 것인 체중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근육량을 유지하고 및/또는 근육량의 증가를 유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27. 개체에서 체중 및/또는 지방 감소를 방지하고, 및/또는 지방 조직의 대사 소비를 증가시키면서 근육량을 유지하고 및/또는 증가시키는 유효량의 유청 제품을 섭취하는 효과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 패키지에 담긴, 유청-유래 미네랄 분획, 유청-유래 단백질 분리물, 및 유청-유래 효소-억제 펩티드 분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포함하는 신선한 유청 제품의 치료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체중 관리 조성물.
KR1020077025747A 2005-04-11 2006-04-11 지방 감소에 효과적인 안정된 유제품 성분 KR200800074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6988205P 2005-04-11 2005-04-11
US60/669,882 2005-04-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450A true KR20080007450A (ko) 2008-01-21

Family

ID=3708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5747A KR20080007450A (ko) 2005-04-11 2006-04-11 지방 감소에 효과적인 안정된 유제품 성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90053199A1 (ko)
EP (1) EP1888086A4 (ko)
JP (1) JP2008535919A (ko)
KR (1) KR20080007450A (ko)
CN (1) CN101193647A (ko)
AU (1) AU2006235407B2 (ko)
CA (1) CA2604344A1 (ko)
MX (1) MX2007012699A (ko)
WO (1) WO200611073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77793A1 (en) * 2010-03-23 2012-07-12 Mattson Peter H Low-calorie milk product
CN103687501B (zh) * 2011-07-22 2016-01-20 味之素株式会社 肉质改善剂
CN115486545A (zh) * 2022-09-16 2022-12-20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低BCAAs减重增肌营养粉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8601A (en) * 1972-03-06 1981-11-03 Technutra, S.A. Method and formulation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US4081555A (en) * 1976-06-09 1978-03-28 Roger Marten Preservation of whey
US4497836A (en) * 1982-08-06 1985-02-05 Dairy Technology Ltd. Modified whey product and process including ultrafiltration and demineralization
CA1200416A (en) * 1983-05-13 1986-02-11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Food process
US4833128A (en) * 1984-12-28 1989-05-23 Neil Solomon Dietary supplement
JPH03251543A (ja) * 1990-02-26 1991-11-11 Unitika Ltd アンジオテンシン変換酵素阻害剤
DE69124274T2 (de) * 1990-02-27 1997-08-14 Agency Ind Science Techn Oligopeptide, sie enthaltende pharmazeutische und Futterzusammensetzung und Benützung von Oligopeptiden
JP2976349B2 (ja) * 1990-11-29 1999-11-10 雪印乳業株式会社 k―カゼイングリコマクロペプチドの製造法
JP2920427B2 (ja) * 1991-01-21 1999-07-19 雪印乳業株式会社 κ−カゼイングリコマクロペプチドの製造法
JPH04262762A (ja) * 1991-02-18 1992-09-18 Terumo Corp 食品用組成物、過食防止用食品および食品用組成物の製造方法
JPH06165655A (ja) * 1992-06-26 1994-06-14 Meiji Milk Prod Co Ltd コレステロール低減用組成物
JP2782142B2 (ja) * 1992-07-23 1998-07-30 カルピス株式会社 アンジオテンシン変換酵素阻害剤及びその製造法
US5625032A (en) * 1993-07-21 1997-04-29 Amylin Pharmaceuticals, Inc. Selective amylin antagonist peptides and uses therefor
US5855949A (en) * 1994-01-10 1999-01-05 Mclean; Linsey Dietary system high in oil intake
US5484623A (en) * 1994-01-10 1996-01-16 Mclean; Linsey Dietary system high in oil intake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d for the lowering of saturated fats
US5683725A (en) * 1995-05-25 1997-11-04 Biofrontiers, Inc. Modulation of substance P by compounds containing calcium sulfate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US5739106A (en) * 1995-06-07 1998-04-14 Rink; Timothy J. Appetite regulating compositions
FI120290B (fi) * 1996-12-30 2009-09-15 Mirador Res Oy Ltd Menetelmä, jonka avulla voidaan valmistaa sellaisia mausteseos-, ruoan ainesosa- ja elintarvikekoostumuksia, jotka alentavat seerumin kolesterolia
EP1024801B1 (en) * 1997-10-31 2004-06-23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Method for regulating size and growth of vascularized normal tissue
US6106874A (en) * 1998-11-18 2000-08-22 Abbott Laboratories Calcium fortified juice-based nutritional supplement and process of making
US6558716B1 (en) * 1999-01-14 2003-05-06 Kraft Foods Holdings, Inc. Process for incorporating whey protein into cheese
CA2360065A1 (en) * 1999-01-22 2000-07-27 Hunza Di Maria Carmela Marazzita S.A.S. Lipoprotein complexe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6312755B1 (en) * 1999-07-16 2001-11-06 Ampc Whey treatment process for achieving high concentration of α-lactalbumin
AU779377C (en) * 1999-07-27 2005-06-30 Kemin Consumer Care, L.C. Composition for extending post meal satiety
US6403657B1 (en) * 1999-10-04 2002-06-11 Martin C. Hinz Comprehensive pharmacologic therapy for treatment of obesity
US6207638B1 (en) * 2000-02-23 2001-03-27 Pacifichealth Laboratories, Inc. Nutritional intervention composition for enhancing and extending satiety
US6827954B2 (en) * 2000-04-12 2004-12-07 Mid-America Commercialization Corporation Tasty, convenient, nutritionally balanced food compositions
US7704979B2 (en) * 2000-09-01 2010-04-27 The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Foundation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obesity
US6384087B1 (en) * 2000-09-01 2002-05-07 University Of Tennesseee Research Corporation, Inc.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obesity
GB2381451A (en) * 2001-11-01 2003-05-07 New Technology Res Ltd Pharmaco-dietary preparation having nutrition-supplementing and nutrition-enhancing effect
ES2291406T3 (es) * 2001-11-26 2008-03-01 Nestec S.A. Composicion nutritiva auto-estable, que contiene proteina de suero lacteo, intacta,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y uso.
US20030118662A1 (en) * 2001-12-05 2003-06-26 Glanbia Foods, Inc. Therapeutic uses of milk mineral fortified food products
US7790670B2 (en) * 2002-03-01 2010-09-07 Glanbia Nutritionals (Ireland)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body weight conditions
US20030165574A1 (en) * 2002-03-01 2003-09-04 Ward Loren Spence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body weight conditions
DE60310934T2 (de) * 2002-07-01 2007-10-11 Unilever N.V. Zusammensetzung, die ein sättigungsgefühl hervorruft
US20040077530A1 (en) * 2002-10-18 2004-04-22 Robert Portman Composition for reducing caloric intake
JP4316234B2 (ja) * 2002-12-17 2009-08-19 オルビス株式会社 ダイエット用の食品
US6703191B1 (en) * 2003-01-14 2004-03-09 Eastman Kodak Company Thermally developable emulsions and materials containing tirazine-thione compounds
US7399496B2 (en) * 2003-02-07 2008-07-15 Glanbia Nutritionals (Ireland) Limited Hydrolyzed whey protein compositions
US6861073B2 (en) * 2003-04-11 2005-03-01 Paul Ling Tai Dysfunctional satiety center syndrome and method of treatment therefor
BRPI0508181A (pt) * 2004-04-02 2007-08-07 Univ Tennessee Res Foundation componentes de laticìnio eficazes para a perda de gordu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8086A4 (en) 2009-09-16
MX2007012699A (es) 2008-01-11
AU2006235407B2 (en) 2011-02-24
JP2008535919A (ja) 2008-09-04
CA2604344A1 (en) 2006-10-19
EP1888086A2 (en) 2008-02-20
WO2006110731A2 (en) 2006-10-19
AU2006235407A1 (en) 2006-10-19
US20090053199A1 (en) 2009-02-26
CN101193647A (zh) 2008-06-04
WO2006110731A3 (en)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1459B2 (ja) 乳鉱物およびカゼイン分画を用いる体重状態の治療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US7790670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body weight conditions
EP2219478B1 (en) Method of producing egg yolk based functional food product and products obtainable thereby
US20100022451A1 (en) Use of infant formula with reduced protein content
JP2005522230A (ja) 食品の栄養含量を高めるための組成物
US20070172474A1 (en) Dairy components effective for fat loss
AU2006235407B2 (en) Stable dairy components effective for fat loss
US2007012825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body weight conditions
WO2019139032A1 (ja) 癌患者筋肉量減少抑制組成物
ES2260500T3 (es) Productos alimenticios ricos en mentionina modificados y procesos para su fabricacion.
JP2952300B2 (ja) 栄養改善組成物及び経口栄養改善剤
Mc Donagh et al. Milk and dairy products for better human health
Wierzbicka Vitamin D fortification in dairy products–possibilities to improve vitamin D intake®
Korpela et al. Functional dairy products-the Nordic perspective
Upadhay et al. In Touch
Jamison Eggs: A Health F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