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660A - 자동으로 재발신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으로 재발신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660A
KR20080006660A KR1020060065629A KR20060065629A KR20080006660A KR 20080006660 A KR20080006660 A KR 20080006660A KR 1020060065629 A KR1020060065629 A KR 1020060065629A KR 20060065629 A KR20060065629 A KR 20060065629A KR 20080006660 A KR20080006660 A KR 20080006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terminal
time
redial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소정
강동한
신재관
오창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5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660A/ko
Publication of KR20080006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6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으로 재발신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신시,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를 인지하면 발신을 중지한 뒤, 다시 발신함으로써, 통화가 연결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재발신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아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를 인지할 경우, 사용자가 연결을 종료하고 다시 통화를 시도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자동적으로 재발신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재발신 한계 시간 또는 재발신 한계 횟수를 설정해두어, 재발신된 시간 또는 재발신된 횟수가 재발신 한계 시간 또는 재발신 한계 횟수 이상이면 발신이 종료됨으로써, 통화 연결이 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재발신하여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화 연결이 될 때까지 기지국에서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를 전송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계속적으로 재발신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재발신, 한계 시간, 한계 횟수, 발신, 휴대 단말기

Description

자동으로 재발신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METHOD FOR DIALING IN PORTABLE TERMINAL WHICH CAN AUTOMATICALLY REDIAL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화가 연결될 때까지 반복해서 자동으로 재발신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에서의 통화 연결 방법은 먼저, 휴대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발신 요청을 입력받으면, 먼저 발신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꺼져있지 않으면, 통화 연결음(ring back tone)이 수신된다. 이 과정에서 통화가 연결되면, 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대방이 부재중인 경우, 또는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 또는 전화가 온 것을 모르는 경우에는 통화가 연결되지 않는다. 이런 경우, 기지국은 발신자의 휴대 단말기로 수신자의 휴대 단말기에 통화 연결이 되지 않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를 인지하게되면, 연결을 끊은 뒤, 다시 통화를 시도한다. 이러한 경우, 통화 연결이 될 때까지 이러한 동작을 수차례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가 연결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재발신함으로써 연속적으로 통화를 시도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 재발신 기능을 설정하는 제1 과정; 발신 신호를 전송하는 제2 과정; 통화 연결음(ring back tone)을 확인하는 제3 과정; 및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를 인지하면, 상기 발신 신호의 전송을 중지하고, 상기 제2 과정으로 복귀시켜 통화가 연결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재발신되게 하는 제4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 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상대방 발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정에서, 재발신 한계 시간을 설정하는 한계 시간 설정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과정에서, 상기 재발신된 시간이 상기 설정된 재발신 한계 시간 이상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과정과; 상기 재발신된 시간이 상기 설정된 재발신 한계 시간 이상이면, 발신을 종료하는 종료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상대방 발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정에서, 재발신 한계 횟수를 설정하는 한계 횟수 설정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과정에서, 상기 재발신된 횟수가 상기 설정된 재발신 한계 횟수 이상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과정과; 상기 재발신된 횟수가 상기 설정된 재발신 한계 횟수 이상이면, 발신을 종료하는 종료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자동 재발신 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자동 재발신 기능 설정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제1 과정; 상기 자동 재발신 기능이 상기 기지국에 설정되는 제2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통화를 위한 발신 신호를 전송하는 제3 과정; 상기 통화 연결음을 확인하는 제4 과정; 및 상기 제4 과정에서 통화가 연결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재발신되게 하는 제5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단,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라는 용어는 기지국이 수신자의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꺼져있지 않은 경우에 통화 연결이 되지 않는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인 것을 의미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RF 부(101), 메모리부(103), 제어부(105), 키입력부(107), 및 오디오 처리부(109)의 통상적인 구성을 가진다.
RF 부(101)는 휴대 전화 통신, 단문 메시지 서비스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통신 및 데이터 통신 등과 관련된 일련의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RF 부(101)는 음성/음향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고,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음향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RF 부(10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부(103)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재발신 한계 시간 또는 재발신 한계 횟수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고, 최근 발신 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5)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05)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부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를 인지하면 발신을 중지하고, 통화 연결이 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저장된 최근 발신 번호로 발신 신호를 전송하여, 자동 재발신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키입력부(10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키입력부(107)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통화를 위해 휴대 단말기에 발신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메모리부(105)에 재발신 한계 시간 또는 재발신 한계 횟수 정보들을 저장하고, 자동 재발신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09)는 제어부(105)의 데이터 처리부의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0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통화 연결이 되었음을 알려주는 소리를 재생하거나, 재발신된 시간 또는 재발신된 횟수를 알려주는 소리를 재생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으로 재발신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은 먼저, 제어부(105)가 휴대 단말기에 자동 재발신 기능이 설정되 었는지 확인한다(201). 자동 재발신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키입력부(107)의 조작으로 제어부(105)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에 자동 재발신 기능이 설정된다(215).
다음으로, 제어부(105)는 발신 번호를 입력받는다(203). 여기서, 발신 번호의 입력은 키입력부(107)의 조작으로 통화를 위한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직접 누르거나, 폰북과 같은 메뉴에서 해당 전화 번호를 찾음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5)는 통화를 위해 그 발신 번호로 발신함과 동시에 메모리부(103)의 최근 발신 번호 목록에 발신 번호를 저장한다(205).
그 후에, 제어부(105)는 통화 연결음이 수신되는 지를 확인한다(207). 통화 연결음은 제어부(105)에 의해 스피커로 통화 연결음이 출력되어, 사용자는 신호가 가는지, 또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꺼져있는지 등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통화 연결음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즉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꺼져있는 경우는 제어부(105)가 발신을 종료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05)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209).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를 인지하면, 제어부(105)는 발신을 중지시킨다(211).
그리고 제어부(105)는 저장된 최근 발신 번호 목록에서, 발신 번호를 검색하여(213), 다시 발신 신호를 전송한다(205). 즉, 제어부(105)는 휴대 단말기를 자동으로 재발신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재발신은 통화가 연결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제어부(105)는 재발신된 시간 또는 재발신된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알려준다.
한편, 전술한 제어부(105)가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209),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를 인지하지 못하면, 제어부(105)는 통화 연결이 되었는지 확인한다(217). 통화 연결이 되면, 제어부(105)는 통화 연결이 되었음을 알리는 소리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고,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05)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통화를 한 뒤(219), 연결을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으로 재발신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은 발신시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를 인지하면 발신을 중지시키고, 통화가 연결될 때까지 반복하여 재발신한다. 따라서,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아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를 인지할 경우, 사용자가 연결을 종료하고 다시 통화를 시도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자동적으로 재발신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으로 재발신되는 휴대 단말 기의 발신 방법 및 그 발신 방법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발신 방법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의 기본적인 구성과 기능 및 그 발신 방법과 유사하지만, 재발신 한계 시간을 미리 설정해두고, 재발신 시간이 설정된 시간 이상이 되면 제어부가 발신을 종료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먼저, 제어부(105)가 휴대 단말기에 자동 재발신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301). 자동 재발신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105)에 의하여 자동 재발신 기능을 설정한다(319). 여기서, 자동 재발신 기능을 설정할 때, 재발신 한계 시간도 설정한다. 재발신 한계 시간은 자동 재발신 기능을 설정할 때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시간으로 조절하여 설정하거나, 또는 자동 재발신 기능을 설정하면 자동적으로 재발신 한계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05)는 발신 번호를 입력받고(303), 그 발신 번호로 발신함과 동시에 최근 발신 번호 목록에 발신 번호를 저장한다(305). 그리고 제어부(105)는 통화 연결음이 수신되는지 확인한다(307).
통화 연결음이 수신되면, 제어부(105)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309),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를 인지하면, 제어부(105)는 발신을 중지시킨다(311).
그 후에, 다시 발신된 시간, 즉 재발신 시간을 나타내는 변수 t와 자동 재발신 기능 설정 과정(301)에서 설정된 재발신 한계 시간을 제어부(105)가 비교한다(313).
재발신 시간 t가 설정된 재발신 한계 시간 미만이면 제어부(105)는 재발신 시간 t를 증가시키고(315), 저장된 최근 발신 번호 목록에서 발신 번호를 검색하여(317), 통화가 연결될 때까지 계속해서 재발신한다. 여기서, 제어부(105)는 재발신된 시간을 화면에 표시하고,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알려준다.
전술한 재발신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재발신 시간 t가 설정된 재발신 한계 시간 이상이 되면, 발신을 종료한다.
한편, 전술한 제어부(105)가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309),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를 인지하지 못하면, 제어부(105)는 통화 연결을 확인한다(321). 통화 연결이 되면, 제어부(105)는 통화 연결이 되었음을 알리는 소리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고,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05)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통화를 한 뒤(323), 연결을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적으로 재발신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은 재발신 한계 시간을 설정해두어 재발신된 시간이 재발신 한계 시간 이상이 되면 발신을 종료시킨다. 따라서, 자동적으로 재발신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통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일정 시간동안 계속적으로 재발신함으로써,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으로 재발신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 및 그 발신 방법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는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의 발신 방법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의 기본적인 구성과 기능 및 그 발신 방법과 유사하지만, 재발신 한계 횟수를 미리 설정해두고, 재발신 횟수가 상기 설정된 재발신 한계 횟수 이상이면 발신을 종료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먼저, 제어부(105)가 휴대 단말기에 자동 재발신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401). 자동 재발신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105)에 의하여 자동 재발신 기능을 설정한다(417). 여기서, 자동 재발신 기능을 설정할 때, 재발신 한계 횟수도 설정한다. 재발신 한계 횟수는 자동 재발신 기능을 설정할 때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시간으로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05)는 발신 번호를 입력받고(403), 그 발신 번호로 발신함과 동시에 최근 발신 번호 목록에 발신 번호를 저장한다(405). 그리고 제어부(105)는 통화 연결음이 수신되는지 확인한다(407).
통화 연결음이 수신되면, 제어부(105)는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409),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를 인지하면, 제어부(105)는 발신을 중지시킨다(411).
그 후에, 재발신 횟수를 나타내는 변수 i와 자동 재발신 기능 설정 과정(401)에서 설정된 재발신 한계 횟수를 제어부(105)가 비교한다(413).
재발신 횟수 i가 설정된 재발신 한계 횟수 미만이면 제어부(105)는 재발신 횟수 i를 증가시키고(415), 발신 신호 전송 상태로 다시 진입한 뒤, 저장된 최근 발신 번호 목록에서 발신 번호를 검색하여(417), 통화가 연결될 때까지 계속해서 재발신한다. 여기서, 제어부(105)는 재발신된 횟수를 화면에 표시하고,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알려준다.
전술한 재발신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재발신 횟수 i가 설정된 재발신 한계 횟수 이상이 되면, 발신을 종료한다.
한편,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를 인지하지 못하면, 제어부(105)는 통화 연결을 확인하여(421), 통화 연결이 되면, 제어부(105)는 통화 연결이 되었음을 알리는 소리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고,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05)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통화를 한 뒤(423), 연결을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으로 재발신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은 재발신 한계 횟수를 설정해두어 재발신된 횟수가 재발신 한계 횟수 이상이면 연결을 종료시킨다. 따라서, 자동적으로 재발신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통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일정 횟수동안 계속적으로 재발신함으로써,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으로 재발신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 및 그 발신 방법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는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발신 방법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의 기본적인 구성과 기능 및 그 발신 방법과 유사하지만, 통화 연결이 될 때까지 기지국에서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먼저, 제어부(105)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에 자동 재발신 기능을 설정하고(501), 제어부(105)는 자동 재발신 기능이 휴대 단말기에 설정되었다는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한다(503).
정보를 전송받은 기지국은 그 정보가 자동 재발신 기능 설정을 위한 정보인지 확인한 후(505), 그 정보가 맞으면, 기지국에도 자동 재발신 기능을 설정한다(507).
그리고 확인 과정에서(505), 확인된 정보가 휴대 단말기에 자동 재발신 기능이 설정되었다는 정보가 아니라면, 수신된 정보에 해당하는 타기능을 수행한다(525).
다음으로, 기지국은 자동 재발신 기능이 설정되었다는 정보를 휴대 단말기에 전송한다(509). 제어부(105)가 기지국에도 자동 재발신 기능이 설정되었음을 인지하면, 제어부(105)는 키입력부(107)에 의하여 발신 번호를 입력받고, 그 번호로 발신한다(511).
이어서, 제어부(105)가 발신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513), 기지국이 그 발신 신호를 수신하면(515), 기지국은 휴대 단말기에 통화 연결음을 전송한 다(517).
통화 연결음을 전송하는 중에, 기지국은 상대방 휴대 단말기에 통화 연결이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519), 통화 연결이 되지 않으면, 휴대 단말기로부터 발신 종료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521). 그리고 통화 연결이 되면, 기지국은 통화로 형성 신호를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고(527), 그 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105)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을 수행한다(529). 이 때, 통화 연결이 되면, 제어부(105)는 통화 연결이 되었음을 알리는 소리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고,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발신 종료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521)에서 발신 종료 신호가 수신되면,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05)가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의 연결 종료를 요청한 것이므로, 기지국도 연결을 종료한다(531). 발신 종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기지국은 다시 통화 연결음을 전송하여(517), 통화가 연결될 때까지 계속해서 재발신한다.
여기서, 전술한 기지국에 자동 재발신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507)에서, 재발신 한계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발신 종료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521)에서 발신 종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기지국은 통화 연결음을 전송한 시간, 즉 재발신된 시간을 나타내는 변수 a와 전술한 재발신 한계 시간을 비교한다(523).
재발신 시간 a가 설정된 재발신 한계 시간 미만이면, 기지국은 다시 통화 연결음을 전송하여(517), 통화가 연결될 때까지 계속해서 재발신한다.
그리고 재발신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재발신 시간 a가 설정된 재발신 한계 시간 이상이 되면, 연결을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으로 재발신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은 통화 연결이 될 때까지 기지국에서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계속적으로 재발신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재발신 한계 시간을 설정해두어 재발신된 시간이 재발신 한계 시간 이상이 되면 연결을 종료시킨다. 따라서, 통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일정 시간동안 계속적으로 재발신함으로써,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으로 재발신되는 휴대 단말기의 상대방 발신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중심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으로 재발신되는 휴대 단말기의 상대방 발신 방법은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아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를 인지할 경우, 사용자가 발신을 종료하고 다시 통화를 시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자동적으로 통화 연결이 될 때까지 재발신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재발신 한계 시간 또는 재발신 한계 횟수를 설정해두어 재발신된 시간 또는 재발신된 횟수가 설정한 재발신 한계 시간 또는 재발신 한계 횟수 이상이 면 자동적으로 발신을 종료시킨다. 따라서, 통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일정 시간 또는 일정 횟수 동안 계속적으로 재발신함으로써,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화 연결이 될 때까지 기지국에서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를 전송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계속적으로 재발신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자동 재발신 기능을 설정하는 제1 과정;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의 통화를 위하여 발신 신호를 전송하는 제2 과정;
    상기 통화 연결음(ring back tone)을 확인하는 제3 과정; 및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를 인지하면, 상기 발신 신호의 전송을 중지하고, 상기 제2 과정으로 복귀시켜 통화가 연결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재발신되게 하는 제4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상태 메시지는,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통화 연결이 되지 않음을 알리는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과정에서,
    상기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통화 연결이 되면, 통화 연결이 되었음을 알리는 통화 연결 알림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과정에서,
    상기 재발신된 시간을 알리는 재발신 시간 알림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과정에서,
    상기 재발신된 횟수를 알리는 재발신 횟수 알림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정에서,
    재발신 한계 시간을 설정하는 한계 시간 설정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과정에서,
    상기 재발신된 시간이 상기 설정된 재발신 한계 시간 이상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과정과;
    상기 재발신된 시간이 상기 설정된 재발신 한계 시간 이상이면, 발신을 종료하는 종료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과정에서,
    상기 재발신된 시간을 알리는 재발신 시간 알림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정에서,
    재발신 한계 횟수를 설정하는 한계 횟수 설정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과정에서,
    상기 재발신된 횟수가 상기 설정된 재발신 한계 횟수 이상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과정과;
    상기 재발신된 횟수가 상기 설정된 재발신 한계 횟수 이상이면, 발신을 종료하는 종료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과정에서,
    상기 재발신된 횟수를 알리는 재발신 횟수 알림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
  10.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자동 재발신 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자동 재발신 기능 설정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제1 과정;
    상기 자동 재발신 기능이 상기 기지국에 설정되는 제2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대방 휴대 단말기와 통화를 위한 발신 신호를 전송하는 제3 과정;
    상기 통화 연결음을 확인하는 제4 과정; 및
    상기 제4 과정에서 통화가 연결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재발신되게 하는 제5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과정에서,
    상기 통화가 연결되면, 통화 연결이 되었음을 알리는 통화 연결 알림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정에서,
    재발신 한계 시간을 설정하는 한계 시간 설정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과정에서,
    상기 재발신된 시간이 상기 재발신 한계 시간 이상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과정과;
    상기 재발신된 시간이 상기 재발신 한계 시간 이상이면, 연결을 종료하는 종 료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
KR1020060065629A 2006-07-13 2006-07-13 자동으로 재발신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 KR20080006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629A KR20080006660A (ko) 2006-07-13 2006-07-13 자동으로 재발신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629A KR20080006660A (ko) 2006-07-13 2006-07-13 자동으로 재발신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660A true KR20080006660A (ko) 2008-01-17

Family

ID=39220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629A KR20080006660A (ko) 2006-07-13 2006-07-13 자동으로 재발신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6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327A (ko) * 2015-12-15 2018-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동기 통신 조정 및 처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327A (ko) * 2015-12-15 2018-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동기 통신 조정 및 처리
US10375123B2 (en) 2015-12-15 2019-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nchronous communication session coordination and handling among devices using meta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274523A (ja) セルラーデータ電話及びそのデータ通信方法
KR100498924B1 (ko) 유선전화망에서의 전화 통화중 문자 메시지 전송 서비스방법
GB2296631A (en)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5303435A (ja) ハンズフリーシステム、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ハンズフリー制御方法
KR100466859B1 (ko) 이동 통신의 통화 내용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
JP4403349B2 (ja) 電話の加入者管理装置、電話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着信履歴情報の管理方法
KR20080006660A (ko) 자동으로 재발신되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
KR100454957B1 (ko)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유선 전화 단말기에서 부재중수신된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방법
JP2005073205A (ja) 通信端末装置
KR100428674B1 (ko) 문자메시지확인기능이 구비된 무선전화기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JP4131867B2 (ja) 受信側装置が制御する無線接続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4002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응답신호를 이용한 통화 연결정보표시장치 및 그 방법
JP3274962B2 (ja) 移動電話機の待ち受け方法
JP4068112B2 (ja) 電話装置
KR101360203B1 (ko) 휴대단말기의 발신요청 전송장치 및 방법
JP3083461B2 (ja) 携帯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4192631A (ja) メール再送方法および携帯通信端末装置
JP2963023B2 (ja) 無線通信装置
JP3386617B2 (ja) 携帯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7050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보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518175B1 (ko) 음성메시지 선택 송수신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시스템및 그 제어방법
JP2002142253A (ja) 移動通信端末
JP3336563B2 (ja) 通信端末及び通信端末における発信者番号検出方式
JP5176361B2 (ja) 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端末による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