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539A - 충돌에 의해 유발되고 차량 도어를 향해 지향된 에너지입력시 차량에서의 승객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충돌에 의해 유발되고 차량 도어를 향해 지향된 에너지입력시 차량에서의 승객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539A
KR20080006539A KR1020077020587A KR20077020587A KR20080006539A KR 20080006539 A KR20080006539 A KR 20080006539A KR 1020077020587 A KR1020077020587 A KR 1020077020587A KR 20077020587 A KR20077020587 A KR 20077020587A KR 20080006539 A KR20080006539 A KR 20080006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vehicle
energy
motor vehicl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0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비아스 멜즈
비요른 자이펠
에릭 짐메르멘
베른하드 시엘홀스트
Original Assignee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00510011162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5011162B4/d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filed Critical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ublication of KR20080006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6Behaviour during impact
    • B60J5/0459Active coupling of the reinforcement elements to the door or to the vehicle body, e.g. through releasing of pressuriz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Panel typ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충돌에 의해 유발되고 차량 도어에서 측방향으로 지향되는 에너지 입력시 차량내 승객을 보호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이러한 장치는 적어도 두개의 부분, 즉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포함하는 연결 구조물을 가지며; 상기 제1부분은 차량 도어에 단단히 연결되고, 제2부분은 차량 섀시의 에너지 흡수영역에 단단히 연결되며, 상기 두개의 부분은 차량 섀시상에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에너지 입력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공통의 조인트 영역을 통해 상호작용 효과 연결부내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에너지 인가에 의해 특히 형상 변화의 형태로 기계적 상태변화를 겪는 변환기 물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제1부분 및/또는 제2부분을 특징으로 하며, 에너지 공급에 의해 상기 두개의 부분은 접촉 및/또는 상호로킹되며, 연결 구조물의 제2부분은 차량 도어를 직접 둘러싸는 차량 섀시 영역에 고정된다.
연결 구조물, 변환기, 섀시, 안정화 소자, 평판, 센서, 세라믹, 폴리머

Description

충돌에 의해 유발되고 차량 도어를 향해 지향된 에너지 입력시 차량에서의 승객 보호장치{DEVICE FOR PROTECTING PASSENGERS IN A MOTOR VEHICLE IN THE EVENT OF AN ENERGY INPUT CAUSED BY A COLLISION AND ORIENTED TOWARDS A MOTOR VEHICLE DOOR}
본 발명은 충돌에 의해 유발되고 차량 도어를 향해 지향된 에너지 입력시 차량에서의 승객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내에서의 승객 보호는 차량 구조 및 발전에서 주요한 목적중의 한가지 이다. 특별한 발전 목적은 확실하게 승객실을 보호할 수 있는 차량의 전후방에 압궤(壓潰) 영역을 설계하는 것이다. 그러나, 측방향 충돌에서의 승객 보호는 짧은 변형 경로 및 차량의 측방향 구조의 낮은 흡수 특성으로 인해, 주요한 문제점을 제공하게 된다. 차량의 측방향 충돌시 승객에 대한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종래 기술의 해결책은 차량 도어를 보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차량 도어에 일체화되어 상당한 견고성 및/또는 상당한 에너지 흡수특성을 갖는 몰딩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DE 196 33 637A1호에는 도어 프레임에 굴곡된 파지로드가 제공된 측방향 충격 보호부를 갖는 차량 도어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파지로드는 충돌시 장력하에 포획그물처럼 작동하도록 변형된다.
그러나 대응의 길이방향 바아의 제공에 의한 옆문의 이러한 보강은 승객 보호에 항상 만족스러운 것은 아닌데, 그 이유는 외력이 옆문에 작용할 때 승객 생존공간이 승객의 생존확률처럼 극적으로 감소되는 방식으로, 섀시 도어개구를 통해 가압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기술분야에는 예를 들어, 도어와 도어 개구 사이에 대응의 큰 중첩에 의해 또는 충돌시 섀시 도어 개구의 보강된 오목부에 결합되는 도어의 엣지로부터 돌출되는 볼트 등에 의해, 옆문에 작용하는 힘을 섀시로 이송하기에 적합한 일련의 수단이 공지되어 있다. DE AS 22 15 674 호에는 외측 팽창 바아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차량 도어 보강수단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팽창 바아의 단부는 외부 충격으로 인한 바아 변형시 대응의 강한 오목부내로 인입되어 펼쳐진다. 상기 바아는 통상적으로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주름진 강철 시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단으로 인한 차량의 중량 증가를 피하기 위해 DE 41 25 299 C2호에는 차량 도어 보강수단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도어 보강수단은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파이버보강된 복합물질로 구성되는 굴곡진 바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보강수단은 완전히 도어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보강수단은 충돌시 보강 바아의 변형에 따라 그 단부 영역을 갖는 양측의 도어로부터 제공될 뿐이다. 그 부분을 위한 단부 영역은 섀시 도어 프레임의 안정된 지지 플랭크와의 유효 연결부내로 인입된다.
DE 196 39 519A1호에는 측방향 충돌시 승객 보호수단으로서 횡단 바아 구조 물을 제공하는 승객 캐빈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횡단 바아 구조물은 승객 캐빈내로 가압되는 차량 도어 영역에 대해 시트 영역이 보호되는 방식으로 차량 도어와 중간 콘솔 사이에 견고한 횡방향 연결을 생성한다. 상기 횡단 구조물은 불꽃점화식 또는 공압식 작동기가 관절형 횡단 구조물을 연장시킨다는 점에서 충돌시에만 나타나며, 상기 관절형 횡단 구조물은 통상적으로 시트와 도어 및 중간 콘솔의 라이닝에 일체화되어 안정된 횡방향 연결을 형성한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 보호를 최적으로 할 수 있고 측방향 충격 또는 측방향 충격과 유사한 충돌 상황시 승객을 상당히 보호할 수 있는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목적은 측방향 충돌시 차량 도어에 작용하는 변형 에너지가 차량 도어의 영역으로부터 멀리 안전하게 선택적으로 이송되어, 압궤시 도어의 각각의 부품이 승객을 손상시키는 차량 도어의 충돌기초 변형으로 인한 승객 공간의 상당한 감소를 방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안전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대한 해결책은 청구범위 제1항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아이디어를 전개시키는 특징부는 특히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한 설명과 종속항의 주제가 된다.
충돌에 의해 유발되고 차량 도어에서 측방향으로 지향되는 에너지 입력시 차량내의 승객을 보호하는 장치는 적어도 두개의 부분, 즉 제1부분과 제2부분을 포함하는 연결 구조물을 가지며; 상기 제1부분은 차량 도어에 단단히 연결되고, 제2부분은 차량 섀시의 에너지 흡수 영역에 단단히 연결되고; 이러한 두개의 부분은 차량 도어상에서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측방향 에너지 입력의 적어도 한쪽 부분의 선택적 전환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통 조인트 영역을 통해 상호작용 효과 연결부에서 상호작용하며; 상기 두개의 부분이 접촉하거나 및/또는 상호로킹되므로써, 상기 제1부분 및/또는 제2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너지 입력으로 인해 특히 형상 변화의 형태로 기계적 변화를 겪는 변환기 물질을 가지며; 연결 구조물의 제2부분은 차량 도어를 직접적으로 둘러싸는 차량 섀시의 영역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DE-AS 2 215 674 및 DE 196 33 637 A1에 따라, 측방향 충돌시 섀시의 더욱 안정한 영역으로 순서대로 가압되고 차량 도어를 통해 연장되는 측방향 충격 바아가 제공되며, 이러한 방식에 따라 최악의 경우 차량 도어를 향해 지향된 압궤 에너지를 작용 방향을 횡단하여 전환시키는, 서두에 언급한 차량 도어의 견고성을 증가시키는 종래기술의 해결책과는 달리; 본 발명의 해결책은 적어도 하나의 안정한 연결 구조물을 제공하며; 이러한 연결 구조물은 차량 도어의 외주 영역에서 국부적으로만 연결되고, 충돌시 차량 도어에 안정 효과를 전개하며; 차량 도어에 연결된 제1부분은 충돌시 안정한 내측 연결부로 인입되고, 연결 구조물의 제2부분은 폐쇄된 차량 도어를 직접적으로 둘러싸는 안정된 프레임 구조에 고정된다. 놀랍게도, 차량 도어상에서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압궤 에너지 입력은 차량 도어 주위에 분포되어 고정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연결 구조물을 제공하므로써, 통상적으로 내측에서 차량 도어를 통해 연장되는 복잡한 측방향 충격 바아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효과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차량 도어상에서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압궤 에너지 입력은 심각한 도어 변형없이, 즉 측방향 충격 바아가 사용된 경우 보다 더 심각할 정도로 변형되지 않고 상기 연결 구조물을 통해 안정한 섀시 프레임 영역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만일 로킹시 압궤가 발생된다면, 차량 도어의 주위에 배치된 두개 또는 3개 이상의 대응의 연결 구조물이 클램핑 수단으로서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클램핑 수단은 차량 도어를 섀시 프레임의 내부에 단단히 클램핑하므로써, 차량 도어에 고유의 상당한 견고성을 부여하고, 이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도어에 작용하는 에너지 입력을 상당히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연결 구조물을 통해 입력 에너지를 안정한 섀시 프레임내로 전환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기법은 종래 해결책과 동일한 보호 특성을 갖거나 또는 보호 특성이 개선된 상태로, 측방향 충격에 대응하는 보호 수단을 상당히 간단하게 하는데 기여하며, 이에 따라 중량 및 비용 절감에 결정적으로 기여한다.
이러한 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연결 구조물의 영역에 변환기 물질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므로써 이상적인 경우에 도어의 기능성이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한다는, 즉 도어는 이전처럼 개폐될 수 있다는 점이다. 한편,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차량 도어와 차량 섀시 사이의 플러시 연결 구조물은 압궤가 발생하였을 때 작용 에너지 입력에 의해 안정한 지지 기능을 가지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반복가능한 로킹 및 언로킹은 검출된 상황의 심각도에 대해 기술적으로 기초한 오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들어 광학 또는 레이더계 센서의 형태로, 진보적인 예비압궤 센서와의 결합을 허용한다. 따라서, 일촉즉발의 압궤 검출을 입증하여 예를 들어 로킹을 위한 반응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보다 광범위한 분석 및 평가가 필요하다. 서술한 가역성은 가능한 오정보를 견딜 수 있게 하므로써, 전체적인 안전성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요구사항에 부응하는 연결 구조물의 실현에는 여러가지 실시예가 있다.
가장 간단한 경우, 제1 및 제2부분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변환기 물질로 제조되어, 충돌시에 대응하여 작동된다. 기본적으로, 압전 세라믹, 전자제한(electrorestrictive) 세라믹, 형상기억합금(SMA) 등과 같은 고형의 변환기 물질처럼 여러가지 상이한 최첨단의 변환기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변환기 물질은 차량 도어 및 차량 섀시의 내부 영역에 연결된 부분의 연결 구조물에 적합한 설정의 형태로 직접적인 사용을 허용한다.
또한, 연결 구조물에 사용하기 위해 적절히 선택된 케이싱에 제공될 경우, 이러한 환경에 적합한 예를 들어 압전 폴리머, 전자레올로지 유체, 폴리머 겔 및 자기레올로지 유체 등과 같은 유체 변환기 물질이 공지되어 있다.
상술한 연결 구조물에서의 변환기 물질의 사용은 충돌시 상호작용 효과 연결부내로 인입되는 부분의 견고성 및 완화성의 선택적 조정을 허용하며, 이러한 방식에 따라 충돌관련 및 승객관련 섀시 도어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형상기억물질로 구성된 변환기 물질은 전류의 선택적 인가 및 이에 수반되는 온도 상승에 의해 그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물질 견고성 및/또는 물질 완화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두개의 부분이 내측의 안정한 상호작용 효과 연결부에 인입되고 이를 통해 연결 방향을 따라 작용하는 압궤 에너지가 차량 도어에 매우 근접한 안정된 섀시 프레임 영역내로 선택적으로 전환되는 방식으로, 형상기억물질로 구성되고 두개의 분리가능한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 영역을 갖는 연결 구조물이 충돌시 전기에너지의 선택적 인가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장치에 양호하게 사용된다.
연결 구조물을 따라 힘의 선택적 전환의 기능과 함께, 사용된 변환기 물질은 차량내 승객의 생리학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전기, 열 또는 이와 유사한 에너지의 형태로 변환기 물질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에너지 형태를 능동적으로 제어하므로써, 그 견고성 및 그 완화성을 변경시킬 수 있게 한다. 사용된 변환기 물질의 각각의 견고성 및 각각의 완화성의 조정 및 제어는 예를 들어 차량내에 있는 승객의 자극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양한 목표 기능하에서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목표 기능은 기본적으로 차량내 승객의 연령, 중량, 성별, 크기, 및 각각의 착석 위치에 의존한다.
물론, 상기 장치는 차량의 옆문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 구조물은 해치 도어를 안정시키는데도 적합하다.
압궤시 차량의 안정성을 더욱 개선시키기 위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형 소자 또는 평판 부품을 사용하여 차량 도어를 각각 강화시키는 부가의 강화부를 제공하고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형 소자 또는 평판 부품은 당연히 외부로부터는 인식할 수 없는 방식으로 차량 도어의 외측 및/또는 내측에 배치되고, 이러한 방식에 따라 순서대로 연결 구조물의 제1부분과 연결되어, 충돌시 평판 소자에 작용하는 입력된 모든 힘을 연결 구조물의 제2부분을 통해 또한 이에 연결된 제1부분을 통해 직접 안정한 섀시 프레임 영역내로 전환한다. 상기 평판 부품에 대한 대안으로서, 도어 내측의 바아 구조에 의해 도어의 견고성이 증가될 수도 있다. 전체 차량 도어를 통해 연장되는 측방향 충격 바아와는 달리, 제안된 바아 구조는 소형으로 설계되며, 예를 들어 차량 도어의 낮은 모서리 영역 등과 같은 차량 도어의 부분을 안정시킬 수 있을 뿐이다. 또 다른 상세한 내용은 서술된 양호한 실시예의 언급을 통해 제공된다.
차량 도어의 견고성을 개선시키도록 작용하는 부가의 평판 소자 및 바아 구조는 예를 들어 경량 금속이나 파이버보강된 합성 물질처럼 강건하면서도 경량인 물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부품들의 완화성 및 견고성에 영향을 끼치기 위하여 변환기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옆문의 경우, 안정한 섀시 내부 영역에 연결되는 연결 구조물의 부분은 차량 시트의 하부 영역에서 섀시와의 고정된 상호작용 효과 연결상태인 것이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차량 섀시의 내부에 제공된 연결 구조물의 이러한 앵커링은 압궤 상황시, 특히 연결 구조물이 적절한 완화성 및 견고성을 갖는 상술한 변환기 물질로 구성된 경우 각각의 차량 시트에 착석한 승객에 특히 생리학적 온화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변환기 물질을 사용하는 연결 구조물의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는 예를 들어 전기에너지의 인가처럼 외부에서 인가된 에너지에 의해 각각의 물질의 작동을 필연적으로 예측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연결 구조물을 양호한 방식으로 단독으로 수동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형상기억물질로 구성된 연결 구조물은 물질고유의 특성(예를 들어, 초탄성 또는 물질 히스테리시스)을 대응하여 사용하므로써 견고성 및/또는 완화성 코스의 생산계 및 물질계 조정을 허용하며, 이에 의해 측방향 충격이 발생하였을 때 차량 섀시 및 이에 따른 차량 시트에 착석한 승객에 작용하는 에너지 입력의 설정된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유사한 부품 특성과 물질 특성의 유사한 선택적 조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형상기억금속을 사용하므로써, 물질 히스테리시스의 가변성 조정을 위해 열 작용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조인트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압궤 에너지 자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압궤 에너지는 연결 구조물의 부분을 로킹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활성 소자는 상기 부분의 일련의 분리를 실행할 수 있어, 도어의 개방을 촉진시키므로써 승객을 구조할 수 있다.
변환기 물질을 작동시키기 위해 압궤 에너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형상기억금속의 경우, 기계적 에너지는 열에너지로 변환되고, 이에 의해 형상기억 효과의 활성 작동이 달성된다.
또한, 훨씬 복잡하게 디자인된 연결 구조물을 제공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호작용 효과 연결부에 인입되는 제1 및 제2부분의 평행 배치가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 구조물의 제1 및 제2부분을 이중으로 설계할 수도 있다. 제1부분은 내측으로 작동되는 분리된 로드를 간는 파이프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두개의 부품은 상이한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상술한 변형예와 조합하여, 한쪽 영역은 변환기 물질로 구성되고, 다른쪽 영역은 종래의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전의 구성은 차량 도어의 영역으로부터 압궤 에너지의 효과적인 전환 및 흡수를 위해 연결 구조물을 최적화하도록, 연결 구조물의 매니폴드 설계 가능성에 제한이 거의 없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충돌에 의해 유발되고 차량 도어를 향해 지향된 에너지 입력시 차량내의 승객 보호장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첨부의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명확하게 언급될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1은 컬럼(A, B, C)을 갖는 차량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2의 a 내지 도2의 c는 연결 구조물의 다양한 고정 모드를 갖는 차량의 전방 도어의 측면도.
도1은 전방 도어 및 후방 도어(1, 2)를 갖는 차량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차량의 전방 도어(1)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그 전방 엣지(3)를 따라 A컬럼(4)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방식으로 힌지된다. 차량의 전방 도어(1)와 마찬가지로, 차량의 후방 도어(2)는 그 전방 엣지(5)를 따라 차량의 B컬럼(6)으로 선회하는 방식으로 힌지된다. 하기에 서술되는 차량 도어(1, 2)의 고유의 견고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은 안정한 차량 섀시로의 차량 도어의 각각의 독립적인 현수부로 관찰되며, 각각의 경우에 폐쇄된 상태에서 차량 도어를 완전히 둘러싸는 차량 프레임 영역을 제 공하며, 차량 전방 도어(1)의 경우 A컬럼(4), 덮개 엣지 영역(8), B컬럼(6) 및 바닥 턱(threshold) 영역(7)을 포함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차량 도어의 고유의 견고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의 해결책에 따르면, 차량 도어가 이른바 연결 구조물(9)을 통해 차량 도어를 둘러싸는 섀시 프레임 구조물에 실제로 단단히 클램핑되는 방식으로, 압궤시 국부적인 지점에서 차량 도어(1, 2)를 안정한 섀시 프레임에 단단히 연결할 것이 제안되고 있다. 각각의 단일 연결 구조물(9)은 두개의 부분을 포함하며, 이러한 두개의 부분중 제1부분(T1)은 차량 도어에 단단히 연결되고, 제2부분(T2)은 상기 차량 도어와는 정반대인 섀시 프레임 영역에 단단히 고정된다. 정상적인 작동시, 상기 두개의 부분(T1, T2)은 정상적인 도어 작동이 방해되지 않는 방식으로 분리된다. 상기 두개의 부분은 충돌시에만 연결되고 상호로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개의 부분(T1, T2)의 분리가능한 단단한 로킹을 위하여, 두개의 부분중 적어도 하나는 형상이 변화하는 상태로 기계적인 변화를 겪는 변환기 물질(transducer material)을 가지며, 에너지 공급에 의해 상기 두개의 부분(T1, T2)은 접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상호로킹될 수 있다.
차량 후방 도어(1, 2)와 마찬가지로 연결 구조물(9)이 전방에 고정되는 도1에 도시된 지점은 기본적으로 연결 구조물(9)이 제공되는 각각의 차량 도어의 주변 프레임을 따른 모든 양호한 지역이다. 차량 도어의 고유의 안정성을 명확하게 개선하기 위해서는 차량 도어의 하부 우측 모서리 영역에 단일의 연결 구조물(9)을 제공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이루어진다[예를 들어, 연결 구조물(V6 또는 V7)의 지 역 참조]. 안정성 요구사항 및 도어 디자인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의 연결 구조물이 도1에 도시된 차량 도어의 주위의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도어를 둘러싸는 섀시 프레임의 내부에 차량 전방 도어를 완전히 클램핑하기 위해서는 하기의 연결 구조물(V2, V5, V8, V11)을 고정하면 된다. 물론 전방 도어 및 후방 도어와 연관된 제안된 연결 구조물(V1 내지 V11)의 기타 다른 원하는 조합도 가능하다.
차량 도어에 고정되기 위하여 도2의 a에 도시된 바에 따라 각각의 연결 구조물을 부가의 안정화 소자(10)와 조합하면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도2의 b 및 도2의 c와 유사한 도2의 a는 유효 연결부에서 도시않은 차량 섀시의 바닥 턱 영역(7) 및 B컬럼(6)과 결합되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차량 전방 도어(1)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안정화 소자(10)는 평판 소자로서 설계되었으며, 도어의 내측으로부터 차량 도어의 외부측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정화 평판 소자(10)는 차량 도어의 외부측 또는 내부측의 일부로서 설계된다.
차량 도어에 연결된 연결 구조물의 부분(T1)은 상기 안정화 소자(10)에 연결된다. 도2의 a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어(1)의 우측 하부는 3개의 연결 구조물(V6, V7, V8)이 고정된 평판 소자(10)로 보강된다. 도2의 b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평판 소자(10)는 차량 도어의 전체 길이방향 연장부에 걸쳐 하부 영역으로 연장되며, 연결 구조물(V4, V5, V6)을 통해 바닥 턱 영역(7)에 연결된다.
평판 소자(10)의 설계에 대한 대안으로서, 도어의 내부에 배치된 바아 구조 물(11)에 의해 차량 도어의 견고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도2의 c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대각선으로 연장되는 바아 구조물은 차량 도어의 전후방 하부 영역을 안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또한 바아 구조물은 V6 및 V7과 마찬가지로 연결 구조물(V3, V4)에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다수의 연결 구조물(V1-V11)을 제공하므로써, 충돌시 변환기 물질의 상이한 트리거링에 의해 연결 구조물(9)의 각각의 부분(T1, T2) 사이에서 연결 견고성을 각각 선택할 수 있으며, 각각의 사고 상황에 따라 이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객 보호를 가능한한 최적으로 하기 위하여 차량 도어의 평면 견고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상기 사고 상황은 적절한 압궤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으며, 차량 도어 내부의 각각의 설정된 견고성은 연결 구조물에 존재하는 변환기 물질의 각각의 트리거링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필요할 경우, 부가로 제공된 안정화 소자(10)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안정화 소자는 상기 부품들에 선택적으로 영향을 끼치기 위하여 변환기 물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환기 물질로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변환기 물질을 트리거링하므로써 이러한 부품들의 완화성 및 견고성에 영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차량 도어상에 작용하는 압궤 에너지를 갖는 역학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승객에게 압궤를 기본으로 하여 생리학적으로 작용하는 힘 모멘트는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에 대한 해결책에 따른 장치는, 충돌시 차량 도어가 그 외주 엣지를 따라 또는 차량 도어를 둘러싸는 안정한 섀시를 갖는 제어가능한 단단한 연결부를 따른 지점에 인입될 경우 차량 도어의 고유의 견고성이 상당히 증가된다는 기법에 기초하고 있다.

Claims (16)

  1. 충돌에 의해 유발되고 차량 도어에서 측방향으로 지향되는 에너지 입력시 차량내의 승객을 보호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제1부분과 제2부분의 적어도 두개의 부분을 포함하는 연결 구조물이 제공되고, 상기 제1부분은 차량 도어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부분은 차량 섀시의 에너지 흡수 영역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두개의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공통 조인트 영역을 통해 차량 도어상에서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입력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우회시키는, 상호작용하는 효과적 연결(interactive effect connection)로 되며,
    상기 두개의 부분의 접촉 및/또는 상호 로킹에 따라 형태의 변화 등의, 에너지 인가시 기계적 상태 변화를 견디는 변환기 물질(transducer material)이 상기 제1부분 및/또는 상기 제2부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되며, 상기 연결 구조물의 제2부분은 차량 도어를 직접적으로 둘러싸는 차량 섀시의 영역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연결 구조물의 제1부분은 제2부분에 정반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장치.
  3.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연결 구조물은 차량 도어와 이러한 차량 도어를 둘러싸는 차량 섀시의 하기의 분리된 영역(즉 하부, 중간 또는 상부 영역에서 A컬럼을 따라, 하부, 중간 또는 상부 영역에서 B컬럼을 따라, 전방, 중간 또는 후방 영역에서 바닥 턱(threshold)을 따라, 전방, 중간 또는 후방 영역에서 덮개 엣지를 따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 도어는 적어도 연결 구조물의 영역에 차량 도어 안정화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도어 안정화 소자는 차량 도어의 외부측 및/또는 내부측을 보강하는 평판 소자이거나 또는 차량 도어의 내부에 있는 바아형태의 지지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연결 구조물의 제1부분은 안정화 소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소자는 변환기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부분 및 제2부분은 조인트 영역에서 서로에 대해 일치하도록 설계된 조인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부분의 일치하는 조인트 형상은 제1부분이 조인트 영역에서 상기 제2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또는 상기 제2부분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구조물의 두개의 부분은 차량 도어를 폐쇄하므로써 조인트 영역에서 접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되는 두개의 부분은 상호로킹 및 언로킹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환기 물질은 압전 세라믹, 압전 폴리머, 전자제한(electrorestrictive) 세라믹, 전자레올로지 유체, 폴리머 겔 및 자기레올로지 유체, 형상기억합금, 형상기억 폴리머 등의 물질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부분 및/또는 제2부분 또는 제1부분 및/또는 제2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두개의 부분이 분리가능한 고정 효과 연결부에 인입되는 방식으로, 차량 도어를 향해 지향되는 충돌에 기초한 에너지 입력 직전 및 에너지 입력중에 형상 변화를 겪는 변환기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에는 피할 수 없는 충돌 상황을 검출하고 신호를 발생하는 근접 센서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에 의해 변환기 물질의 적어도 일부가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계적 상태변화는 변환기 물질의 진동 및/또는 완화 특성에 영향을 끼치는 효과를 유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환기 물질을 위한 에너지 공급은 압궤 에너지와는 관련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보호장치.
KR1020077020587A 2005-03-09 2006-02-17 충돌에 의해 유발되고 차량 도어를 향해 지향된 에너지입력시 차량에서의 승객 보호장치 KR200800065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11162.9 2005-03-09
DE200510011162 DE102005011162B4 (de) 2003-12-11 2005-03-09 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zum Insassenschutz bei einem kollisionsbedingten, auf eine Kraftfahrzeugtür gerichteten Engergieeintra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539A true KR20080006539A (ko) 2008-01-16

Family

ID=36509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587A KR20080006539A (ko) 2005-03-09 2006-02-17 충돌에 의해 유발되고 차량 도어를 향해 지향된 에너지입력시 차량에서의 승객 보호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80290693A1 (ko)
EP (1) EP1855901B1 (ko)
JP (1) JP2008532831A (ko)
KR (1) KR20080006539A (ko)
CN (1) CN101151169B (ko)
AT (1) ATE446208T1 (ko)
DE (1) DE502006005184D1 (ko)
WO (1) WO20060946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063U (ko) 2014-09-23 2016-03-31 박병권 동상 방지용 패드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58023B4 (de) * 2003-12-11 2005-10-1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zum Insassenschutz bei einem kollisionsbedingten, auf eine Kraftfahrzeugtür gerichteten Energieeintrag
DE102009053764A1 (de) 2009-11-18 2011-05-26 Daimler Ag Fahrzeug mit einer Fahrzeugkarosserie
BR112012014617B1 (pt) * 2009-12-17 2019-12-24 Volvo Lastvagnar Ab estrutura de reforço de porta de veículo e veículo
US8657361B2 (en) * 2010-11-30 2014-02-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actuating multiple components in a vehicle having an access opening
SE536024C2 (sv) * 2012-01-13 2013-04-02 A2 Res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initiering och understödjande av strukturella vibrationer i en strukturell komponent
US9827936B2 (en) 2016-02-11 2017-11-28 Robert Bosch Gmbh Vehicle collision energy absorbance with magnetorheological or electrorheological material
CN105667445A (zh) * 2016-03-23 2016-06-15 长沙理工大学 一种汽车侧面碰撞安全气胎装置
DE102019104154A1 (de) * 2019-02-19 2020-08-2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derwagen eines Kraftfahrzeuge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53353A (en) * 1974-01-10 1976-10-20 Chrysler Uk Vehicle doors
US4307911A (en) * 1980-02-04 1981-12-29 The Budd Company Reinforcement means for resisting side impacts against an automobile door
JP2929619B2 (ja) * 1989-10-06 1999-08-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DE4031678C2 (de) * 1990-10-04 1995-03-23 Mannesmann Ag Verstärkungselement für die Karosserie eines Automobils
JP3144093B2 (ja) * 1992-10-30 2001-03-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構造
US5306067A (en) * 1993-01-25 1994-04-26 Ford Motor Company Rear door assembly for automobiles
JP3214247B2 (ja) * 1994-08-31 2001-10-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ドアトリムのエネルギ吸収構造
JPH08324380A (ja) * 1995-06-01 1996-12-10 Toyota Motor Corp 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US5908216A (en) * 1995-12-22 1999-06-01 Joalto Design, Inc. Side intrusion beam with four points of connection
US5806917A (en) * 1995-12-22 1998-09-15 Joalto Design, Inc. Integrated motor vehicle door and chassis
US5895088A (en) * 1997-05-22 1999-04-20 Knott; Ronald W. Full width side impact barrier
JPH11291845A (ja) * 1998-04-07 1999-10-26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可動バンパー装置
JP2001246417A (ja) * 2000-03-06 2001-09-11 Honda Motor Co Ltd フレームの変形制御装置
GB0009795D0 (en) * 2000-04-25 2000-06-07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A vehicle including a door
FR2813631B1 (fr) * 2000-09-05 2002-10-11 Valeo Securite Habitacle Vehicule automobile avec une porte battante et une porte coulissante independantes l'une de l'autre
US6601910B1 (en) * 2002-05-31 2003-08-05 Kevin G. Duggan Expandable ram system
JP4365157B2 (ja) * 2003-07-22 2009-1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の側突対応構造
DE10339307B3 (de) * 2003-08-27 2004-12-02 Dr.Ing.H.C. F. Porsche Ag Aufprallschutzvorrichtung für eine Tür eines Kraftfahrzeugs
DE10341329B4 (de) * 2003-09-08 2005-09-2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höhung des Insassenschutzes in einem Fahrzeug bei einem Seitenaufprall
DE10358023B4 (de) * 2003-12-11 2005-10-1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zum Insassenschutz bei einem kollisionsbedingten, auf eine Kraftfahrzeugtür gerichteten Energieeintrag
US20050198904A1 (en) * 2004-03-12 2005-09-15 Browne Alan L. Active seal assemblies for movable windows
US7029056B2 (en) * 2004-06-09 2006-04-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Closure lockdown assemblies and methods utilizing active materials
US7669918B2 (en) * 2004-12-09 2010-03-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Tunable vehicle structural member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chang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thereto
US7677639B2 (en) * 2007-02-23 2010-03-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ctive material based closure hinge and alignment process
US8052188B2 (en) * 2007-03-06 2011-11-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ctive material enabled self-presenting devices
US7631915B2 (en) * 2007-10-30 2009-12-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ctive material enabled self-actuated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063U (ko) 2014-09-23 2016-03-31 박병권 동상 방지용 패드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51169B (zh) 2010-12-08
DE502006005184D1 (de) 2009-12-03
US20080290693A1 (en) 2008-11-27
EP1855901A1 (de) 2007-11-21
WO2006094615A1 (de) 2006-09-14
EP1855901B1 (de) 2009-10-21
CN101151169A (zh) 2008-03-26
ATE446208T1 (de) 2009-11-15
JP2008532831A (ja) 200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6539A (ko) 충돌에 의해 유발되고 차량 도어를 향해 지향된 에너지입력시 차량에서의 승객 보호장치
US7735901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creasing occupant protection in a vehicle during a side-impact
US6299208B1 (en) Occupant protection structure
US6020039A (en) Automobile door impact beam
EP2969664B1 (en) Compressive sensor packaging techniques
EP0757634B1 (en) Vehicle chassis having an occupant cell
JP4489779B2 (ja) 衝突時の車両ドアに対するエネルギーの衝撃から搭乗者を保護するための自動車用装置
CN107914778A (zh) 车身部件
US20100109378A1 (en) Device for a motor vehicle for protecting vehicle occupants when there is an impact of energy directed at a motor vehicle door due to a collision
EP1428707B1 (en) Vehicle door assembly
US7610984B2 (en) Device for increasing the degree of occupant protection in a vehicle during a side impact
JP4473537B2 (ja) 対人保護用エネルギー吸収部材
US20060091700A1 (en) Force-transmission element
JP2003191806A (ja) 車両の衝撃吸収構造
US8544875B2 (en) Airbag housing of an airbag system, and airbag system
JP4089723B2 (ja) 車両用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JP5426924B2 (ja) 自動車の安全装置
JP4585145B2 (ja) エアバッグドアの跳返り防止構造
JP2008143413A (ja) 車両用ニープロテクタ構造
KR19980022808A (ko) 자동차 도어용 충격 완충부재
KR20020034498A (ko) 자동차용 도어임팩트바
JPH0761366A (ja) 自動車の側面衝突保護用ボディ構造
KR960007361A (ko) 측면충돌시 승원보호를 위한 자동차 안전장치
KR19980044640U (ko) 차량용 범퍼조립체
KR19990050311A (ko) 자동차용 측면충격 감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