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846A - 터치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846A
KR20080005846A KR1020070050330A KR20070050330A KR20080005846A KR 20080005846 A KR20080005846 A KR 20080005846A KR 1020070050330 A KR1020070050330 A KR 1020070050330A KR 20070050330 A KR20070050330 A KR 20070050330A KR 20080005846 A KR20080005846 A KR 20080005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unit
touch pad
interrupt signa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7150B1 (ko
Inventor
전재형
김학상
박석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0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150B1/ko
Priority to US11/764,963 priority patent/US10133339B2/en
Priority to EP07013065.3A priority patent/EP1879096B1/en
Priority to EP20153165.4A priority patent/EP3663893B1/en
Priority to CNB2007101362122A priority patent/CN100543650C/zh
Publication of KR20080005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150B1/ko
Priority to US16/132,034 priority patent/US10338667B2/en
Priority to US16/423,886 priority patent/US10579127B2/en
Priority to US16/748,237 priority patent/US1111285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2Power saving in digitizer or tab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패드와, 활성 모드에서 상기 터치패드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의 눌림을 감지하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부와,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제어부를 활성화시키는 활성신호를 출력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제2제어부가 비활성화 모드일 때 상기 감지부로부터 발생된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제1제어부로 전달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멀티미디어처리부가 비활성 모드이더라도 사용자가 터치패드를 누르면 즉시 활성화 되어 터치 입력 신호에 대한 처리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멀티미디어처리부가 기존의 폴링 방식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는 것보다 소모되는 전류를 줄일 수 있다.
터치패드, 휴대 단말기, 구동

Description

터치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APPARATUS FOR DRIVING IN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PA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패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도 4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7은 도 6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도.
본 발명은 터치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패드와, 상기 터치패드를 제어하는 멀티미디어처리부(Multimedia Processor)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따라서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가 결합된 휴대 단말기나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가 급속도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들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가 내장되어 있다.
한편,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효율적인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손가락이나 펜 등의 터치 입력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패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터치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는 내장된 멀티미디어 프로세서가 폴링(Polling) 방식으로 터치패드를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터치패드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지에 불필요한 전류를 소모하고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프로세서가 슬립 모드로 진입하거나 전환된 경우, 사용자가 터치패드를 누르더라도 멀티미디어 프로세서가 터치패드의 입력신호를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터치패드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지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패드를 구비하며 멀티미디어 기능이 제공되는 휴대 단말기에서 효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지가 가능한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패드를 구비하며 멀티미디어 기능이 제공되는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는데 소모되는 전류를 줄일 수 있는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치패드와, 활성 모드에서 상기 터치패드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의 눌림을 감지하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부와,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제어부를 활성화시키는 활성신호를 출력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제2제어부가 비활성화 모드일 때 상기 감지부로부터 발생된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제1제어부로 전달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패드와, 활성 모드에서 상기 터치패드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의 눌림을 감지하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부와,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제어부를 활성화 시키는 활성신호를 출력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는 터치패드(110), 감지부(115), 스위치부(120), 제2제어부(130), 키입력부(140), 제1제어부(150), 표시부(160) 및 메모리(17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터치패드(110)는 압력 감지기가 달려 있는 작은 평판으로 손가락 또는 펜의 터치 입력이 있으면 그 입력신호를 제2제어부(130)로 출력한다.
감지부(115)는 터치패드(11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패드(110)의 눌림을 감지하면 인터럽트(Interrupt) 신호를 발생시켜 스위치부(120)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감지부(115)는 돔 스위치(Dome Switch)를 포함하는 돔 시트인 것으로 가정하며, 돔 스위치는 터치패드(110)의 윈도우(Window)가 눌려지는 것을 감지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스위치부(120)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돔 시트가 터치패드(110)에 포함되는 구조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패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터치패드(110)는 리본 케이블(117)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메인 보드(미도시)에 연결된다.
터치패드(110)의 일부분에는 개구(111)가 형성되고, 개구(111)상에 돔 스위치를 포함하는 돔 시트(115)를 설치한다.
돔 시트(115)는 가요성 인쇄회로(113)를 통해 터치패드(110)에 연결되며, 개구(111)는 터치패드(110)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돔 스위치는 터치패드(110)의 중앙부에 위치한 윈도우가 눌려져 스위치가 닫히면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치부(12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아날로그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스위치부(120)는 제2제어부(130)가 비활성 모드로 진입하면 제1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감지부(115)에 출력되는 인터럽트 신호 라인을 제1제어부(150)로 연결시킨다. 따라서 스위치부(120)는 감지부(115)에서 발생된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인터럽트 신호 라인을 통해 제1제어부(150)로 전달한다.
또한 스위치부(120)는 제2제어부(130)가 활성모드이면 제1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인터럽트 신호 라인을 오픈시켜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제1제어부(150)로 전달되지 않게 한다.
제2제어부(130)는 활성화 상태에서 터치패드(110)를 제어하며, 터치패드(110)를 통해 휴대 단말기와 사용자간의 인터페이스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제2제어부(130)는 휴대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을 위한 멀티미디어처리부(Multimedia Processor)로 구성되며, 상기 멀티미디어 기능은 음성이나 도형, 영상 등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매체를 처리할 수 기 능을 의미한다.
키입력부(140)는 문자 키, 숫자 키, 각종 기능 키 및 외부 볼륨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제1제어부(150)(예컨대, MSM(Mobile Station Modem)칩)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1제어부(150)는 제2제어부(130)가 비활성 모드 즉, 슬립(Sleep) 모드로 진입하면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치부(120)가 감지부(115)로부터 출력된 인터럽트 신호를 제1제어부(150)로 전달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제1제어부(150)는 스위치부(120)를 제어한 후, 슬립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제1제어부(150)는 멀티미디어처리부(130)가 비활성 모드인 상태에서 감지부(115)에서 발생된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제2제어부(130)를 활성화시키는 활성신호를 제2제어부(130)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2제어부(130)는 비활성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전환하여 터치패드(1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게 된다.
한편, 제1제어부(150)는 슬립 모드 상태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활성 모드로 전환하여 제2제어부(130)를 활성화시키는 활성 신호를 출력한 후 다시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16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메모리(17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 및 사용 자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한다. 즉.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해 제1제어부(150)를 통해 액세스되는 운영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롬(ROM)과, 제1제어부(150)의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제어 명령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RAM)으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이다.
도시된 휴대 단말기는 터치패드(210), 감지부(215), 스위치부(220), 제2제어부(230), 키입력부(240), 제1제어부(250), 표시부(260) 및 메모리(270)를 포함한다.
도 4의 구성 중에서 키입력부(230), 표시부(250) 및 메모리(260)의 기능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키입력부(140), 표시부(160) 및 메모리(170)의 기능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터치패드(210)는 압력 감지기가 달려 있는 작은 평판으로 손가락 또는 펜의 터치 입력이 있으면 그 입력신호를 제2제어부(220)로 출력한다.
감지부(215)는 터치패드(210)에 내장되거나 포함될 수 있으며, 터치패드(210)의 눌림을 감지하면 인터럽트(Interrupt) 신호를 발생시켜 제1제어부(240)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감지부(2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같이 돔 스위치(Dome Switch)를 포함하는 돔 시트인 것으로 가정하며, 돔 스위치는 터치패 드(210)의 윈도우(Window)가 눌려지는 것을 감지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제1제어부(240)로 출력한다. 한편, 감지부(215)가 포함된 터치패드(210)의 구조는 상기 도 3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위치부(22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아날로그 스위치로 구성되며, 제2제어부(230)가 비활성 모드로 진입하면 제1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감지부(215)에 출력되는 인터럽트 신호 라인을 제1제어부(250)로 연결시킨다. 즉, 스위치부(220)는 도 5를 참조할 때 A 상태가 되어 감지부(215)에서 발생된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인터럽트 신호 라인을 통해 제1제어부(250)로 전달한다.
또한 스위치부(220)는 제2제어부(230)가 활성모드이면 제1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인터럽트 신호 라인을 제2제어부(230)로 연결시킨다. 즉, 스위치부(220)는 도 5를 참조할 때 B 상태가 되어 감지부(215)에서 발생된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인터럽트 신호 라인을 통해 제2제어부(230)로 전달한다. 이 시점부터 터치패드(210)는 제2제어부(230)의 제어를 받게 된다.
제2제어부(23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상기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음성 및 영상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매체를 처리하는 멀티미디어처리부(Multimedia Processor)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활성화 상태 즉, 활성 모드에서 터치패드(210)를 제어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유지한다.
또한 제2제어부(230)는 활성 모드에서 비활성 모드로 전환 시 비활성 모드로의 전환을 알리는 신호를 제1제어부(250)로 출력한다. 이는 제1제어부(250)가 상기 제2제어부(230)와 연결된 스위치부(220)의 인터럽트 신호 라인을 다시 제1제어 부(250)로 연결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제어부(25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1제어부(250)는 제2제어부(230)가 비활성 모드일 때 감지부(215)로부터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비활성 모드 상태인 제2제어부(230)를 활성화 시키는 활성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부(220)가 인터럽트 신호를 제2제어부(230)로 전달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제2제어부(220)는 비활성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전환하여 터치패드(2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게 된다.
또한 제1제어부(250)는 슬립 모드 상태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활성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활성 신호를 출력한 후 다시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제어부(250)는 스위치부(220)의 인터럽트 신호 라인 제어를 위해 미리 설정된 시간주기마다 제2제어부(230)가 활성 모드 상태인지 체크한다.
제1제어부(250)는 상기 체크 결과 제2제어부(230)가 활성 모드 상태가 아니면 스위치부(220)를 제어하여 감지부(215)에서 발생된 인터럽트 신호를 제1제어부(250)로 전달하도록 한다.
다른 방법으로, 제1제어부(250)는 제2제어부(230)로부터 비활성 모드로의 전환을 알리는 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치부(220)를 제어하여 감지부(215)에서 발생된 인터럽트 신호를 제1제어부(250)로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7 은 도 6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이다.
도시된 휴대 단말기는 터치패드(310), 감지부(315), 제2제어부(320), 키입력부(330), 제1제어부(340), 표시부(350) 및 메모리(360)를 포함한다.
도 6의 구성 중에서 키입력부(330), 표시부(350) 및 메모리(360)의 기능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키입력부(140), 표시부(160) 및 메모리(170)의 기능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터치패드(310)는 압력 감지기가 달려 있는 작은 평판으로 손가락 또는 펜의 터치 입력이 있으면 그 입력신호를 제2제어부(320)로 출력한다.
감지부(315)는 터치패드(310)에 내장되거나 포함될 수 있으며, 터치패드(310)의 눌림을 감지하면 인터럽트(Interrupt) 신호를 발생시켜 제1제어부(340)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감지부(3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또는 제2 실시 예와 같이 돔 스위치(Dome Switch)를 포함하는 돔 시트인 것으로 가정하며, 돔 스위치는 터치패드(310)의 윈도우(Window)가 눌려지는 것을 감지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제1제어부(340)로 출력한다. 한편, 감지부(315)가 포함된 터치패드(310)의 구조는 상기 도 3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제어부(320)는 활성화 상태 즉, 활성 모드에서 터치패드(310)를 제어하며, 터치패드(310)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역시 마찬가지로 제2제어부(220)는 상기 도 1에 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음성 및 영상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매체를 처리하는 멀티미디어처리부(Multimedia Processor)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제어부(340)는 예컨대, MSM(Mobile Station Modem)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1제어부(340)는 제2제어부(320)가 비활성 모드일 때 감지부(315)로부터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비활성 모드 상태인 제2제어부(320)를 활성화 시키는 활성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제2제어부(320)는 비활성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전환하여 터치패드(3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게 된다.
이 때 제1제어부(340)는 슬립 모드 상태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활성 모드로 전환하여 제2제어부(320)를 활성화시키는 활성 신호를 출력한 후 다시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제어부(340)는 불필요한 활성 신호 출력을 방지하기 위해 슬립 모드 또는 활성 모드 상태에서 감지부(315)로부터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먼저 제2제어부(320)가 활성 모드 상태인지 판단하여 활성 신호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제1제어부(340)는 상기 판단 결과 제2제어부(320)가 활성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활성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하고, 제2제어부(320)가 비활성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활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멀티미디어처리부가 비활성 모드이더라도 사용자가 터치패드를 누르면 즉시 활성화 되어 터치 입력 신호에 대한 처리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멀티미디어처리부가 기존의 폴링 방식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는 것보다 소모되는 전류를 줄일 수 있다.

Claims (16)

  1. 터치패드와, 활성 모드에서 상기 터치패드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의 눌림을 감지하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부와,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제어부를 활성화시키는 활성신호를 출력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제2제어부가 비활성화 모드일 때 상기 감지부로부터 발생된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제1제어부로 전달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음성 및 영상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매체를 처리하는 멀티미디어처리부(Multimedia Processor)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처리부가 비활성 모드로 진입하면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제1제어부로 전달하도 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한 후, 슬립(Sleep) 모드로 전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슬립 모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인터럽트 신호가 전달되면 활성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멀티미디어처리부를 활성화 시키는 활성신호를 출력한 후 다시 슬립 모드로 전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처리부로 활성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멀티미디어처리부가 활성화 되면 상기 스위치부가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제1제어부로 전달하지 않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터치패드에 포함되며, 돔 스위치(Dome Switch)를 포함하는 돔 시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활성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위치부가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멀티미디어처리부로 전달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주기마다 상기 멀티미디어처리부가 활성 모드 상태인지 체크하고, 상기 멀티미디어처리부가 활성 모드 상태가 아니면 상기 스위치부가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제1제어부로 전달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처리부는
    활성 모드에서 비활성 모드로 전환 시 비활성 모드로의 전환을 알리는 신호 를 상기 제1제어부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처리부로부터 비활성 모드로의 전환을 알리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위치부가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제1제어부로 전달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12. 터치패드와, 활성 모드에서 상기 터치패드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의 눌림을 감지하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부와,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제어부를 활성화 시키는 활성신호를 출력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음성 및 영상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매체를 처리하는 멀티미디어처리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슬립모드 상태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전달되면 활성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멀티미디어처리부를 활성화 시키는 활성 신호를 출력한 후 다시 슬립모드로 전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전달되어 활성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멀티미디어처리부가 활성 모드 상태인지 판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처리부가 활성 모드 상태이면 상기 활성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터치패드에 포함되며, 돔 스위치(Dome Switch)를 포함하는 돔 시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KR1020070050330A 2006-07-10 2007-05-23 터치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KR100827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330A KR100827150B1 (ko) 2006-07-10 2007-05-23 터치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US11/764,963 US10133339B2 (en) 2006-07-10 2007-06-19 Apparatus for driving a touch pad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EP07013065.3A EP1879096B1 (en) 2006-07-10 2007-07-04 Apparatus for driving a touch pad of a portable terminal
EP20153165.4A EP3663893B1 (en) 2006-07-10 2007-07-04 Apparatus for driving a touch pad of a portable terminal
CNB2007101362122A CN100543650C (zh) 2006-07-10 2007-07-10 用于驱动触摸板的装置和具有该装置的便携式终端
US16/132,034 US10338667B2 (en) 2006-07-10 2018-09-14 Apparatus for driving a touch pad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16/423,886 US10579127B2 (en) 2006-07-10 2019-05-28 Apparatus for driving a touch pad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16/748,237 US11112851B2 (en) 2006-07-10 2020-01-21 Apparatus for driving a touch pad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420 2006-07-10
KR20060064420 2006-07-10
KR1020070050330A KR100827150B1 (ko) 2006-07-10 2007-05-23 터치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846A true KR20080005846A (ko) 2008-01-15
KR100827150B1 KR100827150B1 (ko) 2008-05-02

Family

ID=38727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0330A KR100827150B1 (ko) 2006-07-10 2007-05-23 터치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10133339B2 (ko)
EP (2) EP1879096B1 (ko)
KR (1) KR100827150B1 (ko)
CN (1) CN100543650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316B1 (ko) * 2008-04-03 2010-07-07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터치감지장치 및 그 터치감지장치와 연결된 전자장치
WO2015012574A1 (en) * 2013-07-23 2015-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portable terminal
CN110337630A (zh) * 2017-02-25 2019-10-15 佩拉泰克控股有限公司 检测机械交互作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150B1 (ko) * 2006-07-10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CN101561734B (zh) * 2008-04-18 2010-10-27 义隆电子股份有限公司 电容式触控装置
CN101598986B (zh) * 2008-06-03 2011-08-24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可节省电源消耗的触碰检测装置
CN101635999B (zh) * 2008-07-23 2011-12-28 佛山市顺德区顺达电脑厂有限公司 通信传输系统及其方法
TWI397807B (zh) * 2009-02-23 2013-06-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可節省電能的觸控裝置及其相關方法
US9001071B2 (en) * 2009-02-23 2015-04-07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Energy-efficient touch panel device and related method
WO2010115315A1 (zh) * 2009-04-10 2010-10-14 Sheng Yongxiang 用户识别系统及其启动装置及启动方法
US8253712B2 (en) * 2009-05-01 2012-08-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of operating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ouch sensitive interfaces using force/deflection sensing and related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EP2315102B1 (en) * 2009-10-02 2018-01-31 BlackBerry Limited A low power wakeup detection circuit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low power wakeup detection circuit
US8780055B2 (en) 2009-10-02 2014-07-15 Blackberry Limited Low power wakeup detection circuit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low power wakeup detection circuit
JP5655515B2 (ja) * 2010-11-11 2015-01-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テーブル、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携帯端末、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747797B1 (ko) * 2011-01-26 201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타 인터페이스 및 그것의 전원 관리 방법
FR2973129B1 (fr) * 2011-03-21 2013-03-29 Delphi Tech Inc Panneau de commande a touches resistives
US8982062B2 (en) * 2011-05-09 2015-03-17 Blackberry Limited Multi-modal user input device
US9299036B2 (en) 2011-08-31 2016-03-29 Striiv, Inc. Life pattern detection
WO2013033631A1 (en) * 2011-08-31 2013-03-07 Striiv, Inc. Life pattern detection
KR101850034B1 (ko) * 2012-01-06 2018-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915424B2 (ja) * 2012-07-09 2016-05-11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
KR102045511B1 (ko) 2012-07-18 2019-1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센서 허브를 포함하는 단말기 및 단말기의 제어 방법
JP6012437B2 (ja) * 2012-11-29 2016-10-25 シナプティ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半導体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089456B1 (ko) * 2013-06-17 2020-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1338501A (zh) * 2020-02-10 2020-06-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压感振动处理方法和装置、移动终端及电子设备
CN113054984B (zh) * 2021-05-20 2021-11-05 上海艾为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压感检测电路、芯片、系统及压感检测方法
TWI787042B (zh) * 2022-01-05 2022-12-11 大陸商北京集創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觸控數據傳輸方法、觸控數據傳輸控制電路及資訊處理裝置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602849A (nl) 1986-11-11 1988-06-01 Philips Nv Inrichting voor het emuleren van een microcontroller, middels gebruik maken van een moedermicrocontroller en een dochtermicrocontroller, moedermicrocontroller, respektievelijk dochtermicrocontroller voor gebruik in zo een inrichting, geintegreerde schakeling voor gebruik in zo een dochtermicrocontroller en microcontroller bevattende zo een geintegreerde schakeling.
FR2686440B1 (fr) * 1992-01-17 1994-04-01 Sextant Avionique Dispositif de gestion multimode d'un curseur sur l'ecran d'un dispositif d'affichage.
US5543588A (en) * 1992-06-08 1996-08-06 Synaptics, Incorporated Touch pad driven handheld computing device
US5734373A (en) * 1993-07-16 1998-03-31 Immersion Human Interfac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orce feedback interface systems utilizing a host computer
EP0772119A3 (en) 1995-10-31 1997-12-29 Cirrus Logic, Inc. Automatic graphics operation
US5943500A (en) * 1996-07-19 1999-08-24 Compaq Computer Corporation Long latency interrupt handling and input/output write posting
US5995084A (en) * 1997-01-17 1999-11-30 Tritech Microelectronics, Ltd. Touchpad pen-input and mouse controller
KR100275685B1 (ko) * 1997-04-11 2000-12-15 윤종용 펜과 터치패널을 이용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시동장치 및 시동방법
US20030107557A1 (en) * 1997-07-30 2003-06-12 Gateway, Inc. Control of unintended single-tap actuation of a computer touch pad pointing device
US6050490A (en) * 1997-10-31 2000-04-18 Hewlett-Packard Company Handheld writing device and related data entry system
EP1601172B1 (en) * 1997-12-29 2007-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pad
US20040090423A1 (en) * 1998-02-27 2004-05-13 Logitech Europe S.A. Remote controlled video display GUI using 2-directional pointing
US6429846B2 (en) * 1998-06-23 2002-08-06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feedback for touchpads and other touch controls
US6680729B1 (en) * 1999-09-30 2004-01-20 Immersion Corporation Increasing force transmissibility for tactile feedback interface devices
US6822635B2 (en) * 2000-01-19 2004-11-23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interface for laptop computers and other portable devices
US6715078B1 (en) 2000-03-28 2004-03-30 Ncr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ur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and data encryption
US20020173344A1 (en) 2001-03-16 2002-11-21 Cupps Bryan T. Novel personal electronics device
US6990594B2 (en) * 2001-05-02 2006-01-24 Portalplayer, Inc. Dynamic power management of devices in computer system by selecting clock generator output based on a current state and programmable policies
KR100374771B1 (ko) * 2001-05-17 2003-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형 전화기 및 휴대형 정보 단말기가 복합된 휴대형복합 무선 단말기
US20020180704A1 (en) * 2001-05-30 2002-12-05 Rudd Michael L. Automatic disabling of computer keyboard insertion point control during typing
CN1582465B (zh) * 2001-11-01 2013-07-24 伊梅森公司 输入设备以及包含该输入设备的移动电话
US7002553B2 (en) 2001-12-27 2006-02-21 Mark Shkolnikov Active keyboard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20030198008A1 (en) 2002-04-18 2003-10-23 Gateway, Inc. Computer having detachable wireless independently operable computer
AU2003239385A1 (en) 2002-05-10 2003-11-11 Richard R. Reisma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wsing using multiple coordinated device
JP2006500642A (ja) * 2002-08-02 2006-01-05 サー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タッチゾーンを持つ単層タッチパッド
KR100455161B1 (ko) * 2002-09-30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프로세서를 이용하는 단말기의 저전력 엘씨디 표시방법
US7382360B2 (en) * 2003-04-15 2008-06-03 Synaptics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changing the appearance of a position sensor with a light effect
US7200781B2 (en) * 2003-05-14 2007-04-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tecting and diagnosing a malfunctioning host coupled to a communications bus
US7506152B2 (en) * 2003-08-11 2009-03-17 Lg Electronics Inc. Convertible computer with selective loading of an operating system based on a tablet or notebook mode
US7499040B2 (en) * 2003-08-18 2009-03-03 Apple Inc. Movable touch pad with added functionality
US20060181517A1 (en) * 2005-02-11 2006-08-17 Apple Computer, Inc. Display actuator
US20050057489A1 (en) * 2003-09-03 2005-03-17 Shao-Tsu Kung Cooperative keyboard and touchpad control method
US7222206B2 (en) 2003-09-18 2007-05-22 Vulcan Portals, Inc. Removable modul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tand-alone and system functionality
US20050066209A1 (en) 2003-09-18 2005-03-24 Kee Martin J.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high and low power processors operable in a low power mode
US7167162B2 (en) * 2003-12-12 2007-01-23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pointer
KR101080530B1 (ko) * 2004-04-30 2011-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및 그의 전력 절약방법
JP2006018546A (ja) * 2004-07-01 2006-01-19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US20060119585A1 (en) * 2004-12-07 2006-06-08 Skinner David N Remote control with touchpad and method
KR100722278B1 (ko) * 2005-08-26 2007-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134874B1 (ko) * 2005-09-16 201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패드 제어장치 및 방법
US7659887B2 (en) * 2005-10-20 2010-02-09 Microsoft Corp. Keyboard with a touchpad layer on keys
US7606552B2 (en) * 2005-11-10 2009-10-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ng an electronic device
KR100791378B1 (ko) * 2005-12-29 2008-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양한 입력 모드를 지원하는 사용자 명령 입력 장치 및이를 이용한 기기
KR101230309B1 (ko) * 2006-01-27 2013-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감지 신호 처리 장치
KR100827150B1 (ko) * 2006-07-10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KR100724961B1 (ko) * 2006-07-28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및 방법
US8161395B2 (en) * 2006-11-13 2012-04-17 Cisco Technology, Inc. Method for secure data entry in an application
ITTO20060861A1 (it) * 2006-12-04 2008-06-05 St Microelectronics Srl Dispositivo sensore dotato di un circuito di rilevamento di eventi singoli o multipli per la generazione di corrispondenti segnali di interruzione
KR100881083B1 (ko) * 2006-12-28 2009-01-30 (주)멜파스 복합 입력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US8295453B2 (en) * 2008-11-25 2012-10-23 Mediatek Inc. Phone
KR20100065640A (ko) * 2008-12-08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의 햅틱 피드백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316B1 (ko) * 2008-04-03 2010-07-07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터치감지장치 및 그 터치감지장치와 연결된 전자장치
WO2015012574A1 (en) * 2013-07-23 2015-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portable terminal
US9625969B2 (en) 2013-07-23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a portable terminal
CN110337630A (zh) * 2017-02-25 2019-10-15 佩拉泰克控股有限公司 检测机械交互作用
CN110337630B (zh) * 2017-02-25 2023-07-14 佩拉泰克控股有限公司 检测机械交互作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63893B1 (en) 2024-03-20
US20200159309A1 (en) 2020-05-21
EP1879096A2 (en) 2008-01-16
US20190011974A1 (en) 2019-01-10
US10133339B2 (en) 2018-11-20
CN100543650C (zh) 2009-09-23
US10338667B2 (en) 2019-07-02
EP1879096B1 (en) 2020-04-01
EP3663893A1 (en) 2020-06-10
US20190278358A1 (en) 2019-09-12
EP1879096A3 (en) 2011-03-09
US10579127B2 (en) 2020-03-03
CN101105712A (zh) 2008-01-16
US20080007536A1 (en) 2008-01-10
US11112851B2 (en) 2021-09-07
KR100827150B1 (ko) 200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150B1 (ko) 터치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KR101572071B1 (ko) 휴대단말 표시부의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296869B1 (ko)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US6424844B1 (en) Portable telephone
US201100128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control
KR20110019189A (ko) 이벤트 발생 알림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JP6372154B2 (ja) 携帯端末装置、その動作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US2016017055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1833281B1 (ko) 전자기기에서 터치패드 오동작 방지 방법 및 장치
KR101343610B1 (ko)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JP2000278383A (ja) 携帯機器の表示照明構造及び表示照明方法。
KR101415184B1 (ko)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EP2075994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automatic switching between two modes of operation
KR20140030033A (ko) 정보 표시를 위한 저전력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079710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100086264A (ko) 특정 패턴의 터치 입력에 따라 터치 모드의 전환이 가능한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3342186A (zh) 手写笔和实现橡皮擦功能的方法
JP2006072871A (ja) 情報処理装置
KR100987431B1 (ko) 터치센서를 이용한 메시지 확인 휴대폰 및 메시지 확인 방법
JP2001119476A (ja) 携帯電話機及びそれに用いる省電力方法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40051957A (ko) 키보드백라이트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KR20050060647A (ko) 움직임 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0276268A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
KR20060114548A (ko) 입력/출력 수단의 잠금 장치 및 방법
KR20050073234A (ko) 액정표시장치 구동 센서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