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033A - 정보 표시를 위한 저전력 감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표시를 위한 저전력 감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033A
KR20140030033A KR1020130093602A KR20130093602A KR20140030033A KR 20140030033 A KR20140030033 A KR 20140030033A KR 1020130093602 A KR1020130093602 A KR 1020130093602A KR 20130093602 A KR20130093602 A KR 20130093602A KR 20140030033 A KR20140030033 A KR 20140030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imity
portable terminal
low power
sensor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5967B1 (ko
Inventor
오지헌
홍현수
박성민
이재면
정현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JP2013176405A priority Critical patent/JP6285664B2/ja
Priority to CN201310381759.4A priority patent/CN103677559B/zh
Priority to EP16192095.4A priority patent/EP3156876B1/en
Priority to US14/012,288 priority patent/US9501127B2/en
Priority to EP13182002.9A priority patent/EP2703946B1/en
Publication of KR20140030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033A/ko
Priority to US15/350,811 priority patent/US1033866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표시를 위한 저전력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이 대기 상태일 때 저전력 감지 관리부가 근접 감지 센서를 구동하여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움직임 감지 센서를 구동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휴대 단말의 움직임을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휴대 단말의 움직임이 없으면 화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근접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근접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 전달함으로써 저전력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정보 표시를 위한 저전력 감지 장치 및 방법{LOW POWER SENSING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저전력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이 대기 상태일 때 저전력으로 신체 일부 또는 물체의 근접을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화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저전력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휴대 단말의 간단한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시 휴대 단말의 전원 온 버튼을 눌러서 휴대 단말의 상태를 대기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킨다.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휴대 단말은 간단한 정보, 예를 들어, 배터리 상태, 충전 상태, 현재 시간, 미확인한 메시지, 미확인한 전화, 현재 재생중인 음악 정보, 컨텐츠 다운로드 정보 등을 표시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활성화 상태인 휴대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이 사용자의 신체 일부 또는 물체의 근접을 감지하는 근접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근접 감지 센서를 통해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 또는 물체의 근접이 감지되면 휴대 단말의 화면에 간단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의 전원 온 버튼을 누를 필요 없이 편리하게 휴대 단말의 간단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단말기는 휴대 단말에 대한 간단한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시 전원 온 버튼 또는 근접 감지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의 동작 상태를 대기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휴대 단말의 화면에 간단한 정보를 표시하였다.
하지만, 종래에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의 간단한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때마다 휴대 단말의 전원 온 버턴을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휴대 단말의 근접 감지 센서가 계속적으로 동작하면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 또는 물체의 근접을 감지하기 때문에 휴대 단말이 계속적으로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전력을 소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휴대 단말의 근접 감지 센서를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지 않은 근접을 감지한 경우라도 휴대 단말의 상태를 대기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였기 때문에 잦은 전환으로 인한 휴대 단말의 전체 대기시간을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저전력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근접을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화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저전력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보 표시를 위한 저전력 감지 장치에 있어서, 휴대 단말에 대한 근접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와,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근접이 감지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을 판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이 없으면 상기 감지된 근접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저전력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전력 감지 장치에서 정보 표시를 위한 감지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에 대한 근접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근접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근접이 감지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이 없으면 상기 감지된 근접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의 간단한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시 휴대 단말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유효한 근접 데이터만을 감지하여 휴대 단말의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휴대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효한 근접 데이터만을 감지하여 휴대 단말의 상태를 전환하기 때문에 휴대 단말의 잦은 전환을 줄이고, 휴대 단말이 전체 대기시간을 늘릴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감지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저전력 감지 장치의 저전력 관리부가 움직임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움직임 감지 신호에 대한 예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근접 감지 및 움직임 감지를 통해서 저전력 감지 장치가 미리 설정된 화면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화면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이 대기 상태일 때 저전력 감지 관리부가 근접 감지 센서를 구동하여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움직임 감지 센서를 구동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휴대 단말의 움직임을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휴대 단말의 움직임이 없으면 화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근접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근접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 전달함으로써 저전력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감지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저전력 감지 장치(100),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 표시부(210), 입력부(220), 근접 감지 센서(230), 움직임 감지 센서(240)를 포함한다.
먼저, 도 1의 저전력 감지 장치(100)는 저전력 관리부(110), 인터럽트부(120), 타이머(130), 메모리부(140), 제1 버스(150), 제2 버스(160), 제3 버스(170)를 포함한다.
저전력 관리부(110)는 저전력 감지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데, 특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가 슬립모드인 상태에서 근접 감지 센서(230)를 구동시키고, 인터럽트부(120)로부터 근접 인터럽트 발생이 감지되면 움직임 감지 센서(240)를 구동시킨다.
저전력 관리부(110)는 움직임 감지 센서(240)를 통해서 휴대 단말의 자세가 미리 설정된 판단 조건에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판단 조건은 휴대 단말의 x축, y축, z축의 각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움직임 감지 센서(240)는 가속도 센서가 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의 수평 방향에 따라 회전된 회전각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출된 회전각이 미리 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여 회전각이 미리 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포함되면 저전력 관리부(110)는 미리 설정된 판단 조건에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회전각이 미리 설정된 임계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판단 조건에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의 수평방향에 따라 회전된 회전각이 0°인 경우 이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포함되면 저전력 관리부(110)는 미리 설정된 판단 조건에 만족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휴대 단말의 자세가 미리 설정된 판단 조건에 만족하면 저전력 관리부(11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 감지 센서(24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움직임으로 확인되는 감지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휴대 단말의 자세가 미리 설정된 판단 조건에 만족하지 않으면 저전력 관리부(110)는 움직임 감지 센서의 구동을 중지하고, 다음 근접 인터럽트의 발생을 기다린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근접 상황이 아니라 근접 외 상황인 경우에 휴대 단말의 상태가 대기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 감지 센서(24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움직임으로 확인되는 감지신호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저전력 관리부(110)는 움직임 감지 센서(240)의 구동을 중지하고, 다음 근접 인터럽트의 발생을 기다린다.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 감지 센서(24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움직임으로 확인되는 감지신호가 포함되지 않으면 저전력 관리부(11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저전력 관리부(110)가 움직임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신호로부터 움직임을 판단하는 과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저전력 감지 장치의 저전력 관리부가 움직임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움직임 감지 신호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저전력 관리부(110)는 움직임 판단을 위해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을 미리 설정된 개수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분할 시간 구간마다 입력되는 감지신호로부터 미리 설정된 임계값(TH) 이상이 되는 값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저전력 관리부(110)는 감지신호가 상기의 임계값 이상이면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감지신호가 상기의 임계값 미만이면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은 움직임 감지 센서(240)가 움직임을 판단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최소한의 시간을 의미한다.
특정 분할 시간 구간에서의 감지신호가 임계값 이상이면 저전력 관리부(110)는 다음 분할 시간 구간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만큼 미리 설정된 개수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분할 시간 구간마다 입력되는 감지신호가 임계값 이상인지를 다시 판단한다. 이때, 저전력 관리부(110)는 이전 분할 시간 구간과 현재 분할 시간 구간을 비교하여 움직임이 감지된 분할 시간 구간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전력 관리부(110)는 미리 설정된 T10 시간 구간을 10개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10개의 분할 시간 구간 0~T1, T1~T2, T2~T3, T3~T4, T4~T5, T5~T6, T6~T7, T7~T8, T8~T9, T9~T10에 입력되는 감지신호가 임계값(TH)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분할 시간 구간 T5~T6가 임계값 이상의 값을 가진다면 저전력 관리부(110)는 움직임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한다. 이후 저전력 관리부(110)는 움직임이 감지된 분할 시간 구간 이후부터 다시 미리 설정된 T 시간 구간을 10개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10개의 분할 시간 구간에 입력되는 감지신호가 임계값(TH)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내에서 계속적으로 움직임이 감지되면 저전력 관리부(110)는 움직임 감지 센서의 구동을 중지하고, 다음 근접 인터럽트의 발생을 기다린다.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내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저전력 관리부(110)는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화면 정보의 표시를 위한 근접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로 전달하고, 움직임 감지 센서(240) 및 근접 감지 센서(230)의 구동을 중지한다.
근접 데이터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는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화면 정보를 표시부(210)를 통해서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는 휴대 단말의 현재 시간, 날짜, 부재중 통화, 부재중 메시지, 배터리 잔량, 재생중인 음악 등과 같은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 정보를 표시부(210)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정보는 설정된 알람에 관련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알람 시간 및 현재 시간에서 알람 시간까지의 남은 시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는 남은 시간이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미만일 경우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휴대 단말은 이러한 화면 정보를 표시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대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이 이러한 단말 정보를 텍스트, 이미지 등과 같은 화면으로 표시하였으나, 음성을 이용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가 단말 정보를 텍스트, 이미지 등과 같은 화면으로 구성하여 표시하고, 단말 정보를 음성 데이터로 구성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본 발명에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가 별도의 화면 표시 없이 단말 정보를 음성 데이터만으로 구성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알람에 관련된 정보를 음성 데이터로 출력할 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는 현재 시간, 현재 시간에서 알람 시간까지 남은 시간, 주변 밝기 등의 조건들을 고려하여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의 음량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인터럽트부(120)는 근접 감지 센서(230) 또는 움직임 감지 센서(240)로부터 발생된 인터럽트를 감지하여 저전력 관리부(110)로 전달한다.
타이머(130)는 특정한 시간 간격으로 숫자를 카운팅한다.
메모리부(140)는 화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근접 데이터를 미리 저장한다. 이러한 근접 데이터는 휴대 단말에 미리 설정된 화면 정보와 대응되도록 저장된다.
제1 버스(150)는 저전력 관리부(110)와 타이머(130) 및 메모리부(14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제2 버스(160)는 저전력 관리부(110)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제3 버스(170)는 저전력 관리부(110)와 근접 감지 센서(230) 및 움직임 감지 센서(24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다음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는 휴대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데, 특히 저전력 관리부(200)로부터 근접 데이터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화면 정보를 표시부(21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한다.
표시부(21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표시부(210)는 LCD 이외에 다양한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210)는 휴대 단말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표시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220)는 키 입력을 위한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키 입력 수단,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입력을 위한 포인팅 입력 수단,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 입력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수신된 입력 신호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로 전달한다.
근접 감지 센서(230)는 사람의 신체 일부 또는 물체가 접촉되기 전에 근접하였을 때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근접 감지 센서(230)는 적외선, 레이저, 초음파, 조도 센서 또는 정전압 방식 터치스크린을 활동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240)는 사람 또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움직임 감지 센서(240)는 가속도, 자이로, 지자기, 중력 센서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저전력 전자 장치(100)가 주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더 구비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대기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유효한 동작만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저전력 감지 장치(100)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와 분리되어 구현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 내 서브코어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에는 저전력 감지 장치(100)를 위한 서브코어가 추가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는 버스 또는 레지스터를 통해서 저전력 감지 장치(100)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대기상태에서 휴대 단말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휴대 단말의 자세를 판단하고, 판단된 휴대 단말의 자세가 휴대 단말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조건에 만족하는 경우 휴대 단말을 활성화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휴대 단말이 거치대에 연결되어 있는지 또는 휴대 단말이 대기상태에서 백그라운드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지를 판단하여 이에 연관된 화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먼저 휴대 단말이 거치대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화면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저전력 관리부(110)는 휴대 단말의 슬립모드에서 휴대 단말이 거치대와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휴대 단말이 거치대와 연결되면 휴대 단말의 상태를 슬립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한다. 이후 저전력 관리부(110)는 근접 감지 센서(230)를 구동하여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되는지 판단하고,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근접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로 전달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는 음성 인식을 통해서 휴대 단말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인식 모드로 수행하면서 음성인식을 위한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부(210)를 통해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차량 내 거치대와의 연결이 인식되면 저전력 관리부(110)는 휴대 단말의 상태를 사용자의 차량 운전을 위한 운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음악 재생중인 음악 재생 모드의 휴대 단말이 음악 재생 장치의 독(dock) 거치대와의 연결이 인식되면 저전력 관리부(110)는 근접 감지 센서(230)를 구동시키고,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되는지 판단한다. 거치대와의 연결이 인식되지 않으면 저전력 관리부(110)는 음악 재생 모드를 유지한다.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저전력 관리부(110)는 근접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로 전달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는 재생중인 음악에 관련된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부(210)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재생중인 음악에 관련된 화면은 음악에 관련된 아티스트, 가사 등과 같은 음악 정보와 음악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되지 않으면 저전력 관리부(110)는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되는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이 대기상태에서 백그라운드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지 여부에 따라 화면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휴대 단말의 상태를 슬립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백그라운드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저전력 관리부(110)는 근접 감지 센서(230)를 구동하여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되는지 판단하고,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백그라운드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부(210)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 백그라운드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화면은 스마트폰과 다른 스마트폰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데이터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를 위한 시간, 데이터 용량 등과 같은 진행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유효한 동작만을 감지함으로써 휴대 단말이 저전력으로 미리 설정된 화면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근접 감지 및 움직임 감지를 통해서 저전력 감지 장치가 미리 설정된 화면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따르면, 300단계에서 저전력 관리부(11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가 슬립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슬립모드이면 301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00단계에서 계속적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가 슬립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301단계에서 저전력 관리부(110)는 근접 감지 센서(230)를 구동하고, 302단계에서 인터럽트부(120)를 통해서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303단계로 진행하고,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302단계에서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
304단계에서 저전력 관리부(110)는 움직임 감지 센서(240)를 통해서 휴대 단말의 자세가 미리 설정된 판단 조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판단 조건에 포함되면 306단계로 진행하고, 미리 설정된 판단 조건에 포함되지 않으면 305단계로 진행하여 움직임 감지 센서(240)의 구동을 중지하고, 302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303단계에서 304단계를 수행한다.
306단계에서 저전력 관리부(11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서, 저전력 관리부(110)는 움직임 감지 센서(24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움직임으로 확인되는 감지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이 있으면 저전력 관리부(110)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움직임 감지 센서(240)의 구동을 중지하고, 302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303단계에서 304단계를 수행한다.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으면 저전력 관리부(110)는 a단계로 진행하여 다음의 도 4에서의 a 단계 이후를 수행한다.
도 4에 따르면, a 단계에서 400단계로 진행한 저전력 관리부(11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을 경과했으면 401단계로 진행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지 않았으면 b 단계에서 도 3의 b 단계로 진행한다. 이후 저전력 관리부(110)는 306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도 4의 단계들을 수행한다.
400단계에서 401단계로 진행한 저전력 관리부(110)는 화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근접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로 전달한다.
402단계에서 저전력 관리부(110)는 움직임 감지 센서(230)의 구동을 중지하고, 403단계에서 근접 감지 센서(230)의 구동을 중지한 후 근접 감지에 의한 근접 데이터 전달 과정을 종료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화면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거치대와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500단계에서 휴대 단말이 슬립 모드인 상태에서 저전력 관리부(110)는 501단계에서 휴대 단말이 차량 거치대와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휴대 단말이 차량 거치대와 연결되어 있으면 502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휴대 단말이 차량 거치대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
502단계에서 저전력 관리부(110)는 휴대 단말의 상태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한다.
503단계에서 저전력 관리부(110)는 근접 감지 센서(230)를 구동하여 504단계에서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는 505단계에서 음성인식 모드를 실행하고,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되지 않으면 504단계에서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되는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저전력 관리부(110)는 음성인식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근접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로 전달한다. 이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휴대 단말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는 음성인식 모드를 실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악 재생 시 음악 재생 장치의 독 거치대와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600단계에서 휴대 단말이 음악 재생 모드인 상태에서 저전력 관리부(110)는 601단계에서 휴대 단말이 음악 재생 장치의 독 거치대와 연결되어 있으면 602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음악 재생 장치의 독 거치대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
602단계에서 저전력 관리부(110)는 근접 감지 센서(230)를 구동하여 603단계에서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는 604단계에서 재생중인 음악에 관련된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부(210)를 통해서 표시하고,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되지 않으면 603단계에서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저전력 관리부(110)는 재생중인 음악에 관련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근접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로 전달한다. 이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는 재생 중인 음악에 관련된 아티스트, 곡 이름, 가사, 재생 시간 등을 포함하는 음악 정보와 음악 재생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부(210)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700단계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에서 저전력 관리부(11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702단계로 진행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701단계에서 계속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
702단계에서 저전력 관리부(110)는 휴대 단말의 상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
703단계에서 저전력 관리부(110)는 근접 감지 센서(230)를 구동하여 704단계에서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되는지를 판단한다.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저전력 관리부(110)는 705단계로 진행하고,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되지 않으면 704단계에서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되는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
705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는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부(210)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근접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저전력 관리부(110)는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근접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로 전달한다. 이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0)는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이름, 설명, 상세 정보 등을 포함하는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부(210)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과 다른 스마트폰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표시되는 화면은 데이터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를 위한 시간, 데이터 용량 등과 같은 진행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백그라운드로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만보기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모두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전력 감지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전력 감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저전력 감지 장치가 기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저전력 감지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저전력 감지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저전력 감지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100: 저전력 감지 장치
110: 저전력 관리부
120: 인터럽트부
130: 타이머
140: 메모리부
150: 제1 버스
160: 제2 버스
170: 제3 버스
200: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210: 표시부
220: 입력부
230: 근접 감지 센서
240: 움직임 감지 센서

Claims (14)

  1. 정보 표시를 위한 저전력 감지 장치에 있어서,
    휴대 단말에 대한 근접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와,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근접이 감지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을 판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이 없으면 상기 감지된 근접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저전력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근접을 감지하는 근접 감지 센서와,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감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감지 센서에 대한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인터럽트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저전력 관리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상태가 슬립 모드이면 상기 근접 감지 센서를 구동시키고, 상기 인터럽트부를 통해서 상기 근접 감지 센서에 대한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감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관리부는,
    상기 구동된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자세가 미리 설정된 판단 조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판단 조건에 포함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판단 조건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감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판단 조건은,
    상기 휴대 단말의 x, y, z 축의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감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관리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x, y, z 축의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휴대 단말의 x, y, z 축의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 값 미만이면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감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관리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의 구동을 중지시킨 후 다음 인터럽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감지된 근접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감지 장치.
  8. 저전력 감지 장치에서 정보 표시를 위한 감지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에 대한 근접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근접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근접이 감지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이 없으면 상기 감지된 근접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를 위한 감지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근접을 감지하는 근접 감지 센서와,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를 위한 감지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상태가 슬립 모드이면 상기 근접 감지 센서를 구동시키는 과정과,
    상기 근접 감지 센서에 대한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구동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를 위한 감지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된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자세가 미리 설정된 판단 조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설정된 판단 조건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판단 조건에 포함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를 위한 감지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판단 조건은,
    상기 휴대 단말의 x, y, z 축의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를 위한 감지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자세가 미리 설정된 판단 조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 단말의 x, y, z 축의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의 x, y, z 축의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 값 미만이면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를 위한 감지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휴대 단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의 구동을 중지시킨 후 다음 인터럽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를 위한 감지 방법.
KR1020130093602A 2012-08-28 2013-08-07 정보 표시를 위한 저전력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105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76405A JP6285664B2 (ja) 2012-08-28 2013-08-28 情報表示のための低電力感知装置及び方法
CN201310381759.4A CN103677559B (zh) 2012-08-28 2013-08-28 用于显示信息的低功率检测设备和方法
EP16192095.4A EP3156876B1 (en) 2012-08-28 2013-08-28 Low power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14/012,288 US9501127B2 (en) 2012-08-28 2013-08-28 Low power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EP13182002.9A EP2703946B1 (en) 2012-08-28 2013-08-28 Low power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15/350,811 US10338662B2 (en) 2012-08-28 2016-11-14 Low power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066 2012-08-28
KR20120094066 2012-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033A true KR20140030033A (ko) 2014-03-11
KR102105967B1 KR102105967B1 (ko) 2020-05-06

Family

ID=50642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602A KR102105967B1 (ko) 2012-08-28 2013-08-07 정보 표시를 위한 저전력 감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9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1926B2 (en) 2016-11-22 2019-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20111718A1 (ko) * 2018-11-28 2020-06-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상황을 감지하는 방법
WO2022220479A1 (ko) * 2021-04-15 2022-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객체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628A (ko) * 2021-04-13 2022-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85808A1 (en) * 2005-11-10 2007-05-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ng an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85808A1 (en) * 2005-11-10 2007-05-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ng an electronic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1926B2 (en) 2016-11-22 2019-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20111718A1 (ko) * 2018-11-28 2020-06-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상황을 감지하는 방법
US11826901B2 (en) 2018-11-28 2023-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state thereof
WO2022220479A1 (ko) * 2021-04-15 2022-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객체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967B1 (ko) 202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8662B2 (en) Low power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EP3652612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mode switching and storage medium thereof
US840149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2125834B1 (ko)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전력 관리 방법
EP3627730B1 (en)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2336368B1 (ko)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021311A (ko) 단말기의 배터리 절약 방법 및 장치
KR20140076261A (ko) 펜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및 방법
KR20140005406A (ko)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4765447A (zh) 限制通知中断
US9431983B2 (en) Volume adjusting method, volume adjus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4657057A (zh) 终端唤醒方法及装置
EP2485120B1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0902955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accessory loss
JP2016509823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パラメータの制御
US20170010691A1 (en) Mobile device
US1034195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954441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figuring a mobile device based on an orientation-based usage context
KR102105967B1 (ko) 정보 표시를 위한 저전력 감지 장치 및 방법
JP2013206058A (ja) 電源管理装置、電源管理方法、及び電源管理プログラム
US20160165039A1 (en) Terminal device
KR101897828B1 (ko)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02456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
KR102203349B1 (ko) 대기상태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그 방법
CN111930509A (zh) 智能眼镜的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