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071B1 - 휴대단말 표시부의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 표시부의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071B1
KR101572071B1 KR1020090000872A KR20090000872A KR101572071B1 KR 101572071 B1 KR101572071 B1 KR 101572071B1 KR 1020090000872 A KR1020090000872 A KR 1020090000872A KR 20090000872 A KR20090000872 A KR 20090000872A KR 101572071 B1 KR101572071 B1 KR 101572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portable terminal
touch
touch screen
capaci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1575A (ko
Inventor
문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0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071B1/ko
Priority to US12/652,860 priority patent/US20100173679A1/en
Publication of KR20100081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단말에서 상기 휴대단말이 통화모드에 존재할 때,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 물체의 접촉영역에 대응하여 표시부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 표시부의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 표시부의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통화모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에 발생하는 터치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되는 영역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되는 영역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를 오프(Off)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부의 오프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발생하는 터치 해제 감지 시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를 온(On)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휴대단말, 터치스크린, 정전용량, LCD

Description

휴대단말 표시부의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N/OFF OF LIQUID CRYSTAL DISPLAY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표시부(LCD, Liquid Crystal Display)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에 구비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휴대단말의 표시부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 표시부의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단말은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휴대단말의 동작 상태 정보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한다. 이러한 표시부는 휴대단말이 통화모드에 존재하는 상태에서도 일정시간 이상 온(ON) 상태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단말에서는 통화모드에서 표시부의 전원 공급으로 인해, 불필요한 전원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결국, 휴대단말의 사용시간을 단축하게 된다.
특히, 휴대단말 표시부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온/오프를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통화 대기상태 및 통화 중에도 지속적으로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단말을 귀에 밀착시켜 통화하는 상태에서도 표시부로 통 화 상태 및 통화 시간을 나타내는 등의 정보가 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가 휴대단말을 귀에 밀착한 상태이므로 표시부에 나타나는 정보를 볼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표시부 구동으로 인해 불필요한 배터리 전원만 낭비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사용자가 표시부를 보지 않더라도 표시부에 일정 전원을 불필요하게 계속적으로 소모하게 된다.
이에, 휴대단말의 불필요한 전원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표시부에 의한 불필요한 전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여러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예시로, 종래에서는 휴대단말에서 발신을 위한 통화키 입력이나 통화호출에 따른 통화 응답키 입력에 따라 통화가 형성되면, 표시부의 전원을 오프 하고 통화 종료 후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하는 방안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다른 예시로, 종래에서는 휴대단말에 근접센서 등을 장착하고, 상기 근접센서에 의하여 사용자의 얼굴과 같은 인체의 접근을 인지할 시, 표시부를 오프(OFF)하도록 하는 방안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방안들은 통화 중 표시부 구동에 따른 불필요한 전원 소모를 차단하는 효과는 있으나, 통화 중에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나, 또는 이어폰이나 핸즈프리 장치를 이용한 통화 중에 휴대단말을 이용해 간단한 메모를 작성하거나, 통화 중 착신되는 호 신호의 발신자를 확인하는 등의 휴대단말의 부가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근접센서를 이용한 방안의 경우, 표시부 제어를 위한 근접센서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실장해야 하기 때문에, 휴대단말의 제조원가 상승 및 실장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근접센서의 구동을 위한 별도의 전원을 공급해야 함에 따라 그에 따른 전원 낭비 역시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의 통화모드에서 표시부의 온/오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화모드에 존재하는 휴대단말의 표시부 온/오프를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의 통화모드에서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 물체(인체)의 접촉영역에 따라 표시부의 온/오프 및 일반 터치입력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 표시부의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 표시부의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통화모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에 발생하는 터치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되는 영역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되는 영역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를 오프(Off)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부의 오프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발생하는 터치 해제 감지 시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를 온(On)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고 그의 정보를 제공하는 터치감지부와, 상기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에 따라 온/오프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휴대단말의 통화모드에서 상기 터치감지부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의하여 터치되는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터치되는 영역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표시부를 오프(Off)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단말 표시부의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휴대단말에서 근접센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휴대단말의 표시부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부 온/오프 제어를 위한 근접센서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휴대단말에서 별도의 하드웨어 부품 추가 없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휴대단말의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표시부(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온/오프(On/Off)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형성되는 LCD의 온/오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은 입력기능 및 출력기능을 가지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LCD 및 터치감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휴대단말의 통화모드 수행 시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상기 LCD의 온/오프를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경우를 대표적인 예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이 반드시 상기 정전용량 방식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응용에 의하여,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표면 초음파 방식(surface acoustic wave), 트랜스미터(transmitter) 방식 및 적외선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의 인체 등과 같이 전도성을 갖는 물체가 터치스크린에 접촉했을 때 발생되는 정전용량(capacitive)의 변화를 통해 터치가 감지된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정전용량의 변화는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물체의 면적에 비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통화모드에서 터치스크린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터치가 감지된 영역(범위)을 식별하고, 상기 감지된 영역에 따라 일반적인 터치입력 동작 및 LCD 온/오프 제어 동작을 구분한다. 이때, 상기 감지된 영역이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LCD를 오프 제어하고, 상기 LCD 오프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할 시 상기 LCD를 다시 온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단말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휴대단말의 LCD를 온/오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LCD의 온/오프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은 통화모드에 진입하면(101단계), LCD 제어모드를 실행한다(103단계). 여기서, 상기 LCD 제어모드는 상기 휴대단말이 통화모드에 존재할 때, 상기 LCD의 온/오프를 적응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모드를 나타낸다. 즉, 상기 휴대단말이 통화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LCD 제어모드 실행에 의해 정전용량 변화에 따른 접촉영역(범위)을 구분하고, 그에 따라 표시부의 온/오프 동작 및 일반적인 터치입력에 의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모드를 나타낸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LCD 제어모드 실행에 의하여, 터치스크린에 발생하는 정전용량 변화를 체크한다(105단계). 즉, 휴대단말은 터치스크린에서 물체의 접근 또는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터치가 감지되는 영역의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은 물체의 접근 또는 접촉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하여 터치가 감지된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정전용량 변화 체크에 의하여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면(107단계), 상기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는 접촉영역을 체크한다(109단계). 여기서, 상기 접촉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물체(사용자의 인체)가 접 촉되는 하나의 포인트 또는 다수개의 포인트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후술하는 도 2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체크에 의하여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된 접촉영역 즉, 포인트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Th1) 이상인지 판단한다(111단계). 상기 임계값은 LCD 오프 제어를 위한 기준이 되는 정전용량 변화를 식별하기 위한 최소한의 포인트 수를 나타내며, 휴대단말의 제조사에 의해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임계값을 낮은 값(적은 개수의 포인트 수)으로 설정할 경우 LCD 오프 제어가 민감(sensitivity)하게 반응할 수 있으며, 상기 임계값을 높은 값(많은 개수의 포인트 수)으로 설정할 경우 LCD 오프 제어가 둔감(insensibility)하게 반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낮은 값(예컨대, 3개의 포인트)으로 설정할 경우 통화모드에 진입에 따른 LCD 제어모드에서는 최소 3개 이상의 영역에서 정전용량 변화가 감지될 시 LCD를 오프 제어한다. 즉, 통화모드에서 최소 3개의 포인트에서만 정전용량 변화가 인지되면 LCD 오프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높은 값(예컨대, 10개의 포인트)으로 설정할 경우 통화모드 진입에 따른 LCD 제어모드에서는 최소 10개 이상의 영역에서 정전용량 변화가 감지될 시 LCD를 오프 제어한다. 즉, 통화모드에서 적어도 10개의 포인트에서 정전용량 변화가 인지되는 경우에 LCD 오프를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111단계의 비교에 의하여, 상기 접촉영역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정전용량 변화를 일반적인 터치입력으로 인지한 다(113단계). 상기 113단계의 동작은 사용자가 통화 연결 요청 후, 특정 터치입력을 발생하는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115단계).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내부적으로 상대 휴대단말과의 통화 연결을 위한 신호 교신 중에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메뉴를 활성화하거나, 볼륨 조절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111단계 내지 115단계 설명에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접촉영역이 상기 임계값(제1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미리 설정된 다른 임계값(제2임계값)과의 비교를 통해 상기 접촉영역이 일반 터치입력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상세 동작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임계값을 멀티터치 지원의 휴대단말인 경우 2개의 포인트로 설정하고, 싱글터치 지원의 휴대단말인 경우 1개의 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은 상기 접촉영역이 제2임계값에 포함될 시 이를 상기 일반 터치 입력으로 인지한다.
다시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111단계의 비교에 의하여, 상기 접촉영역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전술한 바와 같이 LCD를 오프 제어한다(117단계).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LCD 오프 제어 후, 상기 LCD의 오프 상태를 유지하면서 터치스크린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계속하여 체크할 수 있다(119단계). 일반적으로, 정전용량 방식은 터치스크린 표면에 전하(전류의 흐름)를 충전하여 고주파를 형성하고, 손가락 등의 접촉 시에 전하 상실의 정도 즉, 고주파 파형의 변화 정도를 분석하여 터치 포인트를 인식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상기 119단계의 정전용량 변화는 상기 전하 상실 정도 즉, 고주파 파형의 변화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체크에 의하여 정전용량의 변화 여부를 판단한다(121단계). 예를 들면, 통화모드에서는 사용자가 휴대단말을 얼굴에 밀착시켜 통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터치스크린에 얼굴이 접촉되게 되고, 이후, 사용자가 휴대단말을 얼굴에서 떼어내면 상기 터치스크린이 상기 얼굴과 접촉이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얼굴과 접촉이 해제되는 터치스크린의 일정영역에서는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121단계는 상기와 같은 원리에 의하여 정전용량의 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정전용량의 변화가 없음을 인지하면, 상기 LCD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117단계). 반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정전용량의 변화가 있음을 인지하면, 상기 오프 상태의 LCD를 온 상태로 전환한다(123단계). 즉, LCD를 온 제어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101단계에서 진행된 통화 종료 여부를 판별하고(125단계), 만약 통화 종료가 아니면 전술한 1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의 LCD 온/오프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통화 종료이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103단계에서 실행한 LCD 제어모드를 비활성화 한다(127단계). 이후,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 요청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대기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 상기 도 1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터치스크린의 정전용량 변화가 일반적인 터치입력인지, 또는 LCD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것 인지 구별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2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입력 동작 및 LCD 온/오프 제어 동작을 구별하는 방법 설명을 위한 예시도들이다.
먼저, 상기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도 2a 내지 도 2c는 터치스크린에서 사용자의 일반적인 터치입력을 인식하는 동작 설명을 위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를 위해 터치스크린(440)의 특정 영역 상에 터치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터치감지부(443)는 상기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터치입력이 발생하는 해당 포인트의 X축 값과 Y축 값에 의해 터치입력이 발생된 포인트를 인식하고, 상기 포인트의 좌표를 검출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460)로 전송한다. 즉, 상기 터치감지부(443)는 X축과 Y축이 교차하는 지점을 터치입력이 발생된 것으로 인지한다.
상기 X축 및 Y축이 교차하는 지점의 좌표를 (x, y)라 할 때, 상기 (x, y) 좌표 지점의 정전용량은 사용자의 접촉 즉, 상기 터치입력에 의하여 변화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예시가 도 2c에 나타나 있다. 상기 도 2c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접촉이 발생하는 해당 포인트에 대한 정전용량이 변화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도 3a 내지 도 3c는 통화모드 진입에 따라 사용자의 얼굴이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 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통화모드 진입에 따라 휴대단말의 터치스크린(440)을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터치감지부(443)는 상기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접촉이 발생하는 해당 포인트들의 X축 값들과 Y축 값들에 의해 다수개의 포인트들에 접촉이 발생된 것을 인식지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460)로 전송한다. 즉, 상기 터치감지부(443)는 X축과 Y축이 교차하는 다수개의 지점들을 터치입력이 발생된 것으로 인지한다.
상기 X축 및 Y축이 교차하는 각 지점의 좌표들을 (x1, y1), (x2, y2), ..., (xn, xy)라 할 때, 상기 (x1, y1), (x2, y2), ..., (xn, xy) 좌표에 대응하는 각 지점들의 정전용량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하여 변화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예시가 도 3c에 나타나 있다. 상기 도 3c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접촉이 발생하는 해당 포인트들에 대한 정전용량이 변화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통화모드에서 다수개의 포인트들에 대하여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할 시 LCD 오프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포인트들과 설정된 임계값의 비교에 의하여 상기 LCD 오프 제어를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LCD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할 시 LCD 온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기 도 2a 내지 도 3c의 예시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통화모드에서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 사용자 인체의 접촉영역(접촉범 위)에 대응하여, 통화 중 사용자 행위에 따른 LCD의 온/오프를 적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단말에서, 통화모드 시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 접촉영역의 정전용량 변화에 대응하여 LCD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도 1 내지 도 3c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단말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을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동통신 단말기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하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조를 하기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를 일예로 하여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반드시 이동통신 단말기에 한정 되지는 않는다.
상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은 무선통신부(410)와, 입력부(420)와, 오디오처리부(430)와, 터치스크린(440)과, 저장부(450) 및 제어부(460) 등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터치스크린(440)은 LCD(441) 및 터치감지부(443) 등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부(410)는 상기 휴대단말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통신부(410)는 지원 가능한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설정된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음성통신, 화상통신 및 데이터통신 등과 같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통신부(4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420)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46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420)는 사용자의 행위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위한 키패드(Keypad)와 터치패드(Touch pa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420)는 상기 터치스크린(440)과 함께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상기 터치스크린(440)에 의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입력부(420)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430)는 마이크(MIC, Microphone) 및 스피커(SPK, Speaker)와 접속되며,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46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46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43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 성분(예컨대, MP3 파일 재생 등에 따른 오디오신호 등)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440)은 입력 기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입출력 수단으로, 상기 LCD(441)와 상기 터치감지부(443)를 포함한다.
상기 LCD(441)는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키 조작 및 기능 설정 등에 따른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즉, 상기 LCD(441)는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및 동작에 관련된 각종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LCD(441)는 상기 제어부(460)로부터 출력되는 여러 신호와 색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특히, 상기 LCD(441)는 휴대단말의 통화모드 수행 중에 상기 제어부(460)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 된다.
상기 터치감지부(443)는 상기 LCD(441)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스크린(440) 표면에 접촉하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얼굴부분과 같은 인체의 접촉을 나타낸다. 상기 터치감지부(443)는 상기 터치스크린(440) 표면에 사용자의 인체가 접촉될 시, 상기 접촉이 발생된 좌표를 검출하고, 검출된 좌표를 상기 제어부(46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감지부(443)는 상기 터치스크린(440)의 표면에 사용자 인체(손가락, 얼굴 등)의 접촉 또는 해제에 따라 변화하는 정전용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예시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3c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상기 터치감지부(443)는 상기 터치스크린(440) 표면에 사용자의 손가락, 얼굴 등과 같이 전도성을 가지는 물체가 접촉했을 때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하여 터치가 감지된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40)은 데이터의 입력과 표시를 하나의 구성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입력장치 및 표시장치이다. 상기 터치스크린(440)은 다양한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상기 LCD(441)와,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터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460)로 전송하는 상기 터치감지부(443)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460)는 상기 터치감지부(443)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터치가 발생된 영역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50)는 ROM(Read Only Memory)과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5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생성 및 활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휴대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 및 상기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기지국, 상대 휴대단말, 퍼스널 컴퓨터 등)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데이터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제공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상기 휴대단말 이용에 따른 여러 설정정보 및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LCD 온/오프 제어를 위한 설정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CD 온/오프 제어를 위한 설정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임계값 설정, 본 발명의 기능 활성화/비활성화 설정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저장부(450)는 상기 휴대단말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 한 어플리케이션 및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440)을 이용한 LCD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상기 저장부(450)의 어플리케이션 저장영역(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450)는 전술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60)는 상기 휴대단말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휴대단말 내의 상기 각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60)는 상기 무선통신부(410)와, 상기 입력부(420)와, 상기 오디오처리부(430)와, 상기 터치스크린(440) 및 상기 저장부(450) 등과 같은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60)는 상기 터치스크린(440) 특히, 상기 터치감지부(443)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에 의하여 터치가 발생된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감지부(443)는 상기 도 2a 내지 도 3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X축 좌표 및 Y축 좌표의 교차점을 통해서 어느 부분이 터치되었는지 알 수 있으며, 이후, 상기 터치감지부(443)는 특정 터치가 인식될 시 상기 제어부(460)로 해당 좌표가 눌려졌다는 정보를 전송한다. 특히, 상기 터치감지부(443)는 상기 휴대단말의 통화모드에서 터치가 인식될 시 해당 좌표에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4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이 통화모드에 진입 시, LCD 제어모드를 활성화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60)는 상기 LCD 제어모드에 서 상기 터치감지부(443)에서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LCD(441)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460)는 휴대단말의 통화모드에서 상기 터치감지부(443)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의하여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한다. 이때,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460)는 변화가 발생하는 영역을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임계값보다 이상인 경우 상기 LCD(441)를 오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60)는 상기 LCD(441) 오프 상태에서 상기 터치감지부(443)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의하여 정전용량 변화를 체크한다. 이때,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460)는 상기 LCD(441)를 온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LCD(441) 오프 상태에서는 휴대단말 특히, 상기 터치스크린(440)이 사용자 얼굴에 밀착된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LCD(441) 오프 상태의 경우, 상기 제어부(460)는 터치감지부(443)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의하여 정전용량의 변화 여부를 인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440)이 사용자 얼굴에서 이탈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460)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60)의 전술한 기능 제어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본 발명의 동작을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60)는 상기 휴대단말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베이스밴드(Baseband)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밴드 모듈은 상기 제어부(460) 및 상기 무선통신부(410)에 각각 구비될 수 있거나, 상기 제어부(460) 및 상기 무선통신부(410)와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성 예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이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방송수신모듈,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및 인터넷망과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휴대단말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블록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블록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LCD의 온/오프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입력 동작 및 LCD 온/오프 제어 동작을 구별하는 방법 설명을 위한 예시도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Claims (21)

  1. 휴대단말 표시부의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통화모드에 진입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모드에 진입하면 표시부 제어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부 제어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에 발생하는 터치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되는 영역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되는 영역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를 오프(Off)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부의 오프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발생하는 터치 해제 감지 시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를 온(On)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모드가 종료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표시부 제어모드를 비활성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표시부의 동작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를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표시부 제어모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정전용량 변화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임의의 영역에서 정전용량 변화를 인지할 시, 상기 터치로 인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표시부의 동작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면 상기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는 접촉영역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접촉영역이 미리 설정된 상기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표시부의 동작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영역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표시부를 오프하는 과정과,
    상기 접촉영역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일반 터치입력으로 인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표시부의 동작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온하는 과정은,
    상기 표시부의 오프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발생하는 정전용량 변화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정전용량 변화가 없으면 상기 표시부의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과,
    상기 정전용량 변화가 있으면 상기 오프 상태의 표시부를 온 상태로 전환하 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표시부의 동작 제어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는 하나의 포인트 또는 다수개의 포인트들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표시부의 동작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상기 표시부의 오프 제어를 위한 기준이 되는 정전용량 변화를 식별하기 위한 최소한의 포인트 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표시부의 동작 제어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제어모드는,
    상기 휴대단말이 통화모드에 존재할 때, 상기 터치스크린에 발생하는 정전용량 변화에 따른 접촉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접촉영역에 따라 표시부의 온/오프 동작 및 일반적인 터치입력에 의한 동작을 제어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표시부의 동작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감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얼굴이 접촉된 이후, 상기 터치스크린이 상기 얼굴과 접촉이 해제될 시, 상기 얼굴과 접촉이 해제되는 터치스크린의 일정영역에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표시부의 동작 제어 방법.
  10. 삭제
  11. 휴대단말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고 그의 정보를 제공하는 터치감지부와, 상기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에 따라 온/오프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휴대단말의 통화모드에 진입하면 표시부 제어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표시부 제어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감지부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의하여 터치되는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터치되는 영역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표시부를 오프(Off) 제어하고, 상기 표시부의 오프 상태에서 상기 터치감지부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의하여 터치 해제를 감지하면 상기 표시부를 온(On) 제어하고, 상기 통화모드가 종료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통화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표시부 제어모드를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 제어모드에서 상기 터치감지부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임의의 영역에 발생하는 정전용량 변화를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전용량 변화를 인지하면 상기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는 접촉영역을 체크하고, 상기 접촉영역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영역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표시부를 오프 제어하고, 상기 접촉영역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일반 터치입력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오프 상태에서 상기 터치감지부의 정보에 의해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면, 상기 오프 상태의 표시부를 온 상태로 전환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는 하나의 포인트 또는 다수개의 포인트들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상기 표시부의 오프 제어를 위한 기준이 되는 정전용량 변화를 식별하기 위한 최소한의 포인트 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제어모드는,
    상기 휴대단말이 통화모드에 존재할 때, 상기 터치스크린에 발생하는 정전용량 변화에 따른 접촉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접촉영역에 따라 표시부의 온/오프 동작 및 일반적인 터치입력에 의한 동작을 제어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감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얼굴이 접촉된 이후, 상기 터치스크린이 상기 얼굴과 접촉이 해제될 시, 상기 얼굴과 접촉이 해제되는 터치스크린의 일정영역에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1. 삭제
KR1020090000872A 2009-01-06 2009-01-06 휴대단말 표시부의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72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872A KR101572071B1 (ko) 2009-01-06 2009-01-06 휴대단말 표시부의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장치
US12/652,860 US20100173679A1 (en) 2009-01-06 2010-01-06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urning on/off operation of display unit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872A KR101572071B1 (ko) 2009-01-06 2009-01-06 휴대단말 표시부의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575A KR20100081575A (ko) 2010-07-15
KR101572071B1 true KR101572071B1 (ko) 2015-11-26

Family

ID=42312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872A KR101572071B1 (ko) 2009-01-06 2009-01-06 휴대단말 표시부의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173679A1 (ko)
KR (1) KR1015720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0097B2 (en) 2011-10-19 2019-12-17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69443B1 (en) * 2010-03-25 2017-01-11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gesture detection and feedback
KR101691482B1 (ko) 2010-10-15 2016-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적 데이터 통신 제어를 수행하는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JP5813991B2 (ja) 2011-05-02 2015-11-17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入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389716B2 (en) * 2011-09-23 2016-07-12 Sony Corporation Mobile terminal apparatus
KR101880653B1 (ko) * 2011-10-27 2018-08-20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패널을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입력 판정 장치 및 방법
US20130141381A1 (en) * 2011-12-01 2013-06-06 Esat Yilmaz Surface Coverage Touch
WO2013128911A1 (ja) * 2012-03-02 2013-09-06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誤操作防止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853441A (zh) * 2012-11-30 2014-06-11 英业达科技有限公司 手持式装置的应用程序中图像调整系统及其方法
CN103106035B (zh) * 2013-02-05 2016-05-18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应用控制方法
CN103139390A (zh) 2013-02-27 2013-06-05 Tcl通讯(宁波)有限公司 一种解锁手机屏幕的方法、系统及手机
US9542046B2 (en) * 2013-06-26 2017-01-10 Atmel Corporation Changing the detection range of a touch sensor
KR101474467B1 (ko) 2013-07-09 2014-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444091B1 (ko) * 2013-08-06 2014-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3917943A (zh) * 2014-01-28 2014-07-09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处理的方法及终端设备
KR101635891B1 (ko) 2014-08-12 2016-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139662A1 (en) * 2014-11-14 2016-05-19 Sachin Dabhade Controlling a visual device based on a proximity between a user and the visual device
CN109804339B (zh) * 2016-10-11 2021-01-01 华为技术有限公司 识别操作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9656429B (zh) * 2018-12-28 2022-03-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电子装置和存储介质
CN115550504B (zh) * 2022-08-08 2024-07-23 赫名迪科技(深圳)有限公司 屏幕控制方法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5714A (ja) 2003-10-09 2005-04-28 Noritz Corp 表示操作装置
US20080162996A1 (en) 2007-01-03 2008-07-03 Apple, Inc. Multi-touch auto scann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8887B1 (en) * 1999-02-05 2001-08-21 Neopoint, Inc.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serv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handset
US7154481B2 (en) * 2002-06-25 2006-12-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sensor
US8269727B2 (en) * 2007-01-03 2012-09-18 Apple Inc. Irregular input identific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5714A (ja) 2003-10-09 2005-04-28 Noritz Corp 表示操作装置
US20080162996A1 (en) 2007-01-03 2008-07-03 Apple, Inc. Multi-touch auto scann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0097B2 (en) 2011-10-19 2019-12-17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0896442B2 (en) 2011-10-19 2021-01-19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1551263B2 (en) 2011-10-19 2023-01-10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73679A1 (en) 2010-07-08
KR20100081575A (ko)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071B1 (ko) 휴대단말 표시부의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장치
EP3514667B1 (en) Method and terminal for preventing false touch
KR101907463B1 (ko) 복합 터치 스크린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CN106775087B (zh) 一种移动终端的触摸屏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20200012383A1 (en) Method, mobile terminal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response control of touch screen
US20110312349A1 (en) Layout design of proximity sensors to enable shortcuts
CN107357458B (zh) 触摸按键的响应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06873834B (zh) 识别按键被触发的方法及装置和移动终端
CN108595044B (zh) 一种触摸屏的控制方法及终端
CN104636065A (zh) 终端唤醒方法和装置
CN102043584A (zh) 一种应用于数字终端的输入方法及装置
EP3764211B1 (en)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7390923B (zh) 一种屏幕防误触方法、装置、存储介质和终端
US11630892B2 (en) Fingerprint unlocking method and terminal
CN108762606B (zh) 一种屏幕解锁方法及终端设备
CN106936516B (zh) 显示屏显示状态控制方法、存储介质及终端
KR101910509B1 (ko) 전자장치에서 자동응답시스템 서비스 이용중 화면 꺼짐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1651387B (zh) 接口电路与电子设备
CN107066090B (zh) 一种控制指纹识别模组的方法及移动终端
CN108769364B (zh) 通话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CN110691168A (zh) 移动终端的屏幕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1970671B (zh) 近场通信模块的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7741826B (zh) 浏览历史信息调取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11338494A (zh) 一种触控显示屏操作方法和用户设备
CN106940608B (zh) 一种显示屏的控制方法、显示屏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