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891B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891B1
KR101635891B1 KR1020140104402A KR20140104402A KR101635891B1 KR 101635891 B1 KR101635891 B1 KR 101635891B1 KR 1020140104402 A KR1020140104402 A KR 1020140104402A KR 20140104402 A KR20140104402 A KR 20140104402A KR 101635891 B1 KR101635891 B1 KR 101635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mobile terminal
touch
touch senso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9728A (ko
Inventor
민혜정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4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891B1/ko
Priority to US15/503,044 priority patent/US10531394B2/en
Priority to PCT/KR2015/007190 priority patent/WO2016024723A1/en
Publication of KR20160019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2Power saving in digitizer or tab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감지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꺼져 있는 동안 주기적으로 웨이크 업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 및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분포하는 상기 터치 센서가 웨이크 업 하는 주기가 짧아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감지 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을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정보를 터치하는 것에 의해 이동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다. 이는,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직권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 및 사용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여 줄 수 있다.
다만, 터치 스크린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 오입력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를 터치 잠금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단말기가 절전 모드에 진입하여 디스플레이부가 꺼져 있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최근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꺼져 있는 경우에도,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자 하는 시도가 수행되고 있다. 디스플레이부가 꺼져 있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의 절전 모드를 해제하고 디스플레이부를 켜는 것이 일 예이다.
이동 단말기가 절전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이동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터치 센서의 감도를 낮은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다만, 터치 센서의 감도를 낮출 경우, 사용자의 의도대로 터치 입력이 수신되지 않을 위험이 있는데,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필요한 경우, 터치 센서의 감도를 높일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킨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 터치 센서의 감도를 높일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꺼져 있는 동안 주기적으로 웨이크 업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 및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분포하는 상기 터치 센서가 웨이크 업 하는 주기가 짧아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가 꺼져 있는 동안, 터치 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분포하는 상기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주기를 단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의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킨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 터치 센서의 감도를 높일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이동 단말기가 절전 모드 상태일 때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의해 이동 단말기의 절전 모드가 해제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터치 입력이 정상 인식되는 예 및 터치 입력이 오인식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분포하는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분포하는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웨이크 업 레이트를 증가시킬 영역이 결정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된 영역이 식별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분포하는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스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분포하는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이동 단말기가 어두운 곳에서 밝은 곳으로 꺼내어짐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이동 단말기에 근접한 물체가 없어짐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라고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이동 단말기(100)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일예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센싱부(140), 디스플레이부(151) 및 제어부(180)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인 것으로 가정한다. 아울러,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은 켜져 있으나, 디스플레이부(151)가 꺼져 있는 상태를 '절전 모드'라 칭하고,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도 켜져 있고, 디스플레이부(151)도 켜져 있는 상태를 '정상 모드'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정상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를 통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하여지는 압력의 감지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정전기의 변화 등의 감지 등을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도, 터치 입력이 수신될 수 있는데,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수신되는 터치 입력을 기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절전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일예로, 도 2는 이동 단말기(100)가 절전 모드 상태일 때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의 절전 모드가 해제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원의 개수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태핑한 횟수를 가리키고, 원 안의 숫자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태핑한 순서를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포인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를 2회 태핑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절전 모드가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절전 모드가 종료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는 켜지게 될 것이다(도 2의 (a) 참조). 이때, 이동 단말기(100)에 암호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라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암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잠금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를 태핑하는 횟수 및 태핑하는 위치와 순서의 조합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암호가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수신한 터치 패턴과 설정된 암호를 비교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잠금을 해제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동 단말기(100)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설정된 암호와 동일한 패턴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절전 모드를 종료하고, 이동 단말기(100)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2의 (b)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켜지면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가 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즉, 잠금 화면이 아닌 홈 스크린 화면이 출력되는 것으로 예시됨).
다만,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근접한 물체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 수신된 터치 입력 만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보관 중인 호주머니에 손을 집어 넣는다고 하더라도, 이동 단말기(100)에 근접한 물체(즉, 호주머니를 형성하는 천)가 존재하기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호주머니 속 이동 단말기(100)를 만지작거린다 하더라도, 오입력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가 절전 모드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동 단말기(100)가 절전 상태에 있을 때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서, 터치 센서는 주기적으로 깨어나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해야 할 것이다. 일예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주기가 50ms 라면, 터치 센서는 50ms 마다 웨이크 업하여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센서가 단위 시간당 웨이크 업 하는 회수를 웨이크 업 레이트(wake-up rate)(또는,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라 호칭하기로 한다. 일예로, 웨이크 업 레이트가 20Hz인 것은, 터치 센서가 1초 동안 20번 웨이크 업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주기와 웨이크 업 레이트는 반비례 관계에 놓이게 된다. 즉,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한다는 것은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주기가 짧아지는 것을 의미하고, 웨이크 업 레이트가 감소한다는 것은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주기가 길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가 절전 모드 하에서 동작하는 동안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는 이동 단말기(100)가 정상 상태로 동작하는 동안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절전 모드 하에서 이동 단말기(100)가 소모하는 전력 량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웨이크 업 레이트를 낮추게 되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에 대한 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터치 입력이 정상 인식되는 예 및 터치 입력이 오인식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축은 시간의 경과를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 아울러, 축 위의 실선은 터치 센서가 웨이크 업 되었음을 가리키고, 축 위의 점선은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하고 있음을 가리키는 것이라 가정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센서는 슬립 상태를 유지하다가, 50ms 간격으로 웨이크 업 한다고 가정한다.
도 3a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터치 센서가 웨이크 업 하였을 때,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되고 있음이 감지되고, 다음 번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시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되고 있지 않음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1회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한 포인터가 터치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하고 있는 상태인 경우, 도 3a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복수 회에 걸쳐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되고 있음이 감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1회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되, 해당 터치 입력은 최초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되었음이 감지되었을 때부터, 더 이상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되고 있지 않음이 감지될 때까지 유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b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터치 센서가 웨이크 업 한 뒤, 다음번 웨이크 업 하기 전에,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하는 동작이 발생한다면,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하는 행위가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터치 입력이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없다.
도 3b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를 2회 터치하는 행위가 발생하였으나, 각각의 터치 행위 사이의 시간차가 작은 경우, 터치 센서는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되었음을 감지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앞서 도 3a의 (b)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하는 행위가 두번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디스프레이부를 1회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게 될 것이다.
도 3b를 통해 설명한 문제점은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를 증가시킴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다만,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를 증가시키게 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전력 소모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무분별하게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를 증가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입력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한하여,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를 증가시키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최초 이동 단말기(100)는 절전 모드 상태이고(즉, 디스플레이부(151)가 꺼진 상태), 터치 센서는 제 1 웨이크 업 레이트 하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S401),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분포하는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제 1 웨이크 업 레이트에서 제 2 웨이크 업 레이트로 상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02). 이에 따라,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한 영역에서의 터치 오인식이 감소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제 1 웨이크 업 레이트에서 제 2 웨이크업 레이트로 상향되면, 제어부(180)는 잔여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는 제 1 웨이크 업 레이트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제 1 웨이크 업 레이트보다 낮은 웨이크 업 레이트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잔여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분포하는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터치 센서가 제 1 웨이크 업 레이트로 동작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이란, 디스플레이부(151)를 소정 시간 이상 터치하는 터치 입력일 수도 있고, 복수의 포인터로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 기 설정된 시간 내 연속적인 터치 입력, 기 설정된 시간 내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터치 입력 중 첫번째 터치 입력 또는 기 설정된 시간내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터치 입력 중 첫번째 터치 드래그 입력 등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은 도 2에서의 예에서와 같은 절전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입력과 별개의 사전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a)에 도시된 터치 입력('1', '2'번 동그라미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 혹은 도 2의 (b)에 도시된 터치 입력('1', '2', '3', '4'번 동그라미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 이전에 수행되는 별개의 사전 입력이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아울러,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임의의 영역에서 수신될 수도 있고, 기 설정된 영역에서만 수신될 수도 있다.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분포하는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를 제 2 웨이크 업 레이트로 상향시킬 수 있다. 일예로, 도 5에서는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한 영역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를 증가시킴에 따라, 해당 영역에서의 터치 인식 정확도는 보다 증가하게 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제 1 웨이크 업 레이트에서 제 2 웨이크업 레이트로 상향되면, 제어부(180)는 잔여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는 제 1 웨이크 업 레이트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잔여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를 제 1 웨이크 업 레이트보다 낮은 웨이크 업 레이트로 하향시키거나, 잔여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의 형태에 따라, 잔여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제 1 웨이크 업 레이트를 유지하도록 할 것인지, 잔여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제 1 웨이크 업 레이트보다 하향시킬 것인지, 또는 잔여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를 비활성화시킬 것인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이 기 설정된 영역 바깥을 통해 입력된 경우, 제어부(180)는 잔여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제 1 웨이크 업 레이트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반면,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이 기 설정된 영역 안쪽을 통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잔여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를 제 1 웨이크 업 보다 하향시키거나, 잔여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를 비활성화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웨이크 업 레이트가 상향된 이후, 도 2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절전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절전 모드가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를 증가시키기 위한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은 이동 단말기(100)의 절전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터치 입력보다 앞서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절전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터치 입력이 입력될 것이므로, 절전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터치 입력의 인식 오류를 줄일 수 있다.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은 이동 단말기(100)의 절전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입력의 일부 입력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절전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복수의 터치 입력 중 첫번째 터치 입력이 이동 단말기(100)의 웨이크 업 레이트를 증가시키기 위한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도 2의 (a) 에서의 '1'번 동그라미 또는 도 2의 (b)에서의 '1'번 동그라미에 해당되는 입력이 기 설정된 터치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절전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터치 입력 중, 첫번째 터치 입력(즉, 도 2의 (a) 에서의 '1'번 동그라미 혹은 도 2의 (b)에서의 '1'번 동그라미에 해당되는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를 제 2 웨이크 업 레이트로 상향시키게 되면, 절전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나머지 터치 입력(예컨대, 도 2의 (a)의 '2'번 동그라미 혹은 도 2의 (b)의 '2', '3', '4'번 동그라미에 해당되는 입력)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이로써, 첫번째 터치 입력을 정상 인식한 경우, 뒤 따르는 터치 입력의 인식 오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포인터에 의해 터치되고 있는 동안에만,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분포하는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일예로, 도 6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분포하는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한 뒤,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부(151)를 계속 터치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즉, 제 1 웨이크 업 레이트에서 제 2 웨이크 업 레이트로 상향). 도 6에서는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한 영역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제어부(180)는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하고 있는 동안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가 제 2 웨이크 업 레이트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가 해제되면, 제어부(180)는 도 6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해당 영역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다시 제 1 웨이크 업 레이트로 하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를 증가시키기 위한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은 이동 단말기(100)의 절전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터치 입력보다 앞서 수신되어야 하지만,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절전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입력보다 앞서 종료될 필요하는 없다. 즉,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절전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입력이 별개로 수신될 수도 있다.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이동 단말기(100)의 절전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된다면,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절전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인식하게 되므로, 절전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터치 입력의 인식 오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80)는 웨이크 업 레이트 증가를 트리거 하는 터치 입력(즉,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의 위치에 기초하여 웨이크 업 레이트를 증가시킬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고, 기 저장된 설정값에 의해 웨이크 업 레이트를 증가시킬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7a 내지 도 7c는 웨이크 업 레이트를 증가시킬 영역이 결정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151)를 좌/우 또는 상/하로 구분하였을 때,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 증가를 트리거 하기 위한 터치 입력이 가하여진 영역 또는 터치 입력이 가하여진 영역의 반대편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7a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 증가를 트리거 하기 위한 터치 입력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좌측 영역을 통해 수신되었다면, 제어부(180)는 도 7a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우측 영역에 대한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7a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 증가를 트리거 하기 위한 터치 입력이 디스플레이부(151)의 하단 영역을 통해 수신되었다면, 제어부(180)는 도 7a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단 영역에 대한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a의 (a) 및 (b)에서는,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 증가를 트리거 하기 위한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터치 입력이 수신된 영역의 반대편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도시된 예와 달리,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터치 입력이 수신된 영역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도 7a에 도시된 예와 달리,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 증가를 트리거 하기 위한 터치 입력으로부터 기 설정된 방향에 위치하는 영역의 웨이크 업 레이트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일예로, 기 설정된 방향이 오른쪽 위 방향이라면, 제어부(180)는 도 7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터치 입력된 위치 기준 오른쪽 위에 위치하는 영역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b에서는 기 설정된 방향을 오른쪽 위로 예시하였으나, 도시된 예와 달리 기 설정된 방향이 설정될 수 있음 및 복수의 방향이 설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80)는 기 저장된 설정값을 기초로 웨이크 업 레이트를 증가시킬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기 저장된 설정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도 7c는 웨이크 업 레이트를 증가시킬 영역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예이다. 사용자가 도 7c에 도시된 아이템 목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에 기초하여 웨이크 업 레이트를 증가시킬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목록 중 첫번째 항목(710)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두 귀퉁이를 웨이크 업 레이트를 증가시킬 영역으로 설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두번째 항목(720)은 디스플레이부(151)의 네 귀퉁이의를 웨이크 업 레이트를 증가시킬 영역으로 설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세번째 항목(730)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좌측 상단영역을 웨이크 업 레이트를 증가시킬 영역으로 설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네번째 항목(740)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중앙부 및 네 귀퉁이를 웨이크 업 레이트로 증가하기 위한 영역으로 설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면, 제어부(180)는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한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만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한 일부 영역을 제외한 잔여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은 무시하다가,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한 일부 영역 위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디스플레이부(151)의 절전 모드가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제 2 웨이크 업 레이트로 상향되는 동안 잔여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는 제 1 웨이크 업 레이트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제 2 웨이크 업 레이트로 상향되는 동안 잔여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는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웨이크 업 레이트가 상향된 영역을 통해서만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를 증가시키고, 디스플레이부(151)를 켜,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된 영역이 식별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8은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된 영역이 식별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켜고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된 영역이 식별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80)는 도 8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한 영역의 윤곽선(810)을 표시할 수도 있고, 도 8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한 영역을 상하로 이등분하는 가로줄(812) 및 좌우로 이등분하는 세로줄(814)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에서는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도시된 예에서와 달리,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한 뒤로 이동 단말기(100)의 절전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절전 모드를 해제하고, 디스플레이부(151)를 켤 수 있다(도 2a 및 도 2b 참조).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한 뒤로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어떠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지 않았다면(S403), 제어부(180)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다시 제 1 웨이크 업 레이트로 하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04). 소정 시간 경과하면 자동으로 웨이크 업 레이트가 하향되도록 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4에서는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이 입력되어야만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그리고, 도 5에서는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이 디스플레이부(151)를 롱 터치하는 것 또는 복수개의 포인터로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하는 것인 것으로 예시하였다. 도시된 예와 다른 형태의 터치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 제어부(180)는 손바닥으로 디스플레이부(151)를 쓸어내리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제 2 웨이크 업 레이트로 상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9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분포하는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손바닥으로 디스플레이부(151)를 쓸어내리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80)는 도 9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손바닥이 쓸고간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에 한하여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손바닥이 쓸고가지 않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에 한하여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한 예와 달리,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가 놓인 상황이 변경된 것이 감지되거나, 제스처 입력이 수신된 경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제스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분포하는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100)를 좌우로 흔드는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도 10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닥에 놓여져 있던 이동 단말기(100)를 세우는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도 10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센싱부(140)(예컨대,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등)를 통해 제스처 입력의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동 단말기(100)가 어두운 곳에 있다가, 밝은 곳으로 꺼내어지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11은 이동 단말기(100)가 어두운 곳에서 밝은 곳으로 꺼내어짐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100)가 어두운 곳(예컨대, 호주머니 안)에 있다가 밝은 곳으로 꺼내어지면, 제어부(180)는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센싱부(140)(예컨대, 조도 센서)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가 어두운 곳에 놓여 있는지 또는 밝은 곳에 놓여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동 단말기(100)가 어떠한 물체에 의해 가려져 있다가, 이동 단말기(100)를 가리는 물체가 없어지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12는 이동 단말기(100)에 근접한 물체가 없어짐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151)가 바닥면을 향해 놓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바닥면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사용자가 바닥면에 놓인 이동 단말기(100)를 집어들게 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더 이상 바닥면에 가려지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도 12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레이트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동작 흐름도)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이동 단말기
140 : 센싱부
151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Claims (15)

  1.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꺼져 있는 동안 주기적으로 웨이크 업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 및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분포하는 상기 터치 센서가 웨이크 업 하는 주기가 짧아지도록 제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잔여 영역에 분포하는 상기 터치 센서의 상기 주기는 유지 또는 증가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잔여 영역에 분포하는 상기 터치 센서는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가 단축된 이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주기는 원래대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에만, 상기 터치 센서의 상기 주기가 단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종료되면, 상기 주기는 원래대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는 것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가상의 2개 영역으로 구획하였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터치된 영역을 제외한 잔여 영역에 분포하는 상기 터치 센서의 상기 주기가 단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는 것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터치된 위치로부터 소정 방향에 위치하는 영역에 분포하는 상기 터치 센서의 상기 주기가 단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손바닥으로 쓸어 내리는 것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영역 중 상기 손바닥에 의해 쓸려 내려간 영역에 분포하는 상기 터치 센서의 상기 주기가 단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켜고, 상기 주기가 짧아진 영역을 시각적으로 식별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절전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터치 입력 이전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절전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터치 입력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은 이동 단말기를 흔드는 제스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어두운 곳에서 밝은 곳으로 이동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접근한 물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소정 물체가 접근해 있다가, 상기 소정 물체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벗어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디스플레이부가 꺼져 있는 동안, 터치 센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분포하는 상기 터치 센서의 웨이크 업 주기를 단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잔여 영역에 분포하는 상기 터치 센서의 상기 주기는 유지 또는 증가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잔여 영역에 분포하는 상기 터치 센서는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40104402A 2014-08-12 2014-08-12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35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402A KR101635891B1 (ko) 2014-08-12 2014-08-12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5/503,044 US10531394B2 (en) 2014-08-12 2015-07-10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CT/KR2015/007190 WO2016024723A1 (en) 2014-08-12 2015-07-10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402A KR101635891B1 (ko) 2014-08-12 2014-08-12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728A KR20160019728A (ko) 2016-02-22
KR101635891B1 true KR101635891B1 (ko) 2016-07-04

Family

ID=5530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402A KR101635891B1 (ko) 2014-08-12 2014-08-12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31394B2 (ko)
KR (1) KR101635891B1 (ko)
WO (1) WO201602472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071B1 (ko) * 2009-01-06 2015-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 표시부의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장치
US8970507B2 (en) * 2009-10-02 2015-03-03 Blackberry Limited Method of waking up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the same
KR20120005124A (ko) * 2010-07-08 2012-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움직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23156B1 (ko) * 2011-12-19 2013-10-30 크루셜텍 (주) 입력 장치 및 터치 인식 방법
US20130176273A1 (en) * 2012-01-09 2013-07-11 Broadcom Corporation Fast touch detection in a mutual capacitive touch system
US9158372B2 (en) * 2012-10-30 2015-10-1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interaction data storage
US9171450B2 (en) * 2013-03-08 2015-10-27 Qualcomm Incorporated Emergency handling system using informative alarm sound
KR102065638B1 (ko) * 2013-03-12 2020-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 방법 및 장치
WO2014172321A1 (en) * 2013-04-15 2014-10-23 Flextronics Ap, Llc Access and portability of user profiles stored as templates
TWI549043B (zh) * 2013-05-15 2016-09-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板的感測電路,以及其所應用的觸控模組、電子裝置和控制方法
US9645721B2 (en) * 2013-07-19 2017-05-09 Apple Inc. Device input modes with corresponding cover configur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4723A1 (en) 2016-02-18
US20170245212A1 (en) 2017-08-24
US10531394B2 (en) 2020-01-07
KR20160019728A (ko) 201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09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6470275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8013677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0605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3746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124710A (ko) 폴리오 케이스 및 이동 단말기
KR20180001358A (ko) 이동 단말기
KR2017013827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37463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0837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5430154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7003567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8000552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5524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6412A (ko) 폴리오 케이스,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454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03522A (ko) 이동 단말기
KR10163589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7437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124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3762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435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5087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61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47060A (ko) 전원차단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