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124A - 휴대용 단말기에서 움직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움직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124A
KR20120005124A KR1020100065709A KR20100065709A KR20120005124A KR 20120005124 A KR20120005124 A KR 20120005124A KR 1020100065709 A KR1020100065709 A KR 1020100065709A KR 20100065709 A KR20100065709 A KR 20100065709A KR 20120005124 A KR20120005124 A KR 20120005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touch
grip zone
angle
accelera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면
송희준
권순열
정병상
박선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5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5124A/ko
Priority to US13/179,244 priority patent/US8558809B2/en
Publication of KR20120005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124A/ko
Priority to US14/054,735 priority patent/US886678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감지에 따른 동작 방법에 있어서 터치가 감지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각도를 계산하는 과정과 계산한 각도가 그립 존에 속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계산한 각도가 그립 존에 속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웨이크 업(Wake Up)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키를 누르지 않고,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웨이크 업 시키거나 핫 키 메뉴에 진입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움직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ON ACCORDING TO MOVEMENT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가속도 센서와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감지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웨이크 업 상태 및 핫 키 메뉴 억세스 활성화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가, 슬립 모드 또는 잠금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 휴대용 단말기를 웨이크 업(Wake Up)하기 위해서는 하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해 왔다.
먼저, 폴더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닫혀 있는 폴더를 열거나 기 정의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웨이크 업한다.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내려져 있는 슬라이드를 올리거나, 기 정의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웨이크 업한다.
바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홀드 키를 일정시간 누름으로써 웨이크 업한다.
이중 바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는 특성상, 폴더 방식이나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와는 다르게, 홀드 키를 누르는 것을 제외하고는, 현재의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홀드 키를 누르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고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핫 키를 바로 이용할 수 없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즉각적인 피드백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버튼을 줄이는 디자인의 특성에도 배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움직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휴대용 단말기를 드는 동작을 인식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웨이크 업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감지에 따른 동작 방법에 있어서 터치가 감지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각도를 계산하는 과정과 계산한 각도가 그립 존에 속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계산한 각도가 그립 존에 속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웨이크 업(Wake Up)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2 견지에 따르면,터치 감지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에 있어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와, 휴대용 단말기에 따른 가속도 값을 출력하는 가속도 센서와 터치가 감지되는지 검사하고,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각도를 계산하고, 계산한 각도가 그립 존에 속하는지 검사하고, 계산한 각도가 그립 존에 속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웨이크 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를 누르지 않고,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웨이크 업 시키거나 핫 키 메뉴에 진입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걔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움직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걔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가속도 센서(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를 측정하여 리턴하다. 그리고 터치 센서(11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양 옆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들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스크린을 보는 동작을 그립(Grip)이라고 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센서는 터치 센서 값을 측정한다(210 단계).
만약, 터치가 발생된 경우(220 단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가속도 센서를 제어하여 가속도를 측정하게 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가속도 측정값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각도를 계산한다(230 단계). 상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각도 계산은 기존의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만약, 측정한 각도가 그립 존에 속하는 경우(240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들어올리는 것으로 판단하여 웨이크 업 상태로 천이하다(250 단계).
여기서, 측정한 각도가 그립 존에 속한다는 것은 측정한 휴대용 단말기의 각도가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들어올릴 때의 각도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그립 존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바로 세운 상태에서 + - 각도의 범위를 나타내고 사용자 정의 및 실험 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만약, 터치가 발생하지 않거나(220 단계), 측정한 각도가 그립 존에 속하지 않는 경우(240 단계), 터치 센서 값을 다시 측정한다(210 단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모뎀(310), 제어부(320), 저장부(330), 가속도 센서(340) 및 터치 센서(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뎀(310)은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모듈로서, 무선처리부 및 기저대역처리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선처리부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실제 무선 경로 상에서 전송할 수 있도록 무선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저장부(33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수행 중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가속도 센서(34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움직일 경우, 움직임에 대한 가속도 값을 측정하여 리턴한다.
상기 터치 센서(350)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가 감지될 경우, 이를 알리는 값을 리턴한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패킷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가속도 센서(340) 및 터치 센서(35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터치 센서(350)를 통해 터치가 발생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가속도 센서(340)를 제어하여 가속도를 측정하게 하고, 측정된 가속도 값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각도를 계산한다. 상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각도 계산은 기존의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만약, 측정한 각도가 그립 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20)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들어올리는 것으로 판단하여 웨이크 업 상태로 천이하다. 여기서, 측정한 각도가 그립 존에 속한다는 것은 측정한 휴대용 단말기의 각도가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들어올릴 때의 각도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그립 존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바로 세운 상태에서 + - 각도의 범위를 나타내고 사용자 정의 및 실험 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만약, 터치가 발생하지 않거나, 측정한 각도가 그립 존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터치 센서(350)을 제어하여 터치 센서 값을 다시 측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모뎀(310), 제어부(320), 저장부(330), 가속도 센서(340), 근접센서(350).

Claims (10)

  1.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감지에 따른 동작 방법에 있어서,
    터치가 감지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각도를 계산하는 과정과,
    계산한 각도가 그립 존에 속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계산한 각도가 그립 존에 속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웨이크 업(Wake Up)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계산한 각도가 그립 존에 속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핫 키 메뉴 엑세스를 활성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각도를 계산하는 과정은,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센서의 값을 측정하는 과정과,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각도를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존은,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들어올릴 때의 각도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바(Bar)타입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터치 감지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에 있어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와,
    휴대용 단말기에 따른 가속도 값을 출력하는 가속도 센서와,
    터치가 감지되는지 검사하고,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각도를 계산하고, 계산한 각도가 그립 존에 속하는지 검사하고, 계산한 각도가 그립 존에 속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웨이크 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계산한 각도가 그립 존에 속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핫 키 메뉴 엑세스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센서의 값을 측정하고,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각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존은,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들어올릴 때의 각도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바(Bar)타입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00065709A 2010-07-08 2010-07-08 휴대용 단말기에서 움직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20005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709A KR20120005124A (ko) 2010-07-08 2010-07-08 휴대용 단말기에서 움직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3/179,244 US8558809B2 (en) 2010-07-08 2011-07-08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on according to movement in portable terminal
US14/054,735 US8866784B2 (en) 2010-07-08 2013-10-15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on according to movement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709A KR20120005124A (ko) 2010-07-08 2010-07-08 휴대용 단말기에서 움직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124A true KR20120005124A (ko) 2012-01-16

Family

ID=45438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709A KR20120005124A (ko) 2010-07-08 2010-07-08 휴대용 단말기에서 움직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558809B2 (ko)
KR (1) KR201200051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4723A1 (en) * 2014-08-12 2016-02-1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4002282A1 (zh) * 2022-07-01 2024-01-04 华为技术有限公司 感知设备的方法、装置、芯片及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4273B (zh) * 2012-03-19 2017-11-2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控制方法
US8996767B2 (en) * 2012-05-02 2015-03-31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vice control based on surface material detection
US9619017B2 (en) * 2012-11-07 2017-04-1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utilizing a computer input device with multiple computers
CN103116450A (zh) * 2013-01-22 2013-05-22 上海艾为电子技术有限公司 控制设备状态的方法、装置及一种设备
US9575538B2 (en) * 2013-06-17 2017-02-21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US8938612B1 (en) * 2013-07-31 2015-01-20 Google Inc. Limited-access state for inadvertent inputs
US9613202B2 (en) 2013-12-10 2017-04-04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motion gesture access to an application and limited resources of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CN106469003A (zh) * 2015-08-17 2017-03-0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解锁方法和装置
CN105242870A (zh) * 2015-10-30 2016-01-1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具有触摸屏的终端的防误触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9792B1 (en) 1999-06-25 2003-04-15 Agere Systems Inc. Accelerometer influenced communication device
US20010040551A1 (en) * 1999-07-29 2001-11-15 Interlink Electronics, Inc. Hand-held remote computer input peripheral with touch pad used for cursor control and text entry on a separate display
US7688306B2 (en) * 2000-10-02 2010-03-30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a portable device based on an accelerometer
US7159194B2 (en) * 2001-11-30 2007-01-02 Palm, Inc. Orientation dependent functionality of an electronic device
US7301529B2 (en) * 2004-03-23 2007-11-27 Fujitsu Limited Context dependent gesture response
US7176888B2 (en) * 2004-03-23 2007-02-13 Fujitsu Limited Selective engagement of motion detection
JP4148187B2 (ja) * 2004-06-03 2008-09-10 ソニー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入力操作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60121063A (ko) * 2005-05-23 2006-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인식방법
EP1758345B1 (en) * 2005-08-26 2016-1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telecommunication handset having touch pad
US7667686B2 (en) * 2006-02-01 2010-02-23 Memsic, Inc. Air-writing and motion sensing input for portable devices
US20070259685A1 (en) * 2006-05-08 2007-11-08 Goran Engblom Electronic equipment with keylock function using motion and method
KR100856239B1 (ko) 2007-04-06 200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방법 및 장치
US8081164B2 (en) * 2007-07-02 2011-12-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ntrolling user input devices based upon detected attitude of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090021510A1 (en) * 2007-07-22 2009-01-2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isplay
US8099526B2 (en) * 2008-01-22 2012-01-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nd disabling a lock mode by squeezing or pinching the side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wards one another
US8077157B2 (en) * 2008-03-31 2011-12-13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transfer of files
US20090256809A1 (en) * 2008-04-14 2009-10-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hree-dimensional touch interface
US8174503B2 (en) * 2008-05-17 2012-05-08 David H. Cain Touch-based authentication of a mobile device through user generated pattern creation
KR101482115B1 (ko) * 2008-07-07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이로센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06834B1 (ko) * 2008-07-10 201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과 사용자의 조작을 이용하는 입력장치 및 이에적용되는 입력방법
WO2010009152A1 (en) * 2008-07-15 2010-01-21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hifting haptic feedback function between passive and active modes
US8213914B2 (en) * 2008-08-04 2012-07-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web browsing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CN103324386A (zh) * 2008-08-22 2013-09-25 谷歌公司 移动设备上的三维环境中的导航
KR101555511B1 (ko) * 2008-10-09 2015-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전 센서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홀드 기능 제어 방법 및장치
US8385885B2 (en) * 2008-10-17 2013-02-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of unlocking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100117959A1 (en) * 2008-11-10 2010-05-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tion sensor-based user motion recognition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737829B1 (ko) * 2008-11-10 2017-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모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US8558803B2 (en) * 2008-11-28 2013-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20100066036A (ko) * 2008-12-09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553949B1 (ko) * 2008-12-29 2015-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45876B1 (ko) * 2009-01-22 2015-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션 센서 기반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1563523B1 (ko) * 2009-01-30 2015-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KR101620874B1 (ko) * 2009-05-19 2016-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목록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9014685B2 (en) * 2009-06-12 2015-04-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which automatically determines operating mode
KR101607476B1 (ko) * 2009-06-12 2016-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모션 인식 장치 및 방법
WO2010145031A1 (en) * 2009-06-19 2010-12-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face touch detection
US9632622B2 (en) * 2009-07-16 2017-04-25 Apple Inc. Ground detection for touch sensitive device
US8457651B2 (en) * 2009-10-02 2013-06-04 Qualcomm Incorporated Device movement user interface gestures for file sharing functionality
CN102111490A (zh) * 2009-12-23 2011-06-29 索尼爱立信移动通讯有限公司 移动终端的键盘自动解锁方法及装置
US20110223974A1 (en) * 2010-03-10 2011-09-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649991B1 (ko) * 2010-07-28 201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퀴징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20133484A1 (en) * 2010-11-29 2012-05-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ultiple-input device lock and unlock
US8320970B2 (en) * 2011-02-16 2012-11-27 Google Inc. Mobile device display management
US8483665B2 (en) * 2011-03-31 2013-07-09 Matthew R. Kissinger Mobile device featuring sensor responsive re-notifications
US9189062B2 (en) * 2012-03-07 2015-11-1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based on user motion
US8560004B1 (en) * 2012-08-31 2013-10-15 Google Inc. Sensor-based activation of an input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4723A1 (en) * 2014-08-12 2016-02-1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531394B2 (en) 2014-08-12 2020-01-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4002282A1 (zh) * 2022-07-01 2024-01-04 华为技术有限公司 感知设备的方法、装置、芯片及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58809B2 (en) 2013-10-15
US8866784B2 (en) 2014-10-21
US20140043273A1 (en) 2014-02-13
US20120007820A1 (en)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512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움직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4999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퀴징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26181B1 (ko) 메인 프로세서를 웨이크 업 하기 위한 초 저전력 장치 및 방법
US7800044B1 (en) High ambient motion environment detection eliminate accidental activation of a device
TWI364691B (en) Handheld type electronic product and control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between operating modes
WO2018076506A1 (zh) 一种双屏终端点亮屏幕的方法及终端
WO2014134930A1 (zh) 触摸屏解锁方法、触摸屏解锁系统及电子设备
CN104182145B (zh) 一种防止触摸屏误操作的方法、装置及移动设备
US1181196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vely applying security mode in mobile device
CN102981766B (zh) 一种终端激活方法及终端
CN108345781A (zh) 指纹解锁方法及装置
WO2012009891A1 (zh) 一种移动终端触摸按键锁定方法及装置
CN104007878A (zh) 防止触摸屏终端误操作的方法和装置
US8058969B1 (en) Biopresence based keyguard mechanism
CN105353879A (zh) 一种智能移动终端调节音量的方法
CN108802835B (zh) 无线充电检测方法、装置及移动终端、无线充电系统
CN103179261B (zh) 基于环境温度实现语音控制手机的系统及方法
WO2018039881A1 (zh) 充电保护方法、终端及充电器
CN107526522B (zh) 黑屏手势识别方法及装置,以及移动终端、存储介质
CN111064847B (zh) 一种防误触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9600514B (zh) 解锁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EP2530915B1 (en) Method for locking mobile telephone keyboard and mobile telephone
KR20110043012A (ko)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CN111431249B (zh) 一种充电方法及电子设备
CN102761670A (zh) 一种防止电容触摸屏手机通话中误操作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