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239B1 -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6239B1
KR100856239B1 KR1020070034183A KR20070034183A KR100856239B1 KR 100856239 B1 KR100856239 B1 KR 100856239B1 KR 1020070034183 A KR1020070034183 A KR 1020070034183A KR 20070034183 A KR20070034183 A KR 20070034183A KR 100856239 B1 KR100856239 B1 KR 100856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activated
display
mobile terminal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기영
권동욱
신인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4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기울기가 제1표시부의 활성화에 대응되면 상기 제1표시부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활성화된 제1표시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기울기가 상기 제1표시부의 활성화에 대응되면 상기 제1표시부가 활성화되고 상기 활성화된 제1표시부를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표시부, 제2표시부, 양면 휴대단말기, 듀얼 디스플레이, 기울기, 감지부

Description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ON IN A WIRELESS TERMINAL WITH 1ST DISPLAY AND 2ND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대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기울기에 대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에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 과정에 대한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이동하면서 통화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단말기의 사용은 보편화되어, 디지털 컨버전 스(Digital Convergence)의 시대에 맞추어 여러 가지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들을 구현하는 추세에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단말기를 사용하여 AOD(Audio On Demand)와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통화 당사자들이 상대방의 얼굴을 직접 볼 수 있는 화상통화를 하거나, 게임을 다운로드하여 플레이한다. 특히, 초고속이동통신(HSDPA) 서비스를 통한 고품질의 컨텐츠(예를 들어, 고화질의 동영상 또는 온라인 게임)의 이용이 가능해지고 있는데, 이는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의 크기가 대형화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동성으로 인해 크기에 제약이 있는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표시부의 크기가 커진다는 것은 키입력부를 배제하거나(예를 들어, Apple사의 i-Phone과 같은) 키입력부의 키 개수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휴대단말기의 개발이 이루어질 수 밖에 없음을 의미하게 된다. 이렇게 표시부를 크게 하고 키입력부를 최소화하게 되면, 사용자는 문자를 입력하는데 여러 가지 불편함을 겪게 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두 개의 디스플레이(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예정이다.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는 양면 휴대단말기로써 전면 및 후면에 표시부 및 키입력부를 모두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이다. 양면 휴대단말기의 전면은 멀티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대형의 표시부와 최소한의 키입력부를 특징으로 하며, 후면은 일반적인 통신 환경에 적합한 소형의 표시부와 다수의 키가 포함된 키입력부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양면 휴대단말기는 사용 용도별로 전면 또는 후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이러한 양면 휴대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전면 및 후면의 두 표시부 중 사용하고자 하는 표시부를 선택하는 화면 전환키(표시부 선택키)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양면 휴대단말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키 입력없이도 사용하고자 하는 표시부를 선택할 수 있는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기울기가 제1표시부의 활성화에 대응되면 상기 제1표시부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활성화된 제1표시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기울기가 상기 제1표시부의 활성화에 대응되면 상기 제1표시부가 활성화되고 상기 활성화된 제1표시부를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 중에서 상기 감지된 기울기에 대응되는 표시부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활성화된 표시부를 통해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 중에서 상기 감지된 기울기에 대응되지 않는 표시부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비활 성화된 표시부에서 실행 중이던 기능을 정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 중에서 상기 감지된 기울기에 대응되는 표시부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활성화된 표시부를 통해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감지된 기울기에 대응되지 않는 표시부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비활성화된 표시부에서 실행 중이던 기능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송수신부(23)는 RF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한다. RF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은 송신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RF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Codec)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데이터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데이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고, 오디오 코덱은 음성과 멀티미디어 파일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모뎀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 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모뎀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키입력부(27A) 및 제2 키입력부(27B)는 숫자 및 문자 정보의 입력에 필요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의 설정에 필요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키입력부(27A)는 제1 표시부(50A)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면에 대응되는 키입력부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키입력부(27B)는 제2 표시부(50B)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대응되는 키입력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키입력부(27A) 및 제2 키입력부(27B)는 터치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통해 키입력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1 키입력부(27A) 및 제2 키입력부(27B)는 홀드키(미도시)에 의해 비활성화되어 원치않는 키 입력을 방지(Key Lock)하거나, 활성화되어 정상적으로 키 입력을 허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1 키입력부(27A) 및 제2 키입력부(27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 표시부(50A) 및 제2 표시부(50B) 사이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화면 전환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30)는 정지(Pausing)되는 기능이 발생할 시, 정지되는 기능의 정지 시점을 저장한다. 이를 통해, 정지된 기능을 정지시점부 터 재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표시부(50A) 및 제2 표시부(50B)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표시부(50A) 및 제2 표시부(50B)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하여 제1 키입력부(27A) 및 제2 키입력부(27B)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키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감지부(60)는 휴대기기의 좌우 기울기 및/또는 전후 기울기를 감지한다. 감지부(60)는 휴대기기의 좌우 기울기 및/또는 전후 기울기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10)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부(60)로는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소자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부(60)로는 진동형 자이로스코프 소자(vibratory gyroscope device),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또는 구동모드를 전환 및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기울기(가로 또는 세로)에 따라 복수의 표시부(50A 또는 50B)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라 활성화 상태의(예를 들어, 사용 중의) 표시부가 비활성화되면(다른 표시부가 사용되면) 실행중이던 기능을 정지하고, 비활성화된 표시부가 재활성화되면 정지되었던 시점부터 정지된 기능을 재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기울기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도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면은 제1 표시부(50A), 제1 키입력부(27A)를 특징으로 하는 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1 표시부(50A)는 멀티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대형의 화면을 제공하며, 제1 키입력부(27A)는 제1 표시부(50A)를 통해 출력되는 여러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환경에 최적화된 키입력(예를 들어, 터치패드 입력)을 가진다.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후면을 도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후면은 제2표시부(50B), 제2 키입력부(27B)를 특징으로 하는 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2 키입력부(27B)는 편리한 키 입력을 위해 다수의 키를 포함하며, 제2 표시부(50B)는 제1 표시부(50A)에 비해서 작은 화면 크기로 종래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표시부에 해당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가로 형태로 사용하거나, 세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서 (a) 및 (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가 가로 형태로 놓여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면에 대해서 휴대단말기가 가로 형태로 놓여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d)는 본 발 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대해서 휴대단말기가 가로 형태로 놓여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표시부(50A)는 멀티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표시부로써 와이드 화면(가로 형태)으로의 사용에 적합하며, 제2표시부(50B)는 세로 형태로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도 3에서 (b) 및 (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가 세로 형태로 놓여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대해서 휴대단말기가 세로 형태로 놓여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대해서 휴대단말기가 세로 형태로 놓여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표시부(50B)는 종래의 일반적인 통신 환경에 적합한 표시부로써 와이드 화면이 아닌 세로 형태로의 사용에 적합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에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 또는 도 3을 통해 이러한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기모드에서(S401),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고(S402), 감지된 기울기에 대응되는 표시부를 확인한다(S403).
대기모드 상태에서, 제어부(10)는 감지부(60)를 통해 휴대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이후, 제어부(10)는 감지된 휴대단말기의 기울기에 대응되는 표시부(제1표시부(50A) 또는 제2표시부(50B))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감지된 휴 대단말기의 기울기가 (a) 및 (d)와 같이 가로이면 이에 대응되는 표시부는 제1표시부(50A)이며, (b) 및 (c) 와 같이 세로이면 이에 대응되는 표시부는 제2표시부(50B)인 것을 기준으로 한다. 이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제1표시부(50A)는 와이드 화면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가로 형태의 사용에 적합하며, 제2표시부(50B)는 세로 형태의 사용에 적합히기 때문이다. 이 때, 감지된 휴대단말기의 기울기에 대응되는 표시부의 설정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감지된 기울기가 제1표시부에 대응되면, 제어부(10)는 제1표시부를 활성화시키고(S404), 제1표시부를 통해서 미리 설정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S405), 제2표시부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S406).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의 기울기가 도 3의 (a) 또는 (d)와 같이 가로 형태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제어부(10)는 제1표시부(50A)를 활성화시킨다. 이후, 제어부(10)는 제1표시부(50A)에서 실행되기 적합한 기능들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는 디지털 방송(DMB) 시청 모드와 같이 표시부(제1표시부)를 가로로 보기에 적합한 기능으로 자동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제1표시부(50A)에서 자동 실행되는 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휴대단말기를 가로 형태로 취하는 것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 특히, 멀티미디어 기능 등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0)는 제2표시부(50B)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방지한다.
감지된 기울기가 제2표시부에 대응되면, 제어부(10)는 제2표시부를 활성화시키고(S407), 제2표시부를 통해서 미리 설정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S408), 제1표시부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S409).
휴대단말기의 기울기가 도 3의 (b) 또는 (c)와 같이 세로 형태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제2표시부(50B)를 활성화시킨다. 이후, 제어부(10)는 제2표시부(50B)에서 실행되기 적합한 기능들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는 단순히 대기 화면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나, 최근에 발생된 통화의 목록과 같이 통신 환경의 사용에 적합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표시부(50B)를 통해 미리 설정된 기능이 실행되면, 제어부(10)는 제1표시부(50A)가 비활성화되록 제어한다. 이 때, 제2표시부(50A)에서 자동 실행되는 기능 역시 사용자에 설정(선택)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 감지된 기울기에 대응되는 표시부는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제1표시부의 사용모드에서(S501),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고(S502), 기울기에 대응되는 표시부를 확인한다(S503).
제1표시부(50A)가 활성화 상태인 제1표시부의 사용모드에서,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기울기에 대응되는 표시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표시부(50A)를 통해 디지털 방송(DMB)을 시청하고 있을 때, 제어부(10)는 감지부(60)를 통해 휴대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기울기에 대응되는 표시부를 확인한다.
S503 단계의 확인 결과 제2표시부에 대응되는 기울기이면, 제어부(10)는 제1표시부에서 실행중이던 기능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S504), 제2표시부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제2표시부를 통해 소정의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S505).
S503 단계에서 감지된 휴대단말기의 기울기에 대응되는 표시부가 제2표시부(50B)이면, 제어부(10)는 제1표시부에서 실행 중이던 기능을 추후에 재실행할 수 있도록 정지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3의 (a)와 같은 휴대단말기의 기울기 형태(가로 형태)로 제1표시부(50A)를 통해 인터넷 티비(ipTV)를 시청 중일 때, 호(Call)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제1표시부(50A)를 통해 출력되었다고 가정하자. 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자는 휴대단말기의 기울기를 도 3의 (c)와 같은 세로 형태로 취하고, 이를 감지한 제어부(10)는 제1표시부(50A)에서 실행중이던 인터넷 티비 기능을 정지(Pausing)하고, 제1표시부(50)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0)는 제2표시부(50B)를 활성화시키고 수신된 호와 자동으로 연결하도록 하는(통화키의 입력없이 또는 통화키가 입력되면) 소정의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소정의 기능은 호나 문자의 수신시 이에 자동으로 답하는(Responding) 기능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능(미리 설정된)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일 수 있다.
S503 내지 S505 단계 이후 제2표시부의 사용모드로 진입하면(S506), 제어부(10)는 제1표시부에 대응되는 휴대단말기의 기울기가 감지되는지 확인한다(S507).
상기의 단계들을 통해서 제2표시부(50B)를 사용하는(제2표시부가 활성화 상 태인) 제2표시부의 사용모드에서, 제어부(10)는 감지부(60)를 통해 휴대단말기의 기울기를 지속적으로 감지함으로써 제1표시부(50A)에 대응되는 기울기가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S507 단계의 확인 결과 제1표시부에 대응되는 휴대단말기의 기울기가 감지되면, 제어부(10)는 제1표시부가 재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정지되었던 기능이 재실행되도록 제어한다(S508).
또 다시 제1표시부(50)에 대응되는 휴대단말기의 기울기가 감지되면, 제어부(10)는 제1표시부(50A)가 재활성화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S504 단계에서 정지되었던 기능(예를 들어, 인터넷 티비)이 재실행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를 통해, 제1표시부(50A)를 통한 인터넷 티비의 시청 중에 호를 수신한 사용자는 휴대단말기를 세움으로써 제2표시부(50B)를 통해 호에 자동으로 연결한다. 이후, 호의 연결이 종료되면(음성 통신이 끝나면) 사용자는 휴대단말기를 다시 가로 형태로 취함으로써., 재활성화되는 제1표시부(50A)를 통해 정지되었던 인터넷 티비를 다시 시청할 수 있다. 제1표시부(50A)에서 실행중이던 기능이 음악이나 동영상의 파일 재생이면, 제어부(10)는 정지 시점을 확인하고 추후의 재실행시 정지시점부터 재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 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별도의 키입력없이도 사용하고자 하는 표시부를 편리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키입력 없이 사용하고자 하는 표시부가 선택되면, 필요로 하는 기능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표시부를 전환하여 사용할 시, 실행되던 기능을 정지함으로써 추후 정지시점부터 자동으로 재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기울기가 제1표시부의 활성화에 대응되면 상기 제1표시부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활성화된 제1표시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부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2표시부를 비활성화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기울기가 상기 제2표시부의 활성화에 대응되면 상기 제2표시부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활성화된 제2표시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표시부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1표시부를 비활성화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6.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기울기가 상기 제1표시부의 활성화에 대응되면 상기 제1표시부가 활성화되고 상기 활성화된 제1표시부를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단말기의 사용 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표시부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2표시부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기울기가 상기 제2표시부의 활성화에 대응되면 상기 제2표시부가 활성화되고, 상기 활성화된 제2표시부를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표시부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1표시부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장치.
  11.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 중에서 상기 감지된 기울기에 대응되는 표시부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활성화된 표시부를 통해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 중에서 상기 감지된 기울기에 대응되지 않는 표시부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비활성화된 표시부에서 실행 중이던 기능을 정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울기가 상기 비활성화된 표시부에 대응되게 변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비활성화된 표시부를 재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정지된 기능의 정지 시점을 확인하고, 상기 재활성화된 표시부를 통해서 상기 정지된 기능을 상기 확인된 정지 시점부터 실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울기가 상기 비활성화된 표시부에 대응되게 변하면, 상기 활성화된 표시부를 비활성화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14.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 중에서 상기 감지된 기울기에 대응되는 표시부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활성화된 표시부를 통해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감지된 기울기에 대응되지 않는 표시부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비활성화된 표시부에서 실행 중이던 기능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울기가 상기 비활성화된 표시부에 대응되게 변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비활성화된 표시부를 재활성화시키고, 상기 정지된 기능의 정지 시점을 확인하고, 상기 재활성화된 표시부를 통해서 상기 정지된 기능을 상기 확인된 정지 시점부터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울기가 상기 비활성화된 표시부에 대응되게 변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활성화된 표시부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장치.
KR1020070034183A 2007-04-06 2007-04-06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방법 및 장치 KR100856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183A KR100856239B1 (ko) 2007-04-06 2007-04-06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183A KR100856239B1 (ko) 2007-04-06 2007-04-06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6239B1 true KR100856239B1 (ko) 2008-09-03

Family

ID=40022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183A KR100856239B1 (ko) 2007-04-06 2007-04-06 제1표시부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2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616B1 (ko) 2009-10-27 2012-03-28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단말장치 및 듀얼 터치패널 휴대단말장치의 조작방법
US8558809B2 (en) 2010-07-08 2013-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on according to movement in portable termin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1882A (ko) * 2005-10-17 200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력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1882A (ko) * 2005-10-17 200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력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616B1 (ko) 2009-10-27 2012-03-28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단말장치 및 듀얼 터치패널 휴대단말장치의 조작방법
US8558809B2 (en) 2010-07-08 2013-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on according to movement in portable terminal
US8866784B2 (en) * 2010-07-08 2014-10-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on according to movement in portab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71121B (zh) 一种应用显示方法和移动终端
KR101735303B1 (ko) 터치 패널 운용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WO2015124033A1 (zh) 视频交互方法、终端、服务器及系统
CN108551636B (zh) 一种扬声器控制方法及移动终端
WO2018095129A1 (zh) 一种播放直播视频的方法和装置
US20230214175A1 (en) Prompt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WO2017129031A1 (zh) 信息获取方法及装置
CN106792120B (zh) 视频画面的显示方法、装置和终端
CN110536008B (zh) 一种投屏方法及移动终端
WO2018161534A1 (zh) 一种显示图像的方法、双屏终端和计算机可读的非易失性存储介质
KR20080064274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터치패드 제어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WO2020042892A1 (zh) 通话模式切换方法及终端设备
KR102650142B1 (ko) 동기화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00067381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기
WO2018095130A1 (zh) 一种确定直播时长的方法和系统
JP680493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WO2019223569A1 (zh) 信息处理方法及移动终端
US201403377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electronic device
KR20220092602A (ko)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전자기기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CN108900695A (zh) 一种显示处理方法及终端设备
CN111124706A (zh) 一种应用程序分享方法及电子设备
CN111078186A (zh) 一种播放方法及电子设备
US7746409B2 (en) Mobile telephone device
CN105187944B (zh) 一种显示状态栏的方法和装置
KR20110068027A (ko)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