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142B1 - 동기화 방법 및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동기화 방법 및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142B1
KR102650142B1 KR1020227021519A KR20227021519A KR102650142B1 KR 102650142 B1 KR102650142 B1 KR 102650142B1 KR 1020227021519 A KR1020227021519 A KR 1020227021519A KR 20227021519 A KR20227021519 A KR 20227021519A KR 102650142 B1 KR102650142 B1 KR 102650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
screen
data
executi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1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4236A (ko
Inventor
지에 루오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04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2Remote windowing, e.g. X-Window System, desktop virtual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G06F9/485Task life-cycle, e.g. stopping, restarting, resuming execution
    • G06F9/4856Task life-cycle, e.g. stopping, restarting, resuming execution resumption being on a different machine, e.g. task migration, virtual machine mig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된 경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전자 장치가 제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제1 애플리케이션의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제1 전자 장치가 실행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기화 방법 및 전자 장치를 공개한다.

Description

동기화 방법 및 전자 장치
본 출원은 2019년 11월 29일에 중국에 제출한 중국 특허 출원 번호 No. 201911200788.X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본 출원에서는 그 모든 내용을 인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통신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기화 방법 및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람마다 갖고 있는 스마트 장치 보유량이 끊임없이 높아지고 있다. 여러 대의 스마트 장치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로 말하면, 그 중 한 장치의 배터리 전력이 없어지거나 또는 시나리오 전환으로 장치를 교체하여야 할 때, 현재 장치에서 사용 화면을 종료한 후 제2 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다시 조작 화면으로 진입하여야 한다. 사용자가 두 대의 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전환할 때 중단 기간이 존재하고, 사용자는 전환 후의 제2 장치에서 번거로운 조작 과정을 거쳐야 이전의 제1 장치에서와 같은 조작에 이를 수 있다.
본 발명은 장치 전환 후 사용자가 이전의 조작을 계속하는 과정이 번거로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기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이 구현된다.
제1 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전자 장치에 적용되고,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된 경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실행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기화 방법을 제공한다.
제2 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 전자 장치에 적용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제1 전자 장치 사이가 통신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기화 방법을 제공한다.
제3 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전자 장치로서,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된 경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수신하는 제1 수신 모듈;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 모듈;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실행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동기화시키는 제1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제4 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 전자 장치로서,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제1 전자 장치 사이가 통신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송신하는 제1 송신 모듈;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제5 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동기화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제6 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동기화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제1 애플리케이션을 가동시키지 않았을 때,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상기 실행 화면을 장치 전환 시의 완충 과도 과정으로 하며, 상기 제1 전자 장치 자체가 제1 애플리케이션을 가동하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동기화를 완성한 후, 사용자는 직접 동기화 후의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조작을 수행할 수 있어,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전자 장치로의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심리스 전환을 구현하고, 사용자의 장치 전환 시의 몰입감을 유지하는 것을 확보하며, 사용자 조작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사용될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창조적인 노력 없이 이러한 도면을 통해 다른 도면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기화 방법의 흐름 모식도 1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가상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동기화 후의 제1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기화 방법의 흐름 모식도 2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애플리케이션 선택 화면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환하고자 하는 장치의 선택창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전자 장치의 모듈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전자 장치의 모듈 구조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구조 모식도이다.
아래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하는 바,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이고 전부가 아님은 물론이다.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력을 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획득한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동기화 방법을 제공하는 바,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101 단계: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된 경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수신하며;
해당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현재 상기 제2 전자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사용자가 제2 전자 장치 내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만일 장치 전환의 수요가 존재하면, 먼저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의 통신 연결을 구축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 중의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제1 전자 장치 상에 스크린 투영하여 디스플레이하여야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통신 연결은, 블루투수, wifi 등 방식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블루투스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스캔하고, 또한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연결 요청을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모두 자신이 스캔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연결 요청을 수신할 때, 허락을 클릭하여 장치 연결을 완성한다. 상기 통신 연결을 구축한 후,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102 단계: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며;
해당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 전자 장치 상에서 실행될 때의 관련 데이터로서, 어느 한 페이지로 점프하는 경로 정보, 화면 슬라이딩 위치 거리, 계정 정보, 비디오/음악 등 페이지 프로그래스 바 및 게임 페이지의 렌더링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수신한 후, 상기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또한 자체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웨이크업 및 가동시킨다.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웨이크업 및 가동시킨 후,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또한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송신하여야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실행 데이터 획득 요청을 송신하며;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실행 데이터 획득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피드백한다.
103 단계: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실행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동기화시킨다.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자체가 이미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경우,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화면 렌더링을 진행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제2 전자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조작 프로세스가 동기화되게 한다. 선택적으로, 데이터 동기화 및 화면 렌더링 완성 후,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더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데이터 동기화 후의 제1 전자 장치 상의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데이터 동기화 후의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의 실행 화면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의 실행 화면이 완전히 같고, 사용자는 바로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 계속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을 완성할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제1 애플리케이션을 가동시키지 않았을 때,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수신하고, 사용자는 수신한 상기 실행 화면 상에서 조작을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상기 실행 화면을 장치 전환 시의 완충 과도 과정으로 하고,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동기화를 완성한 후, 사용자는 직접 동기화 후의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조작을 수행할 수 있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전자 장치로의 심리스 전환을 구현한다.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실행 화면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1 전자 장치 상에서의 실행 화면의 전환은 백그라운드 실행 상태에 처하고,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은 기본상 심리스 전환에 속하며, 사용자의 장치 전환 시의 몰입감을 유지하는 것을 확보하며, 사용자 조작을 감소시키며; 전환 완성 후 제1 애플리케이션은 제1 전자 장치 상에서 실행되고, 자동으로 제2 전자 장치에서 퇴출하며,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현재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로그인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온라인 쇼핑 애플리케이션 등)일 때, 만일 사용자가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에서 모두 자신의 계정에 로그인한 적이 있고, 또한 비밀번호 기억하기 또는 자동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전환될 때,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계정 정보를 송신할 필요가 없으며; 만일 상기 제1 전자 장치 상에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전환될 때,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 정보를 제1 전자 장치로 송신하여야 하고,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가동할 때, 계정 정보에 의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고, 또한 실행 데이터에 의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여야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101 단계는,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된 경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가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수신한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의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트리거하여 가동시키며; 또는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제1 전자 장치에서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트리거하여 가동시킨다.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수신할 때, 상기 제1 전자 장치 상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웨이크업 및 가동시킨다. 선택적으로, 만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2 전자 장치의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면,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가동시키고 또한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하며; 만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2 전자 장치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면,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가동시키고 또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한다.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또한 동시에 복수개의 기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2 전자 장치의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백그라운드에 제2 애플리케이션과 제3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과 제3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도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가동시킬 때, 또한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과 제3 애플리케이션을 가동시키고, 또한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과 제3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데이터를 획득하여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수신한 후, 또한 가상 스크린에서 수신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수신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스크린 투영하여 디스플레이하여야 하는 것으로 여긴다.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관련 데이터에 의해 상기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가상 스크린을 생성하는 바, 상기 가상 스크린은 바로 곧 상기 제1 전자 장치 상에서 스크린 투영하여 디스플레이하게 될 스크린이다.
상기 가상 스크린은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홈 스크린에 펼쳐 디스플레이되고, 원래의 스크린 내용을 덮어버려,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상기 제1 전자 장치 상의 스크린 투영을 구현한다. 상기 가상 스크린의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 방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고,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21) 내에, 제2 전자 장치 상의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가상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한다.
선택적으로, 가상 스크린에서 수신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후, 상기 방법은 또한, 사용자의 상기 가상 화면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입력과 대응되는 조작 데이터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가 스크린 투영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가상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할 때, 사용자의 상기 제1 전자 장치 상에서 상기 가상 스크린에 대한 조작은 모두 먼저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피드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입력이 상용자의 상기 가상 스크린 상의 포워드 조작을 표시하면,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입력을 수신한 후, 포워드 조작의 데이터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1 화면을 제어하여 포워드 조작을 완성하고, 또한 관련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할 때, 상기 제1 입력과 대응되는 조작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고, 서버가 상기 조작 데이터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의 제1 애플리케이션 가동이 완성되기 전에, 사용자의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은 가상 스크린 상에서 진행되고, 또한 조작 데이터는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로 피드백하며,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조작 데이터에 의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을 실행한다. 장치의 전환을 완성하기 전, 상기 가상 스크린은 완충 과도 과정으로서, 사용자의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이 중단되지 않도록 확보하여, 제2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이 원활하게 제1 전자 장치로 전환되게 하여, 사용자의 장치 전환 시의 몰입감을 유지하는 것을 확보하며, 사용자 조작을 감소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실행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동기화시킨 후, 또한
상기 가상 스크린을 닫고,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의해 상기 제1 전자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데이터 동기화 및 화면 렌더링을 수행하며; 데이터 동기화 및 화면 렌더링 완성 후, 상기 가상 스크린을 닫고, 또한 제1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제1 전자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데이터 동기화 후의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의 실행 화면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완전히 같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31)에서 데이터 동기화 후의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바, 이때 사용자는 제1 전자 장치의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계속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실행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동기화시킨 후, 또한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통신 연결을 끊는 단계를 포함한다.
데이터 동기화 및 화면 렌더링 완성 후,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로 연결 중단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2 전자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중단한다.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의 연결이 중단된 후, 사기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또한 블루투스/wifi 등 네트워크 연결을 닫으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자 장치로의 전환을 완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제1 애플리케이션을 가동시키지 않았을 때,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수신하고, 사용자는 수신한 상기 실행 화면 상에서 조작을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상기 실행 화면을 장치 전환 시의 완충 과도 과정으로 하고,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동기화를 완성한 후, 사용자는 직접 동기화 후의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조작을 수행할 수 있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전자 장치로의 심리스 전환을 구현하고, 사용자의 장치 전환 시의 몰입감을 유지하는 것을 확보하며, 사용자 조작을 감소시키며; 전환 완성 후 제1 애플리케이션은 제1 전자 장치 상에서 실행되고, 자동으로 제2 전자 장치에서 퇴출하며,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동기화 방법을 제공하는 바,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401 단계: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제1 전자 장치 사이가 통신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송신하며;
사용자가 상기 제2 전자 장치 내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만일 제2 전자 장치가 전기량이 모자라거나 또는 기타 디플레이 요구로 인하여 장치 전환을 수행하여야 할 때, 전환하고자 하는 제1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을 구축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현재 디스플레이 화면이 상기 제1 전자 장치 상에서 스크린 투영으로 디스플레이되게 하여야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통신 연결은, 블루투수, wifi 등 방식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블루투스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스캔하고, 또한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연결 요청을 송신한다. 상기 제1 전자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구축한 후, 상기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송신한다.
402 단계: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 전자 장치 상에서 실행될 때의 관련 데이터로서, 어느 한 페이지로 점프하는 경로 정보, 화면 슬라이딩 위치 거리, 계정 정보, 비디오/음악 등 페이지 프로그래스 바 및 게임 페이지의 렌더링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송신한 실행 데이터 획득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송신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데이터 동기화와 화면 렌더링을 수행하게 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 제1 전자 장치로 전환시켜 실행하여야 할 때, 먼저 제1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제1 전자 장치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송신하여,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상기 실행 화면을 장치 전환 시의 완충 과도 과정으로 한다.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제1 애플리케이션의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송신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게 하고, 나아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전자 장치로의 심리스 전환을 구현하고, 사용자의 장치 전환 시의 몰입감을 유지하는 것을 확보하며, 사용자 조작을 감소시키며; 전환 완성 후 제1 애플리케이션은 제1 전자 장치 상에서 실행되고, 제2 전자 장치가 자동으로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퇴출하며,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로그인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온라인 쇼핑 애플리케이션 등)일 때, 만일 사용자가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에서 모두 자신의 계정에 로그인한 적이 있고, 또한 비밀번호 기억하기 또는 자동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전환될 때,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계정 정보를 송신할 필요가 없으며; 만일 상기 제1 전자 장치 상에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전환될 때,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계정 정보를 제1 전자 장치로 송신하여야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제1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하기 전, 상기 방법은 또한,
사용자의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한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하, 상기 애플리케이션 선택 화면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입력은 장치 전환 기능에 대한 웨이크업 입력이고, 상기 제2 입력의 형식은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상기 제2 입력은 사용자의 두 손 가락이 스크린을 길게 누르는 입력일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실체 버튼을 조작하는 입력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화면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2 전자 장치 상의 현재 디스플레이 화면이고, 사용자가 상기 제1 화면에서 장치 전환 기능을 웨이크업시키면, 상기 제1 화면의 일부 또는 전부 구역에서 애플리케이션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선택 화면은 윈도우 형식일 수도 있고, 또한 상기 제1 화면을 완전히 덮을 수도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선택 화면 내에는 현재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포어그라운드로 및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는 스크린 투영을 지원하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스크린을 투영을 수행하게 될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게 한다.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은 현재 포어그라운드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그렇다면 사용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선택 화면 내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선택한다.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제1 전자 장치가 통신 연결을 구축한 후,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선택 화면은 또한,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기타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포함한다. 만일 사용자가 제2 전자 장치에서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는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동기화로 전환시키려 한다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선택 화면에서 동기화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제1 전자 장치가 통신 연결을 구축한 후,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선택한 기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데이터를 송신한다.
현재 제2 전자 장치 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제1 애플리케이션, 제2 애플리케이션과 제3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선택 화면(51) 내에서, 사용자는 임의로 동기화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을 완성한 후 다음 단계를 표시하는 화살표 버튼(52)을 클릭하면, 전환하고자 하는 장치의 선택창(61)이 팝업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창(61)은 제1 전자 장치, 제3 전자 장치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수요에 따라 전환하고자 하는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을 완성한 후 확인 버튼(62)을 클릭하면, 제2 전자 장치가 사용자가 선택한 전자 장치로 통신 연결 요청을 송신하여, 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또한,
제1 전자 장치가 송신한 조작 데이터를 수신하는 바, 상기 조작 데이터는 사용자가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가상 스크린 상에서 제1 입력을 수행한 것에 대응되는 조작 데이터인 단계; 상기 조작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화면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가 통신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가상 스크린을 통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때, 사용자의 상기 제1 전자 장치 상에서 상기 가상 스크린에 대한 조작은 모두 먼저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피드백된다.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가상 스크린에 대한 조작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조작 데이터에 의해 현재 디스플레이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1 화면을 제어하여 상응한 조작을 완성하고, 또한 관련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송신하고, 업데이트한 후의 화면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송신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의 제1 애플리케이션 가동이 완성되기 전에, 사용자의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은 가상 스크린 상에서 진행되고, 또한 조작 데이터는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피드백하며,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조작 데이터에 의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을 실행한다. 장치의 전환을 완성하기 전, 상기 가상 스크린은 완충 과도 과정으로서, 사용자의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이 중단되지 않도록 확보하여, 제2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이 원활하게 제1 전자 장치로 전환되게 하여, 사용자의 장치 전환 시의 몰입감을 유지하는 것을 확보하며, 사용자 조작을 감소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송신한 후, 또한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통신 연결을 끊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장치와의 통신 연결이 중단된 경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또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데이터 동기화 및 화면 렌더링을 완성한 후, 제2 전자 장치로 연결 중단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연결 중단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데이터 동기화를 완성한 것을 확인한 후 연결을 중단하여, 데이터 렌더링 후의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1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과 제2 전자 장치 상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완전히 같도록 확보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서로 다른 전자 장치 사이에서의 심리스 전환을 구현한다.
아래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전환하는 것을 완성하는 구체적인 구현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현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두 손가락으로 상기 실행 화면을 길게 눌러 장치 전환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것을 예로 들면, 사용자가 두 손가락으로 제2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길게 눌러 장치 전환 기능을 웨이크업하며; 애플리케이션 선택 화면이 팝업하는 바, 애플리케이션 선택 화면은 현재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제1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선택하며; 사용자가 전환하고자 하는 제1 전자 장치를 선택하고, 통신 연결을 구축하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1 전자 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가상 스크린을 스크린 투영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가상 스크린에서의 조작 데이터는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피드백되며; 제1 전자 장치가 백그라운드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웨이크업 및 가동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획득하며; 제1 전자 장치가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에 의해 제1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동기화와 화면 렌더링을 완성하며; 데이터 동기화와 렌더링 완성 후, 제2 전자 장치와의 연결을 중단하고, 상기 가상 스크린을 닫으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제1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송신을 정지하고, 제1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자 장치로의 전환을 완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 제1 전자 장치로 전환시켜 실행하여야 할 때, 먼저 제1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제1 전자 장치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송신하여,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상기 실행 화면을 장치 전환 시의 완충 과도 과정으로 하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제1 애플리케이션의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송신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게 하고,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의 두 장치 사이의 심리스 전환을 완성하여, 사용자의 장치 전환 시의 몰입감을 유지하는 것을 확보하며, 사용자 조작을 감소시키며; 전환 완성 후 제1 애플리케이션은 제1 전자 장치 상에서 실행되고, 제2 전자 장치가 자동으로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퇴출하며,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전자 장치(700)이고,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된 경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수신하는 제1 수신 모듈(710);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 모듈(720);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실행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동기화시키는 제1 처리 모듈(730)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된 경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가동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는 또한,
가상 스크린에서 수신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는 또한,
상기 가상 스크린을 닫고,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는 또한,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통신 연결을 끊는 제3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의 방법 실시예 중 전자 장치가 구현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제1 애플리케이션을 가동시키지 않았을 때,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수신하고, 사용자는 수신한 상기 실행 화면 상에서 조작을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상기 실행 화면을 장치 전환 시의 완충 과도 과정으로 하고,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동기화를 완성한 후, 사용자는 직접 동기화 후의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조작을 수행할 수 있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전자 장치로의 심리스 전환을 구현하고, 사용자의 장치 전환 시의 몰입감을 유지하는 것을 확보하며, 사용자 조작을 감소시키며; 전환 완성 후 제1 애플리케이션은 제1 전자 장치 상에서 실행되고, 자동으로 제2 전자 장치에서 퇴출하며,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전자 장치는 제2 전자 장치(800)이고,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제1 전자 장치 사이가 통신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송신하는 제1 송신 모듈(810);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송신 모듈(820)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는 또한,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통신 연결을 끊는 제4 처리 모듈;
상기 제1 전자 장치와의 통신 연결이 중단된 경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또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제5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장치는 도 4 내지 도 6의 방법 실시예 중 전자 장치가 구현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 제1 전자 장치로 전환시켜 실행하여야 할 때, 먼저 제1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제1 전자 장치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송신하여,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상기 실행 화면을 장치 전환 시의 완충 과도 과정으로 하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제1 애플리케이션의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송신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게 하고,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의 두 장치 사이의 심리스 전환을 완성하여, 사용자의 장치 전환 시의 몰입감을 유지하는 것을 확보하며, 사용자 조작을 감소시키며; 전환 완성 후 제1 애플리케이션은 제1 전자 장치 상에서 실행되고, 제2 전자 장치가 자동으로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퇴출하며,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일 전자 장치를 구현하는 하드웨어 구조 모식도이다.
해당 전자 장치(900)는 무선 주파수 유닛(901), 네트워크 모듈(902), 오디오 출력 유닛(903), 입력 유닛(904), 센서(905), 디스플레이 유닛(906), 사용자 입력 유닛(907), 인터페이스 유닛(908), 메모리(909), 프로세서(910) 및 전원(911) 등 부품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도 9에 도시된 전자 장치 구조가 전자 장치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전자 장치는 도시된 것보다 더욱 많거나 더욱 적은 부품을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부품 또는 서로 다른 부품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핸드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 차량 탑재 단말, 웨어러블 장치 및 계보기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전자 장치일 때, 프로세서(910)는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된 경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수신하며;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실행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동기화시킨다.
상기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일 때,
프로세서(910)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제1 전자 장치 사이가 통신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송신하며;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제1 애플리케이션을 가동시키지 않았을 때,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수신하고, 사용자는 수신한 상기 실행 화면 상에서 조작을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상기 실행 화면을 장치 전환 시의 완충 과도 과정으로 하고,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동기화를 완성한 후, 사용자는 직접 동기화 후의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조작을 수행할 수 있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전자 장치로의 심리스 전환을 구현하고, 사용자의 장치 전환 시의 몰입감을 유지하는 것을 확보하며, 사용자 조작을 감소시키며; 전환 완성 후 제1 애플리케이션은 제1 전자 장치 상에서 실행되고, 자동으로 제2 전자 장치에서 퇴출하며,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901)은 정보 송수신 또는 통신 과정의 신호의 수신과 송신을 진행할 수 있는 바,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지국으로부터 온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910)로 전송하여 처리를 진행하며; 그리고,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9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소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무선 주파수 유닛(901)은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기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네트워크 모듈(902)을 통해 사용자에 대해 무선의 광대역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 바, 예를 들면 사용자를 도와 전자 메일을 송수신하고, 웹 페이지 접속하며, 스트림 미디어를 접속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903)은 무선 주파수 유닛(901) 또는 네트워크 모듈(902)이 수신한 또는 기억장치(9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전환하고 또한 소리로 출력한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 유닛(903)은 또한 전자 장치(900)가 실행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를 들면, 콜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903)은 스피커, 부저 및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90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입력 유닛(904)은 그래픽 처리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9041)와 마이크(904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처리장치(90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를 들면 카메라)가 획득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처리를 진행한다. 처리 후의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유닛(906)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미지 처리장치(9041)의 처리를 거친 후의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90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유닛(901) 또는 네트워크 모듈(902)을 거쳐 송신을 진행한다. 마이크(9042)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 후의 오디오 데이터는 전환 통화 모드의 경우, 무선 주파수 유닛(901)을 거쳐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 있는 포맷으로 전환되어 출력된다.
전자 장치(900)는 또한 적어도 한 가지 센서(905)를 포함하는 바, 예를 들면 광 센서, 운동 센서 및 기타 센서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광 센서는 환경 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바, 여기서, 환경 광 센서는 환경 광선의 명암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9061)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전자 장치(900)가 귀가로 이동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9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닫을 수 있다. 운동 센서의 일종으로서 가속도 센서는 각 방향 상(일반적으로 3축)의 가속도의 크기를 탐지할 수 있고, 정지 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탐지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 자세(예를 들면 가로/세로 스크린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조절), 진동 식별 관련 기능(예를 들면 계보기, 두드림) 등을 식별할 수 있으며; 센서(905)는 또한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유닛(906)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유닛(906)은 디스플레이 패널(9061)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식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9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90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전자 장치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사용자 입력 유닛(907)은 터치 패널(9071) 및 다른 입력 장치(9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9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칭하고, 사용자의 그 위 또는 부근에서의 터치 조작(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부속품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9071) 상 또는 터치 패널(9071) 부근에서의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9071)은 터치 검출 장치와 터치 제어기 두 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향을 검출하고, 또한 터치 조작에 의한 신호를 검출하며, 신호를 터치 제어기로 전송하며;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이를 터치 포인트 좌표로 전환시켜, 다시 프로세서(910)로 전송하고, 프로세서(910)가 전송하는 명령을 수신 및 실행한다. 그리고, 저항식, 전기용량식, 적외선 및 표면 음파 등 여러 유형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9071)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9071) 외, 사용자 입력 유닛(907)은 또한 다른 입력 장치(90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다른 입력 장치(9072)는 물리 키보드, 기능 키(예를 들면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스틱 등 중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진일보로, 터치 패널(9071)은 디스플레이 패널(9061) 상에 커버될 수 있고, 터치 패널(9071)이 그 위 또는 부근의 터치 조작을 감지한 후, 프로세서(910)로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결정하고, 그 후 프로세서(910)가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9061) 상에서 상응한 시각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에서 터치 패널(9071)과 디스플레이 패널(9061)은 두 개의 독립적인 부품으로서 전자 장치의 입력과 출력 기능을 구현하였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9071)과 디스플레이 패널(9061)을 집적시켜 전자 장치의 입력과 플레이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여기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유닛(908)은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90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폰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저장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입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908)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를 들면,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또한 수신된 입력을 전자 장치(900)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소자로 전송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900)와 외부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이용할 수 있다.
기억장치(9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여러 가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909)는 주요하게 프로그램 저장 구역과 데이터 저장 구역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구역에는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예를 들면 사운드 플레이 기능, 이미지 플레이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구역에는 핸드폰의 사용에 따라 구성된 데이터(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 통신록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909)는 고속 무작위 접속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기억 소자, 플래시 소자 또는 기타 휘발성 고체 기억 소자이다.
프로세서(910)는 전자 장치의 제어 센터로서, 여러 가지 인터페이스와 선로를 이용하여 전체 전자 장치의 각 부분을 연결하고, 메모리(909)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작동 또는 실행하며, 메모리(909)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단말기기의 여러 가지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여, 전자 장치에 대해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910)에는 응용 프로세서와 변조/복조 프로세서가 집적될 수 있고, 여기서, 응용 프로세서는 주요하게 운영 시스템, 유저 인터페이스와 어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변조/복조 프로세서는 주요하게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변조/복조 프로세서는 또한 프로세서(910)에 집적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전자 장치(900)는 또한 각 부품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911)(예를 들면 배터리)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원(9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910)와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모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900)는 일부 도시되지 않은 기능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바, 프로세서(910), 메모리(909), 메모리(909)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91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910)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동기화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이 구현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룬다.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동기화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이 구현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룬다.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예를 들면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이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문에서, 용어 “포함하다” 또는 이의 임의의 기타 변형체는 비 배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뜻함으로써,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이러한 요소를 포함할 뿐 아니라, 또한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은 기타 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상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를 포함하도록 한다. 더욱 많은 제한이 없는 경우, “하나의... 을(를)을 포함하다”는 구절로 한정되는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설비에 또한 기타 동일한 요소가 포함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방식에 대한 기재를 통해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에 필요한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여러 경우 중에서 전자가 더욱 바람직한 실시방식이다. 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를 들면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단말(핸드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을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위에서는 도면을 결부시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단지 예시적일 뿐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힌트 하에서 본 발명의 사상과 청구항이 보호하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 하에서, 얼마든지 더욱 많은 형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8)

  1.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된 경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실행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수신한 후,
    가상 스크린에서 수신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가동이 완성되기 전에, 사용자의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은 상기 가상 스크린 상에서 진행되고, 또한 조작 데이터는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로 피드백하며,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조작 데이터에 의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을 실행하는 동기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된 경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된 경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가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실행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동기화시킨 후,
    상기 가상 스크린을 닫고,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실행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동기화시킨 후,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통신 연결을 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방법.
  5. 제1 전자 장치로서,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된 경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수신하는 제1 수신 모듈;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 모듈;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실행하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동기화시키는 제1 처리 모듈; 및
    가상 스크린에서 수신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가동이 완성되기 전에, 사용자의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은 상기 가상 스크린 상에서 진행되고, 또한 조작 데이터는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로 피드백하며,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조작 데이터에 의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된 경우,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송신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가상 스크린을 닫고,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통신 연결을 끊는 제3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기화 방법이 구현되는 전자 장치.
  10.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기화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227021519A 2019-11-29 2020-11-24 동기화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650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200788.X 2019-11-29
CN201911200788.XA CN111031108B (zh) 2019-11-29 2019-11-29 一种同步方法及电子设备
PCT/CN2020/131029 WO2021104230A1 (zh) 2019-11-29 2020-11-24 同步方法及电子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236A KR20220104236A (ko) 2022-07-26
KR102650142B1 true KR102650142B1 (ko) 2024-03-22

Family

ID=7020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1519A KR102650142B1 (ko) 2019-11-29 2020-11-24 동기화 방법 및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86503A1 (ko)
EP (1) EP4068899A4 (ko)
JP (1) JP7403648B2 (ko)
KR (1) KR102650142B1 (ko)
CN (1) CN111031108B (ko)
WO (1) WO20211042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31108B (zh) * 2019-11-29 2021-09-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同步方法及电子设备
CN112235412B (zh) * 2020-10-22 2023-08-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消息处理方法和装置
CN112328344B (zh) * 2020-11-02 2022-11-2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投屏处理方法及第一设备
CN114968146A (zh) * 2021-02-27 2022-08-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拼接显示的方法、电子设备和系统
CN113190162A (zh) * 2021-04-28 2021-07-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6074942A (zh) * 2021-10-29 2023-05-0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应用同步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8658A (ja) * 2010-11-16 2012-06-07 Lenovo Singapore Pte Ltd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
WO2013097898A1 (en) 2011-12-28 2013-07-04 Nokia Corporation Synchronising the transient state of content in a counterpart application
CN108513008A (zh) * 2018-03-28 2018-09-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控制权转移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794B1 (ko) * 2000-07-31 2005-09-2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에이전트 시스템
US8013835B2 (en) * 2008-02-21 2011-09-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 system having shared display devices
CN102298537A (zh) * 2011-06-10 2011-12-2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应用程序的迁移方法及系统
US20140012999A1 (en) * 2011-08-24 2014-01-09 Awind Inc. Method of establishing paid connection using screen mirroring application between multi- platforms
CN103064696B (zh) * 2011-10-24 2016-06-01 联想(北京)有限公司 启动方法和电子设备
US20130147702A1 (en) * 2011-12-13 2013-06-13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User Interface
US20140108558A1 (en) * 2012-10-12 2014-04-17 Citrix Systems, Inc. Application Management Framework for Secure Data Sharing in an Orchestration Framework for Connected Devices
CN105630587B (zh) * 2014-10-31 2024-04-1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应用程序数据在终端之间迁移的方法、装置及系统
CN107870754A (zh) * 2016-09-28 2018-04-03 法乐第(北京)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控制设备上展示的内容的方法及装置
US10169200B2 (en) * 2016-10-28 2019-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de component debugging in an application program
CN107659712A (zh) * 2017-09-01 2018-02-02 咪咕视讯科技有限公司 一种投屏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8556740A (zh) * 2018-04-17 2018-09-21 上海商泰汽车信息系统有限公司 多屏共享设备及方法、计算机可读介质、车载设备
CN113504851A (zh) * 2018-11-14 2021-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播放多媒体数据的方法及电子设备
CN110493451B (zh) * 2019-07-01 2020-10-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电子设备及终端
CN111031108B (zh) * 2019-11-29 2021-09-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同步方法及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8658A (ja) * 2010-11-16 2012-06-07 Lenovo Singapore Pte Ltd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
WO2013097898A1 (en) 2011-12-28 2013-07-04 Nokia Corporation Synchronising the transient state of content in a counterpart application
CN108513008A (zh) * 2018-03-28 2018-09-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控制权转移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31108A (zh) 2020-04-17
EP4068899A4 (en) 2023-01-04
JP7403648B2 (ja) 2023-12-22
JP2023503289A (ja) 2023-01-27
EP4068899A1 (en) 2022-10-05
KR20220104236A (ko) 2022-07-26
CN111031108B (zh) 2021-09-03
WO2021104230A1 (zh) 2021-06-03
US20220286503A1 (en) 2022-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0142B1 (ko) 동기화 방법 및 전자 장치
CN110062105B (zh) 一种界面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09379484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终端
CN107908382B (zh) 一种分屏显示方法及移动终端
WO2019196864A1 (zh) 一种虚拟按键控制方法及移动终端
WO2019196691A1 (zh) 一种键盘界面显示方法和移动终端
CN110837327B (zh) 一种消息查看方法及终端
CN110196667B (zh) 一种通知消息的处理方法及终端
CN108196947B (zh) 一种应用运行状态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9085968B (zh) 一种截屏方法及终端设备
WO2020001604A1 (zh) 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07957843B (zh) 一种控制方法和移动终端
CN110673770B (zh) 消息展示方法及终端设备
WO2019114522A1 (zh) 屏幕控制方法、屏幕控制装置及移动终端
CN110531915B (zh) 屏幕操作方法及终端设备
CN108446156B (zh) 一种应用程序控制方法及终端
WO2020024770A1 (zh) 确定通讯对象的方法及移动终端
KR20220092602A (ko)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전자기기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20220083804A (ko) 정보의 표시 및 송신 방법, 이를 위한 전자기기
CN111124706A (zh) 一种应用程序分享方法及电子设备
WO2020192322A1 (zh) 显示方法及终端设备
WO2020078234A1 (zh) 显示控制方法及终端
WO2021115220A1 (zh) 信息共享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855549A (zh) 一种消息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09445589B (zh) 一种多媒体文件播放控制方法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