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961B1 -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961B1
KR100724961B1 KR1020060071438A KR20060071438A KR100724961B1 KR 100724961 B1 KR100724961 B1 KR 100724961B1 KR 1020060071438 A KR1020060071438 A KR 1020060071438A KR 20060071438 A KR20060071438 A KR 20060071438A KR 100724961 B1 KR100724961 B1 KR 100724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controller
function
mod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근
김학상
박석효
전재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1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961B1/ko
Priority to US11/746,567 priority patent/US804971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961B1/ko
Priority to CN2007101126717A priority patent/CN101115257B/zh
Priority to EP07013467.1A priority patent/EP18830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가 슬립(Sleep) 모드일 때 상기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처리부와, 상기 슬립 모드에서 소정키 신호가 입력되면 활성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멀티미디어처리부를 비활성화 시키는 비활성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소정키 입력에 따라 이동 통신 기능과 멀티미디어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기능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를 제어할 필요가 없으므로 단말기의 전류소모를 줄일 수 있고, 제어부가 멀티미디어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데 있어서 발생되는 소프트웨어적인 오류 발생 또한 줄일 수 있다.
휴대 단말기, 멀티미디어 기능, 동작 제어

Description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IN PORTABLE TERMINAL HAVING A MULTIMEDIA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미디어 기능을 가진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이동 통신 기능 이외에,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가 결합된 휴대 단말기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가 급속도로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는 이동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Control Processor) 예컨대, MSM(Mobile Station Modem) 칩 이외에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가 내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할 때 제어부가 멀티미디어 프로세서를 제어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휴대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멀티미디어 프로세서를 제어하기 위해 항상 활성 모드를 유지해야 하므로 전류소모가 커지고, 소프트웨어적인 오류 발생 확률 또한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기능과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효율적인 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가 슬립(Sleep) 모드일 때 상기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처리부와, 상기 슬립 모드에서 소정키 신호가 입력되면 활성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멀티미디어처리부를 비활성화 시키는 비활성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처리부(Multimedia processor)와, 이동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슬립 모드일 때 상기 멀티미디어처리부가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가 슬립 모드인 상태에서 소정키 신호가 입력되면 활성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멀티미디어처리부로 비활성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활성 모드로 전환된 제어부가 이동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송수신부(110), 메모리(120), 제어부(130), 키입력부(140), 표시부(150), 스피커(160), 멀티미디어처리부(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 기능과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멀티미디어 기능은 제어부(130)와는 별도로 멀티미디어처리부(170)에서 단독 수행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송수신부(110)는 RF(Radio Frequency)부로서, 고주파 처리부와 중간주파수 처리부 및 기저대역 처리부의 포괄적 구성부를 의미하며,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메모리(12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 및 사용자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한다. 즉.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해 제어부(130)를 통해 액세스되는 운영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롬(ROM)과, 제어부(130)의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제어 명령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RAM)으로 구성된다.
제어부(130)는 예컨대, MSM(Mobile Station Modem)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휴대 단말기(100)의 이동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슬립 모드(Sleep mode) 상태에서 소정키 신호가 입력되면 활성 모드로 전환하여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처리부(170)를 비활성화 시키는 비활성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멀티미디어처리부(170)가 비활성 모드로 전환되면 휴대 단말기(100)가 이동 통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소정키는 키입력부(140)에 구비된 키들 중 어느 하나가 되어도 무방하나,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겸용 통신 단말기와 같이, 메인 바디의 양면(즉, 전, 후면)에 각각 엘시디창 및 키패드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의 경우 상기 소정키는 사용자의 키 조작 편의성을 위해 휴대 단말기(100) 외부에 구비된 키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30)는 활성 모드인 상태에서 다시 상기 소정키 신호가 입력되면 멀티미디어처리부(170)를 활성화 시키는 활성신호를 출력한 후,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 즉, 활성 모드 상태인 제어부(130)는 멀티미디어처리부(170)가 비활성 모드일 때 소정키 신호가 입력되면 비활성 모드의 멀티미디어처리부(170)를 활성화 시킨 후, 스립 모드로 전환한다. 이는 멀티미디어처리부(170)가 멀티미디어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함이다.
키입력부(140)는 문자 키, 숫자 키, 각종 기능 키 및 외부 볼륨 키 등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또한 키입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 외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키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스피커(16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무선송수신부(110)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 또는 휴대 단말기(100)가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할 때 해당 음성 데이터 등을 출력한다.
멀티미디어처리부(170)는 활성화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한다. 즉, 멀티미디어처리부(170)는 제어부(130)의 상태와 상관없이 예컨대, 제어부(130)가 슬립 모드이더라도 멀티미디어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기능은 음성이나 도형, 영상 등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매체를 처리할 수 기능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도 1에서는 휴대 단말기(100)가 키입력부(140) 및 표시부(150)를 하나씩 구비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겸용 통신 단말기와 같이, 메인바디 전, 후면에 각각 엘시디창 및 키패드가 구비된 휴대 단말 기의 경우에는 메인바디 전면에 항시 노출되는 제1표시부(미도시) 및 제1키입력부(미도시), 메인 바디 후면에 외부로 노출되는 제2표시부(미도시) 및 제2키입력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메인 바디 전면에 구비된 제1표시부 및 제1키입력부를 제어하여 이동 통신 기능을 수행하고, 멀티미디어처리부(170)는 메인 바디 후면에 구비된 제2표시부 및 제2키입력부를 제어하여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말기의 경우 이동 통신 기능과 멀티미디어 기능의 독립적인 동작을 구분하기 위한 상기 소정키는 단말기 외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a)는 제어부(130)가 슬립 모드일 때 즉, 멀티미디어처리부(170)가 활성 모드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고 있을 때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과정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슬립 모드를 수행한다(S110).이 때 휴대 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처리부(170)를 통해 제어부(130)의 제어 없이 멀티미디어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소정키 신호가 입력되는지 체크한다(S120). 상기 소정키 신호는 키입력부(140)에 구비된 키들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으나, PMP 겸용 휴대 단말기와 메인 바디 양면에 키입력부(140) 및 표시부(150)가 구비된 단말기의 경우는 소정키가 단말기 외부에 구비된 키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30)는 상기 소정키 신호가 입력되면 슬립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전환한다(S130).
제어부(130)는 활성 모드로 전환되면 멀티미디어처리부(170)로 비활성 신호를 출력한다(S140). 상기 비활성 신호는 멀티미디어처리부(170)를 비활성화 시키는 신호를 의미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기능 수행 중에 소정키 신호가 입력되면 멀티미디어 기능을 종료하고, 이동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된다. 즉, 휴대 단말기(100)는 소정키 신호의 입력에 따라 이동 통신 기능과 멀티미디어 기능을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정키는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키 입력을 방지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100)의 메인 바디 일측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제공되어 제1지점에서 동작 홀드키, 제2지점에서 토글키로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토글키 입력에 따라 이동 통신 기능과 멀티미디어 기능이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소정키가 상기 제1지점에 위치하여 동작 홀드키로 작동될 경우에는 사용자가 키 입력을 하더라도 키 입력 신호가 제어부(130)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의도하지 않은 키 입력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b)는 제어부(130)가 활성 모드일 때 즉, 멀티미디어처리부(170)는 비활성 모드이고 제어부(130)가 이동 통신 기능을 수행하고 있을 때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과정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활성 모드를 수행한다(S210). 즉, 제어부(130)의 활성 모드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제어부(130)는 소정키 신호가 입력되는지 체크한다(S220). 상기 소정키 신호는 키입력부(140)에 구비된 키들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으나, PMP 겸용 휴대 단말기와 메인 바디 양면에 키입력부(140) 및 표시부(150)가 구비된 단말기의 경우는 소정키가 단말기 외부에 구비된 키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30)는 상기 소정키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하고자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멀티미디어처리부(170)를 활성화 시키는 활성 신호를 출력한다(S230).
제어부(130)는 상기 활성신호를 입력받은 멀티미디어처리부(170)가 활성 모드가 되면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S240). 이는 멀티미디어처리부(170)가 독립적으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류 소모를 줄이기 위함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멀티미디 어 기능을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소정키 입력에 따라 이동 통신 기능과 멀티미디어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기능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를 제어할 필요가 없으므로 단말기의 전류소모를 줄일 수 있고, 제어부가 멀티미디어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데 있어서 발생되는 소프트웨어적인 오류 발생 또한 줄일 수 있다.

Claims (7)

  1. 이동 통신 기능 및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가 슬립(Sleep) 모드일 때 상기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처리부와,
    상기 슬립 모드에서 소정키 신호가 입력되면 활성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멀티미디어처리부를 비활성화 시키는 비활성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처리부가 비활성 모드일 때 상기 소정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멀티미디어처리부를 활성화 시키는 활성신호를 출력한 후 슬립 모드로 전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키는 상기 휴대 단말기 외부에 구비된 키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활성 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휴대 단말기가 이동 통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5.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처리부(Multimedia processor)와, 이동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슬립 모드일 때 상기 멀티미디어처리부가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가 슬립 모드인 상태에서 소정키 신호가 입력되면 활성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멀티미디어처리부로 비활성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활성 모드로 전환된 제어부가 이동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활성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소정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멀티미디어처리부로 활성신호를 출력한 후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키는 상기 휴대 단말기 외부에 구비된 키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KR1020060071438A 2006-07-28 2006-07-28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및 방법 KR100724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438A KR100724961B1 (ko) 2006-07-28 2006-07-28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및 방법
US11/746,567 US8049716B2 (en) 2006-07-28 2007-05-0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portable terminal having multimedia function
CN2007101126717A CN101115257B (zh) 2006-07-28 2007-06-26 控制具有多媒体功能的便携式终端的操作的设备和方法
EP07013467.1A EP1883004B1 (en) 2006-07-28 2007-07-1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portable terminal having multimedia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438A KR100724961B1 (ko) 2006-07-28 2006-07-28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4961B1 true KR100724961B1 (ko) 2007-06-04

Family

ID=38358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438A KR100724961B1 (ko) 2006-07-28 2006-07-28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49716B2 (ko)
EP (1) EP1883004B1 (ko)
KR (1) KR100724961B1 (ko)
CN (1) CN10111525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4767A (ko) * 2010-01-18 2011-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150B1 (ko) 2006-07-10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KR101624903B1 (ko) * 2009-09-16 2016-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239697B2 (en) * 2009-10-30 2012-08-07 Dell Products L.P. Processor performance state control system
KR101086540B1 (ko) 2009-11-03 2011-11-23 주식회사 팬택 소형 기지국 진입을 위한 단말, 네트워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110300915A1 (en) * 2010-06-08 2011-12-08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nabling partial functionality of a mobile terminal
US9666522B2 (en) * 2014-05-29 2017-05-3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Alignment mark design for packag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426A (ko) * 2002-09-30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mp3데이터 재생장치 및 방법
KR20040069512A (ko) * 2003-01-29 2004-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제어 기능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디바이스의 전원제어방법
KR20060029953A (ko) * 2004-10-04 2006-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편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80491A (ko) * 2005-01-05 2006-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미디어 전용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6153A (en) * 1987-07-29 1991-10-08 Mazda Motor Corporation Mobile electric accessory apparatus
DE19625901A1 (de) * 1996-06-27 1998-01-08 Siemens Ag Verfahren und Anordnungen zur optimalen Nutzung von vermittlungstechnischen und übertragungstechnischen Ressourcen von Multimedia-Kommunikationsnetzen
KR100547841B1 (ko) * 1998-12-26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텔레비전 휴대폰의 동작 모드 전환 제어 방법
FR2833448B1 (fr) * 2001-12-06 2004-02-27 Cit Alcatel Optimisation de la consommation d'une puce auxiliaire multimedia dans un terminal de la radiocommunication mobile
JP2003274010A (ja) * 2002-03-14 2003-09-26 Hitachi Ltd 携帯電話機
KR100678204B1 (ko) * 2002-09-17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모드에 따른 영상 및 데이터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663470B1 (ko) * 2003-03-31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KR100539892B1 (ko) * 2003-12-10 200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부를 제어하기 위한 복합휴대단말장치 및 그 방법
CN1661561A (zh) * 2004-02-25 2005-08-31 英特维数位科技股份有限公司 具省电特性的操作系统共享应用程序的架构及其方法
KR101041441B1 (ko) * 2004-03-17 2011-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인용 이동 단말기의 전력소모 관리장치 및 전력소모 관리방법
KR100678164B1 (ko) * 2004-04-21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멀티 데이터 처리장치
KR100584390B1 (ko) * 2004-11-25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수행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426A (ko) * 2002-09-30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mp3데이터 재생장치 및 방법
KR20040069512A (ko) * 2003-01-29 2004-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제어 기능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디바이스의 전원제어방법
KR20060029953A (ko) * 2004-10-04 2006-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편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80491A (ko) * 2005-01-05 2006-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미디어 전용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4767A (ko) * 2010-01-18 2011-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8136B1 (ko) * 2010-01-18 201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49716B2 (en) 2011-11-01
EP1883004A2 (en) 2008-01-30
US20080028404A1 (en) 2008-01-31
CN101115257B (zh) 2010-11-10
CN101115257A (zh) 2008-01-30
EP1883004A3 (en) 2012-04-25
EP1883004B1 (en)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961B1 (ko)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및 방법
KR100744301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휴대 단말기및 그 방법
US20080129703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64063A (ko) 와치 폰 및 상기 와치 폰에서 통화수행 방법
JP2007274701A (ja) 移動通信端末機のデータ受信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3006186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이버시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9151765A (ja) 音声対話機能を有する数値キーボード装置及びその方法
US20070218946A1 (en) Power control method of wireless terminal
KR100453160B1 (ko) 휴대폰용 전화기의 멀티 에쓰엠에쓰 전송 방법
CN113489508B (zh) 供电控制方法、供电控制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KR100835962B1 (ko) 단말기의 입력신호 제어 방법
KR20010018527A (ko) 이동통신 무선 단말기의 전원절약 장치 및 방법
KR20060056591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44826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모 입력 및 처리 방법
CA2707896C (en) Method to detect and recover from stuck keys on an electronic device keyboard
KR100614940B1 (ko) 휴대폰 절전 방법 및 그 장치
KR100664250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중문자 표시방법
KR100452844B1 (ko) 절전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468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762658B1 (ko) 휴대단말기에서 볼륨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137935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창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이동통신단말기
KR100790119B1 (ko)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에서 숫자입력방법
KR100677419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품질 조절장치 및 방법
KR100810237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다중언어를 이용한 텍스트 입력 방법
JP2000322180A (ja) 無線情報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