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823A - 세미-트레일러 킹핀의 철도 구조물 상에서의 측방향 셀프센터링 지지 및 고정용 장치 - Google Patents

세미-트레일러 킹핀의 철도 구조물 상에서의 측방향 셀프센터링 지지 및 고정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823A
KR20080003823A KR1020077024313A KR20077024313A KR20080003823A KR 20080003823 A KR20080003823 A KR 20080003823A KR 1020077024313 A KR1020077024313 A KR 1020077024313A KR 20077024313 A KR20077024313 A KR 20077024313A KR 20080003823 A KR20080003823 A KR 20080003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centering
opening
nacelle
piv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4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3528B1 (ko
Inventor
장-뤽 앙드레
자크 오베르
마티유 슈베레
Original Assignee
로르 앵뒤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르 앵뒤스트리 filed Critical 로르 앵뒤스트리
Publication of KR20080003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18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5/00Means or devices for securing or supporting the cargo, including protection against shocks
    • B61D45/001Devices for fixing to walls or floors
    • B61D45/004Fixing semi-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18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vehicles
    • B61D3/187Details, e.g. bridges for floor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Wind Motors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 Handcart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Manipulator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미-트레일러 킹핀(9)을 운반하는 철도 구조물 상에서 이의 측면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편으로는 프레임(11) 속의 이동형 나셀(10)과 주행 또는 요동시 안정하게 장착되고 리프팅 수단에 의하여 수직 이동이 활성화되는 수용 공간(12), 및 다른 한편으로는 킹핀 상에 장착되어 그 외측면이 측방향 셀프 센터링 및 고정을 위해 이동형 프레임(11) 속의 피벗 부재(42)와 협력하는 개폐 부재(8), 조작자가 측면 셀프 센터링 및 고정 조작의 종료를 철도의 어느쪽에서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양방향 시각적 인디케이터의 역할을 하는 피벗 부재(4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세미-트레일러의 철도 운반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미-트레일러 킹핀의 철도 구조물 상에서의 측방향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용 장치{DEVICE FOR LATERAL SELF-CENTERING SUPPORT AND IMMOBILIZATION ON A RAILWAY STRUCTURE OF A SEMI-TRAILER KINGPIN}
본 발명은 화차 구조물 상에서의 세미-트레일러 킹핀의 측방향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셀프 센터링 및 고정의 제어가 화차의 한쪽 또는 다른 쪽에서 보이도록 상기 제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차로 차량을 운반하는 데에는 충분히 정확하고 신속하고 실제적인 설치 수단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운반의 모든 단계에서 선적에 안정성을 부여하는 간단하고 사용하기 용이하며 신뢰할만한 선적 수단이 필요하다.
이것은 트럭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트레일러 또는 세미-트레일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수익성의 이유에서, 차량 트랙터와 분리하여, 더 일반적으로는 자동차와 분리하여 트레일러 또는 세미-트레일러만을 운송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더 구체적으로 철도 유닛에서 세미-트레일러의 운송에 관한 것이 다.
세미-트레일러는 통상적으로 모두 트랙터에 의하여 운반되는 볼스터라 불리는 지지체 상에 분리 방식으로 결합되는 킹핀 또는 개방형 앵클을 구비한다. 그 유닛은 피벗 관절(articulation)을 형성한다. 이러한 관절은 운반 동안 트레일러의 전방에서 전가되는 상이한 정적 및 동적 하중을 지지한다.
실제로, 이름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유형의 트레일러는 반지지형이다. 후륜에 의하여 지지되지 않는 중량 및 하중은 전방의 피벗 관절에 전가된다.
운반 하중으로서, 세미-트레일러는 주행 동안 발생하는 모든 하중을 견디지 못한다. 이것은 주행 동안 또는 중량 및 무게 중심의 위험한 변위 동안의 데미지를 회피하기 위하여 지지하거나 고정할 필요가 있는 돌출부로 이루어진다.
한편, 경제적인 필요성에서, 선적 및 하적 과정은 신속하여야 하며 인간의 간섭을 거의 필요로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측방향 셀프 센터링은 세미-트레일러가 철도 규격에 잘 맞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셀프 센터링은 전체 운반 동안 이 위치에 유지됨으로써 완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셀프 센터링 및 시각적인 제어가 되는 킹핀의 안전 로킹 시스템은 이러한 목표에 부응하는 일반적인 수단을 구성한다.
그러나, 선적 장치의 설치 및 세미-트레일러에 대한 안전 부속품의 설치의 이유에서, 고정된 기준 부재에 대하여 피벗 위치를 아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렇지 않으면, 화차 구조물 상에서의 세미-트레일러 킹핀의 공지의 로킹 시 스템은 그 모든 이점을 동시에 나타내지 못한다.
본 발명은 정확하게는 킹핀의 측방향 셀프 센터링을 가능하게 하고 고정 조작의 양호한 실현을 화차의 양측에서 시각적으로 지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세미-트레일러를 운반하는 화차에서 세미-트레일러의 킹핀의 측방향 셀프 센터링 지지 및 종방향 고정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세미-트레일러의 킹핀 상에 장착된 개폐 부재, 및 셀프 센터링과 고정의 시각적인 지시 및 제어 요소와 고정 위치에서 정확한 피벗 장착을 지시하는 부속물을 포함하며, 상승 수단에 의하여 가동되는 수용기 유닛 또는 나셀(nacelle)로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주행 및 흔들림에서 안정하게 장착되고 리프팅 수단에 의한 수직 이동으로 활성화되는 수용 공간을 규정하는 이동형 수용기 프레임 및 세미-트레일러의 킹핀 상에 장착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부재의 외부 측부 형상은 상기 개폐 부재가 이동형 수용기 프레임의 수용 공간에 침투함으로써 셀프 센터링 효과가 얻어지도록 개폐 부재의 이동형 수용기 프레임의 상보적 형상과 협력하며 상기 개폐 부재의 전면 및 후면은 횡방향 모빌 부재에 대하여 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개폐 부재는 그 셀프 센터링 침투 동안 개폐 부재의 측방향 셀프 센터링 및 종방향 로킹이 종료된 상태를 화차의 한쪽 또는 다른쪽에서 조작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이동형 양방향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수용 공간 안으로 변위시키며 상기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개폐 부재의 로킹의 종방향 블록킹을 박스의 내부에서 실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세미-트레일러의 착륙 기어를 내린다. 따라서 세미-트레일러는 그 자신의 위치 및 운반을 위한 상태에 있게 된다.
이 장치에는 의도하는 기능 및 경제적이고 실제적인 이점이 있다.
따라서, 세미-트레일러를 운반 위치에 배치하고, 이어서 전체 운반 동안 충분한 유지 및 킹핀의 보호를 얻기 위하여 개폐 부재로 커버된 킹핀을 블록킹하는 데 충분히다.
이러한 킹핀의 보호는 개폐 부재가 설치되어 선적 및 하적 조작 동안에도 있으므로 이루어진다.
킹핀은, 미리 개폐 부재에 의하여 커버된 후, 수용 유닛에 장착되는 모빌 부재의 측면 또는 측면 각각의 경사의 형상을 따라 수용기 유닛의 바닥으로 자동적으로 중심을 잡는다.
측방향 블록킹은 예컨대 리프팅에 의하여 인가되는 압력에 의하여 그 유지가 보장되는 단순한 측방향의 삽입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운반 동안 측방향 고정에 대한 높은 안전성 및 선적 및 하적 조작에서의 신속함과 용이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용기 유닛 또는 나셀의 모빌 부재는 킹핀이 갖추어진 개폐 부재 아래에 삽입된다. 인접하는 모빌 부재는 개폐 부재의 전면 및 후면과 충분히 좁게 접촉하여 종방향 로킹 고정을 유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실시예로서 주어지고 도면이 첨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드러날 것이다.
도 1은 철도의 보기차(bogie) 상에 측방향 셀프 센터링 지지 및 종방향 고정을 위한 장치의 장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지지 장치의 수용기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휴지 상태 및 세미-트레일러의 킹핀에 결합된 개폐 부재의 측방향 셀프 센터링 및 종방향 고정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의 제 2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킹핀을 커버하도록 되어 있는 개폐 부재 및 포착 요크에 의하여 킹핀 상에 장착된 개폐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세미-트레일러의 킹핀 상에서의 비로킹 상태 및 로킹 상태에 있는 개폐 부재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제 1 변형예에 따라 수용기 유닛 상의 거리 D에서 측방향 센터링되지 않은, 킹핀 상에 로킹된 개폐 부재를 도시한 횡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제 1 변형예에 따른 수용기 유닛에 측방향 센터링 및 종방향 고정되고 모빌 부재와 접촉하는, 킹핀 상에 로킹된 개폐 부재를 도시한 횡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각각 제 2 변형예에 따라 수용기 유닛 상의 거리 D에서 측 방향 센터링되지 않은, 킹핀 상에 로킹된 개폐 부재를 도시한 횡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각각 제 1 변형예에 따라 수용기 유닛에 측방향 센터링되고 모빌 부재와 접촉하는, 킹핀 상에 로킹된 개폐 부재를 도시한 횡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각각 제 3 변형예에 따라 수용기 유닛 상에서 측방향 센터링되지 않은, 킹핀 상에 로킹된 개폐 부재를 도시한 횡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각각 제 3 변형예에 따라 수용기 유닛에 측방향 센터링되고 모빌 부재와 접촉하는, 킹핀 상에 로킹된 개폐 부재를 도시한 횡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1은 제 3 변형예에 따른 나셀 및 안내 부재의 테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추압(推壓) 검출 요소를 구비한 제 3 구체예에 따른 나셀의 사시도이다.
도 23 내지 도 26은 도시 및 예시를 간결히 하기 위하여 측면에서 인위적으로 도시한 도 22의 검출 장치와 셀프 센터링 및 로킹 전 조정 동안의 킹핀 및 나셀의 특징적인 위치를 도시한 간략도이다.
도 27은 철도의 보기차 상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 및 제 1 변형예에 따른 상승 수단의 가동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8은 수용기 유닛 및 상승 수단의 제 1 구체예를 개별적으로 도시한 사시 도이다.
도 29는 철도의 보기차 상에 위치한 제 1 변형예에 따른 지지 장치 및 상승 수단의 제 2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0은 제어부를 구비한 제 2 변형예에 따른 상승 수단을 개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1은 바닥 위치에 있는 제 3 변형예의 나셀과 보기차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상응하는 프로필도이다,
도 33은 높은 위치에 있는 제 3 변형예의 나셀과 보기차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3에 상응하는 프로필도이다.
측방향 셀프 센터링 지지 및 종방향 고정을 위한 장치는 세미-트레일러 킹핀에 적용되지만, 차량의 다른 부분 또는 화차 상의 전체적 또는 부분적 선적 화물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 셀프 센터링 지지 및 종방향 고정을 위한 장치는 철도 구조물, 예컨대 화차의 단부 중 하나에 장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차는 1과 같은 2개의 보기차로 형성되며, 그 주행 유닛은 보기 구조물(4) 상에 회전 장착된 2개의 액슬(2 및 3)로 구성된다. 보기 구조물에는 보디(5)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후단(6) 또는 전단(7)의 플랫폼 또는 평탄 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측방향 셀프 센터링 지지 및 종방향 고정을 위한 장치는 화차내에 운반되는 세미-트레일러 킹핀(9)을 기계적으로 커버하여 보호하는 강성의 개폐 부재(8), 상기 개폐 부재(8)를 수용하여 셀프 센터링하는 수용기 유닛 또는 나셀(10) 및 상기 수용기 유닛(10)을 들어올리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수용기 유닛(10)은 그 일반적인 형태가 나셀의 형태이므로 이하에서는 나셀(10)이라 칭하기로 한다.
지시된 바와 같이, 나셀(10)은 세미-트레일러가 화차 상의 운반 위치에 고정될 때 통상적으로 킹핀(9)이 위치하는 위치에 대략 상응하는, 화차 구조물의 양단 중 하나, 예컨대 보기차의 후방 플랫폼(6) 상에 장착되도록 마련된다.
이하에서 살펴보게 될 바와 같이, 나셀(10)은 화차 구조물의 단부 및 상승 수단의 단부에 관절 연결 방식으로 탑재된다.
나셀(10)은 개폐 부재(8)를 위한 수용 공간(12)을 한정하는 프레임(11) 내의 본체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 부재(8)는 상기 공간 안에 수용되어 셀프 센터링된다.
나셀의 프레임(11)은 두 횡방향 단부(13 및 14)와 박스로 된 두 사이드레일(15 및 16)로 형성되고, 두 사이드레일은 각각 측방향 이동 및 셀프 센터링을 위한 한정 및 고정 경계부를 형성한다.
각각의 한정 경계부는, 일반적으로 사다리꼴 형태인 본체가 지나가도록 수용 공간(12)의 중앙면을 향해 하강하는 경사면인 셀프 센터링 사면(17 또는 18)에 의하여 수용 공간(12)을 향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레일(15 및 16)로 구성된 다.
셀프 센터링 외에, 각 사면(17 또는 18)은 박스에 상응하는 사이드레일(15 및 16)의 본체와 함께 공통의 관절 연결축을 형성하며, 상기 축은 개개의 요동 부재를 피벗하여 이하에서 살펴보게 될 바와 같은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역할을 한다.
개폐 부재(8)는 일반적으로 구유 형태의 본체, 즉 두 정면(19 및 20), 큰 상면(21)과 작은 하면(22) 및 상기 상면(21)과 하면(22)을 연결하는 경사진 두 측면(23 및 24)을 구비하는 평행육면체이다.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킹핀에 의한 세미-트레일러의 배치 및 균형 조장 동안 자동적인 셀프 센터링을 실현하기 위하여, 경사면(23, 24)은 나셀(10)의 셀프 센터링의 비스듬한 경사(17 및 18)와 협력하여 셀프 센터링 경사를 구성한다.
개폐 부재(8)는 요크(25)에 의하여 킹핀 상에 배치될 수 있는 강성의 중공 본체로서 요크의 두 분기(26 및 27)의 원뿔형 양 단부는 개폐 부재(8)의 본체에 마련된 포착 개공(28 및 29) 안에 삽입된다.
개폐 부재(8)의 내부 부피는 킹핀(9)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원통형 공동(30) 및 각 로킹 기구(31 및 32)를 형성하는 2개의 부속 볼륨으로 구획된다.
도 7 및 도 8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구(31 및 32) 각각은 예컨대 로킹된 경사 위치(각 핑거의 단부가, 킹핀 헤드의 터미널 디스크(35)의 면과의 블록킹 접촉에 의하여, 킹핀(9) 및 개폐 부재(8)에 대한 이동을 강제하는 위치) 및 해방된 은폐 위치 사이에서 각각 로킹 장치의 요동 핑거(33 및 34)에 의하여 형성된다. 로킹 요동 위치에서 이들 핑거의 유지는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 탄성력을 유도하는 적절한 형태의 탄성 재료로 된 베어링(36 및 37)에 의하여 확보된다. 이러한 로킹 핑거는 각각 축(38 또는 39) 주위에 피벗 장착되며 핑거가 해방된 직선 위치에서는 정확히 오리피스 면에 그리고 해당 핑거가 로킹된 경사 위치에서 각각 포착 개공(28 또는 29)의 내부 오리피스에서 약간 이격되게 원형 홈(40 또는 41)을 구비한다.
개폐 부재(8)를 킹핀 상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요크(25)로 개폐 부재(8)를 포착하는 순간 또는 요크(25) 또는 모든 다른 유사한 도구에 의하여 이것을 철거하기 위하여 포착하는 순간, 분리에 해당하는 로킹 장치 핑거의 요동 조작이 실현된다.
그 블록킹은 개폐 부재(8)가 킹핀 상에 고정되고 측방향 셀프 센터링 및 종방향 고정을 위한 한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지시된 바와 같이, 로킹 장치의 각 요동 핑거(33 또는 34)는, 요크의 해당 분기의 원뿔형 단부가 횡단할 때 로킹 핑거가 단순 침투를 위한 해방 은폐 위치로 요동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세미-트레일러의 킹핀(9) 상에 개폐 부재(8)를 놓을 때, 조작자는 먼저 포획 요동 핑거(33 또는 34)를 개폐 부재(8) 안에 도입하여 로킹 장치의 핑거가 은폐 위치에 오도록 한다(도 7).
이후 조작자는 개폐 부재(8)를 킹핀(9) 상에 열결시켜 위치시키고 셀프 센터링 위치에 있도록 적절하게 배향한다. 이후 요크(25)를 당겨 로킹 장치 핑거(33 및 34)를 해방한다. 로킹 장치 핑거(33 및 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세미-트레일러의 킹핀(9) 상에 개폐 부재(8)를 로킹한다(도 8).
이제 킹핀(9) 아래에 있는 셀프 센터링 및 고정을 위한 수용기 유닛 또는 나셀(10)을 보기로 한다. 킹핀의 위치는 나셀의 위치와 종종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셀프 센터링이 필요한 곳에서 거리 D 만큼 떨어져 있다(도 9).
나셀(10)은 상부에 킹핀(9)이 개폐 부재(8)로 커버되는 수용 공간(12) 및 하부에 상승 수단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나셀(10)에는 개폐 부재(8) 및 따라서 킹핀(9)의 셀프 센터링 및 고정을 이끄는 모빌 부재가 장착되고 개폐 부재의 측면과 접촉하여 요동된다.
이러한 요동은 개폐 부재(8)가 수용 부피(12)에 침투한 것을 시각적으로 지시하며, 이어서 운반 전에 장착 및 고정 조작의 완료를 시각적으로 증거한다.
제 1 변형예에 따르면, 박스(15 및 16)를 형성하는 나셀(10)의 사이드레일은 각각 피벗 축을 수용하며, 각각의 피벗 축에는 피아노 건반의 원리와 유사한 원리에 따라 일련의 피벗 부재가 요동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들 피벗 건반은 서로 평행하며, 예컨대 화차의 종방향으로 평행한 각각의 박스 안에 수용된 종축 주위의 동일한 측에 위치된 것들에 대하여 피벗된다. 피벗 건반들 각각은 내부 수용 공간(12)의 내부에서 돌출부를 형성하는 일반적으로 "V" 형태의 부분 및 나셀 본체의 외부에서 돌출부를 형성하는 또 다른 부분을 구비한다. 피벗 건반들은, 예컨대 나셀 본체의 외부에 위치된 쪽의 질량이 더 크도록 배치됨으로써 중력에 의하여 나셀의 내부에서는 휴지 상태에서 높은 위치로 유지된다. 이 때문에, 나셀(10) 본체의 외부에서 돌출부를 형성하는 부분은 부피가 더 크므로 평형추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 1 변형예에서 모빌 부재는 우측열 및 좌측열로 그룹(43 및 44)을 이루어 나란히 배열된 개개의 건반(42)이다. 이들 그룹(43 및 44)은 오점형(quincunx)으로 연속으로 배치된다. 즉 이들은, 각 사이드레일의 열들이 내부 수용 공간(12)에서 실질적인 불연속이 없도록 대향하는 박스의 건반 그룹들 사이에서 중첩 배열되도록,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하에서 살펴보게 될 바와 같이, 또 다른 변형예의 개개의 건반들은 그룹을 이루어 배치되지는 않으나 나셀의 종방향 각 측의 전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이들 건반(42)은 각각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이것은 첫째 나셀(10)의 유효 길이의 일부이며 둘째 그룹의 길이의 일부이다.
각 그룹(43 및 44)은 각각 피벗 이동과는 무관하게 나란히 배열된 블레이드 세트의 하나의 블레이드의 형태를 갖는 복수개의 개개의 건반(42)으로 구성되므로 1개 또는 2개 또는 심지어 여러 개의 블레이드가 요동되는 반면 다른 블레이드는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다.
각각의 측에는 단부 그룹(45 및 46)이 존재하며 이들 각각에 대하여 개개의 건반(42)의 외부 부분은 공간 부족으로 인하여 안으로 굽어져 있다.
개개의 건반(42)의 두께는 예컨대 금속판의 두께이다.
각 건반(42) 및 나란히 배열된 건반의 각 그룹(43 및 44)은 예컨대 구두 모양의 측면 형상을 나타내며, 사다리꼴의 상부 절단부를 갖는 전방부(47), 위치의 시각화를 위한 굽 모양의 후방부(48) 및 피벗 관절 연결을 위한 중앙부(49)로 나누어진다(도 9 및 도 11).
중앙부(49)는 해당 요동축 주위에서의 피벗을 위한 베어링을 형성하는 개구부를 구비한다.
굽 모양의 후방부(48)는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다. 전방부(47)는 세미-트레일러의 킹핀(9) 상에 장착된 개폐 부재(8)의 하부를 수용하여 고정하도록 채택된 형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수용 및 고정은 개폐 부재(8)가 수용 공간(12)의 바닥 위치에 있을 때 실현된다. 이 순간, 셀프 센터링은 종료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부재(8)는 그 하부가 개폐 부재(8)의 본체로부터 돌출된 면 아래에 있는 건반의 수용부에, 즉 개개의 건반(42)의 일정 길이 상에 고정된다.
건반의 연속, 나셀(10)의 각 측의 건반의 배치 및 각 그룹(43 및 44) 내의 기본 건반(42)의 수는 각 측의 해당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개개의 건반의 요동을 위한 개폐 부재(8)의 두께와 같이 세트를 이루는 부재의 치수 관계를 기준으로 정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변형예는 상이하게 분포된 상이한 형태의 건반을 사용한다.
여기서는 42와 같은 개개의 건반들의 좌우 중첩 그룹이 아니라 52와 같은 나란히 배열된 개개의 건반들의 두 열(50 및 51)이 종방향으로 각 측을 점한다.
이 변형예에 따르면, 각 개개의 건반(52)은 전술한 바와 같은 블레이드 형태의 하나의 부재로, 그러나 중앙의 종방향 자유 공간(53)이 남도록 더 짧은 길이로 형상될 수 있다. 실제로,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방식으로 형상화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실제로 블레이드는 또한 단일 블록이 아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개별 건반(52)은 우선 개폐 부재(8)에 대한 압력하에 수용 공간(12) 내에서 기울어지는 수용 공간 내부의 접촉 부재(54)로 형성된다. 각 접촉 부재(54)는 그 상단부가, 나셀(10)의 프레임 박스 안에 수용된 공통축에 피벗 장착된 텀블러(55)의 단부에 피벗 관절 연결된다. 텀블러(55)의 또 다른 단부는 가압 접촉에 의하여 외부의 시각적 증거 및 평형추의 역할을 하는 외부 피벗 부재(56)을 상방으로 구동시킨다.
각 접촉 부재(54)는 특정 절단 형태를 가진다. 이것은 개폐 부재(8)의 인접 빗면(23 또는 24)의 하나 또는 다른 하나에서 셀프 센터링 경사 또는 접촉면의 역할을 하는 평탄한 직선형 상부 에지(57)를 구비한다. 이것은 또한 기울어진 바닥 위치에서 고정 지지의 역할을 하는 기울어진 바닥(58)을 구비한다. 접촉 상단(57)에 대향하는 부분은 상부를 향해 둥근 측면 형상의 볼록 절단부(59)를 가진다. 상부를 향한 회귀 이동은 텀블러(55) 상에 지지된 외부 피벗 부재(56)의 중량에 의하여 인가되는 중력에 의하여 확보된다.
지시되는 바와 같이, 이 변형예에서 건반(52)의 길이는, 대향하는 양단 사이에 개폐 부재(8)를 위한 종방향 공간(53)을 제공하는 방식의 상기 변형예보다 더 짧다.
이러한 변형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 센터링 및 고정 조작 동안 각 측에서 동일한 수의 블레이드가 요동하므로 각 그룹에서 블레이드의 수 및 두께를 정하지 않는다.
도 17 내지 도 21에는 시각적 증거를 갖는, 측방향 셀프 센터링 및 종방향 고정이 다소 상이한 요동 부재(61)를 도시한 나셀(10)의 제3 구체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모빌 부재는 나셀(10)의 프레임의 횡방향 부재에 의하여 유지되는 두 종축(64 및 65) 주위의 두 열(62 및 63)에 연속적으로 피벗 장착된 블레이드이다.
프레임은 바닥부(66)를 구비하며 이를 통해 인터페이스(67)를 가로질러 상승 수단의 상부에 관절 연결된다. 바닥부(66)는 평탄부(68)로 형성되며, 이 평탄부의 상면(69)은 피벗 블레이드(61)를 위한 셀프 센터링의 제동부를 구성하며 이 평탄부(68) 경계부의 종방향 측면(70 및 71)은 동일한 개개의 피벗 블레이드(61)에 대한 재상승 위치의 제동부를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개의 피벗 블레이드(61)는 동일 측 상의 하나의 열(62) 및 대향 측 상의 또 다른 열(63)에 피벗 장착된다.
이들 각각은 중력에 의하여 재상승된 휴지 위치에 돌아올 수 있도록 질량 배분을 한 형태로 되어 있다.
이들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특성의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하겠다.
더 구체적으로, 각 블레이드는 일반적으로 중앙이 삼각형 형상인 전방부(72)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부의 바닥에는 평탄부(68)의 상면에 대한 2개의 지지 구역이 있는 절단부(7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방부(72)는 개폐 부재(8)의 대향 빗면과 협력하는 셀프 센터링 경사로 작용하기 위한 평평하고 비스듬한 정면 에 지(74)를 구비한다.
각 블레이드(61)는 중앙부(75)에 의하여 삼각형 형상의 전방부(72)의 정점으로 이어지고, 이에 의하여 해당 피벗 축(64 또는 65) 상에 자유롭게 피벗 장착된다.
각 블레이드(61)는 외부 후방부(76)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직각 형상의 나셀에서 종료되며, 그 하부 에지(77)는 블레이드(61)가 재상승된 휴지 위치에 있을 때 종방향으로 프레임의 해당 측면(70 또는 71) 상에 지지된다.
후방부(76)는 상부 에지(78)를 구비한다.
요동 부재(61)와 함께 나셀(10)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바닥은 케이싱 형태의 부재에 의하여 구동하는 안내 부재(79)의 테일에 의하여 하향하여 나셀의 요동시 안정성을 확보한다.
인터페이스로서 상승 수단의 단부 헤드 및 나셀(10) 간의 이동 개선 장치(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생각할 수 있다.
상승 수단 및 그 제어부로 형성된 유닛은 실제로 앞의 변형예의 유닛과 동일하며 도 29 내지 도 32에 도시되어 있다.
일방적인 분할은 앞의 예의 분할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개시하기로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의 상승 및 하강 변위 수단의 추가는 도 22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추가는 해당 변형예에 적용되어 이하에서 개시할 것이나 주지하는 바 와 같이 개시되는 변형예 외에 또 다른 변형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보조 수단은, 제 1 변위시 나셀(10)의 초기 위치로부터, 이하의 도 23 내지 도 26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나셀의 최종 위치의 조절에 사용하게 될 기준 초기 치수의 결정을 위한 검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검출기 소자(81)로 이루어진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변위 검출기, 근접 검출기, 거리 측정 검출기 등과 같은 또 다른 검출기 또는 센서가 가능하다.
도 22에 도시된 구체예는 나셀(10)의 상면으로부터 위로 돌출하여 솟은 접촉 부재(82)에 관한 것이다. 이 접촉 부재(82)는 도시된 예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증강된 압축 스프링(83)의 형태로 구현되며, 그 자유 단부는 킹핀의 그리드(86) 또는 세미-트레일러 섀시의 하면의 대향면(85) 상의 핸들(84) 및 접촉면이다.
이것은 또한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검출기 또는 감지기 소자는 적절한 지지체를 매개로 나셀(10)의 안내 소자(79)의 테일 또는 암에 장착될 수 있다.
대칭의 이유에서, 나셀의 각 측에 평행하게 2개의 검출기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안내 소자(79)의 암 또는 테일은 상승 수단 칼럼의 길이를 따른 안내 변위를 위한 미끄럼 이동 통(87)을 구비한다(도 22).
통형 안내 소자(80 및 87) 킹핀(9)의 도킹 및 센터링과 고정의 순간, 운반 동안에도 나셀(10)의 요동 제한기의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이들 안내 소자 사이에 혹종의 도구 및 요동을 제한하는 암 또는 테일(79)이 존재한다.
조정 단계를 위하여, 나셀의 상승 이동 동안, 압축 스프링(83)의 자유 단부(84)는 우선 킹핀과 이웃하는 세미-트레일러 섀시의 대향 하면(85)과 접촉한다. 이러한 접촉 후에는 상승 압력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는 약한 스프링 압축 과정이 따른다. 이러한 변형은 가압 종료 신호에 의해 유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신호는 기준측을 도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킹핀(9)의 고정 방법에서, 셀프 센터링의 침투는 중력에 의하여, 즉 세미-트레일러의 지지 하강에 의하여 실현된다.
도 23 내지 도 26의 개략도는 이하에서 개시될 분할을 예시하기 위하여 나셀의 특징적인 위치를 시각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간결함과 단순화의 목적에서, 검출기 암(81)은 직선으로 도시하였는데, 이것은 다른 도면의 정상적인 배치에 상응하지 않는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상이한 변위 및 거리를 언급하며 정의한다.
H = 킹핀의 레벨에서 세미-트레일러의 섀시의 하면 및 선적면 간의 거리.
Zo = 지면에 대한 기준 부재의, 즉 킹핀의 레벨에서 세미-트레일러 섀시 하면의 초기 높이 또는 초기 치수.
Zd = 셀프 센터링 및 고정 후 지면에 대한 최종 높이 또는 최종 치수.
ΔZ = 셀프 센터링 종료까지 선적면의 높이 하강 (또는 착륙 기어의 침강에 의한 하강).
Δzo = 제동 접촉까지 나셀의 초기 변위
Δz1 = 최종 위치까지 나셀의 변위
No = 지면에 대한 나셀의 초기 높이 또는 초기 치수.
N1 = 검출기의 제동 접촉시 지면에 대한 나셀의 높이 또는 치수
Nd = 지면에 대한 나셀의 최종 높이 또는 치수 또는 셀프 센터링의 치수
실시예에서, 화차내 세미-트레일러가 높이는 지지체인 선적면은 이동형이다.
검출 장치를 사용한 이후의 조정은 크레인에 의한 선적에 대하여 또는 착륙 기어의 침강에 의한 세미-트레일러의 하강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최초에 그리고 중간 조정 단계에서 세미-트레일러는 수직으로 모빌 선적면 상에 또는 외부 상승 장치나 착륙 기어에 의하여 높은 지지 위치에 있다.
단순화의 이유에서, 이하에서는 후자의 경우만을 개시할 것이며, 또 다른 경우는 이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다.
세미-트레일러 또는 킹핀 레벨에서 그 섀시의 하면(85)은 지면에 대하여 높이(Zo) 및 선적면에 대하여 높이 또는 치수(H)에 있다(그 위치는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
나셀(10)은 지면에 대하여 초기 위치(No)에 있다(도 23).
제 1 조정 단계 동안, 검출 장치(81)가 검출 장치(81) 표면에 의하여 세미-트레일러 섀시의 하면의 대향 구역(85)과 제동 접촉할 때까지 상승 수단에 의하여 나셀(10)을 올린다(도 24). 나셀(10)은 예컨대 압력 한계의 통과시 정확한 위치에서 상승을 정지한다.
나셀은 상방을 향하여 ΔZo만큼 변위되어 새로운 높이 또는 치수(N1)에 이른 다(도 24).
나셀(10)은, 선적면의 하강 코스인 ΔZ 코스에 상응하는 시스템의 특성 함수 및 구조에 의하여 미리 공지된 나셀의 최종 Nd 치수를 얻기 위하여 미리 공지된 값 ΔZ1의 변위에 의한 최종 위치까지 하강 또는 재상승된다(도 25). Nd는 세미-트레일러 섀시 하면의 공지된 최종 위치를(Zd 치수) 고려하여 나셀(10)의 최종 위치를 결정한다.
따라서, 거리(D)만큼 떨어진 개폐 부재(8)로 커버된 킹핀(9)(도 9)이 셀프 센터링되고 나셀(10)의 수용 공간(12) 바닥에 종방향으로 블록킹되어 최종 조정 단계를 실시하도록 미리 알고 있는 거리(ΔZ)에서 세미-트레일러 섀시를 이동식 선적 계획에 따라 수직으로 하강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다(도 26).
공지된 시스템에 대하여 나셀의 치수(N1)에서 출발하여, 나셀의 임의의 초기 위치로부터 나셀의 정확한 기준 위치를 확립한다. 이것은 바이모달 운반기에서 모든 화차 유형에 적용되는 방법의 공통 측면이다.
주행 및 요동 축 주위에서의 우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나셀(10)은 지지 유닛(88)에 관절 연결식으로 장착된다(도 29 및 도 31 내지 도 34). 이 지지 유닛(88)은 보기 구조물 상에 평평하게 놓여 있는 연결대(89)로 구성되며, 이것은 주행 축 주위에서 나셀(10)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결대(89)는 그 후단부에서 두 지지체(90 및 91)를 매개로 보기 구조물 상에 피벗하도록 관절 연결식으로 장착된다(도 29에 도시된 변형예의 경우 연결대(89)는 에지 각각의 전단부에 피벗 스테이지를 구비함). 연결대(89)는 상방을 향한 피벗 이동 및 종방향 요동 이동에서 자유롭다.
도 31 내지 도 34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연결대(89)는 매회 피벗 관절 연결에 의하여 각 측에 장착된 요동 매개판(92)을 가로질러 보기(bogie) 구조물에 관절 형태로 연결된다.
한편 연결대(89)는 그 전단부가 2개의 대칭 피벗 관절 연결부(93 및 94)에 의하여 나셀(10)의 프레임의 후방 횡방향 부재에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두 윙 사이에 단부를 수용하는 덮개 형태의 경첩 역할을 하며, 관절 연결 유닛에는 측방향으로 블록킹된 축이 횡단한다.
보기 구조물과 나셀(10)을 연결하는 관절식 구조물은 화차에 대하여 종방향 및 수직 방향 이동에서 충분한 요동을 연결대(89)에 부여하여 나셀이 하강 및 상승할 수 있게 한다.
나셀(10)은 그 하단부에 의하여 상승 또는 하강 수직 이동시 나셀(10)의 변위를 목적으로 하는 상승 수단 및 하강 수단에 장착된다.
이하에서는 각각 하나의 범주에 상응하는 상승 및 하강 수단의 두 구체예를 개시하기로 하겠는데, 제 1 상승 수단(95)은 운반 동안 유닛을 지지하고 킹핀에 의하여 세미-트레일러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제 2 상승 수단(96)은 운반 동안 유닛의 셀프 센터링, 고정 및 지지를 위하여 세미-트레일러의 치수에 상응하는 소정 위치까지 나셀(10)의 간단한 상승을 확보한다.
리프팅 수단은 또한 나셀의 본체를 종방향으로 유지한다.
도 27에서 볼 수 있고 도 28에 별도로 도시한 제 1 리프팅 수단(95)의 구체 예는 리프팅 잭(97)을 구비하며, 그 주신의 단부는 다방향 관절 연결 장치(98)에 의하여 나셀(10) 바닥에 관절 연결되어 차량의 병진 이동을 허용한다. 이러한 관절 연결 장치(98)는 리프팅 잭(97) 양측에 배치된 두 칼럼(99 및 100)에 의하여 병진 이동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제 1 리프팅 수단(95)은 킹핀(9)에 의한 세미-트레일러의 리프팅 뿐만 아니라 운반 동안 그 지지를 가능케 한다.
제 2 상승 수단(96)의 구체예는 도 29 내지 도 34에 도시되어 있다. 이 수단은 킹핀(9)에 의한 세미-트레일러의 리프팅을 허용하지 못한다. 이것은 수동이며 즉 사용의 용이성을 위하여 화차의 양측으로부터 쌍방향으로 제어된다.
이 구체예는 쌍방향 제어부를 구비하는 나사 잭(101)으로 구성되며 나사잭의 헤드(102)는 나셀(10)의 하부, 즉 그 본체의 하면으로 가압된다.
나사잭(101)의 나사는 화차 바닥에 장착된 기둥형 또는 칼럼형 수직 지지체(103)에 수용된다. 이 수직 지지체(103)에는 엔진 요소, 예컨대 너트-엔진과 톱니바퀴(105)를 수용하는 케이스(104)가 탑재되어 있다. 톱니바퀴는 매회 각각 일체형 요동 핸들(112, 113)을 구비하는 제어 지지체(110, 111)에 수용된 빌레트(108 및 109)를 매개로 쌍방향, 즉 화차의 각 측에서 대칭적인 제어부에 관절 연결된 유닛(107)에 의하여 소정 위치에서 블록킹을 허용하는 멈춤쇠를 구비하는 블록킹 기구(106)의 역할을 하며, 각 지지체는 보기 구조물의 해당 부재의 상부 에지 상에 고정된다.
각 제어 지지체(110 또는 111)의 각 요동 핸들(112 또는 113)의 위치는 나사 잭(101)의 리프팅 나사의 블록킹 기구(106)가 존재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예컨대 엔진 요소의 경우 각 측에 관절식 구동 연결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결합된 너트-엔진에 의한 이동의 기계적 조절 기구(114 또는 115)가 존재한다.
쌍방향 제어 특성을 위하여, 화차의 각 측에 커플링에 대한 구동 연결부가 존재한다.
잭의 구동은, 그 출구가 이동 제어의 역할을 하는 구동 연결부(114 또는 115)의 단부에 결합 또는 정합하는 외부 엔진에 의하여 또는 키 또는 크랭크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실시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제 상이한 작동 단계를 기술하기로 하겠다.
우선 킹핀(9)을 개폐 부재(8)로 커버하고 세미-트레일러 섀시의 전방부의 그리드(86)와 접촉시킨다. 개폐 부재(8)는 각각 포착 개공(28 또는 29)에 요크(25)의 분기(26 또는 27)를 정합시킴으로써 수동으로 결합시킨다. 각 분기의 원뿔형 단부를 정합시켜 각 로킹 핑거(33 또는 34)를 자유 위치에 둔다. 이렇게, 원통형 캐비티(30)로의 유입구에 의한 정합에 의하여 킹핀(9) 상에 개폐 부재(8)를 위치시킨다.
요크(25)를 후퇴시켜 2개의 로킹 핑거(33 및 34)를 킹핀(9)을 향해 하강시킨다. 이들 핑거 각각의 단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킹핀의 터미널 디스크(35) 아래에 있으므로 이들 핑거는 병진 이동으로 킹핀(9) 상에서 개폐 부재(8)를 블록킹한다.
이후 세미-트레일러는 이를 운반하게 될 화차에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또는 외부 수단에 의하여 배치된다.
세미-트레일러는 화차에 배치될 때 이미 대체로 측방향으로 센터링된다.
화차는 중앙 피벗 중심 주의의 다공성 구조물 또는 화차 포켓 또는 세미-트레일러의 운반에 채택되는 모든 다른 화차의 피벗에 의하여 개방될 수 있다.
킹핀(9) 및 그 개폐 부재(8)는 화차의 폐쇄 후 나셀(10) 상에 위치한다.
이렇게 셀프 센터링을 포함하는 도킹 조작이 개시되며, 이의 종료시에 세미-트레일러는 킹핀의 종방향 고정과 셀프센터에 의하여 고정될 것이다.
리프팅 수단의 구체예가 어떤 것이든, 킹핀(9) 상에 개폐 부재(8)가 배치되면, 본 발명에 따른 세미-트레일러 킹핀의 측방향 셀프 센터링 지지 및 종방향 고정을 위한 장치의 작동은 2단계로 전개된다.
본 발명의 제 1 구체예의 경우(수압잭 상에 장착된 나셀):
수압잭 또는 유압잭(97)을 구비한 리프팅 유닛(95)으로 셀프 센터링 및 로킹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셀프 센터링-로킹 조작은 충분히 간단하게 실시된다.
수압잭(97)은 장착 제어된다. 리프팅 이동에 의하여, 나셀(10)은 킹핀(9)이 갖추어진 개폐 부재(8)에 접근한다. 수압잭(97)의 주신은 나셀(10)을 우선 개폐 부재(8)와 접촉할 때까지 그리고 세미-트레일러의 착륙 기어가 완화될 때까지 상방으로 밀어낸다. 이러한 상승 이동 후 셀프 센터링-고정 단계가 이어지며, 그 동안 수용 공간(12)은 나셀의 측면 경사 및 개폐 부재의 작용에 의하여 나셀(10) 내에서 자동으로 센터링되는 개폐 부재(8)를 향해 상승되며 이로써 세미-트레일러도 센터 링된다.
이 단계 동안, 개폐 부재(8) 아래 위치된 피벗 부재(42, 52 또는 61)만이 하방으로 요동되는 반면 다른 것들은 제 위치에 유지되며 개폐 부재(8)에 인접하는 것들은 나셀(10)에 대하여 종방향 로킹을 실시한다.
이러한 요동은 개폐 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해당하는 각 건반의 외부 말단의 상승에 의하여 유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셀프 센터링 및 고정 종료시에 각 측에서 하나 이상의 건반이 들어올려지며 각 측에서 그 외부 말단이 들어올려지는 것이 관찰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화차의 어느 쪽에 있든지 단순한 시각적 제어부에 의하여 세미-트레일러 킹핀(9)의 종방향 로킹 또는 비로킹 상태를 알게 된다.
개폐 부재(8)가 전체적으로 수용 공간(12)에 정합될 때, 나셀(10)의 상면이 킹핀(9)의 그리드(86)와 접촉할 때까지 그리고 착륙 기어가 전체적으로 완화되어 선적 운반이 가능할 때까지 리프팅 잭(97)의 보충적 밀어냄을 제어한다.
이것은 운반을 위한 최종 배치 단계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제 2 구체예의 경우(나사잭 상에 장착된 나셀):
제 2 카테고리의 상승 수단(96), 즉 나사잭(101)과 관련된 나셀의 도킹 단계는 다소 상이하게 실시된다.
실제로, 선적되는 세미-트레일러의 상승을 위하여, 세미-트레일러 킹핀(9)의 셀프 센터링 및 종방향 로킹의 위치까지 나셀(10)의 상승 이동 경로를 충분히 정확하게 아는 것이 편리하다.
미리 나셀(10)의 경로를 결정하고 나사의 회전수 또는 구동 제어부의 수 또는 제어 인디케이터의 수에 따라 변화시킨다. 경로의 마지막에 이르러, 구동 엔진은 프로그램이 되어 있으므로 자동적으로 정지된다.
제 1 단계 동안, 나사잭(101)은 세미-트레일러 킹핀의 그리드(86)의 레벨 측정(레벨 인식 시스템에 의하여 미리 실시되는 측정)에서 해당값을 상승시켜 제어한다. 나셀의 내부에서 모든 건반은 중력에 의하여 높은 위치에 있게 된다.
제 2 단계의 개시시에, 세미-트레일러는 하강되며, 개폐 부재(8)의 상보적 형태에 의하여 나셀(10)의 수용 공간(12)에서 킹핀(9)이 중력에 의하여 셀프 센터링될 수 있다. 개폐 부재(8)의 아래에 위치된 피벗 건반들은 요동되는 반면 이웃하는 것들은 제자리에 위치하여 나셀(10)에 대한 개폐 부재(8)의 종방향 블록킹 및 V자 수용 형태에 의한 셀프 센터링의 결과 측방향 로킹이 실시된다. 개폐 부재(8)가 완전히 하강되었을 때, 나셀(10)의 상면은 세미-트레일러 킹핀(9)의 그리드(86)와 접촉하며 이후 착륙 기어는 다소 완화된다. 나사잭(101)의 위치에서의 블록킹으로 세미-트레일러의 선적이 재실시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일정한 잔여 우력값에서 구동 제동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나사의 압력이 선적 리프팅을 야기하기 시작하는 제한 위치에 나셀(10)이 있는 동안 우력은 상기 값을 대기하게 된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단순 접촉 상승 장치와의 도킹에 관해서는 상기 개시한 것을 참조할 수 있다. 즉 도 23 내지 도 26에서는 세미-트레일러의 상승을 다루지 않는다.
모든 변형예에서, 개폐 부재(8)의 바닥과 접촉하는 피벗 건반은 나셀의 수용 공간(12)의 내부에서 하강 위치에 있게 된다. 다른 피벗 건반, 즉 개폐 부재(8)와 접촉하지 않는 피벗 건반은 침강되지 않으므로 나셀의 내부에서 높은 위치에 있게 되어 개폐 부재의 종방향 이동을 블록킹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은 세미-트레일러의 착륙 기어의 완화에 의하여 종료된다.
킹핀(9)의 종방향 위치가 어디이든, 적어도 하나의 건반이 나셀 내부의 각 측에서 하강하는 방식의 나셀(10)은 중요하다. 건반의 하강은 셀프 센터링 및 고정의 양방향 시각적 증거가 되는 해당 건반의 외부 부분의 상승 위치에 의하여 화차의 각 측의 외부에서 유도된다. 도 12, 도 16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확인은 적어도 하나의 건반 외부 부분이 나셀(10)의 상면이 세미-트레일러 킹핀(9)의 그리드(86)와 접촉하는 또 다른 위치에 있는 것을 양측에서 관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Claims (25)

  1. 객차 구조물 상에서 세미-트레일러 킹핀(9)의 측면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을 위한 장치로서,
    ㆍ 들어올리는 수단에 의한 수직 움직임으로 구동되는 셀프 센터링 및 고정을 위한 수용 공간(12)을 포함하는 프레임(11) 속의 이동형 나셀(10);
    ㆍ 측면 셀프 센터링 및 고정을 위해 세미-트레일러 킹핀(9) 상에 탑재되어 이동형 나셀(10)의 수용 공간(12) 내에 들어가는 개폐 부재(8);
    ㆍ 나셀(10)의 수용 공간(12)에 제공된 킹핀(9)을 커버하고 셀프 센터링 및 고정을 위해 개폐 부재(8)와 협력하는, 개폐 부재의 측면 셀프 센터링 및 고정 수단; 및
    ㆍ 셀프 센터링 동안 그 최종 위치에서 조작자가 측면 셀프 센터링 및 고정 조작의 양호한 진행 및 종료를 객차의 어느 쪽에서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킹핀(9)을 커버하는 개폐 부재(8)에 의하여 구동되는 양방향 시각적 인디케이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셀프 센터링 및 고정 수단은 수용 공간(12)을 규정하는 나셀(10)의 프레임(11)의 2개의 연동되는 종방향 축 상에 2열로 피벗 장착된 부재(42, 52, 61)이며, 각 피벗 부재는 시각적 인디케이터 수단을 구성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시각적 인디케이터 수단은 나셀(10)의 프레임(11)의 외부에서 나셀의 프레임(11)의 2개의 연동되는 종방향 축 상의 2열을 따라 피벗 장착된 부재(42, 52, 61)의 연장부이며, 킹핀(9)의 개폐 부재(8) 아래에 위치된 피벗 부재(42, 52, 61)는 셀프 센터링 운동 동안 개폐 부재(8)의 침투에 의하여 요동되고, 요동하지 않는 인접 부재는 종방향으로 고정 정지 상태를 보증하며, 피벗 부재(42, 52, 61) 군은 피벗 부재의 연장부가 바닥의 휴지 위치로 오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개폐 부재(8)가 킹핀의 단부를 향하여 하강하는 빗면인 두 측면을 구비하는 사다리꼴 섹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11)은, 피벗 부재(42)와 관계 없이 셀프 센터링을 위하여 개폐 부재(8)의 비스듬한 측면과 협력하는, 종방향 경계부의 내면을 향한 연장부에 비스듬한 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폐 부재(8)의 외부 측면은 수용 공간(12)에 침투하는 동안 상기 개폐 부재(8)의 아래에 위치된 피벗 장착된 부재(52, 61)(셀프 센터링 효과를 얻기 위해 침강하는 동안 셀프 센터링 사면을 형성하는 부재)의 상부 에지와 협력하며, 하강하는 피벗 부재의 하부 에지는 프레임(11)의 하부에 부딪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개폐 부재(8)는 요크(25)에 의하여 세미-트레일러 킹핀(9) 상에 잠금 장착되며, 요크의 두 분기(26 및 27)는 그 단부가 원뿔형으로 되어 있어 개폐 부재의 앞면 또는 뒷면 중 하나의 두 개공(28 및 29)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은 탄성 회복시 잠금장치의 두 피벗 핑거(33 및 34)를 매개로 이루어지며, 이들의 단부는 킹핀(9)의 단부의 원반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요크(25)의 분기(26 및 27)는 그 원뿔형 단부에 의하여 개공(28 및 29)에 삽 입되고 잠금장치 핑거의 바닥부를 가로질러 존재하는 홈에 간단히 삽임됨으로써 풀림 위치에서 잠금 장치의 핑커(33 및 34)를 요동시키며, 상기 홈은 요동 전에 개공(28 및 29)의 출구에 대하여 벌어지고 분기(26 및 27)의 단부의 후퇴는 잠금 장치의 핑커(33 및 34)의 탄성 회복에 의하여 확보되며 상응하는 개공(28 또는 29)의 출구에 대하여 벌어진 위치에서 홈의 위치에 배치되고 차단 위치에서 회귀 피벗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나셀(10)의 프레임(11)은 보기 구조물에 관절 방식으로 연결되어 나셀(10)의 승강 운동을 허용하면서 요동 운동시 이를 안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나셀(10)의 프레임(11)은 상자에 바닥, 두 횡방향 단부 및 두 종방향 경계부(15 및 16)를 구비하며, 상기 경계부의 내면은 피벗 부재(42)의 셀프 센터링을 위해 개폐 부재(8) 측면의 경사진 형태와 협력하여 바닥을 향해 하강하는 사면(17 및 18)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시각적 인디케이터는 상자의 경계부(15 및 16)에 포함된 종방향 축 상에 피 벗 관절 연결된 부재(42)이며, 피벗 부재(42)는 한편으로는 수용 공간(12)을 가로질러 이의 내면으로 연장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프레임(11)의 외부로 연장되어 각 위치의 시각 인디케이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벗 부재(42, 52, 61)는 병렬 배치된 중첩 스프링의 형태로 접촉하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 장치.
  14.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벗 부재(52 및 61)만이 상자의 각 종방향 측을 따라 연속적으로 병렬 배치되고, 그 양단부는 개폐 부재(8)의 하방부가 침투하는 프레임의 바닥부까지 자유 중간 공간으로 되어 있는 수용 공간(12)에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요동 부재(42)는 좌측 및 우측 열의 그룹(43 및 44)으로 병렬 배열되어 수용 내부 공간(12)까지 감지할만한 불연속이 없이 5점형으로 계속되고, 각 그룹(43 또는 44)은 독립적으로 피벗 운동하는 병렬 배치된 중첩 스프링 형태의 개별적인 복수개의 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병렬 배치된 키의 각 그룹(43 또는 44) 은 예컨대 사다리꼴 상부 단면을 갖는 전방부(47), 위치를 시각화하는 후방부(48) 및 상응하는 요동축 주위에서의 피벗을 위한 베어링을 형성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피벗 관절 연결되는 중앙부(49)로 나뉘어지는 말굽 모양의 일반적인 프로필 형태를 가지며, 키(42)의 연속, 나셀(10)의 각 측에서 이들의 배치 및 각 그룹(43 또는 44)에서 개개의 키(42)의 수는 각 측의 상응하는 각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개별 키(42)의 요동에 대하여 특히 개폐 부재(8)의 두께에 따라 각 부재의 치수적 관계에 대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중첩 스프링 형태의 요동 부재(52)는 세 부분으로 구성된 키로서, 이는 개폐 부재(8)의 인접 사면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에 접촉하여 가압하는 표면인 평탄한 직선형의 상부 에지(57)를 구비하는 접촉 부재(54), 경사 위치에서 지지 및 제동하는 역할의 경사진 바닥부(58), 접촉 부재의 요동 운동 동안 상자의 인접 벽에 대한 접촉 지지를 확보하며 둥근 옆형상에 의하여 상부를 향해 볼록한 단부(59)를 나타내는 접촉 에지에 대향하는 부분이며, 이러한 어셈블리는 또한 요동부(55) 및 외부 피벗 부재(56)를 구비하며, 요동부(55)는 축 상에 관절 방식으로 피벗 연결되고 그 단부가 접촉 부재(54)에 관절 연결 방식으로 연결되며 또 다른 단부가 외부 피벗 부재(56)와 지지 접촉하여 요동부(55) 상에 지지된 외부 피벗 부재(56)의 중량에 의한 중력에 의하여 접촉 부재(54)가 상부를 향한 회귀 운동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중첩 스프링 형태의 요동 부재는 중력에 의하여 재상승된 휴지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그룹의 배치에 상응하는 형태로 제작된 각각의 키로서 동일측 상의 한 열(62) 및 대향측 상의 또 다른 열(63)에 피벗 장착되며, 각 중첩 스프링(61)은 중간부(75)에 의하여 트라이앵글 형태의 전방부(72)의 정점으로 이어지고, 이로써 상응하는 피벗 축(64 또는 65) 상에 자유롭게 피벗 장착되며 각 중첩 스프링(61)은 외부 후방부(76)는 일반적으로 직각 형태인 나셀에서 종결되고 그 내부 에지(77)는 중첩 스프링(61)이 재상승된 휴지 위치에 있을 때 프레임의 종방향 경계부의 해당 종방향 측면(70 또는 71)에 부딪혀 지지되며 상기 후방부(76)는 에지(7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프레임은 그 상면(69)이 피벗 중첩 스프링(61)에 대한 셀프 센터링 제동부를 구성하는 평탄부(68)로 형성되는 바닥부를 구비하고 상기 평탄부(68)의 종방향 측면(70 및 71)은 개개의 피벗 중첩 스프링(61)에 대한 재상승 위치의 제동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 장치.
  18. 제 11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개폐 부재(8)에 의해 하강되지 않으며 하강되는 피벗 부재에 직접 인접하는 피벗 부재(42, 52, 61)의 개폐 부재(8)에 대향하는 프레임(11)의 내부 측부는 개폐 부재(8)에 대하여 매번 종방향 차단부의 전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레버 수단(95)은, 그 주신의 헤드 바닥이 이동형 프레임(11)을 밀어서 셀프 센터링 및 잠금 후의 최종 운반 위치까지 들어올리는 수압 또는 유압 레버 잭(9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 장치.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셀프 센터링 및 잠금의 최종 위치가 하중에 의해 지지 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레버 수단(96)은 객차의 외부 양방향 제어부를 갖는 나사잭(1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 장치.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사잭(101)이 엔진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 장치.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엔진 너트가 잠금 장치의 톱니바퀴(105)에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 장치.
  24. 제 1 항에 있어서,
    나셀(10)의 프레임(11)은 인접하는 철도 구조물 상의 지지대(89) 상에 피벗 장착되고, 상기 지지대(89)는 철도 구조물 상에 두 베어링-피벗 지지체에 의하여 관절 연결되어 피벗 및 병진 운동하도록 장착됨으로써 과정 내내 이동형 수용 프레임의 승강 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 장치.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대(89)가 중간 요동 지지대(92)를 가로질러 철도 구조물 상에 관절 연결되어 피벗 및 병진 운동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센터링 지지 및 고정 장치.
KR1020077024313A 2005-04-11 2006-04-10 세미-트레일러 킹핀의 철도 구조물 상에서의 측방향 셀프센터링 지지 및 고정용 장치 KR101263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03552 2005-04-11
FR0503552A FR2884211B1 (fr) 2005-04-11 2005-04-11 Dispositif de support avec autocentrage lateral et immobilisation sur une structure ferroviaire du pivot d'attelage d'une semi-remor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823A true KR20080003823A (ko) 2008-01-08
KR101263528B1 KR101263528B1 (ko) 2013-05-15

Family

ID=35871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313A KR101263528B1 (ko) 2005-04-11 2006-04-10 세미-트레일러 킹핀의 철도 구조물 상에서의 측방향 셀프센터링 지지 및 고정용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874607B1 (ko)
KR (1) KR101263528B1 (ko)
CN (1) CN101189154B (ko)
AT (1) ATE408546T1 (ko)
DE (1) DE602006002818D1 (ko)
ES (1) ES2317541T3 (ko)
FR (1) FR2884211B1 (ko)
PL (1) PL1874607T3 (ko)
RU (1) RU2394711C2 (ko)
WO (1) WO20061089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3938B1 (fr) * 2007-03-19 2009-05-08 Lohr Ind Ensemble d'arrimage a immobilisation totale et autocentrage d'un pivot d'attelage d'une semi-remorque sur une unite ferroviaire.
FR2934224A1 (fr) * 2008-04-17 2010-01-29 Alain Margery Reprise et immobilisation - par la cheville ouvriere - d'une remorque sur un wagon de chemin de fer
FR3035349B1 (fr) * 2015-04-27 2019-05-17 Lohr Industrie Sellette a verrouillage automatique avec mise en place d'une piece de capotage
FR3040964B1 (fr) * 2015-09-14 2017-09-01 Lohr Ind Dispositif de detection de choc pour systeme de verrouillage du pivot d'attelage d'une semi-remorque sur une unite ferroviaire
FR3046124B1 (fr) * 2015-12-24 2019-04-05 Lohr Industrie Systeme de verrouillage du pivot d'attelage d'une semi-remorque sur une unite ferroviaire
CN106740948B (zh) * 2016-11-11 2018-06-01 中车青岛四方车辆研究所有限公司 铁路多式联运车锁闭机构
RU2675749C1 (ru) 2018-09-11 2018-12-2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ЕРМЕС МультиМодал ГРУПП"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шкворня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полуприцепа на вагоне-платформе
RU195011U1 (ru) * 2019-10-22 2020-01-13 Иванов Владимир Владимирович Корзина для погрузки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автомобильных полуприцепов на вагоне-платформе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3892B1 (fr) * 1991-03-11 1993-12-31 Lohr Industrie Dispositif d'accouplement a encliquetage-verrouillage pour un systeme de transport rail/route.
US5291835A (en) * 1993-03-25 1994-03-08 Railrunner Systems, Inc. Retractable intermodal vehicle
FR2726800B1 (fr) * 1994-11-15 1997-01-24 Sncf Dispositif de calage automatique de pieces cylindriques et wagon utilisant un tel dispositif
FR2775238B1 (fr) * 1998-02-25 2004-07-23 Sncf Dispositif de calage automatique de pieces cylindriques ou parallelepipediques et wagon utilisant un tel dispositi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394711C2 (ru) 2010-07-20
CN101189154A (zh) 2008-05-28
FR2884211B1 (fr) 2007-05-25
DE602006002818D1 (de) 2008-10-30
RU2007141454A (ru) 2009-05-20
EP1874607A1 (fr) 2008-01-09
FR2884211A1 (fr) 2006-10-13
ATE408546T1 (de) 2008-10-15
ES2317541T3 (es) 2009-04-16
WO2006108955A1 (fr) 2006-10-19
CN101189154B (zh) 2011-02-02
KR101263528B1 (ko) 2013-05-15
PL1874607T3 (pl) 2009-04-30
EP1874607B1 (fr) 200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528B1 (ko) 세미-트레일러 킹핀의 철도 구조물 상에서의 측방향 셀프센터링 지지 및 고정용 장치
US4844681A (en) Load-transferring device, in particular for rapidly transferring palletized loads
US5080541A (en) Articulated car carrier convoy with individual carrying platforms capable of compound movements
US7908976B2 (en) Railway vehicle and device for accessing said vehicle
US4961676A (en) Goods transport systems which are transformable into rail vehicles, and rail bogies for use therewith
KR100797200B1 (ko) 레일/도로 조합 수송용 철도 스테이션에서 레일카의 수송 및 비스듬한 하역을 위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하역 방법
DE102014013778B4 (de) Waggonaufsatz für Güterwaggons sowie Güterwaggon mit einem derartigen Waggonaufsatz, Güterumschlagvorrichtung mit derartigen Güterwaggons und Güterumschlagverfahren
RU2385250C2 (ru) Трейлер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инспектировани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и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для нее
DE102004021488B4 (de) Prüfstand für Drehgestelle und/oder Radsätze von Schienenfahrzeugen
JPH06144224A (ja) 台車のゲージ変更方法および可変ゲージ台車ならびに地上設備
US3119506A (en) Side-loading transfer vehicle
EP3254922A1 (en) Intermodal rail vehicle to form a train
DE4112995C2 (de) Eisenbahn-Spezialwagen zum Transport von Lastkraftwagen und Containern
EP1519868A1 (de) Verfahren zum be- und entladen von schienenwaggons sowie vorrichtung, waggongestell und waggonaufsatz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US1602146A (en) Loading device for trucks
US3528569A (en) Unit load hold-down and releasing lift
EP1355815A1 (de) Verfahrne und niederflurfahrzeug zum transport von strassenfahrzeugen auf der schiene
US4439076A (en) Movable freight restraining device for freight cars and the like
US4397601A (en) Convertible rail-highway vehicle
EP2489569A1 (en) Transshipment system including a lift unit for moving a well car floor of a railway well car
US20240025461A1 (en) System for detecting defects in rail and methods of using same
EP3441277A1 (en) Mechanism for lifting of car-carrying wagon boarding plates
SU1777587A3 (ru)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DE4309630C1 (de) Einrichtung zum Positionieren von Wechselbehältern eines Kombilifter-Systems
AT524672B1 (de) Drehgestell zum Bilden eines Zu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