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067U -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도어장치 - Google Patents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067U
KR20080003067U KR2020070001907U KR20070001907U KR20080003067U KR 20080003067 U KR20080003067 U KR 20080003067U KR 2020070001907 U KR2020070001907 U KR 2020070001907U KR 20070001907 U KR20070001907 U KR 20070001907U KR 20080003067 U KR20080003067 U KR 200800030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edestrian
automatic door
crosswalk
wal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1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형
Original Assignee
이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형 filed Critical 이연형
Priority to KR2020070001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3067U/ko
Publication of KR200800030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06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9/00Safety means for rail/road crossing traffic
    • B61L29/08Operation of gates; Combined operation of gates and sig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횡단보도의 도로와 인도 경계위치에 도어틀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틀에 구동부재에 의해 슬라이딩 개폐작동하는 자동문을 설치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신호등으로 공급되는 보행신호 또는 정지신호에 연동하여 자동 개폐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자동문이 닫힐때에는 스피커를 통해 소정의 경보음 또는 경보벨이 출력되도록 하므로서, 학교 주변에 설치된 횡단보도에서 보행정지신호(적색신호)시 안전도어가 닫히면서 학생 및 행인들이 횡단보도를 무단횡단 할 수 없게되어 안전도가 향상되고, 운전자들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으며, 안전도어가 닫힐때 소정의 경보음이 출력되므로 시각 장애인들도 안정하게 횡단보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횡단보도, 안전도어, 자동문, 구동부재, 푸쉬스위치, 보행스위치, 카메라,

Description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도어장치{Safty door device}
도 1 은 종래의 횡단보도를 보인 도면.
도 2 는 본 고안의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도어장치를 보인 도면.
도 3 은 본 고안의 안전도어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
도 4 는 본 고안의 안전도어 자동문을 부분적으로 보인 도면.
도 5 는 본 고안의 안전도어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안전도어, 2: 구동부재,
3: 푸쉬스위치, 4: 보행스위치,
5: 범퍼센서, 6: 제어부,
7: 카메라, 8: 영상판독부,
9: 모터구동부, 10: 경보부,
10a: 스피커, 11: 도어틀,
12: 가이드레일, 13: 자동문,
14: 문틀, 15: 구름롤러,
16: 범퍼, 18: 보행시간 표시부,
21: 중심롤러, 22: 와이어,
23: 구동모터, 24: 구동롤러,
본 고안은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학교 주변에 설치된 횡단보도에서 보행정지신호(적색신호)시 안전도어가 닫히면서 학생 및 행인들이 횡단보도를 무단횡단 할 수 없게되어 안전도가 향상되고, 운전자들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으며, 안전도어가 닫힐때 소정의 경보음이 출력되므로 시각 장애인들도 안정하게 횡단보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앞의 도로상에는 학생 또는 행인이 도로를 안전하게 건널 수 있도록 하는 횡단보도가 설치된다.
도 1 은 종래의 횡단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로(34)와 인도(35)의 사이에 경계석(33)이 단차지게 설치되어 있고, 도로(34)상에는 보행자가 안전하게 도로(34)를 건널 수 있도록 하는 횡단보도(30)가 형성되며, 상기 횡단보도(30)의 양측에는 보행자의 보행신호(녹색신호) 또는 보행정지신호(적색신호)를 표시하는 신호등(32)이 설치되고, 상기 인도(35)에는 보행자가 횡단보도(30)가 아닌 도로로 횡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휀스(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단순히 횡단보도(30)의 양측에 설치된 신호등(32)의 보행 신호 또는 보행정지신호에 의존하여 학생 또는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통해 도로를 건너도록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호기심이 많은 어린 학생들의 경우 신호등(32)의 신호가 보행정지신호인 적색신호인 때에도 자동차가 뜸할때 빠르게 달려서 횡단보도를 무단횡단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되었고, 이로인해 어린 학생들의 무단횡단시 교통사고가 발생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횡단보도의 도로와 인도 경계위치에 도어틀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틀에 구동부재에 의해 슬라이딩 개폐작동하는 자동문을 설치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신호등으로 공급되는 보행신호 또는 정지신호에 연동하여 자동 개폐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자동문이 닫힐때에는 스피커를 통해 소정의 경보음 또는 경보벨이 출력되도록 하므로서, 학교 주변에 설치된 횡단보도에서 보행정지신호(적색신호)시 안전도어가 닫히면서 학생 및 행인들이 횡단보도를 무단횡단 할 수 없게되어 안전도가 향상되고, 운전자들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으며, 안전도어가 닫힐때 소정의 경보음이 출력되므로 시각 장애인들도 안정하게 횡단보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도어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표기 하여 중복설명을 피하기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횡단보도(30)가 설치된 도로변에 안전휀스(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횡단보도(30)의 도로(34)와 인도(35) 경계위치에 도어틀(11)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틀(11)에 구동부재(2)에 의해 슬라이딩 개폐작동하는 자동문(13)을 설치하며, 상기 구동부재(2)는 신호등(32)으로 공급되는 보행신호 또는 정지신호에 연동하여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개폐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자동문(13)의 문틀(14)에 형성된 푸쉬스위치(3)와;
신호등(32)의 기둥에 설치된 보행스위치(4)와;
상기 자동문(13)의 일측에 형성된 범퍼(16) 내부에 내장되어 자동문(13) 사이에 보행자가 끼이는 것을 감지하는 범퍼센서(5)와;
횡단보도(30)의 보행자 보행여부를 촬영하는 카메라(7)와;
상기 카메라(7)에서 촬영된 영상으로 횡단보도(30)를 보행하는 보행자 유무를 판독하는 영상판독부(8)와;
신호등(32)으로 공급되는 보행신호 또는 정지신호에 연동하여 모터구동부(9)를 통해 구동부재(2)의 구동모터를 정역구동시키고, 자동문(13) 개폐동작 중 푸쉬스위치(3)가 입력되거나 범퍼센서(5)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자동문(13)이 열렸다가 다시 닫히도록 제어하며, 자동문(13)이 닫힐때 경보부(10)로 소정의 경보신호를 출력하고, 영상판독부(8)에서 보행자가 감지될때에는 자동문(13)의 닫힘동작을 지연시키는 제어부(6)와;
상기 제어부(6)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부(10)와;
신호등(32) 기둥에 설치되고, 상기 경보부(10)에서 출력된 경보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10a); 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틀(11)의 상하부면에 가이드레일(12)이 형성되고, 상기 자동문(13)은 문틀(14)의 상하부에 상기 가이드레일(12)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구름롤러(15)를 형성하여 이루며, 상기 자동문(13)의 문틀(14) 일측에는 고무재의 범퍼(16)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2)는 도어틀(11)의 하측 중앙부에 중심롤러(21)를 형성하고, 도어틀(11)의 외측에 구동롤러(24)가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모터(23)를 형성하며, 상기 자동문(13) 문틀(14)의 하단 양측에 결합된 와이어(22)를 상기 중심롤러(21)와 구동롤러(24)에 감아서 구동롤러(24)의 정역회전에 따라 와이어(22)가 좌,우 측으로 당겨지면서 자동문(13)이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슬라이딩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등(32)의 하부에는 보행신호의 잔여시간을 다수의 바가 순차 점등 또는 소등되면서 표시하는 보행시간 표시부(18)를 설치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횡단보도(30)에 설치된 신호등(32)이 적색등(보행정지)으로 켜져있을 때에는 자동문(13)이 닫혀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신호등(32)으로 보행신호가 인가되어 녹색등으로 점등되면,
제어수단의 제어부(6)는 신호등(32)으로 인가되는 보행신호를 입력받아 안전도어(1)의 자동문(13)을 개방시켜주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이 구동신호를 입력받은 모터구동부(9)는 구동부재(2)의 구동모터(23)를 구동시킨다.
이에따라, 상기 구동모터(23)에 축지되어 있는 구동롤러(24)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므로서, 와이어(22)가 당겨지게되어 자동문(13)이 도 5 와 같이 양측으로 슬라이딩 개방되어 어린학생 또는 보행자들이 횡단보도(30)를 통해 길을 건널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신호등(32)이 녹색등으로 점등되었을때 보행시간 표시부(18)는 다수의 막대형 바를 점등시키거나 소등시켜가면서 잔여 보행가능시간을 표시해준다.
한편, 안전도어(1)가 개방된 상태에서 신호등(32)으로 보행정지신호가 공급되면, 신호등(32)이 적색등으로 전환되고, 이때, 제어부(6)는 보행정지신호에 대응하여 자동문(13)을 닫아주기 위한 신호를 모터구동부(9)를 통해 구동모터(23)로 공급하며, 이에의해 구동모터(23)가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자동문(13)이 닫히게된다.
그리고, 보행자가 횡단보도(30)를 건널때 카메라(7)는 횡단보도를 촬영하고, 영상판독부(8)는 카메라(7)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 횡단보도상에 보행자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그 판단정보를 제어부(6)에 공급하며, 제어부(6)는 보행정지신호 가 인가되더라도 상기 영상판독부(8)에 의해 보행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보행자가 횡단보도(30)를 완전히 건널때까지 자동문(13)을 닫지 않게된다.
또한, 상기 자동문(13)이 닫힌 이후에 보행자가 횡단보도(30)를 건너서 자동문(13)의 문틀(14)에 형성된 푸쉬스위치(3)를 눌러주게되면, 제어부(6)는 닫혀있는 자동문(13)을 일시적으로 열었다가 닫아주어 보행자가 인도(35)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자동문(13)이 닫힐때 보행자가 범퍼(16) 사이에 끼이게되면 범퍼(16) 내에 형성된 범퍼센서(5)가 인체를 감지하여 제어부(6)로 소정의 감지신호를 출력하게되고, 이에따라 제어부(6)는 자동문(13)을 일시적으로 개방시켰다가 다시 닫아주어 보행자가 안전하게 인도(35)로 진입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신호등(32)의 보행신호(녹색등)가 너무 오랬동안 켜지지 않게되어 급한 보행자가 보행스위치(4)를 누르면, 제어부(6)는 신호등(32)을 강제로 녹색등으로 전환시킨 후 자동문(13)을 개방시켜 긴급한 보행자가 횡단보도(30)를 안전하게 횡단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안전도어(1)의 자동문(13)이 닫힐때에는 제어부(6)가 경보부(10)를 구동시켜 스피커(10a)를 통해 소정의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하므로서 시각장애인 또는 노약자들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횡단보도(30)를 횡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횡단보도의 도로와 인도 경계위치에 도어틀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틀에 구동부재에 의해 슬라이딩 개폐작동하는 자동문을 설치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신호등으로 공급되는 보행신호 또는 정지신호에 연동하여 자동 개폐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자동문이 닫힐때에는 스피커를 통해 소정의 경보음 또는 경보벨이 출력되도록 하므로서, 학교 주변에 설치된 횡단보도에서 보행정지신호(적색신호)시 안전도어가 닫히면서 학생 및 행인들이 횡단보도를 무단횡단 할 수 없게되어 안전도가 향상되고, 운전자들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으며, 안전도어가 닫힐때 소정의 경보음이 출력되므로 시각 장애인들도 안정하게 횡단보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도어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횡단보도(30)가 설치된 도로변에 안전휀스(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횡단보도(30)의 도로(34)와 인도(35) 경계위치에 도어틀(11)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틀(11)에 구동부재(2)에 의해 슬라이딩 개폐작동하는 자동문(13)을 설치하며, 상기 구동부재(2)는 신호등(32)으로 공급되는 보행신호 또는 정지신호에 연동하여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개폐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도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자동문(13)의 문틀(14)에 형성된 푸쉬스위치(3)와;
    신호등(32)의 기둥에 설치된 보행스위치(4)와;
    상기 자동문(13)의 일측에 형성된 범퍼(16) 내부에 내장되어 자동문(13) 사이에 보행자가 끼이는 것을 감지하는 범퍼센서(5)와;
    횡단보도(30)의 보행자 보행여부를 촬영하는 카메라(7)와;
    상기 카메라(7)에서 촬영된 영상으로 횡단보도(30)를 보행하는 보행자 유무를 판독하는 영상판독부(8)와;
    신호등(32)으로 공급되는 보행신호 또는 정지신호에 연동하여 모터구동부(9)를 통해 구동부재(2)의 구동모터를 정역구동시키고, 자동문(13) 개폐동작 중 푸쉬 스위치(3)가 입력되거나 범퍼센서(5)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자동문(13)이 열렸다가 다시 닫히도록 제어하며, 자동문(13)이 닫힐때 경보부(10)로 소정의 경보신호를 출력하고, 영상판독부(8)에서 보행자가 감지될때에는 자동문(13)의 닫힘동작을 지연시키는 제어부(6)와;
    상기 제어부(6)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부(10)와;
    신호등(32) 기둥에 설치되고, 상기 경보부(10)에서 출력된 경보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10a);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도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틀(11)의 상하부면에 가이드레일(12)이 형성되고, 상기 자동문(13)은 문틀(14)의 상하부에 상기 가이드레일(12)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구름롤러(15)를 형성하여 이루며, 상기 자동문(13)의 문틀(14) 일측에는 고무재의 범퍼(16)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부재(2)는 도어틀(11)의 하측 중앙부에 중심롤러(21)를 형성하고, 도어틀(11)의 외측에 구동롤러(24)가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모터(23)를 형성하며, 상기 자동문(13) 문틀(14)의 하단 양측에 결합된 와이어(22)를 상기 중심롤러(21)와 구동롤러(24)에 감아서 구동롤러(24)의 정역회전에 따라 와이어(22)가 좌,우 측으로 당겨지면서 자동문(13)이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슬라이딩 작동하도록 구성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도어장치.
KR2020070001907U 2007-01-30 2007-01-30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도어장치 KR200800030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907U KR20080003067U (ko) 2007-01-30 2007-01-30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907U KR20080003067U (ko) 2007-01-30 2007-01-30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도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067U true KR20080003067U (ko) 2008-08-04

Family

ID=41323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1907U KR20080003067U (ko) 2007-01-30 2007-01-30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306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289B1 (ko) * 2012-01-20 2014-02-21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로드킬 방지용 가드펜스 시스템
KR102562903B1 (ko) 2022-06-13 2023-08-02 양수호 횡단보도용 안전장치
KR102626817B1 (ko) * 2023-06-20 2024-01-18 김병기 교통사고 방지를 위한 횡단보도용 안전도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289B1 (ko) * 2012-01-20 2014-02-21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로드킬 방지용 가드펜스 시스템
KR102562903B1 (ko) 2022-06-13 2023-08-02 양수호 횡단보도용 안전장치
KR102626817B1 (ko) * 2023-06-20 2024-01-18 김병기 교통사고 방지를 위한 횡단보도용 안전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2010405A3 (cs) Zpusob inteligentního interaktivního rízení provozu v dopravní oblasti vyznaceného prechodu pro chodce a signalizacní zarízení k provádení tohoto zpusobu
EP2986483B1 (en) User configurable horizontal brake feature for railroad crossing gates
KR20130016990A (ko) 횡단보도 차단 시스템
KR20080003067U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도어장치
KR102239096B1 (ko) 안전 장치를 구비한 볼라드
KR20080024620A (ko)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화 시스템
KR102028051B1 (ko) 긴급차량 출동 알림 시스템
KR20210143028A (ko)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1669771B1 (ko) 교통신호등 연계 인도 및 자전거도로 겸용 횡단차단장치
JP5544331B2 (ja) 開閉体制御システム
KR101300244B1 (ko) 출몰 개폐형 차단기
KR20120050018A (ko) 횡단보도용 안전차단장치
KR100700064B1 (ko) 보도를 갖는 도로의 보행자 보호장치
KR20030089966A (ko) 횡단보도용 신호 차단장치
KR200299918Y1 (ko) 보행자 보호용 차량 진입 차단봉의 은폐 구조
KR200432014Y1 (ko)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화 시스템
KR100701059B1 (ko) 차량진입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횡단보도의 도로구조
KR200285564Y1 (ko) 횡단보도용 신호 차단장치
KR200408879Y1 (ko) 횡단보도용 보행 신호 장치
WO2019199123A1 (ko)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KR100700385B1 (ko) 차량진입을 차단하는 도로구조
KR100987202B1 (ko) 횡단보도 보행자 안내장치
JP2004224548A (ja) エスカレータシステム
KR20200079620A (ko)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한 신호 시스템
KR102121656B1 (ko)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