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640A -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640A
KR20080001640A KR1020070063657A KR20070063657A KR20080001640A KR 20080001640 A KR20080001640 A KR 20080001640A KR 1020070063657 A KR1020070063657 A KR 1020070063657A KR 20070063657 A KR20070063657 A KR 20070063657A KR 20080001640 A KR20080001640 A KR 20080001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contact
contactless
module
sub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1873B1 (ko
Inventor
다카이 첸
다싱 슈
통신 치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워치데이터 시스템 컴퍼니,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워치데이터 시스템 컴퍼니, 엘티디. filed Critical 베이징 워치데이터 시스템 컴퍼니,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80001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66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comprising at least a second communication arrangement in addition to a first non-contact communication arrangement
    • G06K19/0776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comprising at least a second communication arrangement in addition to a first non-contact communication arrangement the further communication means being a galvanic interface, e.g. hybrid or mixed smart cards having a contact and a non-contact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Sour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종의 인텔리전트 카드 시스템 및 운용방법을 제시한다. 시스템에 전기를 공급하면 작업모드 선택 모듈에서 시스템의 전원 공급방식을 파악한다.
전원공급이 비접촉형일 경우 제1 작업모드를 선택하며, 접촉형일 경우 제2 작업모드를 선택한다. 제1 작업모드에서는 명령 프로세스 모듈이 비접촉형 통신모듈에서 수신된 비접촉형 명령을 개별적으로 처리한다. 제2 작업모드에서는 명령 프로세스 모듈이 접촉형 통신모듈에서 수신된 접촉형 명령과 비접촉형 통신 모듈에서 수신된 비접촉형 명령을 병행 처리한다. 본 발명의 기술 솔루션을 도입하면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동시에 접촉형과 비접촉형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다양하게 스마트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 카드, 비접촉형 전원, 접촉형 전원

Description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방법{Smart Card Operating System and Operating Process}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 중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 중 초기화 모듈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 중 명령 프로세스 모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 중 비접촉형 단독 작업모드 과정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 중 접촉형 통신 모듈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 중 비접촉형 통신 모듈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 중 혼합 작업모드에서 명령 프로세스 모듈이 명령을 처리하는 흐름도.
본 발명은 스마트 카드분야에 해당하여 특히 일종의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카드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사람들은 스마트 카드가 더욱 풍부하고 활용적으로 기능을 수행하기를 바란다. 예를 들어 SIM카드일 경우 기존의 SIM카드 기능 이외에 체크카드, 도어락, 출근카드 등 한 개의 카드가 다용도 기능을 가지기를 바란다. 그러나 기존의 스마트 카드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접촉형 통신방식 혹은 비접촉형 통신방식 중에 한 가지만 지원할 수 있기에 스마트 카드의 활용성이 많이 낮아지고 있다.
종래 두 개의 인터페이스 접촉형과 비접촉형 통신을 지원하는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있긴 하지만 그 시스템은 비접촉형 터미널 장비가 여전히 비접촉형 장(場)에 있어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안테나와 결합하여 전압이 생긴다. 비접촉형 터미널 장비가 이 시스템에 단독으로 전기를 공급할 때 시스템은 단지 비접촉형의 작업모드에만 운용되고 비접촉형 통신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시스템의 전기가 접촉형 전원에서 공급, 즉, 접촉형 터미널 장비가 전원 하드웨어와 연결될 경우 시스템은 단독으로 접촉형 작업모드만 사용할 수 있고 접촉형 통신만 가능하다. 즉, 이 시스템은 전기 공급방식에 따라 단 한가지의 통신방식만을 채택할 수 있어 기능 면에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방법은 종래 스마트 카드에 존재하는 기술적인 문제 중 운영 시스템이 접촉형 통신과 비접촉형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종의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제공했다. 본 발명은 접촉형 통신 모듈, 비접촉형 통신 모듈 및명령 프로세스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작업모드 선택 모듈과 상기 명령 프로세스 모듈과 연 결된 부분도 포함한다.
상기 작업모드 선택모듈은 전기 공급방식에 따라 제1 작업모드 혹은 제2 작업 모드를 확정하여 상기 명령 프로세스 모듈에 통지한다.
명령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제1 작업모드에 의해 비접촉형 통신 모듈이 수신된 비접촉형 명령을 개별적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작업 모드에 의해 접촉형 통신모듈이 수신한 접촉형 명령 및 비접촉형 통신모듈이 수신한 비접촉형 명령을 병행 처리한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하기와 같은 작업모드 선택모듈에 연결된 전원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 제어모듈은 사용 가능한 전원을 측정하고 우선적으로 접촉형 전원을 선택하여 시스템에 전기를 공급하며 상기 시스템은 확정된 시스템의 전기공급 방식을 상기 작업모드 선택모듈에 통지한다. 상기 명령 프로세스 모듈에 연결된 타이머모듈도 포함한다. 상기 타이머 제어모듈은 검출작업을 통해 사전에 설정된 타이머 소스 우선순위를 통하여 사용 가능한 타이머를 선택하여 상기 명령 프로세스 모듈에 타이머를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은 초기화 모듈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말하는 초기화 모듈은 범용 초기화 모듈, 제1 작업모드 초기화 모듈과 제2 작업모드 초기화 모듈로 나누어져 있다. 그 중 범용 초기화 모듈은 시스템의 범용 레지스터 및 전역 변수에 사용된다.
제 1 작업모드 초기화 모듈은 제1 작업모드의 비접촉형 통신모듈과 명령 프로세스 모듈의 초기화에 사용된다.
제 2 작업모드 초기화 모듈은 제2 작업모드의 비접촉형 통신모듈, 접촉형 통신모듈 및 명령 프로세스 모듈의 초기화에 사용된다.
상기 시스템에서 상기 명령 프로세스 모듈은 콘텍스트 전환 서브 모듈과 제1 저장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저장 서브 모듈은 접촉형 채널 콘텍스트와 비접촉형 채널의 콘텍스트를 개별적으로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콘텍스트 전환 서브 모듈은 명령을 처리할 프로세스 모듈이 위치한 채널에 따라 제1저장 서브 모듈에 저장된 해당 채널의 콘텍스트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시스템에서 상기 명령 프로세스 모듈은 조회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조회 서브 모듈은 접촉형 통신 모듈이 접촉형 명령을 수신하는지 여부 및 비접촉형 모듈이 비접촉형 명령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병행 조회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시스템의 상기 접촉형 통신 모듈은 접촉형 통신 수신 서브모듈, 접촉형 통신 발신 서브 모듈 및 접촉형 통신 저장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그 중에 상기 접촉형 통신 저장 서브 모듈은 접촉형 명령 수신 시그널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접촉형 통신 수신 서브 모듈은 상기 접촉형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접촉형 명령 수신 시그널 설정에 사용된다.
접촉형 통신 발신 서브 모듈은 상기 접촉형 명령에 대한 응답을 발신하고, 상기 접촉형 명령 수신 시그널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시스템의 비접촉형 통신 모듈은 또한 비접촉형 통신 수신 서브 모듈, 비접촉형 통신 발신 서브 모듈 및 비접촉형 통신 저장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그 중, 상기 비접촉형 통신 저장 서브 모듈은 비접촉형 명령 수신 시그널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비접촉형 통신 수신 서브 모듈은 비접촉형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비접촉형 명령 수신 시그널을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비접촉형 통신 발신 서브 모듈은 비접촉형 명령에 대한 응답을 발신하고, 상기 비접촉형 명령 수신 시그널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시스템의 명령 프로세스 모듈은 또한 휴면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휴면 제어모듈은 휴지 상태 또는 설정 시간 동안 휴지 상태를 유지한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휴면 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접촉형 통신모듈 혹은 비접촉형 통신 모듈이 명령을 접수한 후 휴면을 중단시켜 시스템을 재가동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일종의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방법을 제공하였으며,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시스템에 전기를 공급할 때 전원 공급방식을 판단하여 공급된 전원이 비접촉형 전원일 경우 제 1 작업모드를 선택하고, 공급된 전원이 접촉형 전원일 경우 제2 작업 모드를 선택한다.
상기 제 1 작업모드에서는 비접촉형 명령만을 단독으로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고, 제 2 작업모드에서는 접촉형 명령과 비접촉형 명령을 수신하여 병행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비접촉형 전원과 접촉형 전원이 동시에 존재할 때 접촉형 전원 이 우선적으로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타이머의 우선 순위가 사전에 설정되어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거나 혹은 전원이 공급되어 있지만 작업 중 현재 타이머가 사라질 경우 우선 순위에 따라 타이어를 선택 사용하여 시스템에 타이머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제2 작업모드에서 접촉형 명령 혹은 비접촉형 명령을 처리하기 전에 먼저 현재 채널의 콘텍스트가 지원하는 채널이 처리해야할 명령과 같은 채널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 콘텍스트 채널을 전환하여 다시 명령을 처리하고, 일치할 경우 바로 그 명령을 실행한다.
상기 방법은 제 2 작업모드에서 접촉형 명령 및 비접촉형 명령의 수신 여부를 병행 조회하고 상기 조회된 접촉형 명령 혹은 비접촉형 명령을 처리한다.
상기 방법은 제2 작업모드에서 접촉형 명령 혹은 비접촉형 명령을 수신할 때 접촉형 명령 시그널 혹은 비접촉형 명령 시그널을 설정한다.
상기 접촉형 명령 혹은 상기 비접촉형 명령에 대한 응답을 발신할 때 상기 접촉형 명령 시그널 혹은 비접촉형 명령 시그널을 제거한다.
접촉형 명령 및 비접촉형 명령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접촉형 명령 시그널 및 비접촉형 명령 시그널을 동시에 조회하고, 상기 조회된 접촉형 명령 혹은 비접촉형 명령을 처리하여 해당 응답을 발신한다.
상기 방법은 시스템이 휴지 상태이거나 또는 설정 시간 동안 휴지 상태를 유지한 경우 시스템을 휴면상태에 진입하도록 하고, 상기 시스템이 명령을 수신하면 시스템을 재가동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두 가지 작업모드로 정의한다. 즉, 독자적인 비접촉형 작업모드와 접촉형 및 비접촉형 혼합 작업모드 (혼합 작업모드로 칭함). 상기 시스템의 전기가 비접촉형 터미널 장비의 비접촉형의 전원에서 공급될 경우 비접촉형의 독자적인 작업모드를 채택하여 비접촉형 통신을 한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이 접촉형 터미널 장비의 접촉형 전원으로부터 전기 공급을 받을 경우 상기 시스템은 혼합 작업모드를 채택하여 접촉형 및 비접촉형 통신을 동시에 지원한다.
도 1을 보면 상기 스마트 카드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전원 제어모듈(102), 타이머 제어모듈(103), 내부 타이머 모듈(105), 접촉형 통신 모듈(106), 비접촉형 통신 모듈(107) 및 제어모듈(109)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모듈(109)은 또한 초기화 모듈(101), 작업모드 선택모듈(104) 및 명령 프로세스 모듈(108)을 포함한다. 상기 초기화 모듈(101)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용 초기화 모듈(1011), 혼합 작업모드 초기화 서브 모듈(1012) 및 단독 비접촉형 작업모드 초기화 서브 모듈(1013)을 포함한다. 상기 명령 프로세스 모듈(10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회 서브 모듈(1081), 콘텍스트 전환 서브 모듈(1082), 명령 프로세스 저장 서브 모듈(1083), 접촉형 명령 프로세스 모듈(1084), 비접촉형 명령 프로세스 모듈(1085) 및 휴면 제어 서브 모듈(108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비접촉형 통신 모듈(107)은 ISO14443 -3/4규격에 부합되어 타입 A와 타입 B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접촉형 통신 모듈(106)은 ISO7816 -3/4 규격에 부합되어 T=0/T=1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형 통신과 비접촉형 통신은 각각의 독립된 채널을 사용한다. 그 이유는 접촉형과 비접촉형 통신 과정에서 접촉형 데이터와 비접촉형 데이터가 동시에 도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독립된 채널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정확한 수신을 보장한다. 접촉형 데이터 채널은 7816규격 중 정의된 핀(pin) C7을 채택하고 비접촉형 데이터 채널은 7816규격 중 보류되어 사용하지 않은 핀C4, 핀C8을 사용한다. 이러한 설계는 기존 규범과 동일하다는 것을 보증한다.
본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전기가 공급된 후 범용 초기화 모듈(1011)은 시스템의 범용 레지스터 및 전역변수에 대해 초기화를 진행한다.
범용 초기화는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업할 때 필수적인 종래의 작업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구체적 설명은 하지 않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특히 범용 초기화 동안 :
접촉형 전원은 전원 제어 모듈(102)을 초기화하는 전원 기능을 하는 것을 말하며;
타이머 제어 모듈(103)의 초기화 동안 타이머소스의 우선순위는 제일 먼저 접촉형 외부 타이머소스이며, 그 다음 비접촉형 외부 타이머소스 그리고 마지막에 내부 타이머소스이며;
작업모드 선택 모듈(104)이 초기화되며;
명령 프로세스 모듈(108)에서의 접촉형 채널 콘텍스트가 초기화되며;
명령 프로세스 모듈(108)에서의 비접촉형 채널 콘텍스트가 초기화되며,
명령 프로세스 모듈(108)에서의 현재 채널 콘텍스트는 접촉형 채널 콘텍스트로 설정되며;
명령 프로세스 모듈(108)에서의 채널 시그널은 접촉형 채널로 설정되어 상기 채널 시그널이 현재 작업 채널을 식별하는데 사용되며;
접촉형 통신 모듈(106)에서의 접촉형 명령 시그널은 0으로 설정되는데, 이는 상기 접촉형 명령 시그널이 접촉형 명령의 수신 여부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접촉형 명령 시그널의 초기화가 0일 경우 접촉형 명령이 수신되지 않았음을 표시한다.
비접촉형 통신 모듈(107)에서의 비접촉형 명령 시그널은 0으로 설정되는데, 이는 상기 비접촉형 명령 시그널이 비접촉형 명령의 수신 여부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비접촉형 명령 시그널의 초기화가 0으로 될 경우 비접촉형 명령이 수신된지 않았음을 표시한다.
상기 시스템의 범용 초기화 후:
A1、타이머 제어모듈(103)은 설정된 타이머소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 사용에 가능한 타이머소스를 검출 선택하여 제어모듈에 타이머를 제공한다.
타이머소스는 출력의 각도에서 외부 타이머 소스 및 내부 타이머 소스로 나 뉘어져 있다. 그 중에 외부 타이머 소스는 또한 접촉형 외부 타이머 소스와 비접촉형 외부 타이머 소스가 있고, 각각 접촉형 터미널 장비와 비접촉형 터미널 장비에서 제공한다. 내부 타이머 소스는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에서 내부 타이머 모듈(105)로 제공된다. 외부 타이머 소스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도 있지만 내부 타이머 소스는 시스템이 휴면 상태가 아닐 경우 항상 존재한다.
타이머 제어모듈(103)의 기능은 외부 타이머 소스(접촉형 외부 타이머 혹은 비접촉형 외부 타이머 한가지만 존재할 수도 있고 그 두 가지 모두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음)와 내부 타이머 소스 중에서 설정된 타이머 소스의 우선순위에 따라 현재 존재하는 타이머 소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어모듈(109)에 작업 타이머를 제공한다.
시스템에 전원공급 시 혹은 전원이 공급되고 있지만 제어모듈(109)의 현재 작업 타이머가 갑자기 사라질 경우 타이머 제어모듈(103)은 측정작업을 하고 설정된 타이머 소스 우선순위에 따라 사용 가능한 타이머 소스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모듈(109)에 타이머를 제공한다.
상기 설정 우선순위는 실제 수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정된 우선순위 관계는 접촉형 외부 타이머 소스가 제일 안정적이기 때문에 접촉형 외부 타이머 소스가 존재할 경우 우선적으로 시스템의 작업 타이머 소스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내부 타이머 소스는 휴면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계속 존재하며 편리하지만 비교적 많은 에너지 소모가 발생하기 때문에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 작업에 불리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할 때 최후로 설정한다.
A2、전원 제어모듈(102)의 검출 시스템의 전기 공급방식을 만약 시스템이 비접촉형 전기 공급이나 혹은 접촉형 전기 공급 단 한가지만 있을 경우 전기 공급방식을 바로 작업모드 선택모듈(104)에 통지하고, 만약 비접촉형 전원과 접촉형 전원이 동시에 존재할 경우 상기 시스템은 사전에 설정한 우선순위에 따라 하나의 전원을 선택하여 상기 시스템에 전기를 공급하며, 상기 선택된 전원 공급 방식을 작업모드 선택모듈(104)에 통지한다.
비접촉형 전원과 접촉형 전원이 동시에 존재할 때 전원 제어모듈(102)은 하나의 전원을 선택하여 시스템에 전기를 공급한다. 이는 2개의 전원이 동시에 시스템에 전기를 공급할 때 칩의 비정상적인(예를 들어 칩의 재복원 상황) 작업 상태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접촉형 전원의 에너지가 넉넉하고 또한 시스템이 접촉형 전원 공급방식을 채택할 경우 작업모드 선택모듈(104)은 혼합 작업모드를 선택하기 때문에 시스템이 접촉형 명령과 비접촉형 명령을 병행 실시할 수 있다.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접촉형 전원을 우선적으로 선택한다. 시스템이 단 비접촉형 작업모드일 경우 만약 전원 제어모듈(102)에서 시스템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음이 검출되었을 때 접촉형 전원이 시스템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 제어모듈(102)은 상기 접촉형 전원을 선택해서 전기를 공급하며, 상기 작업모드 선택모듈(104)에 통지를 한다.
상기 작업모드 선택모듈(104)은 전원 제어모듈(102)이 통지한 전기 공급방식에 따라 시스템의 작업모드를 선택한다. 상기 전원 제어모듈(102)이 통지한 전기 공급방식이 비접촉형 전원일 경우 상기 작업모드 선택모듈(104)은 상기 시스템에 대해 비접촉형 작업모드만 선택할 것이며, 상기 전원 제어모듈(102)이 통지하는 전기 공급방식이 접촉형일 경우 상기 작업모드 선택모듈(104)은 상기 시스템에 대해 혼합 작업모드를 선택할 것이다. 선택된 작업모드에 대해 참조로서 하기에 자세히 설명한다.
I. 단독 비접촉형 작업모드
작업모드 선택모듈(104)은 시스템이 비접촉형 작업모드를 선택한 후, 단독 비접촉형 작업모드 초기화 명령을 단독 비접촉형 작업모드 초기화 서브 모듈(1013)에 발신하며 상기 단독 비접촉형 작업모드 초기화 서브 모듈(1013)은 비접촉형 통신 모듈(107)과 명령 프로세스 모듈(108)에 대한 단독 비접촉형 작업모드 초기화를 수행한다. 단독 비접촉형 작업모드 초기화 서브 모듈(1013)은 하기와 같이 나누어져 있다.
B1、비접촉형 통신모듈(107)에서 비접촉형 통신에 요구되는 사용할 레지스터를 설정하고 비접촉형 통신모듈(107)의 수신 및 발신을 중단시킨다. 또한 비접촉형 통신모듈(107)이 비접촉형 명령을 수신한 후 발생된 인터럽트(Interrupt)를 명령 프로세스 모듈(108)에 통지한다.
B2、명령 프로세스 모듈(108)에서 현재 채널 콘텍스트를 비접촉형 채널 콘텍스트로 설정하고 채널 표시도 비접촉형 채널로 설정하며 명령 프로세스 모듈(108)에 통지하여 단독적인 비접촉형 작업모드를 채택한다.
명령 프로세스 모듈(108)은 단독 비접촉형 작업모드를 채용한다. 즉, 단독 비접촉형 작업모드 초기화 서브 모듈(1013)은 비접촉형 통신모듈(107)과 명령 프로 세스 모듈(108)의 단독 비접촉형 작업모드 초기화를 완성한 후 휴면 제어 서브 모듈(1086)이 시스템을 휴면 상태에 진입시키고 비접촉형 통신모듈(107)이 인터럽트 되기를 기다린다. 그리고 난 후 비접촉형 통신모듈(107)이 인터럽트 되고 나서 시스템을 가동 시킨다. 동시에 비접촉형 명령 프로세스 서브 모듈(1085)에 해당 접촉형 명령을 실행하도록 통지한다. 비접촉형 명령 프로세스 서브 모듈(1085)은 해당 비접촉형 명령을 완성한 후 비접촉형 명령의 응답을 비접촉형 통신모듈(107)에 발신한다. 발신하고 난 후 설정된 시간을 기다린다. 만약 설정된 시간 내에 비접촉형 통신모듈(107)이 다시 인터럽트되면 그 인터럽트에 의해 비접촉형 명령을 실행한다. 혹은 휴면 제어 서브 모듈(1086)에 통지하여 휴면 제어 서브 모듈(1086)이 시스템을 휴면 상태에 진입하도록 하여 비접촉형 통신모듈(107)이 다음 인터럽트(비접촉형 명령 프로세스 모듈(1085)은 응답을 발신한 후 즉시 휴면 제어 서브 모듈(1086)에 통지하여 시스템이 휴면 상태로 진입하게 하여 비접촉형 통신모듈(107)이 다음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것을 기다려 줌)가 발생하는 것을 기다린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이 단독 비접촉형 작업모드로 되어 있을 경우, 도 4에 표시된 것과 같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1에서, 휴면 제어 서브 모듈(1086)은 상기 시스템을 휴면 상태로 진입하게 하여 비접촉형 통신모듈(107)이 인터럽트 하기를 기다린다.
단계 302에서, 비접촉형 통신모듈(107)은 비접촉형 명령을 수신한 후 생긴 인터럽트를 휴면 제어 서브 모듈(1086)에 통지한다.
단계 303에서, 휴면 제어 서브 모듈(1086)은 시스템을 가동시키며 비접촉형 명령 프로세스 서브 모듈(1085)에 통지하여 해당 비접촉형 명령을 실행하게 한다.
단계 304에서, 비접촉형 명령 프로세스 서브 모듈(1085)은 타이머 제어모듈(103)이 제공한 타이머를 통해 비접촉형 명령을 읽고 처리한다.
단계 305에서, 비접촉형 명령 프로세스 서브 모듈(1085)은 비접촉형 통신모듈(107)에 해당 비접촉형 명령의 응답을 발신한다.
단계 306에서, 비접촉형 명령 프로세스 서브 모듈(1085)은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한다. 만약 설정된 시간 내에 비접촉형 통신모듈(107)이 다시 인터럽트되면 다시 단계 304로 되돌아간다. 그렇지 않을 경우 휴면 제어 모듈(1086)에 통지하여 단계 301로 되돌아간다.
2. 혼합 작업모드
작업모드 선택모듈(104)은 시스템에 대해 혼합 작업모드를 선택한 후 혼합 작업모드 초기화 명령을 혼합 작업모드 초기화 서브 모듈(1012)에 발신하고 상기 혼합 작업모드 초기화 서브 모듈(1012)은 접촉형 통신모듈(106), 비접촉형 통신모듈(107) 및 명령 프로세스 모듈(108)에 대한 혼합 작업모드 초기화를 한다. 즉, 혼합 작업모드 초기화 서브 모듈(1012)은 각각 하기와 같다:
C1 , 접촉형 통신모듈(106)에서 접촉형 통신을 할 때 요구되는 사용할 레지스터를 설정하고, 접촉형 통신 모듈(106)은 수신시에는 인터럽트 방식을 쓰고 발신시에는 폴링(pouling) 방식을 써서 접촉형 통신모듈(106)이 혼합 작업모드에서 작업을 하게 한다. 동시에 시스템 전기 공급 접촉형 터미널 장비에 접촉형 복합 응답을 발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혼합 작업모드 초기화를 할 때 접촉형 통신모듈(106)의 수신은 인터럽트 방식이고 발신은 폴링 방식이다. 그러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접촉형 데이터의 수신과 발신에 쓰는 작업 방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접촉형 통신모듈(106)은 인터럽트 방식 또는 폴링 방식으로 발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형 통신모듈(106)은 접촉형 통신 수신 서브 모듈(1061), 접촉형 통신 저장 서브 모듈(1064) 및 접촉형 통신 발신 서브 모듈(1065)을 더 포함한다. 그 중 접촉형 통신 수신 서브 모듈(1061)은 접촉형 통신 수신 포트(1062)와 접촉형 통신 수신 제어 유닛(106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형 통신 수신 서브 모듈(1061)은 하기의 두 가지 작업 방식을 갖는다.
폴링 방식:접촉형 통신 수신 제어 유닛(1063)은 접촉형 통신 수신포트(1062)에 데이터 도착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사하여 데이터가 감지되면 상기 접촉형 통신 수신 제어 유닛(1063)은 상기 데이터를 접촉형 통신 저장 서브 모듈(1064)의 지정된 주소에 저장한다.
인터럽트 방식: 접촉형 통신 수신포트(1062)가 데이터를 받은 후 인터럽트가 생기면 접촉형 통신 수신 제어 유닛(1063)에 통지하기 위해 상기 접촉형 통신 수신 제어 유닛(1063)은 상기 데이터를 접촉형 통신 저장 서브 모듈(1064)의 지정된 주소에 저장한다.
접촉형 통신 수신 포트(1062)는 한정된 바이트 수만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바이트 수는 하나의 접촉형 명령의 바이트 수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접촉형 명령은 5개의 바이트를 포함하나, 접촉형 통신 수신 포트(1062)는 일 회당 1개의 바이트만을 수신할 수 있으므로 폴링 방식으로 데이터를 받으면 1개의 바이트가 도착한 즉시 가져갈 갈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나중에 도착한 데이터는 가져가지 못한 이전의 데이터를 지워 버릴 수 있다.
그러나 인터럽트 방식을 채택하면 시스템이 어떤 상태에 있어도 더욱 정확한 접촉형 명령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접촉형 통신 수신 서브 모듈(1061)은 인터럽트 방식을 채택했으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접촉형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작업 방식으로만 기능하는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았다.
접촉형 통신 모듈(106)이 혼합 작업모드에서 작업할 경우 접촉형 통신 수신 제어 유닛(1063)은 접촉형 명령을 받은 후 생긴 인터럽트를 명령 프로세스 모듈(108)에 통지하고(명령 프로세스 모듈(108)에 통지한 목적은 만약 현재 시스템이 휴면 상태에 있을 때 명령 프로세스 모듈(108)은 인터럽트에 의해 시스템을 가동시킨다. 혼합 작업모드를 채택해서 작업할 경우 명령 프로세스 모듈(108)은 해당 인터럽트 때문에 수신된 접촉형 명령을 처리를 시작하지 않을 것임.), 접촉형 통신 저장 서브 모듈(1064)에서 접촉형 명령이 수신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해 접촉형 명령 시그널을 1로 설정한다.
접촉형 통신 발신 서브 모듈(1065)은 접촉형 통신 발신 포트(1066) 및 접촉형 통신 발신 제어 유닛(1067)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접촉형 통신 발신 서브 모듈(1065)은 하기의 두 가지 작업 방식을 갖는다.
폴링 방식:접촉형 통신 발신 제어 유닛(1067)은 발신을 기다리는 접촉형 데이터를 접촉형 통신 발신 포트(1066)에 발신하고 지속적으로 검사작업을 통해 접촉 형 통신 발신 포트(1066)에 상기 데이터 전부를 발신하도록 한다.
인터럽트 방식:접촉형 통신 발신 제어 유닛(1067)은 발신을 기다리는 접촉형 데이터를 접촉형 통신 발신 포트(1066)에 발신한다. 접촉형 통신 발신 포트(1066)는 데이터 발신이 끝난 후 인터럽트되어 접촉형 통신 발신 제어 유닛(1067)에 통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형 통신 발신 서브 모듈(1065)은 폴링방식을 채택하였으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접촉형 데이터를 발신하기 위한 작업 방식으로만 기능하는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았다.
접촉형 통신모듈(106)이 혼합 작업모드에서 작업할 경우 접촉형 통신 발신 제어 유닛(1067)은 접촉형 명령 응답을 발신한 후 접촉형 통신 저장 서브 모듈(1064)의 접촉형 명령 및 접촉형 명령 시그널을 제거해야 한다.
C2、비접촉형 통신 모듈(107)에서 비접촉형 통신을 할때 요구되는 사용할 레지스터를 설치하고, 상기 비접촉형 통신모듈(107)은 인터럽트 방식으로 수신과 발신하도록 하고 혼합 작업모드에서 작업하도록 명령한다.
본 실시예에서, 혼합 작업모드 초기화 동안 비접촉형 통신 모듈(107)은 인터럽트 방식으로 수신 및 발신하도록 명령되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비접촉형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작업 방식으로만 기능하는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았다. 상기 비접촉형 통신 모듈(107)은 인터럽트 방식 혹은 폴링 방식으로 수신 및 발신할 수 있다. 도6에 따르면, 상기 비접촉형 통신모듈(107)은 비접촉형 통신 수신 서브 모듈(1071), 비접촉형 통신 저장 서브 모듈(1074) 및 비접촉형 통신 발신 서브 모 듈(1075)을 더 포함한다. 그 중에 비접촉형 통신 수신 서브 모듈(1071)은 비접촉형 통신 수신 포트(1072)와 비접촉형 통신 수신 제어 유닛(1073)을 포함한다. 상기 비접촉형 통신 수신 서브 모듈(1071)은 하기의 2가지 작업 방식을 갖는다:
폴링 방식:비접촉형 통신 수신 제어 유닛(1073)은 비접촉형 통신 수신포트(1072)에 데이터 도착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상기 데이터 도착이 검출되면 도착된 데이터를 비접촉형 통신 저장 서브 모듈(1074)의 지정된 주소에 저장한다.
인터럽트 방식:비접촉형 통신 수신포트(1072)에 데이터가 도착 할 때 인터럽트하게 되면 비접촉형 통신 수신 제어 유닛(1073)에 통지한다. 상기 비접촉형 통신 수신 제어 유닛(1073)은 데이터를 비접촉형 통신 저장 서브 모듈(1074)의 지정된 주소에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비접촉형 통신 수신 서브 모듈(1071)은 인터럽트 방식을 채택했지만,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비접촉형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작업 방식으로만 기능하는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았다.
비접촉형 통신모듈(107)이 혼합 작업모드에서 작업할 경우 비접촉형 통신 수신 제어 유닛(1073)은 비접촉형 명령을 수신할 때 인터럽트 되면 명령 프로세스 모듈(108)에 통지하고(발생된 인터럽트를 명령 프로세스 모듈(108)에 통지하는 목적은 만약 그 당시 시스템이 휴면 상태에 있을 경우 명령 프로세스 모듈(108)은 상기 인터럽트에 의해 시스템을 가동한다. 혼합 작업모드에서 작업할 때 명령 프로세스 모듈(108)은 상기 인터럽트 때문에 수신된 비접촉형 명령 처리를 시작하지 않을 것임), 비접촉식 명령이 수신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비접촉형 명령 시그널을 1 로 설정한다.
상기 비접촉형 통신 발신 서브 모듈(1075)은 비접촉형 통신 발신 포트(1076)와 비접촉형 통신 발신 제어 유닛(1077)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비접촉형 통신 발신 서브 모듈(1075)은 하기의 두가지 작업 방식을 갖는다:
폴링 방식: 비접촉형 통신 발신 제어 유닛(1077)은 발신을 기다리고 있는 비접촉형 데이터를 비접촉형 통신 발신 포트(1076)에 발신하고 그 후 발신이 끝날때까지 계속 데이터 발신 완료여부를 검사한다.
인터럽트 방식:비접촉형 통신 발신 제어 유닛(1077)은 발신을 기다리고 있는 비접촉형 데이터를 비접촉형 통신 발신 포트(1076)에 발신한다. 비접촉형 통신 발신 포트(1076)가 데이터 발신을 끝낸 후 인터럽트될 수 있음을 비접촉형 통신 발신 제어 유닛(1077)에 통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비접촉형 통신 발신 서브 모듈(1075)은 인터럽트 방식을 채택하였으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비접촉형 데이터를 발신하기 위한 작업 방식으로만 기능하는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았다.
비접촉형 통신 모듈(107)이 혼합 작업모드에서 작업할 경우, 비접촉형 통신 발신 제어 유닛(1077)은 비접촉형 명령에 대한 응답을 발신한 후, 비접촉형 통신 저장 서브 모듈(1074)에서의 비접촉형 명령 및 비접촉형 명령 시그널을 제거한다.
C3 명령 프로세스 모듈(108)에 혼합 작업모드 채택을 통지하과 난 후 명령 프로세스 모듈(108)은 혼합 작업모드를 채택한다.
명령 프로세스 모듈(108)은 혼합 작업모드 채택이 통지된 후 실행과정은 도 7과 같고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401에서, 조회 서브 모듈(1081)은 접촉형 통신 저장 서브 모듈(1064)에 저장된 접촉형 명령 접수 시그널이 0으로 되어 있는지를 조회한다. 그렇다면 단계 S405를 진행하고 아니면 단계 S402를 진행한다.
단계 S402에서, 조회 서브 모듈(1081)은 콘텍스트 전환 서브 모듈(1082) 중에 접촉형 통신 모듈(106)에 접수된 접촉형 명령을 통지하여 콘텍스트 전환 서브 모듈(1082)은 명령 프로세스 저장 서브 모듈(1083) 중 저장된 채널 시그널이 접촉형 채널로 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럴 경우 단계 S404를 진행하고 통로 시그널이 비접촉형 채널로 되어 있으면 단계 S403을 진행한다.
단계 S403, 콘텍스트 전환 서브 모듈(1082)은 채널 시그널을 접촉형 채널로 설정하여 채널 콘텍스트을 접촉형채널 콘텍스트로 전환하도록 한다.
통로 콘텍스트를 접촉형 채널 콘텍스트로 전환하는 것은 현재 채널 콘텍스트, 즉, 비접촉형 채널 콘텍스트를 명령 프로세스 저장 서브 모듈(1083)에 저장하고 명령 프로세스 저장 서브 모듈(1083)에 저장된 접촉형 채널 콘텍스트로 현재 채널 콘텍스트를 갱신한다.
단계 S404에서, 콘텍스트 전환 서브 모듈(1082)은 접촉형 명령 프로세스 서브 모듈(1084)에서 접촉형 통신 모듈(106)에 접촉형 명령을 수신했음을 통지하면 접촉형 명령 프로세스 서브 모듈(1084)은 접촉형 통신 저장 서브 모듈(1064)로부터 접촉형 명령을 읽고 실행한다. 명령 프로세스 저장 서브 모듈(1083)의 채널 시그널은 해당접촉형 명령응답을 접촉형 통신 모듈(106)에 발신하여 다시 단계 S401로 되 돌아간다.
단계 S405에서, 조회 서브 모듈(1081)이 비접촉형 통신 저장 서브 모듈(1074)에 저장된 비접촉형 명령 수신 시그널이 0으로 되어 있는지를 조회한다.
일치할 경우 단계 S409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406을 진행한다.
단계 S406에서, 조회 서브 모듈(1081)은 콘텍스트 전환 서브 모듈(1082) 에 비접촉형 통신모듈(107) 의 비접촉형 명령이 수신된 것을 통지한다. 콘텍스트 전환 서브 모듈(1082)은 명령 프로세스 저장 서브 모듈(1083) 에 저장된 채널 시그널이 비접촉형 채널로 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그럴 경우 단계 S408을 진행하고 채널 시그널이 접촉형 채널로 되어 있으면 단계 S407을 진행한다.
단계 S407에서, 콘텍스트 전환 서브 모듈(1082)이 채널 시그널을 비접촉형 채널로 설정하여 채널 콘텍스트를 비접촉형 채널 콘텍스트로 전환시킨다.
채널 콘텍스트를 비접촉형 채널 콘텍스트로 전환하는 것은 현재 채널 콘텍스트, 즉, 접촉형 채널 콘텍스트를 명령 프로세스 저장 서브 모듈(1083)에 저장한다. 명령 프로세스 저장 서브 모듈(1083)에 저장된 비접촉형 채널 콘텍스트로 현재 채널 콘텍스트를 갱신한다.
단계 S408에서, 콘텍스트 전환 서브 모듈(1082)은 비접촉형 명령 프로세스 서브 모듈(1085)에서 비접촉형 통신 모듈(107)에 비접촉형 명령의 수신을 통지한다. 비접촉형 명령 프로세스 서브 모듈(1085)은 비접촉형 통신 저장 서브 모듈(1074)로부터 비접촉형 명령을 읽고 실행한다. 채널 시그널에 따라 비접촉형 명령응답을 비접촉형 통신 모듈(107)로 발신하고 단계 S401로 되돌아 간다.
단계 S409에서, 조회 서브 모듈(1081)은 휴면 제어 서브 모듈(1086)에 현재 실행할 명령이 없음을 통지하며 휴면 제어 서브 모듈(1086)은 시스템을 휴면상태로 조절한다. 접촉형 통신 모듈(106) 혹은 비접촉형 통신 모듈(107)은 인터럽트가 생기고 또 그 인터럽트에 의해 시스템을 가동한다. 시스템을 가동한 후 단계 S401로 돌아간다.
상기 과정에서 조회 서브 모듈(1081)은 먼저 비접촉형 명령 수신 시그널이 0으로 되어 있는지를 조회한다. 비접촉형 명령 수신 시그널이 0이 된 것을 확인하고 난 후 접촉형 명령 수신 시그널이 0으로 되어 있는지 조회한다. 구체적인 운용은 실제 수요에 따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실행할 때 접촉형 통신 모듈(106)과 비접촉형 통신 모듈(107)은 접촉형 명령 수신 시그널과 비접촉형 명령 수신 시그널을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조회 서브 모듈(1081)은 직접 접촉형 통신 저장 서브 모듈(1064)과 비접촉형 통신 저장 서브 모듈(1074)에 가서 저장할 접촉형 명령과 비접촉형 명령의 주소를 지정하며 접촉형 명령과 비접촉형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가를 조회한다. 명령이 조회된 후 접촉형 명령 프로세스 서브 모듈(1084)에 통지하여 조회된 명령을 읽고 실행한다. 또한 접촉형 명령과 비접촉형 명령을 구분해서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명령 프로세스 모듈(108)은 접촉형 명령 수신 시그널과 비접촉형 명령 수신 시그널의 조회 결과가 없을 경우 시스템을 휴지 상태로 조절한다. 이는 에너지 절약을 생각해서 설계한 부분이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실행할 때 시스템을 반드시 휴면 상태로 설정할 필요는 없고 계속 접촉형 명령 수신 시그널과 비 접촉형 명령 수신 시그널을 조회하면 된다.
본 영역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에 대해 여러면에서 개조와 변형을 진행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서 벗어나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만약 본 발명의 이러한 개조와 변형이 본 발명 권리 요구에 속하고 또 그의 동일한 기술범위 내에 있다면 본 발명은 이러한 개조와 변형을 포함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채택하면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전기 공급 방식에 따라 단독적인 비접촉형 작업모드 혹은 혼합 작업모드를 선택한다. 단독 비접촉형 작업모드에서는 시스템이 수신된 비접촉형 명령을 단독 시행한다. 혼합 작업모드에서는 접촉형과 비접촉형 통신 방식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고 2가지의 통신방식이 서로 영향을 주지 않고 정확한 작업을 할 수 있어 스마트 카드의 사용은 더욱 융통성이 있게 된다.

Claims (16)

  1. 접촉형 통신 모듈, 비접촉형 통신 모듈 및 명령(command) 프로세스 모듈을 포함하며, 작업모드 선택모듈과 상기 명령 프로세스 모듈이 연결되고,
    상기 작업모드 선택모듈은 상기 시스템의 전기 공급방식에 따라 제1 작업모드 혹은 제2 작업모드를 결정하여, 상기 명령 프로세스 모듈에 통지하고,
    상기 명령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제1 작업모드에 따라 상기 비접촉형 통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비접촉형 명령을 개별적으로 실행하거나, 혹은 상기 제2 작업모드에 따라 상기 접촉형 통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접촉형 명령과 상기 비접촉형 통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비접촉형 명령을 병행 처리하는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작업모드 선택모듈에 연결된 전원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 제어모듈은 사용 가능한 전원을 검출하여 우선적으로 접촉형 전원을 선택하여 상기 시스템에 전기를 공급하는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명령 프로세스 모듈에 연결된 타이머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타이머 제어모듈은 측정과정을 통해 사전에 설정된 타이머 소스에서 사용 가능한 타이머를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명령 프로세스 모듈 에 타이머를 제공하는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범용 초기화 모듈, 제1작업모드 초기화 모듈 및 제2 작업모드 초기화 모듈을 포함하는 초기화(Initial)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범용 초기화 모듈은 초기화 시스템의 범용 레지스터 및 전역변수에 사용되고,
    상기 제1 작업모드 초기화 모듈은 상기 제1 작업모드 초기화에 의해 비접촉형 모듈과 명령 프로세스 모듈에 사용되고,
    상기 제2 작업모드 초기화 모듈은 상기 제2 작업모드 초기화에 의해 비접촉형 통신 모듈, 접촉형 통신 모듈 및 명령 프로세스 모듈에 사용되는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프로세스 모듈은 콘텍스트 변환 서브 모듈과 제1 저장 서브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저장 서브 모듈은 접촉형 채널 콘텍스트와 비접촉형 채널 콘텍스트를 개별적으로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상기 콘텍스트 변환 서브 모듈은 명령을 기다리고 있는 채널에 의하여 상기 제1 저장 서브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채널 콘텍스트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프로세스 모듈은 조회 서브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회 서브 모듈은 접촉형 통신모듈이 접촉형 명령을 수신하는지 여부 및 비접촉형 통신모듈이 비접촉형 명령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동시에 조회할 때 사용되는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형 통신 모듈은 접촉형 통신 수신 서브 모듈, 접촉형 통신 발신 서브 모듈 및 접촉형 통신 저장 서브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형 통신 저장 서브 모듈은 접촉형 명령 수신 시그널을 저장하는데 사용하고,
    상기 접촉형 통신 수신 서브 모듈은 상기 접촉형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접촉형 명령 수신 시그널을 설정하는데 사용하고,
    상기 접촉형 통신 발신 서브 모듈은 상기 접촉형 명령에 대한 응답을 발신하고, 상기 접촉형 명령 수신 시그널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비접촉형 통신모듈은 비접촉형 통신 수신 서브 모듈, 비접촉형 통신 발신 모듈 및 비접촉형 통신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비접촉형 통신 저장 모듈은 비접촉형 명령 수신 시그널을 저장하는데 사용하고,
    상기 비접촉형 통신 수신 서브 모듈은 비접촉형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비 접촉형 명령 수신 시그널을 설정하는데 사용하고,
    상기 비접촉형 통신 발신 서브 모듈은 비접촉형 명령에 대한 응답을 발신하고, 상기 비접촉형 명령 시그널을 제거하는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명령 프로세스 모듈은 휴면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휴면 제어 모듈은 휴지 상태 혹은 설정 시간 동안 휴지 상태를 유지한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휴면 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명령을 수신한 후 접촉형 통신 모듈 혹은 비접촉형 통신 모듈에 의해 발생된 인터럽트로 시스템을 재가동하는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
  10. 시스템에 전기 공급을 할 때 전원 공급방식을 파악하여 공급된 전원이 비접촉형 전원일 경우 제1 작업모드를 선택하고 공급된 전원이 접촉형 전원일 경우 제2 작업모드를 선택하며,
    상기 제1 작업모드에서는 수신된 비접촉형 명령만을 처리하고,
    상기 제2 작업모드에서는 수신된 접촉형 명령과 비접촉형 명령을 병행 처리하는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형 전원과 접촉형 전원이 동시에 존재할 때 접촉형 전원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시스템에 전기를 공급하는 스마트 카드 오 퍼레이팅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사전에 상기 타이머소스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시스템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또는 전원이 공급되어 있지만 현재 작업 타이머가 사라질 경우 우선 순위에 따라 타이머소스를 선택하여 상기 시스템에 타이머를 제공하는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업모드때 경우 접촉형 명령 혹은 비접촉형 명령을 실행하기 전에 먼저 현재 채널 콘텍스트가 지원하는 채널이 명령 처리를 기다리는 채널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채널 콘텍스트를 전환하고 난 후 상기 명령을 처리하고, 동일한 경우 바로 상기 명령을 처리하는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업모드일 경우 접촉형 및 비접촉형 명령의 수신여부를 병행 조회하고 상기 조회된 접촉형 명령 및 비접촉형 명령을 처리하는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업모드일 경우 접촉형 명령 혹은 비접촉형 명령 수신시 접촉형 명령 시그널 혹은 비접촉형 명령 시그널을 설정하고.
    상기 접촉형 명령 혹은 상기 비접촉형 명령에 대한 응답을 발신할 때 상기 접촉형 명령 시그널 혹은 비접촉형 명령 시그널을 제거하고,
    접촉형 명령 및 비접촉형 명령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접촉형 명령 시그널 및 비접촉형 명령 시그널을 동시에 조회하고, 상기 조회한 접촉형 명령 및 비접촉형 명령을 처리하여 해당 응답을 발신하는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휴지 상태이거나 혹은 설정 시간 동안 휴지 상태를 유지한 경우 상기 시스템을 휴면 상태로 진입하게 하고, 상기 시스템이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시스템을 재가동하는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방법.
KR1020070063657A 2006-06-29 2007-06-27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방법 KR100991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610090151.6 2006-06-29
CNB2006100901516A CN100504921C (zh) 2006-06-29 2006-06-29 一种智能卡操作系统和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640A true KR20080001640A (ko) 2008-01-03
KR100991873B1 KR100991873B1 (ko) 2010-11-04

Family

ID=3832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657A KR100991873B1 (ko) 2006-06-29 2007-06-27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80000989A1 (ko)
EP (1) EP1873689A1 (ko)
JP (2) JP2008009979A (ko)
KR (1) KR100991873B1 (ko)
CN (1) CN100504921C (ko)
MX (1) MX2007007784A (ko)
RU (1) RU2357286C2 (ko)
SG (1) SG1385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5457B2 (en) * 2007-08-20 2011-02-22 Supertalent Electronics, Inc. Memory card with power saving
CN101533479B (zh) * 2008-03-11 2011-09-28 北京同方微电子有限公司 一种双界面智能卡电源管理电路
CN101281610B (zh) * 2008-05-23 2013-06-26 北京握奇数据系统有限公司 一种双界面智能卡及其启动非接触应用的方法
JP2010044603A (ja) * 2008-08-13 2010-02-25 Sony Corp 通信装置、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5549854B2 (ja) * 2009-04-14 2014-07-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2054151B (zh) * 2009-11-09 2014-08-20 上海华虹集成电路有限责任公司 快速判断双界面卡工作模式的方法
JP2011134174A (ja) * 2009-12-25 2011-07-07 Sony Corp カード型周辺装置およびカードシステム
CN101789070B (zh) * 2010-01-28 2012-11-21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智能卡初始化方法和终端设备
KR20120011974A (ko) * 2010-07-29 2012-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스마트 카드 및 그것의 인터페이스 방법
CN102521094B (zh) * 2011-11-28 2013-11-13 飞天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对java卡进行初始化的方法和java卡
CN102591735B (zh) * 2011-12-31 2013-11-13 飞天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卡处理cap文件的方法
JP5564066B2 (ja) * 2012-03-26 2014-07-30 Kddi株式会社 複数のicカードモジュールに対するセキュリティロック方法及び端末
CN102684678B (zh) * 2012-05-03 2014-05-07 深圳市江波龙电子有限公司 一种电压切换电路及智能存储装置
CN104104786B (zh) * 2013-04-12 2016-09-28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一种对外接载体持续供电的方法和终端设备
EP2996069B1 (en) * 2014-09-09 2022-09-07 Kabushiki Kaisha Toshiba Ic card, ic module, portable terminal,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terminal
JP6503560B2 (ja) 2014-10-22 2019-04-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938566B (zh) * 2016-01-13 2018-09-28 天地融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卡再次进场过程中保持工作状态的方法以及智能卡
CN107450879A (zh) * 2016-05-30 2017-12-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操作方法及装置
CN107577969B (zh) * 2017-09-19 2018-10-12 恒宝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卡及其个人化方法
CN114372482A (zh) * 2021-12-17 2022-04-19 武汉天喻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卡多功能测试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401297U1 (de) 1994-01-26 1995-02-23 Siemens Ag Transportables Datenspeicherelement zum berührungsbehafteten und/oder berührungslosen Datenaustausch mit externen, datenverarbeitenden Geräten
DE19628803A1 (de) * 1996-07-17 1998-01-22 Telesensomatic Gmbh Transponder
IL119943A (en) * 1996-12-31 2000-11-21 On Track Innovations Ltd Contact/contactless data transaction card
JP3528899B2 (ja) * 1997-05-22 2004-05-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型icカード
JP4216347B2 (ja) 1997-09-23 2009-01-28 エヌエックスピー ビー ヴィ デュアルモードデータ担体及び少なくとも二つの接触端子の電位を等化にする電位等化手段を備えるこのようなデータ担体用の回路
JP4630422B2 (ja) * 2000-06-08 2011-02-09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Icカード
JP2002024785A (ja) 2000-07-05 2002-01-25 Dainippon Printing Co Ltd Icカード及びリーダ/ライタ
JP3838901B2 (ja) 2001-11-06 2006-10-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接触・非接触複合icカード
JP4558259B2 (ja) * 2002-05-23 2010-10-06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ビネーション型icカード
KR100560768B1 (ko) 2003-09-05 2006-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인터페이스 집적회로 카드
FR2859560B1 (fr) * 2003-09-05 2007-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te a puce et procede de traitement de donnees sur la carte
FR2864292B1 (fr) * 2003-12-17 2006-03-31 Gemplus Card Int Maintien en fonction pleinement simultanee d'un objet a interface dua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70703A (ja) 2011-04-07
CN101097606A (zh) 2008-01-02
CN100504921C (zh) 2009-06-24
SG138587A1 (en) 2008-01-28
US20080000989A1 (en) 2008-01-03
RU2007123915A (ru) 2008-12-27
KR100991873B1 (ko) 2010-11-04
JP2008009979A (ja) 2008-01-17
RU2357286C2 (ru) 2009-05-27
EP1873689A1 (en) 2008-01-02
MX2007007784A (es) 2008-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873B1 (ko) 스마트 카드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방법
JP5777467B2 (ja) 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635628B2 (ja) 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モジュールの電源管理方法及び装置
KR2010013381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무선랜 모듈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EP2518449A2 (en) Power monitoring apparatus of standby power saving type, electric load device, and power monitoring method
JP2020184877A (ja) 送電装置、受電装置及び給電システムに
CN108037298A (zh) 自动分析仪及其唤醒控制方法和控制系统
JPH08202469A (ja) ユニバーサル非同期送受信回路を備えたマイクロ・コントローラユニット
JP2001168879A (ja) 無線lan端末のためのパワーマネージメント方式
EP3404585B1 (en) Method for keeping working state of smart card entering field again, and smart card
EP2574135A1 (en)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a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communication device, transceiver operating accordingly, and computer program
CN106598193B (zh) 一种功耗控制方法及装置
CN101751265A (zh) 服务器的基本输入/输出系统的更新系统及其方法
JP2002244833A (ja) プリンタ制御システム、プリンタ制御装置及びプリンタ制御方法
JPH11110089A (ja) 計算機システムおよびその計算機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
CN109800201B (zh) 基于linux的RS485实时收发控制的驱动方法
CN102004629A (zh) 一种转发控制方法、装置以及贴片卡
CN113660149B (zh) 设备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US20220060867A1 (en) Wireless sensor device, host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low-power operation of wireless sensor device
US20100005197A1 (en) Network device and active control card detecting method
US9870161B2 (en) Comput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153687A (zh) 一种基于mcu的串口通信方法和系统
JPH11313024A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用無線カード
WO2020103041A1 (zh) 蓝牙连接控制方法及路由器
CN114741107A (zh) 程序在线升级方法及系统、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212

Effective date: 201008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