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432A - 듀티사이클 보정회로 및 이를 이용한 지연고정루프 회로 - Google Patents

듀티사이클 보정회로 및 이를 이용한 지연고정루프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432A
KR20080001432A KR1020060059881A KR20060059881A KR20080001432A KR 20080001432 A KR20080001432 A KR 20080001432A KR 1020060059881 A KR1020060059881 A KR 1020060059881A KR 20060059881 A KR20060059881 A KR 20060059881A KR 20080001432 A KR20080001432 A KR 20080001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elay
clock
clock input
in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9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1263B1 (ko
Inventor
김수현
유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60059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263B1/ko
Priority to US11/648,314 priority patent/US7830185B2/en
Publication of KR20080001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7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using several loops, e.g. for redundant clock signal gen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 H03L7/0816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the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being connected to a common inpu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9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using a lock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ram (AREA)
  • Puls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연고정루프가 락킹 상태일 경우 인에이블되는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듀티사이클 보정회로에 있어서, 위상이 반대인 제1 및 제2 클럭입력신호와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1 클럭입력신호 및 그 반전신호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클럭입력부 및; 상기 클럭입력부에서 생성된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의 위상을 혼합하는 듀티싸이클 혼합부를 포함하는 듀티사이클 보정회로를 제공한다.
지연고정루프(DLL), 듀티사이클 보정회로(DCC)

Description

듀티사이클 보정회로 및 이를 이용한 지연고정루프 회로{DCC circuit and DLL circuit with DCC}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연고정루프(DLL)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듀티사이클 보정회로의 클럭입력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티사이클 보정회로의 클럭입력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3에 도시된 멀티플렉서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럭버퍼 2 : 지연고정루프
20: 제1 지연고정루프 22: 제2 지연고정루프
200: 제1 지연라인 220:제2 지연라인
202, 222: 내부지연부 204, 224: 위상감지부
3: 듀티싸이클 보정부 30: 클럭입력부
32: 듀티싸이클 혼합부 4: 드라이버부
T1, T2: 전달게이트
본 발명은 듀티사이클 보정회로 및 이를 이용한 지연고정루프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원전압 변동과 같은 외부 영향에 의해 발생된 내부의 지연요소의 변화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내부클럭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듀티사이클 보정회로 및 이를 이용한 지연고정루프회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집적도의 증가와 더불어 그 동작 속도의 향상을 위하여 계속적으로 개선되어 왔다. 동작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메모리칩 외부에서 주어지는 클록과 동기되어 동작할 수 있는 소위 동기식(Synchronous) 메모리 장치가 등장하였다.
그런데,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경우 데이터를 외부클럭에 동기시켜 출력하면 tAC(output data Access time from Clk)만큼의 지연(delay)이 발생하여 유효데이터창(valid data window)이 줄어들고, 그 결과 고주파수(high frequencey)로 동작 시 오류가 유발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데이터가 클럭의 라이징에지와 폴링에지에 정확하게 동기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외부클럭을 소정구간(tCK-tAC)만큼 지연시킨 DLL클럭을 생성하는 지연고정루프(DLL)를 사용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지연고정 루프(DLL)는 외부클럭에 대해 디램(DRAM) 내부의 지연요소를 보상한 내부클럭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를 락킹(locking) 과정이라고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연고정루프(DLL)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지연고정루프(DLL)는 듀티사이클 보정(DCC, Duty Cycle Correction)이 가능한 구조로서, 클럭버퍼(1), 제1 및 제2 지연고정루프(2), 듀티사이클 보정부(3) 및, 드라이버부(4)를 포함한다. 상기 듀티싸이클 보정부(3)의 클럭입력부(3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클럭입력신호(clk_r, clk_f)를 각각 제1 및 제2 지연부(310, 320)을 통해 소정구간 지연시켜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RCLK, FCLK)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연고정루프(DLL)는 기준클럭(Ref clk)과 피드백클럭(feedback clk) 사이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클럭간의 위상차가 소정의 지연구간이하이면 지연고정루프(2)에서 락킹(locking)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한다. 이때, 지연고정루프(2)에서의 전류 소모량을 줄이기 위해 제2 클럭입력신호(clk_f)를 생성하는 제2 지연고정루프(22)를 오프(Off)시킨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전원전압(VDD)의 급격한 변화가 있는 경우 디램(DRAM) 내부의 지연요소에 변화가 나타나 상기 지연고정루프(2)의 락킹(locking) 상태가 깨지게 된다. 락킹(locking) 상태가 깨지면 온(ON) 상태의 제1 지연고정루프(20)는 업데이트(update)과정을 통해 락킹(locking)상태를 회복하여 상기 내부의 지연요소의 변화를 반영한 제1 클럭입력신호(clk_r)를 생성하지만, 오프(OFF) 상태의 제2 지연고정루프(22)는 락킹(locking)상태를 회복하지 못하므로, 상기 내부의 지연요 소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 제2 클럭입력신호(clk_f)를 생성하게 된다. 그 결과, 내부 지연요소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생성된 제2 내부클럭신호(FCLK)에 의해 생성된 DLL 클럭에 데이터를 동기시켜 출력함으로써, tAC(output data Access time from Clk)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원전압 변동과 같은 외부 영향에 의해 발생된 내부의 지연요소의 변화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내부클럭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듀티사이클 보정회로 및 이를 이용한 지연고정루프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및 제2 클럭입력신호와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1 클럭입력신호 및 그 반전신호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클럭입력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의 위상을 혼합하는 듀티싸이클 혼합부를 포함하는 듀티사이클 보정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클럭입력부는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를 소정구간 지연시켜 상기 제1 내부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1 지연부와;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의 반 전 신호와 제2 클럭입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인에이블에 따라 멀티플렉싱하는 멀티플렉서 및; 상기 멀티플렉서의 출력신호를 소정구간 지연시켜 상기 2 내부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2 지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의 반전 신호를 출력노드로 전달하는 제1 전달게이트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클럭입력신호를 상기 출력노드로 전달하는 제2 전달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전달게이트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턴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의 반전 신호를 버퍼링하는 제1 버퍼와; 상기 제2 클럭입력신호를 버퍼링하는 제2 버퍼와; 상기 출력노드의 신호를 버퍼링하는 제3 버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버퍼는 인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외부클럭을 버퍼링하여 내부클럭을 생성하는 클럭버퍼와; 상기 내부클럭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클럭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지연고정루프와; 상기 제1 및 제2 클럭입력신호와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1 클럭입력신호 및 그 반전신호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클럭입력부 및; 상기 클럭입력부에서 생성된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의 위상을 혼합하여 위상혼합신호를 생성하는 듀티싸이클 혼합부를 포함하는 듀티싸이클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연고정루프 중 제1 지연고정루프는 상기 내부클럭의 위상을 상기 제1 지연구간만큼 지연시켜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지연라인과;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의 위상을 상기 DLL회로 내부의 지연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제2 지연구간만큼 지연시켜 피드백클럭을 생성하는 내부지연부 및; 상기 피드백클럭과 상기 내부클럭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지연구간을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위상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연고정루프 중 상기 제2 지연고정루프는 상기 내부클럭의 위상을 상기 제1 지연구간만큼 지연시킨 후 버퍼링하여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와 위상이 반대인 제2 클럭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지연라인과; 상기 제2 클럭입력신호의 위상을 상기 DLL회로 내부의 지연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제2 지연구간만큼 지연시켜 피드백클럭을 생성하는 내부지연부 및; 상기 피드백클럭과 상기 내부클럭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지연구간을 조절하는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위상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클럭입력부는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를 소정구간 지연시켜 상기 제1 내부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1 지연부와;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의 반전 신호와 제2 클럭입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인에이블에 따라 멀티플렉싱하는 멀티플렉서 및; 상기 멀티플렉서의 출력신호를 소정구간 지연시켜 상기 2 내부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2 지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의 반전 신호를 출력노드로 전달하는 제1 전달게이트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클럭입력신호를 상기 출력노드로 전달하는 제2 전달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전달게이트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턴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의 반전 신호를 버퍼링하는 제1 버퍼와; 상기 제2 클럭입력신호를 버퍼링하는 제2 버퍼와; 상기 출력노드의 신호를 버퍼링하는 제3 버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버퍼는 인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에이블 신호는 지연고정루프가 락킹 상태일 경우 인에이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티사이클 보정회로의 클럭입력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3에 도시된 멀티플렉서의 회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DLL회로는 외부클럭(CLK, CLKB)을 버퍼링하여 내부클럭(Clk in)을 생성하는 클럭버퍼(1)와; 상기 내부클럭(Clk in)의 위상을 소정구간 지연시켜 제1 클럭입력신호(clk_r) 및 위상이 반대인 제2 클럭입력신호 (clk_f)를 생성하는 지연고정루프(2)와; 상기 제1 및 제2 클럭입력신호(clk_r, clk_f)와 상기 지연고정루프(2)가 락킹 상태일 경우 인에이블되는 인에이블 신호(IDCCENB)를 입력받아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RCLK, FCLK)를 생성하되, 상기 인에이블 신호(IDCCENB)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1 클럭입력신호(clk_r) 및 그 반전신호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RCLK, FCLK)를 생성하는클럭입력부(30)와, 상기 클럭입력부(30)에서 생성된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RCLK, FCLK)의 위상을 혼합하여 위상혼합신호를 생성하는 듀티싸이클 혼합부(32)를 포함하는 듀티싸이클 보정부(3) 및; 상기 위상혼합신호를 분리하여 듀티싸이클이 조정된 제1 및 제2 DLL클럭(rclkdll, fclkdll)을 생성하는 드라이버부(4)를 포함한다.
상기 지연고정루프(2) 중 제1 지연고정루프(20)는 상기 내부클럭(Clk in)의 위상을 제1 지연구간만큼 지연시켜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clk_r)를 생성하는 지연라인(200)과;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clk_r)의 위상을 상기 DLL회로 내부의 지연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제2 지연구간만큼 지연시켜 피드백클럭(feedback clk)을 생성하는 내부지연부(202) 및; 상기 피드백클럭(feedback clk)과 상기 내부클럭(Clk in)으로부터 생성된 기준클럭(Ref clk)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지연구간을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위상감지부(2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지연구간을 결정하는 내부 지연요소는 외부클럭(CLK, CLKB)이 입력되어 상기 지연라인(200) 전까지, 그리고, 내부클럭이 생성되어 외부로 나갈 때까지의 지연요소들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지연라인(200)에 포함된 제어블록(control block)에 입력되어 제1 지연구간을 결정한다.
상기 지연고정루프(2) 중 상기 제2 지연고정루프(22)는 상기 내부클럭(Clk in)의 위상을 제1 지연구간만큼 지연시켜 상기 제2 클럭입력신호(clk_f)를 생성하는 지연라인(220)과; 상기 제2 클럭입력신호(clk_f)의 위상을 상기 DLL회로 내부의 지연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제2 지연구간만큼 지연시켜 피드백클럭(feedback clk)을 생성하는 내부지연부(222) 및; 상기 피드백클럭(feedback clk)과 상기 내부클럭(Clk in)으로부터 생성된 기준클럭(Ref clk)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지연구간을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위상감지부(2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3을 참고하면, 상기 클럭입력부(30)는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clk_r)를 소정구간 지연시켜 상기 제1 내부클럭신호(RCLK)를 생성하는 제1 지연부(310)와; 상기 제1 내부클럭신호(RCLK)를 버퍼링한 신호와 제2 클럭입력신호(FCLK)를 입력받아 상기 인에이블 신호(IDCCENB)의 인에이블에 따라 멀티플렉싱하는 멀티플렉서(300) 및; 상기 멀티플렉서(300)의 출력신호(out)를 소정구간 지연시켜 상기 2 내부클럭신호(FCLK)를 생성하는 제2 지연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멀티플렉서(300)는 도4를 참고하면,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를 버퍼링한 신호(clk_rb)를 버퍼링하는 제1 인버터(IV2)와; 상기 제2 클럭입력신호(clk_f)를 버퍼링하는 제2 인버터(IV4)와; 상기 인에이블 신호(IDCCENB)를 버퍼링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인버터(IV2)의 출력신호를 출력노드(a)로 전달하는 제1 전달게이트(T1)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IDCCENB)를 버퍼링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인버터(IV4)의 출력신호를 상기 출력노드(a)로 전달하는 제2 전달게이트(T2) 및, 상기 출력노드(a)로부터의 신호를 반전 버퍼링하는 제3 인버터(IV5)를 포함하 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DLL회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락킹(locking)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1을 참고하면, 클럭버퍼(Clk buffer, 1)는 외부클럭(CLK, CLKB)을 입력받아, 내부클럭(Clk in)을 생성한다. 생성된 내부클럭(Clk in)은 제1 및 제2 지연라인(200, 220)에 입력되어 각각 기설정된 지연구간만큼 지연된다. 상기 제1 및 제2 지연라인(200, 220)은 위상이 반대인 제1 및 제2 클럭입력신호(clk_r, clk_f)를 생성하는데, 이는 상기 제2 지연라인(220)에서만 소정 구간 지연시킨 내부클럭(Clk in)을 반전(제2 지연라인(220)의 출력단에 붙은 버블이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것을 의미한다.)시켜 출력하기 때문이다.
도3 및 도4를 참고하면, 클럭입력부(30)는 상기 제1 및 제2 클럭입력신호(clk_r, clk_f)를 입력받아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RCLK, FCLK)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되는 제1 내부클럭신호(RCLK)는 제1 클럭입력신호(clk_r)가 제1지연부(310)를 통해 소정구간 지연된 신호이다. 또한, 생성되는 제2 내부클럭신호(FCLK)는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제2 클럭입력신호(clk_f)가 제2지연부(320)를 통해 소정구간 지연된 신호가 된다. 이는 락킹(locking)되기 전까지 하이레벨의 인에이블 신호(IDCCENB)에 의해 멀티플렉서(300)의 전달게이트(T2)가 턴온되고, 턴온된 전달게이트(T2)를 통해 제2 클럭입력신호(clk_f)가 전달되기 때문이다. 상기 듀티싸이클 위 상혼합부(36,37)는 락킹(locking)되기 전까지는 하이레벨의 인에이블신호(IDCCENB)를 입력받아 비활성화 상태이므로, 상기 듀티싸이클 위상혼합부(36,37)에 입력되는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RCLK, FCLK)는 바이패스(bypss)되어, 제1 및 제2 내부지연부(202, 222)에 입력된다. 상기 제1 및 제2 내부지연부(202, 222)는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RCLK, FCLK)를 소정구간만큼 지연시켜 각각 피드백클럭(feedback clk)을 생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내부지연부(202, 222)에서 생성된 피드백클럭(feedback clk)은 각각 위상감지부(204, 224)에 입력되고, 상기 위상감지부(204, 224)는 입력된 피드백클럭(feedback clk)과 클럭버퍼(1)로부터 생성된 기준클럭(Ref clk)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제1 및 제2 지연라인(200, 220)의 지연구간을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제1 및 제2 지연라인(200, 220)에 포함된 제어블록(control block)에 입력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연라인(200, 220)에 입력된 내부클럭(Clk in)의 지연구간을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다만, 상기 비교결과 피드백클럭(feedback clk)과 기준클럭(Ref clk)의 위상이 기설정된 소정 지연구간 이내에 있는 경우 상기 위상감지부(204, 224)는 락킹(locking)으로 판단하고, 상기 인에이블신호(IDCCENB)를 인에이블 시킨다. 이와 같은 락킹(locking) 후 클럭입력부(30)에서 생성되는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RCLK, FCLK)의 상승에지(rising edge)는 일치하는 반면, 그들의 듀티싸이클은 서로 정반대가 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락킹 과정 후 듀티싸이클이 조정되는 과정에서 전류 소모량을 줄이기 위해 제2 내부클럭신호(clk_f)를 생성하는 제2 지연고정루프 (22)를 오프(Off)시켜 왔다. 그런데, 전원전압(VDD)의 급격한 변화에 의해 디램(DRAM) 내부의 지연요소에 변화가 나타나 상기 지연고정루프(2)의 락킹(locking) 상태가 깨지는 경우, 오프(OFF) 상태의 제2 지연고정루프(22)는 락킹(locking)상태를 회복하지 못하고, 상기 내부의 지연요소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 제2 클럭입력신호(clk_f)를 생성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온(ON) 상태의 제1 지연고정루프(20)에서 생성되는 제1 클럭입력신호(clk_r)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내부클럭신호(FCLK)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이와 같은 , 본 발명의 동작을 구체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및 제2 지연고정루프(20, 22)가 락킹(locking)되면, 듀티싸이클 보정부(3)를 활성화시키는 인에이블 신호(IDCCENB)가 로우레벨이 된다. 이때, 인에이블 신호(IDCCENB)는 듀티싸이클 조정 제어부(35)에서 발생되며, 듀티싸이클 위상혼합부(36, 37)와 클럭입력부(30)에 입력된다.
상기 클럭입력부(30)는 제1 및 제2 클럭입력신호(clk_r, clk_f)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IDCCENB)를 입력받아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RCLK, FCLK)를 생성한다. 도3을 참고하면, 상기 클럭입력부(30)는 제1 클럭입력신호(clk_r)를 상기 제1 지연부(310)를 통해 소정구간 지연시켜 제1 내부클럭신호(RCLK)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클럭입력부(30)는 멀티플렉서(300)에서 인에이블 신호(IDCCENB)에 따라 제1 클럭입력신호의 반전신호(clk_rb)와 제2 클럭입력신호(clk_f)를 멀티플렉싱(multiplexing)한 후, 상기 멀티플렉서(300)의 출력신호(out)를 제2 지연부(320)를 통해 소정구간 지연시켜 제2 내부클럭신호(FCLK)를 생성한다. 상기 제2 내부클럭신 호(FCLK)의 생성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락킹(locking)후에는 인에이블 신호(IDCCENB)가 로우레벨이므로 전달게이트(T1)가 턴-온되어, 제1 클럭입력신호의 반전신호(clk_rb)가 멀티플렉서(300)로 부터 출력된다. 따라서, 생성되는 제2 내부클럭신호(FCLK)는 제1 클럭입력신호의 반전신호(clk_rb)가 소정구간 지연된 신호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클럭입력부(30)는 락킹(locking) 상태에서는 전류 소모량을 줄이기 위해 오프(off)되는 제2 지연고정루프(22)에서 생성되는 제2 클럭입력신호(clk_f) 대신에 온(ON) 상태에 있는 제1 지연고정루프(20)에서 생성되는 제1 클럭입력신호의 반전신호(clk_rb)를 이용하여 제2 내부클럭신호(FCLK)를 생성한다. 이는, 제1 지연고정루프(20)가 전원전압(VDD)의 급격한 변화가 있어 디램(DRAM) 내부의 지연요소에 변화가 나타나는 경우에도 업데이트(update)를 통해 락킹(locking) 상태를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락킹(locking)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제1 지연고정루프(20)에서 생성된 제1 클럭입력신호(clk_r) 및 그 반전신호(clk_rb)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RCLK, FCLK)를 생성하므로, 디램(DRAM) 내부의 지연요소의 변화를 상기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RCLK, FCLK)에 반영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생성된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RCLK, FCLK)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ICCENB)에 의해 인에이블되는 듀티싸이클 혼합부(32)에 입력되어 위상이 혼합되어, 위상혼합신호로 출력된다. 그리고, 드라이버부(4)는 상기 위상혼합신호를 입력받고, 위상별로 분리하여 듀티싸이클이 조정된 제1 및 제2 DLL 클럭(rclkdll, fclkdll)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위상 혼합 동작에 의해 생성된 제1 및 제2 DLL 클럭(rclkdll, fclkdll)은 정확히 50% 듀티비를 갖는 신호가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티사이클 보정회로 및 이를 이용한 지연고정루프회로는 락킹(locking) 상태에서 온(ON) 상태의 지연고정루프에서 생성되는 클럭입력신호 및 그 반전신호를 이용하여 듀티싸이클 보정회로에 입력되는 내부클럭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전원전압 변동과 같은 외부 영향에 의해 발생된 내부의 지연요소의 변화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내부클럭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내부의 지연요소를 적절히 반영한 내부클럭에 의해 생성된 DLL 클럭에 데이터를 동기시켜 출력함으로써, tAC가 증가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가진다.

Claims (13)

  1. 제1 및 제2 클럭입력신호와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1 클럭입력신호 및 그 반전신호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클럭입력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의 위상을 혼합하는 듀티싸이클 혼합부를 포함하는 듀티사이클 보정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입력부는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를 소정구간 지연시켜 상기 제1 내부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1 지연부와;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의 반전 신호와 제2 클럭입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인에이블에 따라 멀티플렉싱하는 멀티플렉서 및;
    상기 멀티플렉서의 출력신호를 소정구간 지연시켜 상기 2 내부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2 지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티사이클 보정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의 반전 신호를 출력노드로 전달하는 제1 전달게이트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클럭입력신호를 상기 출력노드로 전달하는 제2 전달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전달게이트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턴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티사이클 보정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의 반전 신호를 버퍼링하는 제1 버퍼와;
    상기 제2 클럭입력신호를 버퍼링하는 제2 버퍼와;
    상기 출력노드의 신호를 버퍼링하는 제3 버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티사이클 보정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버퍼는 인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듀티사이클 보정회로.
  6. 외부클럭을 버퍼링하여 내부클럭을 생성하는 클럭버퍼와;
    상기 내부클럭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클럭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지연고정루프와;
    상기 제1 및 제2 클럭입력신호와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1 클럭입력신호 및 그 반전신호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클럭입력부 및;
    상기 클럭입력부에서 생성된 제1 및 제2 내부클럭신호의 위상을 혼합하여 위상혼합신호를 생성하는 듀티싸이클 혼합부를 포함하는 듀티싸이클 보정부를 포함하는 지연고정루프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고정루프 중 제1 지연고정루프는
    상기 내부클럭의 위상을 상기 제1 지연구간만큼 지연시켜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지연라인과;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의 위상을 상기 DLL회로 내부의 지연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제2 지연구간만큼 지연시켜 피드백클럭을 생성하는 내부지연부 및;
    상기 피드백클럭과 상기 내부클럭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지연구간을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위상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고정루프 회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고정루프 중 상기 제2 지연고정루프는
    상기 내부클럭의 위상을 상기 제1 지연구간만큼 지연시킨 후 버퍼링하여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와 위상이 반대인 제2 클럭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지연라인과;
    상기 제2 클럭입력신호의 위상을 상기 DLL회로 내부의 지연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제2 지연구간만큼 지연시켜 피드백클럭을 생성하는 내부지연부 및;
    상기 피드백클럭과 상기 내부클럭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지연구간을 조절하는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위상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고정루프 회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입력부는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를 소정구간 지연시켜 상기 제1 내부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1 지연부와;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의 반전 신호와 제2 클럭입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인에이블 신호의 인에이블에 따라 멀티플렉싱하는 멀티플렉서 및;
    상기 멀티플렉서의 출력신호를 소정구간 지연시켜 상기 2 내부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2 지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고정루프 회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의 반전 신호를 출력노드로 전달하는 제1 전달게이트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클럭입력신호를 상기 출력노드로 전달하는 제2 전달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전달게이트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턴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고정루프 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제1 클럭입력신호의 반전 신호를 버퍼링하는 제1 버퍼와;
    상기 제2 클럭입력신호를 버퍼링하는 제2 버퍼와;
    상기 출력노드의 신호를 버퍼링하는 제3 버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고정루프 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버퍼는 인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지연고정루프 회로.
  13.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 신호는 지연고정루프가 락킹 상태일 경우 인에이블되는 것을 특징으로 지연고정루프 회로.
KR1020060059881A 2006-06-29 2006-06-29 듀티사이클 보정회로 및 이를 이용한 지연고정루프 회로 KR100811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881A KR100811263B1 (ko) 2006-06-29 2006-06-29 듀티사이클 보정회로 및 이를 이용한 지연고정루프 회로
US11/648,314 US7830185B2 (en) 2006-06-29 2006-12-29 Duty cycle correction (DCC) circuit and delayed locked loop (DLL) circui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881A KR100811263B1 (ko) 2006-06-29 2006-06-29 듀티사이클 보정회로 및 이를 이용한 지연고정루프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432A true KR20080001432A (ko) 2008-01-03
KR100811263B1 KR100811263B1 (ko) 2008-03-07

Family

ID=3910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9881A KR100811263B1 (ko) 2006-06-29 2006-06-29 듀티사이클 보정회로 및 이를 이용한 지연고정루프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30185B2 (ko)
KR (1) KR1008112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376B1 (ko) * 2006-08-24 2008-06-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전원전압 변동에 대비한 디엘엘장치.
US7656745B2 (en) 2007-03-15 2010-02-02 Micron Technology, Inc. Circui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ad latency
KR100956771B1 (ko) * 2007-12-11 2010-05-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디엘엘 클럭 생성 회로
KR101013444B1 (ko) * 2008-03-14 2011-02-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듀티 사이클 보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JP2010088108A (ja) * 2008-09-08 2010-04-15 Elpida Memory Inc Dll回路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018690B1 (ko) * 2008-10-31 2011-03-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
KR101022674B1 (ko) * 2008-12-05 2011-03-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지연고정루프회로 및 그 동작방법
KR101027679B1 (ko) * 2008-12-23 2011-04-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Dll 회로
KR101083639B1 (ko) * 2010-03-29 2011-11-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8400200B1 (en) 2011-07-09 2013-03-19 Gsi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features of power supply noise reduction and/or power-saving for high speed delay lines
KR101818505B1 (ko) * 2011-07-11 2018-0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듀티비 보정 회로
EP2546991A1 (en) * 2011-07-15 2013-01-16 Thomson Licensing Clock generation circuit
US8583265B1 (en) * 2012-05-22 2013-11-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computing a voltage advance used in controlling operation of an electric machine
US8649887B2 (en) 2012-05-22 2014-02-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dithering in motor drive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n electric machine
US9813067B2 (en) * 2015-06-10 2017-11-07 Micron Technology, Inc. Clock signal and supply voltage variation tracking
US9865317B2 (en) 2016-04-26 2018-01-09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es including command delay adjustment circuit
US9673798B1 (en) 2016-07-20 2017-06-06 Sandisk Technologies Llc Digital pulse width detection based duty cycle correction
US9997220B2 (en) 2016-08-22 2018-06-12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djusting delay of command signal path
US10224938B2 (en) 2017-07-26 2019-03-05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indirectly detecting phase variations
KR102544182B1 (ko) * 2018-05-08 2023-06-1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TWI685206B (zh) * 2019-07-17 2020-02-1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鎖相迴路電路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180B1 (ko) * 2001-12-21 2004-03-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듀티 사이클 보상 기능을 갖는 지연 고정 루프 회로
US6642760B1 (en) * 2002-03-29 2003-11-04 Rambu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 digital delay locked loop
KR100486256B1 (ko) * 2002-09-04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듀티사이클 보정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클럭신호를 보간하는 회로
KR100507873B1 (ko) * 2003-01-10 2005-08-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듀티 보정 회로를 구비한 아날로그 지연고정루프
KR100554981B1 (ko) * 2003-11-20 2006-03-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지연 고정 루프
KR100545148B1 (ko) * 2003-12-09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듀티 사이클 보정회로 및 그것을 사용한 지연동기루프회로 및듀티 사이클 보정방법
KR101025760B1 (ko) * 2004-01-28 2011-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일 선택 신호를 갖는 고속 먹스 회로
KR101040238B1 (ko) * 2004-02-06 2011-06-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듀티 보상 회로
KR100529390B1 (ko) * 2004-02-19 2005-11-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개회로 디지털 듀티 보정 회로
KR100594258B1 (ko) * 2004-02-26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상 합성된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지터를 줄이는 듀티싸이클 보정 회로 및 그 방법
US7095261B2 (en) 2004-05-05 2006-08-22 Micron Technology, Inc. Clock capture in clock synchronization circuitry
KR100604914B1 (ko) * 2004-10-28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전 록킹 스킴에 따른 지연 동기 루프의 듀티 싸이클보정 회로 및 방법
KR100733471B1 (ko) * 2005-02-28 2007-06-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기억 소자의 지연 고정 루프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KR100711547B1 (ko) * 2005-08-29 2007-04-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지연 고정 루프
US7227809B2 (en) * 2005-10-14 2007-06-05 Micron Technology, Inc. Clock generator having a delay locked loop and duty cycle correction circuit in a parallel configuration
US7423465B2 (en) * 2006-01-27 2008-09-09 Micron Technology, Inc. Duty cycle error calculation circuit for a clock generator having a delay locked loop and duty cycle correction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42705A1 (en) 2008-02-21
KR100811263B1 (ko) 2008-03-07
US7830185B2 (en) 201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263B1 (ko) 듀티사이클 보정회로 및 이를 이용한 지연고정루프 회로
US7358784B2 (en) Delay locked loop
KR102193681B1 (ko) Dll을 이용한 ilpll 회로
USRE43775E1 (en) Register controlled delay locked loop and its control method
US6989700B2 (en) Delay locked loop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its clock locking method
US7605626B2 (en) Clock generator and clock duty cycle correction method
KR100701423B1 (ko) 듀티 보정 장치
JP5149076B2 (ja) 遅延固定ループ
US20080001642A1 (en) Delay-locked loop apparatus adjusting internal clock signal in synchronization with external clock signal
US7777542B2 (en) Delay locked loop
KR20080001435A (ko) 지연고정루프
US7061287B2 (en) Delay locked loop
US7605624B2 (en) Delay locked loop (DLL) circuit for generating clock signal for memory device
US20050242855A1 (en) Delay locked loop circuit
US20010022745A1 (en) Delay locked loop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872508B2 (en) Delay locked loop circuit
US6940325B2 (en) DLL circuit
KR100839499B1 (ko) 딜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US7902899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reference clock for DLL circuit
JPH11127063A (ja) 集積回路装置
US837978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915808B1 (ko) 지연고정루프 회로의 지연 회로 및 지연 방법
KR100807077B1 (ko) 지연 동기 루프 회로
KR20080001431A (ko) 지연고정루프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