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9495A - 휴대형 전자장치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휴대형 전자장치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9495A
KR20070119495A KR1020070051440A KR20070051440A KR20070119495A KR 20070119495 A KR20070119495 A KR 20070119495A KR 1020070051440 A KR1020070051440 A KR 1020070051440A KR 20070051440 A KR20070051440 A KR 20070051440A KR 20070119495 A KR20070119495 A KR 20070119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input
input means
arrangemen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4129B1 (ko
Inventor
요시히로 고토
Original Assignee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119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3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the relative angle between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04M1/67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the user being required to key in a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0Wireless
    • H04L2209/805Lightweight hardware, e.g.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sen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표시부와 조작부의 배치상태(스타일)를 변경 가능한 휴대전화장치에 있어서, 현재의 스타일을 변경하는 일없이, 휴대전화장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인증정보의 입력을 용이하게 한다. 기억부는 스타일과 그 스타일로 휴대전화장치를 사용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인증방식을 대응 짓는 인증방식선택정보를 기억한다. 제어부는 전원이 ON되었을 때에 단말로크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단말로크되어 있으면, 인증방식선택정보를 참조하고, 스타일검출센서로 검출한 현재의 스타일에 대응하는 인증방식을 선택한다. 선택된 인증방식에 의한 사용자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제어부는 단말로크를 해제해서 휴대전화장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지문센서, 스타일검출센서, 대조정보, 인증방식선택정보, 기능선택정보, 기능제한정보, 인증성공여부정보

Description

휴대형 전자장치 및 기록매체{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도 1a는 휴대전화장치의 정회전오픈스타일(노멀 스타일)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1b는 휴대전화장치의 역회전클로즈스타일(뷰 스타일)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1c는 휴대전화장치의 정회전클로즈스타일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휴대전화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대조정보의 데이터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인증방식선택정보의 데이터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기능선택정보의 데이터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기능제한정보의 데이터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인증성공여부정보의 데이터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전원투입에 동반하여 개시되는 휴대전화장치의 전체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에 계속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8에 계속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8에 계속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스타일별 대조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계속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계속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제어부 12: 기억부
14: 지문센서 15: 스타일검출센서
16: 입력부 17: 통신부
18: 음성입력부 19: 음성출력부
20: 표시패널 21: 녹음재생부
22: 비접촉IC처리부 23: 버스
121: 대조정보 122: 인증방식선택정보
123: 기능선택정보 124: 기능제한정보
125: 인증성공여부정보 131: 인 카메라
132: 아웃 카메라 SK1: 사이드 키
SK2: 사이드 키 SK3: 사이드 키
DP: 표시부 OP: 조작부
HP: 힌지부
본 발명은 인증기능을 갖는 휴대형 전자장치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인증정보를 이용해서 사용자를 인증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 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전화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이런 종류의 휴대전화장치중에는 표시부와 조작부의 배치상태(이하, 「스타일 」이라고 한다)를 변경할 수 있는 것도 존재한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1-217924호 공보는 인증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전화장치를 개시한다. 이 휴대전화장치는 표시부와 조작부가 개폐 가능한 접이식 휴대전화장치이다. 이 휴대전화장치는 조작부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에 의거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이 휴대전화장치는 표시부와 조작부를 접은 스타일일 때에 조작부가 표시부에 덮여 버린다. 이로 인해, 접은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없다. 그로 인해,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에는 표시부와 조작부를 편 스타일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 일본국 특개 2005-12425호 공보는 지문센서를 구비하는 휴대전화장치를 개시한다. 이 휴대전화장치는 지문센서로 판독한 지문패턴에 의거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이 휴대전화장치는 해당 휴대전화장치의 스타일에 따라서 지문센서의 판독방향이 변화하여 버린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장치를 닫은 스타일에서 열은 스타일로 한 경우, 지문센 서의 사용자로부터 본 판독방향이 역회전하여 버린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지문의 판독방향을 실수하기 쉽다. 판독방향을 실수하여 지문패턴을 입력하면, 사용자인증에 실패한다. 이로 인해, 인증정보의 입력이 번거롭다.
이와 같은 문제는 휴대전화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스타일이 변경 가능하고 인증정보의 입력을 필요로 하는 여러 가지의 전자기기에 공통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인증정보의 입력이 용이한 휴대형 전자장치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현재의 스타일을 변경하는 일없이 인증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휴대형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형 전자장치는,
복수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해당 복수의 하우징의 배치상태가 변경 가능한 휴대형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우징에 설치되고, 인증정보를 입력하는 복수의 인증정보입력수단과,
상기 복수의 하우징의 배치상태를 검출하는 배치상태검출수단과,
상기 배치상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복수의 배치상태와 상기 복수의 인증정보입력수단 내의 1 또는 복수의 인증정보입력수단을 대응 짓는 정보를 기억하는 사용후보기억수단과,
상기 사용후보기억수단의 기억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배치상태검출수단에 의 해 검출된 배치상태에 대응하는 인증정보입력수단을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인증정보입력수단이 입력한 인증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수단과,
상기 인증수단에 의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해당 휴대형 전자장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에 본 발명의 주요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격납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도 1에서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휴대전화장치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장치(1)는 패스워드인증, 지문인증, 얼굴인증의 3개의 인증방식에 의한 사용자인증이 가능하다. 휴대전화장치(1)는 입력된 인증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인증의 성공에 응답하여 자기 휴대전화장치(1)의 사용 또는 소정 기능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휴대전화장치(1)는 도 1a∼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DP)와, 조작부(OP)와, 이들을 접속하는 힌지부(HP)를 구비한다.
표시부(DP)는 표시패널(20)과, 인 카메라(131)와, 아웃 카메라(132)와, 지문센서(14)를 구비한다. 조작부(OP)는 주면(主面)에 키보드(입력부(16))를 구비하고, 측면에 복수의 사이드 키(SK1∼SK3)를 구비한다. 각 부의 상세는 후술한다.
표시부(DP)와 조작부(OP)는 힌지부(HP)를 축으로 회전운동 가능하다.
휴대전화장치(1)는 도 1a에 나타내는 열린 상태와,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DP)와 조작부(OP)가 겹친 접음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표시부(DP)는 도 1b와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긴쪽 방향을 축으로 360°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표시부(DP)는 2축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전화장치(1)는,
i) 도 1a에 나타내는 표시부(DP)가 정회전상태이고, 표시부(DP)와 조작부(OP)가 열린 정회전오픈스타일,
ⅱ) 도 1a에 나타내는 스타일로부터 표시부(DP)가 180도 회전(역회전)한 상태이고, 표시부(DP)와 조작부(OP)가 열린 역회전오픈스타일,
ⅲ) 도 1c에 나타내는 표시부(DP)가 정회전상태이고, 표시부(DP)와 조작부(OP)가 닫힌 정회전클로즈스타일,
ⅳ) 도 1b에 나타내는 표시부(DP)가 역회전상태이고, 표시부(DP)와 조작부(OP)가 닫힌 역회전클로즈스타일의 4개 스타일의 어느 하나로 변경 가능하다.
다음으로, 휴대전화장치(1)의 회로구성에 대해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휴대전화장치(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11), 기억부(12), 인 카메라(131), 아웃 카메라(132), 지문센서(14), 스타일검출센서(15), 입력부(16), 통신부(17), 음성입력부(18), 음성출력부(19), 표시패널(20), 녹음재생부(21), 비접촉IC처리부(22), 버스(23)를 구비한다.
제어부(1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 등으로 구성되고, 기억부(12)에 격납된 동작프로그램에 따라서 휴대전화장치(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1)는 지문설정등록시에 지문센서(14)로 판독한 지문패턴을 나타내는 지문정보를 기억부(12)에 기억시킨다.
또, 제어부(11)는 지문센서(14)로 판독한 지문패턴과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지문정보가 나타내는 지문패턴을 대조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또한, 제어부(11)는 인 카메라(131) 또는 아웃 카메라(132)로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화상(또는 얼굴화상을 해석해서 얻은 얼굴의 특징데이터)과, 기억부(12)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얼굴화상(또는 얼굴의 특징데이터)을 대조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제어부(11)는 1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으로 구성되어도 좋고, 메인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데이터의 송수신, 영상의 재생 등의 각 기능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 프로세서로 구성되어도 좋다.
기억부(12)는 플래시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고, 도 8∼도 14에 나타내는 처리를 제어부(11)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다.
또한, 기억부(12)는 휴대전화장치(1)에 내장된 메모리, 떼어냄 가능한 외부메모리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외부메모리는, 예를 들면 스마트미디어, IC카드 등으로 구성된다. 외부메모리는 휴대전화장치(1)에 화상데이터, 각종의 데이터, 프로그램 등을 외부로부터 공급한다.
또한, 기억부(12)는 대조정보(인증방식선택정보), 인증방식선택정보(122), 기능선택정보(123), 기능제한정보(124), 인증성공여부정보(125)를 기억한다.
인 카메라(131)와 아웃 카메라(132)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s)카메라, CMOS센서 등으로 구성되고,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을 촬상한다.
인 카메라(131)는 표시부(DP)의 표시패널(20) 위쪽에 부착되어 있다.
아웃 카메라(132)는 표시부(DP)의 표시패널(20)과 반대측의 면에 부착되어 있다.
인 카메라(131)와 아웃 카메라(132)는 모두 사용자인증용으로서 사용 가능하다.
지문센서(14)는, 예를 들면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된 반도체접촉센서로 구성되고, 판독면에 접촉된 손가락의 지문패턴을 판독한다. 구체적으로는, 지문센서 (14)는 판독면에 접촉하고 있는 지문의 요철에 따른 전하량을 발생하고, 발생한 전하량을 전압값으로 변환하며, 전압값을 디지털 화상(지문화상데이터)으로 변환해서 출력한다.
스타일검출센서(15)는 복수의 자기센서 또는 마이크로스위치 등으로 구성되고, 표시부(DP)와 조작부(OP)에 편입되어 있다. 스타일검출센서(15)는 표시부(DP)와 조작부(OP)가 닫혀 있는지, 열려 있는지의 판별을 나타내는 정보, 표시부(DP)가 정회전상태에 있는지, 역회전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11)는 스타일검출센서(15)의 출력신호를 통합하고, 휴대전화장치(1)가 상기의 i) 정회전오픈스타일, ⅱ) 역회전오픈스타일, ⅲ) 역회전클로즈스타일, ⅳ) 정회전클로즈스타일의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는지를 판별한다.
입력부(16)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보드, 터치패널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대응해서 제어부(11)에 각종의 지시나 데이터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입력부(16)를 통하여 패스워드인증을 위한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또, 사용자는 입력부(16)에 설치된 전원버튼을 조작하여 휴대전화장치(1)의 전원을 ON 또는 OFF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입력부(16)는 도 1a∼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키(SK1, SK2, SK3)를 추가로 구비한다.
사이드 키(SK1)는 인 카메라(131)와 아웃 카메라(132)를 ON 또는 OFF하기 위한 키다.
사이드 키(SK2)는 비접촉IC처리부(22)의 전자화폐처리기능(IC카드기능)을 ON 또는 OFF하기 위한 키다.
사이드 키(SK3)는 녹음재생부(21)의 녹음기능을 ON 또는 OFF하기 위한 키다.
통신부(17)는 안테나(171)를 통하여 무선ㆍ유선의 통신회선과 접속하고, 전화 등의 음성통화, 전자메일ㆍ웹 등의 데이터통신을 실행한다. 또, 통신부(17)는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변조ㆍ복조를 실행하는 변조부, 복조부를 구비하고 있다.
음성입력부(18)는 마이크 등으로 구성되고, 통화시 등에 음성입력신호를 수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해서 제어부(11)에 공급한다.
음성출력부(19)는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고, 통화시 등에 제어부(11)로부터 공급된 전기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한다.
표시패널(20)은 도트 매트릭스타입의 LCD(액정표시)패널과 드라이버회로 등으로 구성되고,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서 화상을 표시한다.
녹음재생부(21)는 통화음성 또는 음악 등을 기억부(12)에 녹음하고, 기억부 (12)에 기억된 데이터를 재생해서 출력한다. 제어부(11)는 입력부(16)로부터의 지시신호에 응답하여 녹음재생부(21)에 녹음의 개시 또는 종료의 지시, 및 재생의 개시 또는 종료의 지시를 부여한다.
비접촉IC(Integrated Circuit)처리부(22)는 비접촉IC카드, 메모리, 코일안테나 등으로 구성되고, 외부의 IC리더/라이터(도시하지 않음)에 가까워졌을 때, 그 IC리더/라이터와 미약 전파에 의해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행한다.
이 데이터의 내용은, 예를 들면 전자화폐처리에 관한 정보(홀드하고 있는 전자화폐의 소비 등)이다. 또한, 외부의 IC리더/라이터는 전자화폐의 차지(charge)ㆍ인출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버스(23)는 각 부 사이에서 상호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도 1a∼도 1c를 재차 참조하여 휴대전화장치(1)의 스타일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의 정회전오픈스타일(노멀 스타일)은 표시부(DP)와 조작부(OP)가 열리고, 입력부(16)와 표시패널(20)이 동일한 면측에 위치하는 배치상태이다.
다음으로, 역회전오픈스타일은 표시부(DP)와 조작부(OP)가 열리고, 입력부(16)와 표시패널(20)이 서로 다른 면측에 위치하는 배치상태이다. 역회전오픈스타일은 도 1a의 정회전오픈스타일로부터 표시부(DP)를 긴쪽방향을 축으로 해서 180 °회전(역회전)시킨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 1b의 역회전클로즈스타일(뷰 스타일)은 표시부(DP)와 조작부 (OP)가 접혀 겹쳐져 있는 배치상태이다. 이때, 표시패널(20)과 인 카메라(131)와 지문센서(14)가 외부로 노출하고, 조작부(OP)에 설치된 입력부(16)가 표시부(DP)에 의해 덮여 숨겨져 있다.
다음으로, 도 1c의 정회전클로즈스타일은 표시부(DP)와 조작부(OP)가 접히고, 표시패널(20)이 조작부(OP)에 대향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정회전클로즈스타일에서는 입력부(16)와 인 카메라(131)와 지문센서(14)가 내부에 닫혀진 상태에 있고, 아웃 카메라(132)는 외부로 노출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도 7을 참조하여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대조정보 (121), 인증방식선택정보(122), 기능선택정보(123), 기능제한정보(124), 인증성공여부정보(125)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3의 대조정보(121)에 대해 설명한다.
대조정보(121)는 이 휴대전화장치(1)의 정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로서, 패스워드정보, 지문정보, 얼굴화상정보를 포함한다.
패스워드정보는 입력부(16)를 통하여 등록된 문자ㆍ기호의 열이다.
지문정보는 지문센서(14)로 판독되고, 제어부(11)에 의해 등록된 지문패턴의 정보이다. 또, 지문정보는 지문패턴을 해석해서 얻어진 지문중심점, 분기점, 끝점, 삼각주 등의 지문의 특징을 특정하는 정보라도 좋다.
얼굴화상정보는 인 카메라(131) 또는 아웃 카메라(132)로 촬영되고, 제어 부(11)에 의해 등록된 얼굴의 화상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 얼굴화상정보는 얼굴의 화상을 해석해서 얻어진 얼굴의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라도 좋다.
다음으로, 도 4의 인증방식선택정보(122)에 대해 설명한다.
인증방식선택정보(122)는 전원을 ON으로 할 때의 휴대전화장치(1)의 스타일과, 단말로크를 해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증방식을 대응 짓는다. 여기에서, 단말로크란 휴대전화장치(1)의 사용제한을 가리킨다.
인증방식선택정보(122)는, 예를 들면 정회전오픈스타일에 패스워드인증을 대응 짓고, 역회전클로즈스타일에 지문인증을 대응 지으며, 정회전클로즈스타일에 얼굴인증을 대응 짓는다.
또한, 스타일과 인증방식의 대응 지음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 가능하게 해도 좋다.
제어부(11)는 단말로크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인증방식선택정보(122)를 참조하여 현재의 스타일로 단말로크를 해제 가능한 인증방식을 판별한다. 또, 제어부(11)는 판별한 인증방식에 따라서 사용자를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했을 때에 단말로크를 해제한다.
다음으로, 도 5의 기능선택정보(123)에 대해 설명한다.
기능선택정보(123)는 복수의 스타일과, 각 스타일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의 후보(이하, 「선택후보기능」이라고 한다)와, 선택후보기능 중에서 사용이 제한되어 있는 기능을 사용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인증방식을 대응 짓는다.
기능선택정보(123)는 각 스타일에 복수의 선택후보기능을 대응 지을 수 있 다.
예를 들면 정회전오픈스타일의 경우, 메일기능, 전화기능, 텔레비전전화기능, 스케줄기능, 카메라기능, 전자화폐처리기능이 선택후보기능이 된다.
역회전클로즈스타일의 경우, 카메라기능, 전자화폐처리기능이 선택후보기능이 된다. 또한, 이때 조작부(OP)의 입력부(16)가 표시부(DP)에 의해서 덮인다. 그로 인해, 카메라기능의 ON/OFF에 사이드 키(SK1)가 사용되고, 전자화폐처리기능의 ON/OFF에 사이드 키(SK2)가 사용된다.
정회전클로즈스타일의 경우, 전자화폐처리기능, 녹음기능이 선택후보기능이 된다. 또한, 이때 조작부(OP)의 입력부(16)가 표시부(DP)에 의해서 덮인다. 그로 인해, 전자화폐처리기능의 ON/OFF에 사이드 키(SK2)가 사용되고, 녹음기능의 ON/OFF에 사이드 키(SK3)가 사용된다.
기능선택정보(123)는, 각 스타일에는 패스워드인증, 지문인증, 얼굴인증 중에서 임의로 선택되어 설정되어 있다. 또, 1개의 스타일에 복수의 인증방식을 대응 지어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정회전오픈스타일에 대응하는 인증방식으로서 패스워드인증, 지문인증, 얼굴인증이 설정되어 있다.
또, 역회전클로즈스타일에 대응하는 인증방식으로서 지문인증, 얼굴인증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정회전클로즈스타일에 대응하는 인증방식으로서 얼굴인증이 설정되어 있다.
기능선택정보(123)가 1개의 스타일에 복수의 인증방식을 대응 짓는 경우, 각 인증방식에는 우선도가 부여된다. 제어부(11)는 우선도에 따라서 인증방식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정회전오픈스타일에서는 가장 높은 우선도 1이 부여된 인증방식은 패스워드인증이다.
다음 순위의 우선도 2가 부여된 인증방식은 지문인증이며, 가장 낮은 우선도 3이 부여된 인증방식은 얼굴인증이다.
또, 역회전클로즈스타일에서는 가장 높은 우선도 1이 부여된 인증방식은 지문인증이며, 가장 낮은 우선도 2가 부여된 인증방식은 얼굴인증이다.
제어부(11)는 우선도에 따라서 선택한 인증방식에 의한 사용자인증이 실패한 경우, 다음 순위의 우선도가 부여된 인증방식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한다. 어떤 경우에는 그 중에서 가장 높은 우선도의 인증방식을 선택하여 재차 사용자를 인증한다.
다음으로, 도 6의 기능제한정보(124)에 대해 설명한다.
기능제한정보(124)는 복수의 기능과, 각 기능 사용제한의 유무를 대응 짓는다. 사용제한의 유무의 항목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면, 그 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의 사용은 제한되어 있고, 「없음」을 나타내고 있으면, 그 항목에 대응하는 기능은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6에서는 메일기능, 텔레비전전화기능, 스케줄기능, 전자화폐처리기능의 사용이 제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는 각 기능의 사용의 제한 또는 그 해제를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이때 사용자는 기능제한설정화면으로부터 임의의 기능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능의 사용의 제한 또는 그 해제를 선택함으로써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 7의 인증성공여부정보(125)에 대해 설명한다.
인증성공여부정보(125)는 복수의 인증방식과, 각 인증방식을 사용해서 실행된 사용자인증의 성공여부(성공(OK) 또는 실패(NG))를 대응 짓는 정보이다.
제어부(11)는 현재의 스타일에 대응하는 인증방식을 선택해서 사용자를 인증했을 때에, 선택된 인증방식에 의한 인증의 성공여부를 인증성공여부정보(125)에 기억시킨다.
또한, 이하에서는 패스워드인증에 대응하는 인증성공여부의 항목을「패스워드인증성공여부플래그」, 지문인증에 대응하는 인증성공여부의 항목을「지문인증성공여부플래그」, 얼굴인증에 대응하는 인증성공여부의 항목을「얼굴인증성공여부플래그」라고 한다.
다음으로, 도 8에서 도 14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기 구성을 갖는 휴대전화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8에서 도 11을 참조하여 휴대전화장치(1)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의 흐름의 처리는 사용자가 입력부(16)의 전원버튼을 내리눌러 휴대전화장치(1)의 전원이 ON됨으로써 기동된다.
전원이 ON되면, 제어부(11)는 단말로크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도 8, 스텝A1).
단말로크되어 있지 않으면(스텝A1; No), 통신부(17)는 현재위치를 등록해서 대기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도 9, 스텝A14).
표시패널(20)은 소정의 대기화상을 출력하고(스텝A15), 통신부(17)는 전화 또는 메일의 착신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한다(스텝A16).
통화 또는 메일 착신이 있으면(스텝A16; Yes), 음성출력부(19)는 착신멜로디 등을 출력하여 착신을 통지하고, 통신부(17)는 통화 또는 수신메일의 착신처리를 실행한다(스텝A17).
통화 또는 메일 착신이 없고(스텝A16; No), 사용자에 의한 어떤 조작을 검출하면(스텝A18; Yes), 제어부(11)는 검출한 조작이 기능을 선택하는 조작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A19).
기능을 선택하는 조작이 아니면(스텝A19; No), 제어부(11)는 검출한 조작이 사용제한을 설정하는 조작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도 11, 스텝A30).
사용제한을 설정하는 조작이 아니면(스텝A30; No), 제어부(11)는 조작에 대응한 다른 처리를 실행한다(스텝A34).
다른 처리는, 예를 들면 통화발신처리, 메일작성처리 등이다. 또, 검출한 조작이 대조정보(121)를 등록하는 조작이면, 제어부(11)는 각 인증방식에 대응해서 입력된 정보를 대조정보(121)에 기록한다.
한편, 사용제한을 설정하는 조작이면(스텝A30; Yes), 표시패널(20)은 단말로크의 유무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조작화면을 표시한다.
입력부(16)가 단말로크의 유무의 선택을 지시하면, 제어부(11)는 지시에 대응해서 단말로크의 유무를 설정한다(스텝A31).
또한, 스타일과, 그 스타일로 단말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인증방식의 대응 지음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설정을 인증방식선택정보(122)에 기억하도록 해도 좋다.
단말로크의 유무가 설정되면, 표시패널(20)은 각 기능의 사용제한의 유무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제한설정화면을 표시한다.
입력부(16)가 사용제한의 유무의 어느 하나를 지시하면, 제어부(11)는 지시에 대응하여 기능제한정보(124)에 각 기능의 사용제한의 있음 또는 없음을 설정한다(스텝A32).
또한, 입력부(16)가 스타일에 대응한 인증방식을 지시하면, 제어부(11)는 지시에 대응한 인증방식을 기능선택정보(123)에 설정한다(스텝A33).
이때 1개의 스타일에 복수의 인증방식이 대응 지어져 있으면, 입력부(16)는 각 인증방식에 부여되는 우선도를 추가로 지시한다. 제어부(11)는 지시에 응답하여 인증방식과 우선도를 대응 지어 기능선택정보(123)에 설정한다.
그 후, 휴대전화장치(1)는 대기상태로 이행한다(도 9, 스텝A14).
한편, 휴대전화장치(1)의 전원이 ON된 후, 단말로크가 되어 있으면(도 8, 스텝A1; Yes), 제어부(11)는 스타일별 대조처리(사용자인증처리)의 실행을 개시한다(스텝A2).
또, 대기상태에서 통화 또는 메일 착신이 없는 경우에(도 9, 스텝A16; No), 사용자 조작이 검출되고(스텝A18; Yes), 그 조작이 기능선택조작이면(스텝A19; Yes), 제어부(11)는 선택되어 있는 기능의 사용제한의 유무를 판별한다(스텝A20).
사용제한이 없으면(스텝A20; No), 선택되어 있는 기능을 기동시킨다(스텝A27).
사용제한이 있으면(스텝A20; Yes), 스타일별 대조처리(스텝A21)를 실행해서 사용자를 인증한다.
이하, 도 12에서 도 14를 참조하여 스타일별 대조처리(도 8, 스텝A2, 또는, 도 9, 스텝A21)에 대해 설명한다.
스타일별 대조처리에서는, 제어부(11)는 단말로크 때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도 12, 스텝B1).
단말로크 때이면(스텝B1; Yes), 제어부(11)는 스타일검출센서(15)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현재의 스타일을 판별한다(스텝B2). 현재의 스타일을 판별하면, 제어부(11)는 인증방식선택정보(122)를 참조하고, 현재의 스타일에 대응한 인증방식을 선택한다(스텝B3).
한편, 단말로크 때가 아니면(스텝B1; No), 제어부(11)는 현재의 스타일을 판별한다(스텝B4). 또한, 제어부(11)는 기능선택정보(123)를 참조하고, 현재의 스타일에 대응하는 인증방식 중에서 우선도가 가장 높은 인증방식을 선택한다(스텝B5).
제어부(11)는 스텝B3 또는 스텝B5에서 선택한 인증방식이 지문인증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B6).
지문인증이면(스텝B6; Yes), 제어부(11)는 지문센서(14)를 ON으로 한다(스텝 B7). 표시패널(20)은 지문데이터의 입력을 재촉하는 가이던스를 표시한다(스텝B8).
제어부(11)는 인증방식을 변경하는 조작이 실행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B9).
인증방식의 변경이 없는 동안에(스텝B9; No), 지문센서(14)가 지문패턴을 판독하여 지문정보를 입력하면(스텝B10), 제어부(11)는 지문센서(14)가 입력한 지문정보와 지문정보를 대조한다(스텝B11).
제어부(11)는 지문정보와 지문정보의 특징이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B12).
일치하지 않으면(스텝B12; No), 제어부(11)는 사용자인증의 실패가 3회째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B13).
또한, 3회의 시행횟수를 설치하고 있는 것은, 손가락의 오염, 판독면과 손가락의 접촉상태 등에 의해 지문센서(14)가 지문패턴을 정확하게 판독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실패가 3회 미만이면(스텝B13; No), 제어부(11)는 스텝B8로 처리를 되돌린다. 표시패널(20)은 지문정보의 입력을 재촉하는 가이던스를 재차 표시한다.
사용자인증이 3회째의 실패이면(스텝B13; Yes), 제어부(11)는 인증성공여부정보(125)의 지문인증성공여부플래그를 NG로 설정한다(스텝B14).
한편, 지문센서(14)가 판독한 지문정보와 지문정보가 일치하고 있으면(스텝B12; Yes), 제어부(11)는 인증성공여부정보(125)의 지문인증성공여부플래그를 OK로 설정한다(스텝B15).
그 후, 제어부(11)는 지문센서(14)를 OFF시키고(스텝B16), 도 8의 스텝A3 또는 도 9의 스텝A22로 처리를 이행한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스타일별 대조처리에 있어서 인증방식이 지문인증이 아니라고 판별된 경우(도 12, 스텝B6; No)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인증방식이 지문인증이 아니라고 판별된 경우(도 12, 스텝B6; No), 제어부(11)는 인증방식이 얼굴인증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도 13, 스텝B17).
선택한 인증방식이 얼굴인증이면(스텝B17; Yes), 제어부(11)는 현재의 스타일에 의거하여 인 카메라(131) 또는 아웃 카메라(132)의 어느 하나를 ON으로 한다(스텝B18).
즉, 인 카메라(131)가 외부로 노출하고 있는 정회전오픈스타일 및 뷰 스타일이면, 제어부(11)는 인 카메라(131)를 ON으로 한다.
또, 아웃 카메라(132)가 외부로 노출하고 있는 정회전클로즈스타일이면, 제어부(11)는 아웃 카메라(132)를 ON으로 한다.
표시패널(20)은 사용자에게 자기의 얼굴을 촬영하도록 재촉하는 가이던스를 표시하고(스텝B19), 제어부(11)는 인증방식을 변경하는 조작이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B20).
인증방식의 변경이 없는 동안에(스텝B20; No), 인 카메라(131) 또는 아웃 카메라(132)에 의해 얼굴화상이 촬영되면(스텝B21), 제어부(11)는 촬영된 얼굴화상과 얼굴화상정보를 대조한다(스텝B22).
제어부(11)는 촬영된 얼굴화상의 특징과 얼굴화상정보가 나타내는 특징이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B23).
이때 제어부(11)는 얼굴의 윤곽, 눈ㆍ입ㆍ코 등의 형태ㆍ위치ㆍ크기, 머리스타일, 안경의 유무 등을 각각 비교할 뿐만 아니라, 이들을 종합적으로 비교하여 얼굴의 특징이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일치하지 않으면(스텝B23; No), 제어부(11)는 인증성공여부정보(125)의 얼굴인증성공여부플래그를 NG로 설정한다(스텝B24).
일치하면(스텝B23; Yes), 제어부(11)는 얼굴인증성공여부플래그를 OK로 설정한다(스텝B25).
그 후, 제어부(11)는 ON상태에 있는 인 카메라(131) 또는 아웃 카메라(132)를 OFF로 하고(스텝B26), 도 8의 스텝A3 또는 도 9의 스텝A22로 처리를 이행한다.
한편, 제어부(11)가 선택한 인증방식을 판별한 결과, 패스워드인증이면(도 13, 스텝B17; No), 제어부(11)는 현재의 스타일이 오픈스타일(노멀 스타일)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도 14, 스텝B27).
오픈스타일이 아니면(스텝B27; No), 표시패널(20)은 사용자에게 스타일을 오픈스타일로 변경하는 것을 재촉하기 위한 가이던스를 표시한다(스텝B28). 제어부 (11)는 처리를 스텝B27로 이행하고, 스타일이 오픈스타일로 변경되는 것을 대기한다.
현재의 스타일이 오픈스타일이며(스텝B27; Yes), 오픈스타일 이외의 스타일로부터 오픈스타일로 변경되었으면(스텝B29; Yes), 제어부(11)는 입력부(16)를 ON 으로 한다(스텝B30).
표시패널(20)은 사용자에게 패스워드 입력을 재촉하는 가이던스를 표시한다(스텝B31).
가이던스에 따라서 입력부(16)로부터 패스워드가 입력되면(스텝B32), 제어부(11)는 입력된 패스워드와 패스워드정보를 대조한다(스텝B33).
대조한 결과, 양자가 일치하지 않으면(스텝B34; No), 제어부(11)는 인증성공여부정보(125)의 패스워드인증성공여부플래그를 NG로 설정한다(스텝B35).
입력된 패스워드와 패스워드정보가 일치하면(스텝B34; Yes), 제어부(11)는 인증성공여부정보(125)의 패스워드인증성공여부플래그를 OK로 설정한다(스텝B36).
그 후, 제어부(11)는 도 8의 스텝A3 또는 도 9의 스텝A22로 처리를 이행한다.
또한, 지문인증을 선택하고 있는 동안에 인증방식이 변경된 경우(도 12, 스텝B9; Yes), 제어부(11)는 인증방식을 지문인증으로부터 패스워드인증으로 변경한다(도 14, 스텝B27∼B36).
또, 얼굴인증이 선택되어 있는 동안에 인증방식이 변경된 경우에도(도 13, 스텝B20; Yes), 제어부(11)는 인증방식을 얼굴인증으로부터 패스워드인증으로 변경한다(도 14, 스텝B27∼B36).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문인증으로부터 패스워드인증으로, 또는, 얼굴인증으로부터 패스워드인증으로 인증방식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스타일별 대조처리(도 8, 스텝A2, 또는, 도 9, 스텝A21)종료 후의 도 8의 스텝A3 또는 도 9의 스텝A22 이후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스타일별 대조처리(도 8, 스텝A2)종료 후, 제어부(11)가 스텝A3으로 처리를 이행한 후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11)는 스타일별 대조처리에서 사용된 인증방식에 대응하는 인증성공여부플래그에 의거하여 인증이 성공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도 8, 스텝A3).
예를 들면, 단말로크되어 있고(스텝A1; Yes), 스타일별 대조처리(스텝A2)를 실행했다고 한다.
그 결과, 사용자인증에 사용된 인증방식의 인증성공여부플래그가 OK를 나타내고 있으면(스텝A3; Yes), 제어부(11)는 단말로크를 해제하고(스텝A13), 위치등록대기처리를 실행한다(도 9, 스텝A14).
한편, 사용자인증에 사용된 인증방식의 성공여부플래그가 NG를 나타내고 있으면(도 8, 스텝A3; No), 제어부(11)는 스타일별 대조처리(스텝A2)에 있어서 패스워드인증에 의해 사용자를 인증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A4).
패스워드인증을 실행완료이면(스텝A4; Yes), 표시패널(20)은 단말로크의 해제가 실패한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하고(스텝A12), 제어부(11)는 휴대전화장치(1)의 전원을 OFF로 한다.
패스워드인증을 실행완료가 아닌 경우(스텝A4; No)란, 지문인증 또는 얼굴인증에 의한 사용자인증에 실패한 경우이다.
이때 제어부(11)는 현재의 스타일이 오픈스타일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A5).
오픈스타일이 아니면(스텝A5; No), 표시패널(20)은 스타일을 오픈스타일로 변경하기 위한 가이던스를 표시한다(스텝A6).
오픈스타일이면(스텝A5; Yes), 표시패널(20)은 패스워드의 입력을 재촉하는 가이던스를 표시한다(스텝A7).
가이던스에 따른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입력부(16)가 패스워드를 입력하면(스텝A8), 제어부(11)는 입력된 패스워드와 패스워드정보가 나타내는 패스워드를 대조한다(스텝A9).
입력된 패스워드와 패스워드정보가 나타내는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으면(스텝A10; No), 이번 사용자인증의 실패가 3회째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A11).
3회째의 실패이면(스텝A11; Yes), 표시패널(20)은 단말로크의 해제가 실패한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하고(스텝A12), 휴대전화장치(1)의 전원을 OFF로 한다.
실패가 3회 미만이면(스텝A11; No), 제어부(11)는 처리를 스텝A7로 이행하고, 표시패널(20)은 패스워드의 입력을 재촉하는 가이던스를 재차 표시한다.
한편, 입력된 패스워드와 패스워드정보의 패스워드가 일치했다면(스텝A10; Yes), 제어부(11)는 단말로크를 해제하고(스텝A13), 위치등록대기처리를 실행한다(도 9, 스텝A14).
다음으로, 스타일별 대조처리(도 9, 스텝A21)종료 후, 제어부(11)가 스텝A22로 처리를 이행한 후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11)는 스타일별 대조처리에서 사용된 인증방식의 인증성공여부플래그에 의거하여 인증이 성공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도 9, 스텝A22).
예를 들면, 선택기능의 사용이 제한되어 있고(스텝A20; Yes), 스타일별 대조처리(스텝A21)를 실행한 것으로 한다.
그 결과, 사용자인증에 사용된 인증방식의 인증성공여부플래그가 NG이면(스텝A22; No), 제어부(11)는 현재의 스타일에 대응하는 각 인증방식 중, 인증에 실패한 통신방식보다도 우선도가 낮은 인증방식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한다(스텝A23).
인증에 실패한 통신방식보다도 우선도가 낮은 인증방식이 없으면(스텝A23; No), 표시패널(20)은 기능의 사용제한의 해제에 실패한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한다(스텝A24).
그 후, 제어부(11)는 위치등록대기처리를 실행한다(스텝A14).
인증에 실패한 통신방식보다도 우선도가 낮은 인증방식이 있으면(스텝A23; Yes), 제어부(11)는 그 중에서 우선도가 가장 높은 인증방식을 선택한다(스텝A25).
제어부(11)는 처리를 도 12의 스텝B6으로 이행하고, 선택된 인증방식에 의한 사용자인증의 실행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기동시켜서 사용자인증을 실행한다.
한편, 스타일별 대조처리에서 어느 하나의 인증방식에 의한 사용자인증이 성공하고 있으면(도 9, 스텝A22; Yes), 제어부(11)는 기능의 사용제한을 해제한다(스텝A26).
그 후, 제어부(11)는 선택기능을 기동시키고(스텝A27), 선택기능에 의한 처리를 실행한다(스텝A28).
선택기능에 의한 처리의 종료지시가 있으면(스텝A29; Yes), 제어부(11)는 위치등록대기처리(스텝A14)로 처리를 이행하고, 휴대전화장치(1)를 대기상태로 이행 시킨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대기상태에서의 통화 또는 메일 착신, 및 입력부(16)의 사용자 조작이 어느 것도 없을 때에(도 9, 스텝A18), 비접촉IC처리부 (22)가 기동되었을 때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비접촉IC처리부(22)를 IC리더/라이터에 가려서 비접촉IC처리부 (22)가 기동되면, 제어부(11)는 도 10에 나타내는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11)는 비접촉IC처리부(22)의 기동을 검출하고(스텝A35; Yes), 전자화폐처리기능의 사용제한이 해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A36).
사용제한이 해제되어 있지 않으면(스텝A36; No), 음성출력부(19)는 알람음을 출력하고, 전자화폐처리기능의 사용이 제한되어 있는 것을 통지한다(스텝A37).
전자화폐처리기능의 사용제한이 해제되어 있으면(스텝A36; Yes), 제어부(11)는 지불 등의 전자화폐처리를 실행한다(스텝A38).
전자화폐처리가 완료되면, 제어부(11)는 위치등록대기처리(도 9, 스텝A14)로 처리를 이행하고, 휴대전화장치(1)를 대기상태로 이행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어부(11)는 스타일검출센서(15)로 검출한 현재의 스타일에 대응하는 인증방식 중에서 1개의 인증방식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인증방식 중에서 선택된 현재의 스타일에 대응 지어진 인증방식을 선택하고, 그 인증방식의 인증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어 조작성 및 확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어부(11)는 선택한 인증방식에 의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단말로크의 해제, 또는, 기능의 사용제한의 해제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현재의 스타일을 변경하는 일없이 입력된 인증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인증이 성공한 것에 응답해서 단말로크의 해제 또는 기능의 사용제한의 해제를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휴대전화장치(1)는 스타일마다 인증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역회전클로즈스타일의 경우, 입력부(16)이 표시부(DP)에 덮여 버리기 때문에, 사용자는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없다. 이 경우, 제어부(11)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방식으로서 지문인증을 선택한다.
또, 예를 들면, 오픈스타일의 경우, 입력부(16)는 외부로 노출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는 인증방식으로서 패스워드인증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조작성, 확실성,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능선택정보(123)는 1개의 스타일에 복수의 인증방식을 대응 짓고 있다.
제어부(11)는 기능선택정보(123)를 참조하여 스타일검출센서(15)로 검출한 스타일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증방식의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개의 스타일에 있어서 인증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또, 1개의 스타일에 대응하는 인증방식이 복수 있는 경우, 각 인증방식은 우 선도가 부여된다. 제어부(11)는 현재의 스타일에 대응하는 인증방식이 복수 있을 때는 우선도에 따라서 인증방식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우선도가 사용 편리함, 인식률, 안전성 등을 고려해서 부여되어 있는 경우, 현재의 스타일에 있어서의 조작성, 확실성, 안전성이 높은 인증방식부터 차례차례 선택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어부(11)는 선택한 인증방식에 의한 사용자인증이 실패한 경우, 선택한 인증방식보다도 우선도가 낮은 현재의 스타일에 대응하는 인증방식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한다.
어떤 경우에는, 제어부(11)는 그 중에서 가장 높은 우선도의 인증방식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현재의 스타일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증방식으로부터 선택한 인증방식에 의한 인증이 실패해도, 인증에 실패한 인증방식보다도 우선도가 낮은 다른 인증방식을 선택해서 재차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어부(11)는 현재의 스타일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증방식으로부터 인증방식을 선택해서 사용자를 인증할 때에, 선택한 인증방식의 인증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만을 기동한다.
이에 따라, 현재의 스타일에 있어서 인증정보의 입력 동작을 유지할 필요가 없는 구성요소에 의한 전력소비가 저감된다.
예를 들면, 입력부(16), 지문센서(14), 인 카메라(131), 아웃 카메라(132)는 상시 기동될 필요는 없고, 현재의 스타일에 대응하는 인증방식의 인증정보의 입력 에 필요한 구성요소만이 기동되도록 하면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현재의 스타일에 따라서 제어부(11)가 인증방식을 선택했을 때에, 표시패널(20)은 그 인증방식에 따른 가이던스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의 스타일에 대응해서 어느 인증정보의 입력조작을 실행하면 좋은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입력부(16)가 기동대상으로 하는 기능을 선택했을 때에, 제어부(11)는 선택된 기능의 사용이 제한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제한되어 있으면, 제어부(11)는 현재의 스타일에 대응하는 인증방식을 선택한다.
또, 제어부(11)는 선택된 인증방식에 의한 사용자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기동대상의 기능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현재의 스타일에 대응한 인증방식을 사용하여 각 스타일에서 유효한 기능의 사용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인증방식선택정보(122)는 각 스타일과 각 인증방식을 대응 짓는 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각 스타일과 각 스타일에서 단말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키 조작을 대응 짓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정회전오픈스타일에서 단말로크를 해제할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16)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또, 역회전클로즈스타일에서 단말로크를 해제할 경우, 사용자는 복수의 사이 드 키(SK1, SK2, SK3)를 소정의 순서에 따라서 소정횟수 내리누르도록 하면 좋다.
또한, 인증방식선택정보(122)는 1개의 스타일에 복수의 인증방식을 설정할 수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타일과 인증방식을 1대 1로 대응 짓는 것이라도 좋다.
인증방식선택정보(122)와 기능선택정보(123)는 각각 따로따로 구성할 뿐만 아니라, 1개로 정리해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지문센서(14)는 그 센서면(전극면)에 손가락을 1회 접촉하는 것만으로 손가락 전체의 지문데이터를 판독하는 방식에 한정되는 일없이, 소정방향(예를 들면, 상하방향,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손가락으로부터 지문패턴을 판독하는 슬라이드식의 센서라도 좋다.
사용제한을 설치할 대상은 단말로크 또는 각종 기능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사적인 주소록파일, 착신이력파일, 스케줄파일, 화상파일 등의 데이터파일이라도 좋다.
단말로크, 또는, 소정 기능의 사용 제한을 해제하기 위한 인증방식은 패스워드인증, 지문인증, 얼굴인증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홍채, 망막, 정맥, 성문(聲紋) 등의 생체정보에 의거하는 생체인증이라도 좋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개념은 전용의 컴퓨터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복수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각 하우징의 배치상태를 변경 가능한, PDA, 전자카메라, 전자손목시계, 음악재생기 등의 임의의 휴대형 전자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즉, 컴퓨터를 휴대전화장치(1)로서 기능ㆍ동작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을 작성하여 배포, 대여, 이것을 컴퓨터에 인스톨하고, 휴대전화장치(1)로서 이것을 사용, 양도, 대여 등 해도 좋다.
이 출원은 2006년 6월 15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출원된 특원 2006-165741호를 기초로 하고 있고, 해당 출원의 내용을 본원에 집어넣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의 배치상태에 대응한 인증정보입력수단을 선택하고, 인증정보입력수단으로 입력한 인증정보에 의거하는 사용자인증이 성공했을 때에 휴대형 전자장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현재의 배치상태를 변경하는 일없이, 휴대형 전자장치를 사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 실행되는 사용자인증의 인증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어 조작성, 확실성,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Claims (9)

  1. 복수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해당 복수의 하우징의 배치상태가 변경 가능한 휴대형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우징에 설치되고, 인증정보를 입력하는 복수의 인증정보입력수단과,
    상기 복수의 하우징의 배치상태를 검출하는 배치상태검출수단과,
    상기 배치상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복수의 배치상태와 상기 복수의 인증정보입력수단 중의 1 또는 복수의 인증정보입력수단을 대응 짓는 정보를 기억하는 사용후보기억수단과,
    상기 사용후보기억수단의 기억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배치상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배치상태에 대응하는 인증정보입력수단을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인증정보입력수단이 입력한 인증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수단과,
    상기 인증수단에 의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해당 휴대형 전자장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후보기억수단은 상기 복수의 하우징의 배치상태와, 각 배치상태에 있어서, 그 배치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1 또는 복수의 인증정보입력수단, 또는, 그 배치상태에서 외부로 노출하고 있는 1 또는 복수의 인증정보입력수단을 대응 짓는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증정보입력수단에는 우선도가 부여되어 있고,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배치상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배치상태에 대응 지어진 인증정보입력수단이 복수 있을 때에, 각 인증정보입력수단에 부여되어 있는 우선도에 따라서 적어도 1개의 인증정보입력수단을 선택하고,
    상기 인증수단은 선택된 인증정보입력수단이 입력한 인증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수단에 의한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
    상기 선택수단은 해당 복수의 인증정보입력수단 중에서 해당 인증에 실패한 인증정보를 입력한 인증정보입력수단보다도 낮은 우선도가 부여된 적어도 1개의 인증정보입력수단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중에서 우선도가 가장 높은 인증정보입력수단을 선택하며,
    상기 인증수단은 선택된 인증정보입력수단이 입력한 인증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를 재차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입력수단은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되기까지 정지되어 있고,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에, 해당 선택된 인증정보입력수단을 기동하는 기동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입력수단에 인증정보를 입력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실행해야 할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인증정보입력수단이 선택된 경우에, 해당 선택된 인증정보입력수단에 대응하는 조작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증정보입력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한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패스워드입력수단과,
    상기 패스워드입력수단이 설치된 하우징과 다른 하우징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지문패턴을 입력하는 지문입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후보기억수단은,
    상기 패스워드입력수단이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없는 배치상태와 상기 지문 입력수단을 대응 짓는 정보와,
    상기 패스워드입력수단이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배치상태와 상기 패스워드입력수단을 대응 짓는 정보를 기억하고 있으며,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사용후보기억수단의 기억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배치상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배치상태가 상기 패스워드입력수단에 의해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배치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입력할 수 있는 배치상태이면 상기 패스워드입력수단을 선택하며, 입력할 수 없는 배치상태이면 상기 지문입력수단을 선택하고,
    상기 인증수단은,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지문입력수단이 입력한 지문패턴, 또는, 패스워드입력수단이 입력한 패스워드에 의거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는 각각 소정의 동작을 실행하는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배치상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복수의 배치상태와 상기 복수의 기능 중의 1 또는 복수의 기능을 대응 짓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기억수단과,
    상기 기능기억수단의 기억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배치상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배치상태에 대응 지어진 기능 중에서 적어도 1개의 기능을 선택하는 기능선택수단과,
    상기 기능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기능에 사용제한이 설정되어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하는 제한판별수단과,
    상기 제한판별수단에 의해 사용제한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된 기능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한판별수단에 의해 사용제한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선택수단은 상기 배치상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배치상태에 대응하는 인증정보입력수단을 선택하며,
    상기 인증수단은 선택된 인증정보입력수단이 입력한 인증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기능제어수단은 상기 인증수단에 의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기능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기능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9. 배치가 변경 가능한 복수의 하우징과,
    상기 복수의 하우징에 설치되고, 인증정보를 입력하는 복수의 인증정보입력수단과,
    상기 복수의 하우징의 배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하우징의 배치와 해당 배치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인증정보입력수단을 대응 짓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는 컴퓨터에,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배치와 상기 기억수단의 기억내용에 의거하여 1 또는 복수의 인증정보입력수단을 선택하는 선택스텝과,
    상기 선택스텝에 있어서 선택된 인증정보입력수단이 입력한 인증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스텝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격납한 기록매체.
KR1020070051440A 2006-06-15 2007-05-28 인증기능을 갖는 휴대단말장치 및 기록매체 KR100914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65741A JP4185533B2 (ja) 2006-06-15 2006-06-15 認証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JP-P-2006-00165741 2006-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495A true KR20070119495A (ko) 2007-12-20
KR100914129B1 KR100914129B1 (ko) 2009-08-27

Family

ID=38875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440A KR100914129B1 (ko) 2006-06-15 2007-05-28 인증기능을 갖는 휴대단말장치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01703A1 (ko)
JP (1) JP4185533B2 (ko)
KR (1) KR100914129B1 (ko)
CN (1) CN101090575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683A (ko) * 2010-03-09 2011-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4055313A1 (en) * 2012-10-04 2014-04-10 Google Inc. Limiting the functionality of a software program based on a security model
KR20180039837A (ko) * 2016-10-11 2018-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지문 센싱 모드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95885A (ko) * 2015-12-16 2018-08-28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검증 방법 및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29408B1 (en) 2003-05-30 2015-01-28 Privaris, Inc. A system and methods for assignation and use of media content subscription service privileges
JP4297508B2 (ja) * 2007-05-17 2009-07-15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処理プログラム
KR102389147B1 (ko) 2007-09-24 2022-04-21 애플 인크. 전자 장치 내의 내장형 인증 시스템들
JP4819031B2 (ja) * 2007-12-27 2011-11-1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US8600120B2 (en) 2008-01-03 2013-12-03 Apple Inc. Personal computing device control using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JP5353172B2 (ja) * 2008-10-02 2013-11-27 富士通株式会社 認証方法、認証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5521304B2 (ja) * 2008-10-03 2014-06-11 富士通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プログラム、撮像方法、認証装置、認証プログラム及び認証方法
US20100176915A1 (en) * 2009-01-12 2010-07-15 Hayes Michael J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
CN101782953B (zh) * 2009-01-16 2012-11-2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具有指纹识别功能的便携式电子装置
KR101549556B1 (ko) * 2009-03-06 2015-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0219742A (ja) * 2009-03-16 2010-09-3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処理装置、ガイダンスの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316436B2 (en) * 2009-03-27 2012-11-20 Sony Corporation User-defined multiple input mode authentication
JP5201595B2 (ja) * 2009-05-21 2013-06-05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2404510B (zh) * 2009-06-16 2015-07-01 英特尔公司 手持装置中的摄像机应用
US20120166944A1 (en) * 2010-12-23 2012-06-28 Stephen Hayden Cotterill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Between Two User Interfaces
US8769624B2 (en) 2011-09-29 2014-07-01 Apple Inc. Access control utilizing indirect authentication
US9002322B2 (en) 2011-09-29 2015-04-07 Apple Inc. Authentication with secondary approver
EP2850510A2 (en) 2012-05-18 2015-03-2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based on fingerprint sensor inputs
KR101899978B1 (ko) * 2012-07-11 2018-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9032510B2 (en) 2012-09-11 2015-05-12 Sony Corporation Gesture- and expression-based authentication
US9558338B2 (en) * 2012-11-07 2017-01-31 Ht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ecurity control by using captured image
US8634808B1 (en) * 2012-11-21 2014-01-21 Trend Micro Inc. Mobile device loss prevention
US9549323B2 (en) 2012-12-03 2017-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screen lock
US20150015688A1 (en) * 2013-07-09 2015-01-15 HTC Corportion Facial unlock mechanism using light level determining module
US9898642B2 (en) 2013-09-09 2018-02-20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based on fingerprint sensor inputs
US9773151B2 (en) * 2014-02-06 2017-09-26 University Of Massachusetts System and methods for contactless biometrics-based identification
US9483763B2 (en) 2014-05-29 2016-11-01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KR102236279B1 (ko) * 2014-06-17 2021-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506317A (zh) * 2014-12-01 2015-04-08 金硕澳门离岸商业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多种认证方式的认证方法和设备
DK179186B1 (en) 2016-05-19 2018-01-15 Apple Inc REMOTE AUTHORIZATION TO CONTINUE WITH AN ACTION
US10430571B2 (en) * 2016-09-06 2019-10-01 Blackberry Limited Trusted UI authenticated by biometric sensor
US10466891B2 (en) * 2016-09-12 2019-11-05 Apple Inc. Special lock mode user interface
KR102185854B1 (ko) 2017-09-09 2020-12-02 애플 인크. 생체측정 인증의 구현
KR102389678B1 (ko) 2017-09-09 2022-04-21 애플 인크. 생체측정 인증의 구현
US11170085B2 (en) 2018-06-03 2021-11-09 Apple Inc. Implement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US11100349B2 (en) 2018-09-28 2021-08-24 Apple Inc. Audio assisted enrollment
US10860096B2 (en) 2018-09-28 2020-12-08 Apple Inc. Device control using gaze information
JP2023044276A (ja) * 2021-09-17 2023-03-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23180936A (ja) * 2022-06-10 2023-12-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認証ガイド装置および認証ガイド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4625A (ja) * 1999-02-23 2000-09-08 Nec Saitama Ltd 携帯電話機における音声認識起動方法及び音声認識携帯電話装置
JP2002027092A (ja) * 2000-07-13 2002-01-25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端末
KR100421143B1 (ko) * 2001-07-06 200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전화기의 모터 회전 제어 장치
JP2003067340A (ja) * 2001-08-28 2003-03-07 Mitsubishi Electric Corp 認証の選択システム、認証システム
JP2005012425A (ja) * 2003-06-18 2005-01-13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通信装置
US7088220B2 (en) * 2003-06-20 2006-08-0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using biometric sensors for controlling acces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05182159A (ja) * 2003-12-16 2005-07-07 Nec Corp 個人認証方式及び個人認証方法
JP2005347986A (ja) * 2004-06-02 2005-12-15 Hitachi Ltd 携帯情報端末装置
JP2006013848A (ja) * 2004-06-25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
JP2006066975A (ja) * 2004-08-24 2006-03-09 Sharp Corp 携帯通信端末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683A (ko) * 2010-03-09 2011-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4055313A1 (en) * 2012-10-04 2014-04-10 Google Inc. Limiting the functionality of a software program based on a security model
US8954736B2 (en) 2012-10-04 2015-02-10 Google Inc. Limiting the functionality of a software program based on a security model
KR20180095885A (ko) * 2015-12-16 2018-08-28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검증 방법 및 디바이스
US11196753B2 (en) 2015-12-16 2021-12-07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Selecting user identity verification methods based on verification results
KR20180039837A (ko) * 2016-10-11 2018-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지문 센싱 모드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85533B2 (ja) 2008-11-26
US20080001703A1 (en) 2008-01-03
CN101090575A (zh) 2007-12-19
JP2007336245A (ja) 2007-12-27
CN101090575B (zh) 2010-07-28
KR100914129B1 (ko) 200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129B1 (ko) 인증기능을 갖는 휴대단말장치 및 기록매체
JP4903501B2 (ja) 認証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965873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KR10215821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EP2860655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8745490B2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various operations using a multi-fingerprint-touch inpu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KR10200191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WO2007091436A1 (ja) 携帯端末、携帯端末の制御方法、携帯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2159052A (ja) 指紋認証機能付き移動端末
JP4709065B2 (ja) 指紋認証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254797B2 (ja) データ処理装置
JP2014110009A (ja) 携帯端末装置
CN105654302A (zh) 支付方法和装置
CN106023370A (zh) Nfc设备的解锁方法及装置
JP4894465B2 (ja) 情報処理装置
JPH04352548A (ja) 個人認証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4729074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78831A (ko) 휴대단말의 보안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JPH04352547A (ja) 個人認証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5046567B2 (ja) 認証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
JP2023025104A (ja) 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6113719A (ja)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その認証方法、該機器用収容器、通信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N106295279B (zh) 终端控制的方法及装置
JP2012178876A (ja) プログラム
JP2006086998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