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7206A - 전자인증시스템과 연동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인증시스템과 연동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7206A
KR20070117206A KR1020060051108A KR20060051108A KR20070117206A KR 20070117206 A KR20070117206 A KR 20070117206A KR 1020060051108 A KR1020060051108 A KR 1020060051108A KR 20060051108 A KR20060051108 A KR 20060051108A KR 20070117206 A KR20070117206 A KR 20070117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steering
lock
vehicle
loc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8223B1 (ko
Inventor
김응열
Original Assignee
김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열 filed Critical 김응열
Priority to KR1020060051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223B1/ko
Priority to US12/303,414 priority patent/US20090199604A1/en
Priority to PCT/KR2007/001984 priority patent/WO2007142405A1/en
Publication of KR20070117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05Arrangement of the steering colum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기존의 차량 구조에서 최소한의 구조 변경을 통하여 전자인증 시스템과 연동되며, 탈착이 자유롭고 간편하여 생산성, 장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도난 방지에 유용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인증시스템과 연동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 방법이 제시된다. 스티어링 로크바디에 키실린더를 제거하고 장착된 엑츄에이터는 로크핀과 연결된 캠돌기와 결합되어 로크핀을 이동시킨다. 엑츄에이터는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전자인증 장치에 의해 구동되며, 구동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엑츄에이터는 작동하여 로크핀을 이동하여 스티러링 칼럼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장치 및 제작 방법으로 인하여 손쉽고, 효율적이며, 보안성이 향상된 스티어링 로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스티어링 로크장치, 도난방지장치, 전자인증 장치, 스마트키

Description

전자인증시스템과 연동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 방법{STEERING LOCK DEVICE FOR COUPL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도 1 및 도 2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5-38288호에 제시된 스티어링 로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로크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엑츄에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로크핀에 의해 스티어링 샤프트가 로킹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로크핀이 후진하여 스티어링 샤프트가 언로킹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그니션 로크바디 100: 메인 바디
120: 샤프트 수용부 126: 로킹홈
130: 점화스위치 수용홈 140: 엑츄에이터 장착홈
160: 보호커버 200: 엑츄에이터
220: 모터 250: 회동유닛
260: 슬릿 340: 로크핀
본 발명은 전자인증시스템과 연동되는 스티어링 로크 장치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기존의 차량 구조에서 최소한의 구조 변경을 통하여 전자인증 시스템과 연동되며, 탈착이 자유롭고 간편하여 생산성, 장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도난 방지에 유용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캐나다 연방정부가 2007년 9월 1일 이후 출시되는 모든 차량에 대해 도난방지장치 장착을 의무화 할 것이라고 발표, 국내생산업계는 물론 캐나다로 자동차를 수출하는 한국의 관련업계와 도난방지장치 제조업체 등의 향후 산업판도에도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캐나다 연방정부는 현재 차량의 소유자가 아닌 사람(unauthorized user)이 자동차의 시동을 걸려고 할 때 자동으로 엔진이 작동되지 않도록 고안된 도난방지장치의 사용을 법적으로 의무화하기 위해 자동차안전지침(Motor Vehicle Safety Regulations)을 수정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캐나다만이 아니라 세계적인 추세하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발 맞추어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사용범위가 확산되고 있으며 법제화하여 의무적으로 장착되고 있는 추세에 있 다.
이러한 도난방지장치의 일예로 스티어링 로크 장치를 들 수 있는데, 스티어링 로크 장치는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티어링 샤프트에 형성된 로킹홈과, 상기 로킹홈에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이탈될 수 있는 로크핀과, 상기 로크핀을 이동시키는 잠금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잠금장치는 일반적으로 이그니션 로크장치라고도 하며, 시동키가 삽입되는 키홈을 가진 키 실린더와 상기 키 실린더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캠, 그리고 상기 캠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로크핀 및 점화 스위치로 구성된다.
종래의 스티어링 로크 장치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를 제시한다. 도 1 및 도 2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5-38288호에 제시된 스티어링 로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장치는 스티어링 컬럼(1)의 비로킹상태에서는 캠(12)이 로크 바 지지부재(5)의 캠 수납실(10)의 외측벽에 접촉되어 로크 바 지지부재(5)를 구속한 상태에 있고, 엔진도 가동상태(키의 ON위치)에 있는 바, 상기 스티어링 컬럼(1)의 비로킹상태에서 엔진을 정지하기 위하여 키(17)를 온(ON)위치에서 액세서리 모드(ACC)를 경유하여 로크(LOCK) 위치로 회전하면 로터(9)가 회전함에 따라 캠 조작부재(11)가 회전되며, 캠 조작부재(11)가 회전함에 따라 캠(12)이 캠 수납실(10) 외측벽에서 이탈되어 로크 바 지지부재(5)의 구속을 해제함과 동시에 캡(15)과 로크 바 지지부재(5)의 캠 수납실(10) 외측벽 사이에 설치한 코일 스프링(1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로크 바 지지부재(5)가 걸림턱(18)에 걸림될 때 까지 스티어링 컬럼(1)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로크 바(6)가 도 2 및 도 3의 가상선과 같이 스티어링 컬럼(1)에 형성한 로크공(7)에 삽입됨으로써 컬럼(1)을 로킹한다.
즉, 시동키(17)를 키 실린더(8)에 삽입하여 회전하면, 캠(12)은 상기 로터(9)와 연동하여 회전하고, 캠(12)과 결합된 점화스위치(14)도 회전운동을 하여 엔진의 시동과 정지가 이루어지며, 이와 동시에 캠(12)과 연동된 로크핀스토퍼(5)가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로크핀(6)을 스티어링 샤프트(1)에 형성된 로킹홈(7)에 삽입되거나 이탈됨으로서 스티어링샤프트(1)를 로킹 혹은 언로킹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그니션 로크장치를 구성하는 키 실린더(8)와 점화 스위치(14)는 고장시 수리를 위하여 일정 조건하에서 이그니션 로크바디(4)와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식 스티어링 로크장치는 기계적으로만 인증 절차를 수행함으로서 일반적으로 전자 인증시스템이나 기계식 및 전자인증 시스템을 겸용하는 시스템에 비하여 도난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기 위해서는 항상 시동키를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스티어링 로크 장치를 언로킹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시동키로 시동장치를 조작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근래에는 시동키 없이 전자 인증방식을 통해 시동 및 운행이 가능한 스마트키 시스템이 있는데, 기존의 기계식 스티어링 로크장치를 상기 스마트 키 시스템으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고비용과 많은 시간, 노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자 인증방식을 통한 스마트키와 연동하여 조작될 수 있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의 연구가 절실한 시점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의 스마트키 등과 같은 전자인증 시스템과 연동하여 시동키가 필요 없이도 자동으로 조작되는 스티어링 로크 장치 및 그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차량 구조에서 최소한의 구조 변경을 통하여 전자인증 시스템과 연동되므로 사후 장착이 용이한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착이 자유롭고 간편하여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차량의 도난 방지에 유용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티어링 로크장치는 로크핀의 이동에 따라 차량의 스티어링 칼럼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스티어링 로크장치에 있어서, 외형을 형성하는 이그니션 로크바디와, 상기 이그니션 로크바디의 키실린더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결합되며, 상기 로크핀을 이동시키는 엑츄에이터, 및 상기 엑츄에이터의 대향측에 결합되어 상기 대향측을 폐쇄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며, 차량의 외부에서 송신되는 전기 신호에 의하여 상기 엑츄에이터가 상기 로크핀을 이동시켜 상기 스티어링 칼럼을 로 킹 혹은 언로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엑츄에이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구동력을 생산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유닛 및 일측은 상기 기어 유닛에 결합되며, 타측에는 상기 로크핀을 이동시킬 수 있는 캠돌기와 결합되는 슬릿이 형성된 회동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운전자가 소지하여 차량과 운전자가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였을 경우 통신에 의하여 자동으로 상기 전기 신호를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작 방법은 로크핀의 이동에 따라 차량의 스티어링 칼럼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스티어링 로크장치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외부에서 송신되는 전기 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엑츄에이터를 제공하는 단계와, 차량의 이그니션 로크바디에서 키실린더 및 점화스위치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키실린더가 결합되어 있던 엑츄에이터 장착홈에 상기 엑츄에이터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키실린더가 장착되어 있던 점화스위치 수용홈을 폐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차량의 외부에서 송신되는 전기 신호에 의하여 상기 엑츄에이터가 상기 로크핀을 이동시켜 상기 스티어링 칼럼을 로킹 혹은 언로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로크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그니션 로크바디(100)는 메인 바디(110)가 구비되 어 있으며, 그 하측에 도우넛 형상으로서, 핸들과 연결되는 스티어링 샤프트(125)가 통과하는 샤프트 수용부(120)가 하측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메인 바디(110)의 상부 일측에는 엑츄에이터(200)가 장착되는 엑츄에이터 장착홈(140)이 제공되며, 상기 엑츄에이터 장착홈(140)과 마주보는 방향(즉, 대향측)으로는 점화스위치를 제거한 점화스위치 수용홈(130)이 형성된다. 상기 점화스위치 수용홈(130)에는 마개(160)를 이용하여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점화스위치 수용홈(130)에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된 실린더를 삽입하여, 다른 이물질이 점화스위치 수용홈(130)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고, 외부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된다.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25)는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로킹홈을 구비하여 엑츄에이터(200)에 의해 이동하는 로크핀에 의하여 로킹(locking) 혹은 언로킹(unlocking)한다. 즉, 스티어링 샤프트(125)의 로킹홈은 샤프트 수용부(120)에 의해 감싸지는 스티어링 샤프트(125)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 바디(110)에서 샤프트 수용부(120)로 돌출되는 로크핀이 로킹홈에 결합됨으로서 스티어링 샤프트가 로킹된다.
상기 엑츄에이터 장착홈(140)에는 출시되는 차량에서는 키가 삽입되는 키 실린더 및 키실린더에 장착된 로터가 결합되기도 하는 곳이다. 본 스티어링 로크장치(100)는 외부에서 키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지 않도록 키실린더 및 로터를 제거하고, 상기 엑츄에이터 장착홈(140)에 외부 신호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는 엑츄에이터(200)를 결합한다.
엑츄에이터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4를 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 에 따른 엑츄에이터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츄에이터(200)는 일측에 개구(開口)된 관통구멍(270)이 형성된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수납되며 구동력을 생산하는 모터(220)와, 상기 모터(220)의 축에 연결된 제1 기어(230)와, 상기 제1 기어(230)와 연결되어 구동력의 방향을 수직으로 바꿔주는 제2 기어(240)와, 상기 제2 기어(240)에 연결된 회동 유닛(250)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220)는 차량의 전원을 이용하거나,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모터(220)는 차량의 외부에서 송신되는 전기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데, 모터의 구동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로는 스마트 키 등의 차량의 전자인증 장치를 그 일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230) 및 제2 기어(240)는 구동력을 수직으로 변경하여 전달하는 일반적인 웜기어일 수 있다. 상기 회동 유닛(250)은 일측은 상기 제2 기어(240)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하우징(210)의 관통구멍(270)을 통해 노출되는 슬릿(2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260)은 그 형상이 장축과 단축이 구별되는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슬릿(260)은 로크핀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기 위하여 캠과 연결된 캠돌기와 결합한다.
모터(220)가 회전하게 되면, 이에 연결된 제1 기어(230) 및 제2 기어(240)가 회전하여 회동 유닛(250)이 일정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동 유닛(250)에 형성된 슬릿(260)이 일정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모터(22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면, 이에 따라 슬릿(260)이 정방향 또는 역방 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5 및 도 6을 제시한다. 도 5는 로크핀에 의해 스티어링 샤프트가 로킹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로크핀이 후진하여 스티어링 샤프트가 언로킹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로크장치(100)의 메인바디(110)의 내부에는 스티어링 샤프트(125)에 형성된 로킹홈(126)에 결합되는 로크핀(340)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로크핀(340)은 로크핀 스토퍼(330)와 연결되어 있으며, 로크핀 스토퍼(330)는 캠(320)과 접해 있다. 로크핀 스토퍼(330)의 일단에는 스프링(350)이 장착되어 탄성력을 전달한다. 스프링(350)은 초기 설정 위치가 압축된 상태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엑츄에이터(200)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로크핀 스토퍼(330)을 밀어서 로크핀(340)이 로킹홈(126)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주차중 등 운전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와 같이 스티어링 샤프트(125)가 로크핀(340)에 의하여 로킹되어서 도난이 방지되도록 작동한다.
만약 운전자가 차량에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였을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소지한 전자인증 장치에서 모터의 구동 전기신호가 발생하여 이를 엑츄에이터(200)의 모터(220)에 송신하게 되며, 그 신호를 수신한 모터(2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모터(220)에서 발생한 구동력은 제1 기어(230) 및 제2 기어(240)를 통해 슬릿(260)을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슬릿(260)과 결합된 캠돌기(311)가 회전하게 된다. 캠돌기(311)가 회전하면, 이에 연결된 캠(320)이 회전한다.
캠(320)이 회전함에 따라 로크핀 스토퍼(330)가 직선으로 후진하고, 이에 연결된 로크핀(340)이 후진하면서 스티어링 샤프트(125)에 형성된 로킹홈(126)에서 이탈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25)는 언로킹되어 운전자의 핸들 조작에 따라 스티어링 샤프트(125)가 회전 가능하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된 부호인 111은 스프링 지지벽체, 310은 점화스위치 수용홈 부위에 장착된 캠돌기이다.
본 발명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징(210)을 제작하고, 그 내부에 모터(220) 및 기어(230, 240) 등을 조립하고, 슬릿(260)이 구비된 회동 유닛(250)을 결합하여 엑츄에이터(200)를 완성한다.
다음, 차량에 이그니션 로크바디에서 키실린더 및 점화스위치를 엑츄에이터 장착홈(140) 및 점화스위치 수용홈(130)에서 분리한다. 이러한 키실린더 및 점화스위치의 분리는 공지의 기술로서, 그 일예로 키홈에 키를 삽입하고 악세서리 모드(Acc Mode)로 돌려준 상태에서 키 실린더의 돌기를 눌러주면 이그니션 로크바디에서 키실린더 및 점화스위치를 분리할 수 있다.
다음, 키실린더가 존재하던 엑츄에이터 장착홈(140)에 엑츄에이터(200)를 삽입 결합한다. 이때, 상기 엑츄에이터(200)의 슬릿(260)이 캠돌기(311)와 결합하도록 결합한다. 또한, 점화스위치가 존재하던 점화스위치 수용홈(130)에 실린더를 삽입하고 보호커버(160)를 결합하여 점화스위치 수용홈(130)을 폐쇄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 차량에 최소한의 구조 변경을 가하여 용이하게 전자인증 장치와 연동되어 스티어링의 로킹 혹은 언로킹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탈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더 이상 시동 키를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고, 도난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자인증 장치란 차량의 키를 사용하지 않고 차량의 문을 개폐하거나 시동을 걸 수 있는 일체의 장치를 말하며, 그 예로 운전자의 조작, 또는 차량과 운전자가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였을 경우 통신에 의하여 자동으로 작동되는 전자제어장치를 통칭하는 말이다. 즉, 운전자가 원격시동 장치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여 모터의 구동 전기신호를 발생하거나, 또는 RFID 가 내장된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과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였을 경우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거나,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것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시동을 위한 푸시 버튼과 연동하여 신호를 모터의 구동 전기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자인증 장치의 작동예를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의 응용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자인증장치(30)는 원격시동기(31) 또는 시동스위치(32)에 의하여 전자신호를 입력받는다. 원격시동기(31)의 예로는 전술한대로, 운전자가 조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뿐만 아니라, 차량과 운전자가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였을 경우 통신에 의하여 자동으로 작동되는 전자제어장치를 통칭한다.
시동스위치(32)는 일반적인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푸시버튼 스타일의 시동스위치일 수 있다. 시동스위치의 ACC/ON/시동 상태에 따라 제어신호가 전자인증장치(30)에 입력되며, 이에 따라 전자인증장치(30)의 출력 제어신 호가 달라질 수 있다.
전자인증 장치(30)는 시동(42)과 도어의 잠김/해제(43), 또한, 본 엑츄에이터(200)를 이용한 스티어링 로킹/언로킹(44)를 제어하게 되는데, 그 순서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일예로, 원격시동기(31)의 신호를 받아 도어를 해제(43)한 후, 시동스위치(32)의 신호를 받아 스티어링 언로킹 및 시동을 시킬 수 있다. 또는 시동스위치의 여러 모드(예를 들어, ACC/ON/START)에 따라 스티어링 로킹 또는 언로킹이 제어될 수 있다. 시동은 엔진 ECU(41)를 통하여 점화스위치를 점화시킴으로서 시동을 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스마트키 등과 같은 전자인증 장치와 연동하여 시동키가 필요 없이도 자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차량 구조에서 최소한의 구조 변경을 통하여 전자인증 시스템과 연동되므로 사후 장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탈착이 자유롭고 간편하여 생산성, 장착성이 우수하고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장착할 수 있어서 경제적 파급효과도 예상된다.
또한, 기존의 기계적인 스티어링 로크장치를 비교적 간편한 방법으로 전자인증 장치와 연동하도록 변경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도난 방지에 유용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 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로크핀의 이동에 따라 차량의 스티어링 칼럼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스티어링 로크장치에 있어서,
    외형을 형성하는 이그니션 로크바디;
    상기 이그니션 로크바디의 키실린더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결합되며, 상기 로크핀을 이동시키는 엑츄에이터; 및
    상기 엑츄에이터의 대향측에 결합되어 상기 대향측을 폐쇄하는 보호커버;
    를 포함하며, 차량의 외부에서 송신되는 전기 신호에 의하여 상기 엑츄에이터가 상기 로크핀을 이동시켜 상기 스티어링 칼럼을 로킹 혹은 언로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구동력을 생산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유닛; 및
    일측은 상기 기어 유닛에 결합되며, 타측에는 상기 로크핀을 이동시킬 수 있는 캠돌기와 결합되는 슬릿이 형성된 회동 유닛;
    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전자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운전자가 소지하여 차량과 운전자가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였을 경우 통신에 의하여 자동으로 상기 전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인증장치는 시동 스위치의 ACC/ON/START 모드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스티어링 로킹 또는 언로킹을 수행하고, 엔진 ECU를 제어하여 시동을 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5. 로크핀의 이동에 따라 차량의 스티어링 칼럼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스티어링 로크장치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외부에서 송신되는 전기 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엑츄에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차량의 이그니션 로크바디에서 키실린더 및 점화스위치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키실린더가 결합되어 있던 엑츄에이터 장착홈에 상기 엑츄에이터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키실린더가 장착되어 있던 점화스위치 수용홈을 폐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차량의 외부에서 송신되는 전기 신호에 의하여 상기 엑츄에이터 가 상기 로크핀을 이동시켜 상기 스티어링 칼럼을 로킹 혹은 언로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의 제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는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 내부에 모터를 수납하는 단계;
    상기 모터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유닛을 결합시키는 단계; 및
    일측은 상기 기어 유닛에 결합되며, 타측에는 상기 로크핀을 이동시킬 수 있는 캠돌기와 결합되는 슬릿이 형성된 회동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의 제작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전자인증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운전자가 소지하여 차량과 운전자가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였을 경우 통신에 의하여 자동으로 상기 전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의 제작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인증장치는 시동 스위치의 ACC/ON/START 모드에 따라 상기 엑츄에 이터를 제어하여 스티어링 로킹 또는 언로킹을 수행하고, 엔진 ECU를 제어하여 시동을 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의 제작방법.
KR1020060051108A 2006-06-07 2006-06-07 전자인증시스템과 연동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방법 KR100818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108A KR100818223B1 (ko) 2006-06-07 2006-06-07 전자인증시스템과 연동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방법
US12/303,414 US20090199604A1 (en) 2006-06-07 2007-04-24 Steering lock device for coupl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PCT/KR2007/001984 WO2007142405A1 (en) 2006-06-07 2007-04-24 Steering lock device for coupl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108A KR100818223B1 (ko) 2006-06-07 2006-06-07 전자인증시스템과 연동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206A true KR20070117206A (ko) 2007-12-12
KR100818223B1 KR100818223B1 (ko) 2008-04-02

Family

ID=39142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108A KR100818223B1 (ko) 2006-06-07 2006-06-07 전자인증시스템과 연동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82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2292A (zh) * 2017-04-05 2017-06-23 四川百佳科技有限公司 双锁结构电动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5070B2 (en) 2014-08-26 2017-08-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onic vehicle security system devoid of lock cylinder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2538B2 (ja) 2001-03-28 2010-07-14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の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3781644B2 (ja) 2001-07-19 2006-05-31 株式会社ユーシン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0557487B1 (ko) * 2003-01-13 2006-03-07 (주)서울승강기 자동차 도어락 제어장치
JP2005343378A (ja) 2004-06-04 2005-12-15 Yuhshin Co Ltd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0622495B1 (ko) * 2004-10-01 2006-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개인 아이디카드 시스템용 스티어링컬럼 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2292A (zh) * 2017-04-05 2017-06-23 四川百佳科技有限公司 双锁结构电动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8223B1 (ko) 200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7876B2 (en) Steering lock
US20100206020A1 (en) Electric steering lock for motorcycle
CN101646585B (zh) 转向锁定装置
US8825296B2 (en) Method for operating a control system of a motorcycle
JP2008255726A (ja) シリンダ錠装置
KR100780023B1 (ko) 전자인증시스템과 연동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방법
JP3706934B2 (ja) 盗難防止機能が強化された車両のロック装置
JP5550139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20090199604A1 (en) Steering lock device for coupl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2010105495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ロック機構
GB2346354A (en) Steering column lock
JP4838183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0818223B1 (ko) 전자인증시스템과 연동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방법
JP4733429B2 (ja) ロック解除装置
KR20140093207A (ko) 스티어링 칼럼용 도난 방지 장치 및 관련 스티어링 칼럼
JP2009202718A (ja) 車両用電動ハンドルロック装置
JP4584719B2 (ja) 自動車用盗難防止装置
KR20090080409A (ko) 전자인증시스템과 연동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방법
JP6153849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20090080388A (ko) 전자인증시스템과 연동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방법
JP6533152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3291779A (ja) エンジン始動・停止制御システム
JP6153848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1083066B1 (ko) 잠금 장치 및 그 잠금 장치의 작동 방법
KR200446151Y1 (ko) 모터 싸이클 도난방지용 시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