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3747A - 트립 컴퓨터 및 시스템 대기상대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트립 컴퓨터 및 시스템 대기상대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3747A
KR20070113747A KR1020060047431A KR20060047431A KR20070113747A KR 20070113747 A KR20070113747 A KR 20070113747A KR 1020060047431 A KR1020060047431 A KR 1020060047431A KR 20060047431 A KR20060047431 A KR 20060047431A KR 20070113747 A KR20070113747 A KR 20070113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icrocomputer
power
power supply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60047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3747A/ko
Publication of KR20070113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3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disabling clock generation or distrib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clock freque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15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at system level
    • G06F11/1441Resetting or repow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립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키 오프 시 트립 컴퓨터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최소화 수 있으면서 키 온 시 바로 구동할 수 있는 트립 컴퓨터 및 시스템 대기상태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트립 컴퓨터에 있어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고 상기 트립 컴퓨터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전원의 공급을 온/오프 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하는 주변회로들과, 자동차의 키 박스로부터 액세서리 신호 및 이그니션 신호를 입력받고, 대기상태에서 상기 액세서리 신호 또는 이그니션 신호가 온이면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주변회로들로 전원을 제공하고 인히비트(inhibit) 포트를 통해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클럭 펄스를 생성하여 클럭 포트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액세서리 신호가 오프이면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주변회로들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인히비트 포트를 통해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클럭 펄스를 차단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인히비트 포트 및 클럭 포트와 각각 연결되는 인히비트 포트 및 클럭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인히비트 포트를 통해 로우 신호가 입력하고 상기 클럭 펄스가 입력하면 리셋 신호를 상기 마이컴으로 제공하고, 상기 인히비트 포트를 통해 하이 신호가 입력하고 상기 클럭 펄스가 입력하지 않으면 상기 리셋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모니터링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트립 컴퓨터, 모니터링, 키 오프, inhibit, 대기상태

Description

트립 컴퓨터 및 시스템 대기상대 설정방법{TRIP COMPUTER AND METHOD FOR SETTING SYSTEM WAITING ST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립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립 컴퓨터의 시스템 대기상태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트립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키 오프 시 트립 컴퓨터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최소화 수 있으면서 키 온 시 바로 구동할 수 있는 트립 컴퓨터 및 시스템 대기상태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전자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모든 분야에서 전자기술이 접목되고 있다. 자동차 또한 그 예외는 아니어서 자동차에도 수많은 전자기술들이 접목되어 하이브리드형 자동차들이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많은 전자기술들이 차량에 접목됨으로써 차량의 전자장치들에 의해 많은 전류를 소모하게 되고, 전류의 소모가 많아짐으로써 배터리의 수명 또한 단축되고 있다. 심지어는 차량 시동 오프 시에도 데이터의 보존 및 각종 전자장치의 감시 및 보안을 위해 전류를 필요로 하는 전자시스템이 차량에 적용됨에 따라 운전자도 모르게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키 오프 시 전원을 차단하는 트립 컴퓨터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트립 컴퓨터는 키 온, 즉 ACC 온 시 바로 동작을 하지 않고 시스템 구동이라는 시간 동안 작동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시동 오프 시에도 전류를 소모하는 전자시스템으로는 차동차 키의 삽입 및 회전에 의한 차량의 시동 여부를 검사하고 남은 오일량에 따른 주행가능거리, 주행거리 등과 같은 정보를 수집하여 운전자에게 보여주는 트립 컴퓨터(Trip Computer)가 있다. 상기 트립 컴퓨터는 자동차키의 삽입 및 회전에 의한 전원 공급 및 시동 여부를 검사하고, 전원이 공급되거나 시동 시 정상동작을 하기 위해 시동 오프 시에도 지속적으로 전류를 소모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트립 컴퓨터가 시동 오프 시에 소모하는 전류는 30mA 정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최근 자동차의 전자시스템은 시동 오프 시에도 많은 전류를 소모하게 되므로 운전자도 모르게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원 차단 기능을 가지는 전자시스템은 시스템 구동 시간을 가지므로서 정상동작을 하는데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자동차에 적용되는 각종 전자시스템에서 시동오프 시 소모되는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시스템 구동 시간 없이 바로 구동될 수 있는 방안들이 요구되 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 오프 시 트립 컴퓨터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최소화 수 있으면서 키 온 시 바로 구동할 수 있는 트립 컴퓨터 및 시스템 대기상태 설정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트립 컴퓨터에 있어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고 상기 트립 컴퓨터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전원의 공급을 온/오프 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하는 주변회로들과, 자동차의 키 박스로부터 액세서리 신호 및 이그니션 신호를 입력받고, 대기상태에서 상기 액세서리 신호 또는 이그니션 신호가 온이면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주변회로들로 전원을 제공하고 인히비트(inhibit) 포트를 통해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클럭 펄스를 생성하여 클럭 포트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액세서리 신호가 오프이면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주변회로들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인히비트 포트를 통해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클럭 펄스를 차단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인히비트 포트 및 클럭 포트와 각각 연결되는 인히비트 포트 및 클럭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인히비트 포트를 통해 로우 신호가 입력하고 상기 클럭 펄스가 입력하면 리셋 신호를 상기 마이컴으로 제공하고, 상기 인히비트 포트를 통해 하이 신호가 입력하고 상기 클럭 펄스가 입력하지 않으면 상기 리셋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모니터링부로 이루 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다수의 주변회로들과, 모니터링부와 전원부로 이루어지는 트립 컴퓨터의 대기상태 설정 방법에 있어서, 대기상태에서 액세서리 신호 또는 이그니션 신호가 온되는지를 검사하여 웨이크 업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웨이크 업이 발생하면 상기 웨이크 업이 대기상태에서의 웨이크 업인지를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대기상태에서의 웨이크 업인 것으로 판단되면 인히비트 포트를 로우로 설정하고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주변회로로 전원을 제공하여 구동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 후 클럭 펄스를 생성하여 클럭 포트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부로 제공하고 정상 동작을 수행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정상 동작 수행 중에 액세서리 신호가 오프되는지를 검사하여 키 오프되는지를 판단하는 제5과정과, 상기 키 오프 발생하면 상기 클럭 펄스를 차단하고, 상기 인히비트 포트로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주변회로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대기상태로 진입하는 제6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립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립 컴퓨터는 마이컴(10)과 입력부(20)오 디스플레이부(30)와 통신부(40)와 모니터링부(50)와 전원부(60)로 구성된다.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트립 컴퓨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고, 배터리의 탈거 정보를 나타내는 배터리 탈거 플래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자동차키가 삽입되는 키박스로부터 키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키 신호는 액세서리 신호(Accessory: ACC)또는 이그니션(Ignition: IGN) 신호이다. 상기 키 신호, 즉 ACC신호 또는 IGN 신호가 하이(또는 로우)(이하 "온"이라 함)로 입력되면 마이컴(10)은 깨어나(Wake Up) 정상동작 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ACC신호가 로우(또는 하이)(이하 "오프"라 함)로 입력되면 대기상태를 설정한다. 상기 배터리 탈거 플래그는 배터리가 탈거되었을 경우 리셋(또는 셋)으로 설정되고, 배터리가 탈거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셋(또는 리셋)된다.
상기 정상동작 상태에서는 inhibit 포트를 로우(Low)로 설정하고 상기 전원부(60)를 제어하여 주변회로, 즉 입력부(20), 디스플레이부(30) 및 통신부(40)로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하고, 정상상태 동작중임을 나타내는 100Hz의 클럭 펄스를 생성하여 상기 모니터링부(5)의 클럭(CLK) 포트로 출력한다. 정상 동작 시 트립 컴퓨터에서 소모하는 전류는 통상적으로 300mA이다.
대기상태에서는 상기 클럭 펄스를 차단하고, 상기 inhibit 포트를 하이(High)로 설정하고, 전원부(60)를 제어하여 상기 주변회로들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며, 마이컴(10) 자신도 최소한의 전류만을 소모하는 대기상태로 진입한다. 상 기 대기상태에서는 inhibit 포트를 통해 하이의 신호를 출력하고 ACC 및 IGN 포트를 감시하기 위한 전류만을 소모한다.
입력부(20)는 상기 전원부(60)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하며, 트립 컴퓨터의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키들을 구비하고, 상기 키들 중 운전자에 의해 눌려진 키에 대한 키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마이컴(10)으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전원부(60)의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하며, 상기 마이컴(10)의 제어를 받아 남은 오일량에 따른 주행가능 거리, 주행거리 등과 다양한 정보들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통신부(40)는 상기 전원부(60)의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하며, 상기 마이컴(10)의 제어를 받아 차량의 다른 장치, 예를 들어, 속도측정장치 및 오일측정장치 등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장치들로부터 측정된 속도 및 잔여 오일량 등의 정보를 상기 마이컴(40)으로 제공한다.
모니터링부(50)는 상기 전원부(60)의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하고, 클럭(CLK) 포트와 inhibit 포트를 통해 마이컴(10)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상기 inhibit 포트로 하이 신호가 입력하면, 즉 마이컴(10)이 대기상태에 있으면, 상기 모니터링부(50)는 RST 포트를 통해 리셋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inhibit 포트로 로우 신호가 입력고, 즉 즉 마이컴(10)이 정상동작 상태에 있고, 상기 CLK 포트를 통해 100Hz의 클럭 펄스가 입력하면 정상동작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100Hz의 클럭 펄스가 입력하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RST 포트를 통해 리셋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모니터링부(50)는 상기 마이컴(10)이 대기상태일 때나 정상상태일 때 마이컴(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해야 하므로 대기상태일 때에도 상기 전원부(6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야 한다.
상기 전원부(60)는 자동차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한 구성들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마이컴(10)의 제어를 받아 상기한 구성들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마이컴(10)은 대기상태에서 주변회로로 누설될 수 있는 전류를 차단하고, 마이컴(10)이 출력하는 클럭 펄스도 생성하지 않으므로 1mA 정도의 전류만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립 컴퓨터의 시스템 대기상태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이하 트립 컴퓨터가 대기상태에 있다는 가정하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마이컴(10)은 대기상태, 즉 inhibt 포트로 하이의 신호를 출력하고 CLK 포트를 통해 클럭 펄스를 제공하지 않는 상태에서 211단계로 진행하여 키 신호인 ACC 신호가 온되는지를 검사하여 웨이크 업 할지를 판단한다.
상기 211단계에서 ACC 신호 또는 IGN 신호가 온되면 마이컴(10)은 213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배터리 탈거 플래그를 검사하여 배터리가 탈거되었었는지를 검사하여 대기상태에서의 웨이크 업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배터리 탈거 플래그가 셋(또는 리셋)되어 있으면 배터리가 탈거가 없었던 것이므로 대기상태에서의 웨이크 업으로 판단하고, 마이컴(10)은 215단계로 진행하여 inhibit 포트를 로우로 설정하고, 전원부(60)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부(20), 디스플레이부(30) 및 통신부(40)의 주변회로들로 전원을 공급한후 221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배터리 탈거 플래그의 검사 결과 배터리 탈거 후 재 장착에 의한 웨이크 업인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컴(10)은 217단계로 진행하여 inhibit 포트를 로우로 설정하고, 219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 초기화, 마이컴 포트 초기화 및 주변회로를 재정의 한 후 22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15단계 또는 219단계에서 221단계로 진행한 마이컴(10)은 CLK 포트를 통해 100Hz의 클럭 펄스를 생성하여 모니터링부(50)로 출력하여 정상상태 동작 중임을 모니터링부(50)로 알린다.
상기 221단계에서 정상동작 상태에서 마이컴(10)은 223단계로 진행하여 ACC가 오프로 입력하는지를 검사하여 키 오프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223단계에서 키 오프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컴(10)은 225단계로 진행하여 CLK 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클럭 펄스를 차단하고, inhibit 포트를 하이로 설정하고, 전원부(60)를 제어하여 모니터링부(50)를 제외한 주변회로들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227단계로 진행하여 자신도 대기상태로 설정한다.
또한, 마이컴(10)은 RST 포트를 지속적으로 검사하고, 리셋 신호가 입력하는 경우 시스템 리셋을 수행한다. 시스템 리셋은 상기 배터리 탈거 시와 같이 메모리 초기화, 마이컴 포트 초기화 및 주변회로를 재정의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 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트립 컴퓨터는 대기상태, 즉 키 오프 상태에서 주변회로로 제공될 수 있는 전원을 차단하고, 클럭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지 않으므로 최소한의 전류만을 소모하면서도 시스템 구동 시간 없이 바로 동작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5)

  1. 트립 컴퓨터에 있어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고 상기 트립 컴퓨터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전원의 공급을 온/오프 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하는 주변회로들과,
    자동차의 키 박스로부터 액세서리 신호 및 이그니션 신호를 입력받고, 대기상태에서 상기 액세서리 신호 또는 이그니션 신호가 온이면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주변회로들로 전원을 제공하고 인히비트(inhibit) 포트를 통해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클럭 펄스를 생성하여 클럭 포트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액세서리 신호가 오프이면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주변회로들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인히비트 포트를 통해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클럭 펄스를 차단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이 정상 동작적으로 동작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정상동작하지 않을 경우 상기 마이컴을 리셋하는 모니터링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컴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가 상기 인히비트 포트로 로우신호가 입력하고 상기 클럭 펄 스가 입력하지 않을 경우 상기 마이컴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마이컴을 리셋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립 컴퓨터.
  3. 다수의 주변회로들과, 모니터링부와 전원부로 이루어지는 트립 컴퓨터의 대기상태 설정 방법에 있어서,
    대기상태에서 액세서리 신호 또는 이그니션 신호가 온되는지를 검사하여 웨이크 업 할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액세서리 신호 또는 이그니션 신호가 온되면 웨이크 업 하고, 상기 웨이크 업이 대기상태에서의 웨이크 업인지를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대기상태에서의 웨이크 업인 것으로 판단되면 인히비트 포트를 로우로 설정하고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주변회로로 전원을 제공하여 구동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 후 클럭 펄스를 생성하여 클럭 포트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부로 제공하고 정상 동작을 수행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정상 동작 수행 중에 액세서리 신호가 오프되는지를 검사하여 키 오프되는지를 판단하는 제5과정과,
    상기 키 오프가 발생하면 상기 클럭 펄스를 차단하고, 상기 인히비트 포트로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주변회로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대기상태로 진입하는 제6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의 판단에서 대기상태에서의 웨이크 업이 아니라 배터리 탈거에서 웨이크 업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히비트 포트로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제7과정과,
    메모리 초기화 및 마이컴 포트 초기화 및 주변회로를 재정의 하고 상기 제4과정으로 진행하는 제8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에러 발생 시 상기 모니터링부로부터 리셋 신호를 입력받아 시스템을 리셋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0047431A 2006-05-26 2006-05-26 트립 컴퓨터 및 시스템 대기상대 설정방법 KR20070113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431A KR20070113747A (ko) 2006-05-26 2006-05-26 트립 컴퓨터 및 시스템 대기상대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431A KR20070113747A (ko) 2006-05-26 2006-05-26 트립 컴퓨터 및 시스템 대기상대 설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747A true KR20070113747A (ko) 2007-11-29

Family

ID=39091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431A KR20070113747A (ko) 2006-05-26 2006-05-26 트립 컴퓨터 및 시스템 대기상대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37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3321A (zh) * 2017-01-20 2017-07-07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其开机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5309A (ko) * 1995-12-19 1997-07-26 전성원 인히비터 스위치의 기능을 변경한 시동 회로
KR19980037739A (ko) * 1996-11-22 1998-08-05 박병재 댐퍼 클러치를 이용한 엔진 시동 제어장치
KR20020056537A (ko) * 2000-12-29 2002-07-10 이계안 차량용 엔진 아이들 제어 방법
JP2003254210A (ja) * 2002-03-01 2003-09-10 Alpha Corp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JP2006070752A (ja) * 2004-08-31 2006-03-16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WO2006037925A1 (fr) * 2004-10-06 2006-04-13 Renault S.A.S. Dispositif de gestion de l'alimentation du systeme multimedia d'un vehicule automobile
KR20060093371A (ko) * 2005-02-21 2006-08-2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주변 장치들을 가지는 차량용 시스템에서 고속 부팅 및 전원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5309A (ko) * 1995-12-19 1997-07-26 전성원 인히비터 스위치의 기능을 변경한 시동 회로
KR19980037739A (ko) * 1996-11-22 1998-08-05 박병재 댐퍼 클러치를 이용한 엔진 시동 제어장치
KR20020056537A (ko) * 2000-12-29 2002-07-10 이계안 차량용 엔진 아이들 제어 방법
JP2003254210A (ja) * 2002-03-01 2003-09-10 Alpha Corp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JP2006070752A (ja) * 2004-08-31 2006-03-16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WO2006037925A1 (fr) * 2004-10-06 2006-04-13 Renault S.A.S. Dispositif de gestion de l'alimentation du systeme multimedia d'un vehicule automobile
KR20060093371A (ko) * 2005-02-21 2006-08-2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주변 장치들을 가지는 차량용 시스템에서 고속 부팅 및 전원 관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3321A (zh) * 2017-01-20 2017-07-07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其开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7136B2 (en) Apparatus for rewriting a memory in a vehicle mounted ECU through communications
JP5231047B2 (ja) 制御装置
CN106740828A (zh) 一种辅助驾驶系统的运行控制方法和装置
KR101029941B1 (ko) 차량의 대기 전류 관리 장치
KR20070113747A (ko) 트립 컴퓨터 및 시스템 대기상대 설정방법
JP5465799B2 (ja) 制御装置
US20020174375A1 (en) Apparatus of controlling supply of device drive clocks
JPH0325046A (ja) 車両内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
KR100726595B1 (ko) 엔진제어유닛의 재가동 장치 및 방법
KR100954215B1 (ko) 비상 안전 기능을 갖는 차량 전력공급 제어장치
CN114750715A (zh) 一种电源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装置和车辆
CN115158188A (zh) 一种车载座舱域控制器启动方法及系统
KR101660252B1 (ko)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장치 방법
CN103123463A (zh) 一种控制系统状态的方法及装置
JP2013116652A (ja) 車載制御システム
JP2004280294A (ja) 車載用電源管理装置
JP2009247153A (ja) 電源中継制御装置および電源中継制御方法
JP2009061987A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
JP2006323602A (ja) 電子機器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JP3120359B2 (ja) 車載器の載せ換え使用防止装置
JP2001166017A (ja) 車載バッテリの電源電圧監視システム
JPH0558233A (ja) 多重伝送装置
KR20090108438A (ko) 비상 안전 기능을 갖는 차량 전력공급 제어장치
JPH05241696A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CN116610369A (zh) 一种基于多开关信号组合远程唤醒软件升级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