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252B1 -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장치 방법 - Google Patents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장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252B1
KR101660252B1 KR1020100058780A KR20100058780A KR101660252B1 KR 101660252 B1 KR101660252 B1 KR 101660252B1 KR 1020100058780 A KR1020100058780 A KR 1020100058780A KR 20100058780 A KR20100058780 A KR 20100058780A KR 101660252 B1 KR101660252 B1 KR 101660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information
battery sensor
sensor
eq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8725A (ko
Inventor
김동하
송진우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8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252B1/ko
Publication of KR20110138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14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omprising means for controlling automatic idle-start-stop
    • F02N11/0818Conditions for starting or stopping the engine or for deactivating the idle-start-stop mode
    • F02N11/0825Conditions for starting or stopping the engine or for deactivating the idle-start-stop mode related to prevention of engine restart failure, e.g. disabling automatic stop at low battery stat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배터리 센서; 및 배터리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정보 및 배터리 센서와의 통신 라인 정보, 배터리 센서의 활성화 횟수 정보, 시동 시 배터리 전압값 정보, 시동 시 전압 강하되는 배터리 최소값 정보, 총 시동 횟수 정보,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경과 시간 정보,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실행 중 시동 횟수 정보, 및 아이들 스톱 시간 대비 엔진 시동 시간 비를 토대로 배터리 상태를 판정하여 아이들 스톱 진입 여부를 판정하는 엔진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장치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IDLE OF VEHICLE HAVING ISG}
본 발명은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 정보 및 배터리 상태 정보를 토대로 아이들 스톱 진입 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이들 스톱 & 고 시스템(Idle Stop & Go System, ISG)은, 연비 절감 및 이산화탄소 배기 가스 절감을 목적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주행 중 차량 정차 후(아이들(Idle) 상태)에 자동적으로 엔진을 정지시키고, 엔진 정지 후 운전자의 주행 의지가 감지되면 이그니션 키 조작없이 자동적으로 시동을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ISG를 장착한 차량은, 일반 차량에 비해 훨씬 많은 시동을 하게 됨에 따라, 통상적인 차량 보다 배터리 소모가 심하다(차량은 시동 시 배터리 소모가 가장 크다).
이러한 ISG를 장착한 차량의 경우 배터리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전압을 토대로 배터리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즉, 배터리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차량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한 후 배터리 전류 적산값을 이용하여 배터리 상태를 판단하게 되는데 이 경우 통상 차량 전원 탈거 후 배터리 전류 적산값을 연산하는데 통상 4시간 이상이 소요되고, 배터리 전류 적산값을 연산하는 도중에 배터리 전압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재시동을 시킬 경우에도 아이들 스톱(Idle Stop) 기능이 실행되어 배터리 소모가 가속화되어 엔진 시동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한 후 배터리 전류 적산값을 연산하는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영역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상태 정보들을 기초로 배터리 상태를 판단하고 배터리 상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아이들 스톱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장치를 제공함에 따라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영역에서도 배터리 상태에 따라 아이들 스톱 기능을 실행할 수 있어 아이들 스톱 기능에 따른 연비를 더욱 향상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한 후 배터리 전류 적산값을 연산하는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영역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상태 정보들을 기초로 배터리 상태를 판단하고 배터리 상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아이들 스톱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방법을 제공함에 따라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영역에서도 배터리 상태에 따라 아이들 스톱 기능을 실행할 수 있어 아이들 스톱 기능에 따른 연비를 더욱 향상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따른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장치는,
배터리 센서; 및
배터리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정보 및 배터리 센서와의 통신 라인 정보, 배터리 센서의 활성화 횟수 정보, 시동 시 배터리 전압값 정보, 시동 시 전압 강하되는 배터리 최소값 정보, 총 시동 횟수 정보,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경과 시간 정보,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실행 중 시동 횟수 정보, 및 아이들 스톱 시간 대비 엔진 시동 시간 비를 토대로 배터리 상태를 판정하여 아이들 스톱 진입 여부를 판정하는 엔진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경과 시간 정보를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실행 시작 시 리셋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실행 중 총 시동 횟수 정보를 배터리 탈거 시 리셋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배터리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정보 및 배터리 센서와의 통신 라인 정보을 토대로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실행 중인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센서의 활성화 횟수 정보가 미리 저장된 기준치 이상이고, 시동 시 배터리 전압값이 미리 정해진 제1 판단 기준치 이상이며, 시동 시 전압 강하되는 배터리 최소값이 미리 정해진 제2 판단 기준치 이하이고, 총 시동 횟수 정보가 미리 정해진 제3 판단 기준치 이하이며,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4 판단 기준치 이하이고,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실행 중 시동 횟수 정보가 미리 저장된 제5 판단 기준치 이하이며, 및 아이들 스톱 시간 대비 엔진 시동 시간 비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 이하인 경우 배터리 상태 정보를 안정된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따른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방법은,
엔진 제어 유닛에서 배터리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정보 및 배터리 센서와 엔진 제어 유닛 간의 통신 라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엔진 제어 유닛에서, 배터리 신호의 미활성화 정보 및 통신 라인 정보를 기반으로 배터리 센서가 미활성화 실행 중인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상태 정보들을 기반으로 배터리 상태를 판정하고, 배터리 상태를 토대로 아이들 스톱 진입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상태 정보는,
배터리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정보 및 배터리 센서와의 통신 라인 정보, 배터리 센서의 활성화 횟수 정보, 시동 시 배터리 전압값 정보, 시동 시 전압 강하되는 배터리 최소값 정보, 총 시동 횟수 정보,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경과 시간 정보,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실행 중 시동 횟수 정보, 및 아이들 스톱 시간 대비 엔진 시동 시간 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이들 스톱 진입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센서의 활성화 횟수 정보가 미리 저장된 기준치 이상이고, 시동 시 배터리 전압값이 미리 정해진 제1 판단 기준치 이상이며, 시동 시 전압 강하되는 배터리 최소값이 미리 정해진 제2 판단 기준치 이하이고, 총 시동 횟수 정보가 미리 정해진 제3 판단 기준치 이하이며,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4 판단 기준치 이하이고,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실행 중 시동 횟수 정보가 미리 저장된 제5 판단 기준치 이하이며, 및 아이들 스톱 시간 대비 엔진 시동 시간 비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 이하인 경우 배터리 상태 정보를 안정된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아이들 스톱 진입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에서,
배터리 신호의 미활성화 정보 및 통신 라인 정보를 기반으로 배터리 센서가 미활성화 실행 중이 아닌 경우 배터리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전압값을 기반으로 아이들 스톱 진입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한 후 배터리 전류적산값을 연산하는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영역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상태 정보들을 기초로 배터리 상태를 판단하고 배터리 상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아이들 스톱 진입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영역에서도 배터리 상태에 따라 아이들 스톱 기능을 실행할 수 있어 아이들 스톱 기능에 따른 연비를 더욱 향상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장치는, 차량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한 후 배터리 전류적산값을 연산하는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영역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상태 정보들을 기초로 배터리 상태를 판단하고 배터리 상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아이들 스톱 진입 여부를 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장치는, 배터리 센서(10) 및 엔진 제어 유닛(30)으로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 센서(10)는 일반적인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여 엔진 제어 유닛(30)으로 제공하도록 구비되며, 이에 더하여,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정보 및 통신 라인 정보를 상기 엔진 제어 유닛(30)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정보는, 배터리 전원을 탈거한 후 전류전산값을 연산하는 로직의 실행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값으로서, 로직 실행을 나타내는 로직 0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통신 라인 정보는 상기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정보가 상기 엔진 제어 유닛(30)의 전달될 때 통신 라인의 이상 여부를 판정하는 로직의 실행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값으로서, 통신 라인의 정상인 경우 로직 1로 설정된다.
즉, 상기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정보가 로직 0이고, 통신 라인 정보가 로직 1로 상기 엔진 제어 유닛(30)에 제공되면, 상기 엔진 제어 유닛(30)은 배터리 센서가 미활성화 실행 중으로 판정한다.
이 후 상기 엔진 제어 유닛(30)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상태 정보들을 수집하고, 상기 배터리 상태 정보를 토대로 배터리 상태를 판정하며, 상기 배터리 상태가 안정된 경우 아이들 스톱 진입을 허가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상태 정보는, 배터리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정보 및 배터리 센서와의 통신 라인 정보, 배터리 센서의 활성화 횟수 정보, 시동 시 배터리 전압값 정보, 시동 시 전압 강하되는 배터리 최소값 정보, 총 시동 횟수 정보,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경과 시간 정보,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실행 중 시동 횟수 정보, 및 아이들 스톱 시간 대비 엔진 시동 시간 비를 포함한다.
여기서,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경과 시간 정보는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실행 시작 시 리셋하도록 구비되고, 또한,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실행 중 총 시동 횟수 정보는 배터리 탈거 시 리셋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엔진 제어 유닛(30)은 상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센서의 활성화 횟수 정보가 미리 저장된 기준치 이상이고, 시동 시 배터리 전압값이 미리 정해진 제1 판단 기준치 이상이며, 시동 시 전압 강하되는 배터리 최소값이 미리 정해진 제2 판단 기준치 이하이고, 총 시동 횟수 정보가 미리 정해진 제3 판단 기준치 이하이며,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4 판단 기준치 이하이고,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실행 중 시동 횟수 정보가 미리 저장된 제5 판단 기준치 이하이며, 및 아이들 스톱 시간 대비 엔진 시동 시간 비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 이하인 경우 배터리 상태 정보가 안정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치, 제1 판단 기준치 내지 제5 판단 기준치 및 임계치는 배터리 상태를 판정하기 위해 룩 업 테이블값으로 엔진 제어 유닛에 저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기 기준치, 제1 판단 기준치 내지 제5 판단 기준치 및 임계치는 다수의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값으로 엔진 시동을 위한 최적의 배터리를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값들이다.
상기 엔진 제어 유닛(30)에서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정보 및 통신 라인 정보 및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상태 정보들을 토대로 배터리 상태를 판정하고 배터리 상태 판정 결과에 따라 아이들 스톱 진입 여부를 판정하는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엔진 제어 유닛에 의한 배터리 상태 판정에 따른 아이들 스톱 진입 여부를 판정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엔진 제어 유닛에서, 단계(101)를 통해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정보 및 통신 라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정보 및 통신 라인 정보를 통해 배터리 센서가 미활성 상태인 지를 판단한다(단계 103).
그리고, 상기 엔진 제어 유닛(30)에서, 상기 단계(103)를 통해 배터리 센서가 미활성화 상태인 경우 단계(105)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상태 정보들을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단계(107)를 통해 수신된 배터리 상태 정보들과 미리 저장된 데이터값을 토대로 배터리 상태가 안정되었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단계(107)의 판단 결과 배터리 상태가 안정된 경우 아이들 스톱 진입을 허가한다(단계 109).
한편, 상기 단계(107)의 판단 결과 배터리 상태가 안정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단계(109)로 진행하고, 상기 단계(111)는 아이들 스톱 진입을 금지한다.
상기 단계(103)에서 배터리 신호의 미활성화 정보 및 통신 라인 정보를 기반으로 배터리 센서가 미활성화 실행 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단계(113)으로 진행하고 상기 단계(113)은 배터리 센서(10)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전압값을 기반으로 아이들 스톱 진입 여부를 판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한 후 배터리 전류적산값을 연산하는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영역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상태 정보들을 기초로 배터리 상태를 판단하고 배터리 상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아이들 스톱 진입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영역에서도 배터리 상태에 따라 아이들 스톱 기능을 실행할 수 있어 아이들 스톱 기능에 따른 연비를 더욱 향상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 의해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차량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한 후 배터리 전류적산값을 연산하는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영역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상태 정보들을 기초로 배터리 상태를 판단하고 배터리 상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아이들 스톱 진입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영역에서도 배터리 상태에 따라 아이들 스톱 기능을 실행할 수 있어 아이들 스톱 기능에 따른 연비를 더욱 향상할 수 있는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장치 및 방법에 대한 효율 면에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차량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Claims (10)

  1. 배터리 센서; 및
    배터리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정보 및 배터리 센서와의 통신 라인 정보, 배터리 센서의 활성화 횟수 정보, 시동 시 배터리 전압값 정보, 시동 시 전압 강하되는 배터리 최소값 정보, 총 시동 횟수 정보,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경과 시간 정보,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실행 중 시동 횟수 정보, 및 아이들 스톱 시간 대비 엔진 시동 시간 비를 토대로 배터리 상태를 판정하여 아이들 스톱 진입 여부를 판정하는 엔진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경과 시간 정보를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실행 시작 시 리셋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시동 횟수 정보를 배터리 탈거 시 리셋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배터리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정보 및 배터리 센서와의 통신 라인 정보을 토대로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실행 중인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센서의 활성화 횟수 정보가 미리 저장된 기준치 이상이고, 시동 시 배터리 전압값이 미리 정해진 제1 판단 기준치 이상이며, 시동 시 전압 강하되는 배터리 최소값이 미리 정해진 제2 판단 기준치 이하이고, 총 시동 횟수 정보가 미리 정해진 제3 판단 기준치 이하이며,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4 판단 기준치 이하이고,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실행 중 시동 횟수 정보가 미리 저장된 제5 판단 기준치 이하이며, 및 아이들 스톱 시간 대비 엔진 시동 시간 비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 이하인 경우 배터리 상태 정보를 안정된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장치.
  5. 엔진 제어 유닛에서 배터리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정보 및 배터리 센서와 엔진 제어 유닛 간의 통신 라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엔진 제어 유닛에서, 배터리 신호의 미활성화 정보 및 통신 라인 정보를 기반으로 배터리 센서가 미활성화 로직 실행 중인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상태 정보들을 기반으로 배터리 상태를 판정하고, 배터리 상태를 토대로 아이들 스톱 진입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경과 시간 정보는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실행 시작 시 리셋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실행 중 시동 횟수 정보는 배터리 탈거 시 리셋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상태 정보는,
    배터리 센서의 활성화 횟수 정보, 시동 시 배터리 전압값 정보, 시동 시 전압 강하되는 배터리 최소값 정보, 총 시동 횟수 정보,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경과 시간 정보,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실행 중 시동 횟수 정보, 및 아이들 스톱 시간 대비 엔진 시동 시간 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스톱 진입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센서의 활성화 횟수 정보가 미리 저장된 기준치 이상이고, 시동 시 배터리 전압값이 미리 정해진 제1 판단 기준치 이상이며, 시동 시 전압 강하되는 배터리 최소값이 미리 정해진 제2 판단 기준치 이하이고, 총 시동 횟수 정보가 미리 정해진 제3 판단 기준치 이하이며,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4 판단 기준치 이하이고, 배터리 센서의 미활성화 실행 중 시동 횟수 정보가 미리 저장된 제5 판단 기준치 이하이며, 및 아이들 스톱 시간 대비 엔진 시동 시간 비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 이하인 경우 배터리 상태 정보를 안정된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방법.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배터리 신호의 미활성화 정보 및 통신 라인 정보를 기반으로 배터리 센서가 미활성화 실행 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전압값을 기반으로 아이들 스톱 진입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방법.
KR1020100058780A 2010-06-21 2010-06-21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장치 방법 KR101660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780A KR101660252B1 (ko) 2010-06-21 2010-06-21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장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780A KR101660252B1 (ko) 2010-06-21 2010-06-21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장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725A KR20110138725A (ko) 2011-12-28
KR101660252B1 true KR101660252B1 (ko) 2016-09-27

Family

ID=45504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780A KR101660252B1 (ko) 2010-06-21 2010-06-21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장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2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650B1 (ko) * 2015-11-09 2021-07-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베터리 센서 리셋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03288B1 (ko) * 2019-05-02 2021-01-15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Isg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8060A (ja) 1998-06-30 2000-01-18 Suzuki Motor Corp エンジン自動停止装置
JP2001173480A (ja) 1999-12-17 2001-06-26 Mitsubishi Motors Corp 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4106621A (ja) 2002-09-17 2004-04-08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の自動停止・自動再始動装置
JP2009013953A (ja) 2007-07-09 2009-01-22 Toyota Motor Corp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8060A (ja) 1998-06-30 2000-01-18 Suzuki Motor Corp エンジン自動停止装置
JP2001173480A (ja) 1999-12-17 2001-06-26 Mitsubishi Motors Corp 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4106621A (ja) 2002-09-17 2004-04-08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の自動停止・自動再始動装置
JP2009013953A (ja) 2007-07-09 2009-01-22 Toyota Motor Corp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725A (ko)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1252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05080774A3 (en) Voltage generator device, motor vehicle, control method for the voltage generator device, control method for the motor vehicl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the control method
KR20040021879A (ko)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엔진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04197585A (ja) 自動車用電子制御装置
JP2007046546A (ja) アイドルストップ車両の制御装置
JP2009013953A (ja)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制御装置
CN108365299B (zh) 电动车热管理使能控制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WO2015025543A1 (ja) 作業車両の尿素水補給ガイダンス出力装置および作業車両の尿素水補給ガイダンス出力方法
JP2010247556A (ja) エコラン制御装置
KR101660252B1 (ko) Isg 차량의 아이들 판단 장치 방법
JP2007276654A (ja) 電池状態検知システム及び自動車
JP2006205795A (ja) 電源制御装置
US85833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vehicle wake-up failure
CN103696859B (zh) 坡道上发动机自动停机的控制方法及系统
SE542319C2 (en) Monitoring Battery Charging
JP2007152983A (ja) 車両用電源制御装置
JP4951610B2 (ja) 内燃機関の運転制御装置
JP2010031740A (ja) バッテリ管理装置
KR101003218B1 (ko) 아이들 스톱 & 고 시스템의 제어방법
JP2007253716A (ja) バッテリ監視装置
KR100726595B1 (ko) 엔진제어유닛의 재가동 장치 및 방법
JP5685474B2 (ja) 電力供給装置
KR101832278B1 (ko) 엔진 오프 타이머의 진단 방법
JP2010176541A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
KR101706159B1 (ko) 차량용 밧데리 감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