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0688A -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0688A
KR20070110688A KR1020060043477A KR20060043477A KR20070110688A KR 20070110688 A KR20070110688 A KR 20070110688A KR 1020060043477 A KR1020060043477 A KR 1020060043477A KR 20060043477 A KR20060043477 A KR 20060043477A KR 20070110688 A KR20070110688 A KR 20070110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light emitting
substrate
emitting device
semi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0233B1 (ko
Inventor
이정욱
임진서
민복기
백광현
전헌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3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0233B1/ko
Priority to EP07100133.3A priority patent/EP1858090B1/en
Priority to US11/737,479 priority patent/US8013354B2/en
Priority to JP2007121093A priority patent/JP5206923B2/ja
Publication of KR20070110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01L33/22Roughened surfaces, e.g. at the interface between epitaxial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01L33/0062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 H01L33/0066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with a substrate not being a III-V compound
    • H01L33/007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with a substrate not being a III-V compound comprising nitride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light emitt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전극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기판 및 상기 반도체층 사이에 요철 구조로 형성된 제 1패턴; 및 상기 제 1패턴의 요철 구조 상에 형성된 요철 구조의 제 2패턴;을 포함하는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를 제공하여 광 추출 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Light emitting device with multi-patter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Ⅲ족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는 종래 기술에 의한 요철 구조를 지닌 Ⅲ족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b는 종래 기술에 의한 요철 구조를 지닌 기판 상에 발광소자를 형성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출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발광 소자에 사용되는 기판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발광 소자에 투광성 나노 도트를 형성시킨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종래 기술에 의한 평면 기판, 요철 구조를 지닌 기판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요철 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a 내지 도 6c에 나타낸 종래 기술에 의한 기판 및 본 발명의 실 시예에 의한 다중 요철 구조를 지닌 발광 소자의 광 추출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21, 31, 61... 기판 12, 34, 62... 제 1반도체층
13, 35, 63... 활성층 14, 36... 제 2반도체층
15, 16, 37, 38... 전극층 22... 활성층
32, 61a... 제 1패턴 33, 61b... 제 2패턴
40... 나노 도트
본 발명은 패턴 구조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 소자에 사용되는 기판 표면에 다중 요철 패턴을 형성하여 발광 소자의 결함 밀도 제어 및 스트레스 분포의 제어가 용이하며,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킨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반도체 발광소자는 레이저 다이오드 및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LED)가 있으며, 여기서 발광 다이오드는 화합물 반도체의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전기 에너지를 적외선, 가시광선 또는 빛의 형태로 변환시킨 신호를 발신하는데 사용되는 소자이다.
Ⅲ족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는 직접천이형 반도체이며, 다른 반도체를 이용 한 소자보다 고온에서 안정된 동작을 얻을 수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LED)나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 LD) 등의 발광 소자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Ⅲ족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는 통상 사파이어(sapphire : Al2O3)를 기판으로 이용하여 그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Ⅲ족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 발광 소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파이어 기판(11) 상부에 n-GaN층(12)이 형성되며, 상기 n-GaN층(12) 상부의 일부위에 활성(active)(13)층, p-GaN층(14) 및 p형 전극층(15)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n-GaN(12)층 상부의 상기 활성층(13)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n형 전극층(16)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일반적인 발광 소자에서는 내부의 활성층에서 발생된 빛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외부로 추출할 수 있는가가 중요한 문제이다. 사파이어 기판 및 활성층의 종방향으로 발생된 빛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투명전극 또는 반사층을 형성하는 등을 노력을 해왔다. 그러나, 활성층에서 발생하는 빛의 상당량은 횡방향으로 전파하게 되므로 이를 종방향으로 추출하기 위해, 예를 들어 반도체 소자의 적층 구조 측벽에 소정의 각도를 형성시키고, 상기 측벽을 반사면으로 형성시키는 등의 노력을 하였으나 그 가공 및 비용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파이어 기판을 사용한 Ⅲ족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 발광 소자의 광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플립칩(flip chip) 형태의 소자 구조를 채택함에 있어서 광추출 효율은 GaN과 사파이어 기판간의 굴절율 차이에 의해 약 40% 대에 머물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파이어 기판(21) 표면에 요철 구조를 형성한 뒤, 그 상부에 활성층(22) 등을 포함한 반도체 결정층들을 형성시킨 LED 구조가 소개되었다. 도 2a와 같은 구조는 활성층(22)의 하방에 요철 모양의 굴절율 계면을 형성시킴으로써, 소자 내부에서 소멸하는 횡방향 빛의 일부를 외부로 추출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사파이어 기판(21) 상에 Ⅲ족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를 형성시킨 경우, 사파이어 기판(21)과 Ⅲ족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와의 격자 정수의 부정합(miss fit)에 의해 전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2b-(d)와 같이 사파이어 기판(21) 표면에 요철 구조를 도입하여, 그 상부에 GaN층(23)을 형성시켰다. 이러한 요철 구조를 지닌 사파이어 기판 상에 LED를 형성시키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b-(a)와 같은 요철 구조를 지닌 사파이어 기판(21)상에, GaN 층(23)을 형성시키는 경우, 도 2b-(b)와 같이 요철의 상부 및 각 요철의 측부에서 GaN이 패싯(facet)성장(24)을 하게 되고, 이러한 성장이 진행된 뒤, 도 2b-(c)와 같은 평탄화된 GaN층(23)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평탄화된 GaN층(23)의 제 1영역 상부에 활성층(22), GaN층(25), 제 1전극층(26)을 형성시키고, GaN층(23)의 제 2영역 상에 제 2전극층(27)을 형성시켜 발광 다이오드를 완성한 것을 도 2b-(d)에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단순 요철 구조의 반도체 발광 소자의 경우 종래의 평면형 기판을 사용한 반도체 발광 소자에 비해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킨 것이나, 광 추출 효율을 보다 더 증가시키기 위한 반도체 발광 소자의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일반적인 평판형 기판 및 단일 요철 패턴을 지닌 발광 소자의 기판 구조를 향상시켜 발광층에서 발생한 빛의 발광 소자 외부로의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전극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기판 및 상기 반도체층 사이에 요철 구조로 형성된 제 1패턴; 및
상기 제 1패턴의 요철 구조 상에 형성된 요철 구조의 제 2패턴;을 포함하는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철 구조의 제 2패턴은 상기 제 1패턴의 요철 및 요철 구조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철 구조는 각이 진 요철과 곡면형 요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사파이어 또는 Si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패턴은 상기 제 1패턴의 요철구조의 돌출부 또는 홈 부위에 투광성 물질을 나노 패턴 구조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물질은 SiO2 또는 SiNx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반도체층; 상기 제 1반도체층의 제 1영역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활성층, 제 2반도체층 및 제 1전극층; 및 상기 제 1반도체층의 제 2영역 상에 형성된 제 2전극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곡면형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발광 소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반도체 발광 소자의 기판에 다중 패턴 구조를 형성시켜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을 참조하면, 기판(31) 상부에 제 1반도체층(34)이 형성되며, 제 1반도체층(34)의 제 1영역 상에는 활성층(35), 제 2반도체층(36) 및 제 1전극(37)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반도체층(34)의 제 2영역 상에는 제 2전극층(38)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기판(31)은 통상적인 반도체 발광 소자에 사용되는 사파이어 기판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리콘(Si), 탄화 규소(SiC)등 Ⅲ족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를 성장시키는 기판이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반도체층(34)은 n-GaN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반도체층(36) 은 p-GaN을 포함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반도체층(34) 및 제 2반도체층(36)을 형성하는 물질은 GaN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AlN 또는 InN과 같은 2원계, 기타 3원계 및 4원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판(31)의 표면에 다중 패턴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기판(31)의 표면에는 제 1패턴(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패턴(32)의 표면에는 제 2패턴(3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 1패턴(32) 및 제 2패턴(33)의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에 사용되는 기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기판(31)은 통상적인 반도체 발광 소자의 기판으로 사용되는 사파이어 기판 또는 Si를 포함하는 기판이다. 기판(31) 표면에는 스텝형, 즉 각이 진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제 1패턴(3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 1패턴(32)의 돌출부 및 홈 부위에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제 2패턴(33)이 마련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턴을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는 기판(31)에 제 1패턴(32) 및 제 1패턴(32)에 형성된 제 2패턴(33)을 포함하므로 결과적으로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다. 또한, 선택적으로 제 2패턴(33) 내에 또 다른 패턴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4b에는 상기 도 4a의 스텝형 요철형 패턴이 아닌, 제 1패턴(32)이 곡면형 요철 구조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기판(31)은 표면에는 곡면형 제 1패턴(3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 1패턴(32)의 곡면형 돌출부 및 각 돌출부 사이에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제 2패턴(33)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2패턴(33) 내에 선택적으로 제 3패턴(미도시)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발광 소자는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곡면형 요철 구조는 반구형 또는 스트라이프형일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턴을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의 기판의 패턴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기판(31),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반도체 발광 소자에 사용되는 사파이어 기판에 제 1패턴(32)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 1패턴(32) 영역에는 제 2패턴(33)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패턴(32) 및 제 2패턴(33)은 요철형 구조임을 알 수 있다.
기판(31)과 그 상부의 반도체층 사이의 계면에서 굴절률 차이를 이용한 광진행 경로 변경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도 5b 및 도 5c에서는 패턴 및 패턴 사이 또는 패턴 상에 SiO2 또는 SiNx와 같이 기판과 굴절율 차이가 나는 광투과성 물질을 나노 도트(40)로 형성시킨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즉, 이와 같이 기판(31)의 제 1패턴(32) 영역의 표면에 광투과성 물질을 나노 도트(40)로 형성시켜 제 2패턴(33)과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턴을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의 기판(31)은 기판(31) 자체의 표면 구조를 다중 패턴으로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광투과성 물질을 기판(31) 상에 패턴 구조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모두 포함한 구조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턴을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판 표면에 다중 패턴 구조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2회 이상의 건식 식각 공정을 실시한다.
먼저 평면형 기판, 예를 들어 사파이어 기판을 마련한다. 그리고, 기판 상에 패턴된 포토레지스트를 위치시키고, 사진 식각(photolithography) 공정에 의해 제 1패턴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예를 들어 일반적인 RIE(Reactive Ion Etching : 반응성 이온 식각) 공정으로 제 1패턴을 형성한다.
식각 가스로는 Cl2, BCl3, HCl, CCl4, SiCl4 등의 Cl 계열의 가스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 압력의 경우 식각 가스 또는 상황에 따라 수 mTorr ~ 수십 mTorr 사이로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만약 SiO2 또는 SiNx와 같은 광투과성 물질을 나노 도트로 형성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패턴 구조가 형성된 기판 표면에 SiO2 또는 SiNx와 같은 광투과성 물질을 얇게 도포한 뒤 소정 영역이 개구된 마스크를 위치시킨 뒤, 개구된 영역을 식각한다.
기판 표면에 다중 패턴 구조를 형성시킨 다음, 기판 상부에 발광 소자 제작에 필요한 n-GaN층, 활성층, p-GaN층, p형 전극층 및 n형 전극층 등을 순차적으로 형성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발광 소자에 있어서, 기판 상부에 형성되는 화합물 반도체층들은 종래의 형태와 크게 다르지 않으며, 그 제조 공정도 공지 기술을 사용하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턴을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와 종래 기술에 의한 반도체 발광 소자의 광추출 효율을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6a는 일반적인 평면 구조의 반도체 기판, 즉 도 1에 나타낸 반도체 발광 소자의 기판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낸 것이며, 도 6b는 도 2a에 나타낸 요철 구조를 포함하는 기판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기판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기판(61) 상에 제 1반도체층(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반도체층(62) 상에 활성층(63)이 형성된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기판(61) 상에 제 1반도체층(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반도체층(62) 상에 활성층(6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반도체층(62)과 접하는 기판(61) 표면에는 제 1패턴(61a) 구조가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도 6c는 반도체 기판(61) 상에 제 1반도체층(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반도체층(62) 상에 활성층(63)이 형성되어 있다. 제 1반도체층(62)과 접하는 기판(61) 표면에는 제 1패턴(61a) 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패턴(61a) 구조의 돌출부 및 돌출부 사이 영역에는 제 2패턴(61b)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도 6a 내지 도 6c에 나타낸 반도체 발광 소자의 광 추출 효율을 측정한 그래프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6a의 기판 구조를 사용한 반도체 발광 소자를 plane, 도 6b의 기판 구조를 사용한 반도체 발광 소자를 pattern 1, 도 6c의 기판 구조를 사용한 반도체 발광 소자를 pattern 2로 표시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평면 구조의 반도체 기판을 사용한 반도체 발광 소자의 광 추출 효율을 100으로 나타내었을 때, 단순 요철 구조의 기판을 사용한 반도체 발광 소자의 광 추출 효율은 130을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의 경우 광 추출 효율은 약 170을 나타내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의 경우, 단순 평면 구조의 기판을 사용한 발광 소자에 비해 약 70%의 광 추출 효율이 개선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단순 요철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에 비해 약 30.8%의 광 추출 효율이 개선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광 소자의 제 1패턴 및 제 2패턴의 구조는 제한되지 않으며, 제 1패턴은 단순 요철형 또는 곡면형이 될 수 있으며 상기 곡면형 구조는 반구형, 스트라이프형, 말굽형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패턴의 배열 형태도 규칙적, 불규칙적인 배열 형태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패턴 표면에 제 2패턴을 형성된 다중 패턴 구조의 기판 상에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를 형성시킴으로써 종래의 일반적인 평면 기판 또는 단순 요철 구조의 기판을 사용한 반도체 발광 소자에 비해 활성층 즉, 발광층에서 발생한 빛의 발광 소자 외부로의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2)

  1.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전극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기판 및 상기 반도체층 사이에 요철 구조로 형성된 제 1패턴; 및
    상기 제 1패턴의 요철 구조 상에 형성된 요철 구조의 제 2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구조의 제 2패턴은 상기 제 1패턴의 요철 및 요철 구조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구조는 각이 진 요철과 곡면형 요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
  4. 제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사파이어 또는 Si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패턴은 상기 제 1패턴의 요철구조의 돌출부 또는 홈 부위에 투광성 물질을 나노 패턴 구조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물질은 SiO2 또는 SiN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반도체층;
    상기 제 1반도체층의 제 1영역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활성층, 제 2반도체층 및 제 1전극층; 및
    상기 제 1반도체층의 제 2영역 상에 형성된 제 2전극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곡면형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사파이어 또는 Si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
  10. 제 8항에 잇어서,
    상기 제 2패턴은 상기 제 1패턴의 다수의 곡면형 돌출부들 또는 상기 곡면형 돌출부들 사이의 영역에 투광성 물질을 나노 패턴 구조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물질은 SiO2 또는 SiN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반도체층;
    상기 제 1반도체층의 제 1영역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활성층, 제 2반도체층 및 제 1전극층; 및
    상기 제 1반도체층의 제 2영역 상에 형성된 제 2전극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
KR1020060043477A 2006-05-15 2006-05-15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 KR100780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477A KR100780233B1 (ko) 2006-05-15 2006-05-15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
EP07100133.3A EP1858090B1 (en) 2006-05-15 2007-01-04 Light emitting diode having multi-pattern structure
US11/737,479 US8013354B2 (en) 2006-05-15 2007-04-19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multi-pattern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7121093A JP5206923B2 (ja) 2006-05-15 2007-05-01 半導体発光素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477A KR100780233B1 (ko) 2006-05-15 2006-05-15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688A true KR20070110688A (ko) 2007-11-20
KR100780233B1 KR100780233B1 (ko) 2007-11-27

Family

ID=38024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477A KR100780233B1 (ko) 2006-05-15 2006-05-15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13354B2 (ko)
EP (1) EP1858090B1 (ko)
JP (1) JP5206923B2 (ko)
KR (1) KR10078023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240B1 (ko) * 2008-09-11 2009-02-25 (주)플러스텍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제조방법
US8049239B2 (en) 2008-11-26 2011-11-01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003119A (ko) * 2010-07-02 2012-01-10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20012074A (ko) * 2010-07-30 2012-0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466833B1 (ko) * 2013-07-08 2014-11-28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623B1 (ko) * 2006-05-08 2007-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직형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371819B1 (ko) 2007-11-08 2014-03-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988146B1 (ko) 2008-07-16 2010-10-18 주식회사 실트론 화합물 반도체 기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합물반도체 소자
KR101064053B1 (ko) * 2009-02-25 2011-09-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134810B1 (ko) * 2009-03-03 2012-04-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01877377B (zh) * 2009-04-30 2011-12-1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分立发光二极管的外延片及其制造方法
CN102017791B (zh) * 2009-05-12 2013-03-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板、发光装置及板的制造方法
US8203153B2 (en) * 2010-01-15 2012-06-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II-V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a light extracting structure
US20130000721A1 (en) * 2010-03-15 2013-01-03 Yoshiyuki Nasuno Substrate for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using the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ubstrate and device
TW201145579A (en) * 2010-06-08 2011-12-16 Epileds Technologies Inc Substrate for light-emitting diode
KR101009744B1 (ko) * 2010-07-26 2011-01-19 (주)더리즈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193913B1 (ko) 2010-08-23 2012-10-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광결정 패턴이 형성된 반도체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01980391A (zh) * 2010-09-14 2011-02-23 映瑞光电科技(上海)有限公司 发光二极管及其制造方法
TW201214802A (en) * 2010-09-27 2012-04-01 Nat Univ Chung Hsing Patterned substrate and LED formed using the same
JP5573632B2 (ja) * 2010-11-25 2014-08-20 豊田合成株式会社 Iii族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JP2012124257A (ja) * 2010-12-07 2012-06-28 Toshiba Corp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280534A (zh) * 2011-07-06 2011-12-14 上海蓝光科技有限公司 预处理蓝宝石衬底提高led出光效率的方法
JP5885436B2 (ja) * 2011-09-06 2016-03-15 ローム株式会社 発光素子および発光素子パッケージ
US8686433B2 (en) 2011-09-01 2014-04-01 Rohm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20130035658A (ko) * 2011-09-30 2013-04-09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소자용 기판 제조 방법
CN103035799B (zh) * 2011-10-07 2015-08-26 清华大学 发光二极管
CN103035798B (zh) 2011-10-07 2015-08-26 清华大学 发光二极管
CN103035800B (zh) 2011-10-07 2016-06-08 清华大学 发光二极管
JP5980669B2 (ja) * 2011-12-03 2016-08-31 ツィンファ ユニバーシティ 発光ダイオード
JP5980668B2 (ja) * 2011-12-03 2016-08-31 ツィンファ ユニバーシティ 発光ダイオード
CN103137816B (zh) 2011-12-03 2015-09-30 清华大学 发光二极管
JP5980667B2 (ja) * 2011-12-03 2016-08-31 ツィンファ ユニバーシティ 発光ダイオード
CN103137811B (zh) 2011-12-03 2015-11-25 清华大学 发光二极管
CN103137812B (zh) 2011-12-03 2015-11-25 清华大学 发光二极管
EP2835836B1 (en) * 2012-04-02 2019-06-19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Optical substrate,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CN103050598B (zh) * 2012-12-17 2016-06-01 江苏新广联科技股份有限公司 混合型不等间距图形化衬底及其制备方法
CN108198918B (zh) 2013-05-15 2020-10-02 皇家飞利浦有限公司 具有衬底中的散射特征的led
CN103887390B (zh) * 2014-01-29 2017-06-27 华灿光电(苏州)有限公司 图形化蓝宝石衬底及其制作方法、外延片的制作方法
DE102014108301A1 (de) * 2014-06-12 2015-12-17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Halbleiterchip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albleiterchips
JP5848807B2 (ja) * 2014-08-20 2016-01-27 株式会社東芝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TWI623115B (zh) * 2014-10-09 2018-05-01 新世紀光電股份有限公司 具粗化表面之薄膜式覆晶發光二極體及其製造方法
CN104465927B (zh) * 2014-11-28 2017-08-25 华南理工大学 一种圆锥簇型图案的led图形优化衬底及led芯片
JP6638245B2 (ja) * 2014-12-12 2020-01-29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用基板、および、半導体発光素子
DE102015102365A1 (de) * 2015-02-19 2016-08-25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Strahlungskörp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rahlungskörpers
DE102016200957A1 (de) * 2016-01-25 2017-07-27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Substrat mit Strukturelementen und Halbleiterbauelement
CN105821387B (zh) * 2016-04-05 2018-08-17 南京航空航天大学 基于微米级阵列结构和氧化钇薄膜的蓝宝石光学性能提升方法
CN105845789A (zh) * 2016-04-11 2016-08-10 厦门乾照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背光源亮度的衬底制作方法
FR3059788B1 (fr) 2016-12-02 2019-01-25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Dispositif optoelectronique a diode electroluminescente a extraction augmentee
FR3059828B1 (fr) 2016-12-02 2019-05-31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Dispositif optoelectronique a diode electroluminescente a extraction augmentee
CN108011001A (zh) * 2017-12-18 2018-05-08 苏州亿沃光电科技有限公司 具有羽化表面的堆叠式图形化led衬底及led器件
JP7260828B2 (ja) * 2019-01-11 2023-04-19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993B1 (ko) * 1999-12-03 2007-03-30 크리, 인코포레이티드 향상된 광 적출 구조체를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US6562644B2 (en) * 2000-08-08 2003-05-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miconductor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substrate, semiconductor device and pattern forming method
JP3556916B2 (ja) * 2000-09-18 2004-08-25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半導体基材の製造方法
US6787692B2 (en) * 2000-10-31 2004-09-07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Solar cell substrate, thin-film solar cell, and multi-junction thin-film solar cell
KR100632760B1 (ko) * 2001-03-21 2006-10-11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발광 소자
TW576864B (en) * 2001-12-28 2004-02-21 Toshiba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ght-emitting device
JP3802424B2 (ja) * 2002-01-15 2006-07-26 株式会社東芝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53743A (ja) * 2003-02-21 2004-09-09 Nichia Chem Ind Ltd 付活剤を含有した基板を用いた発光装置
JP2005064492A (ja) * 2003-07-28 2005-03-10 Kyocera Corp 単結晶サファイア基板とそ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発光素子
KR100714639B1 (ko) * 2003-10-21 2007-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 소자
US20050285128A1 (en) * 2004-02-10 2005-12-29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Surface plasmon light emitter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0568297B1 (ko) * 2004-03-30 2006-04-05 삼성전기주식회사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4857596B2 (ja) * 2004-06-24 2012-01-18 豊田合成株式会社 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100586973B1 (ko) * 2004-06-29 2006-06-08 삼성전기주식회사 돌기부가 형성된 기판을 구비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TWM261838U (en) * 2004-09-16 2005-04-11 Super Nova Optoelectronics Cor Structure for GaN based LED with high light extraction efficiency
JP2006100518A (ja) * 2004-09-29 2006-04-13 Toyoda Gosei Co Ltd 基板表面処理方法及びiii族窒化物系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100657941B1 (ko) * 2004-12-31 2006-12-14 삼성전기주식회사 요철 구조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060204865A1 (en) * 2005-03-08 2006-09-14 Luminus Devices, Inc. Patterned light-emitting devices
TWI248691B (en) * 2005-06-03 2006-02-01 Formosa Epitaxy Inc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240B1 (ko) * 2008-09-11 2009-02-25 (주)플러스텍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제조방법
WO2010030053A1 (en) * 2008-09-11 2010-03-18 Plustek Co., Ltd Nitride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on thereof
US8049239B2 (en) 2008-11-26 2011-11-01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823029B2 (en) 2008-11-26 2014-09-02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003119A (ko) * 2010-07-02 2012-01-10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9172000B2 (en) 2010-07-02 2015-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012074A (ko) * 2010-07-30 2012-0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466833B1 (ko) * 2013-07-08 2014-11-28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WO2015005638A1 (ko) * 2013-07-08 2015-01-15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유기발광장치용 광추출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US9515295B2 (en) 2013-07-08 2016-12-06 Corning Precision Materials Co., Ltd. Light extraction substrate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fabrication method therefo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311784A (ja) 2007-11-29
EP1858090A3 (en) 2009-09-02
JP5206923B2 (ja) 2013-06-12
KR100780233B1 (ko) 2007-11-27
EP1858090A2 (en) 2007-11-21
US20070262330A1 (en) 2007-11-15
US8013354B2 (en) 2011-09-06
EP1858090B1 (en)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0233B1 (ko) 다중 패턴 구조를 지닌 반도체 발광 소자
KR100714639B1 (ko) 발광 소자
KR100882240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제조방법
US8274093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896576B1 (ko)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9741897B2 (en) Thin light emitting diode and fabrication method
KR20120092325A (ko) 광 결정 구조를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KR100780175B1 (ko)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KR20120092326A (ko) 광 결정 구조를 갖는 비극성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US9000414B2 (en) Light emitting diode having heterogeneous protrusion structures
CN102244168A (zh) 发光二极管及其制造方法
KR101274651B1 (ko)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23010B1 (ko)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94121B1 (ko) 발광 다이오드
KR20070091243A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85519A (ko) 발광 소자용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44403A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04562B1 (ko)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US10892381B2 (en) Semiconductor structure with layer having protrusions
KR20060134490A (ko) 플립 칩 질화물반도체 발광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TWI786276B (zh) 發光元件之製造方法
KR101216500B1 (ko)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68303A (ko)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21968A (ko)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KR20110019643A (ko) 반도체 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