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9643A - 반도체 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643A
KR20110019643A KR1020090077269A KR20090077269A KR20110019643A KR 20110019643 A KR20110019643 A KR 20110019643A KR 1020090077269 A KR1020090077269 A KR 1020090077269A KR 20090077269 A KR20090077269 A KR 20090077269A KR 20110019643 A KR20110019643 A KR 20110019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layer
layer
semiconductor
electrode pad
optic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강식
Original Assignee
윤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강식 filed Critical 윤강식
Priority to KR1020090077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9643A/ko
Priority to PCT/KR2010/004543 priority patent/WO2011021774A2/ko
Publication of KR20110019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6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01L33/22Roughened surfaces, e.g. at the interface between epitaxial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광소자는 베이스 기판에 형성된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층과 대향하는 제2 반도체층; 및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제2 반도체층 사이에 형성된 활성층;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층 및 제2 반도체층의 측면 둘레 방향으로 돌출부와 요입부가 반복되는 요철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LED, 활성층, 다중양자우물, 요철, 전반사, 곡률반경, PR 마스크, 파워칩

Description

반도체 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SEMICONDUCTOR OPTICAL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도체 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 효율 향상을 위해 표면에 전반사 방지구조가 구비된 반도체 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 다이오드(LED)나, 레이저 다이오드(LD), 포토 다이오드(PD) 등과 같은 반도체 광소자의 칩은 n형 반도체층과 p형 반도체층 사이에 활성층이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도록 제작된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 광소자의 주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반도체 광소자는 n형 반도체층(10) 상부에 활성층(11)과 p형 반도체층(12)이 질화갈륨계(GaN계) 등의 화합물에 의해 에피택시(Epitaxy) 성장되고, n형 반도체층(10)의 일부에는 n형 전극패드(15)가, p형 반도체층(12) 위에는 오믹컨택층(Ohmic Contact Layer)(13)과 p형 전극패드(14)가 접합된다.
그런데, 종래의 반도체 광소자는 활성층(11)과 p형 반도체층(12)의 테두리단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를 따라 평탄하게 식각되는 관계로 활성층(11)의 측면에서 광의 진행이 억제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취약점이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층(11)으로부터 상기 활성층(11)에 비해 굴절률이 작은 매질인 공기층(A)으로 광이 진행할 경우 두 매질 간의 경계면에서 입사각이 임계각(θC) 이상인 광들은 모두 활성층(11) 내부에서 전반사되어 광소자의 휘도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상기 문제점과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702430호에서는 광소자 칩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형성하여 내부 전반사되던 광들을 칩 외부로 추출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에 개시된 요철 구조는 칩의 측면에서 요철 패턴이 관측되도록 활성층의 두께 방향을 따라 요철이 반복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상술한 에피택시 성장 이후에 수행되는 통상의 리소그래피 공정과 방향성을 가지는 식각공정으로는 현실적으로 상기한 요철구조의 구현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활성층의 두께가 수 십 내지 수 백 옴스트롱(Å)으로 설계되는 점을 감안할 때 내부 전반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요철 패턴을 활성층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제대로 형성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광소자의 측면에서 발생하는 전반사에 의한 광 효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요철 구조를 가 진 반도체 광소자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마스킹(Masking) 및 리소그래피(Lithography)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 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광소자는, 베이스 기판에 형성된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층과 대향하는 제2 반도체층; 및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제2 반도체층 사이에 형성된 활성층;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층 및 제2 반도체층의 측면 둘레 방향으로 돌출부와 요입부가 반복되는 요철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제2 반도체층은 각각 n형 반도체 박막과 p형 반도체 박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제2 반도체층에는 각각 n형 전극패드와 p형 전극패드가 접합되고, 상기 제1 반도체층을 기준면으로 하여 상기 n형 전극패드와 p형 전극패드가 같은 편에 위치하며, 상기 n형 전극패드와 p형 전극패드에는 둘레를 따라 요철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활성층은 다중양자우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 구조는 라운드형 윤곽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운드형 윤곽선의 곡률반경은 50㎚~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반도체층 위에는 투명한 오믹컨택층이 형성되고, 상기 요철 구조는 상기 오믹컨택층의 측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제1 반도체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 반도체층 위에 다중양자우물 구조의 활성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c) 상기 활성층 위에 제2 반도체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d) 상기 제2 반도체층과 활성층 적층 구조의 두께 방향으로 포토 리소그래피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활성층 및 제2 반도체층의 측면 둘레 방향으로 돌출부와 요입부가 반복되는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2 반도체층 위에 전극패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광소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단계 (e)에서는, 포토 리소그래피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전극패드의 둘레를 따라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d)에서는, 각형 또는 라운드형 요철 패턴을 갖는 윈도우가 구비된 PR 마스크층을 상기 제2 반도체층 또는 상기 제2 반도체층 위에 구비된 보호막 위에 증착하여 상기 포토 리소그래피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반도체층은 사파이어 기판 위에 질화갈륨계(GaN계) 화합물을 성장시킨 n형 반도체 박막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반도체층은 질화갈륨계(GaN계) 화합물을 성장시킨 p형 반도체 박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계 (d)에서는, 라운드형 윤곽선의 곡률반경이 50㎚~50㎛인 요철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계 (e)에서는, 상기 전극패드의 형성 전에 오믹컨택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광소자의 측면 둘레 방향으로 요철 구조를 형성하 여 활성층의 측면 면적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전반사를 줄임으로써 반도체 광소자의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제품에 비해 휘도 특성이 향상된 고휘도 LED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에피택시 성장영역의 상부 표면에 마스크층을 형성한 후 리소그래피 공정을 실시하여 용이하게 활성층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반복되는 요철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광소자는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요철의 폭이나 피치에 제약이 없으므로 다양한 파장대에서 전반사를 줄임으로써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광소자는 발광 다이오드(LED), 레이저 다이오드(LD), 포토 다이오드(PD) 등 다양한 형태의 소자로 제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반도체 광소자가 발광 다이오드(LED)인 경우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1 반도체층이 n형 반도체층으로 구성되고, 제2 반도체층이 p형 반도체층으로 구성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광소자의 주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광소자는 요철 구조(106)가 측면을 따라 형성된 활성층(101) 및 p형 반도체층(102)이 n형 반도체층(100) 상부에 형성되고, 활성층(101) 및 p형 반도체층(102)의 적층 구조 주변의 n형 반도체층(100) 위에는 와이어 본딩을 위한 n형 전극패드(105)가, p형 반도체층(102) 위에는 p형 전극패드(104)가 구비된 구조를 포함한다.
n형 반도체층(100)은 사파이어 베이스 기판 위에 에피택시 성장된 질화갈륨계(GaN계) 반도체 박막에 의해 형성된다.
활성층(101)은 양자우물층과 장벽층이 번갈아가며 성장된 다중양자우물(MQW) 구조로 이루어진다. 활성층(101)에는 측면 둘레 방향으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이외의 부분인 요입부가 반복되는 요철 구조(106)가 형성된다. 요철 구조(106)는 라운드형 윤곽선을 갖는 돌출부와 요입부가 반복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요철 구조(106)의 형상은 라운드형에 한정되지 않고 그밖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요철 구조(106)는 활성층(101)의 측면 둘레 전부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요철 구조(10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층(101)의 측면 둘레 일부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요철 구조(106)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요철 구조(106)에 의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층(101)으로부터 공기층(A) 방향으로 광이 진행할 경우 두 매질 간의 경계면에서 대다수 광선들의 입사각이 임계각 미만이 되어 원활하게 광이 활성층(101)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활성층(101) 측면에서의 내부 전반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요철 구조(106)를 이루는 라운드형 윤곽선의 곡률반경(R)은 50㎚~50㎛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형 반도체층(102)은 활성층(101)을 사이에 두고 n형 반도체층(100)과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p형 반도체층(102)은 활성층(101) 위에 에피택시 성장된 질화갈륨계(GaN계) 반도체 박막에 의해 형성된다.
p형 반도체층(102) 위에는 투명 도전체인 ITO(Indium Tin Oxide)나 니켈(Ni)-금(Au), 백금(Pt) 등으로 이루어진 오믹컨택층(103)이 형성되고, 오믹컨택층(103) 위에는 p형 전극패드(104)가 접합된다.
활성층(10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요철 구조(106)는 p형 반도체층(102)의 측면에도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요철 구조(106)는 p형 반도체층(102) 위의 오믹컨택층(103)의 측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 구조(106)는 n형 반도체층(100) 위에 활성층(101), p형 반도체 층(102) 등을 차례대로 성장시켜 적층 구조를 형성한 이후에 적층 구조의 두께 방향으로 식각을 진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활성층(101) 및 p형 반도체층(102)의 측면 둘레 방향으로 돌출부와 요입부가 반복되는 요철 구조(106)가 형성된다.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도 5에는 p형 반도체층(102)의 측면 둘레 방향으로 돌출부와 요입부가 반복되는 요철 구조(106)를 나타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n형 전극패드(105)는 활성층(101), p형 반도체층(102) 및 p형 전극패드(104)의 적층 구조 주변에서 n형 반도체층(100) 위에 접합된다. 따라서, n형 반도체층(100)을 기준면으로 하여 n형 전극패드(105)와 p형 전극패드(104)는 같은 편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n형 반도체층(100)을 기준면으로 하여 n형 전극패드(105)와 p형 전극패드(104)가 같은 편에 위치하되, 활성층(101), p형 반도체층(102) 및 p형 전극패드(104)의 패턴과 n형 전극패드(105)의 패턴이 상호 맞물려서 통상의 '파워칩(power chip)' 구조를 이루는 반도체 광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p형 전극패드(104)와 n형 전극패드(105)에는 테두리단의 둘레를 따라 돌출부와 요입부가 반복되는 요철 구조(107,108)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전극패드(104,105)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광소자의 제조방법은 화합물 반도체 재료를 에피택시(Epitaxy) 성장시켜 n형 반도체층(100)과 p형 반도체층(102) 사이에 활성층(101)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에피웨이퍼를 제작하는 에피택시 공정과, 에피웨이퍼로부터 칩을 제작하는 칩 공정을 포함한다.
에피택시 공정에서는 바람직하게 유기금속화학증착(MOCVD) 공정을 이용해 사파이어 베이스 기판 위에 질화갈륨계(GaN계) 화합물을 박막 성장시켜 n형 반도체층(100), 활성층(101), p형 반도체층(102)을 차례대로 형성한다.
에피웨이퍼를 제작한 후 칩 공정에서는 플라즈마화학기상증착(PECVD) 공정을 이용해 p형 반도체층(102) 또는 상기 p형 반도체층(102) 위에 형성된 보호막(미도시) 위에 SiO2 나 SiNx와 같은 유전체를 증착하여 PR(Photoresist) 마스크층을 형성한다. p형 반도체층(102) 위에 바로 PR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포토 리소그래피 공정을 완료하여 요철 구조(106)를 형성한 이후에 상기 p형 반도체층(102) 위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공정이 부가될 수 있다.
PR 마스크층을 형성한 후에는 에피웨이퍼의 두께 방향으로 포토 리소그래피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p형 반도체층(102) 및 활성층(101)과, n형 반도체층(100)의 상면 일부를 식각한다. 포토 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p형 반도체층(102)과 활성층(101)에는 측면 둘레 방향으로 돌출부와 요입부가 반복되는 요철 구조(106)가 형성된다.
상기 요철 구조(106)는 라운드형의 돌출부와 요입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운드형 윤곽선의 곡률반경(R)을 50㎚~50㎛로 식각하기 위해 PR 마스크층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형 요철 패턴의 윈도우(W)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대안으로, PR 마스크층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요철 패턴의 윈도우(W)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비록 PR 마스크층의 윈도우(W) 형태는 사각형이나, 윈도우(W)의 크기를 약 200nm 이하로 미세하게 형성하게 되면 빛의 회절 효과 등에 의해 실제 p형 반도체층(102)과 활성층(101)의 측면 둘레에는 라운드형의 윤곽선을 갖는 요철 구조(106)가 형성된다.
p형 전극과 n형 전극이 모두 상면에서 관측되는 구조의 반도체 광소자를 제작하는 경우, 상기 리소그래피 공정은 p형 반도체층(102)과 활성층(101) 주변 영역의 일부에서 n형 반도체층(100)의 상면을 노출시키도록 수행된다.
리소그래피 공정을 완료한 후에는 n형 반도체층(100)의 표면에 n형 전극패드(105)을 형성한다.
n형 전극패드(105)를 형성한 후에는 p형 반도체층(102) 위에 투명 도전체인 ITO나 니켈(Ni)-금(Au)을 증착하여 오믹컨택층(103)을 형성하고, 오믹컨택층(103) 위에 p형 전극패드(104)를 형성한다.
n형 전극패드(105)와 p형 전극패드(104)의 형성 순서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p형 전극패드(104)를 먼저 형성한 후에 n형 전극패드(105)를 형성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상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 광소자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 광소자에서 발생하는 내부 전반사를 도식화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광소자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광소자에서 발생하는 내부 전반사를 도식화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광소자를 파워칩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도 5에서 p형 전극패드와 n형 전극패드에 요철 구조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 및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요철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PR 마스크의 윈 도우 형태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 부호에 대한 설명>
100: n형 반도체층 101: 활성층
102: p형 반도체층 103: 오믹컨택층
104: p형 전극패드 105: n형 전극패드
106,107,108: 요철 구조

Claims (12)

  1. 베이스 기판에 형성된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층과 대향하는 제2 반도체층; 및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제2 반도체층 사이에 형성된 활성층;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층 및 제2 반도체층의 측면 둘레 방향으로 돌출부와 요입부가 반복되는 요철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광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제2 반도체층은 각각 n형 반도체 박막과 p형 반도체 박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제2 반도체층에는 각각 n형 전극패드와 p형 전극패드가 접합되고, 상기 제1 반도체층을 기준면으로 하여 상기 n형 전극패드와 p형 전극패드가 같은 편에 위치하며,
    상기 n형 전극패드와 p형 전극패드의 둘레를 따라 요철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광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다중양자우물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광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구조는 라운드형 윤곽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광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형 윤곽선의 곡률반경이 5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광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도체층 위에 형성된 투명한 오믹컨택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요철 구조는 상기 오믹컨택층의 측면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광소자.
  7. (a) 제1 반도체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 반도체층 위에 다중양자우물 구조의 활성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c) 상기 활성층 위에 제2 반도체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d) 상기 제2 반도체층과 활성층 적층 구조의 두께 방향으로 포토 리소그래피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활성층 및 제2 반도체층의 측면 둘레 방향으로 돌출부와 요입부가 반복되는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2 반도체층에 전극패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광소자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포토 리소그래피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전극패드의 둘레를 따라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광소자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각형 또는 라운드형 요철 패턴을 갖는 윈도우가 구비된 PR 마스크층을 상기 제2 반도체층 또는 상기 제2 반도체층 위에 구비된 보호막 위에 증착하여 상기 포토 리소그래피 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광소자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층은 사파이어 기판 위에 질화갈륨계(GaN계) 화합물을 성장시킨 n형 반도체 박막이며,
    상기 제2 반도체층은 질화갈륨계(GaN계) 화합물을 성장시킨 p형 반도체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광소자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라운드형 윤곽선의 곡률반경이 50㎚~50㎛인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광소자의 제조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전극패드의 형성 전에 오믹컨택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90077269A 2009-08-20 2009-08-20 반도체 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1964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269A KR20110019643A (ko) 2009-08-20 2009-08-20 반도체 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0/004543 WO2011021774A2 (ko) 2009-08-20 2010-07-13 반도체 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269A KR20110019643A (ko) 2009-08-20 2009-08-20 반도체 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643A true KR20110019643A (ko) 2011-02-28

Family

ID=43607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269A KR20110019643A (ko) 2009-08-20 2009-08-20 반도체 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19643A (ko)
WO (1) WO201102177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56542B (zh) * 2018-07-05 2023-06-13 世迈克琉明有限公司 半导体发光元件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1472B2 (ja) * 1999-04-15 2007-02-14 ローム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の製法
JP2004006662A (ja) * 2002-03-28 2004-01-08 Nichia Chem Ind Ltd 窒化ガリウム系化合物半導体素子
KR20050049730A (ko) * 2003-11-24 2005-05-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JP4483566B2 (ja) * 2004-12-20 2010-06-16 豊田合成株式会社 発光装置
JP2006287026A (ja) * 2005-04-01 2006-10-19 Toyoda Gosei Co Ltd 発光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発光装置
JP2007234707A (ja) * 2006-02-28 2007-09-13 Rohm Co Ltd 半導体発光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21774A3 (ko) 2011-04-14
WO2011021774A2 (ko) 201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6237B2 (en) Light emitting diode and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US8614458B2 (en) Patterned substrate for light emitting diode and light emitting diode employing the same
KR102323686B1 (ko)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8878220B2 (en) Light emitting diode with improved luminous efficiency
US8124985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618565B2 (en) High efficiency light emitting diode
US20150091038A1 (en) Light emitting diode
KR102022659B1 (ko)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CN110797443A (zh) 发光元件
KR20130098760A (ko)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KR20200065872A (ko) 발광 소자
KR20110019643A (ko) 반도체 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34490A (ko) 플립 칩 질화물반도체 발광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037215A (ko) 넓은 지향각을 갖는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TW202410489A (zh) 發光元件
KR20230026248A (ko) 발광소자
KR20160001209A (ko)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TW202034538A (zh) 發光元件及其製造方法
KR20100061134A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WO2007105868A1 (en) Light emitting diode having columns for light extraction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20068306A (ko)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