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0574A -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0574A
KR20070110574A KR1020060043217A KR20060043217A KR20070110574A KR 20070110574 A KR20070110574 A KR 20070110574A KR 1020060043217 A KR1020060043217 A KR 1020060043217A KR 20060043217 A KR20060043217 A KR 20060043217A KR 20070110574 A KR20070110574 A KR 20070110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traffic information
range wireless
short
station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3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0574A/ko
Publication of KR20070110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5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8G1/0141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ffic information dissemin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2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the vehicle, e.g. floating car data [FC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체의 주행 정보를 제 1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는 차량 단말기; 제 1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체의 주행 정보 수집하고 교통 정보를 서비스하는 교통 센터; 제 2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이동체의 교통 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 이동체의 주행 경로 상에 설치되며, 제 1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 단말기 및 교통 센터와 통신하며, 상기 교통센터로부터 수신된 교통 정보를 제 2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정거장 노드를 포함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교통 정보, 지그비, NFC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INFORMATION TRAFFIC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버스 교통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정거장 노드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도 1의 교통 센터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도 3의 정거장 노드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정거장 표지판의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도 1의 NFC 단말기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차량 단말기 110, 210, 252, 310 : 지그비 모듈
120 : 속도 검출부 200: 정거장 노드
220, 410 : NFC 모듈 250 : 중계 노드
300 : 교통 센터 320 : 서버부
400 : NFC 단말기 420 : 단말 모듈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분야의 발전과 더불어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무선통신(IrDA), 스왑(SWAP: 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이 컴퓨터, 프린터, 전화, 팩시밀리 등과 같은 정보통신기기는 물론 TV, 냉장고 등과 같은 가전제품과도 수m ~ 수100m 이내의 거리에서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 규격을 의미한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은 저 전력, 단순한 설치 환경, 쌍 방향 통신이 가능한 장점 등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출입카드, 근거리 네트워크 등 그 응용 범위를 매우 광범위하게 적용하게 있는 실정이다.
또한 두 개 이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복합적으로 접목하여, 기존의 GPS 및 휴대 전화기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하고 있는 부분으로 대체하 고자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동체의 정보를 제 1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및 그 네트워크로 송/수신하고, 제 1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연결된 제 2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및 그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에 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그비 모듈 및 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이동 노드, 정거장 노드, 센터 노드들간에 교통 정보에 관련된 통신을 수행하고, NFC 모듈 및 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체의 주행 정보를 제 1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는 차량 단말기; 제 1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체의 주행 정보 수집하고 교통 정보를 서비스하는 교통 센터; 제 2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이동체의 교통 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 이동체의 주행 경로 상에 설치되며, 제 1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 단말기 및 교통 센터와 통신하며, 상기 교통센터로부터 수신된 교통 정보를 제 2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정 거장 노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방법은, 정거장 노드에 설치된 제 1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및 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주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및 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주행 정보를 교통 센터에서 수집한 후 정거장 노드별 교통 정보를 각 정거장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거장 노드에 수신된 교통 정보를 제 2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및 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교통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불 규칙적인 시간으로 운행되거나 규칙적인 노선을 따라 운행하는 교통 수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후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면, 버스 또는 지하철 등의 교통 수단에 대한 위치, 도착 예정 시간 및 노선 정보 등을 서비스할 수 있다.
이러한 교통 정보 시스템은 서로 다른 종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은 주파수 대역, 네트워크 형태, 통신 개체의 수, 네트워크 접속 방식, 프로토콜 등이 서로 상이한 기술적 특징을 가지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적외선무선통신(IrDA), 스왑(SWAP: 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노드(node) 간의 통신을 위한 수단으로 제 1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며, 노드와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신을 위한 수단으로 제2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고자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는 지그비를 이용하고, 제 2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는 NFC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버스 교통 정보를 서비스하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지그비 기술은 1) 망 접속 데이터를 전송한다. 2) 간단한 통신 스택을 처리한다. 3) 신속하게 연결되어 간단한 스택 통신을 처리한 후 절전모드로 복귀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수명이 길게 유지될 수 있다. 4) 수천개의 클라이언트(수만 개의 노드)를 다양한 토폴리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은 설정정보를 입력할 필요 없이, 소정의 통신 범위에 진입되면 두 개 이상의 통신모듈이 자동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통신 규격으로서, 가령,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RFID 기술은 운송, 제조, 쓰레기 관리, 우편 추적, 항공 수하물 탑재확인, 및 고속도로 요금 관리 등의 거의 모든 산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RFID 시스템은 두 개의 컴포넌트, 즉, RFID 태그는(또는 transponder), RFID 리더(또는 interrogator)로 이루어진다. 상기 RFID 태그는 전원을 포함하는 경우 능동 태그라 하고, 포함하지 않는 경우 수동 태그, 스티커 또는 라벨로 지칭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노선에 적용된 교통 정보 시스템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버스(150)와 같은 이동 노드에 탑재된 차량 단말기(100)와, 정거장 노드(200)에 설치된 제 1지그비 모듈(210) 및 제 1NFC 모듈(220)과, 교통 정보 서비스를 위한 교통 센터(300)와, 정거장 노드(200)로부터 교통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의 NFC 단말기(400)를 포함한다.
상기 정거장 노드(200)들 사이에는 통신 거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우팅 기능을 수행하는 지그비 모듈(252)을 포함하는 중계 노드(250)가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단말기(100) 및 교통 센터(300)에는 정거장 노드(200) 또는 중계 노드(250)와의 통신을 위해 지그비 모듈(110)(310)이 포함된다. 상기 지그비 모듈은 전체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코디네이터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지그비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 정보의 송/수신을 위해 지그비 모듈(110,210,252,310) 마다 식별정보가 각각 할당되며, 각각의 지그비 모듈이 지그비 네트워크내에서 지그비 단말기(End device) 및/또는 지그비 라우터(router) 기능을 수행하면서, 상호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차량 단말기(100)에는 제 2지그비 모듈(110) 및 속도 검출부(12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속도 검출부(120)는 시간당 버스의 주행 거리와 바퀴 회전 수를 이용하여 이동 속도를 계산하게 되며, 그 계산된 속도 정보는 제 2지그비 모듈(110)을 통해 정거장 노드(200)로 송출된다.
이때, 차량 단말기(100)의 제 2지그비 모듈(110)과 정거장 노드(200)의 제 1지그비 모듈(210)은 모듈 식별정보(ID)를 송/수신하게 되며, 그 후, 상기 속도 검 출부(120)에서 검출된 속도 정보를 제 1지그비 모듈(210)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버스 등의 교통 수단에서 속도를 계산하는 방법으로는 이동 시간을 기반으로한 속도 검출부를 통해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단말기(100)는 정거장 노드(200)와의 통신을 통해 정차 시간 등이 계산될 수 있으며, 그 정차 시간이 기준을 초과할 경우 사고 여부도 서비스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정거장 노드(200)는 버스 정거장 표지판 또는 그 주변에 설치되며, 제 1지그비 모듈(210) 및 제 1NFC 모듈(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지그비 모듈(210)은 다중의 지그비 노드와 통신하는 FFD(fully-function device) 기능을 가지고 있어, 근거리에 위치한 다른 지그비 모듈과의 통신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차량 단말기(100)의 제 2지그비 모듈(110)로부터 속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속도정보 및 신호 세기 정보는 자신의 지그비 신호에 실어 중계 노드(250), 다른 정거장 노드 등을 거친 후 최종 교통 센터(300)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정거장 노드(200)에서는 이동하는 버스의 정확한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 차량 단말기(100)의 제 2지그비 모듈(110)에 대한 신호 세기 정보를 측정한 후 그 측정된 정보를 교통 센터(300)로 제공해 준다. 이는 버스가 하나의 정거장 노드(200)에서 다른 정거장 노드로 이동할 때 동일한 버스에서 수신되는 신호 세기 정보에 차이가 존재하게 되며, 그 차이 정보를 이용하여 버스가 이동하는 방향, 위치 등을 체크할 수 있다. 이러한 버스 위치 및 방향은 센터에서 핸드 오버(Hand over, hand off) 개념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정거장 노드(200)의 제 1지그비 모듈(210)은 교통 센터(300)로부터 교통 정보가 실시간 수신되면, 그 수신되는 교통 정보를 제 1NFC 모듈(220)에 전달하여 기록하게 된다. 여기서, 제 1NFC 모듈(220)은 사용자의 NFC 단말기(400)로부터 교통 정보 요청이 있으면 실시간 받은 교통 정보를 NFC 단말기(400)에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제 1NFC 모듈(220)은 하나의 정거장 노드(200)에 다수개가 구성될 수 있다. 예들 들면, 다수개의 제 1NFC 모듈(220)들은 정거장 주변의 교통 정보, 버스 표지판에 표시된 버스 노선별 정보, 버스 노선별 경유하게 되는 정차 노드에 대한 교통 정보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NFC 모듈을 이용하여 버스 노선, 버스 도착 예정 시간, 그리고 정차 노드별 도착 예정 시간 등에 정보를 구분하여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정거장 노드(200)에 설치된 NFC 모듈들은 사용자가 도착하고자 하는 도착지 노드에 연계된 버스(시내 버스, 마을 버스 등), 지하철 등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교통 센터(300)는 하나의 버스 사업자로서, 각 이동 노드에 대한 정보를 정거장 노드로부터 수집한 후 모니터링하고, 각 정거장 노드에 필요한 정보로 가공한 후 데이터베이스(database)로 구축하며, 사용자 단말기에 교통 정보를 서비스하게 된다.
이러한 교통 센터(300)는 크게 제 3지그비 모듈(310)과 서버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 3지그비 모듈(310)은 정거장 노드(200) 또는 중계 노드(250)와의 통신을 수행하게 되며, 서버부(320)는 상기 제 3지그비 모듈(310)에 수신되는 정보를 수집 및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갱신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 베이 스에 저장된 정보를 정거장 노드(200)로 제공함으로써, 정거장 노드(200)에서 NFC 단말기(400)에서 필요한 정보를 서비스해 주게 된다.
한편, NFC 단말기(400)는 제 2NFC 모듈(410)과 단말 모듈(420)을 포함하며, 제 2NFC 모듈(410)은 정거장 노드(200)에 구비된 제 1NFC 모듈(220)과 통신을 수행하며, 접촉식 또는 비 접촉식으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즉, NFC 단말기(400)에서 정거장 노드(200)의 특정 노선 또는 특정 정차 노드별로 설치된 제 1NFC 모듈(220)를 통해 정보를 요청하면 제 1NFC 모듈(220)에 기록된 교통 정보가 NFC 단말기(400)의 제 2NFC 모듈(410)에 수신된다. 이때 제 2NFC 모듈(410)로 수신된 교통 정보는 단말 모듈(420)을 통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또 단말 모듈(420)에서는 음성으로도 서비스될 수 있다.
이때, 단말 모듈(420)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교통 정보는 버스 도착 예정시간, 버스 위치 등을 기본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거장 노드(200)의 주변 교통 정보, 도착지 노드별 도착 예정 시간, 도착지 노드의 교통 정보 등을 제 1NFC 모듈(220) 마다 선택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정거장 노드(200)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정거장 노드(200)의 제 1지그비 모듈(210)은 NFC 단말기의 접속 요청 정보의 처리 여부에 따라 활성 모드 또는 휴지 모드로 동작되며, 네트워크 초기화, 노드 관리, 노드 정보 저장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제 1지그비 모듈(210)은 지그비 신호 수신부(202), 지그비 신호 송신부(203), 신호 세기 감지부(204), 지그비 신호 처리부(205), 지그비 제어부(206)를 포함한다. 상기 지그비 신호 수신부(202)는 안테나(201)의 접속 영역 내에 진입한 차량 단말기 또는 다른 지그비 모듈이 전송하는 지그비 신호를 안테나(201)를 통해 수신하며, 지그비 신호 송신부(203)는 지그비 신호에 데이터를 실어 안테나(201)를 통해 송신하게 된다.
그리고 신호 세기 감지부(204)는 상기 수신된 지그비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RSSI)를 감지하고, 상기 지그비 신호 처리부(205)는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되어 있는 값 보다 약하면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증폭하게 된다. 또한 지그비 신호 처리부(205)는 지그비 신호 수신부(202)를 통해 수신된 지그비 신호로부터 상대방 지그비 모듈의 식별정보(ID) 또는 맥 주소를 추출하여 지그비 제어부(206)로 전달하며, 또 차량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서 속도 정보, 신호 세기 정보를 추출하여 지그비 제어부(206)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지그비 제어부(206)는 상기 식별정보 또는 맥 주소와 함께 상기 속도 정보 및 신호 세기 정보를 지그비 신호 송신부(203)로 전달하게 되며, 지그비 신호 송신부(203)는 상기 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안테나를 통해 중앙 제어 위치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그비 제어부(206)는 제 1NFC 모듈(220)에 교통 센터로부터 수신되는 교통 정보를 전달해 주게 된다.
이러한 제 1지그비 모듈(210)은 라우터 또는 게이트 웨이용 지그비 모듈로서 각 종 정보를 교통 센터로 전송해 주고, 또한 교통 센터로부터 수신되는 정거장 노드에 대한 정보, 버스 노선별 정보, 정차 노드별 정보를 다수개의 NFC 모듈에 전달한다. 그리고, 부가적인 메모리 및 전원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 다.
상기 제 1NFC 모듈(220)은 맥 어드레스를 가지고 고유하게 식별될 수 있으며, NFC 처리부(222), NFC 제어부(223), NFC 메모리(224)를 포함하며, 상기 NFC 처리부(222)는 송신 또는 수신되는 NFC 신호를 변/복조하게 되며, NFC 제어부(223)는 상기 송신 또는 수신되는 신호를 제어하며 제 1지그비 모듈(210)의 지그비 제어부(206)과 통신하여 교통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NFC 메모리(224)는 상기 복조된 신호 또는 제 1지그비 모듈(210)로부터 전달되는 교통 정보를 기록하게 되며, SDRAM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러한 제 1NFC 모듈(220)은 RFID 태그로 기능하게 된다.
이러한 정거장 노드(200)는 교통 센터로부터 전달되는 교통 정보를 지그비 네트워크를 통해 제 1지그비 모듈(210)로 수신한 후, 제 1지그비 모듈(210)에 접속된 제 1NFC 모듈(220)의 NFC 메모리(224)에 교통 정보가 실시간 기록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 1NFC 모듈(220)의 안테나(221)를 통해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NFC 처리부(222)는 상기 신호를 복조하여 NFC 제어부(223)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NFC 제어부(223)는 상기 NFC 메모리(224)에 저장된 고유한 교통 정보를 NFC 처리부(222)에 전달하고, NFC 처리부(222)는 상기 교통 정보를 변조하여 안테나(221)를 통해 NFC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센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교통 센터에는 제 3지그비 모듈(310) 및 서버부(320)를 포함하며, 정거장 노드, 이동 및 중계 노드로부터 전달되는 각 종 정보를 수신한 후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하고, 필요한 교통 정보를 정거장 노드로 전송해 준다. 이때, 정거장 노드의 요청이 있을 때 전송해 주거나, 갱신되는 정보를 주기적으로 정거장 노드에 전송해 줄 수 있다.
상기 제 3지그비 모듈(310)은 지그비 신호 수신부(312), 지그비 신호 송신부(313), 지그비 신호 처리부(314), 지그비 제어부(315)를 포함한다. 상기 지그비 신호 수신부(312) 및 송신부(313)는 안테나(301)를 통해 교통 정보를 실은 지그비 신호를 복조/변조하여 수신 또는 송신하게 된다.
상기 지그비 신호 처리부(314)는 정거장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단말기(100)의 정보(속도정보, 신호 세기 등)와, 정거장 및 단말기에 설치된 지그비 모듈의 식별정보(ID) 또는 맥 주소를 추출하여 지그비 제어부(315)로 전달하며, 지그비 제어부(315)는 상기 식별정보 또는 맥 주소와 함께 상기 속도 정보 및 신호 세기 정보를 서버부(320)로 전달하며, 서버부(320)로부터 전달받은 교통 정보를 지그비 신호 처리부(314), 지그비 신호 송신부(313)를 통해 전송해 준다. 이때 상기 지그비 신호 송신부(313)는 수신 식별 정보와 교통 정보를 지그비 신호에 실어 전송하게 된다.
상기 서버부(320)는 교통정보 서버(321), 버스 정보 검출부(322) 및 데이터 베이스(323)를 포함하며, 상기 교통 정보 서버(321)는 외부와 통신을 담당하거나 시스템 전체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한다. 또한 정거장 노드의 지그비 모듈과 다수의 NFC 모듈들을 ID 또는 맥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관리하게 된다.
상기 버스 정보 검출부(322)는 상기 제 3지그비 모듈(310)로부터 수신되는 이동체의 속도, 신호 세기 정보, 그리고 지그비 모듈의 ID를 이용하여 주행 노선에 설치되는 정거장 노드에 필요한 버스 도착 예정 시간, 버스 위치 등의 정보를 검출하게 된다. 즉, 지그비 네트워크 상의 존재하는 모든 노드를 공유함으로써 버스 위치, 도착 시간 정보 등의 교통 정보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323)에는 상기 수신된 정보 및 미리 구축된 정거장 노드의 주변 교통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323)에는 주행 노선에 설치된 정거장 노드별 주행 버스 번호, 지그비 모듈의 ID, NFC 모듈의 ID , 버스 도착 예정 시간, 버스 위치 등을 저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 에에 따른 정거장 노드(200)와 NFC 단말기(400)의 통신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거장 노드에 다수의 NFC 모듈(220a~220n)이 적용된 정거장 표지판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정거장 노드(200)에는 하나의 지그비 모듈(210)과 다수의 제 1NFC 모듈(220)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제 1NFC 모듈(2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버스 노선 번호에 노선용 NFC 모듈(220a,220b,220c)이 각각 설치되고, 각 버스 노선의 정차 노드마다 정차 노드용 NFC 모듈(220a1~n, 220b1~n, 220c1~n)이 설치되며, 또 정거장 노드(200)에도 하나의 정거장용 NFC 모듈(220n)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노선용 NFC 모듈(220a,220b,220c)은 각 버스의 번호, 정거장에 도착되는 예정시간, 버스 위치 등을 알려주며, 정차 노드용 NFC 모듈(220a1~n, 220b1~n, 220c1~n)은 다음 주행 노선에 위치한 정차 노드별 도착 예정 시간과 그 정차 노드의 교통 정보를 제공해 주며, 정거장용 NFC 모듈(220n)은 사용자가 위치한 정거장의 주변 교통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제 2NFC 모듈은 인접하는 NFD 모듈과의 간격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7은 사용자의 NFC 단말기(400)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NFC 단말기(400)는 제 2NFC모듈(410) 및 단말 모듈(420)을 포함하며, 제 2NFC 모듈(410)은 정거장 노드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제 1NFC 모듈에 정보 요청 신호를 보내고, 수신되는 교통 정보를 단말 모듈(420)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제 2NFC 모듈(410)은 정거장 노드의 제 1NFC 모듈에 정보 요청 신호와 함께 자신의 정보를 송신하며 그 정보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교통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제 2NFC 모듈(410)은 RFID 리더로 기능하게 된다.
상기 제 2NFC모듈(410)은 NFC 신호 처리부(412), NFC 제어부(413), NFC 메모리(414)를 포함하며, 상기 NFC 신호 처리부(412)는 안테나(411)를 통해 송/수신되는 NFC 신호를 변/복조하며, 복조된 신호는 NFC 제어부(413)에 의해 교통 정보가 추출되며, 추출된 정보는 NFC 메모리(414)에 저장하거나 단말 모듈(420)로 전달해 준다.
단말 모듈(420)은 PMP, PDA, 표시장치를 구비한 MP3, 휴대폰 등의 휴대 장치에 포함되며, 휴대폰의 단말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말 모듈(420)은 무선 처리부(422), 송수화부(423), 키 입력부(424), 메모리부(425), 디스플레이부(426), 전원부(427), 단말 제어부(428)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말 모듈(420)은 제 2NFC 모듈(410)로부터 교통정보를 받아서 디스플레이부(426)로 표시해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 모듈(420)의 디스플레이부(426)에 표시된 교통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거장 노드(200)의 제 1지그비 모듈(210)은 주행하는 버스에 탑재된 차량 단말기(100)로부터 속도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필요시 GPS를 이용한 좌표 정보도 받을 수도 있다.
상기 제 1지그비 모듈(210)은 상기 속도 정보와 신호 세기 정보를 수신한 후 차량 단말기 및 정거장 노드에 대한 식별정보와 함께 교통 센터(300)의 제 3지그비 모듈(310)에 제공해 준다. 교통 센터(300)는 제 3지그비 모듈(310)을 이용하여 모든 정거장 노드로부터 차량 단말기들의 속도 정보 및 신호 세기 정보를 수집하고, 서버부(320)에 제공하게 된다. 서버부(320)는 상기 속도 정보 및 신호 세기 정보들을 차량 단말기별, 정거장 노드의 지그비 모듈 및 NFC 모듈별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게 되며,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된 정보를 가공하여, 다수의 NFC 모듈에 필요한 교통 정보를 해당 정거장 노드로 전송하게 됨으로써, 각 정거장 노드에 구비된 최종 제 1NFC 모듈(220)에 기록된다.
이때, 사용자는 NFC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상기 정거장 노드(200)에 구비 된 제 1NFC 모듈(220)에 접촉형 또는 비 접촉형으로 정보 요청을 요구하고, 그 결과 수신되는 교통 정보를 받아서 디스플레이시켜 준다.
도 8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버스와 같은 이동 노드에서 지그비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주행 정보(주행 속도)를 송출하면(S501), 정거장 노드에서는 상기 주행 정보 및 신호 세기를 추출한 후 지그비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교통 센터로 전송하게 된다(S503). 상기 교통 센터(300)에서는 정거장 노드(200)별 교통 정보를 수집하여 DB에 구축한 후(S505), 정거장 노드별 교통 정보를 실시간 전송해 준다(S507). 여기서, 정거장 노드별 교통 정보는 정거장 노드용 NFC 모듈에 대한 교통 정보, 버스 노선별 NFC 모듈에 대한 교통 정보, 정차 노드별 NFC 모듈에 대한 교통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이때, 정거장 노드에서는 지그비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교통 정보를 수신하고(S509), 단말기에 NFC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교통 정보를 요청하면 정거장 노드의 NFC 모듈이 교통 정보를 제공해 주게 된다(S511). 이에 따라 단말기에 수신된 교통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S513).
이러한 본 발명은 지그비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면서 이동하는 노드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모니터링하고, 서비스하고자 하는 교통 정보를 지그비 네트워크로 재 전송해 준다. 상기 재 전송되는 교통 정보는 지그비 네트워크 하의 NFC 모듈로 전달됨으로써, NFC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어 사용 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그비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노드들의 전체 노선 네트워크화 및 교통 정보 파악이 가능하며, NFC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개개인의 단말기와의 통신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저 전력, 저 비용으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정거장 노드에 대한 교통 정보를 이동 노드에서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동 노드에 지그비 모듈과 다수개의 NFC 모듈을 복합적으로 구비하여, 버스, 지하철 등이 이동체 내에서 노선이나 정차 노드에 대한 각 종 교통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두 종류 이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 기술 등에 응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노드 간의 통신은 지그비 방식과 유사한 통신 거리(또는 방식)을 같은 블루투스, UWB(Ultra Wide Band),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등의 통신 수단 중 하나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때 이용되는 통신 수단과 NFC(또는 RFID) 등을 이용하여 교통 정보를 단말기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서로 다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교통 수단들의 관리 및 교통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 비용, 저 전력으로 구축이 가능한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추후에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 기술이 될 수 있으며, 타 응용분야와 접목시킬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이동체의 주행 정보를 제 1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는 차량 단말기;
    제 1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체의 주행 정보 수집하고 교통 정보를 서비스하는 교통 센터;
    제 2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이동체의 교통 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
    이동체의 주행 경로 상에 설치되며, 제 1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 단말기 및 교통 센터와 통신하며, 상기 교통센터로부터 수신된 교통 정보를 제 2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정거장 노드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단말기는 이동체의 주행에 따른 속도 정보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속도 정보를 제 1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기 정거장 노드에 제공하기 위한 제 1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단말기, 교통 센터 및 정거장 노드는 제 1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 해 지그비 모듈, 블루투스, UWB(Ultra Wide Band),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거장 노드 및 사용자 단말기는 제 2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해 RFID 또는 NFC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는 이동체의 위치 정보 및 도착 예정 시간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센터는 제 1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정거장 노드로부터 전송된 주행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정거장 노드로부터 전송된 주행 정보로부터 각 이동체의 위치 정보 및 정거장별 도착 예정 시간을 검출하는 교통 정보 검출부와, 상기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교통 정보 서버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거장 노드의 NFC 모듈은 교통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동체의 주행 노선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거장 노드의 NFC 모듈은 이동체의 주행 노선에 위치한 정차 노드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거장 노드와 정거장 노드 사이에는 노드 간의 신호 전송을 위해 제 2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통신하는 중계 노드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10. 교통 정보의 수집 및 제공을 위해 차량 단말기, 정거장 노드 및 교통 센터 상호간의 통신을 위한 지그비 모듈;
    상기 정거장 노드를 통한 교통 정보 서비스를 위해 정거장 노드 및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신을 위한 NFC 모듈 및 그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11. 정거장 노드에 설치된 제 1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및 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주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및 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주행 정보를 교통 센터에서 수집한 후 정거장 노드별 교통 정보를 각 정거장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거장 노드에 수신된 교통 정보를 제 2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및 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지그비 모듈, 블루투스, UWB(Ultra Wide Band),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NFC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정거장 노드의 NFC 모듈은 교통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다수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정거장 노드의 NFC 모듈은 이동체의 위치 및 도착 예정 시간과, 정거장 노드의 주변 교통정보와, 정거장 노드에 정차하는 이동체의 노선정보와, 이동체 노선에 따른 정차 위치에 관련된 이동체들의 위치 및 도착 예정 시간 중 어느 하나를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방법.
KR1020060043217A 2006-05-15 2006-05-15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701105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217A KR20070110574A (ko) 2006-05-15 2006-05-15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217A KR20070110574A (ko) 2006-05-15 2006-05-15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574A true KR20070110574A (ko) 2007-11-20

Family

ID=39089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217A KR20070110574A (ko) 2006-05-15 2006-05-15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0574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350B1 (ko) * 2008-03-05 2008-07-21 주식회사 미래티앤씨 실시간 도착정보를 안내하는 버스정보안내시스템
CN102184581A (zh) * 2011-05-19 2011-09-14 无锡时代动力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nfc与基站定位的确定行驶路径信息的方法、设备及系统
KR101111605B1 (ko) * 2009-04-28 2012-02-16 주식회사 쏠라디오 개선된 버스정보시스템
KR101229513B1 (ko) * 2012-04-12 2013-02-06 에이큐 주식회사 대중교통 이용시 엔에프씨를 이용한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370507B1 (ko) * 2012-11-08 2014-03-06 (주)휴먼케어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KR101371215B1 (ko) * 2011-08-04 2014-03-11 (주) 싱크펄스 도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1468562B1 (ko) * 2012-08-31 2014-12-04 윤성준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실시간 보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68559B1 (ko) * 2012-08-31 2014-12-04 윤성준 근거리무선통신 기반의 네트워크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9351104B2 (en) 2009-04-01 2016-05-24 AQ Corporation Mobile phone and metho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170065472A (ko) * 2017-05-22 2017-06-13 주식회사 탐생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셔틀차량 위치 판단 방법
KR101896438B1 (ko) * 2017-03-14 2018-09-11 신경환 Rfid 기반의 버스정류장 및 택시승강장을 이용한 택시 탑승 시스템 및 택시 탑승 방법
WO2019231555A1 (en) * 2018-05-30 2019-12-05 Micron Technology, Inc. Transmission of vehicle route information by passive devices
JP2020003383A (ja) * 2018-06-29 2020-01-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営業用車両のユーザー認証装置及び方法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350B1 (ko) * 2008-03-05 2008-07-21 주식회사 미래티앤씨 실시간 도착정보를 안내하는 버스정보안내시스템
US10299097B2 (en) 2009-04-01 2019-05-21 AQ Corporatio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US10063994B2 (en) 2009-04-01 2018-08-28 AQ Corporation Mobile phone and metho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US10721606B2 (en) 2009-04-01 2020-07-21 AQ Corporation Mobile terminal and method involving near field communication
US10536837B2 (en) 2009-04-01 2020-01-14 AQ Corporatio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US9351104B2 (en) 2009-04-01 2016-05-24 AQ Corporation Mobile phone and metho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US10945110B2 (en) 2009-04-01 2021-03-09 AQ Corporation Mobile terminal and method involv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1111605B1 (ko) * 2009-04-28 2012-02-16 주식회사 쏠라디오 개선된 버스정보시스템
CN102184581A (zh) * 2011-05-19 2011-09-14 无锡时代动力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nfc与基站定位的确定行驶路径信息的方法、设备及系统
KR101371215B1 (ko) * 2011-08-04 2014-03-11 (주) 싱크펄스 도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1229513B1 (ko) * 2012-04-12 2013-02-06 에이큐 주식회사 대중교통 이용시 엔에프씨를 이용한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468562B1 (ko) * 2012-08-31 2014-12-04 윤성준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실시간 보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68559B1 (ko) * 2012-08-31 2014-12-04 윤성준 근거리무선통신 기반의 네트워크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70507B1 (ko) * 2012-11-08 2014-03-06 (주)휴먼케어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KR101896438B1 (ko) * 2017-03-14 2018-09-11 신경환 Rfid 기반의 버스정류장 및 택시승강장을 이용한 택시 탑승 시스템 및 택시 탑승 방법
KR20170065472A (ko) * 2017-05-22 2017-06-13 주식회사 탐생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셔틀차량 위치 판단 방법
WO2019231555A1 (en) * 2018-05-30 2019-12-05 Micron Technology, Inc. Transmission of vehicle route information by passive devices
US10862538B2 (en) 2018-05-30 2020-12-08 Micron Technology, Inc. Transmission of vehicle route information by passive devices
JP2020003383A (ja) * 2018-06-29 2020-01-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営業用車両のユーザー認証装置及び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0574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US7868784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parking management
JP4696016B2 (ja) 駐車場位置管理システムおよび駐車場位置管理方法
US20120143397A1 (en) Asset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8452306B2 (en) GPS-based location system and method
KR20150087873A (ko) 대중교통 서비스를 위한 사물 인터넷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069778B (zh) 用于定位的方法、移动设备及系统
KR101603160B1 (ko) 네트워크 연동 기능을 가진 비콘 게이트웨이를 이용하는 비콘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콘 신호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10017746A (ko)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자동 조난신고 시스템
TWI589884B (zh) 行動載具電量監測與定位系統
KR101719754B1 (ko) Wave 통신용 가입자 인증 장치와 wave 통신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101850610B1 (ko) Rtls 기반의 실시간 안전, 보안 및 위치추적 통합관제시스템
JP2000268288A (ja) 移動車両位置追跡制御システム
US20230009721A1 (en)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nd device and method thereof
US10209092B2 (en) Method for acquiring and communicating data of a smart-metering meter and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TWI421790B (zh) 智慧型大眾運輸系統及其資訊傳遞方法
Oki et al. Device adaptive control method considering power consumption for pedestrian-to-infrastructure communications
KR20160057759A (ko) V2i 시스템 및 그 긴급 구조 요청 방법
KR20150068857A (ko) 스마트 양방향 무선 태그를 이용한 위치 추적 서비스 시스템
KR101521970B1 (ko)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
KR20110061028A (ko) 실시간 위치이동 정보를 통한 범죄 예방 시스템
JP2018117170A (ja) 移動体通信装置及び運行管理システム
KR20190080333A (ko) Ble송수신기를 이용한 보호대상자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1765457B1 (ko)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1770794B1 (ko) Lpwa 망을 이용한 위치추적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