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457B1 -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457B1
KR101765457B1 KR1020120039188A KR20120039188A KR101765457B1 KR 101765457 B1 KR101765457 B1 KR 101765457B1 KR 1020120039188 A KR1020120039188 A KR 1020120039188A KR 20120039188 A KR20120039188 A KR 20120039188A KR 101765457 B1 KR101765457 B1 KR 101765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ransceiver
wireless
portable terminal
transceivers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6627A (ko
Inventor
오재윤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9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457B1/ko
Publication of KR20130116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2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0Position of receiver fixed by co-ordinating a plurality of position lines defined by path-difference measurements, e.g. omega or decca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220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2205/001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2205/006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for emergency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건물과 같은 공간에서 발생한 화재 등의 위급 상황 시에도 건물의 전원 상태에 구애받지 않고 건물 내부의 사람들의 위치 추적 정보를 실시간으로 클라우드망을 통해 외부 공공기관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은 단위 공간 내에 존재하는 휴대용 단말기; 상기 단위 공간 내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파 강도를 감지하는 무선 송수신기; 및 상기 무선 송수신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파 강도 및 상기 무선 송수신기의 위치정보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중앙 제어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Security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본 발명은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과 같은 공간에서 발생한 화재 등의 위급 상황 시에도 건물의 전원 상태에 구애받지 않고 건물 내부의 사람들의 위치 추적 정보를 실시간으로 클라우드망을 통해 외부 공공기관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건물 보안 시스템에서는, 감시가 필요한 장소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감시 가능을 수행하거나 출입 통제를 위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카드 등을 발급하여 제한된 장소를 출입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또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일정 공간 내부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하여 기본적인 감시 기능을 수행하고, 경우에 따라서 이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건물의 전력 제어, 냉난방 제어 등의 스마트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렇게 종래의 보안 시스템은 영상 감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사람들에 한정하여 감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만약 화재나 정전과 같은 위급 상황 발생시에는 대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사람들에 대한 촬영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감시 영역 밖에 존재하는 사람에 대해서는 이들의 이동 상황, 존재 여부에 대한 파악과 같은 일체의 실시간 감시 가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건물 내부에 존재하는 소수의 사람들이나 침입자를 찾아내기가 곤란하고 건물 전체가 정전이 될 경우 감시 시스템이 무용지물이 될 수도 있다.
한편, 종래의 보안 시스템의 위치 추적 기술에는 삼각 측량 기술, 적외선을 이용한 인식 기술, 초음파를 이용한 위치 인식 기술 등이 존재하지만, 이러한 기술을 적용한 위치 추적 장치는 반드시 밀폐된 공간에서 어떠한 형태로든 안정된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고정식 장치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밀폐 공간에서 화재 등과 같은 긴급 재해 발생시에는 위치 추적을 위한 고정식 장치의 안정적 동작을 보장할 수가 없다. 이로 인하여, 화재 진압이나 인명 구조를 위해 투입되는 소방관뿐만 아니라 터널, 또는 지하에서 작업하는 근로자들의 위치를 추적하는 목적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한국공개공보 2004-0011672호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화재나 정전과 같이 보안 시스템이 동작하지 않는 긴급 상황 또는 긴급 재해 발생시에도 건물 내부의 사람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일 태양은 단위 공간 내에 존재하는 휴대용 단말기; 상기 단위 공간 내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파 강도를 감지하는 무선 송수신기; 및 상기 무선 송수신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파 강도 및 상기 무선 송수신기의 위치정보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중앙 제어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방법의 일 태양은 단위 공간 내에 존재하는 무선 송수신기가 상기 단위 공간 내에 존재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파 강도를 감지하는 단계; 중앙 제어 서버가 상기 무선 송수신기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파 강도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무선 송수신기의 위치정보와 상기 제공받은 상기 전파 강도 정보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 수 있다.
더 나아가, 특정 조건 상황 발생 시 상기 단위 공간 내의 내부 전원을 차단하고 외부 전원 공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건물의 화재나 정전과 같은 위급 상황 발생시에도 감시 영역에 대한 제한 없이 건물 내부의 모든 사람에 대한 위치를 추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물 내부 사람들의 위치 정보가 외부 기관에 실시간으로 공유될 수 있게 됨으로써 비상 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이 적용되는 건물 내부 모습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이 적용되는 건물 내부 모습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4은 다수의 무선 송수신기가 방형으로 위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5는 도 4과 같이 방형으로 위치한 다수의 무선 송수신기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다수의 무선 송수신기가 방형으로 위치하지 않을 경우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이 적용되는 건물 내부 모습의 측면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이 적용되는 건물 내부 모습의 평면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이하, 도 5 내지 도 8의 P), 무선 송수신기(200), 및 중앙 제어 서버(310 및/또는 32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무선 송수신기(200)는 단위 공간 내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전파 강도를 감지한다.
단위 공간은 하나 이상의 무선 송수신기(200)가 그 공간 내에 존재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파 수신 강도를 모두 수집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 2 전체와 같이 하나의 건물 내 한 층 전체가 하나의 단위 공간이 될 수도 있고, 한 층의 일부(도 2의 A 내지 E)일 수도 있을 것이다.
무선 송수신기는 휴대폰 전파 안테나(201), 무선랜 라우터(203), 블루투스 송수신기(205),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송수신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나열된 것 이외에 다른 종류의 송수신기도 무방하다.
휴대폰 전파 안테나(201) 또는 무선랜 라우터(203)는 건물의 한 층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각각 장거리 및 중거리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이 목적이다. 블루투스 송수신기(205)는 각 층에서 필요한 구역마다 설치되며 10미터 이내의 단거리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이 목적이고, NFC 송수신기(207)는 각 층에서 필요한 구역 또는 구역간 이동 경계부에 설치되어 초단거리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무선 송수신기들은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단위 공간 내에 여러 종류들이 함께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고, 필요에 따라 한 가지 종류만 설치되어 있더라도 무방하다.
다만, 각 종류의 무선 송수신기의 전파 수신 가능 범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어떠한 종류의 무선 송수신기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단위 공간의 크기 또한 달라진다.
예를 들어 휴대폰 전파 안테나(201) 또는 무선랜 라우터(203)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위 공간이 건물 내 하나의 층 전체가 될 수 있다. 또한 만약 블루투스 송수신기(205)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도 2에처럼 층 내부에서 구획된 공간(A 내지 E) 중 하나를 담당하거나 또는 구획된 두 개 이상의 공간에 존재하는 블루투스 송수신기(205)들이 상기 두 개 이상의 공간을 함께 커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단위 공간 내에 존재하는 사람(10)이 휴대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 단말기로서, 휴대용 단말기는 단위 공간 내에 존재하는 무선 송수신기(2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가 송신하는 신호 전파의 강도를 무선 송수신기(200)가 감지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사람(10)이 항상 휴대하는 것을 전제로 하며, 이로써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 발생시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위치 추적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를 휴대한 사람(10)에 대한 위치 추적이 가능해진다.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 송수신기(200)의 종류에 따라 무선 송수신기(200)가 수신할 수 있는 전파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춘 것이면 어떠한 종류라도 무관하다. 예를 들어, 개개인이 거의 모두 휴대하고 있는 통신 기기인 휴대폰일 수 있는데, 이 경우 무선 송수신기(200)는 휴대폰 전파 안테나(201)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블루투스 통신 기능 또는 NFC 통신 기능이 가능한 휴대폰일 경우라면 무선 송수신기(200)로서 블루투스 송수신기(205) 또는 NFC 송수신기(207)가 별개로 또는 함께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휴대폰 이외에 무선 송수신기(200)와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춘 별도로 제작된 단말이어도 무관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휴대폰을 휴대용 단말기로, 휴대폰 전파 안테나(201), 블루투스 송수신기(205), NFC 송수신기(207) 등을 무선 송수신기(200)로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나,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휴대용 단말기 및 무선 송수신기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에 따르면 휴대폰을 지닌 사람이 건물 내로 진입하면 건물 내부의 무선 송수신기를 통해 건물 진입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를 휴대폰으로 송신한다. 그러면 휴대폰은 미리 정해진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하거나 건물 진입 상태임을 알 수 있는 모드로 자동 전환된다. 이 모드에서는 건물 내부의 다양한 전파 송수신 장비들과 정보 교환이 가능하지며, 이에 따라 휴대폰을 지닌 사람에 대한 실시간 위치가 파악된다.
예를 들어 건물에 출근하는 출근자의 경우 출근과 동시에 자동으로 휴대폰이 출근 모드로 전환되고, 각 출입문이나 각 구역 출입구를 통과할 경우 휴대폰의 NFC 기능을 이용하여 출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방문자의 경우, 사전에 방문 시스템에 등록된 방문자 정보와 휴대폰 내부의 신상 정보를 자동으로 검색 및 비교하여 신분을 확인한 후 건물 방문 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도 4는 다수의 무선 송수신기가 방형으로 위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이고, 도 5는 도 4과 같이 방형으로 위치한 다수의 무선 송수신기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에 따르면 무선 송수신기가 다수개 존재할 수 있는데, 특히 적어도 세 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층 또는 한 층 내부의 일부 구획된 공간을 2차원 평면이라고 할 때, 휴대폰을 지닌 각 개개인들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해 내기 위함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특정 종류의 무선 송수신기가 마치 방형의 꼭지점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즉,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전파 안테나(201) 또는 무선랜 라우터(203)는 건물의 한 층의 네 모서리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송수신기(205)는 구획된 각 공간(A 내지 D)의 각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어떤 종류의 무선 송수신기이든 이렇게 방형의 네 꼭지점의 위치에 적어도 세 개의 무선 송수신기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를 도 4와 같이 표현한다. 도 4에서 S1 내지 S4는 복수의 무선 송수신기 각각을 의미하고 원형은 각 무선 송수신기가 커버하는 무선 통신 영역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에서는 적어도 세 개의 무선 송수신기를 통해 감지된 휴대폰의 전파 강도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위치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P(x, y)에 휴대폰을 지닌 사람이 위치하고 있다고 할 경우, 적어도 세 개의 무선 송수신기(S1 내지 S3)는 휴대폰이 송신하는 전파 강도를 감지한다.
감지된 휴대폰의 전파 강도에 대한 정보는 중앙 제어 서버(310 또는 320)에 전달되며, 중앙 제어 서버는 상기 감지된 휴대폰의 전파 강도에 대한 정보와 이미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무선 송수신기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휴대폰의 위치(도 5의 P(x, y))를 파악한다.
먼저 S1과 S2에 대해 휴대폰의 X 축상의 위치를 Px(a) 라고 하고 S1에서 수신한 휴대폰의 전파 신호 강도를 i1, S2에서 수신한 휴대폰의 전파 신호 강도를 i2라고 하면, 휴대폰의 X 축상이 위치는 S1과 S2를 상기 신호 강도의 역수의 비율인 ( 1/(i1): 1/(i2) ), 다시 말해 (i2: i1)의 비율로 내분하는 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X 축상의 휴대폰의 위치 Px(a)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112012029992929-pat00001
다음으로, S1과 S3에 대해 휴대폰의 Y 축상의 위치를 Py(d) 라고 하고 S1에서 수신한 휴대폰의 전파 신호 강도를 j1, S3에서 수신한 휴대폰의 전파 신호 강도를 j3라고 하면, 휴대폰의 Y 축상이 위치는 S1과 S3를 상기 신호 강도의 역수의 비율인 ( 1/(j1): 1/(j3) ), 다시 말해 (j3: j1)의 비율로 내분하는 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Y 축상의 휴대폰의 위치 Py(d)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112012029992929-pat00002
결국, 휴대폰(사람)의 위치 P(x, y)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2029992929-pat00003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단위 공간 내의 휴대폰을 지닌 사람의 위치를 파악한다. 또한, 이렇게 무선 송수신기가 방형의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휴대폰(사람)의 위치를 구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다수의 무선 송수신기가 방형으로 위치하지 않을 경우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세 개의 무선 송수신기가 방형이 아닌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중앙 제어 서버가 휴대폰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휴대폰이 위치하고 있는 경우의 휴대폰의 위치 좌표를 P(x, y)라고 하고, S1과 S2의 좌표를 각각 S1(x1, y1)과 S2(x2, y2)라 하며, S1에서 수신한 휴대폰의 전파 신호 강도를 i1, S2에서 수신한 휴대폰의 전파 신호 강도를 i2라고 하면, S1과 S2를 연결하는 직선상에서 상기 신호 강도의 역수의 비율인 ( 1/(i1): 1/(i2) ), 다시 말해 (i2: i1)의 비율로 내분하는 점은 P1(a, b)이다. 여기에서 P1(a, b)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112012029992929-pat00004
또한, S1과 S3에 대해 휴대폰의 위치 좌표를 P(x, y)라고 하고, S1에서 수신한 휴대폰의 전파 신호 강도를 j1, S3에서 수신한 휴대폰의 전파 신호 강도를 j3라고 하면, S1과 S3을 연결하는 직선 상에서 상기 신호 강도의 역수의 비율인 ( 1/(j1): 1/(j3) ), 다시 말해 (j3: j1)의 비율로 내분하는 점은 P2(c, d)이다. 여기에서 P2(c, d)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112012029992929-pat00005
이후, S1과 S2를 연결하는 직선과 수직이면서 P1(a, b)을 지나는 직선(1)과 S1과 S3를 연결하는 직선과 수직이면서 P2(c, d)을 지나는 직선(2)의 교점을 구하고, 이를 휴대폰을 지닌 사람의 위치로 파악한다.
도 7에서와 같이 휴대폰이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도, 위와 유사한 과정을 통해 구할 수 있다. 도 6과 동일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만 설명하면, S1과 S2를 연결하는 직선의 연장선상에 위치한 P1(a, b)는 도 6과는 달리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112012029992929-pat00006
또한, S1과 S3을 연결하는 직선 상에서 P2(c, d)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2029992929-pat00007
이후, S1과 S2를 연결하는 직선의 연장선과 수직이면서 P1(a, b)을 지나는 직선(3)과 S1과 S3를 연결하는 직선과 수직이면서 P2(c, d)을 지나는 직선(4)의 교점을 구하고, 이를 휴대폰을 지닌 사람의 위치로 파악한다.
도 8에서와 같이 휴대폰이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도, 위와 유사한 과정을 통해 구할 수 있다. 우선, S1과 S2를 연결하는 직선의 연장선상에 위치한 P1(a, b)는 도 6과는 달리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112012029992929-pat00008
또한, S1과 S3을 연결하는 직선의 연장선상에 위치한 P2(c, d)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2029992929-pat00009
이후, S1과 S2를 연결하는 직선의 연장선과 수직이면서 P1(a, b)을 지나는 직선(5)과 S1과 S3를 연결하는 직선의 연장선과 수직이면서 P2(c, d)을 지나는 직선(6)의 교점을 구하고, 이를 휴대폰을 지닌 사람의 위치로 파악한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단위 공간 내부의 모든 사람(휴대폰)에 대한 위치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와서, 위와 같이 구한 휴대폰의 위치 정보는 외부 관공서(소방서, 경찰서 등)로 통신망이나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실시간으로 갱신한다.
중앙 제어 서버(310 또는 320)는 건물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또는 모두 위치할 수도 있다. 건물의 외부에만 위치한 경우라면(서버 2), 중앙 제어 서버 2(320)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관공서에서 직접 받아볼 수 있게 될 것이나, 건물의 내부에도 위치할 경우(서버1, 310)에는 위에서 설명했듯이 외부 서버(서버 2)와 서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화재나 전력 공급 중단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중앙 제어 서버(310, 320)는 단위 공간 내에 존재하는 모든 휴대용 단말기로 비상 메시지를 문자메시지, 경고음, 음성 등을 통해 전송하여 위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린다. 또한 현재의 상황이 정전인지 화재인지와 적절한 대피로에 대한 정보도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만약, 건물 내부의 정전이나 화재로 인해 모든 장비가 사용 불가능 상태라면 외부 전원 공급 모드로 전환한다. 이로써, 평상시에 내부 전원(410)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을 외부 전원(420)에 의해 공급하게 함으로써 무선 송수신기(200)의 지속적인 동작을 보장받는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휴대폰과 같이 자체 베터리로 구동하기 때문에, 비상 상황시에 베터리가 모두 방전되지 않는 한 중앙 제어 서버가 각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결국, 비상 상황시 출동한 소방관이나 경찰관 등이 중앙 제어 서버를 통해 제공받은 사람(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대피 정보등을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비상 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방법은 단위 공간 내에 존재하는 무선 수신기가 상기 단위 공간 내에 존재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파 강도를 감지하는 단계(S910), 중앙 제어 서버가 상기 무선 수신기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파 강도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S920), 상기 무선 수신기위 위치정보와 상기 제공받은 상기 전파 강도 정보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S930)를 포함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특정 조건 상황 발생 시 상기 단위 공간 내의 내부 전원을 차단하고 외부 전원 공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9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910 내지 S930 단계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8 및 해당되는 설명 부분과 동일하므로 이를 통해 이해할 수 있으며, S940은 도 3을 통해 설명된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내용과 거의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P: 휴대용 단말기
200: 무선 송수신기
310, 320: 중앙 제어 서버

Claims (14)

  1. 단위 공간 내에 존재하는 제1 휴대용 단말기;
    상기 단위 공간 내에서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전파 강도를 감지하는 무선 송수신기; 및
    상기 무선 송수신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전파 강도 및 상기 무선 송수신기의 위치정보를 통해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중앙 제어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기는 제1 내지 제3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 서버는,
    상기 제1 및 제2 무선 송수신기의 각 위치 좌표값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무선 송수신기가 각각 수신한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전파 강도의 역수의 비율로 내분한 점을 지나면서 상기 제1 무선 송수신기의 위치와 상기 제2 무선 송수신기의 위치를 연결한 선에 수직인 제1 직선과,
    상기 제2 및 제3 무선 송수신기의 각 위치 좌표값에 대하여, 상기 제2 및 제3 무선 송수신기가 각각 수신한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전파 강도의 역수의 비율로 내분한 점을 지나면서 상기 제2 무선 송수신기의 위치와 상기 제3 무선 송수신기의 위치를 연결한 선에 수직인 제2 직선의 교점을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로 파악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공간 내에 존재하는 제2 휴대용 단말기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무선 송수신기는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의 전파 강도를 감지하고,
    상기 중앙 제어 서버는,
    상기 제1 및 제2 무선 송수신기의 각 위치 좌표값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무선 송수신기가 각각 수신한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의 전파 강도의 역수의 비율로 외분한 점을 지나면서 상기 제1 무선 송수신기의 위치와 상기 제2 무선 송수신기의 위치를 연결한 선에 수직인 제3 직선과,
    상기 제2 및 제3 무선 송수신기의 각 위치 좌표값에 대하여, 상기 제2 및 제3 무선 송수신기가 각각 수신한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의 전파 강도의 역수의 비율로 외분한 점을 지나면서 상기 제2 무선 송수신기의 위치와 상기 제3 무선 송수신기의 위치를 연결한 선에 수직인 제4 직선의 교점을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로 파악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서버는 특정 조건 상황 발생 시 상기 단위 공간 내의 내부 전원을 차단하고 외부 전원 공급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제1 및 제2 무선 송수신기는 특정 조건 상황 발생 시 상기 외부 전원 공급 모드에 의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는 특정 조건 상황 발생 여부와 무관하게 자체 베터리로 구동되는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20039188A 2012-04-16 2012-04-16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1765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188A KR101765457B1 (ko) 2012-04-16 2012-04-16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188A KR101765457B1 (ko) 2012-04-16 2012-04-16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627A KR20130116627A (ko) 2013-10-24
KR101765457B1 true KR101765457B1 (ko) 2017-08-07

Family

ID=49635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188A KR101765457B1 (ko) 2012-04-16 2012-04-16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4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484B1 (ko) * 2014-04-15 2015-02-12 주식회사 디오엔지니어링 모바일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터널의 화재 방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627A (ko)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0879B2 (en) Tactical rescue wireless base station
WO201606345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9405948B2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functioning of an RFID-based radio communication network in a spatially extensive area
US20190023528A1 (en) Wireless beacon and sensor node network application for the optimization and automation of on-site hoist operation and vertical transportation
CN103069778B (zh) 用于定位的方法、移动设备及系统
JP6773137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Giuliano et al. Indoor localization system for first responders in emergency scenario
KR20070110574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US11514741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physical access control systems
US10685103B2 (en) Challenge and response system for identifying non-credentialed occupants and method
KR101057707B1 (ko) BiTAG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물류 관리 방법
Chen et al. VIPS: A video-based indoor positioning system with centimeter-grade accuracy for the IoT
Menon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an aerial iot over collapsed structures
KR100862186B1 (ko) 이동 감지 센서를 구비한 이동 노드 및 동체 감지 센서를구비한 고정 노드간 저전력 구현 및 이동 노드의 식별자의중복 전송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이동 노드
KR101765457B1 (ko)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US10735933B2 (en) Communication management and communicating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nother device
KR101850610B1 (ko) Rtls 기반의 실시간 안전, 보안 및 위치추적 통합관제시스템
US20210374366A1 (en) Lo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infected individuals
KR20110042596A (ko) 미아 추적 시스템 및 위치 추적 방법
KR102022503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사물 위치 추적 방법
US10547980B1 (en) Device movement correlations
EP2833684B1 (en) Sensors network for indoor tracking of mobile units
KR20180070126A (ko) 대상체의 상태 변동 감지 시스템
KR101092779B1 (ko) 미아 추적 시스템 및 미아 위치 추적 방법
KR100885297B1 (ko) 휴대품 분실방지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