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186B1 - 이동 감지 센서를 구비한 이동 노드 및 동체 감지 센서를구비한 고정 노드간 저전력 구현 및 이동 노드의 식별자의중복 전송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이동 노드 - Google Patents

이동 감지 센서를 구비한 이동 노드 및 동체 감지 센서를구비한 고정 노드간 저전력 구현 및 이동 노드의 식별자의중복 전송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이동 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186B1
KR100862186B1 KR1020080022864A KR20080022864A KR100862186B1 KR 100862186 B1 KR100862186 B1 KR 100862186B1 KR 1020080022864 A KR1020080022864 A KR 1020080022864A KR 20080022864 A KR20080022864 A KR 20080022864A KR 100862186 B1 KR100862186 B1 KR 100862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mobile node
identifier
fixed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선희
김백규
강순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시스템
Priority to KR1020080022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감지 센서를 구비한 이동 노드 및 동체 감지 센서를 구비한 고정 노드 간 저전력 구현 및 이동 노드의 식별자의 중복 전송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이 식별자 중복 전송 방지 방법을 이용한 이동 노드 위치 확인 및 추적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하에서 이동 노드와 고정 노드 간의 불필요한 통신 트래픽을 최소화하고, 이동 노드와 고정 노드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이동 노드에 장착된 이동 감지 센서를 통해 이동 노드 자신의 이동이 감지될 때, 고정 노드와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 교환을 위해 통신을 시도하고, 이동 노드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저전력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b) 통신을 통해 고정 노드로부터 수신된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와 이전에 수신된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와, (c) 판단 결과, 수신된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와 이전에 수신된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가 동일한 경우 이동 노드 자신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상기 고정 노드로 재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이동 노드 식별자의 무분별한 전송으로 인해 고정 노드 측에 야기되는 많은 양의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감지 센서를 구비한 이동 노드 및 동체 감지 센서를 구비한 고정 노드간 저전력 구현 및 이동 노드의 식별자의 중복 전송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이동 노드{METHOD OF SAVING POWER CONSUMPTION AND REDUCING THE TRANSMISSION OF A MOBILE NODE IDENTIFICATION REDUNDANTLY BETWEEN MOBILE NODE EQUIPPED WITH MOVEMENT DETECTING SENSOR AND FIXTURE NODE EQUIPPED WITH MOTION DETECTING SENSOR AND MOBILE NODE}
본 발명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감지센서를 구비한 이동 노드와 동체감지센서를 구비한 고정 노드 간에 식별자 교환을 통한 위치인식 방법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동 노드는 이동 노드 자신의 이동이 감지되었을 때만 고정 노드와 식별자 교환을 시도하고, 고정 노드 또한 동체, 즉, 이동 노드가 감지되었을 때만 이동 노드와 식별자 교환을 시도함으로써 이동 노드의 저전력을 구현함과 동시에, 이동 노드 식별자의 중복 전송을 방지하고, 이동 노드 존재 여부가 확인되었을 때만 위치인식을 위한 식별자 교환을 수행함으로써 고정 노드에서의 불필요한 통신 트래픽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센서 네트워크란 현장에 설치된 고정 노드들이 다양한 정보 를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보내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 구축사례가 많아지면서 이동체의 위치확인 기능을 결합하면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예를 들면, 물류시스템에 화물의 위치확인 기능을 적용하면 화물이 창고의 어떤 위치에 있는지, 어디로 이동중인지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창고관리를 할 수 있다. 건물 내의 방범시스템에 적용시 이동하는 사람의 위치를 확인하여 허가되지 않은 구역에 접근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고, 쇼핑몰에서 고객이 이동할 때마다 근처 매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품에 대한 광고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동 노드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적외선 신호(Infrared, IR)로 외부로 방사할 수 있는 IR Beacon 단말을 특정 고정 장소에 위치시키고, IR 수신 장치가 탑재된 이동 단말이 근처를 지나갈 때 이 IR Beacon 수신하여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위치정보를 수동적으로 저장하고 있어야 하고, 즉 미리 저장된 위치 정보에만 해당 노드가 설치되어야하며, IR 신호를 외부로 무조건 방사 함으로써 과도 전력소모, 주변 IR 신호 민감 장치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많은 방법이다. 특히 이 방법의 가장 큰 문제점은 IR Beacon 노드가 특별한 재프로그래밍 기능이나 자체 통신 기능을 가지지 못하고 IR 신호를 외부로 방사 하기만 하고 또 이동 노드는 수신 기능만 가지고 있으므로 만일 대상 공간 관리 센터에서 특정 이동 노드들에 대한 실시간 경로 추적 등을 하고자 할 때 이동 노드에는 또 다른 고가의 통신 수단(CDMA 망 혹은 무선 랜등)이 요구되며, 따라서 유사 주파수 혼용 환경 등에서는 적용이 쉽지 않다.
이동 노드의 위치 확인을 위한 다른 방법으로 소위 Active Badge 방식이 있다. 이 방법은 이동 단말이 IR Beacon을 발생시키고 고정 노드가 이동 노드에서 발생시키는 IR Beacon 신호를 인식하여 가지 위치와 결합하여 위치 정보를 고정 노드간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심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 또한 이동 노드가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 방법의 가장 큰 문제점은 IR Beacon을 방사하는 이동 노드가 수없이 많을 경우, 그리고 특정 고정 노드(iR 수신노드)에 몰릴 경우에 적외선 통신 방법의 특성상 각 이동 노드에 대한 차별화가 쉽지 않으며, 고정 노드에 많은 트래픽을 야기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노드 측에서 무분별하게 이동 노드의 식별자를 고정 노드로 전송함으로써 야기되는 고정 노드 측의 트래픽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노드의 잦은 식별자 교환 시도로 인한 전력 소모 과다로 배터리 전력의 급격히 소진되는 문제를 최소화하고, 고정 노드 또한 이동 노드 존재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 노드와 식별자 교환을 시도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과다한 전력 소모와 불필요한 통신 트래픽 발생을 최소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노드의 소지자가 출입 허가된 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노드와 고정 노드 간에 간단한 위치인식을 위한 식별자 교환을 통하여 이동 노드는 자체에 내장된 고정 노드에 대한 위치정보에 현재 수신된 고정 노드 식별자를 조회함으로써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노드는 이동시 자신의 식별자를 고정 노드에 전송하고, 해당 고정 노드는 이 이동 노드의 식별자를 자신의 식별자와 함께 센서 네트워크의 싱크 노드에 전송함으로써, 싱크 노드에 연결된 센서 네트워크 관리 서버상에서 특정 이동 노드의 위치 확인 및 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하에서 이동 노드와 고정 노드 간의 불필요한 통신 트래픽을 최소화하고, 이동 노드와 고정 노드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이동 노드에 장착된 이동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이동 노드 자신의 이동이 감지될 때, 고정 노드와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 교환을 위해 통신을 시도하고, 이동 노드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저전력 대기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는 단계; (b) 통신을 통해 상기 고정 노드로부터 수신된 상기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와 이전에 수신된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및 (c) 판단 결과, 수신된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와 이전에 수신된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가 동일한 경우 이동 노드 자신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고정 노드로 재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노드의 식별자 중복 전송 방지 방법은 (d) 판단 결과, 수신된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와 이전에 수신된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이동 노드 자신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고정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노드의 식별자 중복 전송 방지 방법은 이동 노드의 이동 궤적을 추적하기 위해 이동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 및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외부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노드의 식별자 중복 전송 방지 방법은 고정 노드에서, 이동 노드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노드를 인증하는 단계는 인증 결과, 이동 노드가 인증되지 않은 이동 노드인 경우 비인가 이동 노드임을 알리는 경보 데이터 및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실시간으로 외부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는 고정 노드는, 동체감지센서를 통해 동체 감지 영역내에 존재하는 이동 노드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을 때에만 이동 노드와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 교환을 위한 통신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노드가 제공되는데, 이동 노드는 이동 노드 자신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 감지 센서; 고정 노드와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의 송수신 인터페이스를 위한 무선 송수신 모듈; 및 이동 감지 센서를 통해 이동 노드의 이동이 감지되면,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처리 유닛은 수신된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와 이전에 수신된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가 동일한 경우 이동 노드 자신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고정 노드로 전송하지 않으며, 수신된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와 이전에 수신된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이동 노드 자신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고정 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노드는 수신된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이동 노드의 현재 위치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감지 센서를 이용한 이동 노드는 자신의 이동 감지에 기초하여 이동 노드 식별자의 중복 전송을 방지함으로써, 이동 노드 운영에 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고정 노드 측에 야기되는 많은 양의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고정 노드 또한 감시 영역 내에 동체가 감지되었을 때만 이동 노드와 식별자 교환을 시도함으로써 이동 노드와의 통신으로 인한 오버해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센서 네트워크 측에서는 수신된 이동 노드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인증된 이동 노드인지를 확인함으로써, 이동 노드의 소지자가 무단 침입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노드가 통과하는 복수 개의 고정 노드들로부터 이동 노드의 식별자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동 노드의 위치 확인 및 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감지 센서를 구비한 이동 노드 및 동체 감지 센서를 구비한 고정 노드간 저전력 구현 및 이동 노드의 식별자의 중복 전송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이동 노드에 대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로, 이동 노드(100), 무선 센서 네트워크(200), 복수 개의 고정 노드들(300a 내지 300d) 및 싱크 노드(400)로 구성된다.
이동 노드(100)는 도 4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최초 감지 영역(110a)에 들어가면, 고정 노드(300a)와 각각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교환한다. 이후, 도 5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감지 영역(110a) 안에서 이동 노드(100)가 이동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고정 노드(300a)로부터 고정 노드(300a)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수신하는 것은 물론, 이동 노드(100)는 재차 고정 노드(300a)로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전송하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이동 노드(100)는 이동 감지 센서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노드(100)의 이동에 따라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무분별하게 고정 노드(300a)로 전송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고정 노드(300a)에 걸리는 트래픽을 줄일 수 있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200)는 복수 개의 고정 노드들(300a 내지 300d) 및 싱크 노드(400)로 구성되어, 고정 노드들(300a 내지 300d)과 이동 노드(100)간에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복수 개의 고정 노드들(300a 내지 300d)은 모두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은 도면부호 110a 내지 1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영역을 가진다. 따라서, 고정 노드(300a)는 도 4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 영역(110a)에 있는 이동 노드(100)를 감지하고, 이동 노드(100)와 상호 간에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송수신한다. 수신된 이동 노드(100)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는 고정 노드(300a 내지 300d) 자신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와 함께 싱크 노드(400)로 전송된다.
싱크 노드(400)는 고정 노드(300a 내지 300d)로부터 수신한 이동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 및 고정 노드(300a 내지 300d)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이동 노드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동 경로 등을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이동 노드(100)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감지 영역(110a)에 있는 이동 노드(100)가 허가된 노드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노드(100)의 구성도로, 이동 노드(100)는 이동 감지 센서(101), 무선 송수신모듈(102), 중앙 처리 유닛(103), 디 스플레이부(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감지 센서(101)는 이동 노드(100) 자신의 이동을 감지하고, 이를 중앙 처리 유닛(103)에 알린다. 이동 감지 센서(101)는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 송수신모듈(102)은 중앙 처리 유닛(103)의 제어하에 고정 노드(300a)와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 송수신을 위한 모듈로,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RF 신호 또는 IR 신호의 형태로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 송수신이 가능하다. 무선 송수신모듈(102)은 IR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IR 신호 송수신 모듈이며, RF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RF 신호 송수신 모듈이다.
중앙 처리 유닛(103)은 도 4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이동 노드(100)가 감지 영역(110a) 안에 들어갈 때 무선 송수신모듈(102)을 통해 고정 노드(300a)와 상호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교환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도 5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동일한 감지 영역(110a) 안에서는 이동 노드(100)가 이동하더라도 재차 이동 노드(100)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고정 노드(300a)로 전송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정 노드(300a) 측의 트래픽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103)은 현재 수신된 고정 노드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고정 노드들(300a 내지 300d)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 저장부(미도시)를 조회함으로써 이동 노드(100)의 위치를 디스플레이부(104)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중앙 처리 유닛(103)은 이동 노드(100)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저전력 대기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며, 소모 전력을 줄이도록 함과 동시에, 저전력 대기 모드인 경우라도 이동 감지 센 서(101)로부터 이동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즉시 이동 노드(100) 내의 각 모듈을 평시 출력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중앙 처리 유닛(103)은 이동 감지 센서(101)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일정 임계치 이상의 이동이 감지된 경우에만 고정 노드와 식별자 교환을 위한 통신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04)는 중앙 처리 유닛(103)의 제어하에, 수신된 고정 노드(300a)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이동 노드(100)의 현재 위치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동 노드(1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외장과 관련해서 IR 신호 송수신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는 IR 신호 차폐 문제를 고려하여 다면형 IR 센서 부착이 요구되며, IR 신호와 달리 RF 신호 송수신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안테나로 충분할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노드(300a)의 외형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노드(300a)의 구성도로, 동체 감지 센서(301), 중앙 처리 유닛(302), 무선 송수신 모듈(303), 및 센서 네트워크 통신 모듈(3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동체 감지 센서(301)는 감지 영역(110a)에서 움직이는 동체, 즉 이동 노드를 감지하고, 중앙 처리 유닛(302)에 알린다.
중앙 처리 유닛(302)은 도 4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이동 노드(100)가 감지되면, 무선 송수신모듈(102)을 통해 이동 노드(100)와 상호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교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평소 동체가 감지되지 않을 때에는 고정 노드 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무선 송수신 모듈(303) 등 각 모듈을 제어한다.
무선 송수신 모듈(303)은 중앙 처리 유닛(302)의 제어하에 이동 노드(100)와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 송수신을 위한 모듈로,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RF 신호 또는 IR 신호의 형태로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 송수신이 가능하다. 무선 송수신모듈(303)은 IR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IR 신호 송수신 모듈이며, RF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RF 신호 송수신 모듈이다.
센서 네트워크 통신 모듈(304)은 센서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모듈로, 무선 송수신 모듈(303)이 이동 노드(100)와의 로컬 통신이라고 한다면, 센서 네트워크 통신 모듈(304)은 싱크 노드(400)와의 글로벌 통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네트워크 통신 모듈(304)은 이동 노드(100)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 및 고정 노드(300a)의 자신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센서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포장하여 싱크 노드(400)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체 감지 센서(301)를 이용하여 이동 노드(100)의 움직임을 감지한 고정 노드 (300a)가 이동 노드(100)와 서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로, 고정 노드(300a)에서 실행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00에서 이동 노드(100)가 고정 노드(300a)의 감지 영역내에 들어가면, 고정 노드(300a)의 동체 감지 센서(301)는 동체, 즉 이동 노드(100)를 감지한다.
단계 401에서, 이동 노드(100)를 감지한 고정 노드(300a)는 감지된 이동 노 드(100)와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 교환을 시도한다. 즉, 고정 노드(300a)는 먼저 자신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포함한 신호, 예컨대 IR 신호 또는 RF 신호를 이동 노드(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고정 노드(300a)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수신한 이동 노드(100)는 자신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고정 노드(300a)로 전송한다.
단계 402에서, 고정 노드(300a)가 이동 노드(100)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올바로 수신하였는지 판단한다.
단계 403에서는, 단계 402에서의 판단 결과, 이동 노드(100)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올바로 수신하였다면, 고정 노드(300a)는 이동 노드(100)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 및 고정 노드(300a) 자신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싱크 노드(400)로 전송한다.
단계 404에서는, 단계 402에서의 판단 결과, 이동 노드(100)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또는 수신된 이동 노드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판단할 결과 수신된 이동 노드(100)가 인증된 이동 노드(100)가 아닌 경우에는 고정 노드(300a)는 비인가 이동 노드임을 알리는 경보 데이터 및 자신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싱크 노드로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상기 단계 400 내지 단계 404는 고정 노드에 상주하며,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노드(100)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가 중복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이동 노드(100)에서 실행된다. 단계 500 이하는 감지 영역(100a)에 들어간 이동 노드(100)와 고정 노 드(300a) 간에 이미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가 교환된 상태를 전제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00에서, 이동 노드(100)가 이동 중이라고 가정하면, 이동 노드(100)는 이동 감지 센서(101)를 통해 자신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 501에서, 이동 노드(100)는 고정 노드로부터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수신한다.
단계 502에서, 이동 노드(502)는 이동에 따라 새롭게 수신한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와 이전에 수신된 고정 노드(300a)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가 다른 것인지 판단한다.
단계 503에서, 새롭게 수신한 고정 노드(300a)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와 이전에 수신된 고정 노드(300b)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가 다른 것이라면, 이동 노드(100)는 고정 노드(300a)의 감지 영역(110a)을 벗어나, 고정 노드(300b)의 감지 영역(110b)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동 노드(100)는 새롭게 고정 노드(300b)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504에서, 수신된 고정 노드(300b)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는 이동 노드(100)의 디스플레이부(104)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현재 이동 노드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단계 502에서의 판단 결과, 이동 노드(100)가 수신한 고정 노드(300a)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가 이전에 수신된 고정 노드(300a)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와 동일한 것이라면, 이동 노드(100)는 자신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더 이상 고정 노드(300a)로 재전송하지 않고, 단계를 종료한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노드(100)의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노드(300a)의 외형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노드(300a)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체 감지 센서(301)를 이용하여 이동 노드(100)의 움직임을 감지한 고정 노드 (300a)가 이동 노드(100)와 서로의 식별자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노드(100)의 식별자가 중복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Claims (11)

  1.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하에서 이동 노드와 고정 노드 간의 불필요한 통신 트래픽을 최소화하고, 상기 이동 노드와 상기 고정 노드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 노드에 장착된 이동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이동 노드 자신의 이동이 감지될 때, 상기 고정 노드와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 교환을 위해 통신을 시도하고, 상기 이동 노드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저전력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b)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고정 노드로부터 수신된 상기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와 이전에 수신된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와 이전에 수신된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가 동일한 경우 상기 이동 노드 자신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상기 고정 노드로 재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노드의 식별자 중복 전송 방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드의 식별자 중복 전송 방지 방법은
    (d)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와 이전에 수신된 상기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이동 노드 자신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상기 고정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노드의 식별자 중복 전송 방지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드의 식별자 중복 전송 방지 방법은
    상기 이동 노드의 이동 궤적을 추적하기 위해 상기 이동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 및 상기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외부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노드의 식별자 중복 전송 방지 방법.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드의 식별자 중복 전송 방지 방법은 상기 고정 노드에서, 상기 이동 노드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노드의 식별자 중복 전송 방지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드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 결과, 상기 이동 노드가 인증되지 않은 이동 노드인 경우 비인가 이동 노드임을 알리는 경보 데이터 및 상기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실시간으로 외부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노드의 식별자 중복 전송 방지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고정 노드는, 동체감지센서를 통해 동체 감지 영역내에 존재하는 상기 이동 노드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을 때에만 상기 이동 노드와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 교환을 위한 통신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노드의 식별자 중복 전송 방지 방법.
  8. 이동 노드 자신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 감지 센서;
    고정 노드와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의 송수신 인터페이스를 위한 무선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이동 감지 센서를 통해 이동 노드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감지 센서를 구비한 이동 노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유닛은 상기 수신된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와 이전에 수신된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가 동일한 경우 상기 이동 노드 자신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상기 고정 노드로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감지 센서를 구비한 이동 노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유닛은 상기 수신된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와 이전에 수신된 상기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이동 노드 자신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를 상기 고정 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감지 센서를 구비한 이동 노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드는
    상기 수신된 고정 노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의 현재 위치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감지 센서를 구비한 이동 노드.
KR1020080022864A 2008-03-12 2008-03-12 이동 감지 센서를 구비한 이동 노드 및 동체 감지 센서를구비한 고정 노드간 저전력 구현 및 이동 노드의 식별자의중복 전송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이동 노드 KR100862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864A KR100862186B1 (ko) 2008-03-12 2008-03-12 이동 감지 센서를 구비한 이동 노드 및 동체 감지 센서를구비한 고정 노드간 저전력 구현 및 이동 노드의 식별자의중복 전송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이동 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864A KR100862186B1 (ko) 2008-03-12 2008-03-12 이동 감지 센서를 구비한 이동 노드 및 동체 감지 센서를구비한 고정 노드간 저전력 구현 및 이동 노드의 식별자의중복 전송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이동 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186B1 true KR100862186B1 (ko) 2008-10-09

Family

ID=40152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864A KR100862186B1 (ko) 2008-03-12 2008-03-12 이동 감지 센서를 구비한 이동 노드 및 동체 감지 센서를구비한 고정 노드간 저전력 구현 및 이동 노드의 식별자의중복 전송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이동 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18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097B1 (ko) * 2009-02-17 2011-07-26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노드의 위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89070B1 (ko) * 2012-01-31 2014-04-23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에스엔 노드의 자기위치 변위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드의 위치정보 획득방법
KR101483139B1 (ko) * 2013-08-20 2015-01-16 (주)유토닉스 위치 인식용 통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통신 방법
US11119182B2 (en) 2016-12-23 2021-09-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unication node, target device and methods for activation positioning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23096161A1 (ko) * 2021-11-26 2023-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6641A (ko) * 2002-12-24 2004-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속도 감지 센서를 이용한 이동 아이피 사전 등록 및 해지요청 방법
KR20050038188A (ko) * 2003-10-21 2005-04-27 루덴스테크 (주) 가속도 센서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38736A (ko) * 2003-10-22 200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Ip 기반의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안정적인 핸드오프를 위한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핸드오프 방법
KR20050113469A (ko) * 2004-05-29 200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랜에서의 빠른 핸드오프 방법
JP2006191244A (ja) 2005-01-05 2006-07-20 Nec Corp 無線センサネットワーク、端末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
KR20060092703A (ko) * 2005-02-18 2006-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네트워크형성방법
KR20070061112A (ko) * 2005-12-08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선 센서 네트워킹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6641A (ko) * 2002-12-24 2004-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속도 감지 센서를 이용한 이동 아이피 사전 등록 및 해지요청 방법
KR20050038188A (ko) * 2003-10-21 2005-04-27 루덴스테크 (주) 가속도 센서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38736A (ko) * 2003-10-22 200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Ip 기반의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안정적인 핸드오프를 위한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핸드오프 방법
KR20050113469A (ko) * 2004-05-29 200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랜에서의 빠른 핸드오프 방법
JP2006191244A (ja) 2005-01-05 2006-07-20 Nec Corp 無線センサネットワーク、端末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
KR20060092703A (ko) * 2005-02-18 2006-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네트워크형성방법
KR20070061112A (ko) * 2005-12-08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선 센서 네트워킹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097B1 (ko) * 2009-02-17 2011-07-26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노드의 위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89070B1 (ko) * 2012-01-31 2014-04-23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에스엔 노드의 자기위치 변위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드의 위치정보 획득방법
KR101483139B1 (ko) * 2013-08-20 2015-01-16 (주)유토닉스 위치 인식용 통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통신 방법
US11119182B2 (en) 2016-12-23 2021-09-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unication node, target device and methods for activation positioning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23096161A1 (ko) * 2021-11-26 2023-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6067B2 (en) Power efficient ultra-wideband (UWB) tag for indoor positioning
US10970496B2 (en) NFC tags with proximity detection
JP5124142B2 (ja) 改良されたwlanロケーション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EP3155833B1 (en) Localization based on network of wireless nodes
CN102197670B (zh) 近距离无线设备中的嵌入式rfid记录器
CN100559893C (zh) 一种用于激活基于定位的功能的方法、系统和设备
EP2499864B1 (en) Wireless signal transceiver with automatic mode change, and method
US9405948B2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functioning of an RFID-based radio communication network in a spatially extensive area
KR100862186B1 (ko) 이동 감지 센서를 구비한 이동 노드 및 동체 감지 센서를구비한 고정 노드간 저전력 구현 및 이동 노드의 식별자의중복 전송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이동 노드
JP2008530939A (ja) 特殊な受信時間枠を採用した無線id(rfid)タグおよびその方法
KR20070110574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CN105672777A (zh) 一种智能锁系统和一种自动开锁的方法
JP2001359147A (ja) 特定点近傍エリアの移動体の位置監視システム
US10685103B2 (en) Challenge and response system for identifying non-credentialed occupants and method
KR102422614B1 (ko) 비콘 및 이를 이용한 도난감지방법
KR101517027B1 (ko) 근거리 유저 식별용 디텍터 및 이를 이용한 근거리 유저 식별 시스템
KR20160062369A (ko) 출입 인증 시스템 및 그 인증 방법
CN104991224A (zh) 基于ZigBee和RFID的隧道定位安全管理系统
JP2008158966A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
US20090247126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Opera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101540060B1 (ko) 스마트 양방향 무선 태그를 이용한 위치 추적 서비스 시스템
KR100839858B1 (ko) 고정 노드, 802.15.4 맥 계층에서 고정 노드와 이동 노드간효율적인 양방향 위치 인식을 위한 채널 설정 방법 및이를 이용한 이동 노드들간 메시지 송수신방법
US10547980B1 (en) Device movement correlations
KR101765457B1 (ko)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US20240038011A1 (en) Access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