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0051A - 음향 장치 및 통화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장치 및 통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0051A
KR20070110051A KR1020077019919A KR20077019919A KR20070110051A KR 20070110051 A KR20070110051 A KR 20070110051A KR 1020077019919 A KR1020077019919 A KR 1020077019919A KR 20077019919 A KR20077019919 A KR 20077019919A KR 20070110051 A KR20070110051 A KR 20070110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magnetic
poles
microphone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9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0776B1 (ko
Inventor
도모히로 스기우라
šœ지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덴키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덴키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덴키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0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2Constructio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preventing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 H04R9/047Construction in which the windings of the moving coil lay in the same plane

Landscapes

  • Signal Proces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N극과 S극이 서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장착되어 있는 영구 자석(2, 3)을 각각 진동판(1)의 정면 쪽과 배면 쪽에 배치하고, 또한, 그 영구 자석(2, 3)에서의 스트라이프 형상의 자극을 따르도록 도체 회로(4)를 진동판(1)에 배선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의해, 에코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진동판(1), 영구 자석(2, 3), 도체 회로(4), 스페이서(5), 철판(6, 7)을 배플(8)에 수납하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음향 장치 및 통화 장치{ACOUSTIC DEVICE AND CONVERSATION DEVICE}
본 발명은, 예컨대, 휴대 전화 등의 정보 통신 단말에 의해 수신된 음성 신호에 따라 음성을 재생하는 한편, 화자(話者)의 음성을 취입하여, 그 음성 신호를 정보 통신 단말에 출력하는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통화 장치와, 그 통화 장치에 적용하는 음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종래의 통화 장치는, 콘형 스피커의 위에 마이크가 배치되어 있는 구조이며, 콘형 스피커로부터 휴대 전화에 의해 수신된 통화 상대의 음성을 출력한다.
한편, 마이크에 의해 취입된 사용자의 음성은 휴대 전화를 거쳐 통화 상대의 휴대 전화 등으로 송신된다.
단, 콘형 스피커에 내장되어 있는 진동판은, 평면 형상이 아니고, 사발 형상이므로, 스피커의 정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주파수 특성과, 그 스피커의 배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주파수 특성이 서로 다르다.
또한, 스피커의 정면으로부터 마이크까지의 거리와, 그 스피커의 배면으로부 터 마이크까지의 거리도 서로 다르다.
이 때문에, 콘형 스피커의 위에 마이크가 배치되어 있더라도, 스피커의 정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과, 스피커의 배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마이크에 입력될 때에 서로 상쇄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휴대 전화에 의해 수신된 통화 상대의 음성이, 통화 상대의 휴대 전화 등으로 반신(返信)되는 에코가 발생한다.
종래의 통화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에코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마이크에 의해 취입된 음성 신호를 반전하는 반전 회로(에코 소거(echo cancel) 회로)를 내장하고, 그 반전 회로에 의해 반전된 음성 신호와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를 합성하도록 하고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2-224498호(제 9 페이지~제 10 페이지, 도 1)
종래의 통화 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가 반전 회로에 의해 반전된 음성 신호에 상쇄되어, 에코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반전 회로에서의 반전 처리의 시간만큼, 그 반전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위상이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위상보다 지연되므로, 쌍방의 음성 신호의 위상 특성이나 주파수 특성을 완전히 일치시킬 수 없어, 에코의 발생을 완전히 억제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에코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음향 장치 및 통화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장치는, N극과 S극이 교대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장착되어 있는 자석판을 진동판의 정면 쪽과 배면 쪽에 배치하고, 또한, 그 자석판에서의 스트라이프 형상의 자극(磁極)을 따르도록 도체 회로를 진동판에 배선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N극과 S극이 교대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장착되어 있는 자석판을 진동판의 정면 쪽과 배면 쪽에 배치하고, 또한, 그 자석판에서의 스트라이프 형상의 자극을 따르도록 도체 회로를 진동판에 배선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에코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통화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음향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음향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진동판(1)으로부터 출력되어 마이크에 입력되는 음성의 음압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콘형 스피커로부터 출력되어 마이크에 입력되는 음성의 음압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에코 소거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배플(baffle)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와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음성의 음압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통화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통화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음향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음향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진동판(1)은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한쪽의 면에 도체 회로(4)가 형성(예컨대, 프린트 배선)되어 있는 평판이다.
제 1 자석판인 영구 자석(2)은 진동판(1)의 정면 쪽(도 2 및 도 3의 예에서는 위쪽)에 배치되고, N극과 S극이 교대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복수의 구멍(2a)이 뚫려있다.
제 2 자석판인 영구 자석(3)은 진동판(1)의 배면 쪽(도 3의 예에서는 아래쪽)에 배치되고, 영구 자석(2)과 자극의 배치가 일치하도록, N극과 S극이 교대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복수의 구멍(3a)이 뚫려있다.
도체 회로(4)는 진동판(1)에 형성되어 있는 프린트 배선 기판이며, 도체 회로(4)는 영구 자석(2, 3)에서의 스트라이프 형상의 자극을 따르도록 진동판(1)에 배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체 회로(4)는 영구 자석(2, 3)에서의 N극과 S극의 경계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영구 자석(2, 3)의 구멍(2a, 3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선되어 있으며, N극이 좌측에, S극이 우측에 위치하는 배선의 방향과, S극이 좌측에, N극이 우측에 위치하는 배선의 방향이 반대 방향이다.
스페이서(5)는 진동판(1)과 영구 자석(2, 3)이 접촉하지 않도록, 영구 자석(2)과 영구 자석(3)을 지지하고 있다.
제 1 철판(6)은 영구 자석(2)의 정면 쪽(도 2 및 도 3의 예에서는 위쪽)에 배치되고, 복수의 구멍(6a)이 뚫려있다.
제 2 철판(7)은 영구 자석(3)의 배면 쪽(도 3의 예에서는 아래쪽)에 배치되고, 복수의 구멍(7a)이 뚫려있다.
단, 철판(6, 7)은 영구 자석(2, 3)과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배플(8)은 진동판(1), 영구 자석(2, 3), 도체 회로(4), 스페이서(5), 철판(6, 7)을 수납하고 있는 케이스이며, 배플(8)에는 복수의 구멍(8a)이 뚫려있다.
마이크(9)는 배플(8)의 정면 쪽의 표면으로부터의 거리와 배플(8)의 배면 쪽의 표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도 1의 예에서는, 마이크(9)의 지향 방향이 위쪽 방향이므로, 마이크(9)가 배플(8)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예컨대, 마이크(9)의 지향 방향이 오른쪽 방향이면, 마이크(9)가 배플(8)의 우측부에 배치되고, 마이크(9)의 지향 방향이 왼쪽 방향이면, 마이크(9)가 배플(8)의 좌측부에 배치된다.
단, 진동판(1)이나 영구 자석(2, 3) 등이 배플(8)에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철판(6)의 표면으로부터의 거리와 철판(7)의 표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일치하는 위치에 마이크(9)가 배치된다.
회로부(10)는 앰프를 내장하고 있으며, 그 앰프는 마이크(9)에 의해 취입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그 음성 신호를 휴대 전화(11)에 출력하는 한편, 그 휴대 전화(11)에 의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그 음성 신호를 도체 회로(4)에 출력하는 등의 처리를 실시한다.
정보 통신 단말인 휴대 전화(11)는 통화 상대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그 음성 신호를 회로부(10)의 앰프에 출력하는 한편, 회로부(10)의 앰프에 의해 증폭된 음성 신호를 통화 상대의 휴대 전화 등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 전화(11)는, 통화 상대의 휴대 전화 등으로부터 송신된 음성 신호를 수신하면, 그 음성 신호를 회로부(10)의 앰프에 출력한다.
회로부(10)의 앰프는, 휴대 전화(11)로부터 통화 상대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 면, 그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 후의 음성 신호를 도체 회로(4)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도체 회로(4)에는, 예컨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 경우, 영구 자석(2, 3) 및 철판(6, 7)에 의해 자장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진동판(1)의 위쪽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진동판(1)이 위쪽 방향으로 진동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른 경우,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진동판(1)의 아래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진동판(1)이 아래 방향으로 진동한다.
이 진동판(1)의 진동 현상에 의해, 통화 상대의 음성 신호가 재생되어, 영구 자석(2), 철판(6) 및 배플(8)의 구멍(2a, 6a, 8a)을 통하여, 통화 상대의 음성이 출력됨과 동시에, 영구 자석(3), 철판(7) 및 배플(8)의 구멍(3a, 7a, 8a)을 통하여, 통화 상대의 음성이 출력된다.
여기서, 마이크(9)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플(8)의 정면 쪽의 표면으로부터의 거리와 배플(8)의 배면 쪽의 표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진동판(1)의 형상이 평면 형상이므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구 자석(2), 철판(6) 및 배플(8)의 구멍(2a, 6a, 8a)으로부터 출력되어, 마이크(9)에 입력되는 음성의 음압 주파수 특성과, 영구 자석(3), 철판(7) 및 배플(8)의 구멍(3a, 7a, 8a)으로부터 출력되어, 마이크(9)에 입력되는 음성의 음압 주파수 특성이 일치한다.
스피커가 콘형인 경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피커의 표면으로부터 출력되어, 마이크에 입력되는 음성의 음압 주파수 특성과, 스피커의 이면으로부터 출력되어, 마이크에 입력되는 음성의 음압 주파수 특성이 일치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 1에서는, 영구 자석(2), 철판(6) 및 배플(8)의 구멍(2a, 6a, 8a)으로부터 출력되어, 마이크(9)에 입력되는 음성의 음압 주파수 특성과, 영구 자석(3), 철판(7) 및 배플(8)의 구멍(3a, 7a, 8a)으로부터 출력되어, 마이크(9)에 입력되는 음성의 음압 주파수 특성이 일치하므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이크(9)에 입력될 때에 쌍방의 음성 신호가 서로 상쇄되게 된다.
따라서, 통화 상대의 음성은,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더라도, 마이크(9)에는 입력되지 않아, 에코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사용자의 음성은, 마이크(9)에 의해 취입되고, 회로부(10)의 앰프가 마이크(9)에 의해 취입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그 음성 신호를 휴대 전화(11)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휴대 전화(11)가 앰프에 의해 증폭된 음성 신호를 통화 상대의 휴대 전화 등에 송신하므로, 사용자의 음성이 통화 상대에게 송신된다.
이상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에 의하면, N극과 S극이 교대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장착되어 있는 영구 자석(2, 3)을 각각 진동판(1)의 정면 쪽과 배면 쪽에 배치하고, 또한, 그 영구 자석(2, 3)에서의 스트라이프 형상의 자극을 따르도록 진동판(1)에 배선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에코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진동판(1), 영구 자석(2, 3), 도체 회로(4), 스페이서(5), 철판(6, 7)을 배플(8)에 수납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철판(6, 7)의 구멍(6a, 7a)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음압 주파수 특성의 광대역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즉, 진동판(1), 영구 자석(2, 3), 도체 회로(4), 스페이서(5), 철판(6, 7)을 배플(8)에 수납하지 않는 경우, 도 7의 점선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파수가 낮은 영역에서는, 음성의 음압 주파수 특성이 저하하여, 사용자에게는 금속음적인 소리가 들리게 된다.
한편, 진동판(1), 영구 자석(2, 3), 도체 회로(4), 스페이서(5), 철판(6, 7)을 배플(8)에 수납하고 있는 경우, 도 7의 실선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파수가 낮은 영역에서도, 음성의 음압 주파수 특성이 저하하지 않으므로, 통화 상대의 음성이 충실히 재현되어 사용자에게 들리게 된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지향 방향이 위쪽 방향인 마이크(9)가 배플(8)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냈지만,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향 방향이 진동판(1)의 평면 방향인 마이크(9)가, 그 진동판(1)의 중앙부에 뚫려있는 구멍(1a)에 배치되어 있도록 하더라도 좋다.
지향 방향이 위쪽 방향인 마이크(9)가 배플(8)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예컨대, 천정의 재질이나 형상, 천정까지의 거리에 따라서는, 천정에 의한 반 향음의 영향으로, 마이크(9)에서의 음성 신호의 상쇄 정밀도가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마이크(9)를 진동판(1)의 중앙부에 뚫려있는 구멍(1a)에 배치하는 경우(도 8의 예에서는, 배플(8)의 진동의 영향을 경감하기 위해, 완충재(12)의 위에 마이크(9)가 배치되어 있음), 진동판(1)으로부터 출력되어 마이크(9)에 직접 입력되는 음성의 크기가, 천장의 반향음에 비해 지극히 커지므로, 마이크(9)에서의 음성 신호의 상쇄 정밀도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2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 1보다, 에코 발생의 억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도 8의 예에서는, 마이크(9)의 지향 방향이 위쪽 방향인 것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지향 방향이 진동판(1)의 평면 방향이면 좋고, 예컨대, 마이크(9)의 지향 방향이 오른쪽 방향, 왼쪽 방향, 혹은, 아래쪽 방향이라도 좋다.
또한, 도 8의 예에서는, 정면에서 본 배플(8)의 형상이 사각형인 경우에 대하여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원형이더라도 좋다.
또한, 도 8의 예에서는, 배플(8)을 하나로 하고 있지만, 배플(8)을 복수개 모아, 그 중앙에 마이크(9)를 배치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 2에서는, 회로부(10)의 앰프가 휴대 전화(11)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회로부(10)의 앰프가 인터폰과 접속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 경우, 회로부(10)의 앰프는, 마이크(9)에 의해 취입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그 음성 신호를 인터폰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예컨대, 집의 문 등에 설치되어 있는 인터폰을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방문자에게 보낼 수 있다.
한편, 그 인터폰에 의해 취입된 방문자의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그 음성 신호를 도체 회로(4)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에코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장치 및 통화 장치는, 에코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통화 장치 및 상기 통화 장치에 적용하는 음향 장치 등으로 이용하는 데 적합하다.

Claims (8)

  1. 진동판의 정면 쪽에 배치되고, N극과 S극이 교대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장착(着磁)되어 있으며, 또한, 복수의 구멍이 뚫려있는 제 1 자석판과,
    상기 진동판의 배면 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자석판과 자극(磁極)의 배치가 일치하도록, N극과 S극이 교대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복수의 구멍이 뚫려있는 제 2 자석판과,
    상기 제 1 및 제 2 자석판에서의 스트라이프 형상의 자극을 따르도록 상기 진동판에 배선되어 있는 도체 회로와,
    상기 제 1 자석판의 정면 쪽에 배치되고, 복수의 구멍이 뚫려있는 제 1 철판과,
    상기 제 2 자석판의 배면 쪽에 배치되고, 복수의 구멍이 뚫려있는 제 2 철판과,
    상기 제 1 철판의 표면으로부터의 거리와 상기 제 2 철판의 표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마이크
    를 구비한 음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도체 회로는, 제 1 및 제 2 자석판에서의 N극과 S극의 경계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선되고, N극이 좌측에, S극이 우측에 위치하는 배선의 방향과, S극이 좌측에, N극이 우측에 위치하는 배선의 방향이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진동판, 도체 회로, 제 1 및 제 2 자석판, 제 1 및 제 2 철판이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지향 방향이 위쪽 방향인 마이크가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지향 방향이 진동판의 평면 방향인 마이크가, 그 진동판의 중앙부에 뚫려있는 구멍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진동판의 평면 방향 주위에 판 형상의 배플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장치.
  7. 진동판의 정면 쪽에 배치되고, N극과 S극이 교대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복수의 구멍이 뚫려있는 제 1 자석판과,
    상기 진동판의 배면 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자석판과 자극의 배치가 일치하도록, N극과 S극이 교대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복수의 구멍이 뚫려있는 제 2 자석판과,
    상기 제 1 및 제 2 자석판에서의 스트라이프 형상의 자극을 따르도록 상기 진동판에 배선되어 있는 도체 회로와,
    상기 제 1 자석판의 정면 쪽에 배치되고, 복수의 구멍이 뚫려있는 제 1 철판과,
    상기 제 2 자석판의 배면 쪽에 배치되고, 복수의 구멍이 뚫려있는 제 2 철판과,
    상기 제 1 철판의 표면으로부터의 거리와 상기 제 2 철판의 표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마이크를 갖는 음향 장치와,
    상기 마이크에 의해 취입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그 음성 신호를 정보 통 신 단말에 출력하는 한편, 그 정보 통신 단말에 의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그 음성 신호를 상기 도체 회로에 출력하는 앰프
    를 구비한 통화 장치.
  8. 진동판의 정면 쪽에 배치되고, N극과 S극이 교대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복수의 구멍이 뚫려있는 제 1 자석판과,
    상기 진동판의 배면 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자석판과 자극의 배치가 일치하도록, N극과 S극이 교대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복수의 구멍이 뚫려있는 제 2 자석판과,
    상기 제 1 및 제 2 자석판에서의 스트라이프 형상의 자극을 따르도록 상기 진동판에 배선되어 있는 도체 회로와,
    상기 제 1 자석판의 정면 쪽에 배치되고, 복수의 구멍이 뚫려있는 제 1 철판과,
    상기 제 2 자석판의 배면 쪽에 배치되고, 복수의 구멍이 뚫려있는 제 2 철판과,
    상기 제 1 철판의 표면으로부터의 거리와 상기 제 2 철판의 표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마이크를 갖는 음향 장치와,
    상기 마이크에 의해 취입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그 음성 신호를 인터폰에 출력하는 한편, 그 인터폰에 의해 취입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그 음성 신호를 상기 도체 회로에 출력하는 앰프
    를 구비한 통화 장치.
KR1020077019919A 2005-09-14 2006-01-31 음향 장치 및 통화 장치 KR100880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67371 2005-09-14
JP2005267371A JP4128581B2 (ja) 2005-09-14 2005-09-14 音響装置及び通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051A true KR20070110051A (ko) 2007-11-15
KR100880776B1 KR100880776B1 (ko) 2009-02-02

Family

ID=37864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9919A KR100880776B1 (ko) 2005-09-14 2006-01-31 음향 장치 및 통화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29725B2 (ko)
EP (1) EP1799010B1 (ko)
JP (2) JP4128581B2 (ko)
KR (1) KR100880776B1 (ko)
CN (1) CN101194534A (ko)
CA (1) CA2582473C (ko)
TW (1) TWI285512B (ko)
WO (1) WO20070321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16512B2 (en) 2006-09-14 2012-02-14 Bohlender Graebener Corporation Planar speaker driver
US8031901B2 (en) * 2006-09-14 2011-10-04 Bohlender Graebener Corporation Planar speaker driver
JP2008258968A (ja) * 2007-04-05 2008-10-23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アレイスピーカ
JP4964010B2 (ja) * 2007-04-17 2012-06-27 三菱電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電磁変換器
JP4964011B2 (ja) * 2007-04-17 2012-06-27 三菱電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電磁変換器
JP5151352B2 (ja) * 2007-09-26 2013-02-27 ヤマハ株式会社 放収音装置
JP2009278168A (ja) * 2008-05-12 2009-11-26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電磁変換器
JP2009278171A (ja) * 2008-05-12 2009-11-26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電磁変換器
WO2014119319A1 (ja) * 2013-01-30 2014-08-07 ミカサ商事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を有する装置
DE102017122660A1 (de) * 2016-10-04 2018-04-05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Planardynamischer Wandler
JP6879220B2 (ja) * 2018-01-11 2021-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ーバ、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11151975B2 (en) * 2018-01-31 2021-10-19 Zerosound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ound wave gen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4686A (en) * 1959-09-21 1965-01-05 Tibbetts Industries Electrodynamic transducer
JPS61184094A (ja) 1985-02-08 1986-08-16 Hitachi Ltd スピ−カ
US5021613A (en) * 1985-09-23 1991-06-04 Gold Ribbon Concepts, Inc. Ribbon loudspeaker
US4803733A (en) * 1986-12-16 1989-02-07 Carver R W Loudspeaker diaphragm mounting system and method
JPH073757Y2 (ja) 1988-04-15 1995-01-30 フオステクス株式会社 全面駆動型スピーカ
US5003610A (en) 1988-04-14 1991-03-26 Fostex Corporation Whole surface driven speaker
JP2781193B2 (ja) 1989-02-25 1998-07-30 カルソニック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ノイズ・キャンセラー
JPH0364300A (ja) * 1989-08-02 1991-03-19 Yamaha Corp 音響装置
JP2786284B2 (ja) 1989-12-25 1998-08-13 カルソニック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ノイズ・キャンセラー
JP3192372B2 (ja) * 1996-06-10 2001-07-23 有限会社エイプロインターナショナル 薄型電磁変換器
JP3159714B2 (ja) 1997-07-09 2001-04-23 ソニックウィンドウ株式会社 平面型音響変換装置
US5901235A (en) * 1997-09-24 1999-05-04 Eminent Technology, Inc. Enhanced efficiency planar transducers
US6275580B1 (en) 1998-07-07 2001-08-14 Tellabs Operations, Inc. Teleconferencing device having acoustic transducers positioned to improve acoustic echo return loss
KR100522384B1 (ko) * 1999-06-11 2005-10-19 에프피에스 인코포레이티드 평면형 음향변환장치
JP4588944B2 (ja) 2001-09-19 2010-12-01 株式会社エフ・ピー・エス 平面型音響変換装置
JP2003179994A (ja) * 2001-10-04 2003-06-27 Fps:Kk 平面型音響変換装置用ダイヤフラム、及び平面型音響変換装置
US6810126B2 (en) * 2001-10-24 2004-10-26 Bg Corporation Planar magnetic transducer
JP2003324785A (ja) 2002-03-01 2003-11-14 Alps Electric Co Ltd 音響装置
US20040008858A1 (en) * 2002-05-02 2004-01-15 Steere John F. Acoustically enhanced electro-dynamic loudspeakers
JP2004032028A (ja) 2002-06-21 2004-01-29 Foster Electric Co Ltd 平面型音響変換装置
JP2005027020A (ja) * 2003-07-02 2005-01-27 Fps:Kk スピーカモジュール、及びsrスピーカシステム
JP2005303532A (ja) * 2004-04-08 2005-10-27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パラメトリックスピーカー用放射器
JP2005333608A (ja) 2004-04-19 2005-12-02 Clarion Co Ltd 平面スピーカー
JP2006005747A (ja) * 2004-06-18 2006-01-05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超音波放射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82473C (en) 2010-10-26
EP1799010A1 (en) 2007-06-20
WO2007032100A1 (ja) 2007-03-22
US7929725B2 (en) 2011-04-19
EP1799010B1 (en) 2012-12-26
EP1799010A8 (en) 2007-09-26
JPWO2007032100A1 (ja) 2009-03-19
KR100880776B1 (ko) 2009-02-02
TWI285512B (en) 2007-08-11
JP4128581B2 (ja) 2008-07-30
EP1799010A4 (en) 2009-04-01
JP2007081859A (ja) 2007-03-29
TW200714120A (en) 2007-04-01
US20090067639A1 (en) 2009-03-12
CN101194534A (zh) 2008-06-04
CA2582473A1 (en)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776B1 (ko) 음향 장치 및 통화 장치
KR101088429B1 (ko) 이어폰
EP1697932B1 (en) Multi-mode audio processor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20080317255A1 (en) Audio Transducer Component
JP2002320291A (ja) スピーカ装置
JPH08111705A (ja) 送話器
JP2010119032A (ja) スピーカ装置、携帯型電子機器、スピーカ装置の製造方法、及びスピーカ装置の制御方法
EP1560400A1 (en) Sound reproduction i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CN215871824U (zh) 一种受话器
JP4874029B2 (ja) 音響装置及び通話装置
JP2006157199A (ja) スライド型携帯端末
KR100359455B1 (ko) 청각장애자용 스피커 유닛
KR20150085673A (ko) 스피커를 구비한 핸드폰 사운드 케이스
CN113573216B (zh) 扬声器及电子设备
KR20030055814A (ko) 두 채널 일체형 박형 스피커
JP2023039490A (ja) 通話機器
KR20020053202A (ko) 듀얼 스피커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17135496A (ja) 音声処理装置
CN117714576A (zh) 一种电子设备
RU2332808C2 (ru) Способ громкоговорящей связи
JP2007151135A (ja) 通話装置
JPS58161557A (ja) 拡声電話機
KR20070010717A (ko) 듀얼 스피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100111072A (ko) 휴대용 전자장치
JP2020017811A (ja) マイクロホン装置、音声再生収音装置、および、音声認識スピーカ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