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9013A - 홍삼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삼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9013A
KR20070109013A KR1020060041429A KR20060041429A KR20070109013A KR 20070109013 A KR20070109013 A KR 20070109013A KR 1020060041429 A KR1020060041429 A KR 1020060041429A KR 20060041429 A KR20060041429 A KR 20060041429A KR 20070109013 A KR20070109013 A KR 20070109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arginine
cosmetic composition
glucose
gly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9876B1 (ko
Inventor
박찬웅
염명훈
이진영
주경미
김연준
이병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60041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876B1/ko
Publication of KR20070109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8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4Aftersun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제조과정 중에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Maillard reaction products, Melanoidin)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즉, 홍삼 제조과정 중에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시킴으로서 주름개선효과, 콜라겐합성촉진효과, 광접촉에 의한 손상피부회복효과를 비롯한 피부 노화방지효과 또는 보습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삼, 홍삼, 갈변반응, 멜라노이딘, 피부, 화장료

Description

홍삼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Which Contains Melanoidin}
본 발명은 홍삼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주름개선효과, 콜라겐합성촉진효과, 광접촉에 의한 손상피부회복효과 또는 보습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체내의 제기관을 온도 및 습도 변화와 자외선, 공해물질 등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며, 체온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받는 과도한 물리적, 화학적 자극 및 스트레스, 영양결핍 등은 피부의 정상기능을 저하시키고 탄력손실, 각질화, 주름생성 등의 피부 노화현상을 촉진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고 보다 건강하고 탄력있는 피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종래 각종 동물, 식물, 미생물 등으로부터 얻은 생리활성물질들이 강화된 화장품을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고유기능을 유지시키고 피부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화장품 원료들은 대부분 그 효능이 미진하거 나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홍삼을 비롯한 인삼의 성분을 함유한 화장료 중에서 인삼의 비사포닌 분획, 특히 갈변반응으로 인한 수용성 생성물들이 갖는 우수한 피부효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없었다.
피부에 대한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의 효능연구는 주로 인삼 추출물, 홍삼추출물 및 인삼사포닌에 초점을 맞추어 왔으며, 최근에 와서야 인삼 사포닌이외에 인삼다당체를 함유한 화장료가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0200534호에는 포도와 인삼을 열처리하여 갈색화된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에 대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포도와 인삼의 추출물에 한정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홍삼’을 제조하는 과정 즉, 수삼을 찌고 익혀 건조시키는 그 제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갈변반응 생성물 즉, 멜라노이딘을 활성성분으로 하고, 실제 피부과학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상기 홍삼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Maillard reaction product)로서 Maltulosyl arginine, Fructosyl arginine, 및 melanoidin polymer인 고분자 갈변반응 분획을 사용한다.
갈변반응은 효소적 또는 비효소적 반응으로 진행되고, 비효소적으로 일어나는 Maillard reaction은 melanoidines 생성의 주된 반응이며, 생성된 멜라노이딘(melanoidines)은 생체내 또는 식품내에서도 다양한 항산화 활성 등을 나타낸다는 많은 보고가 있었다(Namiki, M., Adv. Food Res., 32, 15, 1988, Oimomi, M.and Hayase, F., Am. Chem. Soc., Nippon Nogeikakaku Kaishi, 61, 987, 1987). 홍삼의 갈변에 관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홍삼의 갈변반응 생성물들은 항산화 효력이 있으므로 생체내 과산화지질 생성억제로 노화 억제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Han, B.H. et al, Proc. Of 2nd Intl. Ginseng Symp. Seoul Korea, 13, 1978).
홍삼의 경우 수삼을 이용한 제조과정 중 98-100℃에서 증삼하고, 일광건조하는 홍삼제조 특성상 비효소적 갈색화반응, 특히 Maillard reaction이 주된 반응이라고 알려졌다(Kim, D.Y., Korean agricultural Chemical Society, 16, 60-77, 1973). 수삼을 이용한 홍삼의 제조과정 중 발생하는 갈변반응과 관련된 연구와 갈변물질의 분리, 구조, 항산화 활성 등에 대해서 일부 연구가 되었으나, 피부효능과 관련하여 밝혀진 바는 전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피부개선 및 활성화 효과, 즉 주름개선효과, 콜라겐합성촉진효과, 광접촉에 의한 손상피부회복효과 또는 보습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의 갈변반응으로 인한 생성물, 특히 홍삼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의 피부효능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홍삼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연구를 거듭하여 가용화기술을 이용한 유연화장수에서부터 유화기술을 응용 한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의 여러 제형에 상기 홍삼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을 첨가하여 주름개선효과, 콜라겐합성촉진효과, 광접촉에 의한 손상피부회복효과 또는 보습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의 화장품 또는 피부용 조성물로서의 신규한 용도를 제공하고, 활성성분으로 상기 홍삼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개선 및 활성화 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름개선효과, 콜라겐합성촉진효과, 광접촉에 의한 손상피부회복효과 또는 보습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홍삼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을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 10-8 내지 50중량%로 함유한다. 또한 상기 홍삼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은 홍삼을 물로 추출한 후 분리 및 용매처리, 여과, 투석과정 또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분리과정 등의 정제과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오가피과 인삼속에 속하는 식물로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2,000여년 전부터 사용되어 온 생약으로, 경험적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피부의 기능을 항진시켜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인삼의 지금까지 알려진 효능 및 효과는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 항발암 작용과 항암활성, 면역기능 조절작용, 항당뇨 작용, 간기능 항진효능, 심혈관 장해개선 및 항동맥경화 작용, 혈압조절 작용, 갱년기 장애 개선 및 골다공증에 미치는 효과, 항스트레스 및 항피로작용, 항산화 활성 및 노화억제 효능 등이 알려져 있다(최신고려인삼‘성분 및 효능편’, 한국인삼연초연구원, 56-112, 1996). 이러한 효능들은 주로 인삼 사포닌이나 또는 추출물 수준에서 수행된 결과이며, 일부분이지만 비사포닌계 분획 및 물질 수준에서의 연구결과이다.
한편, 홍삼은 생인삼(수삼)을 수증기 또는 기타방법으로 쪄서 익혀 건조한 것으로, 수삼을 찐 후 건조과정에서 갈색화 반응 즉 갈변반응이 일어나 담활갈색~적갈색을 띠게 된다. 상기 홍삼의 성분 중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갈변반응 물질은 식품학적인 측면에서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수삼을 쪄서 건조하는 홍삼의 제조과정에서 열처리에 의해 당(糖)과 아미노산의 결합 반응(amino-carbonyl reaction)인 메일라드(Maillard) 반응이 일어나 아미노산 유도체가 생긴다는 것이 밝혀졌다. 즉, 수삼 중의 알기닌(arginine)과 맥아당 (maltose)이 결합하여 아미노산 유도체인 말툴로실 알기닌(Maltulosyl arginine, Arginine-Fructose-Glucose), 알기닌(arginine)과 포도당(glucose)이 결합하여 프룩토실 알기닌(Fructosyl arginine, Arginine-Fructose)이 생성되며, 이 성분의 함량은 수삼을 햇볕, 열풍 또는 기타방법으로 익히지 않고 말린 백삼보다는 홍삼에서 현저히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Katano, M. et al, Proc. 5th Int' l Ginseng Symp. 33-38, 1988). 특히, 인삼의 노화억제 효능과 관련된 항산화 활성능에 대한 연구는 백삼보다 홍삼 추출물에서 더욱 강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는 홍삼 제조시 일어나는 갈색화 반응에 따라 생성되는 갈변물질의 강한 항산화 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Kim, S.D. et al, J. Korean Agricultural Chemical Society. 24. 161-166. 1981).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은 홍삼의 제조과정 중에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로,
1) 홍삼을 상온에서 물로 24시간 간격으로 2 ~ 3회 추출하는 단계;
2) 상기 추출물을 8000 ~ 9000 rpm으로 20 ~ 30 분간 원심분리하는 단계;
3) 상등액을 부탄올로 2 ~ 3회 처리하여 지용성 성분 및 사포닌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4) 50 ~ 60% 에탄올로 처리하고 여과하여 에탄올 불용성 침전물을 제거하여 홍삼 추출물을 얻는 단계;
5) 상기 얻어진 홍삼 추출물을 투석막으로 24시간 간격으로 2 ~ 3회 투석하 여 투석내액과 투석외액으로 구분하여 투석내액에서 제 1분획을 얻는단계;
6) 상기 투석외액을 겔크로마토그래피로 제 2 분획 및 제 3분획으로 각각 분리하는 단계; 및
7) 상기 얻어진 제 1분획, 제 2분획 및 제 3분획을 각각 동결건조시키는 단계;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6) 단계에서 투석외액의 저분자 갈변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Bio-Gel P-2로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며, 먼저 유출되는 갈변물질을 제 2 분획, 그 다음에 유출되는 갈변물질을 제 3 분획으로 한다(Lee, J.W. et al, Korean J. Food & Nutr., 11, 499-505, 1998).
상기 추출된 갈변반응 생성물은 제 1 분획, 제 2분획 및 제 3분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분획은 분자량 4800 이하, 제 2 분획은 분자량 4000 이하 및 제 3분획은 분자량 2000 이하의 순서로 분자량의 차이를 나타낸다. 상기 제 1분획은 멜라노이딘 폴리머(melanoidin polymer), 크실로오스(xylose), 글루코스(glucose), 알기닌(arginine), 아스파라긴산(aspartic acid), 글루타민산(glutamic acid), 리신(lysine), 글리신(glycine) 및 페닐알라닌(phenylalanine)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 2분획은 말툴로실 알기닌(Maltulosyl arginine, Arginine-Fructose-Glucose), 크실로오스(xylose), 글루코스(glucose), 글리신(glycine), 세린(serine), 아스파라긴산(aspartic acid), 글루타민산(glutamic acid), 알라닌(alanine), 리신(lysine) 및 알기닌(arginine)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 3분획은 프룩토실 알기닌(Fructosyl arginine, Arginine-Fructose), 크실로오스(xylose), 과당(fructose), 글루코스(glucose), 글리신(glycine), 세린(serine), 글루타민산(glutamic acid) 및 아스파라긴산(aspartic acid) 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은 상기 제 1분획, 제 2분획 및 제 3분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며,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 10-8 내지 50중량%로 함유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 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본 발명의 홍삼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또는 보디에센스 등의 화장료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험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사포닌이 제거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
홍삼 1 kg에 10배 가량의 물을 넣고 24시간씩 상온에서 3회 반복추출한 후 4℃에서 20분간 8000 rpm으로 원심분리를 하였다. 상등액을 취하여 Filter paper로 여과한 후 여과액을 n-BuOH로 3회 처리하여 사포닌 등을 제거하고 감압농축하여 1 L의 홍삼 추출물을 얻었다.
[참고예 2] 홍삼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의 분리
참고예 1에서 얻은 홍삼 추출물을 4℃에서 24시간간격으로 3회에 걸쳐 분자량 cut-off-3500으로 투석하여 투석내액과 투석외액으로 구분하였다. 투석 내액을 분획L(제 1 분획), 투석외액은 겔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분획 S-1(제 2분획)과 S-2(제 3분획)를 얻어 각각 동결건조 하여 홍삼내 갈변물질 분획 L 42 g, S-1 48 g 및 S-2 38 g를 얻었다.
[시험예 1]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증식효능 측정
3.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배지에서 배양한 인체 섬유아세포를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5,000세포/well가 되도록 분주하고, 참고예 2의 갈변반응 생성물을 배양배지로 1/10씩 순차적으로 희석하여 첨가한 후, 37℃ 온도에서 4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0.2%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rtazolium bromide) 용액을 각 well 당 50㎕씩 첨가하고, 다시 37℃ 온도에서 4시간동안 배양한 후 생성된 포르마잔(formazan)을 DMSO(Dimethyl sulfoxide)로 용해시켰다. 용해된 포르마잔의 흡광도를 평판배양측정기(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70nm에서 측정하였다. 이를 갈변반응 생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홍삼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을 함유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흡광도를 비교한 후,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1]
Figure 112006032397677-PAT00001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홍삼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섬유아세포에 비하여, 홍삼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을 처리한 섬유아세포는 최고 61% 정도 향상된 섬유아세포 증식 효능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2]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의 증식효능 측정
각질형성세포를 사용하여 시험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질형성세포의 증식효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06032397677-PAT00002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갈변반응 생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각질형성세포에 비하여, 갈변반응 생성물을 처리한 각질형성세포는 최고 32% 정도 향상된 각질세포 증식효능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3] 인체피부를 대상으로 한 피부주름 개선효과
35~45세의 안면주름이 있는 시험대상자 30명에 대하여, 하기 표 3과 같은 조성을 갖는 영양크림에 대하여 갈변반응 생성물을 함유한 실시예 1과 갈변반응 생성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의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비교평가하였다.
[표3]
Figure 112006032397677-PAT00003
피검자의 안면 좌부에는 실시예 1을, 우부에는 비교예 1을 3개월간 사용하도록 하였다. 크림사용 이전의 안면 양쪽부의 피부상태를 측정해 놓은 후 크림사용 3개월 후 동일부위를 재측정하여 피부주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피부측정은 24℃ 온도, 상대습도 40%의 항온항습실에서 하였으며, 눈꼬리부위의 주름을 레플리카(replica)로 떠서 비시오메타 시스템(Visiometer system; C+K사)으로 피부주름을 측정하였다. 피부주름의 변화량은 하기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
Figure 112006032397677-PAT00004
(상기 식에서, Tdi; D90에서의 측정부위값이며, Tdo; D0에서의 측정부위 값이다.)
상기 식에 따라 계산한 결과, 비교예 1을 사용한 부위의 피부주름은 7±5%(평균±표준편차)의 감소치를 나타낸 반면, 실시예 1을 사용한 부위의 피부주름은 35±14%의 감소치를 보여 우수한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4] 손상피부회복효과
피부색소 측정기(Chromameter CM2002)를 이용하여 조사 부위의 피부색 초기값을 측정하였다. 자외선 조사후 손상피부 회복 효과는 솔라 시뮬레이터(solar simulator)를 이용하여 30명의 시험자들의 양쪽팔에서 최소 홍반량을 측정하였다. 우선, 홍반을 유발하기 위해 시험자들의 양쪽팔에 자외선(UV)을 FDA 방법에 의거하여 조사하였다.
자외선조사 후 8, 16, 24, 48시간 이후 1%의 홍삼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을 시험자의 한쪽 팔에 도포하였고 다른쪽 팔에는 증류수를 도포하였다. 자외선 조사 전 피부색을 100으로 조정하고 상대적으로 홍반지수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112006032397677-PAT00005
[시험예 5] 인체에서 피부 보습력 증가 측정
피부건조증을 나타내는 40~60대의 남성, 여성 30명을 3개 조로 나누어, 각 조에 하기 표 5의 배합비로 구성된 실시예 2와 비교예 2의 화장수를 매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도록 하였다. 도포 개시 전과, 도포 후 1주, 2주, 4주 경과한 시점, 그리고 도포를 중지한 2주 경과(총 6주 경과)후에 항온, 항습 조건( 24℃, 상대습도 40%)에서 독일 C+K사의 코니오미터(corneometer, CM825)를 이용하여 피부수분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상기 코니오미터는 표피의 전기전도도 값을 측정하여 피부에 존재하는 수분량을 측정하는 피부수분측정기이다. 하기 표 6의 결과는 시험 개시 직전에 측정한 코니오미터 값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기간 처치한 후의 측정값의 증가분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표 5]
Figure 112006032397677-PAT00006
[표 6 ] 피부 수분 증가율
Figure 112006032397677-PAT00007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홍삼 제조과정 중에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 물이 함유된 실시예 2의 화장수를 도포한 실험군에서는 비교예 2를 도포한 실험군에 비해서 피부수분량이 더 증가되었으며, 또한, 실시예 2의 화장수의 도포를 중지한 2주 후인 6주 경과 후의 피부수분을 측정한 수치가 도포한 지 1주~2주 경과후의 수치와 유사하게 나타나, 갈변반응 생성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2의 화장수를 도포하지 않아도 일정 기간동안은 갈변반응 생성물에 의해 피부수분이 지속적으로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이하, 상기의 시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홍삼내 갈변물질을 함유함으로써, 피부노화의 제반증상인 주름을 개선하고, 피부에 보습을 주는 여러 제형의 화장료의 조성을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하기의 제형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Figure 112006032397677-PAT00008
[제형예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
Figure 112006032397677-PAT00009
[제형예3] 영양크림
Figure 112006032397677-PAT00010
[제형예4] 마사지크림
Figure 112006032397677-PAT00011
[제형예5] 팩
Figure 112006032397677-PAT00012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홍삼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시킴으로서, 주름개선효과, 콜라겐합성촉진효과, 광접촉에 의한 손상피부회복효과를 비롯한 피부 노화방지효과 또는 보습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홍삼 제조 중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갈변반응 생성물은 사포닌 및 지용성 성분이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갈변반응 생성물은 투석막을 통하여 투석내액인 제 1분획과 투석외액으로 분리되며, 상기 투석외액은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얻어지는 제2분획 및 제 3분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획은 분자량 4800 이하의 멜라노이딘 폴리머(melanoidin polymer), 크실로오스(xylose), 글루코스(glucose), 알기닌(arginine), 아스파라긴 산(aspartic acid), 글루타민산(glutamic acid), 리신(lysine), 글리신(glycine) 및 페닐알라닌(phenylalanine)으로 이루어지며 제 2분획은 분자량 4000 이하의 말툴로실 알기닌(Maltulosyl arginine, Arginine-Fructose-Glucose), 크실로오스(xylose), 글루코스(glucose), 글리신(glycine), 세린(serine), 아스파라긴산(aspartic acid), 글루타민산(glutamic acid), 알라닌(alanine), 리신(lysine) 및 알기닌(arginine)으로 이루어지며 제 3분획은 분자량 2000 이하의 프룩토실 알기닌(Fructosyl arginine, Arginine-Fructose), 크실로오스(xylose), 과당(fructose), 글루코스(glucose), 글리신(glycine), 세린(serine), 글루타민산(glutamic acid) 및 아스파라긴산(aspartic acid)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갈변반응 생성물을 화장료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건조중량으로 10-8 내지 50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갈변반응 생성물은
    1) 홍삼을 상온에서 물로 24시간 간격으로 2 ~ 3회 추출하는 단계;
    2) 상기 추출물을 8000 ~ 9000 rpm으로 20 ~ 30 분간 원심분리하는 단계;
    3) 상등액을 부탄올로 2 ~ 3회 처리하여 지용성 성분 및 사포닌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4) 50 ~ 60% 에탄올로 처리하고 여과하여 에탄올 불용성 침전물을 제거하여 홍삼 추출물을 얻는 단계;
    5) 상기 얻어진 홍삼 추출물을 투석막으로 24시간 간격으로 2 ~ 3회 투석하여 투석내액과 투석외액으로 구분하여 투석내액에서 제 1분획을 얻는 단계;
    6) 상기 투석외액을 겔크로마토그래피로 제 2 분획 및 제 3분획으로 각각 분리하는 단계; 및
    7) 상기 얻어진 제 1분획, 제 2분획 및 제 3분획을 각각 동결건조시키는 단계;로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6항에 따른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또는 보디에센스의 제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 개선, 콜라겐 합성 촉진, 광접촉에 의한 피부손상 회복 또는 보습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041429A 2006-05-09 2006-05-09 홍삼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779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429A KR100779876B1 (ko) 2006-05-09 2006-05-09 홍삼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429A KR100779876B1 (ko) 2006-05-09 2006-05-09 홍삼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013A true KR20070109013A (ko) 2007-11-15
KR100779876B1 KR100779876B1 (ko) 2007-11-28

Family

ID=39063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429A KR100779876B1 (ko) 2006-05-09 2006-05-09 홍삼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987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223B1 (ko) * 2007-11-23 2009-11-09 (주)아모레퍼시픽 이온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2종 이상의 아마도리 화합물동시분석법
JP2010090076A (ja) * 2008-10-10 2010-04-22 Maruzen Pharmaceut Co Ltd 抗炎症剤、抗老化剤、一酸化窒素産生促進剤及び皮膚化粧料
JP2012140361A (ja) * 2010-12-28 2012-07-26 Kracie Home Products Ltd 抗酸化剤、化粧料、飲食品組成物及び医薬品組成物
EP2484340A4 (en) * 2009-09-29 2014-05-07 Shiseido Co Ltd COMPOSITION FOR ACCELERATING COLLAGEN PRODUCTION
KR20190105973A (ko) * 2018-03-07 2019-09-18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미용 성분이 강화된 홍삼 분획물의 제조 방법
KR20190143627A (ko) * 2018-06-21 2019-12-31 주식회사 이에이치랩 멜라노이딘 및 카페인을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CN112675705A (zh) * 2020-12-14 2021-04-20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对美拉德反应中间体进行分级纯化的方法
WO2021130349A1 (en) * 2019-12-23 2021-07-01 Kaffe Bueno Aps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melanoidin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5609A (ja) 1984-04-09 1985-10-29 Ichimaru Fuarukosu Kk メラノイジン含有皮膚化粧料
KR100200534B1 (ko) * 1996-07-20 1999-06-15 이상준 포도 및 인삼의 갈색화된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JP2001114635A (ja) 1999-10-14 2001-04-24 Osaka Yakuhin Kenkyusho:Kk 黒砂糖エキス含有化粧料組成物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223B1 (ko) * 2007-11-23 2009-11-09 (주)아모레퍼시픽 이온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2종 이상의 아마도리 화합물동시분석법
JP2010090076A (ja) * 2008-10-10 2010-04-22 Maruzen Pharmaceut Co Ltd 抗炎症剤、抗老化剤、一酸化窒素産生促進剤及び皮膚化粧料
EP2484340A4 (en) * 2009-09-29 2014-05-07 Shiseido Co Ltd COMPOSITION FOR ACCELERATING COLLAGEN PRODUCTION
JP2012140361A (ja) * 2010-12-28 2012-07-26 Kracie Home Products Ltd 抗酸化剤、化粧料、飲食品組成物及び医薬品組成物
KR20190105973A (ko) * 2018-03-07 2019-09-18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미용 성분이 강화된 홍삼 분획물의 제조 방법
KR20190143627A (ko) * 2018-06-21 2019-12-31 주식회사 이에이치랩 멜라노이딘 및 카페인을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WO2021130349A1 (en) * 2019-12-23 2021-07-01 Kaffe Bueno Aps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melanoidins
CN114929194A (zh) * 2019-12-23 2022-08-19 卡夫布埃诺有限公司 包含类黑精的化妆品组合物
CN112675705A (zh) * 2020-12-14 2021-04-20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对美拉德反应中间体进行分级纯化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9876B1 (ko) 200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9876B1 (ko) 홍삼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갈변반응 생성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997441B1 (ko)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균주를 이용한 고순도 진세노사이드 Rd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4908B1 (ko) 모시풀(Boehmeria nive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20100135871A (ko) 섬유모세포의 증식 및/또는 활성을 자극하는 활성 성분
JP2005008539A (ja)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イナーゼ阻害剤
JP5344779B2 (ja) 毛髪化粧料
KR102022622B1 (ko) 인삼 새싹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853743B1 (ko) 음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0603031A (zh) 红毛丹提取物在增加皮肤和/或粘膜的紧致性中的用途
KR101020536B1 (ko)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65232A (ko) 생약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JP5719228B2 (ja) 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KR102543552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639408B1 (ko)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억제 및 미백효과를 갖는대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9147824A (ja) 黒生姜含有組成物
KR101922637B1 (ko) 마유 및 애기수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38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198589B1 (ko) 바위돌꽃, 바위손, 맨드라미 및 쑥 혼합추출물과 피톨(phytol)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458480B1 (ko) 쥐눈이콩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4247091B2 (ja) 皮膚老化防止剤
KR100564107B1 (ko) 피부노화방지 효능을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CN113631227A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JP2009249366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KR101154501B1 (ko) 천산설연을 포함하는 각질 박리 촉진 효능을 갖는 조성물
KR102570987B1 (ko) 섬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