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5232A - 생약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5232A
KR20170065232A KR1020150171421A KR20150171421A KR20170065232A KR 20170065232 A KR20170065232 A KR 20170065232A KR 1020150171421 A KR1020150171421 A KR 1020150171421A KR 20150171421 A KR20150171421 A KR 20150171421A KR 20170065232 A KR20170065232 A KR 20170065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ir
weight
compositio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7531B1 (ko
Inventor
이경록
Original Assignee
이경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록 filed Critical 이경록
Priority to KR1020150171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531B1/ko
Publication of KR20170065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당약 추출물, 당귀 추출물, 작약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쑥 추출물 및 검정콩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생약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COMPRISING EXTRACTS OF CRUDE DRUG COMPLEX}
본 발명은 생약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당약 추출물, 당귀 추출물, 작약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쑥 추출물 및 검정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동물들은 계절에 따라 털이 전체적으로 교체되는 털갈이 시기가 있으나, 인간은 전체 모발 중 일부가 매일 계속적으로 교체되어 항상 비슷한 개수가 유지된다.
모발의 주기(hair cycle)는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의 3주기로 나뉠 수 있으며, 그 중 성장기(anagen)는 모유두에서 활발한 세포 분열이 일어나 새로운 모발의 성장이 촉진되는 시기로, 이 시기에 모발이 성장할 수 있다. 모발의 상장 주기는 대략 남성은 3 내지 5년, 여성은 4 내지 6년 정도이며 전체적으로 약 80 내지 85%의 모발이 성장기에 해당한다. 퇴행기(catagen)는 세포 분열이 점차 멈추어 가는 시기로 대략 3 내지 4주 정도이다. 마지막으로 휴지기(talogen)는 모유두가 위축되어 모발이 모세혈관과 분리되어 단순히 두피에 박혀 있는 시기로, 대략 3개월 정도이며 휴지기에 있는 모발은 대개 물리적 자극에 의해 쉽게 모피에서 이탈된다.
인간의 모발은 비록 생명과는 무관하나, 사람의 인상 및 외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종래 탈모가 증상으로 인식되었던 것과 달리 최근에는 질환이라는 인식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최근 고도화, 산업화가 가속되면서 수반되는 과도한 스트레스, 생활 습관의 사회 문화적인 요인들로 인해 탈모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중년 남성뿐 아니라 장년층의 탈모가 증가하고 있어 탈모의 다양한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화장품 업계에서는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제품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 아니라,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부작용이 적고, 소비자의 호응도가 높은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생체 안전성 및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한 다기능성(multi-funtional) 화장품 개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원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 건강에 유익하면서도, 탈모 방지 및 육모 촉진능이 우수한 탈모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당약 추출물, 당귀 추출물, 작약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쑥 추출물 및 검정콩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복합 추출물 1.0 내지 10.0 중량%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상기 당약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당귀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작약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상백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쑥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및 검정콩 추출물 20 내지 60 중량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이 용암해수,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헤어샴푸, 헤어 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토닉,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로션, 헤어크림, 모발 영양화장수 및 일반 연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탈모 방지용 조성물은 복합 추출물에 포함된 유효성분들이 상호 작용하여 사용자의 피부 건강에 유익하면서도 탈모 개선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당약 추출물, 당귀 추출물, 작약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쑥 추출물 및 검정콩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탈모 방지용 조성물은 천연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탈모 방지 및 육모 촉진 효과가 우수하며, 인체에 안전하고 피부 자극이 최소화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복합 추출물은 각 추출물이 인체에 복합적으로 작용하므로, 단일 추출물과 비교하여 탈모 방지 효과가 현저히 증대될 수 있다.
상기 당약은 용담과(Swertia japonica Makino) 허브 전체에서 추출한 것으로, 학명으로는 용담과의 쓴풀이라고 불리운다. 상기 당약 추출물은 과거부터 복통, 피부감염, 구충 및 감기 등에 널리 이용되었다. 상기 당약 추출물은 통상적으로 2 내지 4%의 스웨티아마린(swertiamarin), 세르티아놀린(sertianolin), 에리트로센타우린(erythrocentaurin), 스웨티아놀(swertianol), 올레아놀산(oleanolic acid) 및 제니티아닌(genitianine) 등을 포함한다. 상기 당약 추출물은 스웨티아마린(swertiamarin)을 포함한 글리코시드(glycoside)를 주요 성분으로 포함하고 동식물에서 유도된 캔대리드(cantharide) 또는 고추틴크와 같이 피부온도를 상승시키고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상기 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참당귀(Angelicagigas NAKAI)의 뿌리로서, 데커신(decursin), 데커시놀(decursinol) 등의 쿠마린 성분을 다량 포함한다. 상기 당귀는 진통, 배농, 지혈, 보혈, 강장작용이 있으며, 혈액순환은 촉진하여 두피와 모근을 건강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작약은 작약과(Paeoniaceae)의 여러해살이풀로 한방에서는 뿌리를 씻은 뒤 말린 것 또는 끓는 물에 담갔다 꺼낸 뒤 말린 것을 작약 또는 백작약이라고 하고, 작약의 뿌리를 적작약이라 하며, 작약 뿌리의 껍질을 벗긴 것은 백작약이라고 한다. 상기 작약은 파이오니플로린, 파이오넬, 파이오닌, 안식향산, 정유, 수지, 탄닌, 트리테르페노이드 등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며, 피부 미백과 항산화 등 다양한 효능과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상기 작약은 모발을 외부의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 두피에 보습을 제공해 주며, 모발 성장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상기 상백피는 뽕나무(Morus Alba) 또는 같은 속 식물의 뿌리 껍질을 말린 것으로서 과거부터 진해제, 항염증제, 이뇨제 등으로 한방 제제에 널리 사용되었다. 상기 상백피는 진통, 이뇨, 진해, 항부종, 진정, 항경련 및 혈압강하 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지며, 향약 집성방 등에 수록되어 있는 전통 민간 요법으로서 비듬, 가려움 및 탈모 관련 질환에 사용된 바 있다.
상기 쑥(Artemisia princeps var)은 한방에서 애엽이라 칭하고 식용과 약용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다. 특히 쑥은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위장, 간장, 신장의 기능을 강화해 복통 치료에 유용하며 혈관의 노폐물을 제거하여 고혈압과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면역기능과 해독작용, 간기능 개선과 노화방지 등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상기 쑥은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C, 아미노산,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등을 포함하므로, 활성산소의 제거 및 두피 진정작용을 하며, 모발에 윤기 및 탄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검정콩은 콩(Leguminosae)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서 원산지는 중국 동북지방에서 화베이에 걸친 지역이고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검은콩은 한방에서 기침, 기관지, 천식에 효과적이며, 해독효과가 뛰어나며, 노화방지, 장 이완작용 등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상기 검은콩은 비타민 E 및 불포화 지방산을 다량 포함하므로, 혈관을 확장시켜 말초혈관의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모발의 생장을 촉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복합 추출물 1.0 내지 10.0 중량%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복합 추출물에 의한 탈모 방지 효과 및 육모 촉진 효과가 충분하게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10.0 중량% 초과이면 첨가량만큼의 효과가 구현되지 않아 비용 효율이 저하되고, 다양한 제품에 대한 적용 가능성이 저하되거나 제품 본연의 품질 구현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복합 추출물은 상기 당약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당귀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작약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상백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쑥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및 검정콩 추출물 20 내지 60 중량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혼합 비율의 편차가 큰 경우 각 추출물의 유효성분에서 유래한 탈모 개선 효과가 적절하게 구현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작업 환경 및 최종 산물의 품질을 고려하여 혼합비율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당약 추출물, 당귀 추출물, 작약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쑥 추출물, 및 검정콩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1 : 1 : 1 : 1 : 1 : 2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최적의 탈모 개선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이 용암해수,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합 추출물은 각 원료를 물로 수세한 후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각 원료 중량의 8 내지 12배에 달하는 부피의 용매로 약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환류 순환 추출, 가압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하고 여과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감압 증류 또는 동결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공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수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출물은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료에 포함된 유효성분은 용매의 극성에 따라 추출 비율이 상이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용매는 상기 원료의 생리 활성 물질의 추출에 있어서 선택성이 뛰어난 알코올이 적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추출에 의해 최적의 탈모 개선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40 내지 70% 농도의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12 내지 18시간 동안 추출될 수 있다.
특히, 물과 에탄올은 극성이 상이하여, 각 극성에 따라 추출되는 유효성분이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최적의 피부 개선 효과가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에탄올의 농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에탄올은 농도가 70% 초과이면 적정한 수율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농도가 40% 미만이면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 성분이 충분하게 추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탈모 방지용 조성물은 헤어샴푸, 헤어 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토닉,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로션, 헤어크림, 모발 영양화장수 및 일반 연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탈모 방지용 조성물의 용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화장료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외에도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탈모 방지용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폴리머 및 컨디셔닝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알킬 술페이트, 에톡실화 알킬 술페이트, 알킬 에톡시 카르복실레이트, 알킬 글리세릴 에테르 술포네이트, 에톡시에테르 술포네이트, 메틸 아실 타우레이트, 알킬 술포숙시네이트, 알킬 에톡시술포숙시네이트, 알파-술포네이트화 지방산, 이들의 염 및/또는 이들의 에스테르, 알킬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에톡실화 알킬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직쇄 알킬 벤젠 술포네이트, 파라핀 술포네이트, 알파 올레핀 술포네이트, 알킬 알콕시술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알킬 및/또는 아실 사슬은 C12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C12 내지 14일 수 있다. 상기 사슬이 C12 미만이면 계면활성력이 미흡할 수 있고, C18 초과이면 낮은 기포력으로 인해 사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세정력을 충분히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50 중량%를 초과이면 과도한 세정력으로 인해 인체에 대한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 폴리머는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의 폴리머릭 쿼터너리 암모늄염류 및 구아히 드록시프로필트리암모늄 클로라이드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양이온 폴리머는 상기 탈모 방지용 조성물에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고 기포 생성력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 폴리머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0.5 중량%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양이온 폴리머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컨디셔닝 효과가 충분히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1.0 중량% 초과이면 점도의 제어가 용이하지 않고 모발에 대한 부착성이 증가하여 사용감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상기 컨디셔닝 성분은 싸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디메틸 폴리실록산), 디메치콘코폴리올, 알킬디메치콘코폴리올, 실리콘에스테르, 플루오로디메치콘, 알킬디메치콘, 디메치콘 코폴리올아민, 카르복시실리콘, 실리콘포스페이트에스테르, 실리콘레진, 실리콘포스포리피드, 아모디메치콘, 아미노프로필디메치콘 및 실 리콘쿼츠(silicone quats)를 포함하는 실리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컨디셔닝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3∼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컨디셔닝 성분이 0.01 중량% 미만이면 컨디셔닝 효과가 충분히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5.0 중량%를 초과이면 제형이 불안정해지고 제품 본연의 성능이 발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탈모 방지용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및 화장료 조성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료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상기 기능성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은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 안정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기재된 품목은 예컨대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를 들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면역결핍질환, 세균성 및 바이러스성 감염 질환, 종양 등을 포함하는 면역 관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 보조 식품, 식품 첨가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탈모의 개선을 위하여 위하여 전체 중량 대비 1.0 내지 10.0 중량%의 상기 탈모 방지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탈모 방지용 조성물이 1.0 중량% 미만이면 탈모 개선 효과가 충분히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10.0 중량% 초과이면 제품 본연의 품질이 구현되지 않거나 비용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제조예 1: 추출물(에탄올 추출)의 제조
당약, 당귀, 작약, 상백피, 쑥 및 검정콩을 수세한 후 상온에서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조분쇄물을 각각 100g씩 수득하였다.
상기 각 분쇄물 100g을 10배 부피의 에탄올 수용액(60% 질량농도)에 침지하여 5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은 미세 필터에 의해 여과되었으며 잔여 원료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 추출된 후 상온에서 냉각되었다. 상기 각 추출물은 30℃에서 감압 농축되었으며 동결 건조되어 고형으로 수득되었다.
제조예 2: 추출물(열수 추출)의 제조
추출 용매로서 정제수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각 추출물은 감압 농축된 후 동결 건조되어 고형으로 수득되었다.
실시예 1 : 복합 추출물(에탄올 추출) 시료
동결 건조하여 수득된 제조예 1의 당약, 당귀, 작약, 상백피, 쑥, 검정콩 추출물이 1 : 1 : 1 : 1 : 1 : 2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복합 추출물 10g을 실시예 1의 시료로 하였다. .
실시예 2 : 복합 추출물(열수 추출) 시료
동결 건조하여 수득된 제조예 2의 당약, 당귀, 작약, 상백피, 쑥, 검정콩 추출물이 1 : 1 : 1 : 1 : 1 : 2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복합 추출물 10g을 실시예 2의 시료로 하였다. .
비교예 1 : 당약 추출물(에탄올 추출) 시료
동결 건조하여 수득된 제조예 1의 당약 추출물 10g을 비교예 1의 시료로 하였다.
비교예 2 : 당귀 추출물(에탄올 추출) 시료
동결 건조하여 수득된 제조예 1의 당귀 추출물 10g을 비교예 1의 시료로 하였다.
비교예 3 : 작약 추출물(에탄올 추출) 시료
동결 건조하여 수득된 제조예 1의 작약 추출물 10g을 비교예 1의 시료로 하였다.
비교예 4 : 상백피 추출물(에탄올 추출) 시료
동결 건조하여 수득된 제조예 1의 상백피 추출물 10g을 비교예 1의 시료로 하였다.
비교예 5 : 쑥 추출물(에탄올 추출) 시료
동결 건조하여 수득된 제조예 1의 쑥 추출물 10g을 비교예 1의 시료로 하였다.
비교예 6 : 검정콩 추출물(에탄올 추출) 시료
동결 건조하여 수득된 제조예 1의 검정콩 추출물 10g을 비교예 1의 시료로 하였다.
실험예 1 : 모유두세포 증식 촉진 효과 평가
온도 민감 T 항원을 인코딩한 폴리오마바이러스 라지 T 유전자(polyomavirus large T gene)를 트랜스펙션하여 만든 PVG 쥐수염 모유두세포(Rat Vibrissa dermal papillae cell)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유두세포 증식 촉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상기 모유두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한 웰 당 약 104 세포/웰의 농도로 배양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을 DMSO(Dimethyl sulfoxide) 또는 에탄올에 각각 용해시킨 후, 5% FBS 혈청 농도의 DMEM 배지로 순차적 희석(serial dilution)하여 최종 농도를 10ppm으로 조절하였다. 실시예 1, 2 및 비교에 1 내지 6이 첨가된 배지 200㎕를 각각 웰 당 첨가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약 3일간 배양하였으며, 2㎎/㎖의 농도로 조제된 MTT 용액을 각 웰 당 50㎕씩 첨가한 후, 동일한 배양기에서 4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MTT 시약이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 흡수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DMSO를 150㎕ 첨가하였으며, 10분간 교반하여 균일하게 프로마잔(formazan) 염료(dye)를 용해시켰다.
이어서, 515nm 파장에서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O.D. 값을 측정하였으며, 미리 만들어둔 표준 곡선에 맞추어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세포 수를 기초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의 모유두 세포 증식 촉진능(%)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과 같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세포증식
촉진효과
(%)
65.2±1.3 58.5±1.1 16.8±1.1 13.3±1.2 14.1±0.9 21.9±1.3 19.5±1.0 28.3±0.9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2의 복합 추출물은 비교예1 내지 6의 단일 추출물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모두유 세포 증식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에탄올 추출에 의한 실시예 1의 추출물은 실시예 2와 비교하여 세포 증식을 더욱 촉진하였으므로, 탈모 방지 및 육모 촉진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실험예 2 : 모세혈관 확장효과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세혈관 확장효과를 평가하고자, 추출물에 의한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증식 정도를 측정하였다. 칼륨통로는 활성화되어 미토제네시스(mitogenesis)를 촉진하고, 혈관 평활근(vascular smooth muscle)을 이완시켜 혈관의 확장을 유도하는 반면, 차단에 의해 NIH3T3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증식을 촉진하므로 섬유아세포의 증식 정도를 평가하여 칼륨통로의 개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추출물의 모세혈관 확장능을 평가하기 위해, NIH3T3 섬유아세포를 24-웰 배양 플레이트에 104 세포/웰의 농도로 시드(seed)하고, 10% FCS(fetal calf serum) 및 2mM L-글루타민을 포함하며 항생제를 포함하지 않는 DMEM 배지에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한편, 상기 배양된 배지를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이 첨가된 각 배지로 교체하고 72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이 때, 배지를 제거한 후 PBS(Ca2 +/Mg2 + 없음)로 세척하였으며, 10% FCS가 포함된 DMEM으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후 0.5ml TE(trypsin-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를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하였으며 EP 튜브에 넣어 5500rpm에서 원심 분리하였다. 이어서 상등액을 제거한 후 남은 세포액을 100㎕의 PBS에 현탁하였으며 혈구 계산기(hemocytometer)를 통해 세포수를 카운팅하였다. 상기 결과에 따라 측정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세혈관 확장효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모세혈관
확장효과
(%)
54.3±2.1 42.9±1.9 13.3±2.3 11.2±2.5 14.8±2.1 18.5±1.8 15.4±2.1 24.7±2.5
상기 표 2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2의 복합 추출물은 비교예1 내지 6의 단일 추출물과 비교하여 모세혈관 확장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였다. 특히, 에탄올 추출에 의한 실시예 1의 추출물은 실시예 2와 비교하여 모세혈관 확장효과가 더욱 우수하였으므로, 두피 모세혈관의 혈액 순환을 개선하여 모발 건강을 증진시키고 탈모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실험예 3 : 모발 성장 촉진 효과 평가
모발이 휴지기에 들어선 생후 약 50일 된 생쥐(C57BL/6)의 모발을 제거한 후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실험을 위하여 몸무게, 크기 등 특성이 유사한 생쥐를 10마리씩 9군으로 나눈 후 개별적으로 사육하여 모발의 성장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을 1.0 중량% 포함하는 시리얼 사료를 섭취하도록 한 후 30일간 사육하고 제모 부위에서 성장한 모발을 분리하여 중량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시리얼 사료를 섭취한 생쥐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추출물에 의한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더욱 명확하게 확인하고자 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대조군
모발
중량
(mg)
275.5
±12.3
247.1
±11.8
94.9
±8.1
89.6
±9.3
109.2
±9.6
131.3
±10.1
123.7
±8.9
148.6
±9.3
53.5
±10.1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2의 복합 추출물은 비교예1 내지 6의 단일 추출물과 비교하여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였다. 특히, 에탄올 추출에 의한 실시예 1의 추출물은 실시예 2와 비교하여 모발 성진 촉진 효과가 더욱 우수하였으므로 모발 건강을 증진 시키고 탈모를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당약 추출물, 당귀 추출물, 작약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쑥 추출물 및 검정콩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복합 추출물 1.0 내지 10.0 중량%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상기 당약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당귀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작약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상백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쑥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및 검정콩 추출물 20 내지 60 중량부로 구성된 탈모 방지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이 용암해수,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탈모 방지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헤어샴푸, 헤어 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토닉,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로션, 헤어크림, 모발 영양화장수 및 일반 연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된 탈모 방지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150171421A 2015-12-03 2015-12-03 생약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1787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421A KR101787531B1 (ko) 2015-12-03 2015-12-03 생약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421A KR101787531B1 (ko) 2015-12-03 2015-12-03 생약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232A true KR20170065232A (ko) 2017-06-13
KR101787531B1 KR101787531B1 (ko) 2017-11-15

Family

ID=5921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421A KR101787531B1 (ko) 2015-12-03 2015-12-03 생약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5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517A (ko) * 2018-08-01 2020-02-11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3519A (ko) *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씨앤비코스메틱 나노 버블이 혼합된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나노 버블이 혼합된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장치
KR20220107442A (ko) * 2021-01-25 2022-08-02 주식회사 씨앤비바이오 나노 버블이 혼합된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나노 버블이 혼합된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682A (ko) 2019-06-13 2020-12-23 한대현 복합생약발효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510062B1 (ko) 2021-01-26 2023-03-14 주식회사 비쎌 혼합 한약재 추출물과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059B1 (ko) * 2010-10-21 2012-10-24 김상섭 한방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517A (ko) * 2018-08-01 2020-02-11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3519A (ko) *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씨앤비코스메틱 나노 버블이 혼합된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나노 버블이 혼합된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장치
KR20220107442A (ko) * 2021-01-25 2022-08-02 주식회사 씨앤비바이오 나노 버블이 혼합된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나노 버블이 혼합된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531B1 (ko)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531B1 (ko) 생약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1908679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발효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5137457B2 (ja)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JP2014076957A (ja) 脱糖化剤及び皮膚外用剤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101825803B1 (ko) 마가목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6709783B2 (ja)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JP5714956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101133785B1 (ko) 황금을 함유한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89838B1 (ko) 생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81204A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60040968A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458480B1 (ko) 쥐눈이콩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2010222273A (ja) 養毛剤組成物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37466B1 (ko)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두피 트리트먼트 방법
KR20070076656A (ko) 해송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20066595A (ko) 리보플라빈 및 안젤리카잎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43530B1 (ko) 솔잎 추출액을 포함한 모발의 생장 촉진용 샴푸 조성물 및 그 방법
KR20090068397A (ko) 두피 보호 및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44047B1 (ko) 찔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