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062B1 - 혼합 한약재 추출물과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혼합 한약재 추출물과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062B1
KR102510062B1 KR1020210010530A KR20210010530A KR102510062B1 KR 102510062 B1 KR102510062 B1 KR 102510062B1 KR 1020210010530 A KR1020210010530 A KR 1020210010530A KR 20210010530 A KR20210010530 A KR 20210010530A KR 102510062 B1 KR102510062 B1 KR 102510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weight
cosmetic composition
herbal medicine
care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7653A (ko
Inventor
우봉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쎌
Priority to KR1020210010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06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7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 한약재 추출물과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기자, 산수유, 석창포, 숙지황, 오가피, 월견자 및 의이인을 혼합한 한약재 혼합물을 추출하여 제조한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탈모방지 효과가 우수하고,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향료로 인한 심리적 효과를 증진시킴과 동시에 헤어케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혼합 한약재 추출물과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HAIR CARE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COMPRISING MIXED HERBAL MEDICINE EXTRACT AND AROMA OIL}
본 발명은 혼합 한약재 추출물과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기자, 산수유, 석창포, 숙지황, 오가피, 월견자 및 의이인을 혼합한 한약재 혼합물을 추출하여 제조한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탈모방지 효과가 우수하고,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향료로 인한 심리적 효과를 증진시킴과 동시에 헤어케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를 구성하는 부속기관의 하나인 모발(毛髮, hair)은 인체 피부의 전체에 걸쳐 분포하고 있으며, 상피조직을 작은 찰과상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고, 외부로부터의 자극을 전달하며, 피부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모발에 인접한 아포크린 땀 샘(apocrine sweat gland)에서 분비되는 땀의 증발을 빠르게 하여 체온을 조절하는 등의 중요한 기능을 갖는다. 특히 두피 모발(scalp hair)은 인체 모발의 약 20%를 차지하는데, 모발의 생리적 기능과 함께 두부의 완충작용으로 두부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뿐 아니라 성별, 연령 및 지위에 따른 개인의 개성과 긍정적인 이미지를 부여하는 등의 사회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갖는다(Cash TF, Price VH, Savin RC. Psychological effects of androgenetic alopecia on women; comparisons with balding men and with female control subjects. J Am Acad Dermatol. 1993;29(4)568-575).
모발은 모낭(hair follicles)에서 형성되는데 성인의 모낭은 약 5백만 개로 사람의 피부 중 손바닥과 발바닥을 제외한 전신에 걸쳐 분포하고 있고, 두부에 약 1백만 개가 존재하며, 이 중 십만 개가 두피에 존재한다. 사람의 모발 주기는 모발을 성장시키는 성장기(anagen), 성장을 종료하고 모구부가 축소하는 시기인 퇴화기(catagen), 모유두가 활동을 멈추고 모발을 두피에 머무르게 하는 시기인 휴지기(telogen), 모두유가 활동을 시작하거나 새로운 모발을 발생시켜 오래된 모발을 탈모 시키는 시기인 활동기로 나눌 수 있다. 모발은 성장기, 퇴화기 및 휴지기의 성장주기를 반복하는데, 성인의 경우 두피모발의 성장기는 약 2~6년, 퇴화기는 약 2~3주, 휴지기는 약 2~3개월이다. 정상적인 두피에서 90~95%는 성장기에 있고 1% 미만은 퇴화기에 있으며, 5~10%는 휴지기에 있는데, 매일 100개 이상의 모발이 휴지기에 접어들고 같은 수의 모낭은 다시 성장기로 들어간다(Price VH. Treatment of hair loss. N Engl J Med. 1999;341(13):964-973). 따라서 정상적인 성인은 매일 100개 이상의 모발이 탈락되고 새로 생성되는데, 모발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탈락되거나 재생되지 않는 현상을 탈모(脫毛, alopecia)라 한다. 탈모는 과거에는 주로 성인 남성에게서 많이 나타는 증상이었으나 퇴근에는 식습관의 변화와 같은 환경적인 변화로 인하여 여성과 낮은 연령대로 확대되어 많은 환자수를 보이고 있다.
탈모는 발병기작(pathogenetic mechanism)에 따라 모발 결손(hair shaft defects), 휴지기 탈모(telogen effluvium), 성장기 정지(anagen arrest), 모낭 파괴(destruction of hair follicles) 및 모낭 축소(miniaturization of hair follicle)의 다섯 가지로 분류된다(Liran Horev. Environmental and cosmetic factors in hair loss and destruction. Curr Probl Dermatol. 2007;35:103-117).
탈모는 주로 국소감염(local infection), 내분비장애(hormonal disorder), 영양결핍(nutritional deficiency), 약물중독(drug intoxication) 중금속 중독(heavy metal poisoning), 자가면역(autoimmunity), 유전적 소인(inherited tendency) 또는 외적인 자극(external stimuli)에 의해 발생하며 정신적인 외상과 정서적 압박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riedman PS. Alopecia areata and auto-immunity. BR J Deramtol. 1981;105(2):153-157). 또한 최근에는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과거보다 잦아진 염색과 퍼머 및 헤어스타일링 등의 제품의 사용이 증가함에 의한 모발손상과 탈모환자도 증가하고 있다.
탈모는 사람에게 정서적 및 정신적으로 영향을 미치는데 주로 자부심 감소, 정신적 고통, 부끄러움 및 사회적 부족감 등의 정신적으로 해로운 영향과 유의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특히 여성에게서 보다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Rushton DH. Norris MJ, Dover R, Busuttil N. Causes of hair loss and the developments in hair rejuvenation. Int J Cosmet Sci. 2002;24(1):17-23). 탈모증이 삶의 질(QOL, quality of life)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는 탈모증을 갖는 환자 중 88%가 부정적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75%와 50%가 자부심과 사회적 문제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Van Der Donk J, Hunfeld JA, Passchier J, Kneqt-Junk KJ, Nieboer C. Quality of life and maladjustment associated with hair loss in women with alopecia androgenetica. Soc Sci Med. 1994;38(1):159-163). 또한, 일부 탈모 환자의 경우 탈모에 의한 스트레스는 다른 중증의 만성 또는 사망에 이르게 하는 질환과 같은 정도의 스트레스에 도달할 수도 있다고 보고하였다(de Koning EB, Passchier J, Dekker FW. Psychological problems with hair loss in general practice and the treatment policies of general practitioners. Psychol Rep. 1990;67(3 Pt 1):775-778). 이에 따라 서양의학 및 동양의학 모두에서 탈모의 원인을 분석하고 치료하기 위한 연구 및 개발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서양의학에서의 탈모의 원인은 유전에 의한 요인, 남성호르몬에 의한 기전, 탈모가 쉽게 올 수 있는 체질유전, 탈모를 유발시킬 수 있는 생활습관, 스트레스 등의 원인으로 본다. 또한, 동양의학에서 탈모의 원인은 내인(內因)과 외인(外因)으로 구별되며 내인은 신허(腎虛), 폐기허(肺氣虛), 혈열(血熱), 기혈허(氣血虛), 혈허(血虛), 어혈(瘀血), 칠정(七情) 등이 있고, 외인은 풍사(風邪), 풍열(風熱), 습열(濕熱), 오미상(五味傷), 풍(風), 화(火) 등을 원인으로 본다.
탈모의 치료방법으로 서양의학에서는 현재 경피 도포제로서 미녹시딜(Minoxidil®, minoxidil)과 경구 복용제로서 프로페시아(Propecia®, finasteride)가 FDA 승인을 받은 유일한 의약품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Mounsey AL, Reed SW. Diagnosing and treating hair loss. Am Fam Physician. 2009;80(4):356-62). 하지만 임상사례로부터 미녹시딜에서 체중 증가, 부종, 심장박동 증가, 협심증, 피부염 및 소양증 등과, 프로페시아에서 남성 성기능 장애 및 기형아 출산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사용이 제한적이거나 또는 환자들의 자발적인 기피현상을 갖는 문제점이 있다(Hagemann T, Schlutter-Bohmer B, Allam JP, Bieber T, Novak N. Posotove lymphocyte transformation test in patient with allergic contact dermatitis of the scalp after short-term use of topical minoxidil solution. Contact Dermatitis. 2005;53(1):53-55).
반면 탈모 관리에 대한 관심은 더욱 증대되어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아로마 테라피(aroma therapy), 마사지 요법, 식물성 호르몬 대체요법, 한방 치료법, 메조 테라피(meso therapy) 및 레이저치료법 등의 대체요법(complementary therapy)을 통한 다양한 접근이 시도되고 있으나 치료 효과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가 부족하고 임상효과가 기대에 못 미치는 한계점을 안고 있다(Lee JH, Alternative therapy of scalp hair loss care. J cosmetics & Public Health 2009;5(1):19-23).
이에 동양의학에서는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고 생체에 안전한 한방 탈모 예방 및 개선 제품인 샴푸, 스케일링제, 발모 촉진 토닉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 연구의 효력을 인정받으면서 다양한 탈모 관련 한방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접근성 및 보편성에서 이점이 있는 한방 샴푸는 헤어 제품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제품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0926호에는 두피 및 모발에 있어 여러 가지 유용한 효과를 발휘하는 당귀, 보골지, 측백엽, 한련초, 구기자, 복분자, 상백피, 숙지황, 여정실, 적하수오, 흑지마, 고삼, 백지, 익모초, 단삼, 도인, 몰약, 감국, 유향, 인삼, 천궁, 합환피 및 현호색을 혼합 추출한 생약재추출물의 가수분해효소 발효배양물 및 유기용매 분획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생약재 추출물의 정제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련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3807호에는 측백엽, 인삼, 하수오, 당귀, 한련초, 검정콩, 석창포, 지골피, 표고버섯, 맥문동 및 구기자의 혼합물을 추출하여 제조되는 추출물 또는 측백엽, 인삼, 하수오, 당귀, 고삼, 천궁, 상백피, 어성초, 감초, 표고버섯, 맥문동 및 구기자의 혼합물을 추출하여 제조되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에 관련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아울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7531호에는 당약 추출물, 당귀 추출물, 작약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쑥 추출물 및 검정콩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에 관련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이 한방 생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모발 강화 효과가 뛰어난 조성물과 관련해서는 다수의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나, 천연 한방 소재인 구기자, 산수유, 석창포, 숙지황, 오가피, 월견자 및 의이인을 혼합한 한약재 혼합물을 함유하여 헤어케어 기능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사용 선호도나 심리적 안정감 등 부가적인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천연 방향 성분과 같은 아로마 오일을 함께 함유하고 있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092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380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7531호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필요한 기술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구기자, 산수유, 석창포, 숙지황, 오가피, 월견자 및 의이인을 혼합한 한약재 혼합물을 추출하여 제조한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탈모방지 효과가 우수하고,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향료로 인한 심리적 효과를 증진시킴과 동시에 헤어케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본 발명은 구기자, 산수유, 석창포, 숙지황, 오가피, 월견자 및 의이인을 혼합한 한약재 혼합물을 추출하여 제조한 혼합 한약재 추출물과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기 혼합 한약재 추출물은 구기자 10 내지 20중량%, 산수유 10 내지 20중량%, 석창포 10 내지 20중량%, 숙지황 10 내지 20중량%, 오가피 10 내지 20중량%, 월견자 10 내지 20중량% 및 의이인 10 내지 2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한약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에서 제조된 한약재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에탄올 5 내지 50중량%와 증류수 50 내지 95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추출용매를 500 내지 100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는 추출용매첨가단계; 상기 추출용매첨가단계에서 추출용매가 첨가된 한약재 혼합물을 6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 내지 8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추출단계; 및 상기 추출단계에서 수득된 추출물을 여과하여 액상의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분리하는 여과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오일은 베르가못, 네롤리, 쟈스민, 일랑일랑, 로즈우드, 페티그레인, 그레이프프룻, 스윗오렌지, 레몬, 프랑켄센스, 멜리사, 라벤더, 시더우드, 로즈메리 및 샌달우드로 구성된 오일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해 혼합 한약재 추출물이 0.001 내지 2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고, 아로마 오일이 0.0001 내지 2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팩,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분말, 젤, 포마드, 에멀젼, 오일, 왁스 및 에어로졸 중 어느 1종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혼합 한약재 추출물과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구기자, 산수유, 석창포, 숙지황, 오가피, 월견자 및 의이인을 혼합한 한약재 혼합물을 추출하여 제조한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탈모방지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향료로 인한 심리적 효과를 증진시킴과 동시에 헤어케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공정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 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extract)"은 추출 대상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물,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상기 통상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이하,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이라고도 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구기자, 산수유, 석창포, 숙지황, 오가피, 월견자 및 의이인을 혼합한 한약재 혼합물을 추출하여 제조한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탈모방지 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기대되며, 혼합 한약재 추출물 이외에도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에 따라 탈모방지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료로 인한 심리적 효과를 증진시킴과 동시에 헤어케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증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구기자, 산수유, 석창포, 숙지황, 오가피, 월견자 및 의이인을 혼합한 한약재 혼합물을 추출하여 제조한 혼합 한약재 추출물과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기자는 비타민C, 베타카로틴, 베타인(알칼로이드계 비휘발성 피톤치드), 플라보노이드(비휘발성 피톤치드), 제아잔틴, 카로틴, 루틴, 타닌, 베타시토스테롤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기자는 모발을 자라나게 하는 육모제 분야의 특허 주요 소재로 각광받고 있으며, 베타인 및 플라보노이드 등 비휘발성 피톤치드 성분이 함유되어 항산화에 유익한 장점이 있음이 알려져 있고, 신진대사를 촉진시킬 수 있어 인체에 수분공급이 원활해지게 함에 따라 탈모 및 기미의 제거 등 미용에도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
산수유는 로가닌, 코르닌, 모로니사이드, 칼슘, 타닌(비휘발성 피톤치드), 비타민A, 비타민C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산수유는 두피의 혈액순환을 촉진함에 따라 모발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의 충분한 공급을 통해 모발 성장 효과가 뛰어나 탈모 개선 효과가 있으며, 양모제로는 미녹시딜보다 모발의 생장 효과가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산수유에 포함된 코르닌, 사포닌 성분이 호르몬 대사 기능저하로 인한 갱년기 증상의 개선 및 완화에 효과가 있으며, 피톤치드 성분인 타닌(비휘발성)을 함유하고 있음에 따라 항산화를 통한 세포 보호에 유익한 장점이 있다.
석창포는 아사론, 유게놀, 타닌(비휘발성 피톤치드), 알파핀넨(휘발성 피톤치드)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석창포는 아사론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항균 성분이 발현됨에 따라 두피의 비듬균과 피부병의 치료(여드름, 무좀, 습진, 옴, 아토피성균 등)에 유익한 장점이 있으며, 유익한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고 해로운 콜레스테롤은 저하시키는 작용을 통해 두피의 혈류상태를 개선하여 육모 및 발모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숙지황은 베타시토스테롤, 만니톨, 플라보노이드(비휘발성 피톤치드), 카로티노이드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숙지황은 풍부하게 함유된 카로티노이드 성분이 노화 촉진의 요인인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세포의 재생을 촉진하는 뛰어난 항산화작용을 함에 따라 노화방지에 효과적이며, 알칼로이드 및 플라보노이드 등 비휘발성 피톤치드를 함유하여 생체의 항염 효과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만니톨 성분을 통해 체내의 독소 및 나트륨, 각종 유해물질을 체외로 배출시켜주는 해독작용에 우수한 효과가 발현되며, 구기자와 함께 육모 및 발모제로서의 효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오가피는 아칸토사이드, 엘레우테로사이드, 세사민, 이노시톨, 하이페린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오가피는 이노시톨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탈모방지와 당뇨성 합병증으로 인한 시력저하를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하이페린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염증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체내에 유입된 화학 물질의 독성 해소 효과가 우수하며, 혈액의 콜레스테롤 수치 및 혈당치를 낮추는 등 신체의 기능에 활력을 부여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피부면역력을 강화하여 보습, 항염, 항알러지, 여드름 등의 피부질환 개선과 세포재생 및 피부노화 예방에도 우수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월견자는 오일을 추출하여 피부노화나 미백 및 아토피성 피부염에 사용되고 있고, 불포화 오메가지방산인 감마리놀렌산이 7~10%, 리놀산이 65~75%, 그 외에 올레익산과 팔미틱산 같은 성분들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항산화를 비롯한 항암, 항고혈압 및 항염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의이인은 고단백, 고지방의 곡류이고 전분의 대부분이 아밀로펙틴으로 되어 있으며 섬유소뿐만 아니라 칼슘, 철, 비타민B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건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혈장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함량을 저하시키고 조직과 혈장 간의 콜레스테롤 재분배를 담당하는 고밀도 콜레스테롤 함량을 증가시켜 전체적인 지질대사에 관여하여 비만, 당뇨병, 고혈압 등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구기자, 산수유, 석창포, 숙지황, 오가피, 월견자 및 의이인을 혼합한 한약재 혼합물을 추출하여 제조한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탈모방지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은 혼합단계(S100), 추출용매첨가단계(S200), 추출단계(S300) 및 여과단계(S400)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혼합단계(S100)에서는 구기자 10 내지 20중량%, 산수유 10 내지 20중량%, 석창포 10 내지 20중량%, 숙지황 10 내지 20중량%, 오가피 10 내지 20중량%, 월견자 10 내지 20중량% 및 의이인 10 내지 2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한약재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의 조성비로 구기자, 산수유, 석창포, 숙지황, 오가피, 월견자 및 의이인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각각의 단독 한약재 추출물 대비 한약재 혼합물을 추출하여 제조한 혼합 한약재 추출물의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증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추출용매첨가단계(S200)에서는 상기 혼합단계(S100)에서 제조된 한약재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에탄올 5 내지 50중량%와 증류수 50 내지 95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추출용매를 500 내지 100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단계(S300)에서는 상기 추출용매첨가단계(S200)에서 추출용매가 첨가된 한약재 혼합물을 6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 내지 8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한약재 혼합물을 60℃ 미만의 온도에서 추출하는 경우에는 한약재 혼합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이 효과적으로 추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며, 10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추출하는 경우에는 고온으로 인하여 한약재 혼합물에 포함된 약재 성분에 변형이 생길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한약재 혼합물을 2시간 미만의 시간 동안 추출하는 경우에는 한약재 혼합물이 제대로 추출되지 않아서 추출물의 약학적 기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며, 8시간을 초과하는 시간 동안 추출하는 경우에는 시간대비 얻을 수 있는 추출물의 수득률이 떨어서 추출효율성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여과단계(S400)에서는 상기 추출단계에서 수득된 추출물을 여과하여 액상의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혼합 한약재 추출물 이외에도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향료로 인한 심리적 효과를 증진시킴과 동시에 헤어케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로마 오일은 베르가못, 네롤리, 쟈스민, 일랑일랑, 로즈우드, 페티그레인, 그레이프프룻, 스윗오렌지, 레몬, 프랑켄센스, 멜리사, 라벤더, 시더우드, 로즈메리 및 샌달우드로 구성된 오일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해 혼합 한약재 추출물이 0.001 내지 2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고, 아로마 오일이 0.0001 내지 2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혼합 한약재 추출물은 상기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해 0.001 내지 2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이 0.001 중량% 미만의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한약재에 포함된 탈모방지 관련 유효성분의 함유량이 낮아지게 되어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한 탈모 방지 효과가 저감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며, 20중량%를 초과하는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탈모 방지 효과는 더이상 증진되지 않으나 혼합 한약재 추출물이 추가로 사용됨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고 한약재 특유의 강한 향이 다량 발현되게 되어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저감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아로마 오일은 상기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해 0.0001 내지 2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아로마 오일이 0.0001중량% 미만의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에서 아로마 오일의 향이 제대로 발현되지 않아 향료로 인한 심리적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며, 2중량%를 초과하는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아로마 오일의 향이 너무 과도하게 발현되어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된 제품에 대한 일부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저감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한약재 추출물과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팩,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분말, 젤, 포마드, 에멀젼, 오일, 왁스 및 에어로졸 중 어느 1종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팩,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분말, 젤, 포마드, 에멀젼, 오일, 왁스, 에어로졸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체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개발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로 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해 혼합 한약재 추출물이 1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고, 아로마 오일이 0.0005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뒤, 탈모방지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완화와 같은 심리적 안정 효과가 우수한 헤어샴푸 제형의 제품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 한약재 추출물은 구기자 14.3중량%, 산수유 14.3중량%, 석창포 14.3중량%, 숙지황 14.3중량%, 오가피 14.3중량%, 월견자 14.3중량% 및 의이인 14.2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한약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단계(S100); 한약재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에탄올 30중량%와 증류수 70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추출용매를 80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는 추출용매첨가단계(S200); 추출용매가 첨가된 한약재 혼합물을 80℃의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추출단계(S300); 및 추출물을 여과하여 액상의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분리하는 여과단계(S400);를 거쳐 제조한뒤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아로마 오일은 베르가못, 네롤리, 멜리사 및 라벤더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해 혼합 한약재 추출물이 1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고, 아로마 오일이 0.0005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뒤, 탈모방지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로회복과 같은 신체적 효과가 우수한 헤어샴푸 제형의 제품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 한약재 추출물은 구기자 14.3중량%, 산수유 14.3중량%, 석창포 14.3중량%, 숙지황 14.3중량%, 오가피 14.3중량%, 월견자 14.3중량% 및 의이인 14.2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한약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단계(S100); 한약재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에탄올 30중량%와 증류수 70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추출용매를 80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는 추출용매첨가단계(S200); 추출용매가 첨가된 한약재 혼합물을 80℃의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추출단계(S300); 및 추출물을 여과하여 액상의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분리하는 여과단계(S400);를 거쳐 제조한뒤 사용하였다. 또한, 아로마 오일은 베르가못, 레몬, 라벤더 및 샌달우드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상,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또한, 청구범위의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구기자, 산수유, 석창포, 숙지황, 오가피, 월견자 및 의이인을 혼합한 한약재 혼합물을 추출하여 제조한 혼합 한약재 추출물과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 한약재 추출물은,
    구기자 10 내지 20중량%, 산수유 10 내지 20중량%, 석창포 10 내지 20중량%, 숙지황 10 내지 20중량%, 오가피 10 내지 20중량%, 월견자 10 내지 20중량% 및 의이인 10 내지 2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한약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에서 제조된 한약재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에탄올 5 내지 50중량%와 증류수 50 내지 95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추출용매를 500 내지 100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는 추출용매첨가단계;
    상기 추출용매첨가단계에서 추출용매가 첨가된 한약재 혼합물을 6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 내지 8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추출단계; 및
    상기 추출단계에서 수득된 추출물을 여과하여 액상의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분리하는 여과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오일은,
    베르가못, 네롤리, 쟈스민, 일랑일랑, 로즈우드, 페티그레인, 그레이프프룻, 스윗오렌지, 레몬, 프랑켄센스, 멜리사, 라벤더, 시더우드, 로즈메리 및 샌달우드로 구성된 오일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해 혼합 한약재 추출물이 0.001 내지 2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고, 아로마 오일이 0.0001 내지 2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팩,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분말, 젤, 포마드, 에멀젼, 오일, 왁스 및 에어로졸 중 어느 1종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팩,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분말, 젤, 포마드, 에멀젼, 오일, 왁스 및 에어로졸 중 어느 1종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10530A 2021-01-26 2021-01-26 혼합 한약재 추출물과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KR102510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530A KR102510062B1 (ko) 2021-01-26 2021-01-26 혼합 한약재 추출물과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530A KR102510062B1 (ko) 2021-01-26 2021-01-26 혼합 한약재 추출물과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653A KR20220107653A (ko) 2022-08-02
KR102510062B1 true KR102510062B1 (ko) 2023-03-14

Family

ID=8284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530A KR102510062B1 (ko) 2021-01-26 2021-01-26 혼합 한약재 추출물과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0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199B1 (ko) * 2023-02-17 2023-05-03 주식회사 엘림홈앤라이프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059B1 (ko) 2010-10-21 2012-10-24 김상섭 한방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9610B1 (ko) 2020-04-17 2020-11-18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월견자 및 의이인 정유 혼합물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926B1 (ko) 2011-04-29 2012-06-29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생약재 추출물의 정제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787531B1 (ko) 2015-12-03 2017-11-15 이경록 생약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1835973B1 (ko) * 2016-05-18 2018-03-07 정소원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3807B1 (ko) 2016-07-08 2019-04-30 주식회사 에코바이오의학연구소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895548B1 (ko) * 2017-01-16 2018-09-06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모발흑화, 발모용 및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059B1 (ko) 2010-10-21 2012-10-24 김상섭 한방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9610B1 (ko) 2020-04-17 2020-11-18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월견자 및 의이인 정유 혼합물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블로그 https://blog.naver.com/nong-up/222070514047. [A-벤처스] 5가지 국산 한약재 넣은 헤어트리트먼트로 창업 1년차에 매출 6억원. 더농부, 2020.08.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653A (ko)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636B1 (ko) 천연물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194059B1 (ko) 한방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3052B1 (ko) 한방 샴푸 조성물
KR101017709B1 (ko) 인삼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비듬 생성 억제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61660B1 (ko)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KR101263181B1 (ko) 발모촉진 양모 및 탈모방지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샴푸
KR20090123856A (ko) 신규한 화장품 및/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들의 용도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8142A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311987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13600A (ko) 탈모 및 두피 관리용 조성물
KR20090012565A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510062B1 (ko) 혼합 한약재 추출물과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KR100664400B1 (ko) 탈모예방 및 양모(養毛) 조성물
KR102296279B1 (ko) 한방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977456B1 (ko) 모발의 육모를 촉진하고 탈모를 예방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87666B1 (ko) 지질 나노 입자로 안정화된 글루타치온 및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30275B1 (ko) 모발 세정제 조성물
US11351215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and stimulating hair-growth
CN105816663A (zh) 一种具有营养抗衰作用的中药组合物、面霜及其制备方法
KR950006061B1 (ko) 모발 생장 촉진 조성물
KR101382137B1 (ko) 히어리 및 얼레지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220087834A (ko) 병풀 추출물 및 울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