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199B1 -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199B1
KR102528199B1 KR1020230021434A KR20230021434A KR102528199B1 KR 102528199 B1 KR102528199 B1 KR 102528199B1 KR 1020230021434 A KR1020230021434 A KR 1020230021434A KR 20230021434 A KR20230021434 A KR 20230021434A KR 102528199 B1 KR102528199 B1 KR 102528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hair loss
pygeum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1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림홈앤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림홈앤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림홈앤라이프
Priority to KR1020230021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1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된 감초, 백작약, 산수유, 맥문동, 연근, 의이인, 생지환, 및 서목태를 각각 1~3 : 1~3 : 1~3 : 1~3 : 1~3 : 1~3 : 1~3 : 1~3의 중량비로 혼합한 제1 혼합약재 물 추출물; 및 피지움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혼합약재 물 추출물과 피지움 추출물을 8:2 내지 9: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and promoting hair growth}
본 발명은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탈모의 원인에 관하여서는 모근, 피지선 등의 기관에서 남성 호르몬의 작용설, 모낭(Hair follicle)의 혈류량 저하, 세균 번식이나 피지 분비 과다에 의한 두피 이상설, 유전적 요인 그리고 노화 등이 거론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탈모에 대한 명확한 원인은 규명되고 있지 않으며 최근 들어 오히려 탈모증으로 고민하는 사람이 점점 늘고 있으며 그 연령층도 낮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인체의 모발은 약 130만개 이상, 두발은 10만개 이상이며 이들 모발은 생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휴지기(telogen)의 3단계 주기를 거치며 각 모발은 독립적인 주기로 활동하며 진행된다. 탈모는 머리카락이나 털이 어떤 원인에 의하여 정상보다 적거나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크게 모발이 휴지기 상태에서 빠지는 일반적인 탈모 현상(휴지기 탈모, telogen effluvium)과 비정상적인 탈모 현상인 생장기 탈모 현상(anagen effluvium)으로 구별할 수 있는 데, 후자를 일반적으로 탈모라 일컫는다. 탈모(또는 탈모 질환)는 형태, 증상 또는 원인 등에 따라, 원형 탈모증(Alopecia Areata), 유전성 안드로겐 탈모증(Androgenetic Alopecia), 휴지기 탈모증(Telogen Effluvium), 외상성, 발모벽(Trichoti lomania), 압박성(Pressure Alopecia)등의 생장기 탈모증, 비강성, 매독성(Alopecia syphlltiac), 지루 탈모증(Alopecia seborrhecia), 증후성, 반흔성, 선천성 탈모증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탈모증의 치료법에 관해서도 아직까지 뚜렷한 효과를 지닌 것은 없으며, 동의보감에서는 신응양진단 등 탈모에 관계되는 몇몇 복용하는 처방들이 있고, 호마유(참깨) 등을 탈모 부위에 마사지한다든지, 특정 한약처방을 주침(酒沈)해서 바르는 방법과 특정 혈위를 자극하는 방법 등이 있지만 효과에 있어서는 개인적 차이가 많다고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신약 소재는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고 있다.
또한, 종래의 탈모증 치료방법으로는, 호르몬설과 관련하여 여성 호르몬을 주재로 한 제제가 있으나 효과뿐 아니라 피부 염증 발생, 호르몬 투여에 의한 부작용 발생 등의 보고가 있어 현재는 사용이 중단되고 있다. 발모제로서 미국 업존사의 미녹시딜(minoxidil), 이태리 크리노스(Crinos, Co.)사의 트리코사카라이드 (trichosaccharide)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뚜렷한 효과의 부재 및 부작용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머크사에서 개발한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는 모낭에서 남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 대사에 작용하는 효소인 5-α-리덕테이즈(5-α-reductase)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물질로 알려져 있으나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 또한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 외에도 크레시나와 로게인이 있지만, 탈모 질환이 완전히 진행되기 전인 정상 두피에 모근이 살아있는 경우에만 사용된다. 이처럼 종래의 여러 종류의 발모제는 일반적으로 두피의 혈행 촉진과 모근의 영양공급을 목적으로 하여 모발의 성장에 도움을 주도록 하는 방법이 시도되었으나 이 역시 독성과 부작용이 심하고 그 효과 또한 미흡한 것이 현재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96919호
본 발명은 탈모증상개선에 효과가 우수하며 부작용으로부터 자유로운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조된 감초, 백작약, 산수유, 맥문동, 연근, 의이인, 생지환, 및 서목태를 각각 1~3 : 1~3 : 1~3 : 1~3 : 1~3 : 1~3 : 1~3 : 1~3의 중량비로 혼합한 제1 혼합약재 물 추출물; 및 피지움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혼합약재 물 추출물과 피지움 추출물을 8:2 내지 9: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은 우수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건조된 감초, 백작약, 산수유, 맥문동, 연근, 의이인, 생지환, 및 서목태를 각각 1~3 : 1~3 : 1~3 : 1~3 : 1~3 : 1~3 : 1~3 : 1~3의 중량비로 혼합한 제1 혼합약재 물 추출물; 및 피지움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혼합약재 물 추출물과 피지움 추출물을 8:2 내지 9: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감초는 모유두세포증식, 5α-reductase 저해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백작약은 모발성장촉진, 5α-reductase typeⅡ 억제, 및 항산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산수유는 모유두세포증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피지움은 5α-reductase 저해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으로 사용된다.
상기 피지움(Pygeum, 학명 : Prunus africana)은 아프리카 자두나무(Pyrus africanum, Prunus africana) 껍질에서 추출되는 추출물이며 정확한 명칭은 피지움 아프리카눔(Pygeum Africanum)이다.
상기 피지움 추출물은 피지움(Prunus africana)의 껍질을 C1 ~ C10의 탄화수소, C1 ~ C10의 케톤류, C1 ~ C10의 에테르류, C1 ~ C10의 에스테르류, C1 ~ C10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등), C1 ~ C10의 알콜류 등과 같은 유기 용매나 물, 혼합 유기 용매, 물과 유기용매의 혼합물, 이산화탄소와 같은 초임계 유체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으며, 지표성분으로 베타시스테롤을 함유한다.
상기 피지움 추출물은 직접 추출하여 사용하거나,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맥문동은 발모촉진, 염증사이토카인 감소, 및 항산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연근은 두피열 감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이의인은 모유두세포증식 및 5α-reductase 저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생지환은 두피열 감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서목태는 비듬완화, 두피개선, 및 모발량 및 직경 증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상기 제1 혼합약재 물 추출물과 피지움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건조된 욱리인, 갈매보리수나무 열매, 돌미나리, 자바 강황(Jaba Tumaric), 가지, 흰민들레, 한삼, 및 아스파라거스를 각각 1~3 : 1~3 : 1~3 : 1~3 : 1~3 : 1~3 : 1~3 : 1~3의 중량비로 혼합한 제2 혼합약재 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혼합약재 물 추출물은 모유두세포증식, 5α-reductase 저해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크게 향상시키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갈매보리수나무는 히말라야, 중국, 러시아, 북미, 인도 및 추운 사막 지역에서 자라지만 적응성이 뛰어나 고도, 고온에서도 자랄 수 있는 식물로, 비타민C와 토코페롤이 풍부하여 항산화 효능을 보이기 때문에, 노화 방지는 물론 성인병을 예방하며, 피로 해소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자바 강황(Jaba Tumaric)은 강황의 일종으로 다른 강황보다 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황(Curcuma longa Linn)은 생강과(Zingiberaceae)의 강황속(Curcuma)으로 분류되는 다년생 식물이며,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로 인도, 중국,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재배되며 식용, 약용, 천연 염료로 사용되고 있다.
욱리인은 산앵도나무(Prunus japonica Thunb var Nakai), 풀또기(P. triloba var truncata Kom), 앵도나무(P.tomentosa Thunb), 산이스라지나무(P. ishidoyana Nakai)의 종자로서, 변비 치료 작용이 있으며, 변비, 특히, 노인성, 산후 변비에 효과가 있고, 이뇨작용을 하여 붓기를 가라앉히고, 배에 복수가 찼을 때 물을 빼주는 역할을 하며, 기운을 내리고 소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욱리인은 아미그달린(amygdalin), 지방유, 올레인산(oleic acid) 등의 성분을 다량 포함하여 섭취 즉시 혈액순환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혼합약재 물 추출물 및 피지움 추출물, 및 제2 혼합약재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상기 제1 혼합약재 물 추출물과 피지움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갯장대 에탄올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코와 잎 에탄올 추출물의 혼합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추출물에서 갯장대 에탄올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코와 잎 에탄올 추출물은 6:4 내지 4:6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갯장대 에탄올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코와 잎 에탄올 추출물의 혼합추출물은 모유두세포증식 및 5α-reductase 저해효과를 크게 향상시키며, 이에 따라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도 크게 향상시킨다.
상기 갯장대(Arabis stelleri DC.)는 제주도, 울릉도, 독도 등의 바닷가에서 자라는 2년생초본으로 완만한 사면을 따라 자란다.
상기 가르시니아 코와(Garcinia cowa Roxb.)는 동남아지역 자생하는 열대식물로 열매의 껍질에는 체내 지방 생성을 억제해 체중감량을 유도하거나 뇌에서 세로토닌 분비를 증가시켜 식욕을 억제하는 기능 성분(HCA; hydroxycitric acid)이 들어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헤어토닉 또는 샴프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제조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제조예 1: 제1 혼합약재 물 추출물 제조
건조된 감초 500g, 백작약 500g, 산수유 500g, 맥문동 500g, 연근 500g, 의이인 500g, 생지환 500g, 및 서목태 500g을 물 10 리터에 혼합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90~11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용액을 부직포 여과지를 이용하여 1차 여과한 뒤, 1차 여과액을 규조토필터를 사용하여 침전물이 생기지 않도록 2차 여과하였다.
회수한 2차 여과액을 농축기를 이용하여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제1 혼합약재 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제2 혼합약재 물 추출물 제조
건조된 욱리인 500g, 갈매보리수나무 열매 500g, 돌미나리 500g, 자바 강황(Jaba Tumaric) 500g, 가지 500g, 흰민들레 500g, 한삼 500g, 및 아스파라거 500g을 물 10 리터에 혼합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90~11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용액을 부직포 여과지를 이용하여 1차 여과한 뒤, 1차 여과액을 규조토필터를 사용하여 침전물이 생기지 않도록 2차 여과하였다.
회수한 2차 여과액을 농축기를 이용하여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제1 혼합약재 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3: 피지움 추출물 제조
피지움(Prunus africana)의 껍질을 세척한 후 분쇄하여 8배(w/v)에 해당하는 메칠렌클로라이드에 투입하고 35℃에서 90시간 동안 추출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용액을 부직포 여과지를 이용하여 1차 여과한 뒤, 1차 여과액을 규조토필터를 사용하여 침전물이 생기지 않도록 2차 여과하였다.
회수한 2차 여과액을 농축기를 이용하여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제1 혼합약재 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4: 갯장대 에탄올 추출물 제조
갯장대(Arabis stelleri DC.) 줄기 및 잎을 세절하여 1 kg에 70 부피% 농도의 에탄올 10 리터를 혼합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60~80℃에서 교반속도 300rpm으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용액을 부직포 여과지를 이용하여 1차 여과한 뒤, 1차 여과액을 규조토필터를 사용하여 침전물이 생기지 않도록 2차 여과하였다.
회수한 2차 여과액을 농축기를 이용하여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갯장대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5: 가르시니아 코와 잎 에탄올 추출물 제조
가르시니아 코와(Garcinia cowa Roxb.) 잎을 세절하여 1 kg에 70 부피% 농도의 에탄올 10 리터를 혼합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60~80℃에서 교반속도 300rpm으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용액을 부직포 여과지를 이용하여 1차 여과한 뒤, 1차 여과액을 규조토필터를 사용하여 침전물이 생기지 않도록 2차 여과하였다.
회수한 2차 여과액을 농축기를 이용하여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가르시니아 코와 잎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제1 혼합약재 물 추출물과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피지움 추출물을 8.5:1 중량비로 혼합하여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에 포함된 제1 혼합약재 물 추출물과 피지움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제2 혼합약재 물 추출물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에 포함된 제1 혼합약재 물 추출물과 피지움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제조예 4에서 제조된 갯장대 에탄올 추출물 10 중량부 및 제조예 5에서 제조된 가르시니아 코와 잎 에탄올 추출물을 10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6: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을 포함하는 헤어토닉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헤어토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제 조성물 30
(실시예 1 제조)
30
(실시예 2 제조)
30
(실시예 3 제조)
레조시놀 0.1 0.1 0.1
멘톨 0.05 0.05 0.05
판테놀 0.2 0.2 0.2
살리실산 0.1 0.1 0.1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1 0.1 0.1
염산피리독신 0.1 0.1 0.1
피마자유 5.0 5.0 5.0
에탄올 10 10 10
정제수 100 중량%가 되게 하는 잔량 100 중량%가 되게 하는 잔량 100 중량%가 되게 하는 잔량
(단위: 중량%)
실험예 1: 갯장대 에탄올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코와 잎 에탄올 추출물의 안전성 확인
실험동물은 4주령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Central Lab animal, Seoul, Korea)를 환경이 조절된 사육실(기온 20℃, 습도 55%, 12시간 dark/light cycle)에서 펠렛형 고형사료(Jeil animal feed Co., Daejeon, Korea)로 2주간 사육하여 평균 체중이 200g 정도로 성장한 6주령의 쥐를 사용하여 상기 갯장대 에탄올 추출물(제조예 4 제조) 또는 가르시니아 코와 잎 에탄올 추출물(제조예 5 제조)의 독성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4주령의 쥐 각각 5 마리씩에게 상기 갯장대 에탄올 추출물(제조예 4 제조) 또는 가르시니아 코와 잎 에탄올 추출물(제조예 5 제조)을 1일 30mg씩을 펠렛형 고형사료(Jeil animal feed Co., Daejeon, Korea)와 함께 4주간 급여하면서 독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독성평가결과, 실험에 참여한 쥐 중 한 마리도 폐사하지 않고, 10마리 모두 4주간 건강을 유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5-알파-리덕타아제 억제 활성 실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조성물 시료의 5알파-리덕타아제의 활성 억제 효과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생후 7∼8주의 성숙한 수컷 스프라그-다우리 랫트(Sprague-Dawley Rat)를 디에틸에테르(diethylether)로 치사시킨 후 복부 전립선을 떼내어 결합조직을 제거하였다. 여기에 완충액[0.32M 수크로스(sucrose), 0.1mM 디티오트레이톨(dithiothreitol), 20mM 아세트산나트륨염(sodium acetate)]을 첨가하고 분쇄기로 잘게 자른 후 현탁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거즈로 여과한 여과액을 원심분리한 후 펠렛(pellet)을 취해 상기 완충액을 혼합하여 20~30㎎/㎖ 농도로 현탁하였다.
상기 현탁액의 일부를 취하여 0.02M 인산 완충액에 넣은 후, 동위 원소인 3 H 가 붙어있는 기질 테스토스테론과 함께 반응시켜 생성물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이때, 반응 용액은 1mM의 디티오트레이톨, 20mM의 인산염 완충액(pH 6.5), 50μM의 NADPH, [1,2,6,7-3H] 테스토스테론 0.1μCi/테스토스테론(1x10-7M)과 36㎍ 효소 현탁액을 첨가하여 전체 반응액을 565㎕가 되도록 조제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조성물을 10%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에 50 ㎍/ml의 농도로 녹여 한 반응당 10㎕로 가하고, 비교예 1로는 미녹시딜을 10μM 농도로 가하였다.
또한, 반응은 상기 준비한 효소 현탁액을 가하여 37℃에서 30분간 진행시킨 후, 600㎕의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생성물을 질소 가스를 통해 건조시켰다. 이를 50㎕의 에틸아세테이트로 녹인 후 전량을 실리카 플라스틱 시트 카이젤겔 60 F 254(Silica plastic sheet kieselgel 60 F 254 ) 상에 점적한 후 전개 용매인 에틸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cyclohexane)(1:1)을 사용하여 전개하였다. 실리카 플라스틱 시트를 자연상태에서 건조시킨 후, 동위원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바스(Bas, 후지필름, 일본) 시스템을 사용하였으며, 건조된 플라스틱 시트와 노출 필름을 함께 바스 카셋트에 넣어 1주일 동안 보관한 후에 필름에 노출된 테스토스테론과 생성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동위원소 양을 노출된 강도를 이용해 정량하였다. IC50값은 2번에 걸쳐 반복 수행하여 평균내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IC50
비교예 1(미녹시딜 10μM 처리) 2.5 ×10-5
실시예 1의 조성물(1군 식물성분 추출물) 2.1 ×10-5
실시예 2의 조성물(1군+2군 식물성분 추출물) 1.8 ×10-5
실시예 3의 조성물(1군+2군+3군 식물성분 추출물) 1.2 ×10-5
상기 표 2의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조성물 시료는 비교예 1의 조성물과 비교하여 현저한 5-알파-리덕타아제 억제 활성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실시예 3의 조성물은 더 우수한 5-알파-리덕타아제 억제 활성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사람 모유두세포 증식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조성물, 및 비교예 1의 시료가 사람 모유두세포(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의 세포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아래와 같이 사람 모유두세포(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 HHDPC)(Sciencell사, cat no 2400)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10% FBS(fetal bovine serum, Cambrex)가 포함된 전용배지인 MSC(Mesenchymal Stem Cell) 배지에 사람 모유두세포(Sciencell사, cat no 2400)를 0.5 × 104 cells이 되도록 하여 96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24 시간 동안, 37℃, 5% CO2 습윤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액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조성물 시료들을 50 ㎍/ml의 농도로 처리하여 72 시간 동안 배양한 후, 5 mg의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시약 20㎕를 상기 배양액에 넣고 37℃, 5% CO2 습윤 조건하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비교예 1로는 미녹시딜을 10μM 농도로 처리하였다.
배양 시, 살아있는 세포에는 보라색의 크리스탈이 형성된다. 4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DMSO 100를 넣어 10분 동안 쉐이킹 인큐베이터(shaking incubator)에서 크리스탈을 녹인 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성장 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결과를 대조군인 무처리군 대비 백분율로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증식률(%)
대조군(무처리군) 100
비교예 1(미녹시딜 10μM 처리) 127
실시예 1의 조성물(1군 식물성분 추출물) 132
실시예 2의 조성물(1군+2군 식물성분 추출물) 136
실시예 3의 조성물(1군+2군+3군 식물성분 추출물) 142
상기 표 3의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조성물 시료는 대조군 및 비교예 1의 조성물과 비교하여 현저한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실시예 3의 조성물은 더 우수하게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사람 각질형성세포(HaCaT cell) 증식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조성물 및 비교예 1의 시료(미녹시딜)가 사람 각질형성세포의 세포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각질형성세포(HaCaT cell)(Dr N E Fusenig (Heidelberg, Germany)을 사용하여,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배지는 10% FBS(fetal bovine serum, Cambrex)가 포함된 RPMI 배지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를 대조군인 무처리군 대비 백분율로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증식률(%)
대조군(무처리군) 100
비교예 1(미녹시딜 10μM 처리) 123
실시예 1의 조성물(1군 성분 추출물) 131
실시예 2의 조성물(1군+2군 성분 추출물) 135
실시예 3의 조성물(1군+2군+3군 성분 추출물) 141
상기 표 4의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조성물 시료는 대조군 및 비교예 1의 조성물과 비교하여 현저한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실시예 3의 조성물은 더 우수하게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4: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에 대한 임상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조성물을 물에 30 중량%의 농도로 녹여서 100 ml를 스프레이 용기에 넣어서 사용하였다. 비교예 1로는 미녹시딜 5% 액제를 구입하여 100 ml를 스프레이 용기에 넣어 사용하였다. 상기 시료를 1일 2회(아침, 저녁) 탈모증 환자(각 실험군 마다 30~50 대 남자 8명, 여자 2명)의 탈모부위의 두피에 스프레이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시험은 15주 동안 진행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증류수를 동일량으로 두피에 스프레이하였다.
상기 탈모증 환자는 병원을 처음 방문했을 때, 모발 상태를 진단하고, 탈모 부위를 표시 기록하고, 가장 심한 부위에 검은 점을 문신하여 측정 시마다 동일부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조치하였다. 그리고, simple hand-held phototricho gram(Folliscope,Lead M Co,Seoul, Korea)을 이용해 탈모부위의 단위면적당 모발수(모발 개수/㎠)를 측정하였다. 단위 면적당 모발 개수는 30배 렌즈를 이용하여 표시부분 주위 탈모 부위를 촬영후 단위면적 내 성모 모발(terminal hair)의 개수를 계산하였다.
상기 탈모증 환자들의 약물 투여전, 약물 투여후 일정 시점에서 측정된 모발수(모발 개수/㎠)의 변화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료 활성성분 측정시점
(각 10명의 피험자의 증가된 모발 개수 평균)
6주 12주 18주
대조군 증류수 -2 -4 -6
비교예 1 미녹시딜 5% 액제 2.5 5.6 8.3
실시예 1의 조성물(1군 성분 추출물) 실시예 1의 조성물(1군 식물성분 추출물) 2.8 6.1 9.4
실시예 2의 조성물(1군+2군 성분 추출물) 실시예 2의 조성물(1군+2군 식물성분 추출물) 3.2 6.6 10.3
실시예 3의 조성물(1군+2군+3군 성분 추출물) 실시예 3의 조성물(1군+2군+3군 식물성분 추출물) 4.5 8.1 12.1
상기 표 5의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조성물 시료는 대조군 및 비교예 1의 조성물과 비교하여 우수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실시예 3의 조성물은 더 우수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5)

  1. 건조된 감초, 백작약, 산수유, 맥문동, 연근, 의이인, 생지환, 및 서목태를 각각 1~3 : 1~3 : 1~3 : 1~3 : 1~3 : 1~3 : 1~3 : 1~3의 중량비로 혼합한 제1 혼합약재 물 추출물; 및 피지움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혼합약재 물 추출물과 피지움 껍질 추출물을 8:2 내지 9: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약재 물 추출물과 피지움 껍질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건조된 욱리인, 갈매보리수나무 열매, 돌미나리, 자바 강황(Jaba Tumaric), 가지, 흰민들레, 한삼, 및 아스파라거스를 각각 1~3 : 1~3 : 1~3 : 1~3 : 1~3 : 1~3 : 1~3 : 1~3의 중량비로 혼합한 제2 혼합약재 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약재 물 추출물과 피지움 껍질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갯장대 줄기 및 잎 에탄올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코와 잎 에탄올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지움 껍질 추출물은 피지움(Prunus africana)의 껍질을 C1 ~ C10의 탄화수소, C1 ~ C10의 케톤류, C1 ~ C10의 에테르류, C1 ~ C10의 에스테르류, C1 ~ C10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C1 ~ C10의 알콜류 및 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또는 이산화탄소 초임계 유체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헤어토닉 또는 샴프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0230021434A 2023-02-17 2023-02-17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528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1434A KR102528199B1 (ko) 2023-02-17 2023-02-17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1434A KR102528199B1 (ko) 2023-02-17 2023-02-17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199B1 true KR102528199B1 (ko) 2023-05-03

Family

ID=86380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1434A KR102528199B1 (ko) 2023-02-17 2023-02-17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19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8585A (ko) * 2010-10-14 2012-04-24 배정빈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용품 조성물
KR20180096919A (ko) 2017-02-22 2018-08-30 배승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22306A (ko) * 2018-04-20 2019-10-3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00137526A (ko) * 2019-05-30 2020-12-09 조애란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10038369A (ko) * 2019-09-30 2021-04-07 최은숙 한방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07653A (ko) * 2021-01-26 2022-08-02 주식회사 비쎌 혼합 한약재 추출물과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8585A (ko) * 2010-10-14 2012-04-24 배정빈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용품 조성물
KR20180096919A (ko) 2017-02-22 2018-08-30 배승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22306A (ko) * 2018-04-20 2019-10-3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00137526A (ko) * 2019-05-30 2020-12-09 조애란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10038369A (ko) * 2019-09-30 2021-04-07 최은숙 한방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07653A (ko) * 2021-01-26 2022-08-02 주식회사 비쎌 혼합 한약재 추출물과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7801B1 (ko) 수경재배 인삼 유래 진세노사이드 f2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28797B1 (ko)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132246B1 (ko) 진세노사이드 알지3와 알에이치2를 주성분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제
KR102021463B1 (ko) 진세노사이드 Rg3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62854B1 (ko) 복분자 뿌리의 활성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124132A (ko) 효소처리를 이용한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KR19990018331A (ko)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TWI620567B (zh) 含人參皂苷Rf的皮膚外用劑組合物
KR102528199B1 (ko)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90137328A (ko) 병아리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939112B1 (ko)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09533B1 (ko)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21764B1 (ko) 진세노사이드 Rh4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10083236A (ko) 탈모 방지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101939111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20084429A (ko)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KR20080011970A (ko) 푸에라리아 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020008268A (ko)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리덕타아제저해제
KR101155502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촉진용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2029979A (ja) ヒスタミンh2受容体拮抗剤及び皮膚外用剤
KR20190062157A (ko) 피지 조절 및 모공 축소용 조성물
KR101939113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TWI787173B (zh) 作為有效成分含有人參皂苷的化妝品組合物的用途
KR101793494B1 (ko) 금모구척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