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548B1 -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모발흑화, 발모용 및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모발흑화, 발모용 및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5548B1 KR101895548B1 KR1020170007311A KR20170007311A KR101895548B1 KR 101895548 B1 KR101895548 B1 KR 101895548B1 KR 1020170007311 A KR1020170007311 A KR 1020170007311A KR 20170007311 A KR20170007311 A KR 20170007311A KR 101895548 B1 KR101895548 B1 KR 1018955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hair
- mixed
- medicinal herb
- pharmaceutical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9—Polygalaceae (Milkwort fami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2—Acoraceae (Calamus family), e.g. sweetflag or Acorus calam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모발흑화, 발모용 및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탈모방지, 모발흑화 또는 발모효능이 우수하며, 전립선 비대증 치료에도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모발흑화, 발모용 및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혼합 한약재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탈모를 예방 또는 개선하여 발모를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혼합 한약재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백발 예방 및 모발의 흑화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혼합 한약재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탈모를 예방 또는 개선하여 발모를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혼합 한약재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백발 예방 및 모발의 흑화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모발흑화, 발모용 및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탈모방지, 모발흑화 또는 발모효능이 우수하며, 전립선 비대증 치료에도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모발흑화, 발모용 및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탈모는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두피의 성모(굵고 검은 머리털)가 빠지는 것을 의미한다. 성모는 색깔이 없고 굵기가 가는 연모와는 달리 빠질 경우 미용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서양인에 비해 모발밀도가 낮은 우리나라 사람의 경우 5만 내지 7만개 정도의 머리카락이 잇으며 하루에 약 50 내지 70개까지의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은 정상적인 현상이다. 따라서 자고 나서 머리를 감을 때 빠지는 머리카락의 수가 100개가 넘으면 병적인 원인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의사와 상담해 보는 것이 좋다.
현대인들은 풍성하고 건강한 모발을 간직하기 위해 많은 노력들을 투입하고 있으나, 현대인은 과도한 스트레스와 환경적 요인 및 식생활 요인 등으로 인해 풍성하고 건강한 모발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20대부터도 탈모가 진행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탈모를 예방하기 위한 처치에서부터 이미 진행한 탈모를 복원하기 위한 수술적 처치가지 다양한 방안들이 연구개발 되고 있으며, 실제 적용되고 있다.
현재, 발모제로 사용되고 있는 두피에 바르는 형태인 '미녹시딜'과 복용하는 형태인 '프로페시아'가 치료제로 쓰이고 있다. '미녹시딜'은 과거 혈관을 확장시키는 고혈압치료제로 개발되었으나 이마나 손등에 털이 나는 부작용을 계기로 탈모 치료제로 개발되었다. 미녹시딜의 작용 기전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이론적으로 두피의 혈관을 확장시키고, 세포막의 칼슘채널을 열어 산소, 혈액 및 영양분을 모낭으로 공급해 모발을 두껍게 해준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5년 미만의 탈모 증상이 나타난 사람에게 더욱 더 효과적이며 정수리 부분에서 발모 효과가 크다. 치료 초기에는 '쉐딩 (shedding)'이라 하는 모발 손실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나 이는 약에 대한 반응이 좋다는 것으로 사용을 지속적으로 하여도 된다. 그러나 극히 드물게 쉐딩현상 후 발모가 되지 않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미녹시딜을 도포한 부위에 발진, 염증, 가려움증 및 두피 외에 다른 부위의 체모가 자라는 부작용이 있다.
머크(Merck)사에서 판매되고 있는 '프로페시아 (Propecia)'의 성분은 '피나스테리드 (finasteride)'로 전립선비대증을 치료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나 복용 후 모발의 성장이 촉진된다는 점을 발견하여 탈모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테스토스테론 (testosterone)은 5α-리덕타제 (5α-reductase)에 의해서 탈모를 일으키는 가장 주요한 성분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dihydrotestosterone, DHT)으로 전환된다. 피나스테리드는 이러한 5α-리덕타제를 억제하여 탈모를 유발하는 DHT의 농도를 저하시킨다. 대표적인 부작용으로는 발기부전, 성욕 감퇴 등의 성기능 저하와 어지럼증, 두통, 부종 및 피부 발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복용 시 기형아 출산의 우려가 있어 여성에게 처방할 수 없다.
또한, 백발은 일반적으로 연령이 높아지면 발생하는 것으로, 노령이라는 느낌을 인상 깊게하고, 특히 젊은 나이에 있어서의 백발은 일반적으로 싫어한다. 그 때문에 백발을 감추기 위하여 백발 염색 등에 의해 발발을 검게 염색하는 염색제가 많이 연구되고, 또한 널리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흑발염색은 일시적인 방법으로 백발의 성장에 의해 다시 염색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산화형 흑발염색은 산화제 등의 사용에 의해 피부에 손상을 준다.
따라서, 화학약품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두피 및 인체에 미치는 부작용을 없애면서도 효율적으로 탈모방지 및 모발흑화가 가능한 약학조성물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혼합 한약재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들을 이용하여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탈모방지, 탈모예방, 발모에 효과가 있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혼합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들을 이용하여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모발흑화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혼합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들을 이용하여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혈액학적 독성이 나타나지 않아 부작용 없이 사용가능한 탈모방지, 탈모예방 및 발모에 효과가 있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모발흑화 또는 발모용 약학적 조성물은 구기자, 복령, 생지황, 숙지황, 산수유, 우슬, 원지, 오가피, 석창포 및 지골피를 포함하는 혼합 한약재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혼합 한약재는 상기 한약재 총 중량에 대하여 구기자 8 내지 12중량%, 복령 8 내지 12중량%, 생지황 8 내지 12중량%, 숙지황 8 내지 12중량%, 산수유 8 내지 12중량%, 우슬 8 내지 12중량%, 원지 8 내지 12중량%, 오가피 8 내지 12중량%, 석창포 8 내지 12중량%, 지골피 8 내지 12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모발흑화 또는 발모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구기자, 복령, 생지황, 숙지황, 산수유, 우슬, 원지, 오가피, 석창포 및 지골피를 혼합하는 한약재 혼합단계; 상기 혼합된 한약재에 에탄올과 증류수의 혼합액을 가하는 단계; 상기 에탄올과 증류수의 혼합액이 가해진 한약재를 25℃ 내지 100℃의 온도에서 2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하여 한약재 추출물을 수득하는 추출단계; 및 상기 한약재 추출물을 농축하여 여과하는 여과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탄올과 증류수의 혼합액은 에탄올 및 증류수가 5 : 95 내지 50 : 50의 비율일 수 있다.
상기 혼합된 한약재에 가하는 에탄올과 증류수의 혼합액은 상기 혼합된 한약재의 5 내지 10배일 수 있다.
상기 한약재 혼합단계에서 혼합되는 한약재는 상기 한약재 총 중량에 대하여, 구기자 8 내지 12중량%, 복령 8 내지 12중량%, 생지황 8 내지 12중량%, 숙지황 8 내지 12중량%, 산수유 8 내지 12중량%, 우슬 8 내지 12중량%, 원지 8 내지 12중량%, 오가피 8 내지 12중량%, 석창포 8 내지 12중량%, 지골피 8 내지 12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단계를 거친 한약재 추출물은 동결건조하는 동결건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탈모를 예방 또는 개선하여 발모를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백발로 변한 모발의 흑화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5-알파 레덕타아제 Ⅱ의 농도를 현저히 억제할 수 있어 전립선 비대증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혼합 한약재 추출물로부터 추출한 약학적 조성물을 도포하였을 때 육안으로 나타나는 모발성장 변화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2a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에 대한 모발밀도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2b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에 대한 모발굵기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에 의한 모발성장인자 IGF-1의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3b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에 의한 모발성장인자 VEGF의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a는 전립선에서의 5-알파 레덕타아제Ⅱ(5-alpha reductase Ⅱ)의 효소활성도 측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4b는 피부조직에서의 5-알파 레덕타아제 Ⅱ(5-alpha reductase Ⅱ)의 효소활성도 측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 도포에 의한 독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간기능 지표인 혈청 AST를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5b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 도포에 의한 독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간기능 지표인 혈청 ALT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은 혼합 한약재 추출물 처리에 의한 세포독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murine melanoma 세포종인 B16F10 세포를 사용하여 세포생존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a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 처리에 의한 세포내 멜라닌(melanin) 함량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내 멜라닌 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b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 처리 후 멜라닌 생성효소인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에서 유리되는 티로시나아제 활성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a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에 대한 모발밀도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2b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에 대한 모발굵기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에 의한 모발성장인자 IGF-1의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3b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에 의한 모발성장인자 VEGF의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a는 전립선에서의 5-알파 레덕타아제Ⅱ(5-alpha reductase Ⅱ)의 효소활성도 측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4b는 피부조직에서의 5-알파 레덕타아제 Ⅱ(5-alpha reductase Ⅱ)의 효소활성도 측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 도포에 의한 독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간기능 지표인 혈청 AST를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5b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 도포에 의한 독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간기능 지표인 혈청 ALT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은 혼합 한약재 추출물 처리에 의한 세포독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murine melanoma 세포종인 B16F10 세포를 사용하여 세포생존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a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 처리에 의한 세포내 멜라닌(melanin) 함량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내 멜라닌 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b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 처리 후 멜라닌 생성효소인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에서 유리되는 티로시나아제 활성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매체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구기자, 복령, 생지황, 숙지황, 산수유, 우슬, 원지, 오가피, 석창포 및 지골피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모발흑화 또는 발모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재료들은 상기 서술한 약재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약재의 종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약재를 더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 모발흑화 또는 발모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에 포함되는 재료는 상기 재료 총 중량에 대하여 구기자 8 내지 12중량%, 복령 8 내지 12중량%, 생지황 8 내지 12중량%, 숙지황 8 내지 12중량%, 산수유 8 내지 12중량%, 우슬 8 내지 12중량%, 원지 8 내지 12중량%, 오가피 8 내지 12중량%, 석창포 8 내지 12중량%, 지골피 8 내지 12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 모발흑화 또는 발모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구기자, 복령, 생지황, 숙지황, 산수유, 우슬, 원지, 오가피, 석창포 및 지골피를 혼합하는 한약재 혼합단계(S100), 상기 혼합된 한약재에 에탄올과 증류수의 혼합액을 가하는 단계(S200), 상기 에탄올과 증류수의 혼합액이 가해진 한약재를 25℃ 내지 100℃의 온도에서 2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하여 한약재 추출물을 수득하는 추출단계(S300), 상기 한약재 추출물을 농축하여 여과하는 여과단계(S400)를 포함한다.
한약재 혼합단계(S100)에서는 세척 및 건조한 한약재 구기자, 복령, 생지황, 숙지황, 산수유, 우슬, 원지, 오가피, 석창포 및 지골피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혼합되는 한약재는 상기 한약재 총 중량에 대하여, 구기자 8 내지 12중량%, 복령 8 내지 12중량%, 생지황 8 내지 12중량%, 숙지황 8 내지 12중량%, 산수유 8 내지 12중량%, 우슬 8 내지 12중량%, 원지 8 내지 12중량%, 오가피 8 내지 12중량%, 석창포 8 내지 12중량%, 지골피 8 내지 12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된 한약재에 50% 에탄올과 증류수의 혼합액을 가하는 단계(S200)에서는 50% 에탄올을 증류수와 혼합한 혼압액을 한약재에 가하는 단계이며, 상기 혼합된 한약재에 가하는 에탄올과 증류수의 혼합액은 상기 혼합된 한약재의 5 내지 1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탄올과 증류수의 혼합액은 에탄올 및 증류수가 5:95 내지 50:50의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탄올과 증류수의 혼합액이 가해진 한약재를 25℃ 내지 100℃의 온도에서 2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하여 한약재 추출물을 수득하는 추출단계(S300)를 수행한다. 상기 추출단계(S300)에서 한약재의 추출온도는 25℃ 내지 100℃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약재는 25℃에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한약재는 60℃ 내지 100℃에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온도가 60℃ 미만일 경우 추출시간이 지연되어 효율이 떨어지거나, 한약재의 추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추출온도가 100℃를 초과할 경우에는 고온으로 인하여 약재성분에 변형이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추출시간이 2시간 미만일 경우 한약재의 추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추출물의 약학적 기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시간이 10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시간대비 얻을 수 있는 추출액의 양이 떨어져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다.
상기 한약재 추출에 사용되는 혼합액은 에탄올, 증류수 이외에 메탄올, 프로판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탄올, 프로판올,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혼합액,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기자, 복령, 생지황, 숙지황, 산수유, 우슬, 원지, 오가피, 석창포 및 지골피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모발흑화 또는 발모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토닉, 크림, 로션, 스킨, 에센스, 샴푸, 린스, 스프레이, 피부외용제, 두피 또는 모발에 적용할 수 있는 크림 또는 연고타입의 염모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
실시예
: 혼합 한약재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생리활성>
[실험재료의 준비]
혼합 한약재 추출물은 구기자 50g, 복령 50g, 생지황 50g, 숙지황 50g, 산수유 50g, 우슬 50g, 원지 50g, 오가피 50g, 석창포 50g, 지골피 50g를 혼합하고, 10배량의 50% 에탄올과 증류수 혼합액을 가하여 100℃에서 10시간 추출한 후, 농축기로 농축하여 여과한 액을 동결건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마우스는 자발적 탈모가 진행되는 특징을 가지며 모발 성장주기 판정이 용이하여 모발연구에 널리 사용되는 C57BL/6 5주령 마우스를 효창사이언스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
실험군
선정 및 도포방법]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C57BL/6 발모 실험 모델용 마우스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사육하였다.
6주령의 수컷 C57BL/6 mouse를 (주)오리엔트바이오(성남, 한국)로부터 구입하여, 온도 23±3℃, 상대습도 50±10%, 12시간 조명 주기 조건하에서 식이와 식수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7일 간의 적응기간을 거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 계획 및 수행의 전 과정은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심의를 받은 후에 진행되었다.
마우스는 1주의 적응기간 후, 펜토바르비탈(Pentobarbital, 50 mg/kg, 엔토발, 한림제약)을 복강 주사하여 마취시킨 다음 이발기기(Panasonic, ER 1431 p, Japan)를 이용하여 피부에 손상이 가지 않게 주의하여 마우스 등 부위의 털을 1차적으로 제모 한 후, 피부 속에 남아 있는 모낭과 미세 털 제거를 위하여 2차적으로 제모제(니크린, 일동제약)를 발라 피부에 잘 흡수 되도록 5분정도 방치한 후 미지근한 물로 피부에 남아 있는 제모제를 제거하여 24시간 회복기를 거쳐 실험을 진행하였다. 제모한 배부 쪽 피부색이 분홍색(pink color)인 휴지기 체모의 6주령을 난괴법에 의해 Control군(99.9% 에탄올 60 ml, poly ethylene glycol 20 ml, D.W. 20 ml를 혼합한 vehicle액 도포군)과 양성대조군인 Minoxidil군 (vehicle액에 녹인 5% (male) Minoxidil (한미약품)도포군) 및 혼합한약재 추출물인 JSJ군(vehicle액에 녹인 15% JSJ 도포군)의 각각 3군으로 나누어 군당 6마리씩 총 18마리를 배정하였다. 약물 도포는 3주간동안 매일 오전 일정한 시간에 실험동물의 등 부위에 각각 200 ㎕ 씩 경피 도포하였다.
[통계처리]
실험성적의 통계적 유의성은 평균±표준편차로 표기하였고, 각 군간의 차이는 SPSS 21.0(SPSS Inc. USA)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ANOVA, LSD 검정으로 사후 검정을 실시하여 각 그룹당 6마리씩 평균값 및 표준편차를 구하여 유의성을 분석하였고, 전사량에 대한 band intensity정량은 L Process (Version 2.01, Fujifilm, Stamford, CT)와 Multi Gauge software (Version 2.02, Fujifilm)를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P<0.05 이하인 경우에 유의한 것으로 인정하였으며, 정상군과의 통계학적 유의성(P<0.05; *, P<0.01; **)을 도면에 표기하였다. 각각의 실험은 모두 적어도 3번 이상 실시하여 통계처리하였다.
<
실험예
1. 육안으로 측정한 모발성장 변화>
본 실험예 1에서는 혼합 한약재로부터 추출한 약학적 조성물이 모발성장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하였다. 상기 모발성장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 실험예 1에서는 상기 서술한 C57BL/6 수컷 마우스를 사용하였고, 제모된 마우스의 등 부위에 시료를 도포하여 그 변화를 5일 간격으로 디지털 카메라로 사진촬영 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은 혼합 한약재 로부터 추출한 약학적 조성물을 도포하였을 때 육안으로 나타나는 모발성장 변화를 촬영한 사진이다. 참고로, 도 1에서 CON은 비교예 1을, Min은 비교예 2를, JSJ는 실시예 1을 나타낸다.
본 실험예 1에서는 상기 ‘실험군 선정과 도포방법’에서 서술한 JSJ군을 실시예 1로, CON군을 비교예 1로, Min군을 비교예 2로 설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상기 ‘실험군 선정 및 도포방법’에서 서술하였듯이 발모효과를 보기 위하여 21일동안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2의 시료를 21일(3주)동안 도포하였으나, 15일 이후에는 자연적 발모가 일어나므로 관찰결과 데이터는 15일까지로 제한하였다.
도 1을 살펴보면, 제모 후 5일까지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모두에서 마우스 등 피부색이 푸른빛을 띄며 발모징후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모 후 10일째에는 등 피부의 발모가 관찰되기 시작했으며, 비교예 1에 비하여 실시예 1에서 발모가 고르게 나타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제모 후 15일째에는 실시예 1 및 양성대조군은 비교예 2와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도포 종료시점까지 도파하였을 때에도 피부 두드러기, 경화 및 발진 등의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모발흑화 또는 발모용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 부작용 없이도 우수한 발모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 혼합 한약재 추출물이 모발밀도 및
모발굵기에
미치는 영향>
본 실험예 2에서는 혼합 한약재로부터 추출한 약학적 조성물이 모발밀도 및 모발 굵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하였다. 상기 모발밀도 및 굵기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 실험예 2에서는 상기 서술한 C57RL/6 마우스를 사용하였고,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시료를 21일간 도포 후 희생하여 적출된 마우스 피부조직은 와트먼지(whatman paper)에 말리지 않도록 잘 펴서 붙인 후 폴리스코프(Folliscope, ver. 2.8, Lead M, Korea)를 이용하여 개체 당 2개부위의 털의 밀도와 굵기를 측정하여 단위면적 당 평균값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였다. 도 2a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에 대한 모발밀도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2b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에 대한 모발굵기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참고로, 도 2에서 CON은 비교예 1을, Min은 비교예 2를, JSJ는 실시예 1을 나타낸다. 실험예 2에서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실험조건은 상기 실험예 1에서의 실험조건과 동일하다.
도 2a 및 도 2b를 살펴보면, 비교예 1과 비교하였을 때 비교예 2 및 실시예 1 모두 유의하게 모발밀도 및 모발굵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성대조군인 비교예 2와 실시예 1의 모발밀도 및 모발굵기 변화 수준이 유사한 것으로 보아, 본 발명에 따른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모발흑화 또는 발모용 약학적 조성물은 모발의 밀도 및 굵기 증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3. 혼합 한약재 추출물에 의한 피부조직의 RNA 분리 및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
>
본 실험예 3에서는 혼합 한약재로부터 추출한 약학적 조성물이 피부조직에서 대표적 모발의 성장인자인 인슐린유사생장인자-1(insulin like growth factor(IGF)-1)와 혈관표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의 전사발현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였다. 도 3a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에 의한 모발성장인자 IGF-1의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3b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에 의한 모발성장인자 VEGF의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참고로, 도 3a 및 도 3b에서 CON은 비교예 1을, Min은 비교예 2를, JSJ는 실시예 1을 나타낸다. 또한, 실험예 3에서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실험조건은 상기 실험예 1에서의 실험조건과 동일하다.
본 실험예 3은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마우스는 상기 서술한 C57RL/6 마우스를 사용하였고, 제모된 마우스의 등 부위에 시료를 21일간 도포하여 실험하였으며, 도포종료 후 희생하여 채취한 피부조직에서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수행하였다. 시험 종료 후 채취한 피부조직에서 RNA를 분리하기 위하여 TRIzol(Invitrogen, Grand Island NY)을 첨가하여 조직을 마쇄하여 균질화 시킨 뒤 3,250×g, 4℃에서 10분동안 원심 분리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취해 클로로포름(chloroform) 100 ㎕을 첨가하여 3,250×g, 4 ℃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 한 후, 다시 상층액을 취하여 100 ㎕의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을 첨가한 후 10분간 3000×g, 4 ℃에서 원심 분리하여 RNA 펠릿(RNA pellet)을 얻었으며 75% 에탄올(Ethanol)로 2회 세척(washing) 하고 공기건조(air-dry) 후 디에틸피로카보네트(diethyl pyrocarbonate (DEPC))-treated water로 0.5~10ug/uL로 희석하여 RT product (template cDNA)에 2.5mmdNTP, 10X buffer, DEPC water, premixed primer (GenoTech, Korea) 및 Taq DNA polymerase를 넣고 Mastercycler gradient (Eppendorf, Hamburg, Germany)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상기 합성된 cDNA는 RNAse free water에 희석하여 사용하였고, 유전자발현 분석을 위해 QuantiTect SYBR Green PCR kit (QIAGEN, Germany)를 사용하였다. PCR 반응은 94 ℃에서 3분간 1cycle 반응 후 94 ℃ 45초, 59 ℃ 45초, 72 ℃ 45초간 38cycle 반응시켰으며, 72 ℃에서 10분간 extension을 시행한 후 반응을 완료시켰다. 증폭된 산물은 1.2% agarose gel에 전기영동 하여 Gel Doc. (Bio Lad, Italy)를 이용하여 DNA band를 확인하였다.
도 3a 및 도 3b를 살펴보면, 모발성장인자 IGF-1의 전사발현수준은 비교예 1에 비하여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도포한 실시예 1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모발성장인자 VEGF의 전사발현수준 역시 비교예 1에 비하여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도포한 실시예 1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양성대조군인 비교예 2와 실시예 1의 모발성장인자 IGF-1 및 VEGF의 전사발현수준이 유사한 것으로 보아, 본 발명에 따른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한 약학적 조성물은 모발성장촉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모발성장인자 IGF-1은 피부조직에서 모발의 기능적인 활동을 촉진시켜 모낭의 세포사를 저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인자이며, VEGF는 신생혈관 생성을 촉진하여 새로운 모발의 성장기로 유도하여 두피 및 모낭 세포분열에 관여하는 인자로서, 본 실험예 3에서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도포하였을 때, 상기 두 모발성장인자 IGF-1 및 VEGF mRNA량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혼합 한약재 추출물이 모발성장을 촉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4. 혼합 한약재 추출물에 의한 전립선과 피부조직에서의 5-알파
레덕타아제
Ⅱ(5-alpha
reductase
Ⅱ) 효소활성도 측정>
본 실험예 4에서는 혼합 한약재로부터 추출한 약학적 조성물이 전립선과 피부조직에서 남성형 탈모의 원인으로 알려진 5-알파 레덕타아제 Ⅱ(5-alpha reductase Ⅱ) 억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하였다. 도 4a는 전립선에서의 5-알파 레덕타아제Ⅱ(5-alpha reductase Ⅱ)의 효소활성도 측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4b는 피부조직에서의 5-알파 레덕타아제 Ⅱ(5-alpha reductase Ⅱ)의 효소활성도 측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참고로, 도 4a 및 도 4b에서 CON은 비교예 1을, Min은 비교예 2를, JSJ는 실시예 1을 나타낸다. 또한, 실험예 4에서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실험조건은 상기 실험예 1에서의 실험조건과 동일하다.
본 실험예 4는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Male Sprague Dawley rat (300~350 g)의 전립선 및 피부를 채취하여 생리식염수로 1회 세척하고 4배의 PBS buffer (Hyclone, USA)를 넣어 균질화하였다. 균질액은 4°C, 5,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 (Centrifuges 5415R, Eppendorf, Germany) 하여 상등액을 취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브레드퍼드 분석(Bradford assay)을 이용한 단백질 양을 근거로 200 μg 기준으로 실시하였으며, rat 5-alpha reductase Ⅱ ELISA kit (mybiosource, USA)의 매뉴얼을 따랐다. 즉, 상기 200 μg의 균질액과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30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켰으며, 양성대조군인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 (TOCRIS, UK.)는 사전실험을 통하여 10 μM로 사용되었다. 추출물,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 및 표준(standard)을 각 well에 분주하고, horseradish peroxidase (HRP)-conjugate를 처리하여 1시간 동안 37°C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반응시킨 후 4회 세척(washing) 한 뒤 크로모겐 용액(chromogen solution)을 처리하고 37℃에서 15분간 차광하여 발색시켰다. 이후, 15분 뒤 반응종료 시약을 분주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45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농도별 표준곡선(standard curve)을 수치화 하여 그 측정값을 효소농도(ng/ml)로 산출하였다.
도 4a 및 도 4b를 살펴보면, 전립선 및 피부조직에서 200ug/ml 혼합의 처리를 한 실시예 1은 남성형 탈모의 요인으로 알려진 5-알파 레덕타아제Ⅱ(5-alpha reductase Ⅱ)의 농도를 비교예 1, 2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나타났다. 특히, 도 4a의 전립선에서의 5-알파 레덕타아제Ⅱ(5-alpha reductase Ⅱ) 효소활성도를 살펴보면, 양성대조군인 비교예 2의 미녹시딜처리군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혼합 한약재 추출물이 매우 우수하게 5-알파 레덕타아제Ⅱ(5-alpha reductase Ⅱ)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혼합 한약재 추출물의 도포가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5-알파 레덕타아제Ⅱ(5-alpha reductase Ⅱ) 분비를 억제시켜 남성호르몬의 활성화 형태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으로의 전환을 저해시켜 모낭이 축소되는 것을 감소시킴으로서 탈모억제에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5-알파 레덕타아제Ⅱ의 농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전립선 비대증 치료에도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립선 비대증은 테스토스테론이 혈액 속에서 전립선 조직으로 유입되어 이것이 5-알파 레덕타아제의 작용으로 5-알파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5-alpha dehydrotestosteron; DHT)로 변하여 전립선 세포내의 수용체와 결합하여 전립선이 커지고 증식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립선 비대증의 치료를 위하여 화학적으로 합성된 5-알파 레덕타아제 억제제(5-alpha reductase inhibitor)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5-알파 레덕타아제 억제제는 테스토스테론이 5-알파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되는 것을 저해하여 전립선의 크기를 줄어들게 한다. 하지만, 화학적으로 합성된 5-알파 레덕타아제 억제제는 전립선의 크기를 줄어들게 하는 반면 장기 복용 시 발기부전, 성욕감소 및 사정량 감소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한약재 추출물은 천연물인 한약재로부터 추출한 조성물이므로, 부작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종래의 화학적으로 합성된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5-알파 레덕타아제 Ⅱ의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실험예
5. 혼합 한약재 추출물에 의한
간기능
측정>
본 실험예 5에서는 혼합 한약재로부터 추출한 약학적 조성물이 간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였다. 도 5a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 도포에 의한 독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간기능지표인 혈청 AST를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5b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 도포에 의한 독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간기능지표인 혈청 ALT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참고로, 도 5a 및 도 5b에서 CON은 비교예 1을, Min은 비교예 2를, JSJ는 실시예 1을 나타낸다. 또한, 실험예 5에서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실험조건은 상기 실험예 1에서의 실험조건과 동일하다.
본 실험예 5는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본 실험예 5에서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에 의한 간 독성 유무를 측정하기 위하여 간세포 손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AST(aspartate amino transferase)와 ALT(alanine amino transferase) 활성도를 비색 분석법에 준한 효소법을 응용하여 분광 광도계로 분석하였다. 상기 AST 및 ALT용 기질액을 1mL 씩 취해 37℃에서 5분간 방치한 다음 혈장 200ul를 넣어 AST는 37℃에서 60분, ALT는 37℃에서 30분 반응시킨 후 디니트로페닐 하이드라진(dinitrophenyl hydrazine) 발색 용액을 가하여 실온에서 20분 반응시켰다. 이후, 0.4N NaOH 용액 10 mL와 혼합하여 다시 10분 반응시킨 다음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이때 표준곡선은 혈청 트랜스아미나아제( transaminase) 측정용 시약 (Asan kit, Korea) 중 검량선용 시약을 사용하였다.
간기능 전이효소로 대표되는 AST(aspartate amino transferase)의 경우 비교예 1은 58.07±6.43 U/L, 비교예 2는 79.90±17.72 U/L, 실시예 1은 58.30±6.77 U/L의 활성도를 나타내어 군간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ALT(alanine amino transferase)의 경우에는 비교예 1의 경우 4.20±4.17 U/L, 비교예 2의 경우 47.53±5.77 U/L, 실시예 1의 경우 28.27±2.48 U/L의 활성도가 측정되어 양성대조군인 비교예 2의 미녹시딜 도포군에서는 ALT값이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된 것을 알 수 있으나, AST 및 ALT 값 모두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도포한 실시예 1에서는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아 피부 흡수 후에 대사체의 간세포의 손상을 반영하는 혈청 효소마커의 변화, 즉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6. 혼합 한약재 추출물에 의한
B16F10
세포의
세포생존능
실험>
본 실험예 6에서는 혼합 한약재로부터 추출한 약학적 조성물이 모발흑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murine melanoma 세포종인 B16F10 세포를 사용하여 in vitro로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6은 혼합 한약재 추출물 처리에 의한 세포독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murine melanoma 세포종인 B16F10 세포를 사용하여 세포생존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실험예 6는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ATCC 세포주 은행으로부터 분양받은 mouse melanoma cell (B16F10)을 10% FBS (fetal bovine serum)와 1% penicillin을 첨가한 DMEM 배지를 배양액으로 37℃,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cell 현탁액을 적당한 농도로 96-well plate에 가한다음 배양기에서 안정화시킨 후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48시간 후 media를 제거하고 PBS로 washing 하였다. 1mg/ml의 농도로 PBS에 녹인 MTT 용액을 200ul씩 분주하여 37℃(incubator)에서 4시간 배양한 다음, 상층액을 제거하고 200ul DMSO를 넣어 완전히 formazan을 용해시킨 후 ELISA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nm에서 OD값을 측정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Control은 정상대조군을 나타내고, JSJ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를 나타내며, 본 발명에 따른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각각 25mg/ml, 50mg/ml, 100mg/ml, 200mg/ml, 400mg/ml을 투입한 경우 B16F10 세포의 세포생존능을 나타낸다.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혼합 한약재 추출물이 25mg/ml, 50mg/ml, 100mg/ml, 200mg/ml일 때 세포생존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혼합 한약재 추출물이 400mg/ml일 때에는 세포생존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상대조군(Control) 보다도 세포생존능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7. 혼합 한약재 추출물에 의한
B16F10
세포의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효소 활성 및 멜라닌(melanin) 정량>
본 실험예 7은 혼합 한약재로부터 추출한 약학적 조성물이 티로시나아제 효소활성 및 멜라닌 정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였다. 도 7a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 처리에 의한 세포내 멜라닌(melanin) 함량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내 melanin 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또한 도 7b는 혼합 한약재 추출물 처리 후 melanin 생성효소인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에서 유리되는 티로시나아제 활성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참고로, 도 7a 및 도 7b에서 control은 정상대조군을 나타내고, α-MSH는 양성대조군을 나타내며, JSJ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를 나타낸다.
본 실험예 7은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Melanin 정량과 tyrosinase 효소 활성 측정을 위해서 100 mm dish에서 80%자란 mouse melanoma cell (B16F10)을 60 mm dish에 2.5×106 cells/well으로 분주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한 뒤 PBS로 2번 washing 한 후 lysis buffer (RIPA buffer)을 300ul 씩 첨가하여 cell을 scraper로 긁어 1.5ml tube에 옮겨 담았다. 옮긴 cell을 1,500rpm에서 30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은 tyrosinase 효소 활성 측정용으로 보관하였다. melanin 정량을 위해서 분리한 세포침전물에 10% DMSO가 첨가된 1N NaOH 용액 200ul을 첨가하여 85℃에서 1시간 용해시킨 후 405nm에서 OD값을 측정하였다.
Tyrosinase 효소 활성 측정을 위해서 먼저 효소시액을 만들었다. 즉, Bradford 시약을 사용하여 보관된 상층액의 단백질 정량을 한 후, 상층액에 0.1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를 혼합하여 효소시액을 만들고, L-DOPA를 2mg/ml 농도로 0.1M Sodium phosphate buffer에 녹여 L-DOPA buffer를 만든 후, 효소시액 50ul와 L-DOPA buffer 150ul을 96well plate에 분주하여 37℃ incubator에 1시간 동안 가온하고 생성된 DOPA chorme의 양을 475nm에서 OD값으로 측정하여 환산하였다.
도 7a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의 세포내 멜라닌 함량이 정상대조군(control) 및 양성대조군(α-MSH)과 비교하였을 때에도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의 티로시나아제 활성도 변화가 정상대조군(control) 및 양성대조군(α-MSH)과 비교하였을 때에도 우수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 구기자, 복령, 생지황, 숙지황, 산수유, 우슬, 원지, 오가피, 석창포 및 지골피를 포함하는 혼합 한약재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용도의 약학적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한약재는 상기 한약재 총 중량에 대하여 구기자 8 내지 12중량%, 복령 8 내지 12중량%, 생지황 8 내지 12중량%, 숙지황 8 내지 12중량%, 산수유 8 내지 12중량%, 우슬 8 내지 12중량%, 원지 8 내지 12중량%, 오가피 8 내지 12중량%, 석창포 8 내지 12중량%, 지골피 8 내지 12중량%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용도의 약학적 조성물. - 구기자, 복령, 생지황, 숙지황, 산수유, 우슬, 원지, 오가피, 석창포 및 지골피를 혼합하는 한약재 혼합단계;
상기 혼합된 한약재에 에탄올과 증류수의 혼합액을 가하는 단계;
상기 에탄올과 증류수의 혼합액이 가해진 한약재를 25℃ 내지 100℃의 온도에서 2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하여 한약재 추출물을 수득하는 추출단계; 및
상기 한약재 추출물을 농축하여 여과하는 여과단계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용도, 모발흑화 용도, 발모용도 또는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도의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과 증류수의 혼합액은 에탄올 및 증류수가 5 : 95 내지 50 : 50의 비율인 탈모방지 용도, 모발흑화 용도, 발모용도 또는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도의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된 한약재에 가하는 에탄올과 증류수의 혼합액은 상기 혼합된 한약재의 5 내지 10배인 탈모방지 용도, 모발흑화 용도, 발모용도 또는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도의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혼합단계에서 혼합되는 한약재는 상기 한약재 총 중량에 대하여,
구기자 8 내지 12중량%, 복령 8 내지 12중량%, 생지황 8 내지 12중량%, 숙지황 8 내지 12중량%, 산수유 8 내지 12중량%, 우슬 8 내지 12중량%, 원지 8 내지 12중량%, 오가피 8 내지 12중량%, 석창포 8 내지 12중량%, 지골피 8 내지 12중량%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용도, 모발흑화 용도, 발모용도 또는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도의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단계를 거친 한약재 추출물은 동결건조하는 동결건조단계를 더 포함하는 탈모방지 용도, 모발흑화 용도, 발모용도 또는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도의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 구기자, 복령, 생지황, 숙지황, 산수유, 우슬, 원지, 오가피, 석창포 및 지골피를 포함하는 혼합 한약재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모발흑화 용도의 약학적 조성물.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한약재는 상기 한약재 총 중량에 대하여 구기자 8 내지 12중량%, 복령 8 내지 12중량%, 생지황 8 내지 12중량%, 숙지황 8 내지 12중량%, 산수유 8 내지 12중량%, 우슬 8 내지 12중량%, 원지 8 내지 12중량%, 오가피 8 내지 12중량%, 석창포 8 내지 12중량%, 지골피 8 내지 12중량%를 포함하는 모발흑화 용도의 약학적 조성물. - 구기자, 복령, 생지황, 숙지황, 산수유, 우슬, 원지, 오가피, 석창포 및 지골피를 포함하는 혼합 한약재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도의 약학적 조성물.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한약재는 상기 한약재 총 중량에 대하여 구기자 8 내지 12중량%, 복령 8 내지 12중량%, 생지황 8 내지 12중량%, 숙지황 8 내지 12중량%, 산수유 8 내지 12중량%, 우슬 8 내지 12중량%, 원지 8 내지 12중량%, 오가피 8 내지 12중량%, 석창포 8 내지 12중량%, 지골피 8 내지 12중량%를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도의 약학적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7311A KR101895548B1 (ko) | 2017-01-16 | 2017-01-16 |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모발흑화, 발모용 및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7311A KR101895548B1 (ko) | 2017-01-16 | 2017-01-16 |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모발흑화, 발모용 및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4339A KR20180084339A (ko) | 2018-07-25 |
KR101895548B1 true KR101895548B1 (ko) | 2018-09-06 |
Family
ID=63058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7311A KR101895548B1 (ko) | 2017-01-16 | 2017-01-16 |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모발흑화, 발모용 및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554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3337B1 (ko) | 2018-09-21 | 2020-03-02 | (주)에이치피앤씨 | 후피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7290B1 (ko) * | 2018-08-29 | 2020-10-19 |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 멀꿀 추출물 및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KR102372441B1 (ko) | 2018-12-28 | 2022-03-11 | 주식회사 큐제네틱스 | 한약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
KR20210036573A (ko) | 2019-09-26 | 2021-04-05 | 주식회사 이엠텍 |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히터를 구비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 |
KR102510062B1 (ko) * | 2021-01-26 | 2023-03-14 | 주식회사 비쎌 | 혼합 한약재 추출물과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37502A (ko) | 2009-10-07 | 2011-04-13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아스콜베이트를 포함하는 전립선비대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KR101194059B1 (ko) * | 2010-10-21 | 2012-10-24 | 김상섭 | 한방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381831B1 (ko) * | 2012-01-06 | 2014-04-14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민들레 추출물, 가시오가피 추출물, 홍삼 추출물, 금앵자 추출물, 애엽 추출물 및 은행잎 추출물이 첨가된 조성물 및 건강주 |
KR20120122874A (ko) * | 2012-03-02 | 2012-11-07 |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생약재 추출물의 정제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
KR101624704B1 (ko) * | 2014-08-19 | 2016-05-26 |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 탈모 또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
KR20160095993A (ko) | 2015-02-04 | 2016-08-12 | 주식회사 비브스킨 | 상황버섯과 천연복합물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2017
- 2017-01-16 KR KR1020170007311A patent/KR101895548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3337B1 (ko) | 2018-09-21 | 2020-03-02 | (주)에이치피앤씨 | 후피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4339A (ko) | 2018-07-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5548B1 (ko) |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모발흑화, 발모용 및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914744B1 (ko) | 숙지황을 포함하는 탈모예방, 모발흑화, 발모촉진 및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US9408795B2 (en) | Method for enhancing the growth and fullness of hair | |
KR100958496B1 (ko) | 천연유래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기능을 갖는조성물 | |
CN115606797B (zh) | 利用水溶化乳香胶以及山胡椒提取物的生发促进或脱发抑制用组合物 | |
KR101733065B1 (ko) | 데칸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 |
KR101973096B1 (ko) | 모발고정효과를 갖는 발모촉진 및 탈모중지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 |
KR101654308B1 (ko) |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 |
KR101858217B1 (ko) | 발모 촉진 효과를 가지는 건강식품 | |
CH709066A1 (fr) | Formulation pour le traitement des cheveux. | |
JP4460420B2 (ja) | コラーゲン生成促進剤 | |
JP2009114082A (ja) | 毛乳頭細胞増殖促進剤、線維芽細胞増殖因子−7(fgf−7)産生促進剤、血管内皮増殖因子(vegf)産生促進剤、抗男性ホルモン剤、育毛剤及び頭髪化粧料 | |
KR102120220B1 (ko) | 천연식물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부 비만 감소용 화장료 또는 식품 조성물 | |
KR101724870B1 (ko) | 두피 염증 완화와 Wnt/β-catenin 신호전달 활성을 갖는 모발성장 촉진 조성물 | |
SE543379C2 (en) | Composition and formulation comprising a Persicaria Capitata plant extract | |
KR101893651B1 (ko) | 두피 환경 개선 및 모낭세포 활성 기능을 갖는 천연 추출 조성물 | |
KR101805015B1 (ko) | 유자, 유근피 및 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WO2015141926A1 (ko) | 능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자극에 의한 피부노화 억제 또는 개선용 조성물 | |
JP2011001326A (ja) | エンドセリン−1mRNA発現抑制剤 | |
KR20150085991A (ko) | 한방 약재성분의 복합추출물이 함유된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900781B1 (ko) | 하수오를 포함하는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CN109952111B (zh) | 包括假俭草提取物或其分离物作为活性成分的用于预防或治疗脱发的药物组合物 | |
KR20170031521A (ko) | 진세노사이드 Rd의 함량이 증가된 발효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 |
KR20190026372A (ko) |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기능의 천연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 |
KR102013803B1 (ko) | 밤송이 유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탈모 개선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