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679B1 -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발효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발효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679B1
KR101908679B1 KR1020160155832A KR20160155832A KR101908679B1 KR 101908679 B1 KR101908679 B1 KR 101908679B1 KR 1020160155832 A KR1020160155832 A KR 1020160155832A KR 20160155832 A KR20160155832 A KR 20160155832A KR 101908679 B1 KR101908679 B1 KR 101908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extract
weight
composition
prom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7330A (ko
Inventor
홍규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루자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루자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루자임
Priority to KR1020160155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679B1/ko
Priority to US15/820,329 priority patent/US10857091B2/en
Publication of KR20180057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p .) 발효물, 귤외피 추출물, 콩배아 추출물, 연꽃 추출물, 및 대추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발효 조성물{A FERMENTED COMPOSITION FOR STIMULATING GROWTH OF HAIRS CONTANING NATURAL EXTRACT}
본 발명은 모발의 손상 및 자극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모발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동물들은 계절에 따라 털이 전체적으로 교체되는 털갈이 시기가 있으나, 인간은 전체 모발 중 일부가 매일 계속적으로 교체되어 항상 비슷한 개수가 유지된다.
모발의 주기(hair cycle)는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의 3주기로 나뉠 수 있으며, 그 중 성장기(anagen)는 모유두에서 활발한 세포 분열이 일어나 새로운 모발의 성장이 촉진되는 시기로, 이 시기에 모발이 성장할 수 있다.
모발의 상장 주기는 대략 남성은 3 내지 5년, 여성은 4 내지 6년 정도이며 전체적으로 약 80 내지 85%의 모발이 성장기에 해당한다. 퇴행기(catagen)는 세포 분열이 점차 멈추어 가는 시기로 대략 3 내지 4주 정도이다. 마지막으로 휴지기(talogen)는 모유두가 위축되어 모발이 모세혈관과 분리되어 단순히 두피에 박혀 있는 시기로, 대략 3개월 정도이며 휴지기에 있는 모발은 대개 물리적 자극에 의해 쉽게 모피에서 이탈된다.
인간의 모발은 비록 생명과는 무관하나, 사람의 인상 및 외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종래 탈모가 증상으로 인식되었던 것과 달리 최근에는 질환이라는 인식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최근 고도화, 산업화가 가속되면서 수반되는 과도한 스트레스, 생활 습관의 사회 문화적인 요인들로 인해 탈모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중년 남성뿐 아니라 장년층의 탈모가 증가하고 있어 탈모의 다양한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화장품 업계에서는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제품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 아니라,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호응도가 높은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생체 안전성 및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한 다기능성(multi-funtional) 화장품 개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원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 건강에 유익하면서도, 탈모 방지 및 육모 촉진능이 우수한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p .) 발효물, 귤외피 추출물, 콩배아 추출물, 연꽃 추출물, 및 대추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발효물 10 내지 20 중량부, 상기 귤외피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상기 콩배아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상기 연꽃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및 상기 대추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혼합 추출물 0.5 내지 10.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정제수,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60 내지 90%(v/v) 농도의 에탄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염, 항균 활성 및 세포증식능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헤어토너,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헤어젤, 헤어비누,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팩, 및 헤어트리트먼트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액상형 헤어샴푸로 제형화될 수 있다.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혼합 추출물에 포함된 유효성분들이 상호 작용하여 사용자의 피부 건강에 유익하면서도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p .) 발효물, 귤외피 추출물, 콩배아 추출물, 연꽃 추출물, 및 대추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천연 유래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탈모 방지 및 육모 촉진 효과가 우수하며, 인체에 안전하고 피부 자극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인체에 복합적으로 작용하므로, 단일 추출물과 비교하여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가 현저히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모발 성장을 효과적으로 촉진할 뿐만 아니라, 항염, 항균 활성 및 세포증식능이 우수하여, 비듬 방지 효과 및 두피 염증 완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균주를 탈지분유와 같은 에너지원을 포함하는 배지 상에서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물의 혼합물(mixture)을 의미한다. 상기 발효물은 통상적인 유산균 발효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유산균 발효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상기 에너지원은 소의 우유(cow milk), 염소의 우유(goat milk), 또는 말의 우유(horse milk)일 수 있으며, 이들의 전우유(whole milk), 탈지 우유(skim milk) 또는 이들의 분말(powder)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Lactobacillus pentos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또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귤(Citrus unshiu Marcov .)"은 비타민 C와 구연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모세혈관 강화 작용에 우수한 비타민 P, 인, 헤스페리딘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과육보다 껍질에 더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비타민 C의 경우 약 4배가 더 포함되어 있다. 상기 귤외피 추출물은 염증 물질인 IL-8을 중화시키는 효과가 뛰어나며, 멜라노사이트를 자극하는 물질을 중화시킴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시켜 근본적으로 건강하고 깨끗한 두피를 만드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콩(Glycine max)"은 서리태, 서목태, 흑태, 황태, 푸르대콩(청태), 강낭콩, 얼룩강낭콩, 울타리콩, 녹두, 적두, 거두, 콩나물 콩, 선비콩 또는 대두일 수 있고, 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콩배아는 인체에 유용한 생리활성물질인 이소플라본 및 인지질을 함유하며 콩 부위 중에서도 이소플라본함량이 월등하게 높을 뿐만 아니라 글리시테인(glycitein), 콩사포닌 A1및 A4, 피틴산(phytic acid) 등 배아에만 존재하는 성분을 다량 함유한다.
상기 "연꽃(Nelumbo nucifera)"은 연못, 저수지 등에 서식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주요성분은 꽃받침에 d-(-)-N-노르아르메파빈, 리리오데닌, N-노르누시페린, 누시페린, 꽃잎에는 플라보노이드인 루테올린-7-글루코시드, 쿠에르세틴-7-글루코시드, 켐페롤-3-글루코실글루코시드(넬루보시드)가 다량 분포한다. 상기 연꽃은 수렴, 지혈, 강장약으로 유정, 혈붕, 치루, 토혈, 신경쇠약 등에 사용된다.
상기 "대추(Ziziphus jujube Mill)"는 갈매나무과(buckthorn family Rhamnaceae)의 가시 갈매나무(thorny rhamnaceous) 식물이며, 주로 그 과실을 이용한다. 상기 대추는 영양성분이 풍부하여 한의약에서 널리 사용되며, 기본적으로 당질과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약용성분으로는 각종 스테롤(sterol), 알칼로이드(alkaloid), 사포닌(saponin), 비타민, 유기산류, 아미노산류 등이 포함된 것으로 보고된다. 상기 대추는 완화제, 이뇨제, 강장제, 담즙증, 강정, 체력회복, 거담제, 항염증제 등의 약리적 효과가 확인되어 제약 업계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발효물 10 내지 20 중량부, 상기 귤외피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상기 콩배아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상기 연꽃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및 상기 대추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용매와 추출재료를 특정 조건하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추출재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전이된 용매를 지칭한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정제수,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고, 상기 알코올은 60 내지 90% 농도(v/v)의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원료에 포함된 유효 성분은 용매의 극성에 따라 추출 비율이 상이해질 수 있으며, 상기 에탄올은 천연 원료의 생리 활성 물질 추출에 있어서 선택성이 뛰어나므로 상기 에탄올 추출에 의해 최적의 발모 촉진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물과 에탄올은 극성이 상이하여, 각 극성에 따라 추출되는 유효성분이 달라질 수 있으며 최적의 발모 촉진 효과가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에탄올의 농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에탄올은 농도가 90% 초과이면 적정한 수율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농도가 60% 미만이면 발모를 촉진하는 유효 성분이 충분하게 추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각 원료를 물로 수세한 후 건조 및 분쇄하여, 원료 중량의 8 내지 12배에 달하는 부피의 용매로 약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환류 순환 추출, 가압 추출, 초음파 추출 등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 및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감압 증류 또는 동결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공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혼합 추출물은 알칼리 이온수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이온수는 알칼리성 광물이 함유되어 있는 물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알칼리 이온수는 식수를 전기 분해하여 제조할 수 있고, 수소이온농도(pH)는 약 8.0 내지 12.0일 수 있다. 상기 알칼리성 이온수는 인체에 흡수가 빠르고, 산성 노폐물과 결합하여 인체 외부로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칼리성 이온수는 성인병의 예방 및 치료효과가 있으며, 임산부가 음용하는 경우 태아의 두뇌와 뼈의 생성을 촉진하고, 입덧을 완화한다고 알려진다.
상기 알칼리성 이온수를 용매로 하는 경우, 일반적인 수용성 성분 외에 알칼리수의 지방 분해성 성질이 부가돼 지용성 유효성분이 함께 추출되므로 추출능이 증가할 수 있으며, 특히, 낮은 pH에서 추출되는 불필요한 성분이 추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조성물의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이온수는 음(-)극 및 양(+)극의 전극을 수조에 넣고 전기 분해할 때 상기 음극에서 생성될 수 있고, 상기 알칼리 이온수를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혼합 추출물 0.5 내지 10.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이 0.5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혼합 추출물에 모발 개선 효과가 적절히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10.0중량% 초과인 경우 제품화 하기 위해 포함되어 있는 기타 첨가물의 비중이 감소하므로 제품 본연의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아미노산 복합체(amino acid complex), 하이드롤라이즈드실크(hydrolyzed silk), 착향제, 세라마이드(Ceramide), 및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 복합체(amino acid complex)는 단백질의 기본 구성단위인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혼합된 복합 조성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혼합되는 아미노산의 종류 또는 혼합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 달리 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 복합체는 피부에 보습력을 제공해주고, 모발에 윤기를 부여하므로 상기 조성물의 사용감을 증진시키고, 피부에 대한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롤라이즈드실크(hydrolyzed silk) 견섬유를 산 또는 알칼리로 가수분해하여 얻은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물 또는 묽은 에탄올을 지칭하는 것으로 흔히 피부 또는 모발 컨디셔닝제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롤라이즈드실크는 단백질의 구성 성분으로서 인체에 안전하며, 모발에 윤기 및 탄력을 부여하고 손상된 모발을 회복시킬 수 있다.
상기 착향제는 식품이나 화장품 등에 넣어 향기를 내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을 지칭하는 것으로 상온에서 휘발성이 우수하며, 상기 조성물의 제품화를 위해 필요에 따라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착향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방향성 화학물질, 정유, 천연추출물, 증류물, 단리성분, 아로마, 수지성 레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Ceramide)는 피부 각질층을 구성하는 각질 세포간 지질 중 약 40% 이상을 차지하며 각질층의 구조 형성이나 기능을 나타내는 데 필수적인 성분으로서, 친수성기와 친유성기를 함께 가지므로 피부에 있는 수분의 증발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는 모발에 수분막을 형성하여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손상을 방지하므로, 보습제의 원료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부형제(excipien)는 약제에 적당한 굳기나 형상을 부여하거나, 주제(主劑)의 양이 부족한 경우에 일정 용량, 중량을 주어 취급하기 쉬운 크기로 하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을 지칭하는 것으로,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락토오스, 녹말, 덱스트린, 글리세린, 셀룰로오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첨가물들뿐만 아니라, 상기 조성물의 기능이나 용도를 고려하여 유화제, 보존제, 희석제, 색소 등 다양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일반적인 두피 및 모발용 외용제에 배합될 수 있는 기제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용해보조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pH 조정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살균제, 항염증제, 항미생물제, 용제, 착색제, 또는 착향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해보조제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탄화수소, 글리콜류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중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암모늄 라우릴술포숙시네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움 코코일이세시오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이세시오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움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에틸렌옥사이드 1∼3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3급 지방족 아민염, 알킬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디알킬디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베타인, 아미드베타인형, 설포베타인형, 스테아르트리모늄클로라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라기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등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pH 조정제는 구체적으로 구연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구연산나트륨, 인산, 인산나트륨, 젖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벤조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디엠디엠히단토인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산화방지제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아스코르빈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는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테트라나트륨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살균제는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4급 암모늄염, 피록톤올아민, 아연피리치온 현탁액, 요도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 살리실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항염증제는 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글리시리진산디칼륨, 스테아릴글리시리지네이트, 카모마일, 알파 비사보롤, 알란토인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항미생물제는 구체적으로 페녹시에탄올, 클로르헥시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피록톤올아민, 케토코나졸, 아르니카추출물, 요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 벤잘코늄클로라이드, 벤젠토늄클로라이드, 벤조산 및 그의 염, 벤질알코올, 라벤다, 로즈마리, 살리실산, 트리클로카르반, 아연피리치온 현탁액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에탄올, 정제수, 트윈 20, 사이클로메치콘, 미네랄오일, 디메치콘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착색제 및 착향제는 두피 및 모발용 제제에 사용되는 통상의 기제들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성물은 유액, 크림, 페이스트, 겔, 화장수, 팩, 로션, 파우더, 스프레이, 비누 등의 모발처리용 조성물로서 제형화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헤어토너,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헤어젤, 헤어비누,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팩, 및 헤어트리트먼트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액상형 헤어샴푸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용도 또는 사용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제조예 1 : 락토바실러스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의 제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를 탈지분유 배지에 접종하고 37℃에서 3일간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회수된 상등액의 pH를 6.5로 조정한 후 동결 건조하여 발효물을 수득하였다. 탈지분유 배지의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성분 농도(g/L)
탈지분유 100
포도당 20
효모추출물 3
펩톤 3
증류수 1
제조예 2 : 천연 추출물( 열수 추출)의 제조
귤외피, 콩배아, 연꽃, 상백피, 및 대추를 수세한 후 상온에서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조분쇄물을 각각 100g씩 수득하였다.
상기 각 분쇄물 100g을 10배 부피의 정제수에 침지하여 8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미세 필터를 통해 여과하였으며 잔여 원료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 추출한 후 상온에서 냉각하였다. 상기 각 추출물은 30℃에서 감압 농축되었으며 동결 건조되어 고형으로 수득되었다.
제조예 3 : 천연 추출물(에탄올 추출)의 제조
추출 용매로서 에탄올 수용액(70% 질량농도)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각 추출물은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고형으로 수득하였다.
제조예 4 : 천연추출물(알칼리 이온수 추출)의 제조
추출 용매로서 알칼리 이온수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각 추출물은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고형으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1 : 혼합 추출물( 열수 추출) 시료
동결 건조하여 수득한 제조예 1 및 제조예 2의 추출물을 동일 비율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된 복합추출물 10g을 실시예 1의 시료로 하였다.
실시예 2 : 혼합 추출물(에탄올 추출) 시료
동결 건조하여 수득한 제조예 1 및 제조예 3의 추출물을 동일 비율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된 복합추출물 10g을 실시예 2의 시료로 하였다.
실시예 3 : 혼합 추출물(알칼리 이온수 추출) 시료
동결 건조하여 수득한 제조예 1 및 제조예 4의 추출물을 동일 비율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된 복합추출물 10g을 실시예 3의 시료로 하였다.
비교예 1 : 락토바실러스 발효물 시료
동결 건조하여 수득한 제조예 1의 락토바실러스 발효물 10g을 비교예 1의 시료로 하였다.
비교예 2 : 귤외피 추출물( 열수 추출) 시료
동결 건조하여 수득된 제조예 1의 귤외피 추출물 10g을 비교예 2의 시료로 하였다.
비교예 3 : 콩배아 추출물( 열수 추출) 시료
동결 건조하여 수득된 제조예 2의 콩배아 추출물 10g을 비교예 3의 시료로 하였다.
비교예 4 : 연꽃 추출물( 열수 추출) 시료
동결 건조하여 수득된 제조예 2의 연꽃 추출물 10g을 비교예 4의 시료로 하였다.
비교예 5 : 대추 추출물( 열수 추출) 시료
동결 건조하여 수득된 제조예 2의 대추 추출물 10g을 비교예 5의 시료로 하였다.
실험예 1 : 모유두세포 증식 촉진 효과 평가
온도 민감 T 항원을 인코딩한 폴리오마바이러스 라지 T 유전자(polyomavirus large T gene)를 트랜스펙션하여 제조한 PVG 쥐수염 모유두세포(Rat Vibrissa dermal papillae cell)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유두세포 증식 촉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상기 모유두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한 웰 당 약 104 세포/웰의 농도로 배양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을 DMSO(Dimethyl sulfoxide) 또는 에탄올에 각각 용해시킨 후, 5% FBS 혈청 농도의 DMEM 배지로 순차적 희석(serial dilution)하여 최종 농도를 10ppm으로 조절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에 비교예의 추출물이 첨가된 배지 200μL를 각각 웰 당 첨가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약 3일간 배양하였으며, mg/mL의 농도로 제조된 MTT 용액을 각 웰 당 50μL씩 첨가한 후, 동일한 배양기에서 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MTT 시약이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 흡수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DMSO를 150μL 첨가하였으며, 10분간 교반하여 균일하게 프로마잔(formazan) 염료(dye)를 용해시켰다.
515nm 파장에서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O.D. 값을 측정하였으며, 미리 만들어둔 표준 곡선에 맞추어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세포 수를 기초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유두 세포 증식 촉진능(%)을 계산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구분 세포증식촉진효과(%)
실시예 1 54.5±1.1
실시예 2 61.6±1.3
실시예 3 65.5±1.2
비교예 1 23.1±1.1
비교예 2 19.2±1.2
비교예 3 16.6±0.9
비교예 4 21.5±1.3
비교예 5 18.5±1.0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의 혼합 추출물은 비교예1 내지 6의 단일 추출물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모두유 세포 증식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에탄올 및 알칼리 이온수를 용매로 사용한 실시예 1의 추출물은 실시예 2와 비교하여 세포 증식을 더욱 촉진하였으므로, 탈모 방지 및 육모 촉진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실험예 2 : 모세혈관 확장효과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세혈관 확장효과를 평가하고자, 추출물에 의한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증식 정도를 측정하였다. 칼륨통로는 활성화되어 미토제네시스(mitogenesis)를 촉진하고, 혈관 평활근(vascular smooth muscle)을 이완시켜 혈관의 확장을 유도하는 반면, 차단에 의해 NIH3T3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증식을 촉진하므로 섬유아세포의 증식 정도를 평가하여 칼륨통로의 개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추출물의 모세혈관 확장능을 평가하기 위해, NIH3T3 섬유아세포를 24-웰 배양 플레이트에 104 세포/웰의 농도로 시드(seed)하고, 10% FCS(fetal calf serum) 및 2mM L-글루타민을 포함하며 항생제를 포함하지 않는 DMEM 배지에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한편, 상기 배양된 배지를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이 첨가된 각 배지로 교체하고 72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이때, 배지를 제거한 후 PBS(Ca2 +/Mg2 + 없음)로 세척하였으며, 0.5ml TE(trypsin-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로 처리한 후 배양하였다.
이어서 10% FCS가 포함된 DMEM를 첨가하고 세포를 분리한 후 EP 튜브에 넣어 5500rpm에서 원심 분리하였다. 상등액을 제거한 후 남은 세포액을 100μL의 PBS에 현탁한 후 혈구 계산기(hemocytometer)를 통해 세포수를 카운팅하였다. 상기 결과에 따라 측정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세혈관 확장효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구분 모세혈관확장효과(%)
실시예 1 43.5±2.1
실시예 2 51.7±1.3
실시예 3 59.2±1.6
비교예 1 17.1±1.2
비교예 2 12.7±1.1
비교예 3 11.4±0.9
비교예 4 14.5±1.4
비교예 5 16.3±1.0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의 혼합 추출물은 비교예1 내지 5의 단일 추출물과 비교하여 모세혈관 확장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였다.
특히, 에탄올 및 알칼리 이온수 추출에 의한 실시예 2 및 3의 추출물은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모세혈관 확장효과가 더욱 우수하였으므로, 두피 모세혈관의 혈액 순환을 개선하여 모발 건강을 증진시키고 탈모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실험예 3 : 발모 촉진 효과 평가
모발이 휴지기에 들어선 생후 약 50일 된 생쥐(C57BL/6)의 모발을 제거한 후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실험에서 몸무게, 크기 등 특성이 유사한 생쥐를 10마리씩 9군으로 나눈 후 개별적으로 사육하여 모발의 성장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을 1.0 중량% 포함하는 시리얼 사료를 섭취하도록 한 후 30일간 사육하고 제모 부위에서 성장한 모발을 분리하여 중량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시리얼 사료를 섭취한 생쥐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추출물에 의한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더욱 명확하게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구분 모발중량(mg)
실시예 1 236.1±11.8
실시예 2 245.5±12.3
실시예 3 259.2±12.3
비교예 1 112.9±8.1
비교예 2 89.6±9.3
비교예 3 85.2±7.6
비교예 4 95.3±9.6
비교예 5 92.6±8.4
대조군 53.7±6.5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의 혼합 추출물은 비교예1 내지 5의 단일 추출물과 비교하여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였다. 특히, 에탄올 및 알칼리 이온수 추출에 의한 실시예 2 및 3의 추출물은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모발 성진 촉진 효과가 더욱 우수하였으므로 모발 건강을 증진 시키고 탈모를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실험예 4 :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을 정제수에 현탁(농도 10%)하여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free radical scavenging acticity)을 평가하였다.
DPPH 측정법은 억제제(inhibitor)가 안정한 라디칼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를 소거하여 탈색되는 정도를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대조군으로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Dibutyl hydroxy toluene)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을 명확히 비교하였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은 무색의 결정, 또는 백색의 결정성 분말로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여 식용유지, 유지성 식품의 산화방지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실험의 정확도를 위하여 동일한 실험을 3회 반복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구분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실시예 1 135.1
실시예 2 146.7
실시예 3 151.9
비교예 1 112.2
비교예 2 109.3
비교예 3 105.5
비교예 4 94.7
비교예 5 93.8
대조군 157.5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은 비교예 1 내지 5와 비교하여 현저히 우수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이 높을수록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특히, 에탄올 및 알칼리 이온수 추출에 의한 실시예 2 및 3의 추출물은 실시예 1과 비교하여 항산화 효과가 더욱 우수하였다.
실험예 5 : 항염 활성 평가
Lipopolysaccharide(LPS)로 자극을 유도한 쥐 대식세포주 RAW 264.7 cell에서 EAME의 NO 생성 억제능을 분석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항염 활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을 위해 Murine macrophage cell line 인 Raw 264.7 세포를 한국 세포주 은행으로부터 분양 받아 100units/mL penicillin-streptomycin과 10% fetal bovine serum(FBS)이 함유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으며, 2 내지 3일에 한번씩 계대 배양을 실시하였다.
Raw 264.7 세포(3 X 105 cells/mL)를 18시간 전 배양 후,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 시료(농도 10%)와 LPS(1 μg/mL)를 동시 처리하여 24시간동안 배양하였고, 생성된 NO는 Griess reagent을 이용하여 세포 배양액 중 존재하는 NO2 -의 형태로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LPS를 처리하지 않았으며, 양성 대조군은 LPS만을 처리하여 생성된 NO량을 측정하였다.
세포 배양 상층액 100μL 및 Griess 시약(1%(w/v) sulfanilamide, 0.1%(w/v) naphtylehtylenediamine in 2.5%(v/v) phosphoric acid)을 동량 혼합하여 10분간 실온 암실에서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540nm)를 측정하였다. 표준농도 곡선은 sodium nitrite(NaNO2)를 serial dilution하여 얻었다(10-100μM).
구분 NO 생성량(μM)
실시예 1 14.35
실시예 2 12.75
실시예 3 11.42
비교예 1 23.34
비교예 2 25.78
비교예 3 23.28
비교예 4 28.34
비교예 5 26.61
LPS(-) 6.98
LPS(+) 36.64
표 6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의 혼합 추출물은 비교예1 내지 5의 단일 추출물과 비교하여 더 높은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냈으며,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이 현저히 우수하였다.
실험예 6 : 항균 활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수득한 시료의 항균 활성을 평가하였다. 공시균으로서 피티로스포룸 오발(Pityrosporum ovale ATCC 12087)을 사용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서 화학합성 항균제인 트리클로산을 사용하였다.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균은 5% sheep blood가 포함된 tryptic soy agar 배지에 striking하여 2 내지 3일 정도 배양 하여 미리 준비해 둔 McFaland nephleometer standards 0.5(1% Barum chloride(0.05 ml) + 1% Sulfuric acid(9.95 ml))의 탁도와 동일하게 하면 균의 농도는 1x108 cells/mL이었다.
액체 BHI배지 2ml에 각 시료를 0에서 2000ppm까지 100ppm 간격으로 희석한 후, 1x108 cells/mL의 균액 20μL를 접종하여 48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혼탁도를 기준으로 성장이 저해된 최소농도를 최저 성장저해농도(MIC)로 정의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다.
구분 최저성장저해농도 MIC(PPM)
실시예 1 650
실시예 2 550
실시예 3 520
비교예 1 1100
비교예 2 1300
비교예 3 1500
비교예 4 1700
비교예 5 1400
트리클로산 400
표 7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의 혼합 추출물은 양성 대조군인 트리클로산과 비교하여 항균 효과가 다소 미약하였으나, 비교예 1 내지 5와 비교하여 항균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였다. 특히, 에탄올 및 알칼리 이온수 추출에 의한 실시예 2 및 3의 추출물은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비듬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더욱 우수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p.) 발효물, 귤외피 추출물, 콩배아 추출물, 연꽃 추출물, 및 대추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를 탈지분유 배지에 접종 및 배양하여 수득한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발효물 10 내지 20 중량부, 상기 귤외피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상기 콩배아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상기 연꽃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및 상기 대추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로 구성된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 0.5 내지 10.0중량%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정제수,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60 내지 90%(v/v) 농도의 에탄올인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염, 항균 활성 및 세포증식능을 가지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헤어토너,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헤어젤, 헤어비누,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팩, 및 헤어트리트먼트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된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액상형 헤어샴푸로 제형화된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0160155832A 2016-11-22 2016-11-22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발효 조성물 KR101908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832A KR101908679B1 (ko) 2016-11-22 2016-11-22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발효 조성물
US15/820,329 US10857091B2 (en) 2016-11-22 2017-11-21 Fermented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and promoting hair growth containing natural extra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832A KR101908679B1 (ko) 2016-11-22 2016-11-22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발효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330A KR20180057330A (ko) 2018-05-30
KR101908679B1 true KR101908679B1 (ko) 2018-10-16

Family

ID=6214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832A KR101908679B1 (ko) 2016-11-22 2016-11-22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발효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57091B2 (ko)
KR (1) KR1019086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754B1 (ko) 2020-04-06 2021-08-31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콩배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근강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0249A (zh) * 2018-08-23 2018-12-28 李卫平 一种辅助养发的羊奶片及其制备方法
CN109497132B (zh) * 2018-11-08 2021-05-04 江南大学 一种促进植物乳杆菌在乳基体系中高效增殖的复合增殖剂
KR102552523B1 (ko) * 2019-10-24 2023-07-11 주식회사 리즈케이 탈모 및 백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570587B1 (ko) * 2019-10-24 2023-08-28 주식회사 리즈케이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362968B1 (ko) * 2019-11-25 2022-02-17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유산균 및 프리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40053B1 (ko) * 2021-02-19 2023-06-02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에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3128960A (ja) * 2022-03-04 2023-09-14 ライオン株式会社 皮膚洗浄剤組成物
CN115337224A (zh) * 2022-09-02 2022-11-15 深圳市菲茵尔化妆品贸易有限公司 洗发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3825A (ja) 2004-06-03 2005-12-15 Noguchi Igaku Kenkyusho:Kk 発毛剤
KR101651833B1 (ko) 2015-07-17 2016-09-19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감귤류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8867A1 (en) * 2004-05-12 2006-01-26 Ichimaru Pharcos Co., Ltd Cosmetic composition and production thereof
TWI468513B (zh) * 2005-05-27 2015-01-11 Yakult Honsha Kk 乳酸菌發酵物及含其之發酵乳食品
KR101091002B1 (ko) * 2009-02-26 2011-12-08 주식회사 세화 피앤씨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의 모발 및두피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196523B1 (ko) * 2009-12-28 2012-11-01 (주) 젠셀 천연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3825A (ja) 2004-06-03 2005-12-15 Noguchi Igaku Kenkyusho:Kk 発毛剤
KR101651833B1 (ko) 2015-07-17 2016-09-19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감귤류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트루자임 발효샴푸 홍보자료(http://blog.naver.com/truezyme/22078599033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754B1 (ko) 2020-04-06 2021-08-31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콩배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근강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57091B2 (en) 2020-12-08
US20180140541A1 (en) 2018-05-24
KR20180057330A (ko)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679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발효 조성물
JP4205188B2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JP4299374B2 (ja) 細胞賦活剤及びその応用
KR20110108687A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1484559B2 (en) Kapok tree flower extract, and cosmetic, pharmaceutical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JP2003183120A (ja) 活性酸素消去剤又は化粧料組成物
KR101494661B1 (ko) 흑마늘박 발효물을 포함하는 두피 또는 모발 케어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WO2018123828A1 (ja) 発酵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87531B1 (ko) 생약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JP4179971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KR20100094614A (ko) 흑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4551053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保湿外用剤、化粧料、浴用剤および洗剤組成物
JP4101106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浄剤
JP2004107286A (ja) 化粧料組成物及び美容・健康食品組成物
KR20170114317A (ko) 파이토스핑고신과 효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JP2002316937A (ja) 植物抽出物含有抗アレルギー剤
KR102154927B1 (ko) 클로로겐산, 페룰산, 레스베라트롤 및 스트렙토코쿠스 테르모필루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2021533138A (ja) 活性植物成分を含む組成物
KR20090105222A (ko)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75819B1 (ko)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0―메틸호노키올을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조성물
KR100564107B1 (ko) 피부노화방지 효능을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JP4169814B2 (ja) リュウゼツラン又はサイザル抽出物含有皮膚外用剤
JP2002284648A (ja) 育毛剤組成物
JP2006137702A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JP5462491B2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三量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