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8659A - 상품코드를 이용한 상품 판매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품코드를 이용한 상품 판매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8659A
KR20070108659A KR1020060040979A KR20060040979A KR20070108659A KR 20070108659 A KR20070108659 A KR 20070108659A KR 1020060040979 A KR1020060040979 A KR 1020060040979A KR 20060040979 A KR20060040979 A KR 20060040979A KR 20070108659 A KR20070108659 A KR 20070108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roducts
information
product code
relat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0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4373B1 (ko
Inventor
이송원
Original Assignee
이송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송원 filed Critical 이송원
Priority to KR1020060040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373B1/ko
Publication of KR20070108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8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바코드나 알에프아이디(RFID) 등의 상품코드를 이용한 상품 판매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상품 판매방법 및 그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상품들에 대하여 상품별로 적어도 그 상품에 대응되는 상품코드를 기억수단에 등록해두는 상품코드 등록단계, 상기 상품코드가 등록된 상품들 간의 연관정보를 설정해두는 연관정보 설정단계, 상기 연관정보에 의해 연관 상품으로 설정된 상품을 동시 구매 시 부여할 혜택기준을 설정하는 혜택기준 설정단계, 상기 상품들 유통점의 상품코드 리더기에서 판독된 소비자가 구매하고자하는 상품들 간의 상품코드의 연관정보를 탐색하는 연관정보 탐색단계 및 상기 판독된 상품코드들 중 서로 연관정보가 없는 것은 상기 판독된 상품에 제 1가격을 적용하고 서로 연관정보가 있는 것은 그 연관정보에 따라 설정된 혜택기준에 의한 제 2가격을 적용하여 상기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들에 대한 가격을 산출하는 상품가격 산출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이 수행되며, 개별 제품의 포장, 새로운 상품코드 부여 및 그 등록, 전시, 해체에 따라 발생되는 인력, 시간 및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해준다.
마케팅, 기획판매, 판매방법, 패키징, 유통

Description

상품코드를 이용한 상품 판매방법 및 그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selling products utilizing product codes}
도 1은 종래의 패키지상품 판매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코드를 이용한 상품의 판매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과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코드를 이용한 상품 판매시스템이 포스시스템에 적용된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코드를 이용한 상품 판매시스템이 유통가맹점서버에 적용된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행사대행사가 제조업체 또는 유통업체로부터 패키지 상품 등의 상품판촉 행사 의뢰를 받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라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코드를 이용한 상품 판매시스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7 ~ 9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자료 테이블의 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혜택기준 적용과정을 더 구체화하여 나타낸 순서도,
도 12는 회원카드 소지자에 대한 혜택 적용과정을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 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 상품 판매시스템 110 : 제 1데이터베이스
120 : 제 1서버 140 : 제 1상품코드 판독기
150 : 카드리더기 170, 210 : 유통가맹점서버
180, 230 : 포스시스템 145 : 제 2상품코드 판독기
183, 232 : 포스데이터베이스
212 : 유통가맹점 데이터베이스 270 : 행사대행사서버
272 : 제 3상품코드 판독기 274 : 행사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상품 판매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코드나 알에프아이디(RFID)의 상품코드 등의 상품코드를 이용하는 상품 판매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에는 그 상품을 다른 상품과 구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상품코드, 제조년월일, 유통기간 등의 정보가 기록된 바코드 또는 알에프아이디 칩이 부착되어 있다.
편의점, 슈퍼마켓, 백화점, 할인점 등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소에는 상품 판매의 정확성, 편리성, 신속성, 재고관리 등을 위해 POS 단말기와 바코드스캐너, 알 에프아이디 리더기와 같은 상품코드 판독기가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통상 바코드에는 원산지, 제조원, 상품코드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POS터미널에서 계산 시 바코드스캐너가 바코드 등 상품코드를 인식하여 사전에 입력된 상품코드에 상응하는 가격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알에프아이디 칩은 바코드보다 훨씬 많은 상품 관련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사용의 편리성 때문에 그 사용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POS터미널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품목별 판매현황, 재고파악, 재고 감소 품목에 대한 주문서 자동발송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포스시스템을 이용하는 상품 판매시스템에서 판매촉진을 위한 행사를 하고자하는 경우 미리 바코드가 인쇄된 종이 쿠폰을 발행하거나 특정 상품 구매 시 쿠폰을 발행하여 쇼핑 시 쿠폰에 인쇄된 바코드를 판독하여 대응상품에 대한 할인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쿠폰을 이용한 상품 판매촉진행사는 단순히 대상 상품에 대해 가격 할인을 해주는 방식으로 다양한 방식의 마케팅을 하기 어렵다.
상품 판매촉진의 일환으로 상품 판매자는 종종 관련성 있는 상품끼리 묶어서 패키지로 판매하면서 상품 가격을 다소 할인해주는 행사를 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의 패키지상품 판매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품 제조업체나 유통업체는 재고처리나 판매촉진 등을 위해 경우에 따라 서로 관련이 있는 개별상품 A, B 또는 그 이상의 상품을 하나로 묶어 패키지 상품으로 판매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의 작업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품A, B(A, B)를 한 곳으로 모아서 포장지나 포장케이스를 이용하여 포장하여(단계 1) 패키지 상품(AB)을 만든다(단계 2). 그런 다음 패키지 상품(AB)에 새로운 바코드를 부여하여(단계 3) 부여된 바코드를 등록(단계 4)한다.
그리고 패키지 상품(AB)에 가격을 설정하고(단계 5) 등록된 바코드를 그 상품에 부착한다(단계 6). 물론, 바코드를 먼저 등록해두고 포장지에 등록된 바코드를 인쇄하고 바코드가 인쇄된 포장지로 포장을 수행하여도 된다.
그런 다음 그 패키지상품(AB)의 전시를 위해 마련한 위치에 패키지 상품을 전시한다(단계 7).
그 후 소비자가 그 패키지상품(AB)을 구매하기 위해 계산대로 가져오면, 바코드 스캐너로 바코드를 판독하고(단계 8), 대응되는 패키지상품(AB)의 가격 등 상품정보를 읽어 와서 그 가격을 포스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등으로 출력한다(단계 9).
계산원은 출력된 해당금액을 지불받고 그 패키지상품(AB)을 판매한다(단계 10).
상기와 같이 관련성이 있는 상품들을 묶어서 패키지 상품으로 판매하고자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많은 단점이 발생된다.
첫째, 상품A와 상품B를 묶어서 포장하여야 하는 데, 이에는 많은 인력과 시간 및 포장에 필요한 별도의 공간과 포장에 필요한 자재들이 소요된다.
둘째, 포장된 패키지 상품에 새로이 바코드를 등록하고 또 그 상품에 새로이 등록한 바코드를 인쇄하거나 인쇄된 라벨을 붙여야 하는 한다.
셋째, 패키지 상품의 전시에 필요한 공간을 별도로 마련하여야 한다. 대형 매장에서 이러한 새로운 상품의 전시 공간을 마련하는 것은 다른 제품의 전시상태를 변경해야하기 때문에 쉬운 일이 아니다.
넷째, 패키지 상품의 재고는 개별상품으로 원상회복하기 위해 다시 포장을 해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다섯째, 패키지 상품의 포장 및 해체 시 상품이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여섯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많은 단점들 때문에 관련 상품끼리 묶어서 기획상품으로 판매하고자하는 경우에도 그 수량을 많이 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단점 없이 쉽게 관련 상품끼리 묶어서 판매행사를 할 수 있는 상품 판매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상품 판매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방법은 복수의 상품들에 대하여 상품별로 적어도 그 상품에 대응되는 상품코드를 기억수단에 등록해두는 상품코드 등록단계, 상기 상품코드가 등록된 상품들 간의 연관정보를 설정해두는 연관정보 설정단계, 상기 연관정보에 의해 연관 상품으로 설정된 상품을 동시 구매 시 부여할 혜택기준을 설정하는 혜택기준 설정단계, 상기 상품들 유통점의 상품코드 리더기에서 판독된 소비자가 구매하고자하는 상품들 간의 상품코드의 연관정보를 탐색하는 연관정보 탐 색단계, 상기 판독된 상품코드들 중 서로 연관정보가 없는 것은 상기 판독된 상품에 제 1가격을 적용하고 서로 연관정보가 있는 것은 그 연관정보에 따라 설정된 혜택기준에 의한 제 2가격을 적용하여 상기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들에 대한 가격을 산출하는 상품가격 산출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혜택기준은 동종 상품의 개수에 따른 할인가격 또는 할인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관정보는 2종 이상의 상품들을 묶어서 패키지로 판매하기 위한 동일한 회사의 패키지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혜택기준은 상기 패키지상품에 적용된 할인율 또는 할인가격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연관정보는 2종 이상의 상품들을 묶어서 패키지로 판매하기 위한 2이상의 서로 다른 회사들의 패키지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혜택기준은 상기 패키지상품에 적용된 할인율 또는 할인가격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방법은 복수의 상품들에 대하여 상품별로 적어도 그 상품에 대응되는 상품코드를 기억수단에 등록해두는 상품코드 등록단계, 상기 상품코드가 등록된 상품들 간의 연관정보를 설정해두는 연관정보 설정단계, 상기 연관정보에 의해 연관 상품으로 설정된 상품을 동시 구매 시 부여할 혜택기준을 설정하는 혜택기준 설정단계, 상기 상품들 유통점의 상품코드 리더기에서 판독된 소비자가 구매하고자하는 상품들 간의 상품코드의 연관정보를 탐색하는 연관정보 탐 색단계 및 상기 판독된 상품코드들 중 서로 연관정보가 있는 것에 대해서는 그 연관정보에 따라 설정된 혜택기준을 적용하여 혜택을 실행하는 혜택실행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혜택기준은 상품 증정, 현금 지불, 포인트 적립, 할인 쿠폰 발행, 상품권 증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품코드는 상품에 표시된 바코드 또는 상품에 장착된 알에프아이디에 기록된 상품코드에 대응되는 정보이다.
상기 연관정보와 상기 연관정보에 따라 설정되는 혜택기준은 테이블 데이터로 저장되고,
상기 테이블은 행사상품 바코드 또는 알에프아이디 상품코드, 행사명칭, 행사상품 제조사, 행사 조건수량 , 행사 할인금액, 행사 시작일, 행사 종료일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행사등록 마스터 테이블과 행사상품 바코드 또는 알에프아이디 상품코드, 연계상품의 바코드 또는 알에프아이디 상품코드, 연계상품 제조사, 연계조건 수량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연계상품 테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품 판매방법으로 상품판매를 의뢰한 의뢰인에게 상기 상품 판매방법으로 판매한 상품의 판매결과를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매결과는 행사 일자, 행사상품 판매수량, 행사상품 판매금액, 연계상품 판매수량, 연계상품 판매금액에 대한 정보가 통보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시스템은 복수의 상품들에 대한 상품별 상품코드와 상품 관련정보가 저장된 제 1데이터베이스, 상기 제 1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되어 상 품별 상품코드와 상품 관련정보를 상기 제 1데이터베이스에 입력, 저장, 읽기, 변경, 삭제 등을 통해 상기 제 1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상기 상품코드가 등록된 상품들 간의 연관정보와 상기 연관정보에 따라 혜택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관리프로그램과 소비자가 구매하고자하는 상품의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상품코드 판독기로부터 인가되는 상품들 간의 상품코드의 연관정보를 탐색하여 상기 판독된 상품코드들 간에 연관정보가 없는 것은 상기 판독된 상품에 제 1가격을 적용하고, 상기 판독된 상품코드들 간에 연관정보가 있는 것은 그 연관정보에 따라 설정된 혜택기준에 의한 제 2가격을 적용하여 상기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들에 대한 전체가격을 산출하는 상품가격 산출프로그램이 설치된 제 1서버 및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의 상품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제 1서버로 인가하기 위한 상품코드 판독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상품 판매시스템은 포스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제 1서버는 유통가맹점서버이고,
상기 제 1서버와 상기 상품코드 판독기 사이에 포스데이터베이스를 갖는 포스시스템이 설치되고,
상기 포스시스템은 상기상품코드 판독기에서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제 1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 1서버로부터 산출된 상기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들에 대한 전체가격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행사대행사의 서버로서, 행사를 위한 상품별 상품코드와 상품 관련정보, 상품들 간의 연관정보와 상기 연관정보에 따라 설정된 혜택기준에 대한 정보를 데이 터베이스로 관리하고, 필요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행사관련 정보를 상기 제 1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제 2서버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품코드 판독기는 바코드 스캐너 또는 알에프아이디 리더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시스템은 복수의 상품들에 대한 상품별 상품코드와 상품 관련정보가 저장된 제 1데이터베이스, 상기 제 1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되어 상품별 상품코드와 상품 관련정보를 상기 제 1데이터베이스에 입력, 저장, 읽기, 변경, 삭제 등을 통해 상기 제 1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상기 상품코드가 등록된 상품들 간의 연관정보와 상기 연관정보에 따라 혜택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관리프로그램과 소비자가 구매하고자하는 상품의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제 1상품코드 판독기로부터 인가되는 상품들 간의 상품코드의 연관정보를 탐색하여 상기 판독된 상품코드들 간에 연관정보가 있는 것은 그 연관정보에 따라 설정된 혜택기준을 적용하여 혜택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제 1서버 및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의 상품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제 1서버로 인가하기 위한 제 1상품코드 판독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혜택의 실행은 쿠폰인쇄, 상품권인쇄, 포인트 적립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서, 인쇄되는 영수증에는 산출된 상품들의 가격과 연관상품 구매 시에 적용된 혜택 내역이 함께 인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코드를 이용한 상품의 판매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과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코드를 이용한 상품 판매방법에 따르는 경우 종래와는 달리 상품A, B를 별도로 포장하거나, 새로이 상품코드를 부여받아 등록하지 않아도 된다. 즉, 상품A, B에 부여되어 있는 상품코드를 등록해두고 패키지 판매 행사를 하고자하는 상품에 대한 연관정보와 그 연관정보에 따라 혜택기준을 설정한다(단계 21).
이러한 작업은 상품A, B를 진열대에 전시한 상태로 그대로 두고서도 가능하다. 즉, 해당상품을 회수하여 포장하거나 포장된 것을 다시 전시하는 과정이 필요치 않다.
소비자가 연관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상품코드 판독기로 소비자가 구매하고자하는 상품에 대한 상품코드를 판독한다(단계 22). 여기에서 상품코드 판독기로는 바코드 스캐너나 알에프아이디(RFID) 리더기 등이 될 수 있다.
상품코드 판독기에서 상품코드가 판독되면 그 상품코드에 대해 설정된 연관정보가 있는지를 탐색하고, 연관정보가 없는 상품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 1가격을 적용하고,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들 중 서로 연관정보가 있는 상품은 그 연관정보 따라 설정된 혜택기준에 따라 그 패키지 상품에 대한 가격을 적용하여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합계 가격을 산출하고 한편으로 디스플레이로 출력한다(단계 23).
단계 23에서 산출된 가격으로 소비자가 구매하고자하는 상품을 판매한다(단계 24).
즉, 본 발명의 상품 판매방법에 따르는 경우 개별상품들을 모아서 포장 후 바코드와 같은 상품코드를 새로이 부여하여 등록하고 그 상품코드를 패키지 상품에 부착하는 일련의 과정들 없이도 제품 생산자나 유통업자가 원하는 상품들을 패키지화하여 판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별상품으로 별도로 각각 구매할 때의 가격인 제 1가격이 3,000원인 치약과 2,000원인 칫솔이 있을 때, 치약만 구매할 때에는 3,000원을 받고, 칫솔만 구매할 때에는 2,000원을 받지만, 치약과 칫솔을 함께 구매하는 경우 제품의 합계가격의 20%인 1,000원이 할인된 금액인 4,000원을 받도록 가격을 낮추어 적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치약의 제 2가격이 2,000으로 설정되거나 칫솔의 제 2가격이 1,00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 치약의 제 2가격은 2,500원, 칫솔의 제 2가격은 1,500과 같은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고, 둘의 합계금액 4,000을 두 상품의 패키지 상품에 대한 할인된 제 2가격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치약과 칫솔은 연관 상품으로서, 패키지 상품이다. 상품의 개수나 상품의 가짓수는 더 증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같은 제품이라도 2개 이상 구입하는 경우에도 그 제품의 개수에 따라 할인율을 적용하거나 단가를 낮추어 가격을 적용할 수 있고, 같은 회사의 연관 상품들 끼리,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회사의 연관 상품들 끼리 별도의 포장 없이 패키지 상품으로 판매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코드를 이용한 상품 판매시스템이 포스시스템에 적용된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코드를 이용한 상품 판매시스템이 유통가맹점서버에 적용된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시스템(100)은 제 1데이터베이스(110)를 구비한다. 이 제 1데이터베이스(110)에는 패키지 상품으로 판매하기 위한 복수의 상품들에 대한 상품별 상품코드와 상품 관련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 제 1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정보는 뒤에서 설명되는 제 1서버(120)를 통해 관리되며, 상품코드와 상품 관련정보를 추가, 삭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경우에 따라 백화점이나 할인매장 등에서 판매하고 있는 다른 제품들, 즉 패키지 상품들과 관련이 없는 일반 상품들에 대한 상품코드와 상품관련 정보가 제 1데이터베이스(110)에 더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다른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데이터베이스(110)에 연결된 제 1서버(120)는 제 1데이터베이스(110)의 데이터를 관리함과 아울러 판촉행사에 사용될 상품들 간의 또는 패키지로 묶어서 판매하기 위한 상품들 간의 연관정보와 그 연관정보에 따른 혜택기준을 설정, 변경, 관리하고 그에 따라 상품 가격을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서버(120)는 제어부(121), 롬(122), 램(123), 그래픽카드(124), I/O카드(125), 랜카드 또는 모뎀(126) 및 하드디스크(127)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컴퓨터의 기본적인 하드웨어적 구성요소들의 역할과 기능은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제 1서버(120)에는 키입력수단(128)과 디스플레이(129)가 구비된다.
제 1서버(120)에는 바코드 스캐너(141) 또는 RFID 리더기(142)와 같은 제 1상품코드 판독기(140)가 연결된다. 이 제 1상품코드 판독기(140)는 경우에 따라 행사상품의 상품코드 등록에도 필요하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이 포스시스템에 구현된 경우, 제 1상품코드 판독기(140)는 기본적으로 소비자가 구매하기 위한 상품의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데에 사용되며, 제 1서버(120)에는 카드리더기(150), 영수증이나 쿠폰의 출력을 위한 프린터(160) 등이 더 설치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제 1서버(120)의 하드디스크(127)에는 OS프로그램(131), DB관리프로그램(132), 장치드라이버(133), 가격산출프로그램(134), 포인트관리 프로그램(135) 등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DB관리프로그램(132)은 본 발명의 기본적 과정들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으로서, 각 상품들 간의 연관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연관정보 설정부(132a), 설정된 연관정보에 따라 혜택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혜택기준 설정부(132b), 행사상품 상품코드 등록관리부(132c)를 구비한다.
가격산출프로그램(134)은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들의 합계가격을 산출하기 위한 것으로, 패키지 상품에 해당되지 않는 상품에 대해서는 제 1가격을 적용하고,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들 중에 서로 연관정보가 있는 상품들에 대해서는 그 연관정보에 따라 설정된 혜택기준에 따라 할인된 제 2가격을 적용하여 소비자가 구매하고자하는 상품들의 합계가격을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 가격산출프로그램(134)은 제 1상품코드 판독기(140)로부터 소비자가 구매하고자하는 상품코드들이 입력이 되면 그 입력된 상품코드들 간의 연관정보를 탐색하여 그 탐색결과에 따라 각 상품에 기본적으로 부여된 제 1가격을 적용하거나 혜택기준에 따라 설정된 제 2가격을 적용한다.
포인트 관리프로그램(135)은 연관정보에 따라 설정된 혜택기준이 포인트 적립에 대한 것이라면 가격할인 대신에 포인트를 적립해주는 역할을 한다.
혜택기준이 쿠폰발행 등이라면 쿠폰을 인쇄하는 프로그램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기타 연관정보에 따라 설정된 혜택기준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프로그램에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 기능의 프로그램은 하나의 프로그램에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경우에 따라 상기와 같은 프로그램은 하드디스크(127)에 설치되지 않고 다른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수행될 수 있고, 이 경우 하드디스크(127)가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상품 판매시스템이 포스시스템에서 구현된 경우, 제 1서버(120)에는 포스시스템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유통가맹점서버(170)에 접속되어 있을 수 있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이 유통가맹점 서버에 구현된 경우, 제 1서버(120)와 제 1상품판독기(140) 사이에는 포스시스템(180)이 설치되고, 제 1서버(120)에는 바코드 스캐너(146) 또는 RFID 리더기(147)와 같은 제 2상품코 드 판독기(14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포스시스템(180)에는 포스데이터베이스(183), 카드리더기(185), 프린터(187) 등이 더 설치된다.
도 3과 도 4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상품코드를 이용한 상품 판매시스템(100)의 각 기능은 포스시스템과 유통가맹점서버가 서로 연동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행사대행사가 제조업체 또는 유통업체로부터 패키지 상품 등의 상품판촉 행사 의뢰를 받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라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코드를 이용한 상품 판매시스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7 ~ 9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자료 테이블의 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품을 제조하는 제조업체(81)나 특정상품을 유통시키는 유통업체(82)로부터 A상품 구입 및 B상품(쿠폰 코드) 구입 시 소정 금액을 할인 해주거나 포인트 증정, A상품 구매 시 A상품 1개 더 구매 여부 확인 후 금액 할인 또는 증정상품 1개 증정, A상품 구매 시 A상품 2개 이상 더 구매 확인 후 A상품 금액 할인하거나 증정상품 2개 증정, 자사의 라면 구입 시 자사 즉석밥 1,000원 할인과 같은 자사 연관 상품을 패키지화하여 할인 판매, 맥주 구입 시 다른 회사의 안주 1,000원 할인과 같은 타사 연관 상품을 패키지화하여 할인 판매와 같은 판매촉진, 홍보 등의 행사를 행사 대행사(83)에서 의뢰를 받으면, 행사 대행사(83)는 행사 상품들의 상품코드를 바코드 등의 상품코드 판독기 또는 온라인수신, CD드라이버, 이동식하드디스크 드라이버,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버 등의 다른 입력수단을 통해 상품 판매시스템에 입력하여 등록한다. 그리고 행사 의뢰한 제조업체나 유통업체가 요구한 바에 따라 등록된 각 상품들 간의 연관정보와 연관정보에 따라 할인금액 또는 할인율, 쿠폰 발생, 상품증정, 포인트 적립과 같은 혜택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관련된 정보를 유통 가맹점(84)의 판매 시스템으로 제공하면 유통 가맹점(84)에서는 행사 대행사(83)에서 송신한 정보에 따라 카드사(85)와 카드정보 등을 송수신하면서 패키지 상품을 판매하고 그 결과를 행사 대행사(83)로 보고하면 행사 대행사(83)는 그 결과를 의뢰한 제조업체(81)나 유통업체(82)로 보고하고, 카드사(85)와도 행사와 관련된 데이터를 주고받는 과정으로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구현하기 위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시스템(200)을 구축할 수 있다. 즉, 유통가맹점서버(210) 또는 포스시스템(230)에 앞의 도 3 또는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시스템(100)을 구축하고, 인터넷이나 기타의 통신망(250)을 통해 행사대행사서버(270)를 연결하고, 행사대행사서버(270)에서 상품 제조업체나 유통업체로부터 앞의 도 5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행사 제품과 바코드 등의 상품코드정보, 연관정보, 연관정보에 따른 할인율이나 할인금액 및 기타 관련정보를 받아서 행사대행사서버(270)에 도 7과 8의 테이블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로 행사관련 정보를 입력하고, 이 정보를 통신망(250)을 통해 유통가맹점서버(210)로 송신하면 유통가맹점서버(210)와 포스시스템(230)은 그 정보를 공유 또는 송수신하면서 본 발명의 상품 판매방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상품 판매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행사대행사서버(270)에는 바코드 스캐너나 알에프아이디 리더기 등의 제 3상품코드 판독기(272)와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행사데이터베이스(274)가 더 구비될 수 있지만, 이는 없어도 상관없다. 그리고 유통가맹점서버(210)에는 각 매장에서 판매하기 위한 상품 및 그 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데이터와 행사대행사서버(27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 관리 및 처리하기 위한 유통가맹점데이터베이스(212)가 구비되고, 유통가맹점서버(210)는 매장의 각 포스시스템(230)과 연결되며, 각 포스시스템(230)에는 소비자가 구매하고자하는 상품의 상품코드를 판독하여 가격을 산출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이 프로그램이 필요한 데이터를 독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포스데이터베이스(232)가 구비된다. 이 포스데이터베이스(232)는 유통가맹점데이터베이스(212)와 자료를 공유하거나 유통가맹점서버(210)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자료갱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포스시스템(230)에 상품코드 판독기, 키보드 또는 터치스크린 형태의 키입력수단, 영수증을 출력하기 위한 프린터, 카드결제를 위한 카드리더기 등이 구비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는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각 데이터베이스들(274, 212, 232)에 입력되어 저장 및 송수신되는 자료 테이블은 도 7 ~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것은 행사등록 마스터테이블로서, 행사상품의 바코드 등의 상품코드, 행사명칭, 행사상품 제조사, 행사 조건수량, 행사 할인 또는 적립금액, 행사시작일, 행사종료일 등에 관한 데이터를 가진다. 여기에서, 행사 조건수량은 연 관 상품의 구입수량을 정하고자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데이터이고, 행사 할인 또는 적립금액은 혜택기준에 해당된다. 혜택기준은 할인율, 상품증정, 쿠폰발행 등 다른 형태로 정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의 연계상품 테이블은 행사상품 바코드 등의 상품코드, 연계상품의 상품코드, 연계상품 제조사, 연계 조건수량 등의 정보를 가진다. 여기에서 연계상품 상품코드는 연관정보이다.
본 발명의 상품 판매방법에 따라 상품을 판매한 후, 상품 제조업체 등 상품 판매행사를 의뢰한 의뢰인에게는 도 9의 유통가맹점 행사결과 테이블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행사기간, 행사상품의 상품코드, 행사상품 판매수량과 금액, 연계상품의 판매수량과 판매금액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형태로 행사결과를 알려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행사를 하고자하는 연관관계가 있는 상품들의 상품코드를 제 1데이터베이스(110)에 등록한다. 상품코드의 등록은 바코드 스캐너 등의 상품코드 판독기를 통해 입력받거나 행사대행사서버(270)에서 전송받거나 기타 이동형 기억수단과 그 리더기를 통해 입력받아 등록될 수 있다(단계 51).
그런 다음 행사를 하고자하는 상품과 연관 상품의 연관정보를 설정하고(단계 52), 그 연관정보에 따라 혜택기준을 설정한다(단계 53). 여기에서 연관정보라함은 같이 구매했을 때 혜택을 주고자하는 상품의 종류에 대한 정보이며, 같은 상품이 연관 상품으로 설정될 수 있다. 같은 상품인 경우 판매개수에 따라 혜택을 주는 방식으로 혜택기준이 설정될 수 있다.
혜택기준이라 함은 연관 상품을 같이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주는 혜택에 대한 기준으로, 할인가격, 할인율, 포인트 적립, 쿠폰발행 등이 될 수 있다. 같은 상품인 경우 구매개수에 따라 혜택기준이 달리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정이 완료된 후, 소비자가 상품들을 구매하고자하는 경우, 포스시스템의 바코드 스캐너나 알에프아이디 리더기 등의 제 1상품코드 판독기(140)로 상품코드를 판독한다(단계 54). 상품코드가 제 1상품코드 판독기(140)를 통해 제 1서버(120)로 입력되면 입력된 상품코드들 간에 서로 연관정보가 있는 상품인지를 탐색한다(단계 55). 물론, 같은 상품에 대해 연관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신의 상품코드가 연관정보로 등록될 수 있고, 혜택기준은 그 상품의 구매 개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단계 55의 수행결과 소비자가 구매하고자하는 상품 중에 서로 연관정보가 설정된 상품이 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56), 서로 연관정보가 설정된 상품이 있으면 그 연관정보에 따라 설정된 혜택기준을 읽어와 해당상품에 대해서는 그 혜택기준에 따른 가격을 적용한다(단계 57).
단계 55의 수행결과 소비자가 구매하고자하는 상품 중에 서로 연관정보가 설정된 상품이 없으면 그 상품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제 1가격을 적용한다(단계 58).
통상적으로, 소비자가 구매하고자하는 상품의 상품코드는 순차적으로 판독되어 입력되기 때문에, 상기 단계 56 ~ 단계 58은 현재 판독되어 입력되는 상품코드에 연관정보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먼저 판단하고 설정된 연관정보가 있는 상품이면 먼저 입력된 상품코드들 중에 연관정보로 설정된 상품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연관 상품이 있으면 혜택기준이 적용된 가격을 적용하고, 설정된 연관정보가 없거나 설정된 연관정보가 있더라도 이전 입력된 상품들 중에 연관 상품이 없는 경우에는 해당상품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할인되지 않은 제 1가격을 적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의 단계 56 ~ 단계 58은 경우에 따라 소비자가 구매하고자하는 상품들에 대해 먼저 제 1가격을 적용하여 계산하고, 혜택기준이 적용될 수 있는 상품이 있는지를 탐색하여 해당되는 상품들이 있으면 혜택기준을 적용하여 제 1가격을 적용하여 계산한 금액에 혜택기준이 적용된 제 2가격을 적용한 금액의 차이만큼의 금액을 감해주는 과정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상품코드의 판독기술이 더 발전되어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들의 상품코드를 동시에 판독할 수 있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는 데, 이 경우에도 앞에서 설명한 두 가지 방식 중 원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소비자가 구매하고자하는 상품들에 대한 전체 합계금액을 산출하고(단계 59), 그 금액을 소비자로부터 수령하고 상품들을 판매하고(단계 60), 종료한다.
상기와 같이 하는 경우 상품들을 모아서 별도로 포장하고, 새로운 상품코드를 부여하여 등록하고 새로이 상품을 전시하고, 미판매 패키지 상품을 다시 해체하는 등의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1은 혜택기준 적용과정을 더 구체화하여 나타낸 순서도이다.
즉, 판매하고자하는 상품의 바코드가 스캐닝 되어 입력되면(단계 64), 패키 지 상품 판매행사 등을 위해 등록된 연관정보를 가지는 바코드인가를 판단하고(단계 65), 등록된 바코드이면 유효기간 내의 것인지를 판단하고(단계 66), 단계 66의 수행결과 유효기간 내의 것이면 구매한 상품 중 연관 상품을 구매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67), 상호 연관된 연관 상품을 구매했으면 구입수량이 행사조건수량 이상인지를 판단하고(단계 68)하여 모두 만족하는 경우 할인된 금액인 제 2가격을 적용한다(단계 69). 상기의 조건들을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으면 할인되지 않은 제 1가격을 적용한다(단계 70).
단계 69와 70을 적용하여 소비자가 구매하고자하는 전체 상품에 대해 정산된 전체 합계금액을 산출하고, 필요한 곳으로 그 정보를 전송하고 종료한다(단계 71).
도 12는 회원카드 소지자에 대한 혜택 적용과정을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로서, 회원카드 스캐닝과정(단계 71), 등록된 카드인지 확인하는 과정(단계 72), 정산된 금액에 대한 정보 또는 포인트 적립 정보를 필요한 곳으로 전송하는 과정(단계 73)에서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는 도 11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품코드를 이용한 상품 판매방법 또는 상품 판매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개별상품을 별도로 모아서 포장할 필요가 없고, 포장에 따른 포장지 등의 각종 재료, 포장을 위한 공간, 시간 및 인력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는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포장된 제품에 다시 별도의 상품코드를 부여하고, 부연된 상품코드를 등록하고, 전시하는 번거로운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개별상품의 포장, 미판매제품의 포장 해체과정에서 제품이 파손되는 단점이 없어진다.
상기와 같은 장점이 있는 본 발명은 기획자가 연관 상품끼리의 묶어서 패키지 상품으로 판매하는 행사를 마음대로 기획할 수 있도록 해준다.

Claims (16)

  1. 복수의 상품들에 대하여 상품별로 적어도 그 상품에 대응되는 상품코드를 기억수단에 등록해두는 상품코드 등록단계;
    상기 상품코드가 등록된 상품들 간의 연관정보를 설정해두는 연관정보 설정단계;
    상기 연관정보에 의해 연관 상품으로 설정된 상품을 동시 구매 시 부여할 혜택기준을 설정하는 혜택기준 설정단계;
    상기 상품들 유통점의 상품코드 리더기에서 판독된 소비자가 구매하고자하는 상품들 간의 상품코드의 연관정보를 탐색하는 연관정보 탐색단계; 및
    상기 판독된 상품코드들 중 서로 연관정보가 없는 것은 상기 판독된 상품에 제 1가격을 적용하고 서로 연관정보가 있는 것은 그 연관정보에 따라 설정된 혜택기준에 의한 제 2가격을 적용하여 상기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들에 대한 가격을 산출하는 상품가격 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혜택기준은 동종 상품의 개수에 따른 할인가격 또는 할인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정보는 2종 이상의 상품들을 묶어서 패키지로 판매하기 위한 동일한 회사의 패키지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혜택기준은 상기 패키지상품에 적용된 할인율 또는 할인가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정보는 2종 이상의 상품들을 묶어서 패키지로 판매하기 위한 2이상의 서로 다른 회사들의 패키지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혜택기준은 상기 패키지상품에 적용된 할인율 또는 할인가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방법.
  5. 복수의 상품들에 대하여 상품별로 적어도 그 상품에 대응되는 상품코드를 기억수단에 등록해두는 상품코드 등록단계;
    상기 상품코드가 등록된 상품들 간의 연관정보를 설정해두는 연관정보 설정단계;
    상기 연관정보에 의해 연관 상품으로 설정된 상품을 동시 구매 시 부여할 혜택기준을 설정하는 혜택기준 설정단계;
    상기 상품들 유통점의 상품코드 리더기에서 판독된 소비자가 구매하고자하는 상품들 간의 상품코드의 연관정보를 탐색하는 연관정보 탐색단계; 및
    상기 판독된 상품코드들 중 서로 연관정보가 있는 것에 대해서는 그 연관정보에 따라 설정된 혜택기준을 적용하여 혜택을 실행하는 혜택실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혜택기준은 상품 증정, 현금 지불, 포인트 적립, 할인 쿠폰 발행, 상품권 증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코드는 상품에 표시된 바코드 또는 상품에 장착된 알에프아이디에 기록된 상품코드에 대응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방법.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정보와 상기 연관정보에 따라 설정되는 혜택기준은 테이블 데이터로 저장되고,
    상기 테이블은 행사상품 바코드 또는 알에프아이디 상품코드, 행사명칭, 행사상품 제조사, 행사 조건수량 , 행사 할인금액, 행사 시작일, 행사 종료일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행사등록 마스터 테이블과 행사상품 바코드 또는 알에프아이디 상품코드, 연계상품의 바코드 또는 알에프아이디 상품코드, 연계상품 제조사, 연계조건 수량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연계상품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방법.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판매방법으로 상품판매를 의뢰한 의뢰인에게 상기 상품 판매방법으로 판매한 상품의 판매결과를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매결과는 행사 일자, 행사상품 판매수량, 행사상품 판매금액, 연계상 품 판매수량, 연계상품 판매금액에 대한 정보가 통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방법.
  10. 복수의 상품들에 대한 상품별 상품코드와 상품 관련정보가 저장된 제 1데이터베이스;
    상기 제 1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되어 상품별 상품코드와 상품 관련정보를 상기 제 1데이터베이스에 입력, 저장, 읽기, 변경, 삭제 등을 통해 상기 제 1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상기 상품코드가 등록된 상품들 간의 연관정보와 상기 연관정보에 따라 혜택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관리프로그램과 소비자가 구매하고자하는 상품의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상품코드 판독기로부터 인가되는 상품들 간의 상품코드의 연관정보를 탐색하여 상기 판독된 상품코드들 간에 연관정보가 없는 것은 상기 판독된 상품에 제 1가격을 적용하고, 상기 판독된 상품코드들 간에 연관정보가 있는 것은 그 연관정보에 따라 설정된 혜택기준에 의한 제 2가격을 적용하여 상기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들에 대한 전체가격을 산출하는 상품가격 산출프로그램이 설치된 제 1서버; 및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의 상품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제 1서버로 인가하기 위한 상품코드 판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판매시스템은 포스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서버는 유통가맹점서버이고,
    상기 제 1서버와 상기 상품코드 판독기 사이에 포스데이터베이스를 갖는 포스시스템이 설치되고,
    상기 포스시스템은 상기상품코드 판독기에서 판독된 상품코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제 1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 1서버로부터 산출된 상기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들에 대한 전체가격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행사대행사의 서버로서, 행사를 위한 상품별 상품코드와 상품 관련정보, 상품들 간의 연관정보와 상기 연관정보에 따라 설정된 혜택기준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고, 필요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행사관련 정보를 상기 제 1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제 2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시스템.
  14. 제 10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코드 판독기는 바코드 스캐너 또는 알에프아이디 리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방법.
  15. 복수의 상품들에 대한 상품별 상품코드와 상품 관련정보가 저장된 제 1데이 터베이스;
    상기 제 1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되어 상품별 상품코드와 상품 관련정보를 상기 제 1데이터베이스에 입력, 저장, 읽기, 변경, 삭제 등을 통해 상기 제 1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상기 상품코드가 등록된 상품들 간의 연관정보와 상기 연관정보에 따라 혜택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관리프로그램과 소비자가 구매하고자하는 상품의 상품코드를 판독하는 제 1상품코드 판독기로부터 인가되는 상품들 간의 상품코드의 연관정보를 탐색하여 상기 판독된 상품코드들 간에 연관정보가 있는 것은 그 연관정보에 따라 설정된 혜택기준을 적용하여 혜택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제 1서버; 및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의 상품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제 1서버로 인가하기 위한 제 1상품코드 판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혜택의 실행은 쿠폰인쇄, 상품권인쇄, 포인트 적립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시스템.
KR1020060040979A 2006-05-08 2006-05-08 상품코드를 이용한 상품 판매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04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979A KR100804373B1 (ko) 2006-05-08 2006-05-08 상품코드를 이용한 상품 판매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979A KR100804373B1 (ko) 2006-05-08 2006-05-08 상품코드를 이용한 상품 판매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659A true KR20070108659A (ko) 2007-11-13
KR100804373B1 KR100804373B1 (ko) 2008-02-15

Family

ID=3906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979A KR100804373B1 (ko) 2006-05-08 2006-05-08 상품코드를 이용한 상품 판매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37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160A (ko) * 2015-04-28 2016-11-07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018236A (ko) * 2017-08-14 2019-02-22 박우천 상품 패키지 가격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85804B1 (ko) * 2021-08-12 2022-04-14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번들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395740B1 (ko) * 2021-09-16 2022-05-10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456058B1 (ko) * 2021-10-08 2022-10-19 쿠팡 주식회사 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051002A (ko) * 2021-10-08 2023-04-17 주식회사 코리아세븐 증정 상품 보관 방법, 증정 상품 보관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WO2023101043A1 (ko) * 2021-11-30 2023-06-08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판매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정보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790B1 (ko) 2013-08-19 2014-08-11 배기정 고정가 패키지 상품의 판매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2053B2 (ja) * 1993-05-28 2000-03-15 富士通株式会社 Posターミナル装置
KR20000064054A (ko) * 2000-08-18 2000-11-06 서보원 전자상거래에서의 패키지 상품 할인 판매 방법
KR100395419B1 (ko) * 2000-10-02 2003-08-21 주식회사 에스에이치티 상품의 유통기간에 기초한 판매가격 결정방법 및 시스템
KR20040077007A (ko) * 2003-02-27 2004-09-04 서영현 구매물품 할인적용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03724A (ko) * 2003-07-04 2005-01-12 학교법인 동의학원 다중판매가격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160A (ko) * 2015-04-28 2016-11-07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12134B1 (ko) 2015-04-28 2017-03-03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018236A (ko) * 2017-08-14 2019-02-22 박우천 상품 패키지 가격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85804B1 (ko) * 2021-08-12 2022-04-14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번들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WO2023017892A1 (ko) * 2021-08-12 2023-02-16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번들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395740B1 (ko) * 2021-09-16 2022-05-10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23042949A1 (ko) * 2021-09-16 2023-03-23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456058B1 (ko) * 2021-10-08 2022-10-19 쿠팡 주식회사 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3058802A1 (ko) * 2021-10-08 2023-04-13 쿠팡 주식회사 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051002A (ko) * 2021-10-08 2023-04-17 주식회사 코리아세븐 증정 상품 보관 방법, 증정 상품 보관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WO2023101043A1 (ko) * 2021-11-30 2023-06-08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판매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정보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373B1 (ko) 2008-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4189B1 (en) Universal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rices and rewards within retail transactions
KR0119463B1 (ko) 판매시점 정보관리 단말장치(point-of-sale terminal)
KR100804373B1 (ko) 상품코드를 이용한 상품 판매방법 및 그 시스템
EP1181676B1 (en) Printing of purchasing incentives throughout various departments of a retail store
CA2709910C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ple in-lane lottery ticket sales at a retail establishment
JP2009015661A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JP2011100371A (ja) Posシステム
JP2004303015A (ja) 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料金算出方法
JP5088910B1 (ja) 販売データ管理サーバ、販売データ管理システム、販売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及び販売データの管理方法
US20030074254A1 (en) Data collecting method
JP3922104B2 (ja) ポイント管理装置、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ポイント管理方法、およびポイント管理プログラム
JP5523490B2 (ja) 情報処理装置、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及びポイント管理方法
JP5913235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010535A (ja) 商品販売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5577301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及び献立特典プログラム
JP5904589B2 (ja) 販売データ管理サーバ、販売データ管理システム、販売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及び販売データの管理方法
JP2000172957A (ja) 商品販売登録データ処理装置
JP2009110134A (ja) キャッシュレジスタシステム
JP2019197448A (ja) クーポン発行システム
JP3142367B2 (ja) 割引クーポン券発行方法及び装置
CA2805103A1 (en) A customer's coming-to-a-store acceleration system
JP5400178B2 (ja) Posレジスタ装置、posレジスタ装置によるサービス提供指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Li et al. Mining paths and transactions data to improve allocating commodity shelves in supermarket
JP2002074516A (ja) 購入実績管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H0785369A (ja) Pos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