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8372A - 기체 배출 마개, 축받이 장치 및 축받이 - Google Patents

기체 배출 마개, 축받이 장치 및 축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8372A
KR20070108372A KR1020077018150A KR20077018150A KR20070108372A KR 20070108372 A KR20070108372 A KR 20070108372A KR 1020077018150 A KR1020077018150 A KR 1020077018150A KR 20077018150 A KR20077018150 A KR 20077018150A KR 20070108372 A KR20070108372 A KR 20070108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metal annular
elastic
gas discharg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8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1637B1 (ko
Inventor
야스히코 시미즈
유키히로 타케다
히로후미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에누티에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44262A external-priority patent/JP489641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539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234149A/ja
Application filed by 에누티에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에누티에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8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8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3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38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0013Hub caps
    • B60B7/002Hub caps being of the ventilated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3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38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rollers
    • F16C19/383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rollers with tapered rollers, i.e. rollers having essentially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 F16C19/385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rollers with tapered rollers, i.e. rollers having essentially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with two rows, i.e. double-row tapered roller bearings
    • F16C19/38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rollers with tapered rollers, i.e. rollers having essentially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with two rows, i.e. double-row tapered roller bearings in O-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58Raceways; Race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26Sealings with means to vent the interior of the b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10Railway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16C33/7803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suited for particular types of rolling bearings
    • F16C33/7813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suited for particular types of rolling bearings for tapered roller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체 배출 마개(11)는, 축받이 공간과 통하는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되고, 금속 고리형상체(12)와, 금속 고리형상체(12)와 일체로 되고, 통형상이고, 그 통의 한쪽의 단면(16)에서 통의 축방향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온 벤트부(14)를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 통형상체(13)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 통형상체(13)의 한쪽의 단면(16)에 벤트부(14)를 둘러싸도록 원주형상 홈(17)이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기체 배출 마개의 구멍형상부에의 장착에 있어서 조임값이 커지는 경우가 있어도 작동압의 변동이 없어진다.

Description

기체 배출 마개, 축받이 장치 및 축받이{GAS VENT PLUG, BEARING DEVICE, AND BEARING}
본 발명은, 철도차량, 산업기계 등에 사용되는 기체 배출 마개, 축받이(bearing) 장치 및 축받이에 관한 것이다.
철도차량에 이용되는 차축 축받이는 축 케이스의 컴팩트화 또는 보수·자유화에 의해 밀봉형 원추 구름 축받이가 주류로 되어 있다. 밀봉화됨으로서, 장기 또는 고속으로의 운전시, 축받이 내 내압의 상승에 기인하는 축받이 내 온도 상승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조건에 따라서는 축받이용 오일 실에도 악영향을 미쳐 오일 실 자체의 발열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축받이 내 온도 상승이나 실 자체의 발열을 방지할 목적으로, 축받이 내 내압 상승을 회피하기 위해 기체 배출 마개가 마련되어 있다. 기체 배출 마개 및 그것을 장착한 축받이 장치의 구조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몇 가지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6-248908호 공보(특허 문헌 1)에는 일반적인 벤트(vent) 구조가 나타내여지고, 또한 일본 특개2003-294047호 공보(특허 문헌 2)에는 축받이 자체에 벤트가 마련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6-248908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3-294047호 공보
종래의 축받이에 있어서의 기체 배출 마개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 배출 마개(111)의 외경, 즉 금속 고리(112)에 피복된 고무(113)와, 도시하지 않은 외륜 또는 내륜에 고정된 패킹 링 등에 마련된 구멍(125)과의 감합에 의해 기체 배출 마개가 이탈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지금까지, 상기 금속 고리를 피복하는 고무의 찌부러지는 양(조임값)(d), 또는 찌부러지는 율을 늘리는 방향에서 생산성이나 가공 코스트면의 개선을 도모하여 왔다. 즉 구멍의 가공 치수의 편차의 허용 범위를 확대하여 가공 코스트를 저감하는 한편으로, 고무의 조임값을 늘림에 의해 기체 배출 마개의 구멍 내부에의 장착력을 증대하여 이탈의 방지를 도모하여 왔다.
그러나, 기체 배출 마개의 벤트부(114)의 슬릿(불연속부) 등이 열려서 압력이 개방되는 작동압을 편차 없이 소정 범위 내로 하기 위해서는, 조임값을 늘리는 것은 반드시는 바람직하지는 않다. 이 때문에, 고무의 통 몸체부(胴)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구멍 지름이 하한으로 되고, 구멍에 장착할 때의 고무 몸통부의 조임값이 커지는 경우가 있어도, 소정 범위 내의 작동압을 얻을 수 있는 기체 배출 마개나 축받이 장치의 개발이 요망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구멍에 장착할 때의 고무 몸통부의 조임값이 커지는 경우가 있어도, 작동압의 편차를 소정 범위 내로 할 수 있는 축받이의 기체 배출 마개, 축받이 장치 및 축받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축받이에 있어서의 기체 배출 마개는, 통형상의 고무의 내측에 금속 고리와 일체로 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 배출 마개의 외측, 즉 금속 고리를 피복하는 고무와, 외륜 또는 내륜에 고정된 패킹 링 등에 마련된 구멍과의 감합에 의해 장착된 공기 배출 마개가 이탈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감합면에서의 조임값 확보를 위해, 구멍 가공의 허용차는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다. 특히 축받이 본체에 공기(기체) 배출 마개를 부착하는 경우는, 축받이 본체의 열처리에 의한 변형을 고려하면 보다 엄격한 허용차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생산성 및 가공 코스트면에서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체 배출 마개 장착의 구멍 가공에 필요로 하는 공수 및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는 축받이의 기체 배출 마개, 축받이 장치 및 축받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따른 축받이의 기체 배출 마개는, 외륜과 내륜에 끼워져서 전동체가 위치하는 축받이 공간과 통하는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되고, 금속 고리형상체와, 금속 고리형상체와 일체로 되고, 통형상이고, 그 통의 한쪽의 단면에서 통의 축방향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온 벤트부를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 통형상체를 구비한다. 그리고 탄성 통형상체의 한쪽의 단면에 벤트부를 둘러싸도록 원주형상의 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되는 탄성 통형상체의 조임값이 증대하여도, 탄성 통형상체의 탄성 재료가 벤트부 방향으로 변형하는 것이, 상기 원주형상의 홈에서 블록된다. 이 때문에, 벤트부의 슬릿(불연속부)에 그 슬릿을 닫는 방향으로 작용한 탄성체의 움직임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조임값이 증대하는 일이 있어도 소정 범위 내의 작동압으로 불연속부가 개방된다. 상기한 탄성 통형상체는, 고무, 탄성 수지 등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벤트부에는 그 비어져 나온 꼭데기부에 선형상 슬릿, 점형상 슬릿 등의 불연속부가 마련되고, 축받이 공간의 압력 상승에 응하여 소정의 작동압에서 개방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기체 배출 마개는, 외륜과 내륜에 끼워져서 전동체가 위치하는 축받이 공간과 통하는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되고, 금속 고리형상체와, 금속 고리형상체와 일체로 되고, 통형상이고, 그 통의 한쪽의 단면에서 통의 축방향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온 벤트부를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 통형상체를 구비한다. 그리고 탄성 통형상체의 통 몸체부와 한쪽의 단면과의 경계 영역인 견부(肩部)에, 그 견부에서의 두께가 통 몸체부의 두께보다 얇아질 정도의 면취부(모따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조임값이 증대하여도 면취부에서 몸통부로부터의 탄성체의 움직임이 억제되고, 벤트부에 마련된 슬릿에 가하여지는 개방 저지 작용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면취부를 갖는 기체 배출 마개에 관해서는, 또한, 탄성 통형상체의 벤트부의 주위의 한쪽의 단면의 두께는 통 몸체부의 두께보다 얇고, 면취부의 두께는 그 벤트부의 주위의 한쪽의 단면의 두께와 같은 정도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장착에서 조임값 증대에 기인하는 탄성 통형상체의 벤트부에의 움직임의 증대 억제를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국면에 따른 기체 배출 마개는, 외륜과 내륜에 끼워져서 전동체가 위치하는 축받이 공간과 통하는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되고, 금속 고리형상체와, 금속 고리형상체와 일체로 되고, 통형상이고, 그 통의 한쪽의 단면에서 통의 축방향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온 벤트부를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 통형상체를 구비한다. 그리고 탄성 통형상체의 벤트부의 주위의 단면에서의 두께가, 통 몸체부의 두께의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상기 구멍형상부 내에의 장착에서 조임값 증대에 기인하는 탄성체의 흐름 증대는, 벤트부의 주위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벤트부의 슬릿 등 불연속부에 까지 미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벤트부에서의 불연속부를 닫는 작용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기체 배출 마개에 있어서, 금속 고리형상체는, 그 단부에 내경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내측 연부(緣部)를 가지며, 그 내측 연부가 탄성 통형상체의 벤트부가 배치된 단면의 내면에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축받이 공간의 내압을 보다 민감하게 벤트부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 몸체부에서 생기는 조임값 증대에 기인하는 탄성체의 움직임 증대를 벤트부 꼭데기부에 위치하는 슬릿 등 불연속부에 까지 미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벤트부의 방향으로의 금속 고리형상체에 대한 어긋남을 억제하도록, 탄성 통형상체에, 금속 고리형상체의 단연부(端緣部)에 계지하는 계지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조임값이 증대하여도 장착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의 움직임의 억제에 도움이 된다. 또한, 벤트부가 배치된 단면의 내면측에, 금속 고리형상체의 내측 연부에 내경측으로부터 계지하는 계지 플랜지를 갖아도 좋다. 이 계지 플랜지에 의해, 조임값을 증대시켜도 보다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탄성체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벤트부의 주위의 단면에 원주형상의 홈이 배치된 구성에 있어서, 원주형상의 홈은, 축방향에 따라서 보아 내측 연부에 겹쳐지도록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탄성 통형상체의 조임값 증대에 기인하는 벤트부 방향으로의 변형의 증대를 한층 더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도록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따른 축받이 장치는, 고정 부재에 의해 회전축에 고정되는 내륜과, 외륜과, 내륜과 외륜에 의해 끼워지는 축받이 공간에 위치하는 전동체와, 축받이 공간을 밀폐(seal)하는 실 부재와, 외륜, 실 부재, 내륜 및 고정 부재의 어느 하나의 부재 내 또는 외륜, 실 부재, 내륜 및 고정 부재의 어느 하나의 부재에 부착된 부재 내에 마련되고, 상기 축받이 공간과 통하는 구멍형상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그 구멍형상부 내에, 상기에서 들었던 모든 기체 배출 마개중의 어느 하나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상기 축받이 장치에서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기체 배출 마개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탄성 통형상체의 통 몸체부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조임값을 크게 한 다음, 장기간 연속 운전하여도, 나아가서는 고속 운전을 계속하여도 축받이 내의 내압의 상승이 생기지 않도록, 상기 구멍형상부 내에 배치한 기체 배출 마개가, 기대하는 바와 같은 작동압으로 작동한다. 이 결과, 가공 코스트 등을 억제한 다음 기대하는 바와 같이 내압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따른 축받이는, 외륜, 내륜, 및 상기 외륜과 내륜에 끼워진 전동체가 위치하는 축받이 공간에 통하는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되는 기체 배출 마개를 구비하고 있다. 그 기체 배출 마개는, 금속 고리형상체와, 금속 고리형상체와 일체로 되고, 통형상이고, 그 통의 한쪽의 단면에서 통의 축방향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온 벤트부를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 통형상체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그 탄성 통형상체는, 금속 고리형상체와 일체로 되어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통 몸체부의 두께가, 구멍형상부의 지름과 금속 고리형상체의 외경과의 차두께(差厚)의 105% 이상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축받이에서는, 상기한 탄성 통형상체는, 금속 고리형상체와 일체로 되어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통 몸체부의 두께가 금속 고리형상체의 통 몸체부의 두께의 95% 이상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서는, 축받이 자체에 구멍형상부를 마련하고, 그 구멍형상부에 기체 배출 마개를 장착한다. 또한, 탄성 통형상체는, 금속 고리형상체와 일체로 되어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통 몸체부의 두께가, 구멍형상부의 지름과 금속 고리형상체의 외경과의 차두께의 105% 이상이거나, 또는 금속 고리형상체의 통 몸체부의 두께의 95% 이상이기 때문에,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할 때 조임값을 크게 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축받이에 마련한 구멍형상부의 지름의 가공 허용차를 완화할 수 있고, 가공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축받이 장치는, 고정 부재에 의해 축에 고정되는 내륜과, 외륜과, 내륜과 외륜에 의해 끼워지는 축받이 공간에 위치하는 전동체와, 축받이 공간을 밀폐하는 실 부재와, 외륜, 실 부재, 내륜 및 고정 부재의 어느 하나의 부재 내 또는 외륜, 실 부재, 내륜 및 고정 부재의 어느 하나의 부재에 부착된 부재 내에 마련되고, 축받이 공간과 통하는 구멍형상부와, 그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되는 기체 배출 마개를 구비한 축받이 장치이다. 그 기체 배출 마개는, 금속 고리형상체와, 금속 고리형상체와 일체로 되고, 통형상이고, 그 통의 한쪽의 단면에서 통의 축방향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온 벤트부를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 통형상체를 구비한다. 그리고, 그 탄성 통형상체는, 금속 고리형상체와 일체로 되어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통 몸체부의 두께가, 구멍형상부의 지름과 금속 고리형상체의 외경과의 차두께의 105% 이상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국면에 따른 축받이 장치로는, 상기한 탄성 통형상체는, 금속 고리형상체와 일체로 되어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통 몸체부의 두께가 금속 고리형상체의 통 몸체부의 두께의 95% 이상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서는, 축받이 공간과 통하는 축받이 장치의 상기 개소에 구멍형상부를 마련하고, 그 구멍형상부에 기체 배출 마개를 장착한다. 또한, 탄성 통형상체는, 금속 고리형상체와 일체로 되어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통 몸체부의 두께가, 구멍형상부의 지름과 금속 고리형상체의 외경과의 차두께의 105% 이상이거나, 또는 금속 고리형상체의 통 몸체부의 두께의 95% 이상이기 때문에,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할 때 조임값을 크게 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축받이 장치에 마련한 구멍형상부의 지름의 가공 허용차를 완화할 수 있고, 가공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국면에 따른 기체 배출 마개는, 축받이의 외륜과 내륜에 끼워져서 전동체가 위치하는 축받이 공간에 통하는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되는 기체 배출 마개이다. 그 기체 배출 마개는, 금속 고리형상체와, 금속 고리형상체와 일체로 되고, 통형상이고, 그 통의 한쪽의 단면에서 통의 축방향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온 벤트부를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 통형상체를 구비한다. 그리고, 탄성 통형상체는, 금속 고리형상체와 일체로 되어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통 몸체부의 두께가 금속 고리형상체의 통 몸체부의 두께의 95% 이상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서는, 탄성 통형상체는, 금속 고리형상체와 일체로 되어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통 몸체부의 두께가 금속 고리형상체의 통 몸체부의 두께의 95% 이상이기 때문에, 장착선의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할 때 조임값을 크게 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축받이 또는 축받이 장치에 마련하는 구멍형상부의 지름의 가공 허용차를 완화할 수 있고, 가공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축받이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다른 축받이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기체 배출 마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다른 기체 배출 마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또다른 기체 배출 마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기체 배출 마개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기체 배출 마개를 구멍형상부에 장착하기 전후의 기체 배출 마개의 외경과 구멍 지름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기체 배출 마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비교예 1의 시험체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비교예 2의 시험체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결과(각 시험체의 조임값과 작동압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의 비교예 B의 기체 배출 마개를 예시하는 도면.
도 13은 종래에 있어서의 축받이의 기체 배출 마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륜 2 : 원추 굴림대(전동체)
3 : 외륜 4 : 지지기
5 : 실 기부 6, 6a : 립
6b : 보강판 9 : 축받이 공간
10 : 축받이 장치 11, 111 : 기체 배출 마개
12 : 금속 고리형상체 12e : 내측 연부
13 : 탄성 통형상체 14, 114 : 벤트부
15 : 통 몸체부 16 : 단면
17 : 원주형상 홈 18 : 면취부
19 : 실 부재 21 : 계지 플랜지
22 : 계지부 25 : 구멍형상부
31, 31a, 31b, 32 : 고정 부재 50 : 회전축
50a : 회전축 견부 112 : 금속 고리
113 : 고무 125 : 구멍
t, t2 : 통 몸체부 두께 t1 : 단면 두께
ts1 : 면취부 두께
ts2 : 금속 고리형상체 외경과 구멍형상부 지름과의 차두께
tm : 금속 고리형상체의 통 몸체부 두께
d : 조임값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축받이 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축받이 장치(10)는, 회전축(50)의 주위에 접하여 위치하는 내륜(1)과, 그 외측에 배치된 외륜(3)과, 내륜(1)과 외륜(3) 사이의 축받이 공간(9) 내에 지지기(4)에 의해 지지된 원추 굴림대(전동체)(2)와, 외륜(3)에 부착되고, 축받이 공간에 주입되는 오일을 밀폐(seal)하는 실 부재(19)와, 이 축받이 장치(10)를 회전축(5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31, 32)를 구비한다. 축받이 공간(9)의 압력이 상승한 때에 가스를 빼는 기체 배출 마개(11)는, 외륜(3)에 마련된 구멍형상부(25)에, 감입 구조에 의해 빠져나오지 않도록 수납되어 있다.
상기한 실 부재(19)는, 외륜(3)에 부착된 실 기부(5)와 그 실 기부(5)에 일체화된 탄성 재료로 형성된 립(6)을 구비한다. 립(6)은, 스프링이 들어간 고무나, 보강용 금속판이 포함되는 것 등, JIS B 2402(오일 실)에 규정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립(6)은, 회전축(50)이 회전할 때, 회전하는 고정 부재(31 또는 32)와 활주한다.
축받이 장치(10)의 회전축에의 고정은, 회전축에 나사결합하는 도시되지 않은 나사부품에 의해, 고정 부재(32)에 힘(P)을 회전축(50)의 견부(50a)를 향하는 방향으로 인가하여, 내륜(1)을 회전축의 견부(50a)에 닿게 하여 이동할 수 없는 고정 부재(31)에 꽉 누름에 의해 행한다. 이 고정에 의해, 회전축(50)의 회전에 수반하고, 내륜(1), 고정 부재(31, 32)가 회전한다.
상기 도 1은, 축받이의 부재인 외륜 내에 구멍형상부를 마련하고, 그중에 감입 구조로 기체 배출 마개를 감입한 구조를 취하였지만, 다음에 예시하는 도 2의 축받이 장치에서는, 축받이와는 별체의 부재, 고정 부재에 기체 배출 마개를 배치한 구조를 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축받이 장치(10)는, 회전축(50)의 주위에 접하여 위치하는 내륜(1)과, 그 외측에 배치된 외륜(3)과, 내륜(1)과 외륜(3) 사이의 축받이 공간(9) 내에 지지기(4)에 의해 지지된 원추 굴림대(2)와, 외륜(3)에 부착되고, 축받이 공간에 주입되는 오일을 밀폐하는 실 부재(19)와, 이 축받이 장치(10)를 회전축(5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31a, 31b, 32)를 구비한다. 축받이 공간(9)의 압력이 상승한 때에 가스를 빼는 기체 배출 마개(11)는, 고정 부재(31a)에 마련된 구멍형상부(25)에, 감입 구조에 의해 빠져나오지 않도록 수납되어 있다.
상기한 실 부재(19)는, 외륜(3)에 부착된 실 기부(5)와 그 실 기부(5)에 보강판(6b)에 보강된 탄성 재료로 형성되는 립(6a)이 부착되어 있다. 립(6a)은, 상술한 바와 같이, JIS B 2402에 규정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립(6a)에는, 회전축(50)이 회전할 때, 회전하는 고정 부재(31 또는 32)와 활주한다. 실 기부(5)의 외측에는, 그 실 기부(5)와 함께 래버린스 실을 하도록 고정 부재(31a)의 부분이, 실 기부(5)에 덮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고정 부재의 일부도 비접촉의 실 부를 형성 하는 부재로서 기능하고 있다.
밀폐(seal)는 동적(動的) 실(패킹)의 접촉형(밀봉 실)으로 분류되는 것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면 다른 것은 어떤 실이라도 좋다. 상기 접촉형의 실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윤활제로서 오일이 봉입되기 때문에 오일 실(JIS B 2402)이 주로 사용되지만, 그리스 윤활의 경우는 그리스 실(JIS E 4704에 제시)이 사용된다. 또한, 오일 또는 그리스에 의하지 않고 메커니컬 실(JIS B 2405), 성형 패(JIS B 2401, 2403, 2406)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실의 활주 부분을 구성하는 재료에는, 합성 고무(니트릴 고무, 아크릴 고무, 불소 고무 등), 또는 펠트 등이 사용 온도 범위, 허용 주속(周速)에 응하여 나누어 사용할 수 있다.
도 2의 경우도, 축받이 장치(10)의 회전축에의 고정은, 회전축에 나사결합하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부품에 의해, 고정 부재(32)에 힘(P)을 회전축(50)의 견부(50a)를 향하는 방향으로 인가하여, 내륜(1)을 회전축의 견부(50a)로 이동되지 않도록 된 고정 부재(31a, 31b)에 꽉 누름에 의해 행한다. 회전축(50)의 회전에 수반하여, 내륜(1), 고정 부재(31, 32)가 회전한다.
도 2에 예시한 본 실시의 형태의 축받이 장치(10)는, 고정 부재(31(31a, 31b), 32), 및 견부(50a)에 의해 회전축(50)에 고정되는 내륜(1)과, 외륜(3)과, 내륜(1)과 외륜(3)에 의해 끼워지는 축받이 공간(9)에 위치하는 원추 굴림대(2)와, 외륜(3)에 부착되고, 축받이 공간(9)을 밀폐하는 실 부재(19)를 구비한다. 기체 배출 마개(11)가 장착되는 구멍형상부(25)는,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고정 부재(31a) 내에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구멍형상부(25)는, 외륜, 내륜, 실 부재, 고정 부재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부재의 어느 하나에 부착된 부재의 어느 하나에 마련한다. 상기한 구멍형상부는 축받이 공간과 연통하고, 그 구멍형상부 내에, 기체 배출 마개는 감합 구조로 장착된다.
다음에, 도 3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본 실시의 형태의 기체 배출 마개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의 형태의 기체 배출 마개(11)는, 금속 고리형상체(12)와, 금속 고리형상체(12)와 일체로 된, 통형상이고, 그 통의 한쪽의 단면(16)에서 통의 축방향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온 벤트부(14)를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 통형상체(13)를 구비한다. 탄성 통형상체의 한쪽의 단면(16)에, 벤트부(14)를 둘러싸도록 원주형상 홈(17)이 마련되어 있다. 원주형상의 홈(17)의 깊이는, 벤트부(14) 주위의 단면의 두께의 20% 내지 60%, 또한 폭은 단면(16)의 두께의 30% 내지 80%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한 금속 고리형상체(12)는, 그 단부에 내경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내측 연부(12e)를 가지며, 그 내측 연부(12e)가 탄성 통형상체(13)의 벤트부(14)가 배치된 한쪽의 단면(16)의 내면에 접하고, 원주형상 홈(17)은, 축방향에 따라서 보아 내측 연부(12e)에 겹쳐지도록 위치한다. 이 구성에 의해, 탄성 통형상체의 조임값 증대에 기인하는 벤트부에의 변형의 증대를 한층 더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의 형태의 다른 기체 배출 마개(11)는, 금속 고리형상체(12)와, 금속 고리형상체(12)와 일체로 된 통형상이고, 그 통의 한쪽의 단면(16)에서 통의 축방향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온 벤트부(14)를 갖는 탄성체로 이 루어지는 탄성 통형상체(13)를 구비한다. 탄성 통형상체의 통 몸체부(15)와 한쪽의 단면(16)과의 경계부인 견부에, 그 견부에서의 두께(ts1)가 통 몸체부의 두께(t2)보다 얇아지는 면취부(18)가 마련되어 있다. 면취부의 두께(ts1)는, 대략 1㎜ 내지 1.5㎜로 하는 것이 좋다. 통 몸체부의 두께(t2)는, 축받이 장치가 배치되는 기계에 의해 변하지만, 통상 1.5㎜를 초과한다.
상기한 탄성 통형상체(13)의 벤트부(14)의 주위의 한쪽의 단면(16)의 두께(t1)는, 상기 통 몸체부의 두께(t2)보다 얇고, 면취부의 두께(ts1)는 벤트부의 주위의 한쪽의 단면(16)의 두께(t1)와 같은 정도라도 좋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의 형태의 또다른 기체 배출 마개(11)는, 금속 고리형상체(12)와, 금속 고리형상체(12)와 일체로 된, 통형상이고, 그 통의 한쪽의 단면(16)에서 통의 축방향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온 벤트부(14)를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 통형상체(13)를 구비한다. 탄성 통형상체(13)의 벤트부(14)의 주위의 한쪽의 단면(16)에서의 두께(t1)가, 통 몸체부의 두께(t2)의 1/2 이하이다. 상기한 구성을 취하지 않은 일반적인 경우의 벤트부 주위의 단면의 두께는 1㎜ 내지 1.5㎜이고, 상기한 구성의 경우, 상기 단면의 두께는, 일반적인 경우의 30% 내지 50%(0.3㎜ 내지 0.75㎜)로 하는 것이 좋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한 어느 기체 배출 마개에서도, 금속 고리형상체(12)는, 그 단부에 내경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내측 연부(12e)를 가지며, 그 내측 연부(12e)가 탄성 통형상체(13)의 벤트부(14)가 배치된 한쪽의 단면(16)의 내면에 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연부(12e)를 갖는 경우, 벤트부가 배치된 한쪽의 단면(16)의 내면측에, 금속 고리형상체의 내측 연부(12e)에 내경측으로부터 계지하는 계지 플랜지(21)를 가져도 좋다. 또한, 금속 고리형상체의 내측 연부(12e)가 위치하는 단면(16)과 반대측의 단부에 탄성 통형상체의 다른쪽의 단부가 계지하는 계지부(22)를 마련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구멍 지름이 흐트러져서 크게 되어도 장착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임값이 증대하여도 탄성체의 움직임의 억제에 도움이 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축받이 장치에서는, 상기 도 3 내지 도 5에 예시하는 어느 하나의 기체 배출 마개가 그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탄성 통형상체의 재료는, 각종 고무, 탄성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금속 고리형상체는, 강재, 알루미늄, 등 임의의 금속, 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를 채용함에 이른 이유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구멍형상부(25)에 기체 배출 마개(11)를 장착하기 전후의 기체 배출 마개의 외경과 구멍 지름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탄성 통형상체인 고무 통형상체의 외경은, 구멍형상부(25)에 장착하기 전에는 구멍 지름보다도 명확하게 크다. 장착한 상태에서는 고무 통형상체는 그 통 몸체부(15)의 두께가 찌부러져서, 얇게 된다. 이 반발력에 의해 기체 배출 마개(11)를 구멍형상부(25) 내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장착 전의 고무 두께로부터 장착 후의 고무 두께를 뺀 분을 조임값(찌부리는 양)이 라고 한다. 구멍형상부(25)의 지름의 허용 범위를 크게 함에 의해 가공 코스트 등은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실제의 구멍 지름이 허용 범위의 상한에 오는 경우를 대비하여 고무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장착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구멍 지름이 허용 범위의 하한에 오는 경우, 조임값이 커진다.
본 실시의 형태의 기체 배출 마개에서와 같이 도 3 내지 도 5에 예시되는 구조를 취하지 않는 경우, 조임값 증대로 찌부러진 분의 고무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의 단면에 위치하는 벤트부(14)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고무의 움직임은 벤트부(14)의 꼭데기부에 마련된 슬릿 등의 불연속부(도시 생략)에 대해, 닫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결과, 기대한 작동압에서 불연속부는 개방되지 않고, 축받이 공간내의 압력은 상승하여 버린다. 즉, 본 발명자들은, 작동압이 흐트러지는 것은, 조임값 증대에 기인하는 고무의 움직임의 증대에 근거하는 것을 해명하였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고무 통형상체의 벤트부 주위에 원주형상 홈(17)을 마련하는(도 3), 그 견부에 면취부(18)를 마련하는(도 4), 또는 벤트부(14)의 주위의 단면(16)의 두께(t1)를 통 몸체부(15)의 두께(t2)의 1/2 이하로 작게 하는(도 5) 것에 의해, 상기 탄성체(고무)의 움직임을 블록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기체 배출 마개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기체 배출 마개(11)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축받이 장치에 사용되는 기체 배출 마개로서, 금속 고리형상체(12)와, 금속 고리형상체(12)와 일체로 된, 통형상이고, 그 통의 한쪽의 단면(16)에서 통의 축방향(도면중 상하 방향)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온 벤트부(14)를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 통형상체(13)를 구비한다. 벤트부(14)에는 소정의 압력 이상에서 개방 상태가 되고 그 미만에서는 닫혀 있는 슬릿 등의 불연속부가 마련되어 있다. 도 7에는, 구멍형상부(25)에 기체 배출 마개(11)를 장착하기 전후의 기체 배출 마개(11)의 외경과 구멍 지름과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탄성 통형상체인 고무 통형상체의 외경은, 구멍형상부(25)에 장착하기 전은 구멍 지름보다도 명확하게 크다. 그리고, 조임값의 반발력에 의해 기체 배출 마개(11)를 구멍형상부(25) 내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장착 전의 고무 두께로부터 장착 후의 고무 두께를 뺀 분을 조임값(찌부리는 양)이라고 한다. 장착한 상태에서는 고무 통형상체는 그 통 몸체부의 두께가 찌부러지고, 얇게 된다. 도 7에서 조임값(찌부리는 양)은 d이다. 통 몸체부(15)의 두께(t)는, 축받이 장치가 배치되는 기계에 의해 변하지만, 통상 1.5㎜를 초과한다.
구멍형상부(25)의 지름의 허용 범위를 크게 함에 의해 가공 코스트 등은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소제의 구멍 지름이 허용 범위의 상한에 오는 경우에 대비하여 고무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장착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구멍 지름이 허용 범위의 하한에 오는 경우, 조임값이 커진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축받이 또는 축받이 장치에서는, 탄성 통형상체(13)는, 금속 고리형상체(12)가 감입되어 구멍형상부(25) 내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 서, 그 통 몸체부(15)의 두께(t)가, 구멍형상부(25)의 지름과 금속 고리형상체(12)의 외경과의 차두께(ts2)의 105% 이상 있다. 이와 같이 두껍게 함에 의해 장착력을 높이고, 탈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7%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9% 이상이다. 여기서, 구멍형상부(25)의 지름과 금속 고리형상체(12)의 외경과의 차두께(ts2)는, 구멍형상부(25)의 지름(D), 금속 고리형상체(12)의 외경(Dm)으로 할 때, ts2=(D-Dm)/2이다. 한편, 그 통 몸체부(15)의 두께(t)가, 상기 차두께(ts2)의 125%를 초과하면 장착에 수고를 필요로 하고, 또한 장착할 때에 탄성체(고무)의 벤트부로의 유동이 생겨서 벤트 작동(개방)압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두께(t)는 차두께(ts2)의 12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22% 이하이다.
또한, 금속 고리형상체(12)의 통 몸체부의 두께를 tm이라고 하면, 탄성 통형상체(13)는, 금속 고리형상체(12)와 일체로 되어 구멍형상부(25) 내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통 몸체부(15)의 두께(t)가 0.95(tm) 이상 있고, 바람직하게는 tm 이상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 통형상체(13)의 두께를 증대시킴에 의해, 벤트 기능을 바꾸지 않고 구멍 가공 허용차를 대폭적으로 완화할 수 있고, 생산성의 향상 및 생산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탄성 통형상체(13)의 조임값을 늘림으로써, 벤트 빠져나감 압력(내압)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탄성 통형상체는, 금속 고리형상체(12)의 단연부에 계지하는 계지부(22)를 구비하여도 좋다. 도 7 및 도 8에서는, 금속 고리형상체(12)의 내측 연부(12e)가 위치하는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에 탄성 통형상체(13)의 다른쪽의 단부가 계지하는 계지부(22)를 갖는다. 이 계지부(22)는 금속 고리형상체(12)의 단면의 전 두께에 걸쳐서 접하여 계지하고 있다. 또한, 금속 고리형상체(12)는, 탄성 통형상체(13)의 속측 단부에 내경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내측 연부(12e)를 갖는 경우, 탄성 통형상체(13)는 벤트부(14)가 배치된 단면(16)의 내면측에, 금속 고리형상체(12)에 있어서의 내측 연부(12e)의 내경측으로부터 계지하는 계지 플랜지(21)를 갖을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구멍형상부(25)의 구멍 지름이 흐트러져서 크게 되어도 장착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임값이 증대하여도 탄성체의 움직임의 억제에 도움이 된다.
상기한 탄성 통형상체(13)의 재료는, 각종 고무, 탄성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금속 고리형상체(12)는, 강재, 알루미늄, 등 임의의 금속, 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해 설명한다. 이용한 시험체는 다음의 것이다.
본 발명예 1 : 도 3에 도시하는 구조(원주 홈 형성 : 통 몸체부 두께(t2)는 두껍다)
본 발명예 2 : 도 3에 도시하는 구조(원주 홈 형성 : 통 몸체부 두께(t2)는 두껍다)
본 발명예 3 : 도 4에 도시하는 구조(모따기 형성 : 통 몸체부 두께(t2)는 두껍다)
본 발명예 4 : 도 5에 도시하는 구조(벤트부 주위 단면 두께(t1) 얇다 : 통 몸체부 두께(t2)는 두껍다)
또한, 비교를 위해 다음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 도 9에 도시하는 구조(동(胴) 두께(t2)는 중간 정도)2
비교예 2 : 도 10에 도시하는 구조(동 두께(t2)는 두껍다)
상기한 6종의 시험체를 구멍형상부에 장착하여(그리스 부착), 작동압을 시험한 결과를 도 11에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결과에 의하면, 동(胴) 두께가 크고, 다른 대처 구조가 없는 비교예 2에서는, 조임값이 증대하면 작동압이 크게 증대하는 경향에 있다. 즉, 흐트러지는 경향에 있다. 또한, 종래로부터 있는 비교예 1과 같이, 동 두께가 중간 정도의 시험체에서는, 조임값이 0.3㎜를 초과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작동압의 상승은 인정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구멍 지름이 큰 경우에는 장착력을 확보한 다음, 구멍 지름이 작아진 경우에도 작동압의 변동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예 1 내지 4에서는, 조임값이 0.3㎜ 이상에서도 작동압 은 5기압 이하로 억제된다. 가장 작동압이 낮은 본 발명예 4에서는, 조임값 0.3㎜에서 4kPa 이하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고, 작동압의 변동은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뒤이어, 본 발명예 1, 2에서 작동압이 낮은 결과가 얻어지고, 이 경우도 작동압의 변동은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예 3에서도 작동압은 억제되고, 실질적으로 작동압의 변동은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예 1 내지 4의 어느것에서도, 비교예 2보다도 조임값이 높은 범위에서 낮은 경우와 같은 레벨의 작동압이 얻어지고, 본 발명의 기체 배출 마개의 상기 구조가, 구멍형상부의 지름의 공작 정밀도의 완화에 수반하여 생길 수 있는 조임값 증대에 대한 작동압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 결과, 구멍형상부의 지름의 공작 정밀도를 완화하여도, 축받이 장치에서 소기의 작동압 범위를 안정하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해 설명한다. 이용한 시험체는 다음의 것이다. 또한, 탄성 통형상체에는 고무를, 금속 고리형상체에는 강재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예 A : 도 8에 도시하는 구조(통 몸체부 두께(t)는 차두께(ts2)의 105% 이상이고, 또한 금속 고리형상체(12)의 통 몸체부 두께(tm)의 95% 이상의 두께이다)
비교에 이용한 비교예는 다음과 같다.
비교예 B : 도 12에 도시하는 구조(통 몸체부 두께(t)는 차두께(ts2)의 105% 미만이고, 또한 금속 고리형상체(12)의 통 몸체부 두께(tm)의 95% 보다 얇다)
상기한 2종의 시험체를, 지름을 약간씩 단계적으로 바꾼 구멍형상부(25)에 장착하여(그리스 부약), 장착 상태를 조사하였다. 그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예 A에서는, 벤트 기능을 바꾸지 않고 구멍 허용차를, 레인지 1/100레벨부터 1/10레벨까지 확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구멍 가공에 막대한 공수을 걸어서 고정밀도의 가공을 할 필요가 없어지고, 생산성의 향상 및 제조 코스트의 저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고무 찌부러지는 양(조임값)을 늘림에 의해, 통 몸체부(15)의 고무가 벤트부(14)의 방향으로 유동 변형하고, 이 때문에 벤트부(14)에 압축의 힘이 작용하고, 벤트 압력이 증가한다. 이 때문에 사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금회 개시된 실시의 형태 및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의 기체 배출 마개, 축받이 장치 및 축받이에 의하면, 조임값이 증대하는 일이 있어도, 작동압이 변동하는 일 없이, 소정 범위 내의 작동압으로 축받이 공간의 기체 배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기체 배출 마개 장착의 구멍 가공에 필요 로 하는 공수 및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축받이 장치의 구멍형상부에 장착되는 기체 배출 마개의 외측부를 구성하는 탄성 통형상체의 조임값이 커지는 경우가 있어도 작동압의 변동을 일정 범위 내로 수속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을 확보한 염가의 축받이 장치를, 철도차량이나 산업기계 등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멍형상부의 가공 허용차를 완화하여도 기체 배출 마개의 통 몸체부를 소정 두께 이상으로 함에 의해, 장착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염가의 축받이 또는 축받이 장치를 철도차량이나 산업기계 등에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4)

  1. 외륜(3)과 내륜(1)에 끼워져서 전동체(2)가 위치하는 축받이 공간(9)과 통하는 구멍형상부(25) 내에 장착되는 기체 배출 마개(11)에 있어서,
    금속 고리형상체(12)와,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와 일체로 되고, 통형상이고, 그 통의 한쪽의 단면에서 통의 축방향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온 벤트부(14)를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 통형상체(13)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통형상체의 한쪽의 단면에 상기 벤트부를 둘러싸도록 원주형상의 홈(17)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의 기체 배출 마개(11).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12)는, 그 단부에 내경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내측 연부(12c)를 가지며, 그 내측 연부가 상기 탄성 통형상체(13)의 벤트부(14)가 배치된 단면의 내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의 기체 배출 마개(11).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부(14)가 배치된 단면의 내면측에,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12)의 내측 연부(12e)의 내경측으로부터 계지하는 계지 플랜지(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배출 마개(11).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부(14)의 주위의 단면에 원주형상의 홈(17)이 배치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원주형상의 홈은, 축방향에 따라서 보아 상기 내측 연부(12e)에 겹쳐지도록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의 기체 배출 마개(11).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통형상체(13)에,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12)의 단연부에 계지하는 계지부(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배출 마개.
  6. 고정 부재(31, 31a, 31b, 32)에 의해 회전축에 고정되는 내륜(1)과, 외륜(3)과, 상기 내륜과 외륜에 의해 끼워지는 축받이 공간(9)에 위치하는 전동체(2)와,
    상기 축받이 공간을 실(seal)하는 실 부재(19)와, 상기 외륜, 실 부재, 내륜 및 고정 부재의 어느 하나의 부재 내 또는 상기 외륜, 실 부재, 내륜 및 고정 부재의 어느 하나의 부재에 부착된 부재 내에 마련되고,
    상기 축받이 공간과 통하는 구멍형상부(25)와, 그 구멍형상부 내에, 제 1항에 기재된 축받이의 기체 배출 마개(1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 장치(10).
  7. 외륜(3)과 내륜(1)에 끼워져서 전동체(2)가 위치하는 축받이 공간(9)과 통하 는 구멍형상부(25) 내에 장착되는 기체 배출 마개(11)에 있어서,
    금속 고리형상체(12)와,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와 일체로 되고, 통형상이고, 그 통의 한쪽의 단면에서 통의 축방향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온 벤트부(14)를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 통형상체(13)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통형상체의 통 몸체부(15)와 상기 한쪽의 단면과의 경계 영역인 견부에, 그 견부에서의 두께(ts1)가 상기 통 몸체부의 두께(t2)보다 얇아지는 면취부(18)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의 기체 배출 마개(11).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통형상체의 벤트부의 주위의 상기 한쪽의 단면(16)의 두께(t1)는, 상기 통 몸체부의 두께보다 얇고, 상기 면취부의 두께는 상기 벤트부의 주위의 상기 한쪽의 단면의 두께(t1)와 같은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의 기체 배출 마개(11).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12)는, 그 단부에 내경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내측 연부(12e)를 가지며, 그 내측 연부가 상기 탄성 통형상체(13)의 벤트부(14)가 배치된 단면의 내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의 기체 배출 마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부(14)가 배치된 단면의 내면측에,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12)의 내측 연부(12c)의 내경측으로부터 계지하는 계지 플랜지(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배출 마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부(14)의 주위의 단면에 원주형상의 홈(17)이 배치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원주형상의 홈은, 축방향에 따라서 보아 상기 내측 연부(12c)에 겹쳐지도록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의 기체 배출 마개.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통형상체(13)에,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12)의 단연부에 계지하는 계지부(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배출 마개.
  13. 고정 부재(31, 31a, 31b, 32)에 의해 회전축에 고정되는 내륜(1)과, 외륜(3)과, 상기 내륜과 외륜에 의해 끼워지는 축받이 공간(9)에 위치하는 전동체(2)와,
    상기 축받이 공간을 밀폐(seal)하는 실 부재(19)와, 상기 외륜, 실 부재, 내륜 및 고정 부재의 어느 하나의 부재 내 또는 상기 외륜, 실 부재, 내륜 및 고정 부재의 어느 하나의 부재에 부착된 부재 내에 마련되고,
    상기 축받이 공간과 통하는 구멍형상부(25)와, 그 구멍형상부 내에, 제 7항에 기재된 축받이의 기체 배출 마개(1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 장치(10).
  14. 외륜(3)과 내륜(1)에 끼워져서 전동체(2)가 위치하는 축받이 공간(9)과 통하는 구멍형상부(25) 내에 장착되는 기체 배출 마개(11)에 있어서,
    금속 고리형상체(12)와,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와 일체로 되고, 통형상이고, 그 통의 한쪽의 단면(16)에서 통의 축방향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온 벤트부(14)를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 통형상체(13)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통형상체의 벤트부의 주위의 상기 한쪽의 단면에서의 두께(t1)가, 통 몸체부(15)의 두께(t2)의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의 기체 배출 마개(11).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12)는, 그 단부에 내경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내측 연부(12c)를 가지며, 그 내측 연부가 상기 탄성 통형상체(13)의 벤트부(14)가 배치된 단면의 내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의 기체 배출 마개(11).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부(14)가 배치된 단면의 내면측에,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12)의 내측 연부(12c)의 내경측으로부터 계지하는 계지 플랜지(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배출 마개(11).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부(14)의 주위의 단면에 원주형상의 홈(17)이 배치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원주형상의 홈은, 축방향에 따라서 보아 상기 내측 연부(12e)에 겹쳐지도록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의 기체 배출 마개(11).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통형상체(13)에,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12)의 단연부에 계지하는 계지부(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배출 마개.
  19. 고정 부재(31, 31a, 31b, 32)에 의해 회전축에 고정되는 내륜(1)과, 외륜(3)과, 상기 내륜과 외륜에 의해 끼워지는 축받이 공간(9)에 위치하는 전동체(2)와,
    상기 축받이 공간을 밀폐하는 실 부재(19)와, 상기 외륜, 실 부재, 내륜 및 고정 부재의 어느 하나의 부재 내 또는 상기 외륜, 실 부재, 내륜 및 고정 부재의 어느 하나의 부재에 부착된 부재 내에 마련되고,
    상기 축받이 공간과 통하는 구멍형상부(25)와, 그 구멍형상부 내에, 제 14항 에 기재된 축받이의 기체 배출 마개(1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 장치(10).
  20. 외륜(3), 내륜(1), 및 상기 외륜과 상기 내륜에 끼워진 전동체(2)가 위치하는 축받이 공간(9)에 통하는 구멍형상부(25) 내에 장착되는 기체 배출 마개(11)를 구비한 축받이(10)에 있어서,
    상기 기체 배출 마개(11)는,
    금속 고리형상체(12)와,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와 일체로 되고, 통형상이고, 그 통의 한쪽의 단면에서 통의 축방향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온 벤트부(14)를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 통형상체(13)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통형상체는,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에 일체로 되어 상기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통 몸체부의 두께(t)가, 상기 구멍 상부의 지름과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의 외경과의 차두께(ts2)의 105% 이상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통형상체(13)에,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12)의 단연부에 계지하는 계지부(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10).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12)는 상기 탄성 통형상체(13)의 속측 단부에 내경측으로 비어져나오는 내측 연부(12e)를 가지며, 상기 탄성 통형상체는 상기 벤트부(14)가 배치된 단면의 내면측에,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에서의 내측 연부의 내경측으로부터 계지하는 계지 플랜지(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
  23. 외륜(3), 내륜(1), 및 상기 외륜과 상기 내륜에 끼워진 전동체(2)가 위치하는 축받이 공간(9)에 통하는 구멍형상부(25) 내에 장착되는 기체 배출 마개(11)를 구비한 축받이(10)에 있어서,
    상기 기체 배출 마개(11)는,
    금속 고리형상체(12)와,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와 일체로 되고, 통형상이고, 그 통의 한쪽의 단면(16)에서 통의 축방향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온 벤트부(14)를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 통형상체(13)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통형상체는,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에 일체로 되어 상기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통 몸체부의 두께(t)가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의 통 몸체부의 두께(tm)의 95% 이상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통형상체(13)에,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12)의 단연부에 계지하는 계지부(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12)는 상기 탄성 통형상체(13)의 속측 단부에 내경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내측 연부(12e)를 가지며, 상기 탄성 통형상체는 상기 벤트부(14)가 배치된 단면의 내면측에,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에서의 내측 연부의 내경측으로부터 계지하는 계지 플랜지(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
  26. 고정 부재(31, 31a, 31b, 32)에 의해 축에 고정되는 내륜(1)과, 외륜(3)과,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에 의해 끼워지는 축받이 공간(9)에 위치하는 전동체(2)와,
    상기 축받이 공간을 밀폐하는 실 부재(19)와, 상기 외륜, 상기 실 부재, 상기 내륜 및 상기 고정 부재의 어느 하나의 부재 내 또는 상기 외륜, 상기 실 부재, 상기 내륜 및 상기 고정 부재의 어느 하나의 부재에 부착된 부재 내에 마련되고,
    상기 축받이 공간과 통하는 구멍형상부(25)와, 그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되는 기체 배출 마개(11)를 구비한 축받이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기체 배출 마개는,
    금속 고리형상체(12)와,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와 일체로 되고, 통형상이고, 그 통의 한쪽의 단면(16) 에서 통의 축방향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온 벤트부(14)를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 통형상체(13)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통형상체는,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에 일체로 되어 상기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통 몸체부의 두께(t)가, 상기 구멍 상부의 지름과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의 외경과의 차두께(ts2)의 105% 이상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 장치(10).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통형상체(13)에,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의 단연부에 계지하는 계지부(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 장치(10).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12)는 상기 탄성 통형상체(13)의 속측 단부에 내경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내측 연부(12e)를 가지며, 상기 탄성 통형상체는 상기 벤트부(14)가 배치된 단면의 내면측에,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에서의 내측 연부의 내경측으로부터 계지하는 계지 플랜지(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 장치(10).
  29. 고정 부재(31, 31a, 31b, 32)에 의해 축에 고정되는 내륜(1)과, 외륜(3)과,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에 의해 끼워지는 축받이 공간(9)에 위치하는 전동체(2)와,
    상기 축받이 공간을 밀폐하는 실 부재(19)와, 상기 외륜, 상기 실 부재, 상기 내륜 및 상기 고정 부재의 어느 하나의 부재 내 또는 상기 외륜, 상기 실 부재, 상기 내륜 및 상기 고정 부재의 어느 하나의 부재에 부착된 부재 내에 마련되고,
    상기 축받이 공간과 통하는 구멍형상부(25)와, 그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되는 기체 배출 마개(11)를 구비한 축받이 장치(10)에 있어서,
    금속 고리형상체(12)와,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와 일체로 되고, 통형상이고, 그 통의 한쪽의 단면에서 통의 축방향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온 벤트부(14)를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 통형상체(13)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통형상체는,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와 일체로 되어 상기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통 몸체부의 두께(t)가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의 통 몸체부의 두께(tm)의 95%m 이상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 장치(10).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통형상체(13)에,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의 단연부에 계지하는 계지부(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 장치(10).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12)는 상기 탄성 통형상체(13)의 속측 단부에 내경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내측 연부(12e)를 가지며, 상기 탄성 통형상체는 상기 벤트부(14)가 배치된 단면의 내면측에,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에서의 내측 연부의 내경측으로부터 계지하는 계지 플랜지(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 장치(10).
  32. 축받이의 외륜(3)과 내륜(1)에 끼워져서 전동체(2)가 위치하는 축받이 공간(9)에 통하는 구멍형상부(25) 내에 장착되는 기체 배출 마개(11)에 있어서,
    금속 고리형상체(12)와,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와 일체로 되고, 통형상이고, 그 통의 한쪽의 단면(16)에서 통의 축방향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온 벤트부(14)를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 통형상체(13)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통형상체는,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에 일체로 되어 상기 구멍형상부 내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통 몸체부의 두께(t)가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의 통 몸체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배출 마개(11).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통형상체(13)에,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12)의 단연부에 계지하는 계지부(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배출 마개(11).
  34.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12)는 상기 탄성 통형상체(13)의 속측 단부에 내경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내측 연부(12e)를 가지며, 상기 탄성 통형상체는 상기 벤트부(14)가 배치된 단면의 내면측에, 상기 금속 고리형상체에서의 내측 연부의 내경측으로부터 계지하는 계지 플랜지(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배출 마개(11).
KR1020077018150A 2005-02-21 2006-01-10 기체 배출 마개, 축받이 장치 및 축받이 KR101321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44262A JP4896412B2 (ja) 2005-02-21 2005-02-21 軸受および軸受装置
JPJP-P-2005-00044262 2005-02-21
JPJP-P-2005-00053926 2005-02-28
JP2005053926A JP2006234149A (ja) 2005-02-28 2005-02-28 軸受の気体抜き栓および軸受装置
PCT/JP2006/300117 WO2006087876A1 (ja) 2005-02-21 2006-01-10 気体抜き栓、軸受装置、および軸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372A true KR20070108372A (ko) 2007-11-09
KR101321637B1 KR101321637B1 (ko) 2013-10-22

Family

ID=36916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150A KR101321637B1 (ko) 2005-02-21 2006-01-10 기체 배출 마개, 축받이 장치 및 축받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45856B2 (ko)
KR (1) KR101321637B1 (ko)
CN (1) CN101975298B (ko)
WO (1) WO20060878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9563B1 (fr) * 2008-04-07 2010-06-25 Faurecia Interieur Ind Piece d'equipement interieur de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de fabrication associe
US8696212B2 (en) * 2012-03-01 2014-04-15 Amsted Rail Company, Inc. Roller bearing backing ring assembly
US8984972B2 (en) 2012-07-17 2015-03-24 Cummins Ip, Inc. Power take-off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3133544B (zh) * 2013-03-15 2015-09-09 洛阳轴研科技股份有限公司 轴承用通气栓及高铁轴承
CN108571463A (zh) * 2017-03-13 2018-09-25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水泵轴承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3230A (en) * 1957-07-25 1961-02-28 Timken Roller Bearing Co Vent fitting for bearing structures and the like
JPS4627369Y1 (ko) * 1967-01-28 1971-09-21
US3572379A (en) * 1969-02-19 1971-03-23 Timken Co Bearing vent construction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3896849A (en) * 1972-02-13 1975-07-29 Ford Motor Co Pressure relief valve
US3833277A (en) * 1973-01-12 1974-09-03 Timken Co Bearing assembly with vent means in the bearing thereof
JPS564506Y2 (ko) * 1976-05-17 1981-01-31
JPS5348555A (en) 1976-10-15 1978-05-02 Idemitsu Kosan Co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watching objects
JPS5624211Y2 (ko) * 1976-11-11 1981-06-06
JPS564506A (en) 1979-06-22 1981-01-17 Omori Machinery Film forming apparatus
JP2550393B2 (ja) 1988-07-19 1996-11-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コピー牽制シート
JP2550393Y2 (ja) * 1991-04-25 1997-10-08 光洋精工株式会社 鉄道車両用軸受装置
JP2558600Y2 (ja) * 1991-11-22 1997-12-24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エアブリーザー
JP2558601Y2 (ja) * 1991-11-27 1997-12-24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エアブリーザー
JP2558600B2 (ja) 1992-10-05 1996-11-27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複合化されたアクリルゴムの連続的製法
JPH06248908A (ja) 1993-02-25 1994-09-06 Mitsubishi Heavy Ind Ltd 軸受箱シール部の内圧低減装置
JP2558601B2 (ja) 1993-09-13 1996-11-27 大都工業株式会社 水底における水平排水部材の敷設工法及び装置
JPH1162996A (ja) * 1997-08-21 1999-03-05 Nippon Seiko Kk 密封ころがり軸受
JP3991200B2 (ja) * 2002-03-05 2007-10-17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JP2003294047A (ja) * 2002-04-01 2003-10-15 Nsk Ltd 鉄道車両用軸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1637B1 (ko) 2013-10-22
WO2006087876A1 (ja) 2006-08-24
CN101975298A (zh) 2011-02-16
CN101975298B (zh) 2012-09-26
US7845856B2 (en) 2010-12-07
US20090127924A1 (en) 200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637B1 (ko) 기체 배출 마개, 축받이 장치 및 축받이
US20100259014A1 (en) Sealing device
CA1248983A (en) Multi-purpose fluid seal for movement control dampers and the like
KR102649894B1 (ko) 휠 베어링용 밀봉 장치
US20130087978A1 (en) Sealing device
AU2017346344B2 (en) Transmission having a shaft, a housing part and an adapter housing
US9683624B2 (en) Closure package for closing a damper tube for a vibration damper
CN111656033B (zh) 具有旋转轴线的车轮轴承装置
US8042814B2 (en) Seal
US8397906B2 (en) Idler
EP3483455B1 (en) Aircraft nacelle assembly
WO2019182034A1 (ja) 環状ダストシール
JP4896412B2 (ja) 軸受および軸受装置
US4946131A (en) Arrangement for damping linear movements
US3049357A (en) Fluid seal
EP2113690B1 (en) Combined oil ring
US11873904B2 (en) Sealing device for bearing unit
US4191432A (en) Seal assembly for bearing
JP2006234149A (ja) 軸受の気体抜き栓および軸受装置
JP2018100730A (ja) 密封装置
WO2010105662A1 (en) Seal and rolling bearing comprising such a seal
CN113606341A (zh) 密封装置
US8388230B2 (en) Seal guard
EP3670976B1 (en) Sealing device
US20240209897A1 (en) Support assembly for moveable shaf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