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455A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455A
KR20070105455A KR1020060037590A KR20060037590A KR20070105455A KR 20070105455 A KR20070105455 A KR 20070105455A KR 1020060037590 A KR1020060037590 A KR 1020060037590A KR 20060037590 A KR20060037590 A KR 20060037590A KR 20070105455 A KR20070105455 A KR 20070105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air
barrier
outsid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7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5455A/ko
Publication of KR20070105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다수의 열교환기와 흡착부재를 차례로 거친 다음 습기가 제거되어 다시 외부로 토출되도록 구성되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는, 내부공간을 전후로 구획하는 베리어(130)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내부를 유동하는 고온의 순환공기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공기 상호간에 서로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다수의 열교환기(200,210,220)와; 상기 열교환기(200,210,22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에 의해 제거하는 흡착부재(18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외부의 공기는 측방으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다수의 열교환기(200,210,220)와 흡착부재(182)를 경유한 다음, 상단부를 통해 외부로 다시 토출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습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제습기, 본체케이스, 흡입구, 토출구, 열교환기, 흡착부재

Description

제습기 { A dehumidifier }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제습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제습기의 분해사시도.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제습기를 반대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보인 전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보인 후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케이스와 상면판넬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내측열교환기의 후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외부 공기가 유동하는 상태를 보인 공기흐름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베리어의 후측에서 공기가 유동되는 상태를 보인 공기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10. 본체케이스
120. 상면판넬 122. 토출구
124. 이격돌기 130. 베리어
132. 후방함몰부 134. 중앙관통구
136. 모터지지부 138. 흡착모터수용부
140. 히터수용부 142. 히터가이드
148. 송풍가이드 148'. 원형가이드부
148". 상방가이드부 150. 본체베이스
152. 드레인팬수용부 154. 측방삽입홀
156. 전방삽입홀 158. 내측삽입홀
160. 재생어셈블리 170. 히터어셈블리
180. 흡착어셈블리 182. 흡착부재
184. 흡착케이스 190. 흡착프레임
192. 열기가이드 200. 내측열교환기
210. 전방열교환기 220. 측방열교환기
222. 제1열교환기 224. 제2열교환기
226. 제3열교환기 230. 차단판
240. 송풍모터 246. 송풍팬
250. 드레인팬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다수의 열교환기와 흡착부재를 차례로 거친 다음 습기가 제거되어 다시 외부 로 토출되도록 구성되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除濕機)는 실내 공간의 습한 공기를 케이스의 내부로 흡입하고, 냉매가 흐르는 응축기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하여 습도를 낮춘 후, 실내 공간으로 제습된 공기를 다시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습도(濕度)를 낮추는 장치이다.
도 1 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제습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의한 제습기는 실내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도시되지 않음)가 후면에 형성되고 이러한 흡입구에 필터(4)가 장착되는 캐비넷(1)과, 상기 캐비넷(1)에 장착된 상기 필터(4)의 전방에 위치되어 실내공기와 열교환되면서 제습작용을 수행하는 열교환기(20)와, 상기 열교환기(20)의 전방에 위치되어 실내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어셈블리(10)와 상기 열교환기(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응축수를 모으는 물통(30)과,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토출구(3a)가 형성되는 전면패널(3)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제습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한 제습기는 하나의 열교환기(20)에 의해 제습과 열교환이 모두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열교환기를 차례로 경유함과 동 시에 별도의 흡착부재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는, 내부공간을 전후로 구획하는 베리어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내부를 유동하는 고온의 순환공기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공기 상호간에 서로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다수의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에 의해 제거하는 흡착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외부의 공기는 측방으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다수의 열교환기와 흡착부재를 경유한 다음, 상단부를 통해 외부로 다시 토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열교환기는, 상기 베리어의 측방에 설치되는 측방열교환기와, 상기 베리어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열교환기와, 상기 베리어의 일면에 설치되는 내측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측방열교환기와 전방열교환기 그리고 내측열교환기를 차례로 경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열교환기와 내측열교환기 사이에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방열교환기는 다수의 열교환기 결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방열교환기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1차적으로 열교환이 일어나는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1열교환기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를 경유한 공기가 2차적으로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제2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열교환기를 경유한 공기가 3차적으로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제3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습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除濕機)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a와 도 3b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a에는 도 2와 동일한 방향에서 본 제습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b에는 도 2의 후측(반대편)에서 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와 도 5에는 본체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체케이스 및 상면판넬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내측열교환기의 후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는, 제습(除濕)을 위한 다수의 주요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하측에 구비되는 물통(300) 및 지지대(31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의 외관은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 통 형상의 본체케이스(110)와, 상기 본체케이스(110) 상측에 장착되는 상면판넬(120) 등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본체케이스(110)는 상기 본체(100)의 전,후,좌,우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112)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판넬(114), 우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우측판넬(116), 좌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좌측판넬(118)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판넬(112)과 후면판넬(114) 그리고, 좌측판넬(118)와 우측판넬(116)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면판넬(112)과 후면판넬(114) 그리고, 좌측판넬(118)와 우측판넬(116)이 모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케이스(110)는 상하 방향이 개구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상하가 개구된 본체케이스(110)의 하측은 아래에서 설명할 본체베이스(150)에 의해 차폐되고, 상측에는 상기 상면판넬(120)이 장착된다.
상기 상면판넬(120)은 상기 본체(10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케이스(110)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케이스(110)의 상단과 상면판넬(120) 사이의 틈새는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가 되는 토출구(122)를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상면판넬(120)의 테두리는 상기 본체케이스(110)의 상단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면판넬(120)의 테두리와 상기 전면판넬(112)과 후면판넬(114) 그리고, 좌측판넬(118)및 우측판넬(116)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각 판넬 사이의 틈새는 제습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22)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이한 제습기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된 다음, 제습되어 다시 외부(실내공간)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공기'라 칭하고, 아래에서 설명할 다수의 열교환기(200,210,220)와 재생어셈블리(160) 및 히터어셈블리(170) 등을 순환하는 공기를 '순환공기'라 하여 서로 구별하기로 한다.
상기 상면판넬(120)과 상기 본체케이스(110) 사이에는 상면판넬(120)과 본체케이스(110)가 서로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돌기(124)가 구비된다. 상기 이격돌기(124)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면판넬(120)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상면판넬(120)이 상기 본체케이스(110) 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이격돌기(124)는, 상기 본체케이스(110)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이격돌기(124)는 상기 본체케이스(11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되며, 가는 환봉 형상을 가진다. 즉, 사각 형상의 상기 본체케이스(110) 상단의 네 귀퉁이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판넬(120)의 저면 네 귀퉁이(꼭지점 부분)에는 상기 이격돌기(124)의 상단과 대응되는 돌기홈(126)이 형성되어 상기 이격돌기(124)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케이스(110)의 일 측면(우측면)에는 흡입구(128)가 형성된다. 즉, 상기 우측판넬(116)에는 다수의 흡입구(128)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28)는 상기 본체케이스(110) 외부(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공간)의 공기가 본체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가 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가 형성되며,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슬릿(slit)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구(12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외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128)가 상기 우측판넬(116)에 관통 형성되는 외에, 별개의 흡입그릴이 형성되어 상기 우측판넬(116)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본체(100)에는 내부 공간을 전후로 구획하는 베리어(130)가 구비된다. 즉, 상기 본체케이스(110) 내부에는 베리어(130)가 구비되어 내부의 공간을 전후로 구획한다. 상기 베리어(130)는 다수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에서 볼 때 '
Figure 112006029215256-PAT00001
' 형상으로 성형되어 전후의 공간을 구획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130)의 우측단에는 후측으로 소정 각도 절곡된 경사단부(130a)가 더 형성된다. 상기 경사단부(130a)는 상기 우측판넬(116)의 흡입구(128)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베리어(130) 전방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베리어(130)는 상기 본체케이스(110)의 높이와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베리어(130)의 상단과 상기 상면판넬(120)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베리어(130) 상단과 상기 상면판넬(120)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는 것은,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상기 베리어(130)의 후측에서 상방으로 이동된 다음 상기 베리어(130)와 상면판넬(12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베리어(130) 전방으로도 넘어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상기 상면판넬(120)과 전면판넬(112) 사이의 틈새를 통해서도 외부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리어(130)에는 소정 크기의 후방함몰부(132)가 형성된다. 즉, 상기 베리어(130)의 중앙 부근은 후방으로 함몰되어 후방함몰부(132)를 형성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히터어셈블리(170)와 송풍팬(246) 및 내측열교환기(200) 등이 설치된다.
상기 후방함몰부(132)의 중앙부는 전후로 관통되어 중앙관통구(134)를 형성한다. 상기 중앙관통구(134)는 상기 베리어(130) 전방의 공기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중앙관통구(134)의 중앙부에는 모터지지부(136)가 형성된다. 상기 모터지지부(136)는 아래에서 설명할 송풍모터(240) 및 송풍팬(246) 등과 히터어셈블리(170)의 일단이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모터지지부(136)의 일측에는 흡착모터수용부(138)가 더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관통구(134)의 좌측 상반부에는 원통 형상의 흡착모터수용부(138)가 형성된다. 상기 흡착모터수용부(138)는 아래에서 설명할 흡착모터(176)가 수용되어 장착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이 개구 된 원통 형상을 가진다.
상기 후방함몰부(132)에는 히터수용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수용부(140)는 아래에서 설명할 히터어셈블리(170)가 수용되어 장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후방함몰부(132)의 좌측에 형성된다. 상기 히터수용부(14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히터어셈블리(170)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히터가이드(142)가 상기 후방함몰부(132)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
상기 히터수용부(140)의 상측에는 재생수용부(144)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베리어(130)의 히터가이드(142) 상측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재생수용부(144)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재생수용부(144)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재생어셈블리(160)가 수용되어 설치된다.
상기 베리어(130)에는 에어유출구(146)가 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에어유출구(146)는 순환공기가 토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베리어(130)의 후방함몰부(132) 우측 하단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유출구(146)를 통해 전방으로 토출되는 순환공기는 아래에서 설명할 내측열교환기(2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베리어(130)의 우측 부분에는 에어유입구(146')가 돌출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리어(130)의 우측 하단부에는 원통 형상의 에어유입구(146')가 우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에어유입구(146')는 아래에서 설명할 측방열교환기(220) 내부로부터 토출되는 순환공기가 베리어(130)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부분이다.
상기 에어유입구(146')와 상기 에어유출구(146)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유입구(146')를 통해 상기 베리어(130) 내부로 유입된 순환공기는 상기 에어유출구(146)를 통해 다시 토출되는 것이다.
상기 베리어(130)의 후면에는 송풍가이드(148)가 형성된다. 상기 송풍가이드(148)는 아래에서 설명할 송풍팬(246)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송풍팬(246)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좌측 상 방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송풍가이드(148)는 상기 송풍팬(246) 외측을 감싸는 원형가이드부(148')와, 상기 원형가이드부(148')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상방가이드부(14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형가이드부(148')는 상기 송풍팬(246)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1차적으로 가이드하는 부분이며, 상기 상방가이드부(148")는 상기 원형가이드부(148')에 의해 안내되어 좌측방으로 이동된 공기를 다시 상방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상기 베리어(130)의 하단에는 본체베이스(15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베이스(150)는 사각 평판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본체(10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베리어(130)를 포함한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본체베이스(150)에는 드레인팬수용부(152)가 형성된다. 즉, 상기 본체베이스(150)의 우측단 부근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드레인팬수용부(152)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드레인팬수용부(152)의 하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드레인팬(250)이 수용된다.
상기 드레인팬수용부(152)에는 다수의 삽입홀(154,156,158)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삽입홀(154,156,158)은 아래에서 설명할 다수의 열교환기(200,210,220) 하단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물안내구(206,216,222',224',226)가 각각 삽입되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드레인팬수용부(152)의 우측 상면에는 측방삽입홀(154)이 형성된다. 상기 측방삽입홀(154)은 아래에서 설명할 측방열교환기(220)의 측방물안내구(222',224',226')가 각각 삽입되는 부분으로, 우측으로부터 제1삽입홀(154a), 제2삽입홀(154b), 제3삽입홀(154c)이 차례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1삽입홀(154a), 제2삽입홀(154b), 제3삽입홀(154c)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1물안내구(222'), 제2물안내구(224'), 제3물안내구(226')가 각각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측방삽입홀(154)의 좌측에는 전방삽입홀(156)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전방삽입홀(156)은 아래에서 설명할 전방열교환기(210)의 전방물안내구(216)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전방삽입홀(156)의 좌측에는 내측삽입홀(158)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드레인팬수용부(152)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좌측이 우측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좌측의 낮은 부분에 내측삽입홀(158)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내측삽입홀(158)은 아래에서 설명할 내측열교환기(200)의 내측물안내구(206)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베리어(130)의 전면에는 재생어셈블리(160)가 장착된다. 즉 상기 베리어(130)의 상단 부근에 형성된 상기 재생수용부(144)에 재생어셈블리(160)가 전방으로부터 장착된다.
상기 재생어셈블리(160)는 케이스에 의해 감싸여진 것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재생어셈블리(160) 내부에는 재생팬과 재생모터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재생어셈블리(160)의 전면에는 재생유입구(162)가 형성되고, 좌측에는 재생토출구(164)가 형성된다.
상기 재생유입구(162)는 아래에서 설명할 내측열교환기(200)에 형성되는 내측유출구(204)와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재생토출구(164)는 상기 재생어셈블리(160)로부터 좌측 하방으로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히터유입구(174)에 삽입 가능한 사각 기둥 형상의 외형을 가진다.
상기 베리어(130)의 전면에는 부채꼴 형상의 히터어셈블리(170)가 장착된다. 상기 히터어셈블리(170)는 아래에서 설명할 열교환기(200,210,220) 내부를 순환하는 순환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히터어셈블리(170)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열기를 발산하는 히터(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어셈블리(170)에 의해 가열된 순환공기는 아래에서 설명할 흡착부재(182)로 공급되어 흡착부재(182)에 부착된 수분을 증발시키게 된다.
상기 히터어셈블리(170)의 전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히터배출구(172)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히터유입구(174)가 형성된다. 상기 히터배출구(172)는 상기 히터어셈블리(170) 내부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고온의 순환공기가 히터어셈블리(170) 전방으로 토출되는 부분이며, 상기 히터유입구(174)는 상기 재생어셈블리(160)의 재생토출구(164) 단부가 삽입 체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히터배출구(17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상을 가진다.
상기 히터어셈블리(170)의 우측단 후측에는 흡착모터(176)가 장착된다. 상기 흡착모터(176)는 아래에서 설명할 흡착어셈블리(18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리어(130)의 흡착모터수용부(138)에 수용 설치된다. 상기 흡착모터(176)의 회전축인 흡착축(176')은 상기 히터어셈블리(170)의 우측단을 관 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흡착축(176') 선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흡착어셈블리(180)가 고정 장착된다.
상기 베리어(130)의 전방에는 흡착어셈블리(180)가 설치된다. 상기 흡착어셈블리(180)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에 의해 제거하는 흡착부재(182)와, 상기 흡착부재(182)를 고정 지지하는 흡착케이스(18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흡착부재(182)는 종이재질로 이루어짐이 일반적이다. 즉, 상기 흡착부재(18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내부는 벌집 형태로 이루어져 다수개의 통공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흡착부재(182)는, 2겹의 종이를 허니컴(Honey-com) 형태로 말아서 접합하여 여러 개의 통공이 형성되도록 한 다음, 함침에 의해 흡착액을 표면에 도포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흡착부재(182) 표면에는 수분이 용이하게 흡착 가능한 흡착액이 도포되어 있으므로,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부재(182)에 부착되어 제거되는 것이다.
상기 흡착케이스(184)는 상기 원형의 흡착부재(182) 외부를 감싸는 테두리부(184a)와, 상기 흡착부재(182)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중앙부(184b)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184a)와 중앙부(184b)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184c)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부(184b)에는 상기 흡착모터(176)의 흡착축(176') 선단이 고정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흡착모터(176)의 회전력에 따라 상기 흡착부재(182) 및 흡착케이스(184)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흡착부재(182)와 흡착케이스(184)는 흡착프레임(190)에 의해 상기 베리어(130) 전면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흡착프레임(190)은 상기 흡착부재(182) 및 상기 흡착케이스(184)를 내부에 수용한 채 스크류(screw) 등에 의해 상기 베리어(130) 전면에 고정된다.
상기 흡착프레임(190)의 좌측 부분에는 열기가이드(192)가 형성된다. 상기 열기가이드(192)는 상기 히터어셈블리(170)와 대응되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흡착프레임(190)의 전면으로터 전방으로 더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열기가이드(192)는 상기 히터어셈블리(17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순환공기가 아래에서 설명할 전방열교환기(210)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열기가이드(192) 후방으로 개구되어 순환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과 하단부도 개구되어 가열된 순환공기가 아래에서 설명할 전방열교환기(210)의 전방유입구(212)로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열기가이드(19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밀봉부재(194)가 각각 구비된다. 즉, 부채꼴 형상의 상기 열기가이드(192) 상단부와 하단부 후면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밀봉부재(194)가 구비된다.
상기 밀봉부재(194)는 상기 흡착프레임(190)과 상기 흡착부재(182)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열기가이드(192)를 통해 유동되는 고온의 순환공기가 상기 흡착프레임(190)과 흡착부재(182) 사이의 틈새를 통해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베리어(130)에는 내측열교환기(200)가 더 설치된다. 즉, 상기 베리어(130)의 후방함몰부(132) 우측 부분에는 내측열교환기(20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설치된다. 상기 내측열교환기(200)는 상기 베리어(130)의 중앙관통구(134)를 통해 후방으로 유동되는 공기와 내측열교환기(200) 내부의 순환공기가 서로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내측열교환기(200)에는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슬릿(slit) 형태의 에어관통홀이 상하로 다수 형성된다.
상기 내측열교환기(200)의 후면에는 공기가 입,출입되는 내측유입구(202) 및 내측유출구(20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내측유입구(202)는 상기 내측열교환기(200)의 후면 하단에 형성되며, 이러한 내측유입구(202)는 상기 베리어(130)에 형성된 에어유출구(146)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내측유입구(202)는 상기 에어유출구(146)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에어유출구(146)를 통해 배출되는 순환공기가 상기 내측열교환기(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내측유출구(204)는 상기 내측열교환기(200)의 후면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열교환기(200) 내부의 순환공기가 상기 재생어셈블리(160)의 재생유입구(162)를 통해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내측유출구(204)와 상기 재생유입구(162)는 서로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성형되어 서로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열교환기(200)의 하단에는 내측물안내구(206)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내측열교환기(200)의 하단 우측(도 7에서는 좌측)부에는 가는 원통 형상의 내측물안내구(206)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내측물안내구(206)의 외경은 상기 드레인수용부(152)의 내측삽입홀(158)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내측물안내구(206)는 상기 내측삽입홀(158)에 삽입 장착된다.
상기 베리어(130)의 전방에는 전방열교환기(21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전방열교환기(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프레임(190)의 전방에 설치되어, 흡착프레임(190)의 우측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흡착어셈블리(180)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상기 전방열교환기(21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전방열교환기(210)는 우측단이 후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상방에서 볼 때 '┙'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열교환기(210)에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슬릿(slit) 형태의 에어관통구가 다수 형성된다.
상기 전방열교환기(210)의 좌측단 중앙부는 우측으로 일정 부분 함몰되며, 이러한 좌측 중앙부분에는 전방유입구(212)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전방유입구(212)는 상기 열기가이드(192)의 우측단 및 하단부와 대응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전방유입구(212)는 상기 흡착프레임(190)의 열기가이드(192) 우측단 및 하단부와 밀착 연결되어, 상기 열기가이드(192)를 통해 유동하는 가열된 순환공기가 상기 전방열교환기(2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전방열교환기(210)의 우측면 상단부에는 전방유출구(21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전방열교환기(210)의 우측단은 후방으로 벤딩(bending)되는데, 이러한 벤 딩(bending) 된 부분의 우측면 상단부에 원형의 전방유출구(214)가 형성된다. 상기 전방유출구(214)를 통해서는 상기 전방유입구(212)를 통해 전방열교환기(210) 내부로 유입된 순환공기가 토출된다. 상기 전방유출구(2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아래에서 설명할 측방열교환기(220)로 유입된다.
상기 전방열교환기(210)의 우측 하단에는 전방물안내구(216)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전방물안내구(216)는 상기 전방열교환기(210) 내부에 형성되는 응축수를 하측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드레인팬수용부(152)의 전방삽입홀(156)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전방물안내구(216)의 외경은 상기 전방삽입홀(156)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가는 원통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리어(130)의 전면 우측부분에는 측방열교환기(22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전방열교환기(210)의 우측에 측방열교환기(220)가 설치된다. 상기 측방열교환기(220)도 상기 내측열교환기(200) 및 전방열교환기(210)와 같이 내,외부의 공기가 서로 열교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측방열교환기(220)는 상기 우측판넬(116)의 흡입구(128)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1차적으로 열교환되는 부분으로, 3개의 열교환기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측방열교환기(220)는 나란히 직립 설치되는 제1열교환기(222)와 제2열교환기(224) 및 제3열교환기(226)로 구성된다.
상기 제1열교환기(222)는 상기 흡입구(128)를 통해 유입된 외부의 공기가 1차적으로 접촉하여 열교환이 일어나는 곳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성형되며, 좌측면 하단 후측에는 제1유출구(222a)가 형성된다.
상기 제1유출구(222a)는 상기 제1유출구(222a) 내부의 순환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으로, 이러한 제1유출구(222a)를 통해 배출되는 순환공기는 상기 베리어(130)의 에어유입구(146')를 통해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1유출구(222a)와 상기 에어유입구(146')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져 서로 체결된다.
상기 제1열교환기(222)의 좌측면 선단 상측에는 제1유입구(222b)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유출구(222a)의 대각선 상에는 제1유입구(222b)가 형성되며, 이러한 제1유입구(222b)는 상기 제1열교환기(222) 내부로 순환공기가 유입되는 입구가 된다.
상기 제1열교환기(222) 좌측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222)를 거친 외부의 공기가 2차적으로 열교환이 일어나는 제2열교환기(224)가 구비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224)의 우측면 상단 선단부에는 제2유출구(224a)가 형성된다.
상기 제2유출구(224a)는 상기 제2열교환기(224) 내부의 순환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2유출구(224a)는 상기 제1유입구(222b)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유출구(224a)를 통해 배출되는 순환공기는 상기 제1유입구(222b)를 통해 상기 제1열교환기(222)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224)의 좌측면 후측 상단부에는 제2유입구(224b)가 형성된다. 상기 제2유입구(224b)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3유출구(226a)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열교환기(224) 내부로 순환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제2열교환기(224) 좌측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222)와 제2열교환기(224) 를 차례로 경유한 외부의 공기가 3차적으로 열교환이 일어나는 제3열교환기(226)가 구비된다. 상기 제3열교환기(226)는 상기 제2열교환기(224)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좌측면 후측 상단부에는 제3유출구(226a)가 형성된다.
상기 제3유출구(226a)는 상기 제2유입구(224b)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성형되어 서로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3유출구(226a)를 통해 배출되는 순환공기는 상기 제2유입구(224b)를 통해 상기 제2열교환기(224)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제3열교환기(226)의 좌측면 선단 상단부에는 제3유입구(226b)가 형성된다. 상기 제3유입구(226b)는 순환공기가 상기 제3열교환기(226)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가 되는 곳으로, 상기 전방열교환기(210)의 전방유출구(214)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져 서로 체결된다.
상기 각각의 측방열교환기(220)의 하단에는 가는 원통 형상의 측방물안내구(222',224',226')가 각각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2,3열교환기(222,224,226)의 선단부 하단에는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측방물안내구(222',224',226')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측방물안내구(222',224',226')는 상기 측방열교환기(220) 내부에 응축된 물이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베이스(150)의 드레인팬수용부(152)에 관통 형성되는 측방삽입홀(154)에 각각 하나씩 삽입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측방물안내구(222',224',226')의 외경은 상기 제1삽입홀(254a)과 제2삽입홀(154b) 및 제3삽입홀(154c)과 각각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다.
상기 측방물안내구(222',224',226')는 제1물안내구(222')와 제2 물안내구(224') 그리고 제3물안내구(226')로 구성된다. 상기 제1물안내구(222')는 상기 제1열교환기(222)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홀(154a)에 삽입되는 부분이며, 상기 제2물안내구(224')는 상기 제2열교환기(224)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삽입홀(154b)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제3물안내구(226')는 상기 제3열교환기(226)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3삽입홀(154c)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베리어(130) 전방에는 상하 공간을 구획하는 차단판(23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차단판(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리어(130) 전방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한다.
상기 베리어(130)는 상기 전면판넬(112)과 베리어(130) 사이의 틈새 및 상기 우측판넬(116)과 베리어(13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여 흡입공기와 토출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흡입구(128)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실내공간)의 공기와 상기 토출구(122)를 통해 외부(실내공간)로 토출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리어(130)의 후측에는 송풍모터(240)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4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송풍팬(246)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리어(130)의 모터지지부(136) 후측에 설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40)에는 회전 동력을 외부로 전달하는 모터축(242)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송풍모터(240)는 모터마운트(244)에 의해 지지된다. 즉, 상기 원통 형 상의 송풍모터(240)는 모터마운트(244)에 의해 상기 베리어(130) 후측에 고정된다. 상기 모터마운트(24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모터(240)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스크류(screw)에 의해 상기 베리어(130) 후면에 고정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모터(240)는 상기 모터마운트(244) 내부에 수용된 채로 상기 베리어(130) 후측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송풍모터(240) 외측에는 송풍팬(246)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246)은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것으로, 상기 송풍모터(24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한다. 즉, 상기 송풍모터(240)의 후방으로 돌출된 상기 모터축(242) 후단에 상기 송풍팬(246)이 고정 장착되고, 이러한 모터축(24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송풍팬(246)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드레인팬수용부(152) 하측에는 드레인팬(250)이 수용 설치된다. 상기 드레인팬(250)은 상기 각각의 물안내구(206,216,222',224',226)를 통해 하측으로 낙하하는 응축수를 일시적으로 집수하는 것으로, 상기 드레인팬수용부(15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250)의 후면에는 내부에 수용된 물(응축수)가 상기 물통(300)으로 배출되는 출구가 되는 배출공(252)이 관통 형성되고, 이러한 배출공(252)은 배출레버(254)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배출레버(254)는 지렛대 형식으로 이루어져, 상기 물통(300)이 상기 지지대(310)에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배출공(252)을 개방시키고, 상기 물통(300)이 상기 지지대(310)에 장착되지 않고 인출된 경우에는 상기 배출공(252)을 차폐시키 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베이스(150)의 하측에는 상기 물통(300)과 지지대(31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물통(300)은 상기 다수의 열교환기(200,210,220)에서 생성되는 물(응축수)를 보관하는 곳이다. 즉, 상기 다수의 열교환기(200,210,220)에서 응축된 물방울이 상기 드레인팬(250)을 통해 상기 물통(300) 내부로 낙하하여 저장된다.
상기 물통(300)은 아래에서 설명할 지지대(310)의 선단지지부(314')와 후단지지부(314")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물통(300)은 측방(좌측 또는 우측)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상방이 개구된 사각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310)는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는 것으로, 지지베이스(312)와 지지부(3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베이스(312)는 건물의 바닥면에 직접 접하는 부분으로 사각평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314)는 상기 지지베이스(312)의 선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선단지지부(314')와, 상기 지지베이스(312)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후단지지부(31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310) 상단에는 드레인팬(250)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단지지부(314') 우측단에는 드레인팬(250)이 구비되어 상기 다수의 열교환기(200,210,220)에서 응축되어 배출되는 물(수분)을 상기 물통(300)으로 안내한다. 즉, 상기 다수의 열교환기(200,210,220) 하단에 형성된 물안내구(206,216,222',224',226)로부터 떨어지는 물이 상기 드레인팬(250) 내부로 고인 다음, 상기 물통(300)으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의 작용을 도 8과 도 9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먼저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에서는 측면(우측면)을 통해 외부(실내공간) 공기가 제습기 내부로 흡입되고, 내부에서 제습된 공기는 상단부를 통해 외부(실내공간)으로 다시 토출된다. 즉, 상기 상면판넬(120)과 타 판넬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송풍모터(240)가 구동하게 되고, 이러한 송풍모터(240)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에 따라 상기 송풍팬(246)이 회전한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상기 흡착모터(176)도 구동하여 상기 흡착어셈블리(180)를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재생어셈블리(160) 내부에 구비되는 재생팬(도시되지 않음)도 회전하여 순환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흡착모터(176)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은 상기 송풍모터(240)나 재생모터(도시되지 않음)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에 비해 저속이다. 따라서, 상기 흡착어셈블리(180)는 저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히터어셈블리(170)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도시되지 않음)도 외부 전원에 의해 가열되어 열기를 발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송풍팬(246)의 회전에 따라 제습기 내부에서는 흡인력이 생기게 되고, 이러한 흡인력에 의해 상기 우측판넬(116)의 흡입구(128)를 통해 외부(실내공간)의 공기가 상기 본체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된다.(도 8의 ① 참조)
상기 본체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도 8의 ②와 같이 상기 측방열교환기(220)를 통과한다. 즉, 상기 제1열교환기(222)와 제2열교환기(224) 및 제3열교환기(226)에 형성된 슬릿(slit) 형태의 에어관통구를 차례로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측방열교환기(220) 외부의 공기와 내부의 공기(순환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차가운 외부 공기는 상기 측방열교환기(220) 내부의 뜨거운 순환공기 영향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측방열교환기(220)를 통과한 공기는 도 8의 과 같이 상기 전방열교환기(210)를 통과하게 된다. 즉, 상기 전방열교환기(210)의 우측방과 전방으로부터 전방열교환기(210)의 후방으로 외부 공기가 유동하게 된다. 이때에도 상기 측방열교환기(220)를 통과할 때와 같이 전방열교환기(210) 내,외부의 공기가 서로 열교환을 하게 된다.
상기 전방열교환기(210)를 통과한 공기는 도 8의 ④와 같이 상기 흡착부재(182)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 상기 흡착부재(182)의 표면에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따라서, 공기는 보다 건조한 공기가 된다.
상기 흡착어셈블리(180)를 통과한 외부 공기는 도 8의 ⑤와 같이 상기 내측열교환기(200)를 통과한다. 상기 내측열교환기(200)에서도 상기 측방열교환기(220) 및 전방열교환기(210)와 마찬가지로 내,외부 공기간에 열교환이 일어나게 되어, 공 기는 더 고온으로 된다.
상기 내측열교환기(200)를 통과 한 공기는 도 8의 ⑥과 같이 상기 베리어(130)의 중앙관통구(134)를 통해 베리어(130) 후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베리어(130) 후측으로 이동한 공기는 상기 송풍팬(246)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출되어 상기 송풍가이드(148)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송풍가이드(148)는 상기 송풍팬(246) 외측을 감싸는 동시에 좌측단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송풍팬(246)에 의해 송출되는 공기는 도 8의 ⑦과 같이 상기 베리어(130)의 좌측 상방으로 상승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송풍가이드(148)에 의해 공기가 유동하는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기 송풍팬(246)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송출되는 공기는 상기 원형가이드부(148')에 의해 안내되어 (7a)와 같이 좌측방(도 9에서는 우측방)으로 안내된다.
그런 다음, 상기 상방가이드부(148")에 의해 안내되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도 (7b)와 같이 상기 상방가이드부(148") 상단과 상기 좌측판넬(118) 사이의 틈새를 통과한다.
상기 상방가이드부(148") 상단과 상기 좌측판넬(118) 사이의 틈새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는 상기 베리어(130) 상단과 상기 상면판넬(12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베리어(130) 전방으로도 이동된다. 즉, 상기 상면판넬(120)과 상기 상면판넬(120)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7c)와 같이 상기 베리어(130) 후측의 공기가 베리어(130) 앞쪽으로도 넘어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송풍가이드(148)에 의해 상승한 공기는 상기 베리어(130)의 전방으로도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베리어(130) 전방의 차단판(230)은 상기 송풍가이드(148)에 의해 상측으로 안내된 공기가 다시 상기 흡착어셈블리(180)로 유입되지 않도록 공기의 하방 유동을 차단하게 된다. 즉, 상기 송풍가이드(148)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는 공기는 상기 차단판(230) 하측으로 내려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섞이지 않도록 한다.
상측으로 이동한 공기는 상기 상면판넬(120)의 테두리 각 부분으로 분산되어 상기 토출구(122)를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즉, 상기 상면판넬(120)과 본체케이스(110) 사이의 각 틈새에 형성된 토출구(122)를 통해 도 8의 ⑧과 같이 외부로 분출된다. 이와 같이 슬릿(slit) 형태로 형성되는 각 판넬의 틈새에 형성되는 토출구(122)를 통해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상기와 같은 방식은 라인디퓨저(line diffuser) 방식이라 부르기도 한다.
다음으로, 상기 다수의 열교환기(200,210,220) 내부를 계속적으로 유동하는 순환공기의 유동을 살펴본다.
상기 다수의 열교환기(200,210,220) 내부를 유동하는 순환공기 유로는 폐회로를 형성한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공기(실내공간에서 제습기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와는 달리 상기 열교환기(200,210,220) 내부의 순환공기는 교체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동일 유로를 순환하면서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재생어셈블리(160)로부터 송풍되는 순환공기는 상기 재생토출구(164)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히터유입구(174)를 통해 상기 히터어 셈블리(17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히터어셈블리(170) 내부로 유입된 순환공기는 히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가열되어 고온으로 된 다음, 상기 히터배출구(172)를 통해 전방으로 유동된다. 상기 히터배출구(172)를 통해 전방으로 배출되는 순환공기는 상기 흡착부재(182)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히터배출구(172)를 통해 분출되는 고온의 순환공기는 상기 흡착부재(182)에 부착된 수분을 증발시키게 된다.
상기 히터배출구(172)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히터배출구(172)를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순환공기에 의해 영향을 받는 흡착부재(182)는 히터배출구(172)와 대응되는 범위(부채꼴 형상)가 된다. 그러나, 상기 흡착부재(182)는 상기 흡착모터(176)에 의해 저속으로 계속 회전하고 있으므로,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상기 흡착부재(182) 전체가 상기 히터배출구(172)를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순환공기와 접하게 된다.
상기 흡착부재(182)를 통과한 순환공기는 상기 흡착프레임(190)의 열기가이드(192)로 유입된 다음, 상기 전방열교환기(210)의 전방유입구(212)를 통해 전방열교환기(210) 내부로 보내진다.
상기 전방열교환기(210) 내부로 유입된 순환공기는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128)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전방열교환기(210) 외부를 유동하는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이 일어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전방열교환기(210) 내부의 순환공기는 상대적으로 외부의 공기보다 고온이므로, 상기 전방열교환기(210) 내부의 순환공기는 전 방열교환기(210) 외부의 공기에 열을 빼앗기게 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상기 전방열교환기(210) 내부의 순환공기는 온도가 낮아지게 되어, 순환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하측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상기 전방열교환기(210)를 통과한 순환공기는 상기 측방열교환기(220) 내부로 유입된다. 즉, 상기 전방열교환기(210) 내부의 순환공기는 상기 전방유출구(214)를 통해 상기 제3열교환기(226)의 제3유입구(226b)를 통해 제3열교환기(226) 내부로 유입되어 유동하게 되고, 연이어 상기 제2열교환기(224)와 제1열교환기(222) 내부를 차례로 통과한다. 이때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순환공기는 상기 측방열교환기(220) 외부의 공기에 열기를 빼앗기게 되어, 순환공기 중의 수분은 응축된다.
상기 측방열교환기(22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내측열교환기(200)로 유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1열교환기(222)의 제1유출구(222a)를 통해 배출되는 순환공기는 상기 베리어(130)에 형성된 에어유입구(146')를 통해 베리어(130) 내부로 유입되고, 이러한 순환공기는 상기 에어유출구(146)를 통해 상기 내측열교환기(200)의 내측유입구(202)로 유입된다.
상기 내측열교환기(200) 내부로 유입된 순환공기는 상기에서 설명한 측방열교환기(220)와 전방열교환기(210)에서와 같이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한다. 즉 상기 흡착부재(182)를 통과한 다음, 상기 베리어(130)의 중앙관통구(134)를 통해 베리어(130) 후측으로 이동하는 공기와 열교환을 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상기 내측열교환기(200) 내부의 순환공기는 냉각되어 순환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된 다음, 하방으로 배출된다.
상기 내측열교환기(200)를 통과한 순환공기는 상기 재생어셈블리(160)로 유입된다. 즉, 상기 내측열교환기(200)의 내측유출구(204)와 상기 재생어셈블리(160)의 재생유입구(162)는 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내측열교환기(200) 내부의 순환공기는 상기 재생어셈블리(16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재생어셈블리(160) 내부로 유입된 순환공기는 재생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강제 송출되어 상기 재생토출구(164)를 통해 상기 히터어셈블리(170)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과정에 의해 순환공기는 다수의 열교환기(200,210,220)를 포함한 폐 유로를 순환하여 하나의 사이클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외부의 공기와 순환공기 사이의 열교환에 의해 발생하는 응축수는 수시로 사용자가 제거하여야 한다.
이때의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열교환기(200,210,220) 내부에서 기온차에 의해 생성되는 응축수는 열교환기(200,210,220) 내벽면을 타고 하측으로 흘러내린 다음, 상기 드레인팬(250)으로 집수된다. 즉, 상기 다수의 열교환기(200,210,220)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물안내구(206,216,222',224',226)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물안내구(206,216,222',224',226)는 상기 드레인팬수용부(152)의 삽입홀(154,156,158)에 삽입된 채로 상기 드레인팬(250) 내부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상기 물안내구(206,216,222',224',226)를 통해 열교환기(200,210,220) 내부의 응축수가 상기 드레인팬(250)에 집수된다.
상기 드레인팬(250)에 모인 응축수는 상기 물통(300) 내부로 낙하한다. 즉, 상기 드레인팬(250)에 일시적으로 모인 응축수는 일 측면에 관통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물통(300) 내부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물통(300) 내부에 응축수가 어느 정도 모이게 되면, 사용자는 이러한 물통(300)을 측방으로 인출하여 내부의 물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에서는, 측방으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다수의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구성된다. 즉, 다수의 열교환기 내부를 유동하는 고온의 순환공기와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가 온도가 상승되면서 수분이 제거되므로 제습기의 제습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개로 구비되어 저속으로 회전하는 흡착부재를 외부의 공기가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외부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부재에 흡착되어 제거되므로, 공기 중의 수분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제습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내부공간을 전후로 구획하는 베리어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내부를 유동하는 고온의 순환공기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공기 상호간에 서로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다수의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에 의해 제거하는 흡착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외부의 공기는 측방으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다수의 열교환기와 흡착부재를 경유한 다음, 상단부를 통해 외부로 다시 토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열교환기는,
    상기 베리어의 측방에 설치되는 측방열교환기와,
    상기 베리어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열교환기와,
    상기 베리어의 일면에 설치되는 내측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측방열교환기와 전방열교환기 그리고 내측열교환기를 차례로 경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열교환기와 내측열교환기 사이에 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열교환기는 다수의 열교환기 결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열교환기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1차적으로 열교환이 일어나는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1열교환기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를 경유한 공기가 2차적으로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제2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열교환기를 경유한 공기가 3차적으로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제3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KR1020060037590A 2006-04-26 2006-04-26 제습기 KR20070105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590A KR20070105455A (ko) 2006-04-26 2006-04-26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590A KR20070105455A (ko) 2006-04-26 2006-04-26 제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455A true KR20070105455A (ko) 2007-10-31

Family

ID=38818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590A KR20070105455A (ko) 2006-04-26 2006-04-26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54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321B1 (ko) 제습기
KR100700404B1 (ko) 조습 장치
KR20070107281A (ko) 제습기
KR101231278B1 (ko) 제습기
EP2159500A1 (en) Dehumidifier
KR20070107280A (ko) 제습기
KR20080060845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KR20070105455A (ko) 제습기
KR20070107271A (ko) 제습기
KR20070107276A (ko) 제습기
KR20100025347A (ko) 제습기
KR20070107274A (ko) 제습기
KR20070107279A (ko) 제습기
KR20150068840A (ko) 제습기
KR101144801B1 (ko) 제습기
CN101231009A (zh) 除湿机
KR101534292B1 (ko) 제습기
EP2159499B1 (en) Dehumidifier
CN115869742A (zh) 除湿装置
CN101178205A (zh) 除湿机
CN101178204A (zh) 一种除湿机
KR20150001063A (ko) 제습기
JP2023139348A (ja) 除湿装置
JP2023050361A (ja) 除湿装置
JP2019155267A (ja) 除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