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5347A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5347A
KR20100025347A KR1020080084063A KR20080084063A KR20100025347A KR 20100025347 A KR20100025347 A KR 20100025347A KR 1020080084063 A KR1020080084063 A KR 1020080084063A KR 20080084063 A KR20080084063 A KR 20080084063A KR 20100025347 A KR20100025347 A KR 20100025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umidifier
air
main
drain portion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4170B1 (ko
Inventor
김문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4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170B1/ko
Publication of KR20100025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with a moving bed of solid desiccants, e.g. a rotary wheel supporting solid desicc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32Desiccant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습기는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제습되는 제습유로 및 재생공기가 유동하는 재생유로가 형성된 본체, 상기 실내공기와 재생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응축열교환기, 상기 응축 열교환기를 통과한 실내공기가 통과하면서 제습되고, 상기 재생공기가 통과하면서 재생되는 제습로터, 상기 제습로터의 후방에 위치하면서 본체로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 및 상기 응축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수용되는 주드레인부와 상기 주드레인부와 인접하게 형성되어 주드레인부에서 과수용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보조드레인부를 포함하는 드레인팬을 포함한다.
따라서 주드레인부에 응축수가 과수용되는 경우, 주드레인부에서 넘친 응축수를 수용할 수 있는 보조드레인부가 있어서 제습기 내부에 응축수가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제습기, 주드레인부, 보조드레인부, 드레인팬, 버킷

Description

제습기{Dehumidifier}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응축열교환기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수용되는 주드레인부의 일측에 보조드레인팬을 두어 응축수가 주드레인부에서 제습기 내부의 다른 부품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작동방식에 따라 냉방사이클을 이용한 제습기와 데시칸트 로터를 이용한 제습기로 구분될 수 있다.
냉방사이클을 이용한 제습기의 경우 압축기가 구비되어야 하고, 압축기의 소음 및 압축기가 위치하는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등이 있어, 최근에는 데시칸트 로터를 이용한 제습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데시칸트 로터는 공기중의 습기를 흡착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실내공기를 데시칸트 로터로 통과시키면서 제습시키고, 습기가 흡착된 데시칸트를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재생시키는 원리에 의한다.
여기서 데시칸트 로터를 재생시킨 공기는 고온 다습하게 되고,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 제습기가 건물의 외관에 위치하거나, 실내에 위치하더라도 별도의 배기덕트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데시칸트를 재생시킨 고온 다습한 공기를 제습기 내부에서 순환시키는 경우, 별도의 배기덕트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제습기의 위치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놓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서는 고온 다습한 공기의 습기를 제거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일반적으로 실내공기유입부와 데시칸트로터 사이의 공간에 고온 다습한 공기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응축 열교환기를 구비한다. 즉 고온 다습한 공기를 상온의 공기와 열교환 시켜서 고온 다습한 공기 내부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원리에 의해 습도를 낮춘다.
그리고 고온 다습한 공기와 상온의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응축열교환기의 하부에는 응축열교환기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수용되는 드레인팬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드레인팬에는 수용된 응축수가 하부로 배출되는 드레인홀이 형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드레인팬은 상기 드레인홀이 이물질 등에 의해 막히는 경우 드레인팬에 응축수가 과수용되어 넘치게 되어 다른 부품들이 수분에 의해서 손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드레인부에서 과수용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보조드레인팬을 구비한 제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드레인팬에도 드레인홀을 형성하여 수용된 응축수가 드레인팬 하부의 버킷으로 배출이 될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제습되는 제습유로 및 재생공기가 유동하는 재생유로가 형성된 본체, 상기 실내공기와 재생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응축열교환기, 상기 응축 열교환기를 통과한 실내공기가 통과하면서 제습되고, 상기 재생공기가 통과하면서 재생되는 제습로터, 상기 제습로터의 후방에 위치하면서 본체로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 및 상기 응축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수용되는 주드레인부와 상기 주드레인부와 인접하게 형성되어 주드레인부에서 과수용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보조드레인부를 포함하는 드레인팬을 포함한다.
상기 드레인팬은 상기 주드레인부와 보조드레인부를 구획하는 구획벽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벽에는 주드레인부에 수용되는 응축수가 일정량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보조드레인부로 유동할 수 있는 유동부가 형성된다.
상기 유동부는 구획벽의 상부면에서 함몰되어 형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드레인부에는 응축수가 하부로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드레인팬에는 상기 송풍기가 위치하는 송풍기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기 장착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본체내부의 수분이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팬에는 상기 제습로터가 장착되는 제습로터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습로터 수용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본체 내부의 수분이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응축열교환기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수용하는 주드레인부와 보조드레인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주드레인부에 과수용된 응축수로 인한 제습기 내부의 다른 부품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보조드레인부에 배출홀을 형성하여 보조드레인부에 수용되는 응축수를 드레인팬 하부의 버킷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조드레인팬에 과수용된 응축수로 인한 제습기 내부의 다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드레인팬에 송풍기 장착부 및 제습로터 수용부에 각각 배출홀이 형성되어 제습기 내부의 수분이 드레인팬 하부의 버킷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드레인팬으로 수용되는 제습기 내부의 잔여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제습기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수분을 흡수한 후 제습된 실내 공기를 토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체(2)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와 흡입된 실내공기가 제습된 후 토출되는 공기 토출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흡입부는 본체(2)의 측면에 위치하고, 공기 토출부의 상면에 위치한다.
전면 패널(8), 버킷(10)의 전면, 좌, 우측 패널(4,5), 상부 패널(3), 베이스(8), 후면 상부 패널(7) 및 후면 하부 패널(6)은 본체의 외관을 형성한다.
전면 패널(8)은 본체의 전면 상부의 외관을 형성한다. 전면 패널(8)의 후면에는 필터가 슬라이딩 장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부를 통하여 들어온 실내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필터가 장착된다.
좌, 우측 패널(4,5)은 본체의 측면을 형성하고, 사용자가 제습기를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설치된다. 그리고 측면 패널(4,5)의 하부 중 후술할 버킷(10)이 위치하는 지점에는 홀이 형성되어 버킷(10) 내부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별도의 호스가 연결될 수 있다.
상부 패널(3)은 본체의 상부를 형성하고, 공기 토출부 및 사용자가 제습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제습기의 동작을 입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및 조작 부가 위치한다.
후방패널(6,7)은 본체의 후방을 형성한다. 특히 하부 후방 패널(6)은 본체에서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 후방 패널(6)의 내부에는 본체의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코드가 고정되는 파워코드 고정부(미도시)가 위치한다.
베이스(8)는 본체의 저면을 형성하고, 제습기의 이동을 돕도록 휠과 휠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휠 지지체로 이루어진 휠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베이스(8)는 상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상면에는 드레인팬(20)이 위치한다. 그리고 베이스(8)의 내부에는 버킷(10)이 슬라이딩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드레인팬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드레인팬(20)은 베이스(8)의 상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부에 응축 열교환기(100), 로터 프레임(43)와 송풍기(9)등이 장착된다. 그리고 응축열교환기(100)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즉 드레인팬(20)은 응축열교환기(100)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주드레인부(23)와 주드레인부(23)에서 과수용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보조드레인부(24)를 포함한다.
주드레인부(23)는 드레인팬(20)을 구획하는 한 쌍의 구획벽(25,26)에 의해서 형성된다. 따라서 응축수는 구획벽(25,26)이 형성하는 공간에 수용되게 된다. 그리고 구획벽(25,26)사이의 공간에는 응축열교환기(100)가 위치하고, 상기 구획벽(25,26)사이의 간격은 응축열교환기(100)가 수용될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된다.
주드레인부(23)에는 수용되는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출홀(2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주드레인부(23)의 바닥면은 배출홀(23a)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응축열교환기(100)에서 배출된 응축수는 경사진 방향을 따라 배출홀(23a)로 유동하게 된다.
보조드레인부(24)는 주드레인부(23)에서 과수용되는 응축수를 수용한다. 구체적으로 주드레인부(23)으로 수용되는 응축수의 양이 배출홀(23a)을 통하여 주드레인부(23)에서 배출되는 응축수의 양보다 많은 경우, 주드레인부(23)에 형성된 배출홀(23a)이 이물질 등에 의해 막히는 경우 등에 응축수가 주드레인부(23)에 과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드레인부(24)에서 상기 과수용된 응축수를 수용하는 경우 주드레인부(23)에서 과수용된 응축수가 버킷(10)이 아닌 제습기 내부의 다른 부분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드레인부(24)은 주드레인부(23)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즉 주드레인부(23)을 형성하는 한 쌍의 구획벽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드레인부(24)는 주드레인부(23)의 전면에 위치한 구획벽(25)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제습기 본체(2)의 크기를 슬림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구획벽(25)은 상기 주드레인부(23)과 보조드레인부(24)를 구획하게 된다. 따라서 과수용되지 않은 응축수는 구획벽(25)에 의해 보조드레인부(24)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한편, 구획벽(25)에는 주드레인부(23)에 일정 높이 이상 응축수가 수용되는 경우 응축수가 보조드레인팬(24)로 유동할 수 있는 유동부(25a)가 형성된다. 상기 유동부(25a)는 구획벽(25)에 일정 높이 이상의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높이 이상 으로 응축수가 누적되는 경우 보조드레인부(24)로 응축수를 유동시키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유동부(25a)는 구획벽(25)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구획벽(25)의 일부 함몰된 유동부(25a)의 높이 이상으로 응축수가 누적되면 보조드레인부(24)로 유입되게 된다.
한편, 보조드레인부(24)에는 배출홀(24a)이 형성된다. 따라서 보조드레인부(24)에 수용되는 응축수를 하부로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배출된 응축수는 버킷(10)으로 수용된다. 따라서 주드레인부(23)에서 과수용된 응축수는 보조드레인부(24)에 일시적으로 수용되었다가 배출홀(24a)을 통해 버킷(10)으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보조드레인부(24)의 바닥면은 배출홀(24a)를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응축수를 배출홀(24a)로 유도한다.
드레인팬(20)에는 후술할 송풍기(9)가 장착되는 송풍기 장착부(21) 및 제습로터(30)가 장착되는 제습로터 수용부(22)가 형성된다.
제습로터 수용부(22)는 주드레인부(23)의 한 쌍의 구획벽 중 후측의 구획벽(26)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구획벽(26)은 주드레인부(23)과 제습로터 수용부(22)를 구획하게 된다. 그리고 구획벽(26)에는 상기 설명한 전방에 설치된 구획벽(25)의 유동부(25a)와 같은 역할을 하는 유동부(26a)가 형성된다.
한편 제습로터(30) 자체가 제습로터 장착부(22)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습로터(30)는 로터 프레임(43)에 고정되고, 상기 로터 프레임(43)이 제습로터 장착부(22)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습로터 수용부(22)에는 제습기 본체(2) 내부의 수분을 버킷(10) 으로 배출하는 배출홀(2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실내공기가 유동을 하면서 제습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수분이 제습로터 수용부(22)로 수용되게 되면 배출홀(22a)를 통하여 버킷(10)으로 유도되게 된다. 또한 주드레인부(23)에서 과수용되어 유동부(26a)를 통해 제습로터 수용부(22)로 유입되는 응축수 역시 배출홀(22a)를 통해 버킷으로 유도되게 된다. 그리고 제습로터 수용부(22)의 바닥면 역시 배출홀(22a)를 기준으로 상향 경사질 수 있다.
송풍기 장착부(21)은 드레인팬의 후방에 함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송풍기(9)는 함몰된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송풍기 장착부(21)의 하부면에도 제습기 본체(2) 내부의 수분을 버킷(10)으로 배출하는 배출홀(2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실내공기가 제습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분 중 송풍기 장착부(21)로 유도되는 수분은 배출홀(21a)를 통하여 버킷(10)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송풍기 장착부(21)의 하부면은 배출홀(21a)를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버킷(10)의 사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버킷(10)은 드레인팬(14)을 통하여 유입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베이스(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응축수가 어느 정도 수용된 경우 사용자는 버킷(10)을 베이스(8)에서 분리시켜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버킷(10)은 상부면을 밀폐하는 상판부(11)를 포함한다.
상판부(11)에는 개구 형성되어서 상기 설명한 다수개의 배출홀(21a, 22a, 23a, 24a)로부터 배출된 응축수가 버킷(10) 내부로 흘러 들어갈 수 있는 유입 부(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판부(11)는 유입부(13)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판부(11)로 떨어진 응축수 및 수분들은 경사진 방향을 따라 유입부(13)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유입부에는 사용자가 버킷(10)을 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판부(13)에는 주드레인부(23)의 배출홀(23a)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버킷(10) 내부로 유도하는 응축수 수용홈(12)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주드레인부(23)의 배출홀(23a)에서 배출된 응축수는 상기 수용홈을 거쳐 상기 수용홈(12)에 형성된 배출홀(12a)를 통하여 버킷(10) 내부로 유도된다. 따라서 응축열교환기(100)에서 응축되는 응축수가 상판부(11)을 유동하지 않고 직접 버킷(10)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수용홈(12)과 배출홀(12a)는 상기 드레인팬(20)에 형성된 다른 배출홀(21a, 22a, 24a)에서 배출되는 응축수 및 수분을 수용하도록 각 배출홀(21a, 22a, 24a)의 하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의 내부에는 송풍기(20)와, 제습 로터(30)와, 재생 팬(50)과, 재생공기 가열부재(60)와, 응축 열교환기(100)가 설치된다.
송풍기(9)는 공기 흡입부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를 통과한 후 공기 토출부로 토출되게 하는 일종의 제습 팬으로서, 후방 상부 패널(7)와 함께 송풍 유로를 형성하도록 배면이 개방되고 전면에 공기 흡입홀이 형성되며 상부에 토출부가 개구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에 팬모터와 팬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팬을 포함하고, 토출부에 토출 그릴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송풍기(9)의 하부면은 상기 설명한 송풍기 장착부(21)에 위치한다.
제습 로터(30)는 송풍기(9)에 의해 흡입된 실내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되고 저온 재생이 가능한 것으로서, 송풍기(9)와 응축 열교환기(100)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제습 로터(30)는 실내 공기가 통과하면서 실내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되고 재생이 가능한 데시컨트(35)와, 데시컨트(35)의 둘레를 감싸고 데시컨트(35)가 고정되는 데시컨트 휠(33)을 포함한다.
데시컨트(35)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게 감기고, 중앙에 고정을 위한 고정홀이 형성된다.
데시컨트로 다양한 형태 및 재질의 데시컨트가 사용될 수 있으나,본 실시예에서의 데시컨트(35)는 세라믹 섬유질의 평면지와 파형지를 번갈아 원통형으로 감아올린 형상이다. 그리고 메조 실리카(Meso-Silica(SiO2))로서 기공 및 표면적이 매우 발달돼 있어 흡습 특성이 우수하고 대략 60℃ 이하인 저온에서도 재생이 가능한 나노 카본 볼(NCB: Nano caboon Ball)이 포함된다.
나노 카본 볼(NCB)은 구형의 중공 코어부와 메조 다공성의 카본 셀부로 이루어지고, 직경 200nm~500nm 인 구형 탄소구조체로서, 세공이 2㎚~50nm이며, 통상적인 활성탄의 경우 보다 표면적 BET 및 Mesopore area가 크기 때문에 기공 막힘 현상이 없다.
한편, 데시컨트(35)는 실내 공기가 통과하면서 수분이 흡착되는 영역(이하,'제습영역' 이라 칭함)과 재생 공기가 통과하면서 수분이 증발되는 영역(이하,' 재생영역'이라 칭함)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데시컨트(35)의 회전에 따라 각 영역이 교대로 바뀌면서 수분이 흡착/증발된다.
재생 영역은 일반적으로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재생 영역은 후술하는 재생공기 가열부재(60)에 대향되게 구획될 수 있다.
데시컨트 휠(33)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데시컨트(35) 둘레를 둘러싸는 테두리부와, 데시컨트(35)가 고정하는 고정부와, 테두리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도록 테두리부와 고정부 사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체의 내부에는 제습 로터(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터 서포터(41)와, 로터 서포터(41)가 장착되는 로터 프레임(43)이 배치된다.
로터 서포터(41)의 전면에는 후술하는 재생공기 분배부재(90)가 결합된다. 그리고 재생공기 분배부재(90)의 후면은 개방되어 있고 로터 서포터(41)과 결합하면서 재생공기 분배부재(90)로 재생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92)를 형성한다.
로터 프레임(43)은 본체의 내부를 송풍기(20)가 배치되는 후방측 공간과 응축 열교환기(100)가 배치되는 전방측 공간을 구획하는 일종의 베리어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로터 프레임(43)이 제습로터 수용부(22)에 위치하게 된다. 하지만 로터 서포터가 없이 상기 제습로터(30)가 직접 제습로터 수용부(22)에 위치할 수도 있다.
로터 프레임(43)의 전면은 개구 형성되어 데시컨트(35)를 통과하는 실내공기 및 재생공기가 통과한다. 그리고 후술할 배기덕트(80)를 경유한 재생공기가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로터 프레임(43)의 상부에는 제습기를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22)가 장착되는 컨트롤 박스 설치부가 상부에 형성된다.
재생팬(50)은 재생공기가 본체내에서 순환하면서 유동을 할 수 있도록 순환력을 부여한다. 즉 재생팬(50)은 배기덕트(80)를 통과한 공기를 흡입하여 재생공기 가열부재(60)으로 토출한다.
재생공기 가열부재(60)는 재생 팬(90)에서 토출된 재생공기를 공기를 가열하여 제습 로터(30)로 고온의 재생 공기를 공급한다. 재생공기 가열부재(60)은 히터(63), 히터(63)를 덮으면서 재생 팬(50)과 연통되는 제1히터 커버(65) 및 제1히터 커버(65)와 제습 로터(30) 사이에 위치하며, 제1히터 커버(102)와 결합되는 제2히터 커버(61)을 포함한다.
제2 히터 커버(61)은 히터(63)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히터(63)와 제습 로터(30) 사이에서 주변으로 새나가지 않고 제습 로터(30)로 향해 이동되게 막는 일종의 에어 가이드 역할을 한다.
한편 재생공기 가열부재(6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재생공기는 데시컨트(30)의 재생영역을 통과한 재생공기 분배부재(90)으로 유입된다.
재생공기 분배부재(90)는 상기 재생영역과 응축열교환기(100)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재생영역에서 배출된 재생공기는 재생공기 분배부재(90)로 들어가서 응축열교환기(100)로 분배되어 유입된다.
응축 열교환기(100)는 재생공기 분배부재(90)를 경유한 재생공기를 실내공기와 열교환시킨다. 즉 제습 로터(30)의 재생 영역을 통과하면서 수분을 흡착시킨 재생공기를 실내공기를 이용하여 응축시켜, 수분이 제거된 재생공기는 배기덕트(80)를 통하여 재생팬(50)측으로 배출한다. 그리고 응축수는 주드레인부(23)을 거쳐 배출홀(23a)로 배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응축열교환기(100)는 복수개의 열교환판으로 형성되어 재생공기와 실내공기의 열교환면적을 최대화 할 수 있다.
응축열교환기(100)을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된 재생공기는 응축열교환기와 연통되어 형성되는 배기덕트(90)을 통하여 다시 재생팬(50)으로 흡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제습기의 재생공기의 응축과정, 실내공기의 제습과정 및 본체(2) 내부의 응축수 및 수분의 배출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재생공기는 재생팬(50)의 회전에 의해 재생유로를 순환한다. 즉 재생팬(50)을 통과한 재생공기는 재생공기 가열부재(60)에서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한다. 상기 고온의 재생공기는 제습로터(30)의 재생 영역을 재생시키고, 재생공기 분배부재(90)를 경유하여 응축열교환기(100)으로 유입된다
응축열교환기(100)로 유입된 재생공기는 복수개의 열교환판의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을 하면서 실내공기와 열교환을 한다. 상기 열교환과정에서 재생공기중의 수분이 응축된다. 응축된 재생공기는 배기덕트(90)을 통하여 로터 프레임(43)의 개구부를 통하여 다시 재생팬(50)으로 유입된다. 즉 재생공기는 상기의 사이클을 따라 본체 내부를 순환하게 된다.
한편, 실내공기는 본체의 공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되어 응축열교환기(100)의 실내공기유로를 통과하면서 재생공기유로를 유동하는 재생공기와 열교환 을 한다. 응축열교환기(100)를 통과한 실내공기는 데시컨트(35)의 제습영역을 통과하면서 수분이 흡착되어 제습된다. 수분이 흡착된 실내공기는 송풍팬(9)을 통과하여 본체의 공기토출부를 통하여 실내로 다시 배출된다.
한편, 응축열교환기(100)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주드레인부(23), 배출홀(23a), 응축수 수용홈(12) 및 배출홀(12a)을 거쳐서 버킷(10)의 내부로 수용된다. 그리고 주드레인부(23)에서 과수용되는 응축수의 일부는 주드레인부(23)의 전방 구획벽(25)에 형성된 유동부(25a)을 거쳐 보조드레인부(24), 배출홀(24a), 버킷(10)의 상판부(11) 및 유입부(13)을 경유하여 버킷(10)의 내부로 수용된다. 그리고 과수용되는 나머지 응축수는 주드레인부(23)의 후방측 유동부(26a), 제습로터 수용부(22), 배출홀(22a), 상판부(11) 및 유입부(13)를 통하여 버킷(1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송풍기 장착부(21)측으로 유도되는 응축수 및 수분은 송풍기 장착부에 형성된 배출홀(21a), 상판부(11) 및 유입부(13)를 통하여 버킷(10)의 내부로 유입된다.
결국 버킷(10)의 내부에는 본체(2) 내부의 응축수 및 수분이 수용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버킷(10)을 베이스(8)에서 분리하여 응축수 및 수분을 제품의 외부에 버리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제습기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드레인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버킷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전면패널
3: 상부패널 4,5: 좌, 우측패널
6,7: 하부패널 8: 베이스
10: 버킷 11: 상판부
12: 응축수 수용홈 12a: 배출홀
13: 유입부 20: 드레인팬
21: 송풍팬 장착부 22: 제습로터 수용부
23: 주드레인부 24: 보조드레인부
25: 전방 구획벽 26: 후방 구획벽
21a, 22a, 23a, 24a: 배출홀 25a, 26a: 유동부
41: 로터 서포터 43: 로터 프레임
50: 재생팬 60: 재생공기 분배부재
80: 배기 덕트 90: 재생공기 분배부재
100: 응축 열교환기

Claims (6)

  1.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제습되는 제습유로 및 재생공기가 유동하는 재생유로가 형성된 본체;
    상기 실내공기와 재생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응축열교환기;
    상기 응축 열교환기를 통과한 실내공기가 통과하면서 제습되고, 상기 재생공기가 통과하면서 재생되는 제습로터;
    상기 제습로터의 후방에 위치하면서 본체로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 및
    상기 응축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수용되는 주드레인부 및 상기 주드레인부와 인접하게 형성되어 주드레인부에서 과수용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보조드레인부를 포함하는 드레인팬;
    을 포함하는 제습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은 상기 주드레인부와 보조드레인부를 구획하는 구획벽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벽에는 주드레인부에 수용되는 응축수가 일정량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보조드레인부로 유동할 수 있는 유동부가 형성된 제습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구획벽의 상부면에서 함몰되어 형상되는 제습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드레인부에는 응축수가 하부로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제습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에는 상기 송풍기가 위치하는 송풍기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기 장착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본체 내부의 수분이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제습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에는 상기 제습로터가 장착되는 제습로터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습로터 수용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본체 내부의 수분이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제습기.
KR1020080084063A 2008-08-27 2008-08-27 제습기 KR101534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063A KR101534170B1 (ko) 2008-08-27 2008-08-27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063A KR101534170B1 (ko) 2008-08-27 2008-08-27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347A true KR20100025347A (ko) 2010-03-09
KR101534170B1 KR101534170B1 (ko) 2015-07-06

Family

ID=42176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063A KR101534170B1 (ko) 2008-08-27 2008-08-27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1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47119A (ja) * 2018-02-28 2019-09-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装置
KR20220006757A (ko) 2020-07-09 2022-01-18 김환배 밀폐용기의 진공구조
KR102666219B1 (ko) 2023-11-28 2024-05-13 김병수 내부압을 배출하는 진공 밀폐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1966B2 (ja) * 2003-12-25 2010-02-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除湿装置
EP1899657B1 (en) * 2005-06-15 2014-03-05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JP5011750B2 (ja) * 2006-02-27 2012-08-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除湿機
KR101384890B1 (ko) * 2006-11-06 2014-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47119A (ja) * 2018-02-28 2019-09-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装置
KR20220006757A (ko) 2020-07-09 2022-01-18 김환배 밀폐용기의 진공구조
KR102666219B1 (ko) 2023-11-28 2024-05-13 김병수 내부압을 배출하는 진공 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4170B1 (ko)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579B1 (ko) 제습기
KR101440521B1 (ko) 제습기
KR20060131112A (ko) 제습기
KR20100025346A (ko) 제습기
CN102589054A (zh) 空调器
KR20060129677A (ko) 제습기
EP2159503A2 (en) Dehumdifier
KR20100025347A (ko) 제습기
KR101450556B1 (ko) 제습 로터를 갖는 제습기
JP4329584B2 (ja) 除湿装置
EP2116783A2 (en) Dehumidifier having dehimidifying rotor
KR100958391B1 (ko) 제습기
KR101534292B1 (ko) 제습기
KR20100025344A (ko) 제습기
KR101535143B1 (ko) 제습기
KR100947614B1 (ko) 제습기
KR100600774B1 (ko) 제습기
JP2005103365A (ja) 除湿装置
JP2023050357A (ja) 除湿装置
KR101450555B1 (ko) 제습기
JP2016173209A (ja) 除湿機
CN116557984A (zh) 加除湿处理装置的换热器和加除湿处理装置
JP3043246B2 (ja) 除湿乾燥装置
JP3213511B2 (ja) 除湿乾燥装置
CN115899867A (zh) 风道组件和空气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