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757A - 밀폐용기의 진공구조 - Google Patents

밀폐용기의 진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757A
KR20220006757A KR1020200084541A KR20200084541A KR20220006757A KR 20220006757 A KR20220006757 A KR 20220006757A KR 1020200084541 A KR1020200084541 A KR 1020200084541A KR 20200084541 A KR20200084541 A KR 20200084541A KR 20220006757 A KR20220006757 A KR 20220006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hole
container
check valv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배
Original Assignee
김환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환배 filed Critical 김환배
Priority to KR1020200084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6757A/ko
Publication of KR20220006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용기의 진공구조에 관한 것으로, 내용물을 담는 용기와 용기를 밀폐시키는 뚜껑으로 구성되고 상기 뚜껑에 진공수단을 구성하여 용기의 내부를 진공 시키는 밀폐용기의 진공구조에 있어서,
뚜껑의 중앙에 바큠홀을 형성하고 바큠홀 중앙에 흡입공을 형성한 것과; 상기 바큠홀의 바닥에 주연이 밀착하도록 삽입되고 내부 중앙이 스프링으로 탄지되어 설치되는 바큠컵과; 상기 바큠컵 중앙에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배기공을 형성한 누름버튼과; 상기 흡입공은 바큠컵 내부로만 흡입되고 배기공은 바큠컵 내부의 공기를 배기만 하도록 각각 흡입체크밸브와 배기체크밸브를 구성하되, 여기서 상기 흡입공은 바큠홀 바닥을 관통하여 바큠홀 반대 측 주연에 적어도 두 곳 이상의 공기흡입통로를 형성한 밸브지지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바큠컵은 실리콘이나 고무 수지 등의 탄력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하여 중앙에 누름버튼이 결합되는 결합공을 구성하며, 상기 누름버턴은 중앙에 스프링홀을 형성하고 그 상단에 배기공을 형성하며, 외주연에는 바큠컵이 결합하는 환형 결합홈을 형성하여 플랜지를 구성하며, 상기 흡입체크밸브와 배기체크밸브는 실리콘이나 고무 수지 등의 탄력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하여 각각의 하단에 고정구를 형성하며 고정구 상측으로 원추형 결합부와 상기 밀폐시트를 형성하며, 흡입체크밸브의 상단에는 조작헤드를 구성하며, 상기 스프링은 상측이 상기 스프링홀에 결합하고 하단은 바큠홀의 바닥면에 지지하도록 한 밀폐용기의 진공구조이다.

Description

밀폐용기의 진공구조{Vacuum structure of sealed container}
본 발명은 밀폐용기의 진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각종 야채와 생선 등의 식품류는 대기압에서 보관하면 미생물의 활동으로 인해 쉽게 산화되면서 부패가 된다.
이와 같은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대기의 온도보다 낮게 설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냉장고를 이용하고 있으나 그 속의 내용물을 먹기 위하여 자주 문을 열게 되면서 냉장고 속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이 부패하는 것을 막지 못하여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만으로는 음식물의 장기간 보관이 어렵다.
특히 발효식품을 선호하는 우리 국민의 경우에는 미생물의 번식이 더욱 활성화되면서 식품의 발효 및 숙성 속도가 지나치게 빨리 진행되어 보존성이 좋지 못한 폐단이 있다.
이에 음식물을 보다 오래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뚜껑에 체크밸브를 설치하고 용기 내부의 공기를 빼어내어 용기 내부를 대기압 이하로 진공화시켜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지금까지 개발된 밀폐용기의 진공구조에 대한 특허문헌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출원 제10-2008-0136877호(2008.12.30)는 체크밸브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이 개시된다. 상기 진공용기 뚜껑은 공기연락공과 밸브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장착부와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패킹장착부를 구비하는 뚜껑몸체, 탄성재질로 되고 가장자리가 상기 공기연락공을 포위하는 탄성재질부와 상기 탄성재질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재질부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가장자리 안쪽에 걸리는 힘을 상기 가장자리 쪽으로 전달하여 상기 공기연락공을 포위하는 상기 가장자리가 큰 힘으로 상기 뚜껑몸체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경질 심재를 구비하는 밸브몸체부, 상기 밸브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몸체부가 상기 밸브장착부에 장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는 체크밸브 및 상기 패킹장착부에 결합되는 몸체결합부와, 상기 몸체결합부의 하단에서 바깥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뚜껑몸체의 하강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에 밀착되어 외기가 상기 용기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밀착부를 구비하는 패킹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특허출원 제10-2010-0025347(2010.03.22)는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진공용기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진공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는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에 관한 것으로, 하부막에 제1배출구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막에 제2배출구가 구비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배출구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재;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배출구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재; 상기 케이스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이탈방지부재;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개폐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이탈방지부재;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개폐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이탈방지부재;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허출원 제10-2010-0099433호(분할)(2010.10.12)는 진공 용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에 형성되고 제1배출구를 가지는 수용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제2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피스톤 부재, 상기 피스톤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탄성부재,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어 있고 제1배출구를 개폐하는 제1밸브판, 상기 피스톤 부재에 배치되어 있고 제2배출구를 개폐하는 제2밸브판,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 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판, 그리고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 부재가 하강되어 상기 이탈 방지판에 걸려 고정되면 상기 제1 밸브판을 가압하여 제1배출구를 막는 제1 밸브판 가압유닛을 포함한다. 특허출원 제10-2011-0087859호(2011.08.31)는 밸브장치와 펌프장치가 함께 구비된 진공용기에 관한 것으로, 진공용기 뚜껑은 용기 본체에 진공을 생성하는 진공장치와 용기 본체의 진공을 해제하는 진공해제장치를가지며, 상기 진공장치는 진공용기 뚜껑에 용기 본체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진공장치 안치부에 위치되는 밸브장치와 펌프장치로 구성되되 밸브장치는 용기 본체 내의 공기를 용기 본체 외부로 일방향 유동시키는 작용을 하고 펌프장치는 용기 본체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펌프장치는 밸브장치를 에워싸며 진공장치 안치부에 기밀하게 고정되는 커버, 커버 내를 왕복운동하는 로드부, 및 로드부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며 로드부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해 파지되는 핸들로 구성되며, 상기 펌프장치의 로드부는 상기 밸브장치가 충분히 수용되는 크기의 중공부를 갖는 원형의 판상부, 및 이 판상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판상부의 중앙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중앙로드로 구성되되, 판상부에는 판상부의 외주부를 따라 오링 삽입홈이 형성되고 중앙로드에는 그 단부영역에 핸들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펌프장치의 커버는 속이 빈 원통형 동체, 및 이 동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판상의 상면으로 구성되하되, 커버 동체의 외벽에는 커버돌기가 형성되며 커버 상면에는 그 중앙에 상기 로드부의 중앙로드가 삽입되는 중앙공이 형성되고, 커버 상면 하부에는 커버 동체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연장면이 형성되며, 상기 펌프장치의 핸들은 상기 중앙로드의 핸들결합부에 축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판상부의 오링 삽입홈에 제1 오링이 삽입되어서, 판상부는 상기 커버의 동체 내벽을 따라 기밀성을 유지하며 왕복운동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이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2-0003956호(2012.05.11)는 진공펌프가 결합된 진공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진공용기는 진공상태로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덮어주면서 그 중앙에 일정깊이의 조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홈의 바닥부에 체크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조립홈의 상부 외측에 상방향으로 절곡된 손잡이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되는 플랜지에 기밀유지수단이 설치된 뚜껑 및, 제1 용기체와 제2 용기체와 피스톤 및 피가압체로 이루어진 진공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지금까지 개발된 밀폐용기의 진공구조는 용기 내부의 공기를 빼내는 바큠과 용기내부의 진공을 해제하는 해제밸브가 각각 따로 구성되어 사용에 불편함은 물론 제작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따랐으며, 이와 같이 바큠과 진공해제밸브를 각각 구성함은 그 작용에 따른 기능을 해결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밀폐용기의 내부를 진공으로 하거나 진공 된 내부를 진공해제하는 구성을 간단하게 단일체로 구성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용물을 담는 용기와 용기를 밀폐시키는 뚜껑으로 구성되고 상기 뚜껑에 진공수단을 구성하여 용기의 내부를 진공 시키는 밀폐용기의 진공구조에 있어서,
뚜껑의 중앙에 바큠홀을 형성하고 바큠홀 중앙에 흡입공을 형성한 것과; 상기 바큠홀의 바닥에 주연이 밀착하도록 삽입되고 내부 중앙이 스프링으로 탄지되어 설치되는 바큠컵과; 상기 바큠컵 중앙에 형성한 결합공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배기공을 형성한 누름버튼과; 상기 흡입공은 바큠컵 내부로만 흡입되고 배기공은 바큠컵 내부의 공기를 배기만 하도록 각각 흡입체크밸브와 배기체크밸브를 구성한 밀폐용기의 진공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흡입공은 바큠홀 바닥을 관통하여 바큠홀 반대 측 주연에 적어도 두 곳 이상의 공기흡입통로를 형성한 밸브지지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바큠컵은 실리콘이나 고무 수지 등의 탄력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하여 중앙에 누름버튼이 결합되는 결합공을 구성하며, 상기 누름버턴은 중앙에 스프링홀을 형성하고 그 상단에 배기공과 공기배출홈을 형성하며, 외주연에는 바큠컵이 결합하는 환형 결합홈을 형성하여 플랜지를 구성하며, 상기 흡입체크밸브와 배기체크밸브는 실리콘이나 고무 수지 등의 탄력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하여 각각의 하단에 고정구를 형성하며 고정구 상측으로 원추형 결합부와 상기 밀폐시트를 형성하며, 흡입체크밸브의 상단에는 조작헤드를 구성하며, 상기 스프링은 상측이 상기 스프링홀에 결합하고 하단은 바큠홀의 바닥면에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의 하측에 밸브홀드를 구성하여 흡입체크밸브의 조작헤드를 파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흡입체크밸브와 배기체크밸브가 서로 연결되어 단일체로 구성하거나, 이들을 별도의 연결끈으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밀폐용기의 내부를 진공으로 하거나 진공 된 내부를 진공해제하는 구성을 단일체로 구성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등 지금까지의 밀폐용기의 진공구조에서는 실현할 수 없는 신규한 효과를 창출하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도면대용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도면대용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발췌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흡기구의 구성을 예시한 발췌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배기구의 구성을 예시한 발췌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용물을 담는 용기(10)와 용기(10)를 밀폐시키는 뚜껑(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뚜껑(20)에 진공수단을 구성하여 용기(10)의 내부를 진공 시키는 밀폐용기의 진공구조에 있어서,
뚜껑(20)에 바큠홀(21)을 형성하고 바큠홀(21) 중앙에 흡입공(22)을 형성한 것과;
상기 바큠홀(21)의 바닥에 주연이 밀착하도록 삽입되고 내부 중앙이 스프링(35)으로 탄지되어 설치되는 바큠컵(30)과;
상기 바큠컵(30) 중앙에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배기공(45)을 형성한 누름버튼(40)과;
상기 흡입공(22)은 바큠컵(30) 내부로만 흡입되고 배기공(45)은 바큠컵(30) 내부의 공기를 배기만 하도록 각각 흡입체크밸브(50)와 배기체크밸브(55)를 구성하는 밀폐용기의 진공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흡입공(22)은 바큠홀(21) 바닥을 관통하여 바큠홀(21) 반대 측 주연에 적어도 두 곳 이상의 공기흡입통로(24)를 형성한 밸브지지돌기(23)를 형성한다.
상기 바큠컵(30)은 실리콘이나 고무 수지 등의 탄력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하여 중앙에 누름버튼(40)이 결합되는 결합공(31)을 구성한다.
상기 누름버턴(40)은 중앙에 스프링홀(44)을 형성하고 그 상단에 배기공(43)과 공기배출홈(45)을 형성하며, 외주연에는 바큠컵(30)이 결합하는 환형 결합홈(41)을 형성하여 플랜지(42)를 구성한다.
상기 흡입체크밸브(50)와 배기체크밸브(55)는 실리콘이나 고무 수지 등의 탄력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하여 각각의 하단에 고정구(51)(56)를 형성하며 고정부(51)(56) 상측으로 원추형 결합부(52)(57)와 상기 밀폐시트(53)(58)를 형성하며, 흡입체크밸브(50)의 상단에는 조작헤드(54)를 구성한다.
상기 스프링(35)은 상측이 상기 스프링홀(44)에 결합하고 하단은 바큠홀(21)의 바닥면에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5)의 하측에 밸브홀드(36)를 구성하여 흡입체크밸브(50)의 조작헤드(54)를 파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흡입체크밸브(50)와 배기체크밸브(55)가 서로 연결되어 단일체로 구성하거나, 이들을 별도의 연결끈(59)으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뚜껑(20)에 바큠홀(21)을 형성하고 바큠홀(21) 중앙에 흡입공(22)을 형성한다,
이때 바큠홀(21)은 뚜껑(20)의 중앙이나 어디에 구성하여도 무방하며, 상기 흡입공(22)은 바큠홀(21) 바닥을 관통하여 바큠홀(21) 반대 측 주연에 적어도 두 곳 이상의 공기흡입통로(24)를 형성한 밸브지지돌기(23)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밸브지지돌기(23)를 형성하고 공기흡입통로(24)를 형성하는 것은 용기(10) 내부의 공기를 바큠컵(30)이 흡입할 때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누름버튼(40)에 형성하는 배기공(43)의 저면에도 동일하게 구성한다
상기한 흡입공(22)에 흡입체크밸브(50)를 끼워서 고정부(51)가 밸브지지돌기(23)에 걸리고 원추형 결합부(52)는 흡입공(22)에 위치하며 밀폐시트(53)가 흡입공(22) 주연의 바큠홀(21) 바닥면에 밀착하게 되고 조작헤드(54)는 상측으로 돌출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누름버튼(40)의 배기공(43)에도 배기체크밸브(55)를 끼워서 고정부(56)가 배기공(43) 하단의 스프링홀(44) 위치하고 원추형 결합부(52)는 배기공(43)에 위치하며 밀폐시트(53)가 배기공(43) 상단 주연에 밀착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기공(43) 하단 주연에는 적어도 2곳 이상의 방사상으로 공기배출홈(45)을 형성하여 바큠컵(30) 내부의 공기가 쉽게 재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배기공(43)에 배기체크밸브(55)를 끼워서 결합한 누름버튼(40)을 바큠컵(30) 중앙에 형성한 결합공(31)에 관통하도록 삽입하여 결합하는데, 이때 바큠컵(30)의 결합공(31) 강제로 늘여서 누름버턴(40)의 외주연에 형성한 결합홈(41)에 끼워지도록 일체로 결합한다.
이와 같이 누름버턴(40)이 일체로 결합된 바큠컵(30)을 뚜껑(20)의 바큠홀(21)에 삽입하여 설치하는데, 이때 바큠컵(30)의 중앙에 일체로 결합된 누름버턴(40)의 스프링홀(44)에 바큠컵(30)을 원상복귀하기 위한 스프링(35)을 삽입하여 설치한다.
이때 스프링(35)을 그대로 설치하여도 무방하나 진공을 해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프링(35) 아래 측에 별도의 밸브홀더(36)를 구성하여 스프링(35)과 일체로 고정설치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밸브홀더(36)는 스프링(35) 하단보다는 높아서 바큠홀(21) 바닥면과는 떨어진 상태로 흡입체크밸브(50)의 조작헤드(54)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한 상태로 완성된 본 발명은 용기(10)의 내부에 내용물을 넣고 뚜껑(20)을 밀폐하도록 락킹 시키고 누름버턴(40)을 누르면, 이와 일체로 결합된 바큠컵(30)이 스프링(35)을 압축하면서 찌그러지면서 바큠컵(30) 내부의 공기는 배기공(43)을 통하여 배기체크밸브(55)의 밸브시트(58)를 밀고 배출된다.
이때 흡입공(22)에 설치된 흡입체크밸브(50)의 밀폐시트(53)가 흡입공(22) 주연의 바큠홀(21) 바닥면에 밀착되어 흡입공(22)은 밀폐된다.
또한 바큠컵(30)은 그 외주면이 바큠홀(21) 바닥면에 밀착되어 바큠컵(30)의 내부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누름버턴(40)을 누르던 힘을 빼면 스프링(35)의 탄발력으로 바큠컵(30)이 복귀하면서 바큠컵(30)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면서 용기(10) 내부의 공기를 흡입공으로 빨아들이게 된다.
이때 배기공(45)은 밀폐상대가 된다.
상기한 동작의 반복으로 용기(1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보관하다가 내용물을 꺼내기 위하여 진공을 해제하고자 할 때는 누름버튼(40)을 잡고 한쪽으로 젖히면, 바큠컵(30)이 찌그러지면서 바큠홀(21) 바닥면에 밀착되어 있던 바큠컵(30) 외주연에 틈새가 생기고, 누름버튼(40)의 밸브홀더(36)에 결합된 흡입체크밸브(50)의 조작헤드(54)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흡입체크밸브(50)의 밀폐시트(53)가 열려서 용기(10) 내부의 진공이 해제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35)의 하측에 밸브홀드(36)를 구성하여 흡입체크밸브(50)의 조작헤드(54)를 파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흡입체크밸브(50)와 배기체크밸브(55)가 서로 연결되어 단일체로 구성하거나, 이들을 별도의 연결끈(59)으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10: 용기 20: 뚜껑 21: 바큠홀
22: 흡입공 23: 밸브지지돌기 24: 공기흡입통로
30: 바큠컵 31: 결합공 35: 스프링
36: 밸브홀더
40: 누름버튼 41: 결합홈 42: 플랜지
43: 배기공 44: 스프링홀 45: 공기배출홈
50: 흡입체크밸브 51,56: 고정부 52,57: 결합부
53,58: 밀폐시트 54: 조작헤드 55: 배기체크밸브
59: 연결끈

Claims (3)

  1. 내용물을 담는 용기(10)와 용기(10)를 밀폐시키는 뚜껑(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뚜껑(20)에 진공수단을 구성하여 용기(10)의 내부를 진공 시키는 밀폐용기의 진공구조에 있어서,
    뚜껑(20)에 바큠홀(21)을 형성하고 바큠홀(21) 중앙에 흡입공(22)을 형성한 것과;
    상기 바큠홀(21)의 바닥에 주연이 밀착하도록 삽입되고 내부 중앙이 스프링(35)으로 탄지되어 설치되는 바큠컵(30)과;
    상기 바큠컵(30) 중앙에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배기공(43)을 형성한 누름버튼(40)과;
    상기 흡입공(22)은 바큠컵(30) 내부로만 흡입되고 배기공(45)은 바큠컵(30) 내부의 공기를 배기만 하도록 각각 흡입체크밸브(50)와 배기체크밸브(55)를 구성한 것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진공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공(22)은 바큠홀(21) 바닥을 관통하여 바큠홀(21) 반대 측 주연에 적어도 두 곳 이상의 공기흡입통로(24)를 형성한 밸브지지돌기(23)를 형성한 것과;
    상기 바큠컵(30)은 실리콘이나 고무 수지 등의 탄력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하여 중앙에 누름버튼(40)이 결합되는 결합공(31)을 구성한 것과;
    상기 누름버턴(40)은 중앙에 스프링홀(44)을 형성하고 그 상단에 배기공(43)과 공기배출홈(45)을 형성하며, 외주연에는 바큠컵(30)이 결합하는 환형 결합홈(41)을 형성하여 플랜지(42)를 구성한 것과;
    상기 흡입체크밸브(50)와 배기체크밸브(55)는 실리콘이나 고무 수지 등의 탄력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하여 각각의 하단에 고정구(51)(56)를 형성하며 고정구(51)(56) 상측으로 원추형 결합부(52)(57)와 상기 밀폐시트(53)(58)를 형성하며, 흡입체크밸브(50)의 상단에는 조작헤드(54)를 구성한 것과;
    상기 스프링(35)은 상측이 상기 스프링홀(44)에 결합하고 하단은 바큠홀(21)의 바닥면에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진공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5)의 하측에 밸브홀드(36)를 구성하여 흡입체크밸브(50)의 조작헤드(54)를 파지하도록 한 것과;
    상기 흡입체크밸브(50)와 배기체크밸브(55)가 서로 연결되어 단일체로 구성하거나, 이들을 별도의 연결끈(59)으로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의 진공구조.
KR1020200084541A 2020-07-09 2020-07-09 밀폐용기의 진공구조 KR202200067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541A KR20220006757A (ko) 2020-07-09 2020-07-09 밀폐용기의 진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541A KR20220006757A (ko) 2020-07-09 2020-07-09 밀폐용기의 진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757A true KR20220006757A (ko) 2022-01-18

Family

ID=80052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541A KR20220006757A (ko) 2020-07-09 2020-07-09 밀폐용기의 진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675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347A (ko) 2008-08-27 2010-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20100099433A (ko) 2009-03-03 2010-09-13 김은수 액체 추출용 주사기
KR20110087859A (ko) 2010-01-27 2011-08-03 트루데프 주식회사 양자화 계수 조절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20120003956U (ko) 2010-11-26 2012-06-05 김광영 양방향 사이드 미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347A (ko) 2008-08-27 2010-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20100099433A (ko) 2009-03-03 2010-09-13 김은수 액체 추출용 주사기
KR20110087859A (ko) 2010-01-27 2011-08-03 트루데프 주식회사 양자화 계수 조절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20120003956U (ko) 2010-11-26 2012-06-05 김광영 양방향 사이드 미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5317A (en) Sealed container and suction pump unit
EP1506120B1 (en) Hose direct canister lid
JP3847280B2 (ja) 食品保存用真空容器
US6634384B2 (en) One-way valve for use with vacuum pump
US5535900A (en) Bottle cap with an air removing device
US5564581A (en) Vacuum canister
US5692632A (en) Container with a self-contained evacuation lid
JP4216899B2 (ja) ノズルヘッド下降型真空密閉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容器
US5299917A (en) Evacuation pump system with check valves for both rigid and flexible containers
US9359121B1 (en) Vacuum sealed container for storing foodstuffs
US20070215510A1 (en) Vacuum Vessel Having Improved Airtightness
JP5084593B2 (ja) 真空保存装置
KR20130079817A (ko) 진공펌프
KR101524412B1 (ko) 진공과 밀폐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된 밀폐용기
US5971180A (en) Sealing plug cap for a sealing container
KR20220006757A (ko) 밀폐용기의 진공구조
KR101742611B1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WO2009033313A1 (fr) Soupape d'évacuation d'air
KR102666219B1 (ko) 내부압을 배출하는 진공 밀폐용기
CN111907933A (zh) 一种抽气泵及真空保鲜容器
KR101480290B1 (ko) 펌핑에 의한 진공을 유도하는 쳇크밸브가 구비된 밀폐용기
JP3000847U (ja) 真空吸引密閉容器
CN218288839U (zh) 瓶盖、真空储液瓶及真空储液装置
CN220885480U (zh) 真空保鲜盒
CN209807888U (zh) 真空保压便携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