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801B1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801B1
KR101144801B1 KR1020050100259A KR20050100259A KR101144801B1 KR 101144801 B1 KR101144801 B1 KR 101144801B1 KR 1020050100259 A KR1020050100259 A KR 1020050100259A KR 20050100259 A KR20050100259 A KR 20050100259A KR 101144801 B1 KR101144801 B1 KR 101144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e
cabinet
air
discharge
de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0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4213A (ko
Inventor
김문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0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801B1/ko
Publication of KR20070044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습기는 캐비닛의 좌,우 양 측면에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제습기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의 양 및 제습기에서 토출된 제습 공기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고, 공기 흡입구에 설치되는 흡입 그릴의 그릴과 공기 토출구에 설치되는 토출 그릴의 그릴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실내로 토출된 제습 공기가 실내로 퍼지지 않고 곧바로 제습기로 재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므로, 실내 공기를 신속하고 효율좋게 제습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습기, 캐비닛, 공기 흡입구, 공기 토출구, 흡입 그릴, 토출 그릴

Description

제습기{Dehumidifi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제습기 일실시예의 일부 절결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면 패널을 전방으로 회전시키고 버킷을 전방으로 인출할 때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캐비닛 51: 좌측 공기 흡입구
52: 좌측 공기 토출구 53: 우측 공기 흡입구
54: 우측 공기 토출구 55: 상면 공기 토출구
60: 베이스 62: 좌측 캐비닛
64: 우측 캐비닛 66: 후방 캐비닛
68: 상면 패널 72: 좌측 흡입 그릴
74: 좌측 토출 그릴 76: 우측 흡입 그릴
78: 우측 토출 그릴 80: 상면 토출 루버
90: 버킷 92: 압축기
96: 증발기 98: 응축기
104: 송풍기
본 발명은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제습시킨 후 실내로 다시 토출시키는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좌,우 양 측면에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종래 기술의 제습기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 측면 및 상면의 외관을 형성하고 전면과 후면과 저면이 개방된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설치된 증발기(2)와 응축기(3)로 이루어져 제습 작용을 수행하는 열교환기(4)와, 상기 증발기(2) 및 응축기(3)에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0)와, 상기 열교환기(4)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1) 내부로 흡입한 후 실내로 다시 토출시키는 송풍력을 발생하는 송풍팬(5a) 및 모터(5b)와, 상기 캐비닛(1)의 전면에는 결합되고 열교환기(4)를 통과한 제습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그릴이 형성된 전면 패널(7)과; 상기 캐비닛(1)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기(10)가 장착되고 상기 수조(11)가 올려 놓여지는 베이스(8)와, 상기 모터(5b)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송풍팬(5a)의 회전에 의해 상기 캐비닛(1)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전면 패널(7)의 그릴 측으로 안내하도록 중앙에 홀부가 형성된 하우징(6)과, 상기 열교환기(4)에서 제습 도중에 발생한 응축수를 저장하는 버킷(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8)의 상측에는 상기 압축기(10)가 설치되는 영역과 상기 수조(11)가 수납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배리어(9)가 세워지고, 상기 배리어(9)의 상측에는 상기 열교환기(4)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를 받아 상기 버킷(11)로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6)을 지지하는 드레인 팬(13)이 설치된다.
상기 제습기는 상기 캐비닛(1)의 후면 상부에 제습기 내로 흡입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19)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는 상기 모터(5b)의 구동시 송풍팬(5a)이 회전되고, 실내의 공기는 제습기의 후방에서 상기 필터(19)를 통과하면서 캐비닛(1)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열교환기(4)를 지나면서 제습된 후, 상기 하우징(6)의 홀부와 전면 패널(7)의 그릴을 차례로 지나 전방으로 토출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는 실내 공기를 제습기의 후방에서 전방 방향으로 흡입하여 제습시킨 후 제습기의 전방 한 방향으로만 토출하므로, 실내 공기를 제습 능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좌,우 양 측면에서 실내 공기를 흡입한 후 좌,우 양 측면으로 제습된 공기를 토출하고, 아울러 실내로 토출된 제습 공기가 실내로 퍼지지 않고 곧바로 제습기로 재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실내 공기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 좋게 제습시킬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습된 공기를 좌측면과 우측면과 상면으로 토출하여 실내 공기를 입체적으로 제습할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습기 내부의 서비스가 용이하고 주변이 청결한 제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좌측면에 좌측 공기 흡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좌측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우측면에 우측 공기 흡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우측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에 배치되고 그릴이 경사지게 형성된 좌측 흡입 그릴과; 상기 좌측 공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좌측 흡입 그릴의 그릴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그릴이 형성된 좌측 토출 그릴과;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에 배치되고 그릴이 경사지게 형성된 우측 흡입 그릴과; 상기 우측 공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우측 흡입 그릴의 그릴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그릴이 형성된 우측 토출 그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측 흡입 그릴과, 좌측 토출 그릴과, 우측 흡입 그릴과, 우측 토출 그릴은 상기 캐비닛에 장착/탈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비닛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좌측에 설치되고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와 좌측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좌측 캐비닛과; 상기 베이스의 우측에 설치되고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와 우측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우측 캐비닛과, 상기 좌측 캐비닛과 우측 캐비닛의 후단 사이를 막도록 상기 베이스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 캐비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제습기의 상면에 형성하고 상면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상면 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습기는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를 개폐함과 아울러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제습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도록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상면 토출 루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습기는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 하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에 배치된 상면 토출 그릴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비닛은 전면에 개구부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습기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전면 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 패널은 전면 상부에 제습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50)의 좌측면에 좌측 공기 흡입구(51)가 형성됨과 아울러 좌측 공기 토출구(52)가 형성되고, 우측면에 우측 공기 흡입구(53)가 형성됨과 아울러 우측 공기 토출구(54)가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50)은 상면에 상면 공기 토출구(55)가 더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제습기 일실시예의 일부 절결 정면도이다.
상기 캐비닛(5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60)와, 상기 베이스(60)의 좌측에 설치되고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51)와 좌측 공기 토출구(52)가 형성된 좌측 캐비닛(62)과, 상기 베이스(60)의 우측에 설치되고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53)와 우측 공기 토출구(54)가 형성된 우측 캐비닛(64)과, 상기 좌측 캐비닛(62)과 우측 캐비닛(64)의 후단 사이를 막도록 상기 베이스(60)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 캐비닛(66)과, 상기 제습기의 상면에 형성하고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55)가 형성된 상면 패널(6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측 캐비닛(62)은 하부 또는 중앙부에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51)가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좌측 공기 토출구(52)가 형성된다.
상기 좌측 캐비닛(62)에는 그릴(71)이 경사지게 형성된 좌측 흡입 그릴(72)이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51)에 위치되게 장착되고, 상기 좌측 흡입 그릴(72)의 그릴(71)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그릴(73)이 형성된 좌측 토출 그릴(74)이 상기 좌측 공기 토출구(52)에 위치되게 장착된다.
즉, 상기 좌측 흡입 그릴(72)의 그릴(71)이 상하 방향 중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좌측 토출 그릴(74)의 그릴(73)은 상하 방향 중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좌측 흡입 그릴(72)의 그릴(71)이 전후 방향 중 후방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좌측 토출 그릴(74)의 그릴(73)은 전후 방향 중 전방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좌측 흡입 그릴(72)의 그릴(71)이 전후 방향 중 전방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좌측 토출 그릴(74)의 그릴(73)은 전후 방향 중 후방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측 흡입 그릴(72)과 좌측 토출 그릴(74) 각각은 180° 회전시켜 배치시킬 경우, 그릴(71)(73)의 경사 방향이 반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좌측 캐비닛(62)에 탈거/장착 가능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좌측 흡입 그릴(72)과 좌측 토출 그릴(74)은 상기 좌측 캐비닛(62)의 좌측 공기 흡입구(51)와 좌측 공기 토출구(52)에 끼움 장착되는 것도 가능 하고, 후크가 반대 방향으로 대칭되게 돌출되어 상기 좌측 캐비닛(62)에 대칭되게 형성된 후크홀에 걸림 장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우측 캐비닛(64)은 하부 또는 중앙에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53)가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우측 공기 토출구(54)가 형성된다.
상기 우측 캐비닛(64)에는 그릴(75)이 경사지게 형성된 우측 흡입 그릴(76)이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53)에 위치되게 장착되고, 상기 우측 흡입 그릴(76)의 그릴(75)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그릴(77)이 형성된 우측 토출 그릴(78)이 상기 우측 공기 토출구(54)에 위치되게 장착된다.
상기 우측 흡입 그릴(76)의 그릴(76)과 우측 토출 그릴(78)의 그릴(77)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구조는 상기 좌측 흡입 그릴(72)과 좌측 토출 그릴(74)의 경우도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우측 흡입 그릴(76)과 우측 토출 그릴(78) 각각은 180° 회전시켜 배치시킬 경우, 상기 그릴(75)(77)의 경사 방향이 반대로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우측 캐비닛(64)에 탈거/장착 가능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우측 흡입 그릴(76)과 우측 토출 그릴(78)은 상기 우측 캐비닛(64)의 우측 공기 흡입구(53)와 우측 공기 토출구(54)에 끼움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후크가 반대 방향으로 대칭되게 돌출되어 상기 우측 캐비닛(64)에 대칭되게 형성된 후크홀에 걸림 장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우측 캐비닛(64)은 상기 캐비닛(50)의 전면에 개구부가 상하로 길게 형성되도록 그 선단이 상기 좌측 캐비닛(62)의 선단과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상면 패널(68)에는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55)로 토출되는 제습 공기의 풍향을 조절함과 아울러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55)를 계폐하는 상면 토출 루버(80)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60)의 상면에는 그 상측을 버킷(90)이 수용되는 버킷 수용 공간과 압축기(92)가 수용되는 압축기 수용 공간으로 구획하는 베리어(94)가 설치된다.
상기 베리어(95)의 상단에는 증발기(96)와 응축기(98)로 이루어진 열교환기(100)가 장착됨과 아울러 증발기(96)의 표면에서 생성되어 낙하되는 응축수를 받아 버킷(90)으로 안내하는 드레인팬(102)과, 송풍기(104)가 장착되는 송풍기 설치부(106)가 형성된다.
상기 송풍기(104)는,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51)와 우측 공기 흡입구(53)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증발기(96)와 응축기(98)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한 후 상기 좌측 공기 토출구(52)와 우측 공기 토출구(54)와 상면 공기 토출구(55)로 토출시키는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96)와 응축기(98)를 차례로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되 유로가 점차 축소되는 흡입홀부(110)가 형성된 오리피스(111)와, 상면이 개방된 팬 하우징(112)과, 상기 팬 하우징(11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원심팬(113)과, 상기 원심팬(113)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팬 하우징에 설치된 모터(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조 부호 120은 상기 응축기(98)에서 응축된 냉매가 증발기(96)로 유입되기 전에 팽창되는 LEV나 캐필러리 튜브 등의 팽창기이다.
참조 부호 122는 상기 송풍기(104)의 상측으로 송풍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 (100)측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막기 위해 상기 오리피스(111)에 형성된 차폐부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면 패널을 전방으로 회전시키고 버킷을 전방으로 인출할 때의 사시도이다.
상기 캐비닛(50)은 상기 좌측 캐비닛(62)과 우측 캐비닛(64)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개구부(56)를 개폐하는 전면 패널(8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전면 패널(82)은 좌우 중 일측의 상,하부에는 힌지 봉이 돌출되고, 상기 캐비닛(50)의 상,하부에는 상기 힌지 봉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 패널(82)은 상부에 제습기의 각종 운전 정보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84)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압축기(92)의 구동시, 상기 압축기(92)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는 상기 응축기(98)를 통과하면서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여 응축되고, 이후 팽창기(120)를 통과하면서 액체와 기체의 2상 냉매로 팽창된다. 상기 팽창된 냉매는 상기 증발기(96)를 통과하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기체 냉매로 증발되고, 상기 압축기(92)로 유입되어 상기와 같은 순환을 반복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104)의 모터(114)가 구동되면, 상기 원심팬(113)은 회전되고, 실내의 공기는 상기 캐비닛(50) 내부 및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51)와 우측 공기 흡입구(53) 주변의 부압에 의해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51)의 좌측과 우측 공기 흡입구(53)의 우측에 각각 모이게 된다.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51)의 좌측에 모인 실내 공기는 상기 좌측 흡입 그릴(72)의 그릴(71)의 안내를 받으면서 좌측 공기 흡입구(51)를 통과한 후 상기 캐비닛(50)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53)의 우측에 모인 실내 공기는 상기 우측 흡입 그릴(76)의 그릴(75)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53)를 통과한 후 상기 캐비닛(50)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캐비닛(50)의 좌,우에서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캐비닛(50)의 내부 중앙에서 혼합되고, 이후 상기 증발기(96)와 열교환하면서 냉각된다.
상기 증발기(96)의 표면에는 상기 냉각 과정의 도중에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맺히게 되고, 상기 증발기(96)에 맺힌 응축수는 낙하되어 상기 드레인팬(102)으로 떨어지고, 상기 드레인팬(102)에 의해 상기 버킷(90)으로 안내되어 버킷(90)에 담겨지게 된다.
한편, 상기 증발기(96)에 의해 제습된 공기는 상기 응축기(98)와 열교환되어 승온되고 이후 원심팬(113)과 팬 하우징(112)에 의해 상측으로 송풍된다.
상기 송풍된 제습 공기는 상기 좌측 공기 토출구(52)와 우측 공기 토출구(54)와 상측 공기 토출구(55)로 분산된다.
상기 좌측 공기 토출구(52)를 통과하는 제습 공기는 상기 좌측 토출 그릴(74)의 그릴(73)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캐비닛(50)의 좌측 방향으로 토출되고, 상기 우측 공기 토출구(54)를 통과하는 제습 공기는 상기 우측 토출 그릴(78)의 그릴(77)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캐비닛(50)의 우측 방향으로 토출되며,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55)를 통과하는 제습 공기는 상기 상면 토출 루버(80)의 안내를 받으 면서 상기 상면 토출 루버(80)이 향하는 방향으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버킷(90)에 응축수가 가득 차서 상기 버킷(90)의 내부를 비우고자 할 경우, 상기 전면 패널(82)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캐비닛(50)의 개구부(56)가 개방되고, 상기 캐비닛(50)의 개구부(56)를 통해 버킷(90)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공기 토출구(55)에 본 발명 일실시예의 상면 토출 루버 대신에 다수개의 그릴이 형성된 상면 토출 그릴(80′)이 장착되어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 하부를 보호하고, 상기 상면 토출 그릴(8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습기는 캐비닛의 좌,우 양 측면에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제습기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의 양 및 제습기에서 토출된 제습 공기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고, 공기 흡입구에 설치되는 흡입 그릴의 그릴과 공기 토출구에 설치되는 토출 그릴의 그릴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실내로 토출된 제습 공기가 실내로 퍼지지 않고 곧바로 제습기로 재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므로, 실내 공기를 신속하고 효율좋게 제습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습기는 열교환기에서 제습된 공기를 좌측면과 우측면 뿐만 아니라 상면으로도 토출하여 제습 공기를 보다 입체적으로 토출 할 수 있으므로 쾌적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습기는 좌측 흡입 그릴과, 좌측 토출 그릴과, 우측 흡입 그릴과, 우측 토출 그릴이 캐비닛에 장착/탈거 가능하게 이루어져, 그 각각의 그릴 방향을 바꿀수 있으므로 사용자 등의 희망에 따라 실내 공기의 흡입 방향 또는 제습 공기의 토출 방향을 전환할 수 있고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습기는 캐비닛의 전면에 상하로 개구된 개구부가 길게 형성돔과 아울러 개구부를 개폐하는 전면 패널이 캐비닛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버킷이 제습기 내부에 내장되므로, 제습기의 주변이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고, 전면 패널을 전방으로 여닫는 것에 의해 송풍기 등의 서비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버킷을 장착/탈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좌측면에 좌측 공기 흡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좌측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우측면에 우측 공기 흡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우측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에 배치된 좌측 흡입 그릴과;
    상기 좌측 공기 토출구에 배치된 좌측 토출 그릴과;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에 배치된 우측 흡입 그릴과;
    상기 우측 공기 토출구에 배치된 우측 토출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흡입 그릴과 좌측 토출 그릴과 우측 흡입 그릴과 우측 토출 그릴 각각은 그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좌측 토출 그릴의 그릴은 상기 좌측 흡입 그릴의 그릴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우측 토출 그릴의 그릴은 상기 우측 흡입 그릴의 그릴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제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흡입 그릴과, 좌측 토출 그릴과, 우측 흡입 그릴과, 우측 토출 그릴은 상기 캐비닛에 장착/탈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좌측에 설치되고 상기 좌측 공기 흡입구와 좌측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좌측 캐비닛과;
    상기 베이스의 우측에 설치되고 상기 우측 공기 흡입구와 우측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우측 캐비닛과,
    상기 좌측 캐비닛과 우측 캐비닛의 후단 사이를 막도록 상기 베이스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 캐비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제습기의 상면에 형성하고 상면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상면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는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를 개폐함과 아울러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제습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도록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상면 토출 루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는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 하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상면 공기 토 출구에 배치된 상면 토출 그릴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전면에 개구부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전면 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전면 상부에 제습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흡입 그릴의 그릴과 우측 흡입 그릴의 그릴은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좌측 토출 그릴의 그릴과 우측 토출 그릴의 그릴은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습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흡입 그릴의 그릴과 우측 흡입 그릴의 그릴은 후방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좌측 토출 그릴의 그릴과 우측 토출 그릴의 그릴은 전방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습기.
KR1020050100259A 2005-10-24 2005-10-24 제습기 KR101144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259A KR101144801B1 (ko) 2005-10-24 2005-10-24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259A KR101144801B1 (ko) 2005-10-24 2005-10-24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213A KR20070044213A (ko) 2007-04-27
KR101144801B1 true KR101144801B1 (ko) 2012-05-11

Family

ID=38178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259A KR101144801B1 (ko) 2005-10-24 2005-10-24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8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541B1 (ko) * 2013-07-04 2020-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
KR102392267B1 (ko) * 2015-08-24 2022-05-02 주식회사 위닉스 제습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341A (ko) * 2000-09-01 2002-03-08 구자홍 공기조화기
KR20050078882A (ko) * 2004-02-03 2005-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341A (ko) * 2000-09-01 2002-03-08 구자홍 공기조화기
KR20050078882A (ko) * 2004-02-03 2005-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213A (ko) 200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32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231278B1 (ko) 제습기
KR101144801B1 (ko) 제습기
EP1255084B1 (en) Dehumidifier
KR20080060845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KR100629339B1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 구조
KR20070030070A (ko) 공기조화기
KR100707468B1 (ko) 코너형 공기조화기
KR20070044219A (ko) 제습기
JP2006242510A (ja) 空気調和機
KR20190084588A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0409003B1 (ko)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
KR20070044220A (ko) 제습기
JP4711567B2 (ja) 空気調和装置
JP4841072B2 (ja) 空気調和装置
KR100274982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6216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24737B1 (ko) 공기조화기
KR20050049953A (ko) 난방 겸용 제습기
KR20070044216A (ko) 제습기
CN101178220A (zh) 一种除湿机
KR20070044217A (ko) 제습기
KR100565510B1 (ko) 제습기
KR100728672B1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 구조
KR20070044214A (ko) 제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