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146A -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관중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관중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146A
KR20070105146A KR1020060037241A KR20060037241A KR20070105146A KR 20070105146 A KR20070105146 A KR 20070105146A KR 1020060037241 A KR1020060037241 A KR 1020060037241A KR 20060037241 A KR20060037241 A KR 20060037241A KR 20070105146 A KR20070105146 A KR 20070105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cne
spectral
prevention
l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0666B1 (ko
Inventor
최신욱
윤창순
정재형
김남경
김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래디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래디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래디안
Priority to KR1020060037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0666B1/ko
Publication of KR20070105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41Pteridophyta [ferns]
    • A61K8/9749Filicopsida or Pteridopsid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1Pteridophyta or Filicophyta (ferns)
    • A61K36/12Filicopsida or Pteridopsid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중(貫衆, Dryopteris crassirhizoma)에 물, 친수성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첨가하여 추출된 여드름 예방 및/또는 치료용 관중 추출물과 상기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연 식물인 관중을 이용하여 여드름 증상을 악화시키는 주요 병원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의 생육을 억제함으로써, 기존의 여드름 치료방법에 비하여 부작용이 없고, 지속적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안전성이 우수한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관중, Dryopteris crassirhizoma, 여드름, 화장료

Description

여드름 예방 및/또는 치료용 관중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An extract from Dryopteris crassirhizoma for prevention and/or remedy of an acne and a composition of cosmetic including the extract}
본 발명은 관중(貫衆, Dryopteris crassirhizoma)에 물, 친수성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첨가하여 추출된 여드름 예방 및/또는 치료용 관중 추출물과 상기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의 발병은 유전적, 환경적 요인 외에 체내 호르몬 분비의 변화로 인한 활발한 피지 생성, 모낭 피지선의 비정상적인 각질화(hyperkeratinization)로 인한 모공의 폐쇄, 여드름균의 활성화 및 여드름균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염증반응의 네 가지 주요 원인과 이들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다.
따라서 피지 생성을 억제하는 항안드로겐제, 항염제로 작용하는 비스테로이드 소염제, 항균효과가 있는 레조시놀, 유황 및 벤조일 퍼옥사이드와 항생효과가 있는 테트라사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 클린다마이신 및 머크로라이드 등에 의한 여드름균 활성 억제 방법과 레티노익산 등의 비타민 A 유도체를 이용한 치료법 등 이 여드름 치료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여드름 치료 방법은 효능이나 피부 안전성 측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어 왔다. 호르몬제의 사용은 표피의 생장억제나 호르몬 남용 등의 역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고, 레티노익산과 벤조일 퍼옥사이드 등은 기형아 출산, 피부 자극, 접촉성 피부염 발병 등의 우려가 있으며, 클린다마이신 등의 항생물질은 내성균의 출현, 알러지 반응, 광과민 반응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여드름 치료는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꾸준하고 지속적인 치료가 요구되는 것이어서 상기 문제점을 지닌 여드름 치료 방법은 단기간의 사용이나 한정된 범위 내의 사용만 가능할 뿐이었다.
이에 대해, 최근에는 식물을 비롯한 천연자원으로부터 상기 부작용들을 줄이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강력한 항여드름균 효과를 갖는 유효성분들을 탐색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상황버섯, 녹차 및 황금, 버드나무, 삼백초, 감초 및 어성초 추출물을 여드름 치료에 관련된 기능성 화장품 및 비누의 원료로 사용하고 있고, 천연물 유래의 화학물질을 이용한 항여드름균 효능의 화장품 원료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그 효과가 기존의 여드름 치료 물질에 비해 매우 약하거나, 여드름 치료에 관련된 유효물질의 대량 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천연물은 다양한 성분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유효활성물질의 분리, 정제방법이 목적하는 활성물질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따라 다르고, 또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원리에 근거한 분리, 정제 방법 중에서도 적절한 방법을 효과적으로 조합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천연물로부터 항여드름균 활성을 지니는 물질을 추출분리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한편, 관중(貫衆, Dryopteris crassirhizoma)은 고사리목 면마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한국, 일본, 사할린, 쿠릴열도, 중국 동북부 등지에 분포하는 양치식물이다. 관중의 주요 성분으로는 17-α(H)-trisnorhopanone, 17-β(H)-trisnorhopanone, campesterol, diplopterol, dryocrassin, dryocrassin ABBA, dryocrassin ABBP, dryocrassol, dryocrassyl acetate, fernene, fern-9(11)-en-12-one, flavaspidic acid, hop-22(29)-ene, isoadiantone이 있다. 어린 잎을 식용으로 사용하고,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약재로 사용한다. 관중은 구충작용, 해열, 해독작용, 감기바이러스 억제작용, 항균·항암작용을 나타내며, 관중을 달인 물은 피부 진균에 대해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관중은 자궁흥분작용, 지혈작용, 진통작용, 소염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그리고,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 5-331041호에서는 관중을 비롯한 석류나무 껍질 등의 천연물로부터 미백작용에 유효한 성분을 추출하여 제조한 미백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건조된 관중 10g에 메탄올 또는 50% 메탄올 수용액 300㎖를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5일간 방치하여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획득한 관중 추출물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관중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효과를 미백 화장료에 이용하는 용도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관중이 여드름균에 대해 강한 활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이나 여드름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좋다는 사실은 여태까지 보고된 바 없고, 관중으로부터 여드름 예방 및/또는 치료에 유효한 성분을 추출하여 이를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로 사용하는 기술은 개시된 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의 여드름 치료방법과 관련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지속적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안전성이 우수한 방법으로 여드름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관중의 새로운 용도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의 생장을 억제하는 관중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관중 추출물은 관중으로부터 침출, 전출한 것, 또는 침출액을 다시 일부 또는 전부 농축한 것, 또는 그 농축물을 다시 건조하여 제조한 침제, 전제, 정기, 유동 엑기스 등과, 관중 그 자체에 함유되어 있고 주 효과를 발휘하는 화학 물질 그 자체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관중 추출물은 관중에 소정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관중으 로부터 여드름 예방 및/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성분 또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의 생장을 억제하는 성분을 고-액추출(固液抽出, solid-liquid extraction)하여 얻어진 관중 1차 추출물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관중은 완전히 건조한 후 분쇄하여 준비한 것이고, 본 발명의 관중 추출물은 상기 관중에 메탄올, 에탄올 등의 친수성 유기용매, 또는 친수성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 용액을 추출용매로 첨가하여 일정 시간 침적시키면서 적절한 시간 간격으로 교반한 후 얻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회수하는 통상의 천연물 추출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추출용매로는 탄소수 1 내지 4인 무수 또는 함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및 부틸렌글라이콜, 물을 포함한 용매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순수용매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혼합용매가 이용될 수 있고, 식물 재료에 가해지는 추출용매의 양은 식물 재료 전체 부피 대비 1 내지 50배 정도로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관중 1차 추출물의 추출용매로는 무수 메탄올, 함수 메탄올, 무수 에탄올 및 함수 에탄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순수용매 또는 상기 메탄올의 1종과 상기 에탄올의 1종의 혼합용매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추출용매의 첨가량은 관중 건조 중량 1g당 5~20㎖로 함이 바람직하다. 1차 추출은 실온에서 1~7일간 침적 추출하거나 50~95℃의 가온 조건에서 1~5시간 정도 추출하는 방법 등 종래의 일반적인 용매추출방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중으로부터 여드름 예방 및/또는 치료와 관련된 유효 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유효 성분의 효능을 최대화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관중 추출물은 상기 고-액추출에 의해 얻어진 관중 1차 추출물에 새로운 용매를 첨가하여 액-액추출(液液抽出, liquid-liquid extraction)법에 의해 여드름 예방 및/또는 치료효과를 지니는 유효 성분을 추출하여 얻어진 2차 추출물이 될 수 있다.
액-액추출은 주로 유효성분물질의 활성도를 높이거나 그 성분만을 분리, 정제하기 위해 통상 각종 용매와의 분배평형의 성질을 이용하는데, 2차 추출용매로서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클로로포름, 부탄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액-액추출을 위해 2차 추출용매로서 헥산을 이용함으로써 여드름 예방 및/또는 치료효과를 지니는 유효 성분물질의 분리도 또는 활성도를 증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관중 1차 추출물로부터 여드름 예방 및/또는 치료효과를 지니는 유효 성분의 활성도를 더 높이기 위해 본 발명의 관중 추출물은 상기 고-액추출에 의해 얻어진 관중 1차 추출물을 증류수에 완전히 용해시켜 수용액을 만들고, 상기 수용액에 헥산(hexane)을 첨가하여 상기 헥산층에 유효 성분물질이 용출되도록 하는 분배과정을 거친 다음, 상기 유효 성분물질이 용출된 헥산층을 회수하고, 이로부터 헥산을 제거하여 여드름 예방 및/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이 포함된 관중 2차 추출물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관중 추출물로부터 유래하는 여드름 예방 및/또는 치료효과가 있는 유효 성분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고, 상기 관중 추출물의 함량은 0.001~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0.5~10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20중량% 이상의 고농도에서는 피부자극 및 독성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며, 0.001중량% 이하의 저농도에서는 효과가 약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의 관중 추출물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각종 성분, 예를 들면, 수용성 성분, 분말 성분,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도조절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향료, 색소 등을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로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유액상 화운데이션,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비누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중 추출물은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이외에도 여드름 피부용 외용제로도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하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관중 준비 및 관중 1차 추출물의 제조
관중은 시중에 판매되는 건조 상태의 전초를 구입하여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로 만들어 준비하였다.
준비된 관중 1㎏에 메탄올 10ℓ를 넣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300rpm으로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그 다음 여과지를 이용하여 추출용액을 여과하여 회수한 후, 회수된 용액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47℃에서 감압농축하여 관중 1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메탄올 대신 에탄올을 첨가하여 동일한 방법에 의해 관중 2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관중 2차 추출물의 제조
상기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상태의 관중 1차 추출물을 증류수에 완전히 용해시켜 수용액을 만든 다음, 이 용액을 분별깔때기에 넣고 동 부피의 헥산(n-Hexane)을 첨가하였다. 이때, 두 용매가 잘 섞이도록 분별깔때기를 충분히 흔들어 헥산층에 물질이 충분히 추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충분히 흔들어준 분별깔때기를 거치대에 고정시켜서 두 층이 분리될 때까지 정치하여 둔 후, 각각을 회수한 다음, 증류수층을 다시 분별깔때기에 넣어 상기 과정을 반복수행하여 헥산층만을 회수하였다.회수된 헥산층은 회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관중 2 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시험예 ]
1. 사용균주 , 배지 및 배양조건
본 발명에 사용된 균주는 여드름의 원인균인 Propionibacterium acnes KCTC3314이고, 이들 균주는 한국유전자 은행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여드름균의 배양 배지는 Reinforced clostridial (RC) 배지(Merck, Germany)를 사용하였고, P. acnes는 4℃에서 보관하면서 실험 3일 전에 활성화했다. 균을 배양 배지에 접종한 후 anaerobic jar에서 Gaspack system (Merck AnaerocultGaspack system, Germany)을 이용하여 밀봉한 다음, 37℃의 인큐베이터에서 3일 동안 혐기성 배양하였다.
2.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 측정
항균 활성 측정은 디스크 확산법(paper disk diffusion method)과 최소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 MIC)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1) 디스크 확산법(paper disk diffusion method)
균주를 Reinforced clostridial(RC) 액체배지에서 3일간 배양한 다음, 균 현탁액을 일정한 농도(optical density 620 nm에서 흡광값 0.5)로 조절한 것을 멸균된 면봉을 이용하여 RC 한천플레이트(agar plate)에 균일하게 도말하였다. 플레이 트를 건조시킨 후, paper disk(Φ 8mm, Adventec. USA)를 균주를 접종한 플레이트 표면 위에 올려놓고 관중 1차 또는 2차 추출물을 DMSO에 희석하여 250~500㎍/50㎕/disk씩 흡수시켰다. 시료가 처리된 플레이트를 anaerobic jar에서 Gaspack system을 이용하여 3일간 배양한 후 디스크 주위의 생육 억제환(inhibition zone)의 크기로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화장료 조성물의 항균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트리클로산(triclosan)을 사용하였다.
<표 1> 관중 1차 추출물의 여드름균 생육억제환의 크기
시료명 처리농도 (㎍/50㎕/disk) 억제환(mm)
1 트리클로산 500 35
2 실시예 1의 관중 1차 추출물 - 추출용매:메탄올 500 28
3 실시예 1의 관중 1차 추출물 - 추출용매:에탄올 500 34
4 실시예 2의 관중 2차 추출물 - 1차 추출용매:에탄올, 2차 추출용매:헥산 250 40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관중 1차 추출물(추출용매:에탄올) 및 관중 2차 추출물에서 강한 항여드름균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추출용매를 에탄올로 한 관중 1차 추출물의 항여드름균 활성은 대조군으로 사용한 트리클로산의 활성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용매로 메탄올을 사용한 경우에도 생장억제환의 크기가 28mm인 것으로 나타나,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의 생장 억제능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관중 2차 추출물은 관중 1차 추출물 농도보다 훨씬 낮은 수준에서도 강력한 항여드름균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2) 최소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 MIC)
MIC 평가는 96-well plate를 이용한 broth-dilution법을 일부 변형하여 수행하였다(K. Yasunaka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crude extracts from mexican medicinal plants and purified coumarins and xanthones, J. Ethnopharmacol., 97, 293 (2005)). 72시간 배양한 여드름균을 McFarland standard 0.5의 값으로 조절하여 1.5x108 cells/ml로 희석된 균주를 배지 160㎕가 들어 있는 각 well에 20㎕씩 접종해 주었다. 관중 1차 또는 2차 추출물을 DMSO에 용해시켜 RC 액체 배지를 이용하여 균주와 배지가 들어있는 96-well plate에 20㎕씩 넣어 주고 잘 섞어 주었다. 대조군으로는 10% DMSO를 사용하였다. 균 희석액 및 시료를 접종한 96-well plate를 anaerocult Gaspack system을 이용하여 3일간 배양한 후 균의 생육이 나타나지 않는 최소 농도를 MIC로 결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 트리클로산을 사용하였다.
<표 2>
시 료 명 최소억제농도
1 트리클로산 0.004mg/ml
2 실시예 1의 관중 1차 추출물(추출용매:에탄올) 0.0016mg/ml
이상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중 1차 추출물은 대조군인 트리클로산보 다 최소억제농도가 훨씬 더 낮게 나타나, 본 발명의 관중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 예방 및/또는 치료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의 생육을 억제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중 추출물로부터 유래하는 여드름 예방 및/또는 치료용 유효 성분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관중 추출물의 함량을 0.001~20중량%으로 할 수 있다. 이때 관중 추출물의 함량을 0.5~10중량%로 할 경우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 피부를 위한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제형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각종 피부에 바르는 외용제인 크림, 밀크로션, 파운데이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린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을 포함한다.
이하는 본 발명의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형예 1> 유연 화장수(skin toner)
성분명 함량(중량%)
관중 2차 추출물 2.5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에탄올 5.0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0.5
향료 0.2
방부제 적당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2> 수렴 화장수(astringent)
성분명 함량(중량%)
관중 2차 추출물 5.0
글리세린 3.0
구연산 0.1
에탄올 10.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1.0
향료 0.1
소르비톨 2.0
방부제 적당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3> 로션(에멀젼)
성분명 함량(중량%)
관중 2차 추출물 4.0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8.0
스쿠알란 10.0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6E.0) 2.0
트리에탄올아민 1.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스테아릴글리시레티네이트 0.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아르기닌 0.1
향료 0.2
방부제 적당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4> 크림(cream)
성분명 함량(중량%)
관중 2차 추출물 1.0
글리세린 5.0
스테아린산 8.0
스쿠알란 5.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5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1.5
프로필렌글리콜 4.0
스테아릴글리시레티네이트 0.2
바셀린 2.0
산화방지제 적당량
향료 0.2
방부제 적당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5> 유액상 화운데이션(liquid foundation)
성분명 함량(중량%)
관중 2차 추출물 0.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0.5
액상 라놀린 2.0
유동파라핀 3.0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5.0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0.2
벤토나이트 0.5
글리세린 3.0
이산화티탄 8.0
탈크 4.0
착색안료 적당량
트리에탄올아민 1.0
스테아린산 2.0
산화방지제 적당량
향료 0.2
방부제 적당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6> 비누(soap)
성분명 함량(중량%)
관중 2차 추출물 1.0
야자유 지방산 1.0
이산화티탄 0.3
에틸렌아민 테트라초산나트륨 0.1
향료 0.5
색소 적당량
글리세린 1.0
산화방지제 적당량
비누칩(베이스) to 100
본 발명에 의하면 관중을 이용하여 여드름 예방 및/또는 치료효과를 볼 수 있으며, 여드름 예방 및/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유효 성분물질의 활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추출분리가 가능하고, 본 발명에 의한 관중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의 생장,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여드름을 예방 및/또는 치료할 수 있다. 그리고, 관중은 오랜 시간에 식용되어왔던 안전한 식물이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여드름 치료방법에 비하여 부작용이 없고, 지속적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안전성이 우수한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관중(貫衆, Dryopteris crassirhizoma)에 물, 친수성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첨가하여 추출된 여드름 예방 및/또는 치료용 관중 추출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중 추출물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중 추출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유기용매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중 추출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중 추출물에 헥산(hexane)을 2차 추출용매로 이용하여 여드름 예방 및/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유효 성분을 2차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중 추출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중 추출물의 함량은 0.001~2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로션, 크림, 유액상 화운데이션, 비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037241A 2006-04-25 2006-04-25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관중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80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241A KR100780666B1 (ko) 2006-04-25 2006-04-25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관중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241A KR100780666B1 (ko) 2006-04-25 2006-04-25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관중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146A true KR20070105146A (ko) 2007-10-30
KR100780666B1 KR100780666B1 (ko) 2007-11-29

Family

ID=3881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241A KR100780666B1 (ko) 2006-04-25 2006-04-25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관중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066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430A (ko) 2015-04-15 2016-10-26 주식회사 진생바이팜 흑삼 추출 발효물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세정제 조성물
KR20170030907A (ko) 2015-09-10 2017-03-20 김예주 아이스플랜트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
KR101895202B1 (ko) * 2017-04-20 2018-09-05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관중으로부터 분리한 노르플라바스피딕산 pb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90142932A (ko) * 2018-06-19 2019-12-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피부 보습 또는 탄력개선용 마스크팩 조성물
KR20200017156A (ko) * 2018-08-08 2020-02-18 애경산업(주) 갈매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552610B1 (ko) 2022-09-06 2023-07-07 주식회사 케어테크 꽃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가려움 해소, 비듬 방지, 탈모 방지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117B1 (ko) 2012-07-27 2014-11-04 한국 한의학 연구원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393008B1 (ko) 2012-09-06 2014-05-1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관중 추출물 유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균활성 및 방부활성을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0063A (ja) * 1992-05-20 1993-12-03 Tsuneo Nanba 活性酸素抑制剤
JPH05320037A (ja) * 1992-05-20 1993-12-03 Tsuneo Nanba 抗酸化剤
JPH05331041A (ja) * 1992-05-29 1993-12-14 Tsuneo Nanba 美白化粧料
JPH069371A (ja) * 1992-06-23 1994-01-18 Mikimoto Pharmaceut Co Ltd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430A (ko) 2015-04-15 2016-10-26 주식회사 진생바이팜 흑삼 추출 발효물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세정제 조성물
KR20170030907A (ko) 2015-09-10 2017-03-20 김예주 아이스플랜트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
KR101895202B1 (ko) * 2017-04-20 2018-09-05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관중으로부터 분리한 노르플라바스피딕산 pb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90142932A (ko) * 2018-06-19 2019-12-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피부 보습 또는 탄력개선용 마스크팩 조성물
KR20200017156A (ko) * 2018-08-08 2020-02-18 애경산업(주) 갈매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552610B1 (ko) 2022-09-06 2023-07-07 주식회사 케어테크 꽃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가려움 해소, 비듬 방지, 탈모 방지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0666B1 (ko) 200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0666B1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관중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79032B1 (ko) 천연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있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274331B (zh) 一种祛痘抗炎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170019829A (ko) 로즈마리, 감국, 목련꽃, 호장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항산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2006137690A (ja) 皮膚外用剤および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KR20110130184A (ko) 항 여드름 효능을 갖는 꾸지뽕나무 추출물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TWI535449B (zh) 到手香萃取物於製備改善痤瘡之組成物之用途
KR100742267B1 (ko) 서장채국화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05520869B (zh) 含有红参浓缩液的粉刺改善用组合物
KR20100134323A (ko)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4906179B2 (ja) 皮膚外用剤
KR20080001031A (ko) 하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7045733A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100860272B1 (ko) 선학초로부터 유효성분의 추출ㆍ정제방법 및 그 추출물을함유한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KR100763035B1 (ko) 선학초로부터 여드름 개선 유효성분물질의 추출분리방법과이로부터 얻어지는 유효성분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716497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JP2022006397A (ja) バリア機能亢進剤
JPH07238011A (ja) 美白化粧料組成物
KR20030073441A (ko) 탄닌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EP2879647B1 (en) Skin care
CN115212150B (zh) 密花荚蒾提取物及以其为活性成分的化妆品和其应用
KR100593511B1 (ko) 천연물을 이용한 항여드름 화장료
KR101115737B1 (ko) 커피 베리 추출물 또는 비터 오렌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10064292A (ko) 루시놀 및 하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930004934B1 (ko)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