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3511B1 - 천연물을 이용한 항여드름 화장료 - Google Patents

천연물을 이용한 항여드름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511B1
KR100593511B1 KR1020030085304A KR20030085304A KR100593511B1 KR 100593511 B1 KR100593511 B1 KR 100593511B1 KR 1020030085304 A KR1020030085304 A KR 1020030085304A KR 20030085304 A KR20030085304 A KR 20030085304A KR 100593511 B1 KR100593511 B1 KR 100593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entian
acne
yeongyo
tobokye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5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0012A (ko
Inventor
최상숙
장성재
Original Assignee
최상숙
장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숙, 장성재 filed Critical 최상숙
Priority to KR1020030085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511B1/ko
Publication of KR20050050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5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Abstract

본 발명은 여드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용담, 토복령, 황백, 연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용담, 토복령, 황백,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강력한 피지생성 억제,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 및 항염증 작용을 갖는 피부 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용담, 토복령, 황백, 연교 혼합물을 극성 용매에서 저극성 용매로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유효성분의 함량을 높이고 안전성을 극대화하여 5α-리덕테아제 활성억제에 의한 피지생성 억제, 항균력, 항염증효과 및 안전성이 월등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활성물질은 여드름 치유 및 예방에 쓰일 수 있고, 피부에 자극이 없는 물질로서, 5α-리덕테아제 활성 억제에 의한 피지생성억제 및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 가능하다.
용담, 토복령, 황백, 연교, 피지생성 억제, 항균력, 항염증, 여드름

Description

천연물을 이용한 항여드름 화장료 {Antiacne cosmetics containing natural extracts}
본 발명은 얼굴의 피지생성 억제,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 및 항염증 작용 효과가 우수한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지 생성 억제 효과 및 항균효과가 우수한 용담, 토복령, 황백 및 연교를 극성 용매에서 저극성 용매로 순차적으로 추출한 것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염, 항균, 소염 효과를 갖고 있어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화장품, 세안제 및 약제로 이용할 수 있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체내의 제기관을 온도 및 습도 변화와 자외선, 공해물질등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며, 체온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피지선에서 분비하는 피지는 한선에서 분비하는 땀과 함께 천연 피지막을 이룬다. 이 피지막은 피부 건조를 막아주며, 피부의 수분 보유량을 조절해 피부를 촉촉하고 매끄럽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외부적 스트레스 및 내부 요인들에 의해 과다하게 분비된 피지는 피부 표면에 지방산막을 형성하고, 빛을 반사해 피부를 번들거리게 한다. 또 세균, 대기 오염물, 각질층의 불필요한 산화 분해물 등이 부착되어 더러워지기 쉬우며, 죽은 세포의 자연적인 제거를 지연시켜 피부를 칙칙하며 불균일하게 만들고 모공을 막아 신진대사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의 공급을 방해한다. 정체된 죽은 세포에 의해 모공이 막히면 박테리아가 자라기 쉽고, 그 증식으로 염증이 일어나기 쉽게 되어 결과적으로 블랙헤드, 여드름 등의 트러블이 생기는 원인이 된다. 특히 여드름은 근래에 와서 청소년 뿐만 아니라 성인에게서 유발되는 경향이 증가되고 있고 이 현상은 해마다 현저해지고 있다. .
여드름은 모낭 및 피지선에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일종으로 발생요인은 복잡하다. 발생요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메이크업으로 인한 유분의 과잉공급, 클렌징의 부족, 피지 과잉분비, 건조, 호르몬의 언밸런스, 박테리아 이상 증식,스트레스, 편식생활, 몸상태 불량 등 요인도 다양하고 치유도 어렵다. 또한 여드름 자체는 완치가 되어도 자국이 색소침착해서 기미가 되거나 표면이 함몰되면서 흉터를 남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여드름의 발생 메커니즘은 피지의 과잉분비와 이로 인해 모공이 좁아지고 결국 면포가 형성되어 유해 미생물의 이상 증식 및 염증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결국 피부 외관에 염증 및 잡티, 각질화 등의 피부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종래 각종 식물, 미생물 및 유기합성등에 의해 얻은 물질들이 함유된 외용제를 사용하여 피부의 고유기능을 유지시키고 여드름을 억제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 왔다.
이러한 물질로는 레티노인산, 벤조일퍼옥사이드, Essential oil, 살리실산 및 각종 동식물에서 추출한 단백질 및 플라보노이드, 아미노산, 알파 히드록시 산 등이 알려져 있으며, 현재 피부외용제 등에 응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분들은 대부분이 여드름의 여러 병인중 한가지에만 작용하거나 또는 그 자체의 불안정성 및 피부에 어느 정도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 효과가 있다고 민간에서 널리 알려진 천연 추출물은 활성성분이 미량 함유되어 있으며 산지나 수확시기에 따라 함량 변화가 심해 품질의 균질성을 갖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각종의 화합물이 함께 추출됨으로 인해 피부 부작용 및 색상등에서의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정제가 필요하나 소요되는 비용이 높아 실제 대량 생산으로 응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항 여드름효과를 갖는 원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고, 본 발명자들은 종래부터 생약 등으로 사용되어 오던 여러 가지 천연물을 대상으로 종래의 항 여드름 물질들이 갖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효능이 월등한 항 여드름 물질을 개발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용담, 토복령, 황백 및 연교추출물이 항염/항균 및 피지 생성 억제능등의 항 여드름 효과가 있음을 밝혀내고 이의 안전성 및 효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정제법을 개발함과 동시에 이들을 적절한 비로 조합 시 상승효과가 있음을 알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담, 토복령, 황백 및 연교를 적정비로 혼합한 후 용매의 극성변화에 의해 순차적으로 추출한 것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여드름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염증/항균 및 피지 억제능등을 갖는 활성성분으로서 용담, 토복령, 황백 및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항 여드름 효과를 갖는 천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면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항 여드름효과를 지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교추출물이 항염/항균 및 피지 생성 억제능등의 항여드름 효과가 우수한 용담, 토복령, 황백 및 연교를 극성 용매에서 저극성 용매로 순차적으로 추출한 것을 유효성분으로 항 여드름 효과를 지닌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용담은 일명 초룡담이라고도 하며 도의보감에는 간과 담의 기를보하고 달여서 먹으면 간의 습열증을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토복령은 청미래 덩굴(Smilax china)의 근경을 지칭하는 생약이다. 청미래 덩굴은 백합과의 덩굴성 갈잎떨기나무로서 황해, 평남 이남의 산에서 흔히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 대만, 필리핀에 분포한다. 이러한 청미래 덩굴의 근경을 중국에서는 발계, 우리나라에서는 토복령이라고 하며 물을 넣고 달인 액을 관절동통, 근육마비, 설사, 이질, 수종, 임병, 나력, 종독, 치창을 치료하는데 사용한다.
황백은 운향과에 속한 낙엽교목식물인 황벽과 황피수(천황백, 관황백)의 전피를 제거한 수건피를 황백(Phellodendri Cortex)이라 하며, 수피와 과실을 약재로 사용하여 왔다. 전남, 충북을 제외한 전국에 야생하며 일본, 중국, 만주에 분포한다. 수피에 베르베린(Berberin), 자트로진(jatrorrhizine), 팔마틴(palmatine), 메 니스퍼민(menispermine), 마그노
Figure 112003522466417-pat00008
로린(magnoflorine),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등을 함유하며 과실에 펠로덴드론스테롤(phellodendronsterol)을 함유한다. 황백은 오래전부터 청열조습, 사화제증, 해독정창, 습열사리, 황달, 대하, 열림, 각기, 골증노열, 도한, 유정, 창양종독, 방광 습열, 뇨도염, 하초열, 고미건위, 정장, 특히 수렴, 방부약, 소염약, 안약원료로 한방에서 사용해오던 재료로서 체내 섭취에 따른 인체 안정성이 이미 확인되어 있다.
연교는 물푸레나무과 식물인 개나리의 열매 추출물이며 한방에서 나력, 옹종, 악창, 영류, 결열, 고독을 주로 치료하고 창절배농과 지통을 하며 오림과 소변불통 및 심의 객열, 해독, 배농, 소염에 이용하며 현대의학에서는 c-AMP포스포디에스터라제 작용 억제, 황색포도상 구균에 대한 항균작용등에 이용된다. 연교의 성분으로는 리그난스(lignans), 피노레시놀(pinoresinol), 피노레시놀 글루코시드 마타이레시노사이드(pinoresinol glucoside matairesinoside), 마타이레시놀(matairesinol), 필리린(phillyrin), 악티게닌(arctigenin), 악틴(arctiin), 카페오일 글루코시드(caffeoyl glycoside), 포티아시드(forthiaside), 수센소시드(susensoside), 악테오시드(acteoside), 비리디시마시드(viridissimaside), 아세틸오레아놀릭산(acetyloleanolic acid), 베투린(betulin), 비리디시믹산(viridissimic acid), 올레아놀릭산(oleanolic acid), 베투릭산(betulinic acid), 루틴(rutin), dnfmthfflrtkds(ursolic acid)등이다.
본 발명은 용담, 토복령, 황백 및 연교를 무수 또는 함수의 저급 알코올, 아 세톤에서 1차 추출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헥산등의 저극성 용매로 2차 추출하여 활성 성분의 함량을 증대시키고 불순물을 제거 하여 안정도가 향상됨과 동시에 효능이 극대화된 추출물을 피부외용제 및 화장료에 첨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생약재로 시판되는 용담, 토복령, 황백 및 연교를 구입하여 잘게 분쇄하고 분쇄물 건조 중량에 대하여 추출용매로서 물, 저급알코올(메탄올, 에탄올),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아세톤, 1,3-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노말 프로판올(n-Propanol), 이소 프로판올(iso-Propanol), 노말 부탄올(n-Butanol) 등의 극성용매와 이것들의 혼합용매를 5-20배 부피량을 가하여 침적추출하여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농축한다. 농축액에 물을 가하여 분산 시킨 후 분산액에 동량의 저극성 유기 용매, 즉 에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등을 가하고 진탕한다. 유기층을 분리한 후 활성탄을 처리하고 감압 농축하여 활성이 우수한 추출물을 얻는다. 추출방법으로는 냉각콘덴서가 장치되어 유효성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냉침과 페르콜레이션의 경우는 12-96 시간 정도, 또는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에칠아세테이트 또는, 디에칠에테르를 용매로 하여 4-25℃ 상온에서 3-20일 방치 숙성시켜서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도 있다. 온침의 경우는 사용하는 용매 등의 종류와 온도에 따라서 상이하나 적당한 것은 용매의 환류 온도에 가까운 온도로 5-24시간 정도를 행하는 것이 좋다. 추출이 완료된 후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회 이상씩 더 추출한다. 이 1차 추출액을 물에 분산 시킨 후 저 극성 용매로 2회 추출한다. 추출된 유기층을 합하여 활성탄으로 처리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한후 동결건조나 분무 건조하여 건조추출물을 얻는다. 건조된 용담, 토복령, 황백 및 연교혼합물의 추출물은 기존의 극성 용매에서 추출한 것에 비해, 매우 강력한 항염/항균활성 저해효과 및 피지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용담, 토복령, 황백 및 연교추출물은 피부 외용연고나 로션등의 화장료로 제조되어 사람의 피부에 도포되었을 때 항여드름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또한 어떤 부작용도 발생하지 않아 용담, 토복령, 황백 및 연교를 추출물이 안전하고 효과가 매우 뛰어난, 항여드름치료제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담, 토복령, 황백 및 연교를 추출물의 조합물에 있어서 용담, 토복령, 황백 및 연교의 조합비는 1:1:2:2 내지 1:1:2:3 이 바람직하다. 피부외용 연고나 화장료 제조시에 함유되는 용담, 토복령, 황백 및 연교추출물의 함량은 건조 중량으로 0.0001-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5-5.0중량이 적당하다. 0.0001중량이하의 농도에서는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고, 5중량이상의 농도에서는 함유량의 증가에 따라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품학 및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및/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또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 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외용제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다음으로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명백하다.
[실시예 1]
용담 10g, 토복령 10g, 황백20g 및 연교20g 을 50% 에탄올 수용액 1리터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2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기 여과액을 4-15℃ 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한다. 상기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60℃ 에서 감압 농축한다. 이를 물 50㎖에 분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300㎖로 다시 추출한 후 활성탄 10g을 넣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고 여과한다. 여액을 무수황산나트 륨을 넣어 건조한 후 여과하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50℃ 에서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건조중량 8.0g을 얻었다.
[실시예 2]
용담 10g, 토복령 10g, 황백30g 및 연교20g 을 에탄올 1리터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2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기 여과액을 4-15℃ 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60℃ 에서 감압 농축한다. 이를 물 50㎖에 분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300㎖로 다시 추출한 후 활성탄 10g을 넣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고 여과한다. 여액을 무수황산나트륨을 넣어 건조한 후 여과하고 유기층을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건조중량 8.4g을 얻었다.
[실시예 3]
용담 10g, 토복령 10g, 황백30g 및 연교20g 을 노말 부탄올 1리터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2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기 여과액을 4-15℃ 에서 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80 ℃ 에서 감압 농축한다. 이를 물 50㎖에 분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 300㎖로 다시 추출한 후 활성탄 10g을 넣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고 여과한다. 여액을 무수황산나트륨을 넣어 건조한 후 여과하고 유기층을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건조중량 7.7g을 얻었다.
[실시예 4]
용담 10g, 토복령 10g, 황백30g 및 연교20g 을 노말 부탄올 1리터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2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기 여과액을 4-15 ℃ 에서 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80 ℃ 에서 감압 농축한다. 이를 물 50㎖에 분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 300㎖로 다시 추출한 후 활성탄 10g을 넣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고 여과한다. 여액을 무수황산나트륨을 넣어 건조한 후 여과하고 유기층을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건조중량 8.8g을 얻었다.
[비교예 1]
용담 10g, 토복령 10g, 황백30g 및 연교20g 을 에탄올 1리터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2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기 여과액을 4-15 ℃ 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한다. 상기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50 ℃ 에서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건조중량 10.4g을 얻었다.
[비교예 2]
용담 10g, 토복령 10g, 황백20g 및 연교20g 을 에탄올 1리터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2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기 여과액을 4-15 ℃ 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한다. 상기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50 ℃ 에서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건조중량 10.5g을 얻었다.
본 발명자들은 용담, 토복령, 황백 및 연교 추출물에 대하여 피부안전성 및 개선/또는 활성화 효과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용담, 토복령, 황백 및 연교 추출물이 항염증효과 , 항균효과, 피지생성억제 효과를 갖는다는 것은 하기 실험에 의해 나타냈다.
[시험예 1 ] 용담, 토복령, 황백 및 연교 추출물의 안전성
피부외용제 원료는 인체에 사용되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중요하다. 본 발명자는 용담, 토복령, 황백 및 연교 추출물의 인체에 대한 독성 및 자극성 유무를 아래와 같은 실험을 거쳐 피부외용제로서 독성과 자극이 없는 원료임을 확인하였다. 안전성 실험은 실시예 1의 물질을 스쿠알란에 10% 농도로 만든 용액을 가지고 수행하였다
1-1] 급성경구 독성실험 (Acute oral toxicity test in mice) : 시험물질 1ml/Kg을 암수 각 5마리씩 10마리의 쥐에 투여한 결과 사망동물은 관찰되지 않았고 투여 전후의 체중변화도 유의할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1-2] 급성경피 독성실험 ( Acute dermal toxicity test in mice and rabbits) : 시험물질 0.2 mL/Kg 을 암수 각 5마리씩 10마리의 쥐에 1회 경피투여하고 2주간 일반 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한 결과 전 투여 군에서 이상증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같은 방법으로 토끼에게 실시한 결과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1-3] 피부1차 자극실험 (Primary skin irritation test) : 토끼 12마리에 시험물질 적용 24시간 전에 등 부위의 털을 제거하고 2.5 cm × 2.5 cm 넓이에 0.1 mL 씩 24시간 동안 도포하여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자극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1-4] 안점막 자극 시험 ( Eye irritation test) : 토끼 9마리에 2% 농도로 saline 에 희석하여 동물 1마리당 0.1 mL 씩 눈에 투여하였다. 실험 결과 각막, 홍채, 결막에 대한 특별한 안점막 자극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1-5] 피부 감작성 실험 (Skin sensitization test) : Gunea pig 암수 각 3마리씩 6마리에 Magnusson 과 Kligman 의 시험방법에 따라 실시한 결과 홍반, 부종, 가피 형성 등의 피부이상 증상은 관찰할 수 없었다.
1-6] 인체 첩포 실험 (Human patch test) : 20-28세의 건강한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CTFA Guideline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D. C. 20036, 1991) 에 따라 실시하였다. 결과 피부일차 자극 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1-7] 누적 자극성 실험 (Repeat Insult Human Patch Test) : 인체 첩포 실험 대상자에게 CTFA Guideline 에 따라 실험한 결과 누적 자극 반응 및 감작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독성 및 피부에 대한 안전성 실험에서 용담, 토복령, 황백 및 연교추출물은 피부 외용제로서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항염증효과
용담, 토복령, 황백 및 연교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로서는 아라키돈산을 이용하는 평가법을 이용하였다.
마우스의 양쪽귀를 시료 처리전 에탄올로 세척한 후 시료 도포군에는 1%농도의 실시예 시료20μl를 대조군에는 에탄올20μl를 1일 1회 4일간 지속적으로 도포하였다. 마지막 도포 후 1시간이 경과한 후 좌측귀에는 에탄올을 우측귀에는 아라키돈산을 2mg/ear도포하였고 도포 1시간 후 귀의 부종 정도를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양쪽귀에 대해 3회씩 반복 측정하였다. 처리군의 좌측귀는 시료자체에 의한 염증 유발 정도를 알아보가 위한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항염효과는 아라키돈산 처리 대조군을 기준으로 실시예 시료도포군의 부종억제 정도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 인도메타신 0.3%를 사용하였다.
억제율(%)= (A - B)/A ×100
A: 대조군 귀의 평균 두께 변화(아라키돈산 처리귀의 두께- 비처리귀의 두께)
B: 시료 처리군 귀의 평균 두께 변화(시료 처리귀의 두께- 비처리귀의 두께)
[표1 ] 항염증효과
실시예 1과 실시예 4는 각각 28.4, 24.2%의 높은 염증 저해율을 보였다. 이는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인도메타신 효능의 약 50% 이상으로 우수한 항염효과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03522466417-pat00001
[시험예 3] 항균력 시험
실시예와 비교예 추출물의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페이퍼 디스크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먼저 프로피오니 박테리움 아크네를 BHI(Brain-Heart Infusion Broth : 3.7%) 액체 배지에서 48시간 전배양하였다. 이렇게 준비한 균배양액을 BHI 고체배지(Brain-Heart Infusion Broth : 3.7%, agar: 1.5%) 에 0.1ml씩 도말한 후 건조시켰다. 실시예 시료를 DMSO에12%로 희석하여 직경 8mm의 paper disc에 50μl씩 점적한 후 미리 준비한 고체 배지위에 올려 놓은 후 이것을 35℃ 혐기 배양조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Paper disc 주변에 생긴 균 성장 저지 영역을 관찰하고 저지환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서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그결과 실시예 1의 균성장 저지환의 크기가 47mm이고 실시예 3의 균성장 저지환의 크기가 43mm, 비교예 1의 균성장 저지환의 크기가 24mm이었다
[실험예 3] 최소 저해 농도(MIC) 측정 실험
실시예 추출물의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MIC를 측정하였다. 먼저 프로피오니 박테리움 아크네를 BHI(Brain-Heart Infusion Broth : 3.7%) 액체 배지에서 48시간 전배양하였다. 실시예 시료를 DMSO에에 용해하여 멸균된 배양액에 일정농도로 첨가하여 시료 용액을 제조한 다음 이 시료 용액에 미리 전배양시킨 여드름균의 균액을 1.0% 농도로 접종하였다. 35℃ 혐기 배양조에서 3일간 배양후 균의 성장 정도를 관찰하였다. 시험 결과 는 표2와 같다.
Figure 112003522466417-pat00006
[시험예 4] 5α-리덕테아제 활성 억제력 평가 실험
5α-리덕테아제 활성 억제 실험에 사용된 5α-리덕테아제는 표피 유래의 섬유 아세포가 생성하는 효소를 사용하였다.
섬유아세포를 마이크로 플레이트 홀마다 10000개의 세포가 들어가도록 접종한 후 배양한다. 각홀마다 3H으로 방사선 표지된 테스토스테론을 0.1mm Ci 첨가한 후 배양하여 섬유아세포의 이의 이용율을 측정한다. 24시간 배양한 ㅎ후 상등액을 얻고 에틸 아세테이트-시클로헥산1:1 추출 용매 1ml로 스테로이드를 얻는다. 이 얻어진 스텔이드를 박막크로마토그래피판에 올려 놓고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액 98:2로 전개 시킨다. 테스토스테론과 디하드로 스테론에 해당하는 점의 방사활성을 덴시토미터를 측정하여 전환율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대조군(시료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과 비교하여 하기 식에 의해 5α-리덕테아제저해능을 평가 하였다.
저해능(%)=[A-B]/[A] ×100
A: 테스토스테론에서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시료 미첨가시)
B: 테스토스테론에서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시료 첨가시)
Figure 112003522466417-pat00003
[조성물 제조예]
[제조예 1 내지 3] 유화 제형
Figure 112003522466417-pat00007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담, 토복령, 황백, 연교 추출물은 강력한 항염증, 항균활성 및 5α-리덕테아제 활성 억제에 의한 피지생성억제력을 나타낸다. 따라서 용담, 토복령, 황백, 연교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안제, 크림, 및 피부외용조성물은 피지생성억제 및 여드름의 치료/예방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용담, 토복령, 황백,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여드름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담, 토복령, 황백 및 연교혼합물을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아세톤, 1,3-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노말 프로판올(n-Propanol), 이소 프로판올(iso-Propanol) 및 노말 부탄올(n-Butanol)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후 이를 다시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디에칠에테르(Diethyl ether) 및 메칠렌클로라이드 (Methylenechlorid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정제한 용담, 토복령, 황백 및 연교 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 여드름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용담, 토복령, 황백, 연교 추출물의 건조 중량이 총중량을 기준으로 0.0001-1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여드름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항염효과,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효과 및 5α-리덕테아제 활성 억제에 의한 피지생성억제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여드름 조성물
KR1020030085304A 2003-11-24 2003-11-24 천연물을 이용한 항여드름 화장료 KR100593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304A KR100593511B1 (ko) 2003-11-24 2003-11-24 천연물을 이용한 항여드름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304A KR100593511B1 (ko) 2003-11-24 2003-11-24 천연물을 이용한 항여드름 화장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012A KR20050050012A (ko) 2005-05-27
KR100593511B1 true KR100593511B1 (ko) 2006-06-28

Family

ID=38665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304A KR100593511B1 (ko) 2003-11-24 2003-11-24 천연물을 이용한 항여드름 화장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35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215A (ko) 2014-12-05 2016-06-15 주식회사 고운선형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172B1 (ko) * 2005-06-29 2013-09-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156636B1 (ko) * 2010-12-01 2012-06-14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215A (ko) 2014-12-05 2016-06-15 주식회사 고운선형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012A (ko) 200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US5559146A (en) Method of using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an extract of eclipta alba
US7189419B2 (en) Use of active extracts to lighten skin, lips, hair, and/or nails
KR20040015917A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516063B1 (ko)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WO2012172199A1 (fr) Composition a base de camellia japonica et polygonum hydropiper pour protection de la peau
KR100776346B1 (ko) 한련초, 숙지황, 하수오 및 반하 혼합 생약 추출물을함유하는 항비듬, 항염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070105146A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관중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2854B1 (ko) 복분자 뿌리의 활성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43166B1 (ko) 티트리잎, 쑥, 메밀 및 카프릴로일살리실릭애씨드를 함유한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 재생, 탄력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2006137690A (ja) 皮膚外用剤および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KR20090117199A (ko)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54748B1 (ko) 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5α-리덕테이즈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30184A (ko) 항 여드름 효능을 갖는 꾸지뽕나무 추출물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3440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93511B1 (ko) 천연물을 이용한 항여드름 화장료
KR100519154B1 (ko) 천연물을 이용한 항노화 및 미백 화장료
JP4035481B2 (ja) 皮膚外用剤
KR20140000882A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JP5717958B2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並びに該セラミド産生促進剤を用いた医薬品組成物、皮膚外用剤、化粧料組成物、及び化粧料
KR20090126992A (ko) 동백박(동백종실 껍질 분말) 및 그 추출물의 이용
KR100357417B1 (ko) 항균성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20044267A (ko)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치료용 화장품 조성물
KR20180088051A (ko) 곰솔, 개똥쑥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040056079A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