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051A - 곰솔, 개똥쑥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곰솔, 개똥쑥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051A
KR20180088051A KR1020170012614A KR20170012614A KR20180088051A KR 20180088051 A KR20180088051 A KR 20180088051A KR 1020170012614 A KR1020170012614 A KR 1020170012614A KR 20170012614 A KR20170012614 A KR 20170012614A KR 20180088051 A KR20180088051 A KR 20180088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acne
sebu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0331B1 (ko
Inventor
박해선
김현지
현진숙
정광선
김명옥
Original Assignee
스킨큐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킨큐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킨큐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2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331B1/ko
Publication of KR20180088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Y10S514/859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곰솔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곰솔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여드름 질환 관련 미생물들의 생육을 억제하고, 피지세포(sebocyte)의 분열 및 피지분비를 조절하고, 모낭의과각질화를 개선하는 각질박리작용을 가질 뿐만 아니라 여드름성 피부의 유분함유량, 피지분비값, 폐쇄면포 및 개방면포의 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화장료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곰솔, 개똥쑥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Compositions for decreasing sebum and improving acne comprising extracts of Pinus densiflora leaf, Artemisia annua and Citrus junos fruit}
본 발명은 곰솔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곰솔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세포 분화 억제, 각질박리 효과뿐만 아니라 여드름성 피부의 항균효과, 유분감소효과, 피지감소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서는 피지 분비 이상, 대사활동 이상 등의 생리적 요인, 식습관에 따른 영양학적 요인, 자외선, 오염, 기후변화 등의 환경적 요인, 스트레스 등 심리적 요인, 생활습관, 사용 화장품 등의 일상적 요인들까지 다양하다. 최근 들어 불규칙적이고 서구화된 식습관, 급증하고 있는 미세먼지와 황사로 심각해진 대기오염, 이로 인한 자외선 지수 증가, 합성 화장품에의 노출 등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현대인들의 피부건강 또한 점점 위협받고 있다.
공해물질 등 화학물질 및 인스턴트 식품 등 유해요소들에 대한 노출이 예전보다 늘어나면서 자극에 예민한 민감성 피부형들이 증가하고, 자극에 대한 면역반응으로 피부세포의 염증반응이 활발해지면서 여드름, 아토피 등과 같은 피부질환의 발생률이 높아지고 있다.
여드름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진 않았으나,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남성호르몬에 의한 피지분비 과다,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 acnes) 등 여드름원인균들의 증식 및 이로 인한 모낭주위 염증 유발, 모낭의 이상 각화 등이 주요 발생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유전적 소인 등 여러 인자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보고 있다(Farrar MD, Ingham E Acne: Inflammation Clin Dermatol (2004)22: 380-384).
여드름 발생의 대표적인 원인기작 중 하나는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 acnes), 프로피오니박테리움 그라누로섬(P. granulosum)의 증식이다. 피지선에서 피지 분비가 과다하게 촉진되거나 피지선의 모공이 좁아지면서 모낭이 막힘에 따라 모낭내부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 acnes), 프로피오니박테리움 그라누로섬(P. granulosum) 등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속의 혐기성세균들이 증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으로 바뀌면서 세균에 의한 염증반응이 유도되는 것이다(Bowe WP, Shalita AR. Effective over the counter acne treatments, Semin Cutan Med Surg, 2008, 27:170-176). 여드름 유발균은 대부분 모낭 내에서 성장하는 지방 친화성, 혐기성 세균으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 acnes)가 대표적 원인균이며 그 외 여드름 환자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여드름균으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그라누로섬(P. granulosum)과 프로피오티 아비둠(P. avidum) 등이 있다. 염증이 발생하면 주변 피부 내에 상재하고 있는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 epidermidi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 aureus) 등의 호기성 세균들이 모낭 주위에서 염증 반응을 확장시키고 결과적으로 여드름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im YS, Mung KB, Chung NE, Chung WS., A Study on the MIC of Antibiotics for Propionibacterium acnes in Patients with Acne, Kor J Dermatol 1995, 33:437-444). 때문에 여드름 질환 개선 및 치료를 위하여 이러한 여드름 병변 유발 세균들의 생육을 저지하거나 세균들에 의한 염증 반응을 억제시키는 항생제들에 대한 연구 및 임상 적용도 많이 진행되었으나 점점 증가하는 항생제에 대한 내성으로 적용이 힘든 실정이다.
피지선(sebaceous gland)과 연결된 모낭 주변에 여드름 병변 관련 세균들의 증식과 그로 인한 염증반응은 여드름 질환을 악화시키는 여드름 병변의 또 다른 주요 원인 기작 중 하나이다. 균들이 증식하면서 lipase, 염증 유도 매개체들의 분비도 늘어나고 분비된 IL-1α, IL-1β, IL-8, TNF-α 등과 같은 염증 반응 관련 싸이토카인들이 주변 면역세포와 피지세포들을 자극하게 되면서 모낭 주변 피부세포들의 염증반응은 점점 가속화되고 피부는 붉어지고 부어오르게 된다. 이러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 acnes)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반응은 Toll-like receptor(TLR)2 활성화에 따른 NF-κB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화가 주요 기작으로 알려져 있으며, human monocytes와 keratinocytes에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 acnes)는 NF-κB의 전사 활성화를 통하여 염증 관련 싸이토카인들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Nagy I, Pivarcsi A, Kis K et al., Propionibacterium acnes and lipopolysaccharide induce the expression of antimicrobial peptides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chemokines in human sebocytes. Microbes infect, 2006, 8:2195-205, Zouboulid VV, Eady A, Philpott MLA et al., What is the pathogenesis of acne Exp Dermatol, 2005, 14:143-52).
이와 같이 여드름 병변 진행에 염증반응이 주요 증상으로 동반되면서 여러 가지 소염효능의 식물추출물 및 화합물에 대하여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 acnes)에 의한 염증반응 조절 가능성이 많이 탐색되고 있으며 이를 타겟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에 대한 많은 연구들 또한 진행되고 있다(Chin Hsua, Tsung-Hsien Tsaib, You-Yi Li, Wen-Huey Wu, Ching-Jang Huang, Po-Jung Tsai., Wild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Linn. var. abbreviata Ser.) extract and its bioactive components suppress Propionibacterium acnes-induced inflammation, 2012, 135:3(1) 976-984).
또한, 여드름 질환의 주요 병인으로는 피지선 자극으로 인한 과잉 피지 분비와 그로 인하여 막히는 모공이다. 과다하게 분비된 피지와 막힌 모공은 혐기성이면서 지방친화성인 여드름균들이 증식하기에 최적의 환경으로 쉽고 빠르게 여드름이 발생할 수 있게 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피지 생성의 주요 기작은 인슐린 또는 IGF-1(Insulin-like growth factor-1)의 자극 시 피지세포 내 IGF-1/PI3K/Akt 경로를 통하여 SREBPs의 발현이 증가하면서 지방생성(lipogenesis) 과정이 유도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피지생성의 조절은 피지세포 내 AMPK-SREBP-1 신호전달경로를 통하여 AMPK가 활성화되면 IGF-1/PI3K/Akt 경로를 통하여 신호가 차례로 활성화 되어 SREBPs 발현이 억제되고 이로 인하여 lipogenesis가 감소된다(Smith TM, Cong Z, Gilliland KL et al. Insulin-like growth factor-1 induces lipid production in human SEB-1 sebocytes via sterol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1, J Invest Dermatol, 2006, 126: 1226-1232). 하지만 아직까지 피지세포에서 피지 생성을 조절하는 세부 경로라든지 피지세포의 사멸 등에 기작에 관하여 자세히 밝혀진 바가 없어 여드름 개선을 위한 많은 치료제와 연구가 필요하다(Nelson AM, Gilliland KL, Cong Z etal., 13-cis Retinoic acid induces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in human sebocytes, J Invest Dermatol, 2006, 126:2178-89). 
또한, 피부에서는 매일 수백만 개의 노화된 각질세포(Keratinocyte)가 피부로부터 떨어져나가고 새로운 각질세포를 생성하는 각질화 과정이 일어난다. 일반적인 각질화는 피부 표피(Epidermis)의 기저층에서 세포분열로 생성되는 각질세포가 시간이 지나면서 피부 표면으로 이동하고 표피층의 단백질 분해효소와 반응하여 자연적으로 피부로부터 탈락되는데, 여드름 피부에서는 피지선 발달과 피지분비과잉으로 피지와 노화된 각질세포가 뭉쳐서 모공을 막으면서 각질세포의 탈락이 어렵게 되고 과각질화(hyperkeratinization)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itus S, Hodge J., Diagnosis and treatment of acne, Am Farm Physician, 2012, 86(8):734-40). 과각질화가 진행되어 모공이 막히면서 각질이 쌓이게 되고 이로 인하여 모공이 팽창하면서 면포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각질화 과정은 여드름 병변의 또 하나의 주요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드름 치료를 위하여 과각질화 증상 개선을 타겟으로 하고 있다(Ganceviciene R, Fimmel S, Glass E, Zouboulis CC., Psoriasin and follicular hyperkeratinization in acne comedones, Dermatology, 2006, 213(3):270-2).
현재 여드름 치료는 국소적 치료제로는 레티노이드 제제(tretinoin, adapalene), 항생제(Clindamycin, erythromycin 등), benzyl peroxide, azelaic acid 등이 사용되고 있고, 전신적 치료제로는 경구 항생제(tetracyclin, doxycycline, minocycline), 호르몬제(경구 피임제, 부신피질호르몬제, spironolactone, cyproterone acetate), 경구 레티노이드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국소적 치료제는 장기간 사용이 요구되기 때문에 부작용의 우려로 되고 있고, 항생제의 경우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 acnes)의 내성 증가로 문제가 되고 있으며, 경구 레티노이드제는 치료효과는 뛰어나지만 피부와 점막의 건조증, 지질대사 장애, 태아 기형 유발 등의 심각한 부작용 유발로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천연물로부터 유래하여 부작용이 적어 안전하면서 여드름 등 피부질환을 개선하고 민감성 피부에 사용이 적합한 다중 기능성 물질의 개발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효과, 각질박리효과, 피지 조절(sebum control) 및 유분함유량 조절 효과를 동시에 가지며, 안정성 및 안전성이 높아 피부 부작용이 없고, 민감한 여드름성 피부에 사용이 적합한 복합물질을 천연유래 식물추출물을 대상으로 개발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곰솔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곰솔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지세포 분화 억제, 각질박리 효과뿐만 아니라 여드름성 피부의 항균효과, 유분감소효과, 피지감소효과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곰솔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은 0.9 내지 1.1 : 0.9 내지 1.1 : 0.9 내지 1.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extract)"은 생약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구성성분인 곰솔은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침엽수로서, 지방에 따라 해송(海松), 또는 흑송(黑松)으로 부른다. 학명은 Pinus thunbergii PARL.이다. 줄기껍질의 색깔이 소나무보다 검다고 해서 흑송이라고도 한다. 곰솔은 바닷바람에 견디는 힘이 대단히 강해서, 남서 도서지방에 분포하고 있으나 울릉도와 홍도에서는 자생하지 않는다. 소나무보다 더 따뜻한 생육환경이 요구되므로, 동쪽은 울진, 서쪽은 경기도 남양까지에서 자란다. 면적이 좁은 섬에 분포하여 있는 곰솔은 지리적 격리와 소집단이라는 이유로 유전적 분화가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 소나무와 곰솔이 접촉하는 경계에는 두 수종간의 잡종인 중곰솔[間黑松이 자주 나타난다. 이 잡종은 빠른 성장을 하는 특성이 있다. 그러나 곰솔이 소나무의 분포영역을 침범하여 들어갈 수 없고, 소나무는 곰솔의 생육영역으로 들어가지 못하는 뚜렷한 분서현상(分棲現象)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구성성분인 개똥쑥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잔잎쑥ㅇ개땅쑥이라고도 한다. 길가나 빈터, 강가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풀 전체에 털이 없고 특이한 냄새가 난다. 줄기는 녹색으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2∼3회 가늘게 깃꼴로 깊게 갈라진다. 길이 4∼7cm로 모양은 바소꼴이고 겉에 잔털과 선점(腺點)이 있다. 잎 가운데가 빗살 모양으로 되어 있고 위쪽 잎이 작다. 한방에서는 발열감기, 학질, 소아경기, 소화불량, 이질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구성성분인 유자는 유자나무의 열매로, 노랑색의 공 모양이다. 껍질이 울퉁불퉁하고 신 맛이 특징이다. 주요 성분으로 비타민 C가 레몬보다 3배나 많이 들어 있어 감기와 피부미용에 좋고, 노화와 피로를 방지하는 유기산이 많이 들어 있다. 그밖에 비타민B와 당질ㅇ단백질 등이 다른 감귤류 과일보다 많고 모세혈관을 보호하는 헤스페리딘이 들어 있어 뇌혈관 장애와 풍을 막아 준다. 또 배농(排膿) 및 배설작용을 해서 몸 안에 쌓여 있는 노폐물을 밖으로 내보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곰솔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방법 및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며, 추출물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하는 추출용매에 따라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추출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추출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이 있다.
또한, 상기 곰솔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은 상기 추출용매에 의해 추출하는 방법 외에 통상적인 정제과정을 거쳐서도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 냉동여과법, 원심분리법,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등이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과정을 통해 얻어진 분획을 통하여서도 수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태양에서는, 곰솔 추출물 및 개똥쑥 추출물은 20 내지 35℃에서 음건한 다음, 분쇄하여 에탄올에 침시시켜 추출한 후 초음파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태양에서는, 유자 추출물은 유자 생시료를 분쇄하여 착즙하는 방식으로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곰솔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을 0.9 내지 1.1 : 0.9 내지 1.1 : 0.9 내지 1.1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곰솔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이 혼합된 복합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추출물의 0.0001중량% 미만일 경우 여드름 피부 개선 효능이 미약하고, 복합추출물의 중량이 20중량%를 조과하는 경우에는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매우 미약하여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균, 피지세포(sebocyte) 분열 및 피지분비를 조절하고, 모낭의 과각질화를 개선하는 각질박리작용을 가질 뿐만 아니라 유분감소, 피지제거 및 여드름 감소효과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지의 생성을 억제 또는 제거하여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다양한 피지 관련 질환, 질병 또는 이상 상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피지 관련 질환은 여드름, 지루성 피부염, 입주위 피부염, 빨간코, 블랙헤드 및 기미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를 여드름성 피부에 4주간 첩포하는 경우 복합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피부 외용제를 첩포한 경우에 비하여 유분함유량을 25 내지 53% 차단하고, 피지분비량을 3 내지 32%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면포의 수를 20 내지 28% 유의하게 감소시키고, 전반적 사용감 및 여드름 피부 사용에 적합성에 대하여 시험대상자의 90% 이상이 촉촉함과 매끄러움 등에 대한 만족으로 보통 이상으로 평가되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곰솔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는 유효성분으로서의 곰솔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가용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가용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검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곰솔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시르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곰솔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여드름 질환 관련 미생물들의 생육을 억제하고, 피지세포의 분열 및 피지분비를 조절하고, 여드름성 피부의 유분함유량, 피지분비값, 폐쇄면포 및 개방면포의 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곰솔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의 복합추출물에 대한 세포독성 및 피부자극시험 결과, 복합추출물은 천연물질로서 각질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및 인체에 무해한 물질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곰솔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물이 혼합된 복합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화장료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곰솔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여드름 질환 관련 미생물들의 생육을 억제하고, 피지세포(sebocyte)의 분열 및 피지분비를 조절하고, 모낭의 과각질화를 개선하는 각질박리작용을 가질 뿐만 아니라 여드름성 피부의 유분함유량, 피지분비값, 폐쇄면포 및 개방면포의 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화장료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사용시 시간 경과에 따른 유분 함유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사용시 시간 경과에 따른 유분 함유량 변화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사용시 시간 경과에 따른 피지 측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사용시 시간 경과에 따른 피지 변화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사용시 시간 경과에 따른 폐쇄면포 측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사용시 시간 경과에 따른 폐쇄면포 변화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사용시 시간 경과에 따른 개방면포 측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사용시 시간 경과에 따른 개방면포 변화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천연추출물 선정 및 조성비 확립
1-1. 천연추출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제시된 각각의 천연물인 곰솔(잎), 비파(잎), 붉나무(잎), 개똥쑥(전초), 새삼덩굴(전초), 메밀(꽃), 문주란(전초), 굴거리나무(잎), 유자(열매) 및 광대나물(지상부)을 이물질 및 불순물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깨끗이 세척한 후 20 내지 35℃에서 음건한 다음 입자의 크기가 1mm 이하로 분쇄하였다.
수득된 분말 100 g을 70% 에탄올 10L에 침지하여 24시간씩 2회, 초음파 추출하였고, 유자의 경우, 생시료를 분쇄하여 착즙하는 방식으로 추출물 100 g을 얻었다. 그 다음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지(Advantes, No.2)에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각각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1-2. 항균효과 검증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추출물의 여드름 관련 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 acnes)에 대한 항균활성을 시험하고자 적정 OD값으로 생육한 세균 배양액과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추출물의 여드름 관련 세균들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여드름균의 viability는 alamar blue staining 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1-3. 피지세포 분화 억제효능 시험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추출물이 피지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피지세포(human SEB-1) 분화를 유도하는 인슐린 (20 nM)을 처리하고 동시에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여 일정기간동안 배양하였다.처리가 끝난 후 세포 내 지방을 적색으로 염색하는 nile red 로 지방을 염색한 후 FACS로 염색된 세포 수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insulin 20 nM 처리군에서 지방이 염색된 세포가 눈에 띄게 증가하여 지방분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시험에 사용된 수종의 추출물에서 지방분화를 억제하는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1-4. 각질 박리 효과 검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추출물의 각질박리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른 병력이 없고 피부상태진단을 통해 각질 박리효과 측정 시험에 적합한 피험자 15명을 대상으로 5% DHA (Dihydroxyacetone)를 이용하여 피부를 염색한 후 피부박리에 의한 피부색 변화로 인체피부 각질 박리 효과를 측정하였다. DHA 용액을 2일 2회 적용하여 피부를 태닝시킨 후 DHA에 의해 착색된 부위에 대조물질(Control 스킨 제형)과 시험물질(추출물 0.02%를 포함한 스킨 제형)을 10일간 1일, 2회 동량으로 고르게 도포하였다. Skin marker로 대조물질(Control)과 시험물질을 도포한 부위와 시험물질을 도포하지 않은 부위(Non treat)를 표시하였다. 피부색 측정기기 (Corneometer, CK electronic, German)를 이용하여 매일 색상 차이를 비교하여 각질이 탈색되는 정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인체 피부 각질 박리 변화율(%)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1
천연물명
(추출부위)
항균효과
P. acnes)
Sebocyte분화 억제력 (SEB-1) 각질박리효과 선정 여부
곰솔(잎) +++ ++++ -
비파(잎) - +
붉나무(잎) - +
개똥쑥(전초) ++++
새삼덩굴(전초) - +
메밀(꽃) +
문주란(전초) + -
굴거리나무(잎)
유자(열매) + ++++
광대나물(지상부) -
-: 효과없음, +: 약한 효과, ++: 중간정도의 효과, +++: 강한 효과, ++++: 매우 강한 효과
실험결과, 총 10종의 식물 추출물에 대한 시험결과 중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피지생성 억제 및 피부박리평가항목에서도 우수한 효능을 나타낸 추출물 곰솔, 개똥쑥, 유자추출물 3종을 선정하였다. 이들의 복합조성을 통해 피부 진정작용에 대한 복합기능을 발휘함과 동시에 효능의 상승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1-5. 복합 화합물 제조
상기에서 수득된 곰솔, 개똥쑥 및 유자 추출물을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여 복합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복합 화합물의 조성비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8개의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복합물 번호 곰솔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유자 추출물
#001 1 0.5 1.5
#002 1 1 1
#003 1 1.5 0.5
#004 2 0.5 0.5
#005 0.5 0.5 2
#006 0.5 1 1.5
#007 0.5 1.5 1
#008 0.5 2 0.5
< 시험예 1> 항균, 피지생성 억제 및 피부박리 효과 측정
복합 화합물의 항균, 피지생성 억제 및 피부박리 효과는 상기 실시예 1-2, 1-3,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효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3에 나타내었다.
천연물명
(추출부위)
항균효과
P.acnes)
Sebocyte분화 억제력 (SEB-1) 각질박리효과 선정 여부
#001 ++ ++ ++
#002 +++ ++++ +++
#003 ++ ++
#004 +++ +++
#005 +++
#006 ++ ++
#007 ++ ++
#008 +++
-: 효과없음, +: 약한 효과, ++: 중간정도의 효과, +++: 강한 효과, ++++: 매우 강한 효과
실험결과, 곰솔추출물, 개똥쑥추출물, 유자추출물의 복합조성비가 1:1:1로 이루어진군에서 P. acne 균에 대한 항균력, 피지생성 억제효능 및 피부박리 효능 부분으로 가장 우수한 개선효능을 보였다.
<시험예 2> 복합추출물의 세포독성 측정
곰솔, 개똥쑥, 유자추출물 각각 및 복합추출물의 인체에 대한 안정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각질세포주인 HaCaT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실험(MTT)을 수행하였다. HaCaT 세포에 상기 실시예 2의 각각의 단일 추출물 및 복합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1일 배양 후 세포의 세포독성효과(cytotoxic effect)를 MTT(3-(4,5-dimet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처리농도 0.001% 0.005% 0.01% 0.025% 0.05%
세포생존율
(음성대조군 대비 세포생존율)
103% 102% 98% 95% 92%
실험결과, 복합추출물 처리농도 500 ppm까지 유의한 세포독성 효능은 보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복합추출물 함유 피부 외용제 제조
복합추출물이 인체 피부에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으로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를 제조한 다음 피부 안정성과 임상효능 검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정제수,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을 혼합하고 70℃에서 용해하였으며(물파트), 상기 세 성분과 트리메탄올아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70℃에서 용해하였다(오일파트). 상기 오일파트를 물파트에 첨가하고 호모믹서(일본 Tokushu Kika사)로 교반하여 1차 유화하였고, 여기에 트리메탄올아민을 최종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액에 생성된 기포를 제거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피부 외용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
대조군 시험군 1
정제수 72 72
글리세린 8.0 8.0
부틸렌글리콜 4.0 4.0
복합추출물 0 2.0
카프릴릭 카프리 트리글리세라이드 8.0 8.0
스쿠알란 5.0 5.0
세테아릴 글루쿠사이드 1.5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1.0
트리메탄올아민 0.1 0.1
총중량 100 100
< 시험예 3> 복합추출물의 유분함유량 감소 효과 측정
3-1. 복합추출물 함유 피부 외용제의 인체 임상 적용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피부 외용제를 19세 이상의 안면 여드름 중증도 등급 1~3 이하인 남녀 20명(여성 13명, 남성 7명)을 대상으로 4주 동안 진행하였다. 아침과 저녁 세안 후 적당량을 취하여 얼굴에 골고루 펴 바르도록 하여 1일 2회씩 사용하도록 하고 제품 사용 전과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의 유분함유량, 피지 측정 및 전문의에 의한 육안평가를 하였다.
기기적 평가를 위하여 시험대상자는 실내온도 20~25℃, 습도 40~60%의 항온항습 조건의 대기실에서 30분간 안정을 취하여 피부표면 온도와 습도를 측정공간의 환경에 적응하게 하였으며, 안정을 취하는 동안에는 수분 섭취를 제한하였다. 객관적 측정을 위하여 연구자 1인이 측정하였으며, 매 측정 시 동일한 부위를 측정하였다.
3.2. 복합추출물의 유분함유량 감소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피부 외용제 사용에 의한 유분함유량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의 ug/ml값을 측정하였다. 유분함유량은 Sebumeter SM815(Courage-Khazaka eletronic GmbH, Germany)를 사용하여 T존 부위인 미간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매 1회 실시하였으며, 20초간 측정하여 피부 유분함유량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Sebumeter는 특수한 반투명 지질흡수 테잎을(sebumeter cassette) 피부에 접촉시킨 후(약20초) 획득되는 피지량을 광학적 반사원리(Photometric reflection)로 단위면적당 유분량(μg/cm2)으로 측정하는 장비로써, 측정값과 유분량은 비례한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사용시 시간 경과에 따른 유분 함유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사용시 시간 경과에 따른 유분 함유량 변화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Mean±SD)
구분 ㎍/㎠
사용 전 135.80±89.90
사용 2주 후 97.10±42.74
사용 4주 후 69.30±35.09
군내비교 사용 전 사용 2주 후 0.072
사용 전 사용 4주 후 0.009*
* : p<0.05 by repeated ANOVA, post hoc Bonferroni correction
그 결과, 유분함유량 측정값은 사용 전 135.80±89.90, 사용 2주 후 97.10±42.74, 사용 4주 후 69.30±35.09로 나타났다. 정규성 검정에 따라 사후 검정한 결과, 유분함유량 측정값이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4주 후에 유의하게 감소(p<0.05)하였다.
<시험예 4> 복합추출물의 피지 감소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피부 외용제 사용에 의한 시험제품 사용에 의한 피지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의 ea값을 측정하였다. 피지 측정은 Janus를 사용하여 안면 전체를 촬영하였다. 안면 영상 사진을 촬영한 이미지에서 T존 부위 영역을 지정하여 분석하여 피지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된 이미지 상에서 피지는 빨간색 점(산화된 피지)으로 표시되며 빨간색 점의 개수가 줄어들수록 피지가 개선됨을 의미한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과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사용시 시간 경과에 따른 피지 측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사용시 시간 경과에 따른 피지 변화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Mean±SD)
구분 ea
사용 전 123.10±133.24
사용 2주 후 101.35±109.45
사용 4주 후 116.90±130.35
군내비교 사용 전 사용 2주 후 0.267
사용 전 사용 4주 후 0.034
# : p<0.025(=5%/2) by Fridman test, post hoc Wilcoxon singned rank test with Bonferroni correction
그 결과, 피지 측정값은 사용 전 123.10±133.24, 사용 2주 후 101.35±109.45, 사용 4주 후 116.90±130.35로 나타났다. 정규성 검정에 따라 비모수적 방법인 Friedman test로 검정 후 Wilcoxon signed rank test와 Bonferroni correction으로 사후 검정한 결과, 피지 측정값이 사용전과 비교하여 사용 4주 후에 유의하게 감소(p<0.025(=5%2))하였다.
<시험예 4> 복합추출물의 면포 감소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피부 외용제 사용에 의한 면포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의 육안평가를 실시하였다. 시험대상자의 여드름 정도는 피부과 전문의 2인을 평가자로 하여 평가하였다. 인체적용시험 시작 전, 2주, 4주 후에 연구소를 방문한 시험대상자들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피부과 전문의 2인의 평가에 차이가 있을 경우 많은 개수를 선택한다.
코와 턱 부위를 제외한 안면의 폐쇄면포, 개방면포의 개수를 세어 총 면포의 개수를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폐쇄면포와 개방면포의 의미는 하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다.
면포 폐쇄면포 흰색을 띄며 모낭 속에 고여 딱딱해진 피지
개방면포 멜라닌의 침착으로 검은 색을 띄면 모낭 속에 고여 딱딱해진 피지
그 결과는 하기 표 9와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사용시 시간 경과에 따른 폐쇄면포 측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사용시 시간 경과에 따른 폐쇄면포 변화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사용시 시간 경과에 따른 개방면포 측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사용시 시간 경과에 따른 개방면포 변화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Mean±SD)
구분 폐쇄면포 ea 개방면포 ea
사용 전 8.45±5.24 8.05±4.54
사용 2주 후 6.45±3.80 6.90±4.51
사용 4주 후 6.15±3.87 6.20±3.40
군내비교 사용 전 사용 2주 후 0.006* 0.166
사용 전 사용 4주 후 0.005* 0.003*
* : p<0.05 by repeated measures ANOVA, post hoc Bonferroni correction
그 결과, 폐쇄면포 육안평가 값은 사용 전 8.45±5.24, 사용 2주 후 6.45±3.80, 사용 4주 후 6.15±3.87로 나타났다.
정규성 검정에 따라 모수적 방법인 repeated ANOVA로 검정하고 Bonferroni correction으로 사후 검정한 결과, 폐쇄면포 측정값이 사용전과 비교하여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에 모두 유의하게 감소(p<0.05)하였다. 개방면포 육안평가 값은 사용 전 8.05±4.54, 사용 2주 후 6.90±4.51, 사용 4주 후 6.20±3.40으로 나타났다. 정규성 검정에 따라 모수적 방법인 repeated ANOVA로 검정하고 Bonferroni correction으로 사후 검정한 결과, 개방면포 육안평가 값이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4주 후에 유의하게 감소(p<0.05)하였다.
< 시험예 5> 복합추출물의 유효성 및 제품기호도 조사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피부 외용제 사용에 따른 여드름성 피부 적합성에 대하여 하기 표 10에 나타낸 바에 따라 아주좋음(4), 좋음(3), 보통(2), 나쁨(1), 아주나쁨(0)의 5단계로 직접 설문자료에 답하도록 하여 시험제품의 효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자는 각 답변에 대한 시험대상자 수의 백분율을 구하여 시험제품의 효능여부를 판단하였다.
시험대상자 수(백분율, %) 평균 표준
편차
5* 4* 3* 2* 1*
여드름 피부 사용 적합성 2
(10.0)
8
(40.0)
8
(40.0)
1
(5.0)
1
(5.0)
2.45 0.94
*5: 아주좋음, 4: 좋음, 3: 보통, 2: 나쁨, 1: 아주나쁨
제품 기호도에 대한 설문조사는 시험제품 사용 후 제품 사용감에 대하여 시험대상자가 직접 설문자료에 답하도록 하였고, 평가항목은 피부 촉촉함, 매끄러움, 흡수성, 발림성, 향 및 전반적 사용감에 대하여 아주좋음(5), 좋음(4), 보통(3), 나쁨(2), 아주나쁨(1)의 5단계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시험대상자 수(백분율, %) 평균 표준
편차
5* 4* 3* 2* 1*
촉촉함 2
(10.0)
12
(60.0)
5
(25.0)
1
(5.0)
0 2.75 0.72
매끄러움 2
(10.0)
12
(60.0)
5
(25.0)
1
(5.0)
0 2.75 0.72
흡수성 4
(20.0)
6
(30.0)
8
(40.0)
1
(5.0)
1
(5.0)
2.55 1.05
발림성 3
(15.0)
10
(50.0)
5
(25.0)
1
(5.0)
1
(5.0)
2.65 0.99
1
(5.0)
4
(20.0)
12
(60.0)
3
(15.0)
0 2.15 0.75
전반적 사용감 1
(5.0)
9
(45.0)
7
(35.0)
2
(10.0)
1
(5.0)
2.35 0.93
*5: 아주좋음, 4: 좋음, 3: 보통, 2: 나쁨, 1: 아주나쁨
시험제품에 대한 유효성 평가 설문조사 결과, 여드름 피부 사용 적합성에 대하여 90%의 시험대상자가 '보통' 이상으로 평가하였다.
<시험예 6> : 복합추출물 함유 피부외용제의 안전성 평가
시험제품의 안전성은 시험제품을 사용한 모든 시험대상자를 대상으로 확인된 이상반응과 시험기간 동안 보고된 모든 이상반응을 종합하여 이상반응 발생율을 구하고 제품의 안전성 평가자료로 사용하였다. 시험제품 사용 중에 시험대상자가 이상증상을 느끼는 경우 시험담당자에게 즉시 보고하도록 조치하였다. 이상반응이 보고되는 경우 증상의 정도, 시험제품과의 연관 여부를 판단하고 증상에 대한 적절한 조치 및 시험참여 여부를 결정하였다.
시험대상자가 시험제품을 사용하는 기간 동안 특별한 피부 이상반응에 대한 보고는 없었으며, 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이학적 검사상에도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곰솔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여드름 질환 관련 미생물들의 생육을 억제하고, 피지세포(sebocyte)의 분열 및 피지분비를 조절하고, 모낭의 과각질화를 개선하는 각질박리작용을 가질 뿐만 아니라 여드름성 피부의 유분함유량, 피지분비값, 폐쇄면포 및 개방면포의 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화장료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4)

  1. 곰솔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곰솔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이 0.9 내지 1.1 : 0.9 내지 1.1 : 0.9 내지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곰솔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곰솔 추출물, 개똥쑥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이 0.9 내지 1.1 : 0.9 내지 1.1 : 0.9 내지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170012614A 2017-01-26 2017-01-26 곰솔, 개똥쑥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950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614A KR101950331B1 (ko) 2017-01-26 2017-01-26 곰솔, 개똥쑥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614A KR101950331B1 (ko) 2017-01-26 2017-01-26 곰솔, 개똥쑥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051A true KR20180088051A (ko) 2018-08-03
KR101950331B1 KR101950331B1 (ko) 2019-02-22

Family

ID=63250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614A KR101950331B1 (ko) 2017-01-26 2017-01-26 곰솔, 개똥쑥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3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439B1 (ko) 2018-08-09 2019-03-26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곰솔잎, 한련초, 삼백초, 국화 추출물을 복합물로 함유하는 두피 및 두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3171322A (zh) * 2021-05-12 2021-07-27 清远市望莎生物科技有限公司 祛痘组合物及应用以及包括祛痘组合物的祛痘纳米凝胶乳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4124A (ko) * 2004-10-18 2006-04-21 애경산업(주) 피지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US20070269537A1 (en) * 2003-02-10 2007-11-22 Bioderm Research Skin Condition Improvement Including Acne, Rosacea, and Topical Wounds by Artemisia Annua Extract via Iron Siderophore Trojan Horse Delivery System
KR20130023534A (ko) * 2011-08-29 2013-03-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유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69537A1 (en) * 2003-02-10 2007-11-22 Bioderm Research Skin Condition Improvement Including Acne, Rosacea, and Topical Wounds by Artemisia Annua Extract via Iron Siderophore Trojan Horse Delivery System
KR20060034124A (ko) * 2004-10-18 2006-04-21 애경산업(주) 피지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3534A (ko) * 2011-08-29 2013-03-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유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439B1 (ko) 2018-08-09 2019-03-26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곰솔잎, 한련초, 삼백초, 국화 추출물을 복합물로 함유하는 두피 및 두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3171322A (zh) * 2021-05-12 2021-07-27 清远市望莎生物科技有限公司 祛痘组合物及应用以及包括祛痘组合物的祛痘纳米凝胶乳
CN113171322B (zh) * 2021-05-12 2022-04-19 广东中科卓原生物科技有限公司 祛痘组合物及应用以及包括祛痘组合物的祛痘纳米凝胶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331B1 (ko) 2019-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742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2033089B1 (ko) 항균, 항염증, 피지감소, 각질박리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
KR102033088B1 (ko) 식물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100010316A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3294B1 (ko)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1922635B1 (ko) 마유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2292A (ko) 아토피 및 여드름 피부에 효능을 보이는 황칠나무 추출물
KR20200088074A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55963B1 (ko)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0229B1 (ko) 티트리 잎 미세침 분말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7528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28612A (ko) 인진쑥 추출물 및 올리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산화, 미백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32215B1 (ko) 삼나무 및 연잎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및 면역증강용 화장료조성물
KR101950331B1 (ko) 곰솔, 개똥쑥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CN112137919B (zh) 竹荪蛋提取物在制备美容美肤外用品中的应用及基于其的美容外用品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16930A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34261B1 (ko)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12103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10048021A (ko) 당귤껍질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CN106344460A (zh) 一种痤疮肌肤专用保湿祛痘面霜及其制备方法
KR100667182B1 (ko) 오소리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건조증 개선용 화장료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5281A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5155543B2 (ja) エンドセリン−1産生抑制剤、ヘキソサミニダーゼ遊離抑制剤、抗炎症用/美白用皮膚外用剤、エンドセリン−1の産生抑制方法及びヘキソサミニダーゼの遊離抑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