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117B1 -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117B1
KR101457117B1 KR1020120082802A KR20120082802A KR101457117B1 KR 101457117 B1 KR101457117 B1 KR 101457117B1 KR 1020120082802 A KR1020120082802 A KR 1020120082802A KR 20120082802 A KR20120082802 A KR 20120082802A KR 101457117 B1 KR101457117 B1 KR 101457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extract
bone
wedc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5083A (ko
Inventor
마진열
조원경
송광훈
김태수
하현일
심기석
정다영
송석영
안효선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82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117B1/ko
Publication of KR20140015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1Pteridophyta or Filicophyta (ferns)
    • A61K36/12Filicopsida or Pteridopsid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천연 추출물로서,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functional food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bone disease comprising the dryopteris crassithizoma extract}
본 발명은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정상적인 뼈의 재형성과정은 뼈 형성과 뼈 흡수의 균형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뼈 형성과 뼈 흡수는 크게 세 가지 세포, 연골세포, 조골세포(osteoblast) 및 파골세포(osteoclast)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조골세포의 증식과 분화는 뼈의 석회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조골세포에서 중요한 전사인자인 RUNX2에 변이가 생기거나 발현량이 감소하면 뼈의 석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RANKL(receptor activator of NF-kB ligand)은 조골세포의 분화과정 동안에 발현되어 파골세포 분화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OPG(Osteoprotegrin) 역시 조골세포에서 발현되어 RANKL의 역할을 억제함으로써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 또한, RANKL은 파골세포 분화의 핵심 유발인자로, 세포 표면의 수용체 RANK와 결합하여 파골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다양한 분자의 발현을 조절하여 파골세포 분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akayanagi H., Osteoimmunology: shared mechanisms and crosstalk between the immune and bone systems., Nat Rew immunol. 2007 Apr; 7(4): p292-304].
한편, 파골세포 분화, 형성 및 활성 증가는 골다공증 유발, 고형암 및 조혈악성종양과 같은 몇몇 암에 고칼슘혈증 또는 골전이를 유발 및 류마티즘 관절염에 골손실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odan GA, Martin TJ., Therapeutic approaches to bone diseases, Science. 2000 Sep 1; 289(5484); p1508-1514. Roodman GD, Mechannnisms of Bone Metastasis, N Eng1 J Med. 2004 Apr 15; 350(16); p1655-1664]].
골다공증(osteoporosis)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뼈의 질량이 감소하고 뼈 조직의 미세구조의 퇴화로 골절 위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질환으로 뼈를 구성하는 미네랄(특히 칼슘)과 기질이 감소한 상태이며, 골재형성의 균형이 깨져서 파골작용이 조골작용보다 증가된 상태에서 발생한다. 정상적인 뼈 내부는 그물망처럼 치밀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골다공증의 경우에는 골미세구조 사이의 간격에 넓어지고 미세구조가 얇아져 약해짐으로써 조그만 충격에도 뼈가 쉽게 골절될 위험이 증가하는 질환으로 폐경기 이후 골다공증, 70세 이상의 남녀 노인에게 서서히 발생하며 골반골과 척추뼈의 점진적인 골 손실을 가져오는 노년기 골다공증 및 연령에 상관없이 질병이나 약물, 알코올, 흡연, 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2차 골다공증으로 분류된다.
골다공증은 현재 가장 중요한 사회적 문제 중 하나로, 미국의 경우 매년 약 26 만명의 여성들에게 유발되고 있으며, 이중 약 12% 내지 20% 정도는 사망에 이르고 있다. 사회가 노령화되고 여성들의 사회참여가 활발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노인들이나 폐경 후 여성들의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현재 골다공증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에스트로겐(estrogen), 남성화 스테로이드 호르몬(androgenic anagolic ateroid), 칼슘 제제, 인삼염, 불소 제제, 이프리플라본(Ipriflavone), 비타민 D3 등이 있다. 에스트로겐은 조골세포의 세포고사를 억제하여 세포의 생존기간을 증가시키고 파골세포의 세포고사를 촉진하여 세포의 생존기간을 감소시켜 폐경증상의 치료와 골밀도 유지에 어느 정도 효과적인 방법이나 유방암, 자궁내막 증식증 등을 유발하는 부작용이 있다. 이외에도 파골세포의 활성을 억제하여 골파괴를 억제시키거나 조골세포의 증식을 통해 골재생 단위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칼시토닌, 부갑상선호르몬,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 등이 있다. 그러나, 기존 골다공증 치료약제들은 골흡수만을 차단시키거나 골형성을 촉진시키는 효능만을 갖으며 장기간 투여시 많은 부작용을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장기간 투여에도 지속적인 골밀도 증가 효과를 나타내고 부작용이 적은 안전한 예방 및 치료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은 아직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주로 관절을 침범하는 만성, 전신성, 염증성 질환으로, 조조강직(관절염의 초기증상으로 손가락 등이 뻣뻣하게 느껴지는 증상), 대칭적 관절 침범, 손 관절을 잘 침범하는 등의 특징이 있다. 관절염은 일반적으로 말초 관절부터 시작해 점점 근위 관절로 진행하며, 염증이 잘 조절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 자라나는 활성화된 활막조직에 의해 주위의 연골과 뼈가 파괴되어 관절의 변형이 초래된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는 최근 20년 동안 질병의 병인과 예후에 대한 이해와 새로운 비생물학적, 생물학적 항류마니제 약제의 개발 등을 통해 많이 변화하였다. 과거에는 휴식, 물리치료, 아스피린,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등으로 일차적으로 치료하고, 치료에 반응 않거나 관절 손상 발생시, 부작용이 적은 항류마티스 약제부터 시작하여 강한 면역억제제로 올라가는 피라미드식 접근에 의한 단계적 치료가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의 근간을 이루었다. 이 피라미드식 접근 방법은 류마티스 관절염이 예후가 좋고 보존적 치료에 반응을 잘하는 양성 질병의 개념에서 출발한 치료 전략이다.
그러나, 1989년 Wilske와 Healey가 피라미드식 접근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러한 방법이 관절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한 이후, 많은 역학 및 임상 연구 결과들을 통해 치료 패러다임이 바뀌게 되었다. 류마티스 과절염은 양성 질환이 아니고, 만성 진행성 질환이며, 피라미드식 접근 방식이 질병의 기능적, 임상적, 방사선학적 손상을 막을 수 없고, 이차 약제의 독작용이 생각만큼 심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사망률이 증가하여 평균 수명이 짧음을 알게 되었으며, 방사선 학적 골파괴가 환자의 70% 이상에서 급격히 진행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장기간 투여에도 지속적인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부작용이 적은 안전한 예방 및 치료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골다공증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골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천연 약재를 연구하던 중, 관중 추출물이 TRAP 활성, 다핵성파골세포 형성 억제 및 골흡수능 억제 등을 보임으로써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골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관중(貫衆)'은, 고사리목 면마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한국, 일본, 사할린, 쿠릴열도, 중국 동북부 등지에 분포하는 양치식물이다. 어린 잎은 식용으로 사용하고,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약재로 사용한다. 관중은 구충작용, 해열, 해독작용, 감기바이러스 억제작용, 항균ㆍ항암 작용을 나타내며, 관중을 달인 물은 피부 진균에 대해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관중은 자궁흥분작용, 지혈작용, 진통작용, 소염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의 관중 추출물은 관중을 물, C1 -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은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상온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증기 추출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골질환'은, 골밀도가 감소되어 일어나는 모든 질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골다공증, 골형성 부전증, 류마티스 관절염, 골암 또는 골전이암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골질환의 지표가 되는 파골세포 분화마커인 TRAP 활성, 다핵성 파골세포 형성 억제 및 골흡수능 억제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상기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상기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완치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하여,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보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 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형화할 경우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관중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첨가하여 조제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과제를 포함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솔,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 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관중 추출물의 일일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1500 mg/kg이며, 필요에 따라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은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껌류, 아이스크림류, 스프, 음료수, 차, 기능수, 드링크제, 알콜 및 비타민 복합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정청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 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품,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랭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 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음료를 포함한 식품에 첨가되는 본 발명에 따른 관중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가감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식품 100 중량%에 1 중량% 내지 15 중량% 포함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관중의 추출물로서,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조성물로 약학적으로 이용 가능할 뿐 아니라 건강기능식품으로서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중 추출물(WEDC) 처리 농도에 따른 (A) TRAP 염색 및 (B) TRAP 양성의 다핵성 거대 파골세포(Oc)의 수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ANKL에 의해 유도된 BMM으로부터의 파골세포 분화에 대한 관중 추출물(WEDC) 처리 농도에 따른 (A) TRAP 염색, (B) TRAP 효소 활성 및 (C) TRAP 양성의 다핵성 거대 파골세포(Oc)의 수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골세포 골흡수능에 대한 관중 추출물(WEDC) 처리 농도에 따른 (A) TRAP 염색 및 파골세포에 의한 resoption pit 이미지, (B) TRAP 양성의 다핵성 거대 파골세포(Oc) 수 및 (C) 흡수 면적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중 추출물(WEDC) 농도에 따른 actin-ring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중 추출물(WEDC) 농도별 세포독성 결과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중 추출물(WEDC) 처리에 대한 c-Fos 및 NFATc1 발현에 대한 western blot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중 추출물(WEDC) 처리에 대한 MAPK 및 NF-κB 신호전달계에 대한 western blot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중 추출물(WEDC) 처리에 의한 조골전구세포에서의 (A) RANKL mRNA 발현 및 (B) OPG mRNA 발현에 대한 QPCR 분석 결과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중 추출물(WEDC) 처리에 대한 c-Fos 및 NFATc1 발현에 대한 QPCR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에 대한 약물 투여 일정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중 추출물(WEDC) 투여에 따른 (A) micro-CT 결과, (B) bone volume/trabecular volume(BV/TV), (C) Trabecular Thinckness(Tb.Th), (D) Trabecular number(Tb.N) 및 (E) Trabecular separation(Tb.Sp)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관중 추출물의 제조
관중 50 g을 약탕기에 넣고 증류수 1 ℓ를 가하여 1시간 침적시킨 후 115℃에서 3~4시간 가열추출한 후 여과하여 최종 부피가 100 ㎖가 되게 한 후 동결건조 하였다. 증류수로 다시 녹인 관중 열수추출물(WEDC)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in - vitro 분석
1) TRAP 활성 및 다핵성 파골세포 수 분석
파골세포는 마우스의 골수세포로부터 얻었다. 골수세포는 M-CSF(60 ng/㎖)를 함유한 10% FBS로 이뤄진 α-MEM에서 3일 동안 배양하여 골수 세포 유래 대식세포(BMM)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파골세포 전구 세포로 사용하였다. 파골세포 생성을 위해, BMM를 M-CSF(60 ng/㎖) 및 RANKL(100 ng/㎖)와 4일 동안 배양하였다. 조골전구세포 및 골수세포를 포함하는 공생배양으로부터 파골세포 생성을 위해, 조골전구세포는 신생마우스의 두개골로부터 준비하였다. 골수세포 및 조골전구세포는 1.25(OH)2D3(10 nM)의 존재하에 6일 동안 공생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는 TRAP 활성 측정을 위해 고정 후 기질(p-나이트로페닐포스페이트, p-nitrophenyl phosphate)을 처리한 후 405 nm 흡광도에서 측정하였고, 다핵성 파골세포 수 분석을 위해서 배양된 세포를 TRAP 염색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핵이 3개 이상인 TRAP 양성세포 수를 세었다.
① 조골전구세포와 골수세포의 공생배양으로부터 파골세포 분화에 대한 관중 추출물(WEDC)의 효과
조골전구세포와 골수세포의 공생배양으로 유도된 파골세포 분화에 대한 관중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조골전구세포와 골수세포의 공생배양에 1.25(OH)2D3(VitD3; 10 nM) 및 관중 추출물을 0 ㎍/㎖, 10 ㎍/㎖, 25 ㎍/㎖, 50 ㎍/㎖ 및 100 ㎍/㎖ 농도로 6일 동안 처리한 후 TRAP 염색 및 TRAP 양성의 다핵성 거대 파골세포(Oc)의 수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중 추출물(WEDC) 25 ㎍/㎖, 50 ㎍/㎖ 및 100 ㎍/㎖ 농도로 처리한 결과 1.25(OH)2D3(10 nM)에 의해 유도되는 파골세포 분화를 각각 49%, 70% 및 92%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② RANKL에 의한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BMM)으로부터 파골세포 분화에 대한 관중 추출물(WEDC)의 효과
RANKL에 의해 유도된 BMM으로부터의 파골세포 분화에 대한 관중 추출물(WEDC)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BMM 세포 배양에 RANKL(100 ng/㎖) 및 관중 추출물(WEDC, 0 ㎍/㎖, 5 ㎍/㎖, 10 ㎍/㎖, 25 ㎍/㎖, 50 ㎍/㎖ 및 100 ㎍/㎖)을 4일 동안 처리한 후 TRAP 염색, TRAP 효소 활성 및 다핵성 파골세포 수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중 추출물(WEDC)를 5 ㎍/㎖, 10 ㎍/㎖, 25 ㎍/㎖, 50 ㎍/㎖ 및 100 ㎍/㎖ 농도로 처리한 결과 RANKL에 의해 유도되는 다핵성 파골세포 분화를 각각 34%, 64%, 85%, 100% 및 100%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2) 파골세포 골흡수능 분석
콜라겐-겔로 코팅한 배양접시에서 1.25(OH)2D3(10 nM)와 프로스타글란딘 E2(100 nM)의 존재하에 조골세포전구세포와 골수세포를 6일 동안 공생배양하여 파골세포를 생성하였다. 성숙한 다핵성 파골세포를 CaP가 코팅된 플레이트(Osteo Assy Surface, corning, NY, USA)로 옮긴 후 증류수(vehicle) 또는 관중 추출물(WEDC, 25 ㎍/㎖, 50 ㎍/㎖ 및 100 ㎍/㎖)를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TRAP 염색과 다핵성 파골세포 수를 확인하였다. 파골세포에의한 resoption pit은 락스를 이용해 파골세포를 제거한 후 현미경 사진촬영 및 image J로 흡수 면적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중 추출물(WEDC)를 25 ㎍/㎖, 50 ㎍/㎖ 및 100 ㎍/㎖로 처리한 결과 파골세포의 수에는 영향이 없이 흡수 면적을 각각 29%, 55% 및 84%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파골세포 골흡수능에 필요한 actin-ring 구조에 대한 관중 추출물(WEDC)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BMM 세포 배양에 RANKL(100 ng/㎖)을 4일 동안 처리하여 다핵성의 파골세포로 분화시킨 후 증류수(vehicle) 또는 관중 추출물(WEDC, 25 ㎍/㎖, 50 ㎍/㎖ 및 100 ㎍/㎖)을 30분 동안 처리하였다. 그리고 세포 고정 후 Phalloidin-TRITC를 사용해서 F-actin을 염색 후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골세포는 actin-ring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관중 추출물(WEDC)에 농도 의존적으로 actin-ring 구조가 붕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3) 세포독성 시험
BMM 세포에서 관중 추출물(WEDC)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과중 추출물(WEDC, 5 ㎍/㎖, 10㎍/㎖, 25㎍/㎖, 50 ㎍/㎖ 및 100㎍/㎖)을 처리하여 관찰하였다. BMM 세포(1.2×104 cell/well)는 M-CSF(60 ng/㎖) 존재 하에 96-well plate에서 2일 동안 시료와 함께 배양하였다. Cell counting Kit-8(CCK-8)은 세포 독성 측정에 사용하였으며, 데어터는 3번 반복실험의 평균과 표준오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중 추출물(WEDC) 5 ㎍/㎖, 10㎍/㎖, 25 ㎍/㎖ 및 50 ㎍/㎖ 농도로 처리한 BMM에서는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100 ㎍/㎖ 농도로 처리한 경우에만 경미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4) Western blot 분석
BMM는 인산완충식염수(PBS)로 세척하고 50 mM tris-염산(pH 8.0), 5 nM EDTA, 150 mM 염화나트륨, 1% NP-40, 0.1% SDS, 1 nM PMSF, 분해효소 저해제 혼합 타블렛 및 인산화효소 저해제 혼합 타블렛으로 구성된 단백질 추출 완충용액(protein extraction buffer)에 녹였다. 세포 분해물은 4℃에서 10,000 ×g으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단백질 농도는 BCA 단백질 분석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단백질 시료(30 ㎍)은 시료 완충액(100 nM tris-염산, 2% SDS, 1% 2-메캅토에탄올, 2% 글리세롤 및 0.01% 브로모페놀 블루, pH 7.6)과 혼합하고 5분 동안 95℃에서 배양하고 10% 폴리아크릴아민 겔에 점적하였다. 전기영동법은 mini protean 3 cell(Bio-Rad, Hercules, CA, USA)를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겔 위에 분리된 단백질은 PVDF 막으로 옮겼다. 막은 blocking 완충액(10 mM tris-염산(pH 7.5), 150 mM 염화나트륨, 0.1% Tween 20 및 3% non-fat dry milk) 내에서 배양한 후, 1:1000으로 희석된 1차 항체와 함께 4℃에서 overnight 동안 배양하였다. 세척 완충액(10 mM tris-염산(pH 7.5), 150 mM 염화나트륨 및 0.1% Tween 20)으로 각 10분 동안 3차례 세척한 후, 1:2000으로 희석된 2차 항체(cell Signaling Technology Inc., Danvers, MA, USA)와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막을 세척 완충액(10 mM tris-염산(pH 7.5), 150 mM 염화나트륨 및 0.1% Tween 20)으로 10분 동안 3차례 세척한 후 SuperSignal West Femto Maximum Sensitivity Substrate를 사용하였다. 화학발광 신호는 LAS-3000 Luminescent image analyzer로 검출하였다.
① 관중 추출물(WEDC)의 c-Fos 및 NFATc1 발현에 미치는 영향
파골세포 분화의 중추적인 전사인자인 c-Fos 및 NFATc1 발현에 대한 관중 추출물(WEDC)의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BMM 세포 배양에 증류수(vehicle) 또는 관중 추출물(WEDC, 50 ㎍/㎖)을 3시간 동안 전처리한 후 RANKL(100 ng/㎖)를 처리하여 0, 1, 2, 3, 4일에 단백질을 수득하여, Wetern blot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BMM에서 RANKL 처리에 의한 c-Fos 및 NFATc1의 단백질 발현 증가가 관중 추출물(WEDC) 처리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② 관중 추출물(WEDC)의 MAPK 및 NF-κB 신호전달계에 미치는 영향
RANKL에 의해 활성화 되는 파골세포 분화와 관련된 MAPK 및 NF-κB 신호전달계에 대한 관중 추출물(WEDC)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BMM 세포 배양에 증류수(vehicle) 또는 관중 추출물(WEDC, 50 ㎍/㎖)을 3시간 동안 전처리한 후 RANKL(100 ng/㎖)를 0, 5, 15 및 30분 동안 처리하였으며, MAPKs(ERK, JNK, p38) 및 NF-κB 신호전달계 단백질(p65, IκB)의 인산화 정도를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RANKL 처리에 의하여 ERK, JNK, p38, p65 및 IκB의 인산화가 증가하였고, 관중 추출물(WEDC)의 처리에 의하여 RANKL 유도에 의한 p65의 인산화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5) real-time quantitative PCR(QPCR) 분석
조골세포 및 BMM 세포로 부터의 total RNA는 RNA-spin total RNA Extraction Kit(인트론)로 분리하였다. first-strand cDNA 1 ㎍ total RNA, 1 μM oligo-dT18 프라이머, AccuPower RT-PreMix(바이오니아)를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그 후, SYBR green-based QPCR 증폭은 first-strand cDNA 및 10 pmol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AccuPower GreenStar qPCR Master Mix(바이오니아) 및 Applied Biosystems 7500 Real-time PCR system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모든 반응은 3번 반복하였으며, 데이터는 2-△△ CT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HPRT는 내부표준으로 사용하였다.
① 조골전구세포에서의 RANKL 및 OPG 발현에 대한 관중 추출물(WEDC)의 효과
조골전구세포에서의 RANKL 및 OPG 발현에 대한 관중 추출물(WEDC)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조골전구세포에 관중 추출물(WEDC)를 50 ㎍/㎖ 농도로 3시간 동안 전처리 후 VitD3(1.25(OH)2D3(10 nM))를 처리하고 24시간 후 real-time PCR로 RANKL 및 OPG mRNA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중 추출물(WEDC)는 조골전구세포에서의 RANKL 및 OPG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파골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② 관중 추출물(WEDC)의 c-Fos 및 NFATc1 발현에 미치는 영향
파골세포 분화의 중추적인 전사인자인 c-Fos 및 NFATc1 발현에 대한 관중 추출물(WEDC)의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BMM 세포 배양에 증류수(vehicle) 또는 관중 추출물(WEDC, 50 ㎍/㎖)을 3시간 동안 전처리한 후 RANKL(100 ng/㎖)를 처리하여 0, 1, 2, 3, 4일에 RNA를 수득하여, real-time PCR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BMM에서 RANKL 처리에 의한 c-Fos 및 NFATc1의 mRNA 발현 증가가 관중 추출물(WEDC) 처리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in - vivo 분석
1) 실험동물 및 시료투여
ICR 6주된 수컷 마우스를 각 6마리씩 4군으로 나누고 5일 동안 1일 2회씩 관중 추출물을 경구투여 하였으며, 실험 일정을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증류수 0.2 ㎖ 또는 0.2 ㎖ 증류수에 녹인 관중 추출물(WEDC, 0.25 g/kg of body weight 또는 0.75 g/kg of body weight)을 1일 2회씩 5일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RANKL(1 mg/kg of body weight) 또는 PBS 50 ㎕를1일 1회, 2일 동안 복강 투여하였다. 투여 5일째, 마우스에서 대퇴골을 적출하고 10% neutral buffered formalin으로 고정하였다. 하기 표 1에 자세한 실험 군을 나타내었다.
실험군 시료투여
대조군 증류수 경구투여+PBS 복강투여
RANKL 증류수 경구투여+RANKL 복강투여
WEDC-low WEDC 0.25 g/kg 경구투여+RANKL 복강투여
WEDC-high WEDC 0.75 g/kg 경구투여+RANKL 복강투여
2) Micro-computed tomography(Micro-CT) 분석
RANKL에 의한 대퇴골에서의 골손실 및 관중 추출물(WEDC)에 의한 억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SMX-90CT system(90 kVp, 109 mA, 180-ms integration time; Shimadzu, Kyoto, Japan)으로 micro-CT로 해면골(trabecular bone)을 확인하였다. 또한, bone volume/tissue volume(BV/TV, %), trabecular thichness(Tb.Th, ㎛), trabecular number(Tb.N, 1/mm) 및 trabecular separation(Tb.Sp, ㎛)를 계산하고 TRI/3D-VIE(RATOC System Engineering, Kyoto, Japan)으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RANKL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RANKL 투여에 의해 BV/TV 68% 감소, Tb.Th 27% 감소, Tb.N 56% 감소 및 Tb.Sp 218% 증가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관중 추출물(WEDC) 0.25 g/kg 경구 투여에 의하여 RANKL 투여에 의한 BV/TV 감소, Tb.Th 감소, Tb.N 감소 및 Tb.Sp 증가를 모두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8)

  1.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중 추출물은 관중을 물, C1 -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상온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증기 추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삭제
  5.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중 추출물은 관중을 물, C1 -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상온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증기 추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삭제
KR1020120082802A 2012-07-27 2012-07-27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457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802A KR101457117B1 (ko) 2012-07-27 2012-07-27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802A KR101457117B1 (ko) 2012-07-27 2012-07-27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083A KR20140015083A (ko) 2014-02-06
KR101457117B1 true KR101457117B1 (ko) 2014-11-04

Family

ID=50264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802A KR101457117B1 (ko) 2012-07-27 2012-07-27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1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952A1 (ko) * 2016-10-04 2018-04-12 한국 한의학 연구원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099B1 (ko) * 2018-04-06 2020-05-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택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0063A (ja) * 1992-05-20 1993-12-03 Tsuneo Nanba 活性酸素抑制剤
KR100780666B1 (ko) 2006-04-25 2007-11-29 주식회사 래디안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관중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12927A (ko) * 2008-07-30 2010-02-09 이지숙 Hiv-1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에 대한 저해효과를 갖는관중 추출물로부터 분리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후천성면역결핍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92601B1 (ko) * 2010-04-22 2010-11-0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항염증 및 면역조절 활성을 위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0063A (ja) * 1992-05-20 1993-12-03 Tsuneo Nanba 活性酸素抑制剤
KR100780666B1 (ko) 2006-04-25 2007-11-29 주식회사 래디안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관중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12927A (ko) * 2008-07-30 2010-02-09 이지숙 Hiv-1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에 대한 저해효과를 갖는관중 추출물로부터 분리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후천성면역결핍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92601B1 (ko) * 2010-04-22 2010-11-0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항염증 및 면역조절 활성을 위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952A1 (ko) * 2016-10-04 2018-04-12 한국 한의학 연구원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083A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194B1 (ko) 구운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약학조성물.
KR101072663B1 (ko) 천초근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1618875B1 (en) Composition for inhibition or prevention of bone density lowering
KR102334305B1 (ko) 블루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6083151A (ja) 骨粗鬆症予防、改善用組成物
JP5562515B2 (ja) 骨疾患の予防及び/又は治療用組成物、その組成物を含有する機能性食品もしくは健康食品、並びにその組成物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製剤
KR101402926B1 (ko) 황련해독탕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2113099B1 (ko) 택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57117B1 (ko)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242635B1 (ko) 권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08144B1 (ko) 아젤라신 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37517B1 (ko)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02922B1 (ko) 산천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2372440B1 (ko) 비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대사성 질환으로 유발된 골소실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502465B1 (ko) 고량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관련 질환 또는 혈관 석회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42409B1 (ko) 초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120044450A (ko) 대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49930B1 (ko) 마가목 및 현지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파골세포 분화 억제용 또는 연골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sg-ⅱ)
KR102448274B1 (ko) 보골지 추출물의 조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04746A (ko)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32265B1 (ko) 돌단풍(Aceriphyllum rossii) 유래 3-하이드록시올레안-12-엔-27-오익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골 용해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31424B1 (ko) 아로니아 추출물 및 머위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51643B1 (ko) 표고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51293B1 (ko) 은방울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58412A (ko) 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 위축증 또는 근 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