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032B1 - 천연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있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있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032B1
KR100879032B1 KR1020070044786A KR20070044786A KR100879032B1 KR 100879032 B1 KR100879032 B1 KR 100879032B1 KR 1020070044786 A KR1020070044786 A KR 1020070044786A KR 20070044786 A KR20070044786 A KR 20070044786A KR 100879032 B1 KR100879032 B1 KR 100879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corice
inflammatory
golden
red ginseng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9365A (ko
Inventor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주)한스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스킨 filed Critical (주)한스킨
Priority to KR1020070044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032B1/ko
Publication of KR20080099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8Coptis (gold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4Anemarrh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독활(Aralia continentalis), 황백(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 황련(Coptis japonica Makino), 고삼(Sophora angustifolia Sieb. et Zucc.),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 괴화(Sophora japonica L.), 자초(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 et Zucc)로부터 추출한 항균, 항산화 및 항염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감초, 지모, 독활, 황백, 황련, 고삼, 황금, 괴하, 자초 혼합 추출물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바실러스균(Bacillus subtilis), 등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을 가지며 또한 항염 효과를 갖는다.
감초, 지모, 독활, 황백, 황련, 고삼, 황금, 괴하, 자초, 항균제, 화장료, 항염

Description

천연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있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Natural antibacterial extracts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s}
본 발명은 천연 항균 항산화 및 항염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독활(Aralia continentalis), 황백(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 황련(Coptis japonica Makino), 고삼(Sophora angustifolia Sieb. et Zucc.),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 괴화(Sophora japonica L.), 자초(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 et Zucc)를 혼합 추출하여 인체에 염증을 일으키거나 그에 의한 질병의 원인이 되는 미생물을 억제하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의 기능은 피부를 보호하고 미화 청결을 위해 사용되는 제품이다. 그러나 화장품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에는 피부의 보호를 저해할 수 있는 성분들이 있 다. 이 성분들은 화장품을 만들기 위한 필요 성분들이다. 예를 들면 가용화제, 유화제, 방부제, 향료, 자외선 차단제, 합성 점증제 및 기타 효능,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쓰여지는 여러가지 첨가물이다. 이러한 성분들은 일반적으로 피부에 염증이나, 뾰루지, 부종 등을 유발하는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체내로부터 배출된 피지성분, 땀성분 및 화장품 성분 중의 지방산, 고급알콜, 단백질 등이 피부상에 존재하는 피부상재균들에 의해 독성이 강한 물질로 분해되어 이들에 의해 피부염증이 유발될 수도 있으며, 태양의 자외선에 의해서도 피부에 염증이 유발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염증은 세포나 조직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손상을 받으면 그 반응을 최소화하고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방어 목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며 염증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외상, 화상, 동상, 방사능 등에 의한 물리적 요인과 산(acid)과 같은 화학물질에 의한 화학적 요인 및 항체 반응에 의한 면역학적 요인들이 있으며 그 외에 혈관이나 호르몬 불균형에 의해서도 일어난다. 염증을 소실 시키기 위해 염증원의 제거, 생체반응 및 증상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항염제라 한다.
따라서 각각의 성분들의 효과를 최대한 증진시키고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피부염증을 막아주는 것은 화장품에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로 다양한 항균, 항염의 효과가 우수하며, 부작용이 없고 비용이 저렴한 물질의 개발 및 그 물질을 함유하는 사용이 용이한 화장료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는 콩과(Leguminosae) 식물로서 다년초이 고 긴 뿌리가 땅속 깊이 들어가고 줄기는 약 1m정도 자란다. 감초의 성분으로는 글리시리진(Glycyrrhizin), 베툴린산(Betulic acid), 리퀴리티제닌(Liquiritigenin), 이소리퀴리티제닌(Isoliquiritigenin), 리퀴리틴(Liquiritin)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항균, 항염, 습진 등의 피부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고, 한방 및 민간에서 자주 사용하는 약재이다.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는 백합과(Liliaceae)의 식물로서 다년초이고 가을에 캐서 털을 다듬고 물에 씻어서 햇볕에 말리고 겉껍질을 벗겨서 말린 것을 약재로 사용한다. 지모의 성분으로는 스테로이드사포닌(Steroidsaponin) 계인 티모사포닌(Timosaponin) A-I, A-II, A-III, A-IV, B-I, B-II, 사르사사포게닌(Sarsasapogeninn), 마코게닌(Markoginin), 네오지토게닌(Neogitogenin) 및 만지페린(Mangiferin) 등이 있으며, 한방 및 민간에서 진정 및 항염, 피부병에 사용하는 약재이다.
독활(Aralia continentalis)은 오갈피나무과(Araliaeae)의 식물로 땅두릅나무, 땃두릅나무 등의 이명을 가지고 있다. 독활은 땅두릅나무의 뿌리 및 뿌리 줄기를 가을에 캐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려서 약재로 사용한다. 독활의 성분으로는 안젤리콘(Angelicone), 안젤리칼(Angelical) 등이 있으며, 민간과 한방에서는 피부가려움증, 신경통, 진통, 관절염에 주로 사용한 약재이다.
황백(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은 운향과(Rutaceae)의 식물로 황경피나무, 황벽나무라고 불리우며, 여름철에 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려 약재로 사용한다. 황백의 성분으로는 베르베린(Berberine), 팔미틴(Palmitine), 마그로프롤 린(Magnoflorine), 구아니딘(Guanidine), 펠로덴드린(Phellodendrine), 야테오리진(Jateorrhizine), 오바쿠논(Obakunone), 칸디신(Candicine) 등이 있으며, 민간 과 한방에서는 살균, 항염, 수렴, 염증성 질병에 이용한 약재이다.
황련(Coptis japonica Makino)은 매자나무과(Berberidaceae) 식물로 깽깽이풀이라고 불리워지며, 가을에 캐서 햇볕에 말려서 약재로 사용한다. 성분으로는 베르베린(Berberine), 콥티신(Coptisinne), 에피베르베린(Epiberberine)이며, 한방과 민간에서는 항균, 항염, 위장병, 충혈, 눈병 등의 작용에 사용하는 약재이고 한방에서는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의 처방으로 해독 및 소염에 사용하고 있다.
고삼(Sophora angustifolia Sieb. et Zucc.)은 콩과(Leguminosa)의 식물로 도둑놈의 지팡이라는 식물로 불리우는 것으로서 뿌리를 가을에 캐서 물에 씻어 말려 사용한다. 인삼과 같은 효과가 있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며, 성분으로는 마트린(Matrine), 소포라놀(Sophoranol), 아나기린(Anagyrine), 쿠라니디놀(Kuranidiol) 등이다. 한방과 민간에서는 옴, 습진, 마른버짐, 지혈, 살출, 살균 등에 사용하는 약재이다.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은 순형과(Labiatae)의 식물로 뿌리를 건조한 것이다. 신농본초경에 의하면 중약에 해당하는 것으로 열병, 황달, 복통, 하리에 유용하게 사용한다고 기록되었다. 성분으로는 바이칼린(Baicalin), 우고노사이드(Woogonoside), 네오바이칼린(Neobaicalin) 등이 있으며, 한방과 민간에서는 항알러지, 해열, 이담, 간염, 부정맥 등에 사용하는 약재이다.
괴화(Sophora japonica L.)는 콩과(Leguminosa)의 식물로 회화나무의 꽃봉우 리를 건조한 것이다. 주요 성분으로는 루틴(Rutin), 캠페롤(Kaempferol), 제니스틴 글리코사이드(Genistin-glycoside) 등이 있으며, 한방과 민간에서는 지혈, 피부의 염증, 수렴, 습진, 피부가려움에 사용하는 약재이다.
자초(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 et Zucc)는 지치과(Borraginaceae)의 식물로 지치, 지추라고도 불리우는 다년초이다. 주요 성분으로는 시코닌(Shikonin), 아세틸시코닌(Acetylshikoninn), 알란토인(Allantoin), 언하이드로알카닌(Anhydroalkanin) 등이 있으며, 한방과 민간에서는 고약을 만들어 화상과 피부 염증, 피부 진균제거, 해열, 해독, 만성 습진, 질염 등의 피부에 많이 사용하는 약재이다.
삭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계로 프루폐나믹 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acine)등이 있고, 스테로이드 계통으로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등이 있으며(김창종, 병태생리학, 한림상사, p61-69, 1988), 알란토인, 아즈렌, ε-아미노키프론산, 하이드로코티존(v), 감초산 및 그 유도체(β-글리칠레친산, 글리칠레친산유도체)등이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광정무부, 신화장품학, 남산당, p162, 1993), 인도메타신은 화장료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물질이고 하이드로코티존은 사용량이 제한되어 있으며, 감초산 및 그 유도체는 안정화 시키기 어렵거나 용해도가 좋지않아 실제 적용시 농도의 제한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가 어려운 점이 있는 등 지금까지 알려진 항염제는 피부안전성 면이나 화장료 배합시의 안정성면에서 대부분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 즉, 대장균 및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바실러스균, 등의 병원미생물에 대한 우수한 항균력, 항염 효과를 갖는 효능이 우수한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유해 화학물질이 가미되지않은 안전한 천연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로서 항균, 항산화, 항염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균, 항산화, 항염 등의 효능이 우수하고 안정성 및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추출물을 천연물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 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효능을 갖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항균, 항산화, 및 항염 등의 효과에 근본적인 물질을 찾고자 자연의 여러가지 천연물질들을 검색한 결과,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독활(Aralia continentalis), 황백(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 황련(Coptis japonica Makino), 고삼(Sophora angustifolia Sieb. et Zucc.),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 괴화(Sophora japonica L.), 자초(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 et Zucc) 혼합 추출물이 매우 우수한 항염, 항산화, 항균 등의 효능을 나타냄을 발견하였으며, 감초, 지모, 독활, 황백, 황련, 고삼, 황금, 괴화, 자초 혼합 추출물 적용 제품들의 안정성, 안전성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였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에서 일정 농도이상 배합하여 사람 피부에 직접 도포한 실험결과에서도 뚜렷한 피부 상태가 개선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됨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항염, 항산화, 항균 효과를 줌으로써 피부보호 및 피부 트러블의 개선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는 감초, 지모, 독활, 황백, 황련, 고삼, 황금, 괴화, 자초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감초, 지모, 독활, 황백, 황련, 고삼, 황금, 괴화, 자초 혼합 추출물 및 감초, 지모, 독활, 황백, 황련, 고삼, 황금, 괴화, 자초 혼합 추출 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천연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있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 억제제는 감초, 지모, 독활, 황백, 황련, 고삼, 황금, 괴화, 자초 혼합 추출물 및 감초, 지모, 독활, 황백, 황련, 고삼, 황금, 괴화, 자초 각각을 세절하여 동일 비율로 혼합하여 그 건조 중량의 1~15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3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에틸아세테이트, 물,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한다. 이어서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 콘덴서를 구비한 추출기로 30∼100℃에서 3∼48시간(바람직하기는 50~100도에서 3~24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거나 4∼30℃에서 3~20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다음, 추출 용매를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또 다른 추출 방법으로는, 약재상으로부터 구입한 감초, 지모, 독활, 황백, 황련, 고삼, 황금, 괴화, 자초 혼합 추출물 및 감초, 지모, 독활, 황백, 황련, 고삼, 황금, 괴화, 자초 각각을 세절하여 동일 비율로 혼합하여 그 건조 중량의 1~15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3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에틸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추출용매를 부가하여 4∼30℃에서 3∼20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추출용매를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본 발명에서 감초, 지모, 독활, 황백, 황련, 고삼, 황금, 괴화, 자초 혼합 추출물이 추출공정의 수행 전 또는 후에 디에틸에테르 가용성분을 제거한 다음, 농 축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감초, 지모, 독활, 황백, 황련, 고삼, 황금, 괴화, 자초 혼합 추출물을 액상의 중량으로서 0.1%~10%의 양을 화장료에 첨가할 수 있고, 또한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회수하면서 그 건조중량으로서 0.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1∼3중량%의 양으로 화장료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및 항염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항균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에 있어서, 상기의 감초, 지모, 독활, 황백, 황련, 고삼, 황금, 괴화, 자초 혼합 추출물 및 그 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처방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감초, 지모, 독활, 황백, 황련, 고삼, 황금, 괴화, 자초 혼합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
먼저 감초, 지모, 독활, 황백, 황련, 고삼, 황금, 괴화, 자초 각각을 세절하여 동일 비율로 혼합한 시료 즉, 각 시료 100g씩 총 900g을 메틸알코올 10㎏에 넣 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00℃로 8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47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 중량 303.9 g을 얻었다.
실시예 2 ~ 5.
하기 표1의 용매를 사용하고, 그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기재하였다.
(표1)
용매 수득량(g)
실시예 2 70% 함수 에탄올 287.7
실시예 3 50% 함수 에탄올 280.2
실시예 4 30% 함수 에탄올 258.1
실시예 5 증류수 236.0
실시예 6.
감초, 지모, 독활, 황백, 황련, 고삼, 황금, 괴화, 자초 각각을 세절하여 동일 비율로 혼합한 시료 즉, 각 시료 100g씩 총 900g을 70% 에틸알코올 10㎏에 넣고 실온에서 10일간 침적시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47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 중량 265g을 얻었다.
실시예 7 ~ 9.
하기 표2의 용매를 사용하고, 그 외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2에 기재하였다.
(표 2) 용 매 수득량(g)
실시예 7 50% 함수 에탄올 260.4
실시예 8 30% 함수 에탄올 254.8
실시예 9 메탄올 299.1
실시예 10.
감초, 지모, 독활, 황백, 황련, 고삼, 황금, 괴화, 자초 각각을 세절하여 동일 비율로 혼합한 시료 즉, 각 시료 100g씩 총 900g을 메틸알코올 10㎏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00℃로 8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47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완전히 농축한 후 이 농축액에 물 1㎏를 가하고 다시 디에틸에테르 1㎏를 가하여 잘 섞어준 후 두 층으로 완전히 분리시킨다. 하층인 수층에 다시 1㎏의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잘 섞어준 후 두 층으로 완전히 분리시켜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 중량 120.2g를 얻었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추출물 건조분말에 대하여 세포배양을 이용한 세포 증식 효과를 측정하였다.
1) 실험방법
세포 독성 및 증식 실험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배양하고 있는 세포(파이브로블라스트,3T3)를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5,000세포/웰로 분주하여 30분간 항온조에서 배양하고, 시료를 농도 별 각각 0.05, 0.07, 0.1, 0.3, 0.5, 1.0(%,W/V))로 투여하여 7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티아졸린 블루(Thiazoline blue)를 투여하고 4시간동안 추가 배양을 하였다. 배양액을 모두 버리고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반응 정지액을 가하고 5분간 교반한 후,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주입량만큼 10 %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배지를 투여하여 세포 성장의 최적 조건으로 동시배양을 하였으며, 대조군의 세포증식을 100%로 하고 시료 투입 실험군의 세포 증식율을 계산하였다.
2) 실험결과
세포증식 효과는 계산식1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1)
Figure 112007034293721-pat00001
(표 3)
혼합추출물 농도(%) 세포 증식율(%)
대조군 100
0.01 105.71
0.05 111.59
0.1 119.69
0.3 121.66
0.5 124.32
1.0 120.46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 성장 최적 조건에서의 세포 증식을 100%로 하였을 때, 감초, 지모, 독활, 황백, 황련, 고삼, 황금, 괴화, 자초 혼합 추출물 전체 실험 농도에서 일정한 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우수한 세포 증식은 아니지만 세포의 독성은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상기 세포 증식효과 실험으로부터 본 발명의 감초, 지모, 독활, 황백, 황련, 고삼, 황금, 괴화, 자초 혼합 추출물의 일정한 세포증식 효과와 더불어 세포독성이 없는 안전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2에 대하여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소거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비교 물질로 Quercetin을 사용하였다.
1)실험방법
DPPH(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법 (참조:Blois.M.S.Nature 181, 1190, 1958)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DPPH와 Quercetin은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0.2mM DPPH 메탄올 용액 1ml에 여러 농도(5, 10, 20, 30ppm)의 실시예 2, Quercetin 의 에탄올 또는 메탄올 용액 2ml를 첨가하고 잘 교반한 후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을 시킨다. 그리고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공시험으로 각 시료 대신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하기 계산식2를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효과를 구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4에 기재하였다.
(계산식 2)
Figure 112007034293721-pat00002
2) 실험결과
(표 4)
농도(ppm)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
실시예 2 Quercetin
0 0 0
5 30.11 29.8
10 51.89 52.7
15 75.83 80.52
20 92.23 94.28
실시예 2의 SC50 : 10.00ppm
Quercetin의 SC50 : 9.69ppm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자유라디칼 50% 소거 농도(SC50)는 10.00ppm이고, Quercetin의 9.69ppm 이었다. 자유라디칼 50% 소거 농도(SC50)가 거의 동일하며, Quercetin이 단일 물질이고 이를 추출하여 그 순수 물질의 수득과 사용상의 안정성 및 비용을 고려한다면 실시예 2의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가 더 우수하며, 사용 및 생산 비용적인 면에서도 더 효과적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2에 대하여 리폭시게나아제(Lpoxygenase)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비교 물질로 Quercetin을 사용하였다.
1)실험방법
TBAS법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에 사용하는 Linoleic acid와 Lipoxygenase, Thiobabitulic acid, Quercetin는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1mM Linoleic acid 1ml에 여러 농도(1, 5, 10, 20, 30ppm)의 실시예 2, Quercetin을 0.05ml를 첨가하고 Lipoxygenase 0.95ml를 투여 후 잘 교반하고 25℃ 에서 10분간 반응을 시킨다. 그리고 Trichloroacetic acid를 0.5ml 투여하고 Thiobarbiturlic acid 1ml 첨가한 후 10분간 heating을 한 후 얼음물에서 2~3분간 냉각시켜 반응을 종료시킨다. 반응이 종결된 반응액에 Butanol 2ml를 넣고 4000g로 5분간 원심분리 한 후 53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공시험으로 각 시료 대신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하기 계산식3를 이용하여 Lipoxygenase 활성억제 효과를 구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5에 기재하였다.
(계산식 3)
Figure 112007034293721-pat00003
2) 실험결과
(표 5)
농도(ppm) Inhibition (%)
BDR1 Quercetin
0 0 0
1 6.22 9.21
5 20.58 28.64
10 50.54 61.49
20 90.83 94.64
시료의 IC50 : 10.78ppm
Quercetin IC50 : 9.57ppm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리폭시게나아제 50% 활성억제 농도(IC50)는 10.78ppm 이고, Quercetin의 9.57ppm 이었다. 자유라디칼 50% 소거 농도(SC50)가 거의 동일하며, Quercetin이 단일 물질이고 이를 추출하여 그 순수 물 질의 수득과 사용상의 안정성 및 비용을 고려한다면 실시예 2의 리폭시게나아제 활성억제 효과가 더 우수하며, 사용 및 생산 비용적인 면에서도 더 효과적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추출물 건조분말에 대하여 바실러스 균을 이용한 항균력 효과를 측정하였다.
1) 실험방법
바실러스 균을 이용한 항균력 실험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Test tube에 MIC Test 배지를 8㎖씩 시료의 수만큼 분취한다. 단 첫번째 Test tube에는 배지를 9㎖을 넣는다. 각 시료의 첫번째 Test tube에 각각의 시료를 100㎍/㎖씩 투여한다. 각 시료의 첫번째 Test tube에서 1㎖ 취해 다음 Test tube에 투여하는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10배씩 희석하고 각각의 Test tube에 배양하고 있는 바실러스균 (Shigella sonnei)을 1㎖씩 투여하여 24시간 배양한 후에 각각의 Test tube에 있는 배양액을 600㎚에서 흡광을 측정한다. 초기의 흡광도는 배양하고 있는 바실러스균을 0.1%가 되게 배지에 넣은 후 흡광도를 측정하여 초기값으로 한다. 각각의 시료는 실시예 2, Grape Fruit Extract, Ampicillin, Tetracycline, EtOH를 사용하였으며, Grape Fruit Extract 는 유통되고 있는 항균 추출물로 비교하기 위함이고, Ampicillin과 Tetracycline은 항균제로 Positive control이며, EtOH는 Negative control로 사용하였다.
2) 실험결과
항균력 효과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시 료 Concentration
100.00 10.00 1.00 0.10 0.010 0.0010
실험군 Sample 0.0440 0.0906 0.1205 0.1356 0.1395 0.1410
비교군 추출물 비교 Grape Fruit Ex. 0.0778 0.0944 0.1217 0.1486 0.1481 0.1529
Positive Control Ampicillin 0.0375 0.0386 0.0417 0.0414 0.0410 0.0429
Tetracycline 0.0579 0.0661 0.0633 0.0636 0.0697 0.1031
Negative Control EtOH 0.1444 0.1455 0.1444 0.1433 0.1447 0.1444
상기의 결과 표6에서와 같이 실시예 2, Grape Friut Extract 보다 우수한 항균효과가 있었으며, Positive control인 Ampicillin 보다는 조금 낮은 Tetracycline 보다는 조금 우수한 것으로 대등한 항균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mpicillin 과 Tetracycline은 시중에 유통되는 항균제로 부작용 및 사용상의 한계점과 생산 비용적인 면을 고려한다면 실시예 2는 사용상에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는 항균효과가 대단히 우수한 것으로 생산 비용적인 면에서도 더 효과적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실시예 2에 대하여 병원성 미생물을 이용한 항균력 효과를 측정하였다.
1) 실험방법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추출물 건조분말을 0.1중량%로 하여 항균력 평가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병원미생물을 액체 배양하여 soft agar배지(tryptone 1g, yeast extract 0.5g, NaCl 1g, agar 0.5g, D.W 100mL) 3mL에 혼합한후 LB 평판배지 (tryptone 10g, yeast extract 5g, NaCl 10g, agar 15g, D.W 1L)에 붓고 상기의 시료를 점적한 paper disk(직경 6mm)을 배지 중앙에 올려놓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clear zone의 길이를 재어 생육 억제환을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은 희석용매인 D.W로 하였다.
2) 실험결과
표7은 이질균 외의 병원미생물에 대한 상기 시료의 항균력에 대한 결과이다.
(표 7)
균주명 성장억제환(mm)
대장균 20
황색포도상구균 18
녹농균 17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감초, 지모, 독활, 황백, 황련, 고삼, 황금, 괴화, 자초 혼합 추출물은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등에 대하여 항균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실시예 2에 대하여 항염증 실험인 족부종 억제 효과를 실시하였다.
1) 실험방법
체중이 23 ±3g 인 ICR계 웅성 생쥐를 제일상사로부터 공급받아 항온, 항습이 유지되는 본 연구소 동물사육실에서 일주일 이상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사육환경은 동물실 내의 명암을 12시간으로 자동조절 시켰으며 온도는 22 ±3℃, 습도는 50±14%로 유지하였고 삼양사㈜의 사료를 급식하였으며 물은 자유롭게 섭취토록 하였다. 모든 실험에 쓰인 동물은 실험개시 24시간 전에 절식하였으며 물은 자유롭게 섭취토록 하였다.
2% 카라게닌 생리식염수를 주사하기 2시간 및 1시간 전에 100mg의 시료를 우측발에 적용한 후 집게손가락으로 50번 정도 문질러 발랐다. 족부종률을 계산하 기 위해 시료를 적용하기 전에 발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Negative control은 생리식염수, Positive control은 인도메타신을 사용하였으며, 시료는 실시예 2를 사용하였다.
2% 카라게닌 생리식염수를 25㎕를 발바닥에 주사한 후 6시간동안 1시간 단위로 발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족부종률을 계산하기 위하여 디지털 두께 측정기(Electronic Digital thickness gauge CHICAGO BRAND, USA)를 이용하여 발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족부종률(% swelling)을 아래의 계산식 4에 의해 계산하였고, 실시예 2 및 양성 대조군을 처리한 마우스의 평균 족부종률과 음성 대조군의 족부종률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부종억제율(% inhibition)을 아래의 계산식 5에 의해 구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표 8과 9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4)
Figure 112007034293721-pat00004
Ib : 주사전 발의 두께, Ia : 주사후 발의 두께
(계산식 5)
Figure 112007034293721-pat00005
P. control : positive control
N. control : Negative control
2) 실험결과
(표 8)족부종율의 결과
%Swelling Negative control 실시예 2 Positive control
47 18.22 15.5
(표 9) 족부종억제율의 결과
부종억제율 % 실시예 2 Positive control
61.23 67.02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와 Positive control인 인도메타신의 부종억제 효과, 즉 항염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실시예 2와 Positive control인 인도메타신과의 차이는 크지않았으며, 단일 물질이며, 고가이고 약성분인 인도메타신과의 사용상 안정성 및 비용, 안전성적인 면을 고려한다면 실시예 2가 더 효과적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
처방예 1.
실시예 2의 추출물 분말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스킨로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실시예2 1.0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 글리콜 2.0
4 프로필렌 글리콜 2.0
5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1.0
6 에탄올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8 방부제 미량
9 색소 미량
10 향료 미량
11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11번에 2,3,4,8번을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을 60℃ 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10번을 투입하여 용해한 후 11번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1,6,7,9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처방예 2.
실시예 2의 추출물 분말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로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실시예2 1.0
2 밀납 1.0
3 폴리솔베이트 60 1.5
4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5 유동 파라핀 10.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7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8 스테아린산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11 카르복시폴리머 0.1
12 트리에탄올아민 0.2
13 방부제 미량
14 색소 미량
15 향료 미량
16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10, 11, 13, 16을 혼합교반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2를 80 ~ 85℃사이로 가열 용해한 후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 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35℃에 1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처방예 3
실시예 2의 추출물 분말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번호 원 료 처방예3 비교예1 비교예 2
1 실시예2 1.0 - -
2 스테아린산 2.0 2.0 2.0
3 세틸알콜 2.0 2.0 2.0
4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2.0 2.0
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0.5 0.5
6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0.5
7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1.0 1.0
8 왁스 1.0 1.0 1.0
9 유동파라핀 4.0 4.0 4.0
10 스쿠알란 4.0 4.0 4.0
11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4.0 4.0
1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0.3 0.3
13 부틸렌글리콜 5.0 5.0 5.0
14 글리세린 3.0 3.0 3.0
15 트리에탄올아민 0.5 0.5 0.5
16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17 - 1.0 -
18 인도메타신 - - 1.0
<제조방법>
처방예 3: 12, 13, 14, 16을 혼합교반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0, 11을 80 ~ 85℃사이로 가열하여 용해한 후 15를 투입 교반하여 제조부에 투입하고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35℃까지 냉각하고 1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예1: 12, 13, 14, 16을 혼합교반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0, 11을 80 ~ 85℃사이로 가열하여 용해한 후 15를 투입교반하여 제조부에 투입하고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35℃까지 냉각하고 17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예2: 12, 13, 14, 16을 혼합교반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0, 11을 80 ~ 85℃사이로 가열하여 용해한 후 15를 투입교반하여 제조부에 투입하고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35℃까지 냉각하고 18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처방예 4.
실시예 2의 추출물 분말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실시예2 1.0
2 시토 스테롤 1.7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
4 세라마이드 0.7
5 스테아레스-4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마카다미아 오일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산탄검 0.2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1,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를 통과하고 이어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에 재차 통과시킨다 그리고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실험예 6.
처방예 3에 대하여 항염증 실험인 족부종 억제 효과를 실시하였다.
1) 실험방법
체중이 23 ±3g 인 ICR계 웅성 생쥐를 제일상사로부터 공급받아 항온, 항습이 유지되는 본 연구소 동물사육실에서 일주일 이상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사육환경은 동물실 내의 명암을 12시간으로 자동조절 시켰으며 온도는 22 ±3℃, 습도는 50±14%로 유지하였고 삼양사㈜의 사료를 급식하였으며 물은 자유롭게 섭취토록 하였다. 모든 실험에 쓰인 동물은 실험개시 24시간 전에 절식하였으며 물은 자유롭게 섭취토록 하였다.
2% 카라게닌 생리식염수를 주사하기 2시간 및 1시간 전에 100mg의 시료를 우측발에 적용한 후 집게손가락으로 50번 정도 문질러 발랐다. 족부종률을 계산하기 위해 시료를 적용하기 전에 발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Negative control은 비교예 1, Positive control은 비교예 2를 사용하였으며, 시료는 처방예 3을 사용하였다.
2% 카라게닌 생리식염수를 25㎕를 발바닥에 주사한 후 6시간동안 1시간 단위로 발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족부종률을 계산하기 위하여 디지털 두께 측정 기(Electronic Digital thickness gauge CHICAGO BRAND, USA)를 이용하여 발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족부종률(% swelling)을 아래의 계산식 6에 의해 계산하였고, 처방예 3및 양성 대조군을 처리한 마우스의 평균 족부종률과 대조군의 족부종률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부종억제율(% inhibition)을 아래의 계산식 7에 의해 구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표 10과 11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6)
Figure 112007034293721-pat00006
Ib : 주사전 발의 두께, Ia : 주사후 발의 두께
(계산식 7)
Figure 112007034293721-pat00007
P. control : positive control(비교예 2)
N. control : Negative control(비교예 1)
2) 실험결과
(표 10)족부종율의 결과
%Swelling Negative control 비교예 1 처방예 3 Positive control 비교예 2
40.24 28.92 20.15
(표 11) 족부종억제율의 결과
부종억제율 % 처방예 3 Positive control 비교예 2
28.13 49.9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처방예 3과 Positive control인 비교예 2의 부종억제 효과, 즉 항염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Positive control인 비교예 2의 인도메타신이 함유된 제품과의 차이는 크지않았으며, 사용상 안정성 및 비용, 안전성적인 면을 고려한다면 처방예 3이 더 효과적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초, 지모, 독활, 황백, 황련, 고삼, 황금, 괴화, 자초 혼합 추출물 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는 항산화, 항염, 항균 효과, 세포 증식 효과를 가지며, 종래의 화장료에 비해 항산화, 항염, 세포 증식 효과가 우수하며 각종 화장료에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삭제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감초, 지모, 독활, 황백, 황련, 고삼, 황금, 괴화, 자초 혼합 약재를 물, 탄소 수 1~3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로 50~100℃에서 3~24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제조하고;
    상기 감초, 지모, 독활, 황백, 황련, 고삼, 황금, 괴화, 자초 혼합 약재 추출물이 추출공정의 수행 전 또는 후에 디에틸에테르 가용성분을 제거한 다음, 농축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항산화, 항염 억제제.
  4. 삭제
  5. 감초, 지모, 독활, 황백, 황련, 고삼, 황금, 괴화, 자초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감초, 지모, 독활, 황백, 황련, 고삼, 황금, 괴화, 자초 혼합 추출물이 화장료 조성물 총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1∼5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항산화, 항염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항균, 항산화, 항염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중의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항산화, 항염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044786A 2007-05-09 2007-05-09 천연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있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79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786A KR100879032B1 (ko) 2007-05-09 2007-05-09 천연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있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786A KR100879032B1 (ko) 2007-05-09 2007-05-09 천연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있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365A KR20080099365A (ko) 2008-11-13
KR100879032B1 true KR100879032B1 (ko) 2009-01-15

Family

ID=40286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786A KR100879032B1 (ko) 2007-05-09 2007-05-09 천연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있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0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4078B2 (en) 2018-09-28 2021-10-26 Amorepacific Corporation Liquid food composition comprising Sophora japonica extract
WO2022010024A1 (ko) * 2020-07-07 2022-01-13 바이오코스생명과학 주식회사 천연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05767A (ko) * 2020-07-07 2022-01-14 바이오코스생명과학 주식회사 천연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WO2023043173A1 (ko) 2021-09-14 2023-03-23 주식회사 아이엔지알 포도 캘러스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산화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386B1 (ko) * 2012-03-23 2018-06-15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N104739960B (zh) * 2013-12-26 2018-05-08 洛阳惠中兽药有限公司 肠胃抗菌药物组合物、含该组合物的肠胃抗菌药物及制备
KR101723089B1 (ko) * 2014-11-12 2017-04-05 대한민국 시코닌을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억제용 항균 조성물
CN105106384A (zh) * 2015-08-25 2015-12-02 俞凤鸣 一种中药止痒洗剂
CN105106349A (zh) * 2015-08-25 2015-12-02 俞凤鸣 一种外用中药洗剂
CN105106348A (zh) * 2015-08-25 2015-12-02 俞凤鸣 一种中药洗剂
KR102473385B1 (ko) * 2016-06-03 2022-12-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34792B1 (ko) * 2016-08-26 2019-10-22 (주) 바이오에스텍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
CN106176501A (zh) * 2016-09-06 2016-12-07 佛山市芊茹化妆品有限公司 一种温和的婴儿按摩油
KR102223368B1 (ko) * 2019-02-22 2021-03-05 주식회사 엘케이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2076353B1 (ko) * 2019-09-24 2020-02-12 강윤구 천연 추출물, 구연산, 아연 및 l-아르기닌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항균 조성물
KR20240064385A (ko) 2022-11-04 2024-05-13 한국한의약진흥원 항산화 및 항염활성이 증가된 시호청간탕 추출 분획물, 생물전환된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64161A (ko) 2022-11-04 2024-05-13 한국한의약진흥원 항산화 및 항염활성이 증가된 오림산 추출물의 생물전환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675A (ko) * 2000-08-14 2002-02-21 김윤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KR20050024831A (ko) * 2003-09-04 2005-03-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675A (ko) * 2000-08-14 2002-02-21 김윤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KR20050024831A (ko) * 2003-09-04 2005-03-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4078B2 (en) 2018-09-28 2021-10-26 Amorepacific Corporation Liquid food composition comprising Sophora japonica extract
WO2022010024A1 (ko) * 2020-07-07 2022-01-13 바이오코스생명과학 주식회사 천연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05767A (ko) * 2020-07-07 2022-01-14 바이오코스생명과학 주식회사 천연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490086B1 (ko) 2020-07-07 2023-01-19 코스사이언스주식회사 천연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WO2023043173A1 (ko) 2021-09-14 2023-03-23 주식회사 아이엔지알 포도 캘러스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산화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365A (ko) 200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032B1 (ko) 천연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있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83343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KR101196745B1 (ko) 여드름균에 유효한 한방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3388A (ko) 안티 폴루션 효과가 있는 울금, 사과, 포도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6437B1 (ko) 피부 염증 개선 또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1738A (ko)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80666B1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관중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93019B1 (ko)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12249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20090131399A (ko)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 식물의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92087B1 (ko) 신갈나무잎, 차풀 및 방아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1625A (ko) 혼합 식물 추출물
KR101799155B1 (ko) 한방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외용제 조성물
KR20110130184A (ko) 항 여드름 효능을 갖는 꾸지뽕나무 추출물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79480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65356B1 (ko) 동백박(동백종실 껍질 분말) 및 그 추출물의 이용
KR20160003920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7613B1 (ko)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KR20030017295A (ko) 자몽 종자, 고삼, 님나무 열매를 혼합 추출하여 항균효과를 증진시킨 화장료 조성물
KR101211754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0067699A1 (ko) 당귀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로 개선 또는 운동 수행능력 증진용 조성물
KR100763035B1 (ko) 선학초로부터 여드름 개선 유효성분물질의 추출분리방법과이로부터 얻어지는 유효성분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mel et al. Evaluation of the anti-inflammatory, antispasmodic and healing effects of walnut leaves Juglans regia L. aqueous extract.
Ullah et al. Medicinal benefits of lemon balm (Melissa officinalis) for human health
KR102215827B1 (ko) 여드름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