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792B1 -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792B1
KR102034792B1 KR1020160109564A KR20160109564A KR102034792B1 KR 102034792 B1 KR102034792 B1 KR 102034792B1 KR 1020160109564 A KR1020160109564 A KR 1020160109564A KR 20160109564 A KR20160109564 A KR 20160109564A KR 102034792 B1 KR102034792 B1 KR 102034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arts
infants
elder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3747A (ko
Inventor
손일환
김선호
김경덕
신봉석
김승
김정현
이다혜
고도윤
신지은
Original Assignee
(주) 바이오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바이오에스텍 filed Critical (주) 바이오에스텍
Priority to KR1020160109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792B1/ko
Publication of KR20180023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7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연 항균성 식물 추출물이 혼합된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조성물은 항균력이 우수한 천연 식물체 추출물을 포함하여 제조됨으로써 물티슈의 제조 과정에서 별도의 멸균 공정이 필요 없으며, 물티슈 제조 과정뿐만 아니라 물티슈를 소비자가 사용하는 동안에도 유해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력을 보유하여 유아 및 노약자에게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으므로 위생 용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NATURAL ANTIBACTERIAL COMPOSITION USABLE WET ORAL TISSUE FOR THE CHILD, THE OLD OR THE INFIRM}
본 발명은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연 항균성 식물 추출물이 혼합된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로 손이나 얼굴 등을 간편히 닦기 위한 용도에 쓰이도록 제작 과정에서 제품에 수분을 함유시켜 물기를 머금은 축축하게 제공하는 물티슈(wet tissue, wet paper)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물티슈는 그 자체로 수분을 머금고 있어, 유통 과정이나 사용 중 이물질 또는 병원성 미생물에 노출되기 쉬워 주의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티슈를 제조시 포장 전 후로 감마레이를 조사하거나 고압 멸균 방식으로 살균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살균 과정의 복잡성 및 실제 사용시에 2차적 오염을 막을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더구나, 자외선 살균은 제품 자체에 자외선을 직접 조사하는 방법이므로 제품의 안정성 측면에서도 여전히 의문이 있었다.
특히, 물티슈를 유아 또는 노약자에 사용하는 경우 특히 주의가 요망되므로, 제품의 제조 단계 및 사용시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물티슈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1445493 B KR 10-2013-0116856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항균 활성이 우수한 천연 식물체 추출물을 적용함으로써 별도 살균 공정이 필요 없이 물티슈 제조 과정 또는 사용 과정에서 유해 병원성 미생물의 번식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유아 또는 노약자에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금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정향 추출물, 봉선화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은, 상기 고삼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황금 추출물 100~250중량부, 목단피 추출물 20~150중량부, 정향 추출물 100~250중량부 및 봉선화 추출물 20~2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에는 상기 고삼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해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50~60중량부 및 라우릴아민옥사이드 30~4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은 구강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us mutans), 대장균(Escherichia coli),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아스페르질러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migatu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은 항균력이 우수한 천연 식물체 추출물을 포함하여 제조됨으로써 물티슈의 제조 과정에서 별도의 멸균 공정이 필요 없으며, 물티슈 제조 과정뿐만 아니라 물티슈를 소비자가 사용하는 동안에도 유해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력을 보유하여 유아 및 노약자에게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으므로 위생 용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기존 물티슈 제조시 감마레이 조사 및 고압 멸균과 같은 별도의 살균 공정을 통하여 물티슈를 제조하는 공정의 불편함 및 감마레이 조사에 의한 위해성 문제를 해결하고, 살균된 물티슈를 소비자가 사용하는 과정에서도 추가적인 유해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물티슈 오염을 막기 위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항균 활성이 우수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물티슈 제조 공정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사용하는 동안에도 유해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물티슈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황금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정향 추출물, 봉선화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은 물티슈 성분에 황금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정향 추출물, 봉선화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을 일정 함량으로 포함시킴으로써 다양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게 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각 식물체의 추출물은 물(냉수, 열수), 주정,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주정,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 추출물이다.
상기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에는 고삼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해 황금 추출물은 100~250중량부, 목단피 추출물은 20~150중량부, 정향 추출물은 100~250중량부 및 봉선화 추출물은 20~2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에는 상기 언급된 천연 식물체 추출물 이외에, 고삼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해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50~60중량부 및 라우릴아민옥사이드 30~4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조성물들의 용해를 위해서 첨가하는 첨가제로서, 천연 식물체 추출물들과 다르게 용해를 위해 첨가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은 상기 각 성분에 잔량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물티슈용 시트에 함침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시트는 공지된 물티슈용 시트라면 어떠한 재질의 것이라도 무방하며, 부직포 또는 펄프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에는 감초 추출물, 울금 추출물, 인삼 추출물, 작약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가 성분들에 의하여 특정 병원성 미생물들에 대한 항균력에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추가 성분들은 본 발명의 물티슈 성분 중 천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각각 10~20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은 남녀 노소 누구라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유아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유아의 입 주변을 닦는 용도로서 구강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은 다양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그람 양성 세균, 그람 음성 세균, 진균 등에 항균력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us mutans), 대장균(Escherichia coli),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아스페르질러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migatu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하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를 기재한 것이며,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사용 균주
실험에 사용된 균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표 1). 구체적으로, 충치 및 구취발생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KCTC 3065, 구강점막감염증의 원인균인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KCTC 7965, 또한 장기간 저장시 안정성을 저해하는 곰팡이 중의 하나인 아스페르질러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migatus) KCTC 26426을 사용하였다. 또한, 장 이외의 부위에서는 방광염, 복막염, 패혈증 등의 병을 일이키는 장 내에 기생하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KCTC 2571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패혈증, 전신감염 환자에게 난치성 감염을 일으키는 병원성 세균인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KCTC 2513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식중독을 유발하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을 사용하였다.
KCTC번호 균주명 배지명 배양 온도 분양 형태
3065 Streptococcus mutans BHI 37℃ Ampoule
2571 Escherichia coli EMB 37℃ Ampoule
7965 Candida albicans YM 25℃ Ampoule
26426 Aspergillus fumigatus PDB 25℃ Ampoule
2513 Pseudomonas aeruginosa NB 37℃ Ampoule
1621 Staphylococcus aureus MSA 37℃ Ampoule
미생물 순수배양
한국미생물자원센터에서 분양받은 동결 건조된 균주(6종)를 멸균 수 500㎕에 희석한 다음, 고체배지에서 각 균주의 성장조건에 맞게 배양한 후, single colony를 분리하여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순수분리 및 배양 도구
무균 상태의 시험관, 플라스크, 평판 배양접시(petri dish) 등을 사용하여 목적한 미생물 외에는 어느 생명체도 용기 내부에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멸균된 백금이(loop)나 피펫을 사용하여 접종군(inoculum)을 배양용기에 접종하였다. 멸균 방법은 가압 증기 멸균법을 채택하여 행하였으며, 구체적으로, Autoclave를 이용하여 121℃에서 15~30분간 증기 가압 가열함으로써 아포까지 사멸시킨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Paper disc Test
Paper disc는 Advantec 사의 제품 10mm 크기를 사용하였다. 사용 전에 paper disc에 오염되어 있을지 모르는 미생물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멸균하였다. 100 mL 비이커에 paper disc 100개 정도를 넣고 알루미늄 포일로 덮은 다음, autoclave를 사용하여 멸균하였다. 젖은 paper disc를 oven에 넣고 60℃에서 건조 시킨 후 사용하였다. 각 균주에 맞는 고체 배지를 준비하고 오염 여부를 사용전에 확인하였다. 실험 전에 물기 제거를 위하여 37℃ incubator에서 2~3시간 정도 둔다. 균주를 각 고체배지에 2.0×107cfu/ml로 조정한 것으로 100㎕을 넣고 도말하였다. Petri dish 뚜껑을 알콜로 소독하여 준비하고 필요한 양만큼의 paper disc를 멸균 한 핀셋으로 집어서 올려 놓은 후, disc에 촉촉이 적을 정도로(보통 20~40μL) 천연물질을 점적한 후 건조하였다. 멸균된 핀셋으로 건조된 disc를 집어서 고체배지에 얹고 해당 균의 배양온도에서 24시간 배양 후 생육 저지환(Clear zone)의 크기로 항균성의 유무를 확인하여 선별하였다(plate는 뒤집어 배양한다).
Parallel Streak Test
물티슈용 원단을 plate에 맞게 각 0.15g이 되게 재단한 후 사용하였다. 사용 전에 원단에 오염되어 있을지 모르는 미생물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멸균하였다. 100 mL 비이커에 paper disc 100개 정도를 넣고 알루미늄 포일로 덮은 다음, autoclave를 사용하여 멸균하였다. 젖은 원단을 oven에 넣고 60℃에서 건조 시킨 후 사용하였다. 각 균주에 맞는 고체 배지를 준비하고 오염 여부를 사용전에 확인하였다. 실험 전에 물기 제거를 위하여 37℃ incubator에서 2~3시간 정도 둔다. 균주를 각 고체배지에 2.0×104 cfu/ml로 조정한 것으로 100㎕의 양으로 Parallel Streak 해준다. 그리고 나서 그 위에 멸균한 원단을 멸균 한 핀셋으로 집어서 올려 놓은 후 물티슈에 적용하는 천연조성물 700㎕를 적셔준다. 이 때 해당 균의 배양온도에서 24시간 배양 후 균의 생육이 올려놓은 원단 아래와 양옆의 저지된 정도로 항균성의 유무를 확인하여 선별하였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시예 2
제조예: 물티슈에 적용하는 천연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3에 기재된 함량으로 물티슈에 적용하는 천연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3에 기재된 함량(중량부)으로 정제수, 봉선화 추출물, 황금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정향 추출물, 고삼 추출물,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및 라우릴아민옥사이드를 잔량의 정제수에 넣고 용해시켜 물티슈에 적용하는 천연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성분
(중량%)
봉선화
추출물
황금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정향
추출물
고삼
추출물
코카미도프로필베아틴 라우릴아민옥사이드
실시예 16 100 200 20 100 100 54.2 37.9
실시예 17 20 100 20 150 100 54.2 37.9
실시예 18 20 100 20 200 100 54.2 37.9
실시예 19 20 100 20 250 100 54.2 37.9
실시예 20 20 100 20 100 100 54.2 37.9
실시예 21 20 150 20 100 100 54.2 37.9
실시예 22 20 200 20 100 100 54.2 37.9
실시예 23 20 250 20 100 100 54.2 37.9
실시예 24 20 200 20 100 100 54.2 37.9
실시예 25 20 200 50 100 100 54.2 37.9
실시예 26 20 200 100 100 100 54.2 37.9
실시예 27 20 200 150 100 100 54.2 37.9
실시예 28 50 200 50 100 100 54.2 37.9
실시예 29 150 200 50 100 100 54.2 37.9
실시예 30 200 200 50 100 100 54.2 37.9
비교예 1 - - - - - - -
비교예 2 100 200 50 100 - 54.2 37.9
실험예 : 항균력 테스트
항균력 측정 결과(Parallel Streaking Test)
표 4의 결과는 구취 유발균(Streptococus mutans), 구강점막감염증 원인균(Candida albicas), 곰팡이균(Aspergillus fumigat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병원성 세균(Pseudomonas aeruginosa), 식중독을 유발하는 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력을 나타낸다.
제조예/
사용균주
S. mutans E. coli C. albicans S. aureus P. aeruginosa A. fumigatus
실시예 16 + + + + + +
실시예 17 + + + + + +
실시예 18 + + + + + +
실시예 19 + + + + + +
실시예 20 + - + + - +
실시예 21 + - + + - +
실시예 22 + + + + + +
실시예 23 + + + + + +
실시예 24 + + + + + +
실시예 25 + + + + + +
실시예 26 + + + + + +
실시예 27 + + + + + +
실시예 28 + - + + - +
실시예 29 + + + + + +
실시예 30 + + + + + +
비교예 1 - - - - - -
비교예 2 - + + - + +
+ : 항균력 있음, - : 항균력 없음
실시예 16~19의 경우에는 정향 추출물이 고삼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해 100중량부 보다 많이 함유 되어도 항균력의 차이가 없었다. 실시예 20~23의 경우에는 황금 추출물이 고삼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해 200중량부 보다 적게 함유가 되었을 때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에는 항균 활성이 없음을 보여준다. 황금 추출물이 고삼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해 200중량부 보다 많이 함유 되어도 항균력의 차이는 없었다. 실시예 24~27의 경우에는 목단피 추출물이 고삼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해 20중량부보다 많이 함유 되어도 항균력의 차이는 없었다. 실시예 28~30의 경우에는 봉선화 추출물이 고삼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해 100중량부보다 적게 함유가 되었을 때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에는 항균 활성이 없음을 보여준다. 봉선화 추출물이 고삼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해 100중량부 보다 많이 함유 되어도 항균력의 차이는 없었다. 비교예 1은 정제수로 상기 표 4의 6가지 균주 모두에 항균 활성이 없음을 보여준다. 비교예 2는 고삼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것으로 구취 유발균인 Streptococus mutans와 식중독을 유발하는 균인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서는 항균 활성이 없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16이 비교예 2에 비해 6가지 균주에 대하여 보다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즉, 고삼 추출물을 봉선화, 황금, 목단피, 정향추출물 등이 들어간 혼합물에 추가로 투입해주게 되면 항균력에 있어 시너지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고삼 추출물, 황금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정량 추출물, 봉선화추출물,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릴아민옥사이드 등의 조성물은 실제 물티슈에 적용하였을 때의 함량은 물티슈 전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고삼 추출물은 1.0중량%, 황금 추출물은 1.0~2.5중량%, 목단피 추출물은 0.2~1.5중량%, 정향 추출물은 1.0~2.5중량%, 봉선화 추출물은 0.2~2.0중량%,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은 0.5~0.6중량%, 라우릴아민옥사이드는 0.3~0.4중량%의 함량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Claims (5)

  1. 황금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정향 추출물, 봉선화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고삼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황금 추출물은 200중량부, 상기 목단피 추출물은 20중량부, 상기 정향 추출물은 100중량부 및 상기 봉선화 추출물은 100중량부를 포함하고,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54.2중량부 및 라우릴아민옥사이드 37.9중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에 감초 추출물, 울금 추출물, 인삼 추출물, 작약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이 상기 천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각각 10~200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조성물은 구강용이며,
    상기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조성물은, 상기 고삼 추출물, 상기 황금 추출물, 상기 목단피 추출물, 상기 정향 추출물, 상기 봉선화 추출물, 상기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및 상기 라우릴아민옥사이드의 중량부에 의해,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us mutans), 대장균(Escherichia coli),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아스페르질러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migatu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09564A 2016-08-26 2016-08-26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 KR102034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564A KR102034792B1 (ko) 2016-08-26 2016-08-26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564A KR102034792B1 (ko) 2016-08-26 2016-08-26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747A KR20180023747A (ko) 2018-03-07
KR102034792B1 true KR102034792B1 (ko) 2019-10-22

Family

ID=61688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564A KR102034792B1 (ko) 2016-08-26 2016-08-26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7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10610B (zh) * 2020-03-04 2022-07-08 东莞波顿香料有限公司 用于婴幼儿湿巾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婴幼儿湿巾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923B1 (ko) * 2013-02-27 2014-02-07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울금 추출물과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1465696B1 (ko) * 2014-04-01 2014-12-02 주식회사 유로코스텍 항균 및 방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185B1 (ko) * 1993-04-15 1996-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항균성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일회용 물티슈 제품
KR100769304B1 (ko) * 2000-07-07 2007-10-24 (주)순한방 유.소아를 위한 물티슈용 생약 조성물
KR100773406B1 (ko) * 2005-10-17 2007-11-05 안봉전 항산화, 항암 및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ch 조성물
KR100879032B1 (ko) * 2007-05-09 2009-01-15 (주)한스킨 천연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있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13203B1 (ko) * 2008-02-25 2011-02-10 마산대학산학협력단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46957B1 (ko) * 2009-06-08 2011-07-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균활성을 갖는 식용 알지네이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14528795A (ja) 2012-03-20 2014-10-30 株式会社ウスメディカル 乳幼児用ウェットティッシュ
JP6055623B2 (ja) * 2012-07-25 2016-12-27 有限会社漢方歯科医学研究所 歯周病予防・治療用組成物及び化粧品用保存剤
KR101445493B1 (ko) 2013-07-17 2014-09-26 이한영 유아용 무방부제 건조형 즉석 물티슈
KR101778058B1 (ko) * 2015-01-22 2017-09-27 (주) 바이오에스텍 구취 유발균 및 구강내 점막 감염증에 대한 유효 성분으로 천연 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923B1 (ko) * 2013-02-27 2014-02-07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울금 추출물과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1465696B1 (ko) * 2014-04-01 2014-12-02 주식회사 유로코스텍 항균 및 방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747A (ko)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lan et al. The effect of gamma‐irradiation on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honey
Hammer et al. Susceptibility of oral bacteria to Melaleuca alternifolia (tea tree) oil in vitro
Athiban et al. Evaluation of antimicrobial efficacy of Aloe vera and its effectiveness in decontaminating gutta percha cones
Tomiyama et al. Antibacterial action of a condensed tannin extracted from astringent persimmon as a component of food addictive pancil PS‐M on oral polymicrobial biofilms
KR101592549B1 (ko) 치주질환 및 충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EA007791B1 (ru) Состав со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ми окислительно-восстановительными свойствами и способ стабилизации окислительно-восстановительных свойств
CN104026173A (zh) 一种检验科检验器械专用消毒剂及其制备方法
EP2252308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misches von bakteriophagen und deren verwendung für die therapie von antibiotika-resistenten staphylococcen
CN103549622A (zh) 一种协同抑制常见微生物的天然抑箘剂组合物
KR20180075363A (ko) 사과산 및 구연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
KR102034792B1 (ko)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
KR101975284B1 (ko) 물티슈용 식물성 보존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251580B (zh) 一种复合抗菌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70061881A (ko) 상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US20090305387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leaning surfaces
KR102201176B1 (ko) 천연 과일 추출물 및 유기산이 함유된 살균소독제의 제조방법
Bartels The effect of eugenol and oil of cloves on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KR20030037094A (ko) 천연 항균 조성물
Zaini Antibacterial effectiveness of Morinda citrifolia L. extract on Salmonella typhi bacteria using serial dilution method with 15-60 minutes contact time
Kamath et al. Comparison of the Streptococcus mutans colony count changes in plaque following chlorhexidine (0.12%) mouth rinse and green tea extract (0.5%) mouth rinse in 8–12-year-old children
El-Shamy et al. In vitro antimicrobial effectiveness of vinegar against oral microorganisms: Part I
Nuraini et al. Anti-biofilm Activity of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bacteria
Shaqra et al. Susceptibility of some bacterial contaminants recovered from commercial cosmetics in Jordan to preservatives and antibiotics
CN112972281A (zh) 一种含水杨酸微胶囊的消毒级洗手液及其制备方法
CN112999337A (zh) 生物酶消毒液制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