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304B1 - 유.소아를 위한 물티슈용 생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소아를 위한 물티슈용 생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304B1
KR100769304B1 KR1020000038825A KR20000038825A KR100769304B1 KR 100769304 B1 KR100769304 B1 KR 100769304B1 KR 1020000038825 A KR1020000038825 A KR 1020000038825A KR 20000038825 A KR20000038825 A KR 20000038825A KR 100769304 B1 KR100769304 B1 KR 100769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skin
infant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3489A (ko
Inventor
안득훈
박승환
백인진
백정한
Original Assignee
(주)순한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순한방 filed Critical (주)순한방
Priority to KR1020000038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304B1/ko
Publication of KR20020003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3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소아를 위한, 고삼을 포함하는 물티슈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바람직하게는, 고삼 외에도 황백, 애엽, 백선피 및 백반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약을 더 포함하며, 이때 생약 조성물 총 건조중량에 대하여 고삼은 20~ 98 중량%, 황백은 2~ 50 중량%, 애엽은 2~ 30 중량%, 백선피 및 백반은 각각 1~ 35 중량% 및 10~ 40 중량%의 조성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생약 조성물을 적용시킨 물티슈는, 본래의 청결기능과 함께 유.소아의 기저귀 발진 및 피부 짓무름증을 완화시켜주며 피부를 더욱 뽀송뽀송 하게 해 준다.
물티슈

Description

유.소아를 위한 물티슈용 생약 조성물{Herb medicine composition to be contained in wet paper for infants}
본 발명은 유.소아의 대.소변으로 인한 기저귀 발진과 여러 가지 피부질환을 완화시키기 위한 생약 추출 성분을 함유하는 물티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 기저귀 발진은 대.소변으로 인해 엉덩이가 지저분해지면서 발생한다.
대변에서 나온 요소 분해 세균에 의하여 소변에서 암모니아가 유리되어 발생하거나, 대변에 의한 자극 때문에 항문 주위에 발생하게 되는데 발적, 수포 및 표재성 궤양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특히 유아기 여아는 성인에 비해 저항력이 약하고, 구조적으로 외음부가 항문에 가깝기 때문에 외음부 감염을 일으키기가 쉽다. 현재까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소아를 위한 물티슈는 물이 주성분으로 이는 청결하게 한다는 의미 외에는 특별한 작용이 없다.
본 발명자 등은 유.소아의 대.소변으로 인한 기저귀 발진과 여러 가지 피부질환에 따르는 소양감 등을 완화시키면서 청결의 기능을 가지는 티슈를 만들기 위하여, 많은 연구 끝에 생약 추출 성분을 이용하여 물티슈화 하면, 함유된 약물 효 과로 인해 피부를 청결케 하면서 배뇨, 배변시의 피부 자극을 완화 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고삼을 포함하는 유.소아를 위한 물티슈용 생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유.소아의 기저귀 발진 및 피부 짓무름증을 예방하고 완화시키기 위하여, 물티슈에 적용시킬 수 있는 생약 조성물로 항균 및 소염작용이 있으면서 조습의 효과가 있는 고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유.소아를 위한 물티슈용 생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삼 단독으로 함유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으나, 황백, 애엽, 백선피 및 백반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약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생약 조성물 총 건조중량에 대하여 고삼은 20~ 98 중량%, 황백은 2~ 50 중량%, 애엽은 2~ 30 중량%, 백선피 및 백반은 각각 1~ 35 중량% 및 10~ 40 중량%의 조성으로 포함된다.
대한약전과 기존 한의서에 수록된 바에 따르면, 고삼은 그 맛이 너무 쓰기 때문에 주로 외용으로 이용되는데, 항 트리코모나스작용이 있어서 가려움이 심한 피부질환, 습진, 피부화농증 및 음부소양증 등 임상에서 주로 외용으로 사용된다.
황백은 대장균, 티푸스균, 콜레라균에 대하여 살균력이 있으며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 및 임균에 강한 항균 작용을 가지고 있다. 황백의 성분 중 베르베린은 국소 수렴작용이 강하여 소양성 피부 질환에 외용하며, 상처부위의 열독을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애엽은 월경불순 및 대하 등 부인과 질환에 다용되는 생약으로서 임균 등에 항균작용이 있고 외용으로는 습진 및 피부 소양 등에 전탕하여 사용한다.
백선피는 청열, 해독 및 조습의 효능이 있어 전탕하여 환부를 세척하거나 분말을 도포하여 피부 습진 및 소양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백반은 수렴작용과 조습 및 지양의 효능이 강하여 염증 부위의 불쾌감과 악취를 제거하여 청량감을 주므로, 주로 외용으로 피부 점막의 염증 수렴제나 국소 수렴의 목적으로 함수용으로 사용된다.
상기한 생약제들, 즉 고삼, 황백, 애엽, 백선피 및 백반은 모두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항균 및 소양효과로 인해 임상에서 빈용되는 약제로, 특히 국소 염증부위를 신속히 건조시켜주는 수렴성분이 강하고 생약 특유의 맛과 성질에 따라 발진 부위에 도포하게 되면 그 약성의 찬 성질로 말미암아 국소적으로 청량감을 주며, 또한 조습(습기를 건조하게 함)의 성질로 유.소아의 피부를 더욱 뽀송뽀송하게 유지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약 조성물은 물티슈에 적용하기 위하여 생약 추출물의 수용액 상태이어야 하고, 그 농도는 추출물 건조중량으로 3~ 25%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 15%이다.
상기 수용액 상태로서 물티슈에 적용되기 직전까지는 상기 생약들 즉 고삼, 황백, 애엽, 백선피 및 백반은 각각 추출액 및 침출액 중 선택된 어느 한 형태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생약들을 물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백반 침출여액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타의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물 티슈 자체의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유.소아의 기저귀 발진 및 피부를 보호 하기 위해 어떠한 것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국한 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소아를 위한 물티슈용 조성물의 제조
고삼 800 g을 증류수로 세척한 후 5000 ㎖들이 원형 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 2000 ㎖을 가하여 냉각기를 부착하고 2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포로 여과하고 이 여액을 감압 농축시켜 점조성 추출물 1000 ㎖(건조 중량시 13.3g/100 ㎖)을 수득하였다. 이 추출액을 정제수와 1:5의 비율로 희석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유.소아를 위한 물티슈용 생약 조성물의 제조
고삼 500 g, 황백 300 g을 증류수로 세척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유.소아를 위한 물티슈용 생약 조성물의 제조
고삼 400 g, 황백 200 g, 백선피 200 g을 증류수로 세척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유.소아를 위한 물티슈용 생약 조성물의 제조
고삼 300 g, 황백 150 g, 백선피 50 g, 백반100 g을 증류수로 세척한 후 5000 ㎖들이 원형 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 2000 ㎖을 가하여 냉각기를 부착하고 2시간 동안 가열 추출 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포로 여과하여 이 여액을 감압 농축시켜 점조성 추출물 1000 ㎖(건조 중량시 7.5 g/㎖)을 수득하였고 이 추출액을 정제수와 1:7의 비율로 희석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유.소아를 위한 물티슈용 생약 조성물의 제조
고삼 30 ㎏, 황백 15 ㎏, 백선피 10 ㎏, 애엽 15 ㎏을 증류수로 세척한 후 스팀을 이용한 가열용 2중 탱크로 된 용기에 정제수 1200 ℓ을 함께 넣고 95~100℃에서 8시간 가열한 후 수득한 추출물을 1차 여과하였다. 그 여과액을 2중 탱크의 저장소로 옮긴 다음 2차 여과필터를 거쳐 60℃에서 감압 농축시켜 점조성 추출물 160 ℓ(건조 중량시 5.47 g/㎖)을 수득하였다. 이 추출물을 정제수와 1:7의 비율로 희석하여 유.소아용 물티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10. 유.소아용 물티슈 제조
가로 15 ㎝, 세로 20 ㎝의 스펀레이스 부직포 티슈를 상기 실시예 1~5에서 제조한 조성물에 각각 담그어 티슈 1장 당 조성물이 건조 중량으로서 0.2 g이 균일하게 도포 되도록 하였다.
실험예 1. 독성 및 부작용 확인 실험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암컷 및 수컷 토끼 4마리의 질구 및 성기 표면에 3 ㎖씩 20분 간격으로 5회 도포한 다음, 6시간 동안 매 시간마다 성기의 상태를 관찰 하였고, 또 조성물 6 ㎖씩을 5일간 연속해서 도포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 도포로 인한 질구의 수축 이외에는 성기 표피의 변질이나 어떠한 조직학적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예 2. 독성 및 부작용 확인 실험
상기 적용예 1~5에서 제조한 티슈를 본 발명자의 가족을 포함하여 월령 24개월 미만의 남아와 여아 4명에게 6개월 동안 사용해 보고 피부 접촉면의 반응을 관찰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이 도포된 티슈 사용에 따른 어떠한 피부 조직의 변화나 국소적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예 3. 유.소아용 물티슈의 효능 실험
상기 실시예 6과 실시예 10에서 제조한 스펀레이스 부직포 티슈를 실제 유. 소아에게 사용하도록 하여 효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현재 기저귀를 착용하는 월령 24개월 미만의 남아 5명, 여아 7명을 선정하여 유.소아 1인당 실시예 6에서 제조한 물티슈 30매와 실시예 10에서 제조한 물티슈 30매를 합하여 총 60매를 보호자에게 나누어 주고 사용후 그 결과를 보고하도록 하였다.
효능 실험결과, 본 발명의 물티슈는 물티슈 고유의 청결 기능과 함께 기존의 물티슈와는 달리 미끈미끈한 끈적임이 없었으며, 피부 표면이 더욱 뽀송뽀송하게 하여 파우더 도포 및 연고제의 사용을 억제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체에 무해하면서 특히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 약물을 이용하여 제조한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유.소아용 물티슈는, 유.소아의 피부를 청결케 하면서 더욱 뽀송뽀송하게 해주며, 함유된 약물 효과로 부신피질 호르몬 연고나 불필요한 비스테로이드계 연고의 사용을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 기저귀 피부병으로부터 근본적으로 유.소아를 보호할 수 있다.

Claims (5)

  1. 건조 중량으로서 고삼 20~85중량%, 황백 2~ 50중량%, 애엽 2~ 30중량%, 백선피 1~ 35중량%, 백반 10~ 40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열수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용 생약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00038825A 2000-07-07 2000-07-07 유.소아를 위한 물티슈용 생약 조성물 KR100769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825A KR100769304B1 (ko) 2000-07-07 2000-07-07 유.소아를 위한 물티슈용 생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825A KR100769304B1 (ko) 2000-07-07 2000-07-07 유.소아를 위한 물티슈용 생약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489A KR20020003489A (ko) 2002-01-12
KR100769304B1 true KR100769304B1 (ko) 2007-10-24

Family

ID=19676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825A KR100769304B1 (ko) 2000-07-07 2000-07-07 유.소아를 위한 물티슈용 생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3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829B1 (ko) 2011-03-16 2013-01-09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정약수를 함유한 물티슈와 이를 이용한 물티슈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79679B (zh) * 2012-02-25 2013-08-28 王霄霞 一种治疗婴幼儿尿布皮炎的中药外洗剂及护理方法
KR102034792B1 (ko) * 2016-08-26 2019-10-22 (주) 바이오에스텍 유아용 또는 노약자용 구강 물티슈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력을 띄는 천연 조성물
KR102130129B1 (ko) * 2018-11-14 2020-07-0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석창포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185B1 (ko) * 1993-04-15 1996-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항균성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일회용 물티슈 제품
KR970032901A (ko) * 1995-12-18 1997-07-22 성재갑 향균성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일회용 흡수제품
KR980000460A (ko) * 1996-06-27 1998-03-30 신광호 외피용 약제 조성물
KR19980076051A (ko) * 1997-04-04 1998-11-16 민광율 인삼·생약재 및 백년초를 이용한 미용티슈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185B1 (ko) * 1993-04-15 1996-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항균성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일회용 물티슈 제품
KR970032901A (ko) * 1995-12-18 1997-07-22 성재갑 향균성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일회용 흡수제품
KR980000460A (ko) * 1996-06-27 1998-03-30 신광호 외피용 약제 조성물
KR19980076051A (ko) * 1997-04-04 1998-11-16 민광율 인삼·생약재 및 백년초를 이용한 미용티슈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829B1 (ko) 2011-03-16 2013-01-09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정약수를 함유한 물티슈와 이를 이용한 물티슈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489A (ko) 200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709B1 (ko)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항균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CN103933443A (zh) 一种止痒外洗药包及其制备方法
CN101417068A (zh) 一种中药抑菌洗液及其制备方法
KR20020062474A (ko) 여성의 질염 및 냉대하증 치료효능을 갖는 한약재 조성물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리대 패드
CN101485766A (zh) 一种治疗阴道炎的中药洗液及其制备方法
CN103316262A (zh) 一种妇科外用抗菌液及其制备方法
JP2003504347A (ja) 生薬剤を用いた女性用生理ナプキン塗布用組成物
KR100769304B1 (ko) 유.소아를 위한 물티슈용 생약 조성물
JP2003504348A (ja) 乳、小児のための衛生用品用生薬組成物
CN104771671B (zh) 一种治疗妇科炎症的中药洗剂
CN104523853A (zh) 一种复方紫草油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306841A (zh) 一种治疗妇科炎症、皮肤炎症、瘙痒症的中药洗液
KR100353287B1 (ko) 생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저귀
CN108553608A (zh) 一种治疗外阴皮炎瘙痒的抑菌凝胶及其制备方法
KR100421203B1 (ko) 생약제를 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CN1125599A (zh) 改良皮肤、妇科外用药,其中一种组合物及制法
KR20170021493A (ko) 피부의 염증 예방 및 개선과 냄새제거용 물휴지 제조방법
KR20060033070A (ko) 치질 또는 부인과 질환의 치료를 위한 좌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좌욕제백
CN110664861A (zh) 一种治疗外阴炎的药物组合物
CN109833236A (zh) 一种痔疮护理湿巾及其制备方法
KR101465843B1 (ko) 천연 염료 치질 화장지, 연고 치질 화장지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587713B (zh) 一种具有抗菌功能的新型卫生巾及其生产工艺
Sathish et al. Sushruta’s eight pearls for Infective Ulcer
CN101816741A (zh) 妇女洁阴用品及其制备方法
CN105412724A (zh) 一种治疗梅毒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