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3070A - 치질 또는 부인과 질환의 치료를 위한 좌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좌욕제백 - Google Patents

치질 또는 부인과 질환의 치료를 위한 좌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좌욕제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3070A
KR20060033070A KR1020040082006A KR20040082006A KR20060033070A KR 20060033070 A KR20060033070 A KR 20060033070A KR 1020040082006 A KR1020040082006 A KR 1020040082006A KR 20040082006 A KR20040082006 A KR 20040082006A KR 20060033070 A KR20060033070 A KR 20060033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emorrhoids
bath
treatment
wh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균
Original Assignee
김태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균 filed Critical 김태균
Priority to KR1020040082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3070A/ko
Publication of KR20060033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07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질의 치료 또는 부인과 질환 치료를 위한 좌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좌욕제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질 또는 부인과 질환 치료를 위한 어성초, 고삼, 황백, 측백엽, 괴화, 지유, 산초, 사상자, 감초, 후박, 연교, 방풍, 창출, 대황, 백선피, 지부자, 백반(고반), 오배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좌욕제백에 관한 것이다.
치질, 부인과 질환, 좌욕제, 좌욕제백

Description

치질 또는 부인과 질환의 치료를 위한 좌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좌욕제백{Hip-bath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herorrhoids or gynecological diseases, and hip-bath bag containing it}
본 발명은 치질 또는 부인과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좌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성초, 고삼, 황백, 측백엽, 괴화, 지유, 산초, 사상자, 감초, 후박, 연교, 방풍, 창출, 대황, 백선피, 지부자, 백반(고반), 오배자를 포함하는 좌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좌욕제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질이란 항문 주위의 괄략근 등에 형성된 미세혈관의 혈액순환 장애로 인하여 발생되는 일종의 울혈현상으로서 주로오랜 시간을 앉아서 생활하거나 근무하는 사람에게서 발병되기 쉽고, 또한 중노동을 하는 사람에게서 빈발하고 있으며, 변비 등도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치질은 항문 주위의 외부로 나타나는 외치질과 항문 내부로 돌출 발생되는 내치질로 구분하며 이러한 치질(울혈)을 치료치 아니하고 방치하는 경우 통증은 물론 염증으로 인하여 치루 등으로 진행하는 심각한 신체적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현재, 많은 사람이 치질로 고생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권장할 만한 치료약은 없고 수술을 하고 있으나, 재발율이 높아 심지어 2차, 3차 수술로 이어지고, 이 경우 항문의 괄약근 이상으로 제 기능을 못하는 경우도 있고 이러한 수술요법은 치료비용의 부담 뿐만 아니라, 수술시 몇일간의 입원치료, 치료 후 수일간의 일상생활의 불편 등으로 수술을 받는 것을 꺼리는 경우도 있다.
그 외의 치질 치료법으로는 치핵속에 약물을 직접 주입하거나, 좌약, 내복약 등의 방법이 있기는 하나, 이는 여러 가지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복용시의 불편함이 있고 인체에 유익하지 못한 면도 갖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고전적인 방법인 결찰요법 또한 치료시 환부에 상당한 통증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어 왔다.
지골피, 오매자, 행인, 괴화 등의 한방 생약을 포함하는 치질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한국특허출원10-2002-0045674호가 있고, 홍반, 웅황, 경분, 주사, 행인, 도인, 밀납을 을 이용한 치질 치료제가 한국특허출원10-2002-0042804호가 있고, 후라보노이드 혼합물을 포함하는 치질 치료제가 한국특허등록10-0281679호에 있다. 구형 활성탄소를 사용한 치질 치료제가 한국특허등록10-0335022호 등록되었다. 은행잎을 이용한 치질 치료용 좌약이 한국 특허 출원 10-1991-0019657호로 출원되었다.
한방 좌욕(坐浴)요법은 한의학의 외과 치료에 중요한 치료 방법의 하나로서, 3000년 이상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고, 그 사용의 안전성과 탁월한 효과로 널리 쓰여왔다. 좌욕이란 끊인 물을 대야나 좌욕기에 넣고 앉아, 약물이 항문이나 생식기 부분으로 직접 흡수되도록 하여, 치질과 같은 항문 질환 및 하초(下焦) 질환을 개선하도록 만든 것이다.
그러나 상기 문헌 어디에서도, 수술의 공포와 번거러움을 피하고, 부작용이 적고, 노약자와 수술이나 약물치료가 불가능한 환자에도 두루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인 치질 또는 부인과 질환 치료용 좌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팩에 대해서는 어떤 기술도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술의 공포와 번거러움을 피하고, 부작용이 적고, 노약자와 수술이나 약물치료가 불가능한 환자에도 두루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인 치질 및 부인과 질환 치료용 좌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어성초, 고삼, 황백, 측백엽, 괴화, 지유, 산초, 사상자, 감초, 후박, 연교, 방풍, 창출, 대황, 백선피, 지부자, 백반(고반), 오배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질 또는 부인과 질환 치료용 좌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좌욕제백에 관한 것으로서, 어성초, 고삼, 황백, 측백엽, 괴화, 지유, 산초, 사상자, 감초, 후박, 연교, 방풍, 창출, 대황, 백선피, 지부자, 백반(고반), 오배자를 포함하는 좌욕제 조성물이 부직포 속에 밀봉되어져 좌욕조에 입수시 부직포 사이의 공극을 통하여 물에 의해 유효성분이 용출되어져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질 또는 부인과 질환 치료를 위한 좌욕제백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전체 좌욕제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어성초 5~10중량%, 고삼 5~10중량%, 황백 5~10중량%, 측백엽 5~10중량%, 괴화 5~10중량%, 지유 5~10중량%, 산초 5~10중량%, 사상자 5~10중량%, 감초 5~10중량%, 후박 1~5중량%, 연교 1~5중량%, 방풍 1~5중량%, 창출 1~5중량%, 대황 1~5중량%, 백선피 1~5중량%, 지부자 1~5중량%, 백반 1~5중량%, 오배자 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질 또는 부인과 질환 치료용 좌욕제 조성물에 관한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좌욕제는 전체 좌욕제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어성초 5~10중량%, 고삼 5~10중량%, 황백 5~10중량%, 측백엽 5~10중량%, 괴화 5~10중량%, 지유 5~10중량%, 산초 5~10중량%, 사상자 5~10중량%, 감초 5~10중량%, 후박 1~5중량%, 연교 1~5중량%, 방풍 1~5중량%, 창출 1~5중량%, 대황 1~5중량%, 백선피 1~5중량%, 지부자 1~5중량%, 백반 1~5중량%, 오배자 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의 조성비는 반복된 실험의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것이며 하한치 보다 낮을 경우에는 그 성분의 생리 활성 효과가 감소하며, 그 상한치 보다 높을 경우에는 타성분의 생리활설 효과가 감소될 수 있어 조성물의 상승작용 및 협동작용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 한약재의 효능은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은 18종의 주생약성분을 배합하여 조선된 본 발명의 좌욕제 조성물은 이들 각각의 생약성분의 다양한 작용에 의해 치질 또는 부인과 질환의 각종 증상을 모두 적절히 치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부작용이나 독성이 거의 없어 효과적인 치질 또는 부인과 질환 치료용 좌욕제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각각의 생약성분이 어떠한 작용을 나타냄으로써 치질 또는 부인과 질환 치료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어성초(魚腥草)
어성초란 식물분류학에 따르면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학명은 Houttuynia cordata라고 한다. 한국백과사전에는 약모빌로 되어있다. 전초에 0.0049%의 휘발성분 즉 정유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 정유 중에는데카노일 아세트 알데히트(Decanoilacetaldehyd), 메톤 (Methyln-nonylketone),미르센(Myrcene), 로우릭알데히드(Lauric aldehyde),캐프릭드(Capricaldehtde)등이 있다. 이중 '데타노일아세트 알데히드는 '설파민' 항생제의 40,000배의 역가를 지녀 어성초는 천연 항생제로 비린내나는 성분이다. 그리고 어성초에는 '쿠에르치트린' (Quercitrin), 쿠에르체틴(Ouercetin),이소쿠린'(Isoquercitrin),레이노우트린'(Reynoutrin), '하이퍼런'(Hyperine) 등의 '프라보노이드'물질이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항암, 이뇨, 강심, 해독, 정장, 거담, 진통, 지혈, 조직재생, 피부미용, 미발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성초의 약리물질인 '쿠에르치트린'은 10만배로 희석해도 이뇨작용이 있고 또 강심작용과 모세혈관 강화작용이 있다. '이스쿠에르치트린' 역시 같은 작용을 한다. 어성초의 항균작용은 광범위하다. 대장균, 티푸스균, 파라티푸스균, 적리균,임균,포도구균, 사상균, 백선균, 무좀균, 항산성 세균뿐만 아니라 비병원성 세균에도 억균 내지는 항균작용이 있다.
고삼(苦蔘)
학명은 스프라 플라비센스(Sophora flavcscens)이며 뿌리를 생약으로 사용한다. 고삼은 원추형으로 길이가 10∼30cm, 지름 1∼2cm 이다. 성분은 알카로이드, 플라보노이드 등이며 해열, 가습, 소염, 이뇨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항진균작용,이뇨작용, 해열작용, 항 트리코모나스(Trichomonas)작용이 있다.
황백(黃柏)
황백은 황백나무(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 ) 또는 동속식물(산초나무과Rutaceae )의 주피를 벗긴 수피를 말린것으로 베르베린을 함유하며, 염증 및 타박상에 효과가 있다.
측백엽(側柏葉)
측백엽은 측백나무(Biota orientalis L.)의 어린가지와 잎이다. 측백엽은 지혈, 수렴, 이뇨 작용이 있어 한방에서 토혈, 혈변, 혈뇨, 대장염, 이질, 고혈압 등에 사용한다.
괴화(槐花)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L.)의 꽃봉오리이다. 그 성분은 루틴, 캠페롤, 쿠에르세틴 등이 있다.. 회화나무에는 루틴이나 스테인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항염증, 피부가려움증, 지혈, 항히스타민제 효과가 있다.
지유(地楡)
지유는 장미과 식물인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L.)의 근피를 말한다. 지유 추출액을 피부에 바르면 항염증 작용과 혈관 수축작용이 있다. 지유의 성분으로는 탄닌(Tannin), 몰식자산(Gallic acid), 우르솔산 (Ursolic acid), 엘라그산(Ellagic acid),상귀솔빈(Sanguisorbin), 포몰산(Pomolic acid), 퀘세틴(Quercetin) 배당체, 캠페롤(Kaempfrol)배당체, 루콘토시아니딘(Leucoanthocyanidin) 등이 있다.
산초(山椒)
산초(Zanthoxyli Fructus)는 초피나무(Zanthoxylum piperitum D. C.) 또는 그밖의 동속 근연식물(산초나무과Rutaceae)의 과피로, 이 과피에서 떨어진 씨를 될 수 있는 대로 제거한 것으로, 가을에 열매가 성숙하였을 때 거두어 볕에 말려 정선한 것을 그대로 쓰거나 또는 초하여 사용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온중지통(溫中止痛), 조습살충(燥濕殺蟲), 익화평천(益火平喘) 등의 효능을 갖고 있다.
사상자(蛇床子)
이 약은 사상자(Torilis japonica D.)의 과실이다. 사상자는 저지대의 산야나 계곡등지에서 흔히 서생하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이년초로서, 항바이러스, 살균작용, 음부소양증, 종통, 낭습종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다.
감초(甘草)
이 약은 유럽감초(Glycyrrhiza gabra L.), 만주감초(Glycyrrhiza uralensis F.) 및 동속식물의 뿌리와 주출경(走出莖)을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트리테르펜 화합물인 글리시르히직산(glycyrrhizic acid), 글리시르히진(glycyrrhizin), 비용혈성 사포닌 등이 함유된 감초는 비위기능의 허약으로 기운이 없고 몸이 나른하여, 아무 의욕도 생기지 않은 때 및 사지무력, 식욕부진, 변을 묽게 보는 증상에 유효하다. 심장의 혈기 부족으로 맥박이 고르지 않고 가슴이 뛰는 증상에 쓰며, 정신을 안정시켜 히스테리를 다스리고, 폐에 작용하여 진해,거담의 효과를 보이며, 위장의 경련과 동통을 그치게 한다. 또한 사진의 근육경련을 풀어주고, 독극성 물질의 해독작용이 있다.
감초는 부신피질자극작용과 항염증 작용이 있다. 세포의 탐식능력을 높여 주고, 차고 더운 것과 기아 상태에서의 조절작용을 나타낸다. 항궤양 작용이 있어서 위,십이지장궤양에 현저한 반응을 보이고, 자궁등의 평활근 경련을 풀어 주며, 각종 약물 중독에 대해 해독작용을 한다. 진해, 거담작용, 진통작용, 항균작용, 혈당강하작용, 면역기능 항진작용,항암 작용을 나타낸다.
후박(厚朴)
후박은 목련과(Magno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마그놀리아 오피시날리스(Magnolia officinalis REHD. et WILS), 및 동속 근연종의 수피를 건조한 것으로서, 행기조습(行氣燥濕), 항역평천(降逆平喘)의 효능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는 건위소화, 사하, 지해 거담제로서 방향성 건위 및 복통, 복부팽만, 급성장염, 해수(咳嗽)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위령탕, 과항정기산, 소승기탕, 박하후박탕, 평위산, 마자인환 등의 제제 성분으로 사용된다.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후박의 성분으로는 β-유데스몰(β-eudesmol), 마그놀올(magnolol), 호노키올(honokiol),마그노쿠라린(magnocurarine), 탄닌(tannin) 등이 있으며, 상기 성분 중 마그놀올(magnolol) 및 호노키올(honokiol)은 기존의 클로로헥시딘과 같은 기존의 항생물질보다 휠씬 안전하고 뛰어난 항생 효과를 가진다.
연교(連翹)
이 약은 의성개나리(Forsythia viridissima L.), 개나리(Forsythia koreana N.) 또는 중국개나리(Forsythia suspense V)의 과실을 말한다. 약리작용으로 항균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강심·이뇨 작용이 있다. 연교는 발열증상 초기나 외과의 질환 치료에 배합하여 자주 쓰이는 것으로서, 해열효과가 뛰어나며, 해독작용이 강하므로 화농성 감염증의 치료에 좋다.
방풍(防風)
방풍(防風)은 미나리과(Umbelliferae)의 방풍(Ledebouriella seseloides WOLF.)의 뿌리를 건조한 것을 일컫는 말이며, 한방에서는 습을 치료하며 풍병의 주약으로 알려져 있다. 해열, 진통약으로 감기, 두통, 관절통, 사지경련, 파상풍 등 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창출(蒼朮)
이 약은 가는잎 삽주(Atractylodes lancea D.C) 또는 만주삽주(Atractylodes chinensis Koidzumi)의 뿌리줄기이다. 주요성분은 히네솔(Hinesol), 베타-유데스몰(β-Eudesmol), 엘이몰(Elemol), 아트라크티로틴(Atractylodin), 베타-셀리넨(β-Selinene) 등을 주로한 정유이다. 약리작용은 건위(健胃)작용, 이뇨(利尿)작용, 발한(發汗)작용, 진정(鎭靜)작용, 혈당저하(血糖低下)작용, 강장(强壯)작용을 보인다. 신장병, 위장염, 소화불량, 식욕부진과 감기 등에 의한 발열 치료에 효과가 있다.
대황(大黃)
대황(Rhei Rhizoma)의 기원식물인 금문대황(Rheum palmatum L.) 또는 장군풀(Rheum coreanum Nakai)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전국 각지의 산골짜기의 습지에 서생하며, 1m의 원줄기 높이 및 25∼30cm의 잎몸 길이를 갖는다. 약리작용은 사하(瀉下)작용, 항균작용, 수렴(收斂)작용, 건위작용, 이담작용, 항종양작용이 있다. 한방에서는 이를기원전부터 소염성의 하제(下劑)로 쓰고 있으며, 여러 가지 처방에 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주성분은 안트라키논 유도체와 그 배당체 및 타닌 등이다. 소량을 섭취하면 완화제이나 다량의 경우는 사하(瀉下)제로 변비에 유효하다.
백선피(白鮮皮)
이 약은 백선(Dictamnus albus L.)의 뿌리껍질이다. 주요성분은 딕탐님(Dictamnine), 오바쿨락톤(Obakulactone), 딕탐놀리드(Dictamnolide), 프랙지넬론(Fraxinellon)이다. 약리작용는 해열작용, 항진균작용을 보인다.
지부자(地膚子)
명아주과에 속한 1년생 초본인 대싸리의 성숙한 과실을 건조한 것으로 탄닌질, 플라보노이드, 쿠마린, 사포닌, 캄페스트롤, 트리테르펜배당체, 식물성 기름(20%정도) 등의 성분 함유로 피부보습 효과와 소염 작용이 뛰어나다.
백반(고반)
백반에는 황산알미늄, 알칼리금속 암모늄, 황산염 등이포함되어 있고, 수렴 작용이 있어 가려움증을 완화시킨다. 백반 분말은 피부나 점막의 국소에 작용하여 단백질을 응고시켜 염증을 제거하고 피막을 만들어 피부 등을 보호한다. 또한 세균 감염 방지의 효과가 있다.
오배자(五倍子)
오배자는 옻나무과 붉나무(Rhus chinensis)의 벌레혹(진딧물로 생긴 벌레집)으로 불규칙한 주머니모양이며 속이비어있다. 오배자의 화학적 구성성분은 갈로탄닌, 수지, 전분 및 탄닌 등이 있으며, 한방에서는 주로 수렴, 지혈, 해독, 설사, 위궤양, 혈변, 혈뇨, 화상, 구내염 등의 질환에 사용된다. 또한 오배자는 황색포도구균, 연쇄구균, 폐렴구균, 장티프스균, 이질간균, 녹농간균 등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탁월하며, 독성실험결과마우스에서는 복강투여시에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좌욕제백에 관한 것으로서, 어성초 5~10중량%, 고삼 5~10중량%, 황백 5~10중량%, 측백엽 5~10중량%, 괴화 5~10중량%, 지유 5~10중량%, 산초 5~10중량%, 사상자 5~10중량%, 감초 5~10중량%, 후박 1~5중량%, 연교 1~5중량%, 방풍 1~5중량%, 창출 1~5중량%, 대황 1~5중량%, 백선피 1~5중량%, 지부자 1~5중량%, 백반 1~5중량%, 오배자 1~5중량%를 포함하는 좌욕제 조성물이 부직포 속에 밀봉되어져 좌욕조에 입수시 부직포 사이의 공극을 통하여 물에 의해 유효성분이 용출되어져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질 또는 부인과 질환 치료를 위한 좌욕제백을 제공한다.
상기 부직포는 직조하여 제조되는 것이 아니라 접착제 또는 섬유 자체의 엉킴을 이용하여 접합/제조한 것이므로, 개개의 섬유가 종/횡의 방향성이 없이 얽혀 있는 직물상태를 갖는다. 부직포를 이루고 있는 섬유의 원료로서, 솜, 비스코스 레이온, 나일론 등이 이용되어질 수 있으며,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되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어떤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좌욕제 조성물의 제조.
좌욕제 성분으로 평균입경 10 ~ 20 mesh 크기의 분말형태로 어성초 4.5g, 고삼 4.5g, 황백 4.5g, 측백엽 4.5g, 괴화 4.5g, 지유 4.5g, 산초 4.5g, 사상자 4.5g, 감초 4.4g, 후박 2.2g, 연교 2.2g, 방풍 2.2g, 창출 2.2g, 대황 2.2g, 백선피 2.2g, 지부자 2.2g, 백반 2.2g, 오배자 2.2g을 혼합하여 전체 60.2g의 좌욕제 조성물을 만들었다.
실시예 2: 입욕제백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을 통하여 얻어진 입욕제 조성물을 부직포로 싸고, 주변부를 열융착 밀봉하여 입욕제백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한약재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과립형 분말을 얻기 위하여, 세절, 가열하여 엑기스를 얻고, 이를 진공 건조나 냉동 건조의 과정을 거쳐 목욕물에 용해가 용이하도록 10-20mesh 크기의 분말 형태의 입욕 과립을 제조한다.
실험예 1: 치질 환자의 사용만족도 실험
실시예 1에 의한 좌욕제 조성물의 항문 질환에 대한 사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좌욕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좌욕제팩을 치질, 치루, 치열, 탈항등의 항문 질환자 50명을 대상군으로 하여 하기 사용법에 맞추어 1일 1회, 20분간, 12회에 걸쳐 반좌욕 또는 좌욕하게 하였다.
① 좌욕제의 사용법: 본 실시예 2에 의한 좌욕제을 1~2l의 물에 넣어, 팩 안의 한약재가 충분히 우려 나오도록 10분 정도 끊인 후, 찬물을 더하여 물의 온도가 적당해지면 하반신을 담그고 20분 가량 좌욕(坐浴) 또는 반좌욕한다. 증상에 따라서 매일 한번 또는 두번 사용하며, 치질 수술후 사용자는 배변 활동 후에 매번 사용하도록 하였다.
② 평가 척도
완치: 항문 질환이 완전히 없어진다.
호전: 항문 질환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으나, 염증과 통증이 50%이상 감소하며, 항문 출혈이나 간지러움등의 증상이 사라져 정상적인 활동에 지장이 없어진다.
유효: 염증과 통증이 많이 사라지며 배변시의 출혈이나 간지러움 증상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무효: 진통이나 소염 및 지혈, 간지러움 방지에 별다른 차이점을 볼 수 없다.
③ 평가 결과
표1. 본원 발명에 따른 치질 환자에 대한 좌욕제 사용효과 결과
좌욕제 사용결과
완치 11명(22%)
호전 32명(64%)
유효 7명(14%)
무효 0명(0%)
총유효율 50명(100%)

실험예 2: 부인과 질환자의 사용만족도 실험
실시예1에 의한 좌욕제 조성물의 여성 대하병, 음부소양증, 질염등의 부인과 질환에 대한 사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좌욕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좌욕제팩을 부인과 질환자 56명을 대상군으로 하여 하기 사용법에 맞추어 1일 1회, 20분간, 12회에 걸쳐 반좌욕 또는 좌욕하게 하였다.
① 좌욕제의 사용법: 본 실시예 2에 의한 좌욕제을 1~2l의 물에 넣어, 팩 안의 한약재가 충분히 우려나오도록 10분 정도 끊인 후, 찬물을 더하여 물의 온도가 적당해지면 하반신을 담그고 20분 가량 좌욕(坐浴) 또는 반좌욕한다. 증상에 따라서 매일 한번 또는 두번 사용하게 하였다.
② 평가 척도
완치: 여성 대하병, 음부소양증, 질염등의 부인과 질환이 완전히 없어진다.
호전: 질환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으나, 염증과 간지러움증이50%이상 감소하며, 대하등의 분비량이 50%이상 현격하게 감소한다.
유효: 염증과 간지러움증이 많이 줄어들며 대하등의 분비량이 현저하게 감소한다.
무효: 염증과 간지러움증 및 분비량 감소에 별다른 차이점을 볼 수 없다.
③ 평가 결과
표2. 본원 발명에 따른 부인과 질환 환자의 좌욕제 사용효과 결과
좌욕제 사용결과
완치 25명(44.6%)
호전 22명(39.3%)
유효 6명(10.7%)
무효 3명(5.4%)
총유효율 53명(94.6%)

실험예 3: 본 발명에 따른 좌욕제의 만족도 평가 실험
본 발명에 따른 좌욕제의 소염진통 정도, 간지러움증 감소 정도, 분비량 감소 및 청정 정도 , 피부 자극 정도 및 종합 만족도를 알아내기 위하여 실시예 2에 따른 좌욕제백을 피시험자 106명을 대상으로 하기 사용법에 맞추어 1일에 1회, 20분간, 12회에 걸쳐서 반좌욕 또는 좌욕하게 한 후 7점 척도로 다음 기준에 의해 소염 진통 정도, 간지러움증 감소 정도, 분비량 감소 및 청정 정도, 피부 자극 정도, 종합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① 좌욕제의 사용법: 본 실시예 2에 의한 좌욕제을 1~2l의 물에 넣어, 팩 안의 한약재가 충분히 우려 나오도록 10분 정도 끊인 후, 찬물을 더하여 물의 온도가 적당해지면 하반신을 담그고 20분 가량 좌욕(坐浴) 또는 반좌욕한다. 증상에 따라서 매일 한번 또는 두번 사용하게 하였다.
② 평가 척도
소염진통 정도 간지러움증 감소 정도 분비량 감소 및 청정 정도 피부자극 정도 종합만족도
1점 극히 없다 극히 없다 극히 없다 극히 심하다 극히 불만
2점 매우 없다 매우 없다 매우 없다 매우 심하다 매우 불만
3점 없다 없다 없다 심하다 불만
4점 보통 보통 보통 보통 보통
5점 우수하다 다소 있다 다소 있다 없는 편이다 만족한다
6점 상당히 우수하다 상당히있다 상당히있다 거의없다 상당히 만족한다
7점 극히 우수하다 매우있다 매우있다 전혀없다 매우 만족한다


③ 평가 결과
표3. 항목별 평가점수 평균표
좌욕제 사용결과
소염 진통 정도 6.3
간지러움증 감소 정도 6.4
분비량 감소 및 청정 정도 6.1
피부 자극 정도 5.9
종합 만족도 6.2


위의 평과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좌욕제은 하초(下焦)의 열독(熱毒)을 없애(淸)주고, 붓기를 내려(淸)주어, 통증과 간지러움을 멈추게 하는 한약재들과 상처의 축축하고 탁한 분비물을 건조시켜 하초(下焦)의 질환을 정화(淨化)시켜주는 한약재를 주성분으로 만들어서 좌욕 또는 반좌욕 후에 소염 진통 효과와 간지러움증의 감소에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피부 자극 정도에서도 피부에 자극이 거의 없었다.
1. 본 발명에 따른 치질 또는 부인과 질환 치료용 조성물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치질 또는 부인과 질환 치료용 조성물은, 하초(下焦)의 열독(熱毒)을 없애(淸)주고, 붓기를 내려(淸)주어, 통증과 간지러움을 멈추게 하고, 상처의 축축하고 탁한 분비물을 건조시켜 하초(下焦)의 질환을 정화(淨化)시켜준다. 아울러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상처를 빨리 아물게 하는 한약재를 첨가하여 질환의 빠른 회복을 돕는다.
(1) 치질, 치루, 탈항 등의 항문 질환에서의 효과
항문 질환으로 항문에 통증이 심한 경우나, 치질 수술이나 치료후 상처가 잘 아물지 않거나 상처가 감염되어 염증이 생긴 경우에 붓기를 내려주고 통증을 완화시켜 배변시 고통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
(2) 여성 대하병, 음부소양증, 질염 및 사타구니 습진(濕疹)에서의 효과
여성들의 생식기 질환이나 자궁 질환으로 질 분비물이 증가한 경우나, 음부소양증이나 질염, 남성들의 사타구니 습진과 같이 간지러움을 동반한 하초(下焦) 질환에 탁월한 지양(止痒) 효과와 청정(淸淨) 효과를 나타낸다.
(3) 출산후 회음부 절개 창상 치료 효과
출산후 회복기에 사용하면 염증과 붓기를 가라 앉히고, 상처 부위의 빠른 회복을 유도한다.
2. 본 발명에 따른 좌욕제백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1) 고통이 없다.
본 한방 좌욕팩은 수술이나 약물의 복용없이 좌욕(坐浴)으로 통증을 개선하여 수술의 공포와 번거러움을 피할 수 있습니다.
(2) 부작용이 적다.
약물이 피부 점막을 통해 흡수되므로, 혈액중의 약물의 농도가 매우 낮고, 구강(口腔) 점막에 자극이 없고, 소화기 및 간장(肝腸), 신장(腎腸)에 유해 작용이 없다.
(3) 누구나 사용이 가능하다.
급성 질환이나 만성 질환 뿐 아니라 질병의 예방 목적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노약자와 수술이나 약물 치료가 불가능한 환자에게도 두루 사용할 수 있다.
(4)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이다.
뜨거운 물에 넣기만 하면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며 한약재를 팩의 형태로 가공하여 매우 위생적이다.

Claims (3)

  1. 어성초, 고삼, 황백, 측백엽, 괴화, 지유, 산초, 사상자, 감초, 후박, 연교, 방풍, 창출, 대황, 백선피, 지부자, 백반(고반), 오배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질 또는 부인과 질환 치료를 위한 좌욕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어성초를 5~10중량%, 상기 고삼을 5~10중량%, 상기 황백을 5~10중량%, 상기 측백엽을 5~10중량%, 상기 괴화을 5~10중량%, 상기 지유를 5~10중량%, 상기 산초를 5~10중량%, 상기 사상자를 5~10중량%, 상기 감초를 5~10중량%, 상기 후박을 1~5중량%, 상기 연교를 1~5중량%, 상기 방풍을 1~5중량%, 상기 창출을 1~5중량%, 상기 대황을 1~5중량%, 상기 백선피를 1~5중량%, 상기 지부자를 1~5중량%, 상기 백반을 1~5중량%, 상기 오배자를 1~5중량%를 포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질 또는 부인과 질환 치료를 위한 좌욕제.
  3. 어성초 5~10중량%, 고삼 5~10중량%, 황백 5~10중량%, 측백엽 5~10중량%, 괴화 5~10중량%, 지유 5~10중량%, 산초 5~10중량%, 사상자 5~10중량%, 감초 5~10중량%, 후박 1~5중량%, 연교 1~5중량%, 방풍 1~5중량%, 창출 1~5중량%, 대황 1~5중량%, 백선피 1~5중량%, 지부자 1~5중량%, 백반 1~5중량%, 오배자 1~5중량%를 포함하는 좌욕제 조성물이 부직포 속에 밀봉되어져 있고, 욕조에 입수시 부직포 사이의 공극을 통하여 물에 의해 유효성분이 용출되어져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질 또는 부인과 질환 치료를 위한 좌욕제백.
KR1020040082006A 2004-10-14 2004-10-14 치질 또는 부인과 질환의 치료를 위한 좌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좌욕제백 KR20060033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006A KR20060033070A (ko) 2004-10-14 2004-10-14 치질 또는 부인과 질환의 치료를 위한 좌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좌욕제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006A KR20060033070A (ko) 2004-10-14 2004-10-14 치질 또는 부인과 질환의 치료를 위한 좌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좌욕제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070A true KR20060033070A (ko) 2006-04-19

Family

ID=37142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006A KR20060033070A (ko) 2004-10-14 2004-10-14 치질 또는 부인과 질환의 치료를 위한 좌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좌욕제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307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0205A3 (en) * 2010-12-28 2012-12-06 Kamedis Ltd. Plant extract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infections
CN103070973A (zh) * 2013-02-02 2013-05-01 张永芹 治疗幼儿湿疹的外用中药制剂
CN103301192A (zh) * 2013-06-29 2013-09-18 潞城市专利成果转化促进会 一种治疗口腔溃疡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8272960A (zh) * 2018-03-29 2018-07-13 南充市中医医院 一种治疗痔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用途
US10967031B2 (en) 2010-12-28 2021-04-06 Kamedis Ltd. Synergistic herbal compositions with prebiotic properties for treatment of skin infections, allergies and inflammation
CN114848734A (zh) * 2022-06-21 2022-08-05 四川省中医药科学院中医研究所 一种用于肛周护理的中药组合物
CN115177707A (zh) * 2022-07-21 2022-10-14 内蒙古阿迪斯蒙医药有限公司 一种复方足浴泡腾片及其制备方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0205A3 (en) * 2010-12-28 2012-12-06 Kamedis Ltd. Plant extract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infections
US10226499B2 (en) 2010-12-28 2019-03-12 Kamedis Ltd. Plant extract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infections
US10967031B2 (en) 2010-12-28 2021-04-06 Kamedis Ltd. Synergistic herbal compositions with prebiotic properties for treatment of skin infections, allergies and inflammation
CN103070973A (zh) * 2013-02-02 2013-05-01 张永芹 治疗幼儿湿疹的外用中药制剂
CN103301192A (zh) * 2013-06-29 2013-09-18 潞城市专利成果转化促进会 一种治疗口腔溃疡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8272960A (zh) * 2018-03-29 2018-07-13 南充市中医医院 一种治疗痔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用途
CN108272960B (zh) * 2018-03-29 2021-04-16 南充市中医医院 一种治疗痔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用途
CN114848734A (zh) * 2022-06-21 2022-08-05 四川省中医药科学院中医研究所 一种用于肛周护理的中药组合物
CN114848734B (zh) * 2022-06-21 2023-10-24 四川省中医药科学院中医研究所 一种用于肛周护理的中药组合物
CN115177707A (zh) * 2022-07-21 2022-10-14 内蒙古阿迪斯蒙医药有限公司 一种复方足浴泡腾片及其制备方法
CN115177707B (zh) * 2022-07-21 2023-09-19 内蒙古阿迪斯蒙医药有限公司 一种复方足浴泡腾片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67847B (zh) 一种有效治疗皮肤病的中药白酒制剂
CN105833279B (zh) 皮肤多种损伤创面治疗的外用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205026B (zh) 一种治疗小儿慢性鼻窦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455738B (zh) 一种治疗湿疹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610788A (zh) 一种治疗过敏性鼻炎的中药
CN101518600B (zh) 一种治疗细菌或真菌性皮肤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860978A (zh) 一种治疗褥疮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20060033070A (ko) 치질 또는 부인과 질환의 치료를 위한 좌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좌욕제백
CN104208545A (zh) 一种用于外阴瘙痒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2743556A (zh) 一种治疗出血型霉菌性阴道炎的中药洗剂制备方法
CN104940886A (zh) 一种治疗脂溢性脱发的外用制剂及制法
CN103721138A (zh) 一种治疗酒糟鼻的中药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CN106421392A (zh) 一种治疗褥疮的中药凝胶剂及其制备方法
CN105663937A (zh) 一种用于乳房湿疹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11743982A (zh) 一种外阴洗液及其制备方法
CN104940752A (zh) 一种治疗外阴溃疡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3479915B (zh) 一种治疗急性肾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397918B (zh) 一种治疗瘙痒的外用药物及其制备方法
CN114432379A (zh) 一种女用缩阴私处紧致妇科抑菌护理中药组合物产品
CN105435123A (zh) 一种治疗褥疮的组合药物
CN103638506B (zh) 一种治疗痹症的中药
CN114588211A (zh) 用于治疗外阴慢性单纯性苔藓的中药洗剂配方及制备方法
CN104547477A (zh) 一种用于肛周脓肿引流术后护理的中药制剂及制备方法
CN103417760A (zh) 一种具有托毒消炎功效的中药酊剂
CN112587619A (zh) 一种痔疮治疗用的复方中药喷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