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4323A -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4323A
KR20100134323A KR1020090052889A KR20090052889A KR20100134323A KR 20100134323 A KR20100134323 A KR 20100134323A KR 1020090052889 A KR1020090052889 A KR 1020090052889A KR 20090052889 A KR20090052889 A KR 20090052889A KR 20100134323 A KR20100134323 A KR 20100134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acne
sebum
sup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6690B1 (ko
Inventor
종 필 임
훈 전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52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690B1/ko
Publication of KR20100134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6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7Euphorbiaceae (Spurge family), e.g. Ricinus (castorbe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극 및 선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극 또는 선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면 5-알파-리덕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활성 남성 호르몬의 생성을 억제하고, 여드름의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의 생육을 억제함으로써 피지분비를 억제하고 여드름을 개선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대극, 선퇴, 피지, 여드름,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A composition for anti-sebum and acne-remedy cosmetics}
본 발명은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대극 및 선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은 피지와 관련이 있으며 남성 호르몬에 의해 생성된 과잉의 피지에 의해서 발병하는 질환이며,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 남성 호르몬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피지의 과잉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남성 호르몬 중의 하나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은 5-알파-리덕타아제(5α-reductase)에 의하여 활성 남성 호르몬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으로 전환되며, 이 호르몬의 비정상적인 과잉작용은 피지세포(sebocyte)에서 피지(sebum)를 과잉 생성하는 주 원인물질로 작용하여 여드름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과잉 생성을 유도하는 5-알파-리덕타아제(5α-reductase)의 활성을 억제하면 여드름을 근본적이며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생성된 피지가 모공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면 1차적인 미세면포(micro comedones)가 형성되며, 2차적으로 모공의 피지 내에 존재하는 혐기성 피부 상재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의 작용에 의하여 염증을 일으킴으로 인하여 여드름이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여드름을 치료하기 위해 피지 생성을 억제하는 항안드로겐제, 항염증제로 사용하는 비스테로이드 소염제 및 항균효과가 있는 레조시놀, 유황 및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peroxide)와 항생효과가 있는 테트라사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 매크로싸이클린 등을 이용한 여드름간균 등의 활성 억제 방법 등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레티노인산(retinoic acid) 등의 비타민 A 유도체에 의한 치료방법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들은 여드름 치료와 예방에 있어 어느 정도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피부안전성 측면에 있어서 부작용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호르몬제의 사용은 표피의 성장억제 등의 역효과를 유발할 수 있으며, 레티노인산과 벤조일 퍼옥사이드 등은 피부 자극성과 접촉성 피부염의 우려가 있고 테트라사이클린과 같은 항생물질은 내균성과 광과민 작용 등의 문제점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드름의 근본적 원인인 활성 남성 호르몬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그 생성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효소인 5알파-리덕타아제(5α-reductase)의 활성을 강력히 억제하는 동시에 여드름 악화의 주 원인균으로 알려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하여 뛰어난 항균 작용을 갖고 있으며, 장시간 사용하여도 안전성이 높은 물질을 찾기 위하여 각종 한약재를 대상으로 연구를 거듭한 결과, 기존에 사하작용 및 항균작용이 있는 대극 추출물과 면역효과 및 항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선퇴가 여드름에 대해서도 우수한 치료효과를 갖고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유효성분으로서 대극 및 선퇴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지 억제 및 우수한 여드름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대극 및 선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써 0.001 내지 1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대극 또는 선퇴 1 내지 5 부피배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가열 또는 냉침한 다음 잔사를 제거한 추출액을 농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대극 및 선퇴 0.01 내지 1 : 1 내지 0.01 중량비 혼합물에 1 내지 5부피배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가열 또는 냉침한 다음 잔사를 제거한 추출액을 농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디에틸에테르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열은 50 내지 100℃의 온도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침은 0 내지 40℃의 온도에서 1 내지 30일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단계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한약재인 대극 또는 선태의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 효과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대극은 대극과(Euphorbiaceae)에 속하는 대극(Euphorbia pekinensis Ruprecht)의 뿌리를 말하고, 우리나라 각지에서 자생하며, 유포르빈산(euphorbic acid), 유포르본(euphorbon), 유포린(euphorin) 등의 성분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사하작용, 이뇨작용, 항균작용 등이 있으며 외용으로 살균 및 살충효과 등이 인정되고 있다.
또한, 선퇴는 매미과(Cicadidae)에 속하는 말매미(Cryptotympana pustulata Fabricus) 및 근연곤충의 성충이 될 때 탈피한 껍데기를 말하고, 우리나라, 일본 및 중국 각지에서 야생하고 있으며, 다량의 키틴(chitin), 플라보노이드, 스테롤, 단백질, 유기산, 페놀류 아미노산, 지방산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항경련작용, 진정작용, 진통작용, 항알레르기작용, 항균작용이 있어 파상풍, 담마진, 화농성중이염 등에 전탕하여 복용하거나 가루 내어 외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대극 및 선퇴의 추출물은 한약재로부터 침출 또는 전출하여 제조하거나 침출액을 다시 일부 또는 전부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고, 혹은 다시 그 농축물을 건조하여 제조한 침제, 전제, 정기, 유동 엑스 등과 한약재 중에 함유되어 주 효과를 발휘하는 화학 물질 그 자체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약재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한약재를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무수 또는 함수 에탄올 또는 메탄올 추출물 중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물층의 분획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중에서도 대극의 경우 메탄올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선퇴의 경우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방법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판되고 있는 대극 및 선퇴를 구입하여 정품만을 골라 잘게 분쇄하고, 분쇄물 건조중량에 대하여 에탄올, 메탄올 등의 유기용매를 단독으로 3 내지 5배의 용 량으로 가한 뒤, 냉각콘덴서가 장치된 추출기에서 50 내지 100℃의 온도로 1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한약재를 상기 용매에 0 내지 40℃의 온도에서 1 내지 30일간 침적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이렇게 추출한 2종의 한약 추출물은 감압 농축건조기를 사용하여 완전히 건조시켜 건조분말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대극 및 선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0.00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0.001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며, 1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통상적인 제형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화장수, 크림, 로션, 스킨로션, 팩,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품 뿐만 아니라 액상비누, 고형비누, 세안 폼(foam)과 같은 인체세정제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대극 추출물의 제조
대극 100g에 70% 메탄올 150㎖를 가하고 냉각콘덴서가 달려있는 추출기에서 2시간가량 가열하여서 추출한 후 와트만(Whatmat) #2 여과지로 2번 여과하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대극 추출액을 만들었다. 이 추출물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60℃에서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건조분말 5.4g을 얻었다.
실시예 2. 선퇴 추출물의 제조
선퇴 100g에 에틸아세테이트 200㎖를 가하고 냉각콘덴서가 달려있는 추출기에서 2시간가량 가열하여서 추출한 후 와트만(Whatmat) #2 여과지로 2번 여과하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선퇴 추출액을 만들었다. 이 추출물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60℃에서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건조분말 6.7g을 얻었다.
시험예 1. 5-알파-리덕타제 활성 억제 효과 시험
8∼10 주된 수컷 랫트(Sprague-Dawley계)의 간(liver)에 완충액(0.32M sucrose, 0.1mM dithiothreitol, 20mM sodium acetate)을 첨가하여 잘게 자른 다음, 분쇄기로 분쇄하여 현탁하였고 현탁액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한 후, 부분 정제하여 본 시험예에서 사용할 5-알파-리덕타아제 효소반응 용액을 제조하였다.
5-알파-리덕타아제의 반응기질(substrate)로는 방사선 표지(radio labeled) 된 테스토스테론(3H-testosterone)을 사용하였으며, 효소반응용액 : 기질용액 : 한약추출물[대극추출물, 선퇴추출물 또는 대극과 선퇴추출물(대극과 선퇴추출물의 동량혼합물)]의 중량비를 각각 70 : 20 : 10으로 혼합하여 2분간 항온조(incubator)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후 용매를 제거하고 남은 물질을 전개용매에 녹여 박층크로마토그래피용 판(thin-layer chromatography plate)에 전개하였고, 전개된 테스토스테론의 양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양을 덴시토미터(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정량한 결과로 5-알파-리덕타아제에 의한 테스토스테론으로부터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conversion rate)을 계산하였다.
상기 결과를 대조군(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의 전환율)과 비교하여 5-알파-리덕타아제 억제율을 평가하였다.
억제율 평가 계산 방법은 하기 계산식 1을 사용하였다.
[계산식 1]
5-알파-리덕타아제 억제율(%) = [(A-B) / A ] × 100
상기 식에서 A 는 추출물 미첨가시(대조군)의 테스토스테론으로부터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이고, B 는 추출물 첨가시의 테스토스테론으로부터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이다.
상기 억제율 계산 방법에 의한 시험 결과는 하기 표 1 및 2와 같다.
[표 1]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
건조분말농도(%) 0.1 0.01 0.001 0.0001

전환율% (B)
실시예 1 9.2 13.6 48.2 73.1
실시예 2 6.8 11.7 45.2 72.3
실시예 1 + 실시예 2 1.9 8.4 42.1 70.6
[표 2] 5-알파-리덕타아제 억제율
건조분말농도(%) 0.1 0.01 0.001 0.0001

억제율(%)
실시예 1 90.8 86.4 51.8 26.9
실시예 2 93.2 88.3 54.8 27.7
실시예 1 + 실시예 2 98.1 91.6 57.9 29.4
이의 결과, 대극 및 선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은 5-알파-리덕타아제에 대해 억제 효과가 있으며, 추출물 건조분말농도 0.001% 이상에서는 억제율이 모두 50% 이상으로 그 효과가 뚜렷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여드름균에 대한 살균력 시험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각 추출물 건조분말에 대한 여드름 예방 및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먼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 균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BHI 액체 배지에서 48시간 전배양하였으며,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균 배양액을 생리식염수에 적정 농도로 희석하여 BHI 고체배지에 0.1㎖씩 도말한 후 건조시켰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각 건조분말을 멸균된 식염수에 5% 농도로 희 석하여 먼저 준비한 고체배지 위에 0.5㎖씩 점적한 후, 35℃ 혐기 배양조에서 3일간 배양한 후 집락수(N2)를 측정하였다. 한편, 대조군으로는 멸균된 식염수를 준비한 고체배지 위에 0.5㎖씩 점적한 후, 35℃ 혐기 배양조에서 3일간 배양한 후 집락수(N1)을 측정하여 각각의 살균력을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2]
여드름균에 대한 살균율(%) = (N1-N2)/N1×100
[표 3] 여드름균 살균율
시료명 N1 N2 살균율(%)
실시예 1 790 64 91.9
실시예 2 790 68 91.4
실시예 1 + 실시예 2 790 61 92.3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추출물은 여드름균에 대한 살균효과가 90%이상으로 우수한 여드름균 살균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형예 1. 화장수 제조
[표 4] 화장수 조성
성분 함량(중량%)
대극+선퇴 1.00
유동파라핀 5.0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0
밀납 4.00
글리세린 3.00
부틸렌글리콜 3.00
프로필렌글리콜 3.00
폴리솔베이트 1.5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7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0
트리에탄올아민 0.20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상기 표 4의 조성으로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3. 피지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 효과
여드름으로 고민하는 남녀 10명과 별도로 얼굴에 피지분비가 많다고 느끼는 남녀 10명을 선정하여 상기 제형예 1에 따른 처방으로 4주간 여드름 부위와 얼굴의 피지분비가 많은 곳을 매일 바르게 하였다.
효과의 판정은 시험에 참가한 본인이 느끼는 정도에 따라 점수화하였고, 피지분비 억제는 피지량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피지분비 억제 효과에 대한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고, 여드름 완화효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5] 피지분비 억제 효과
시험자 시험전피지량(㎍/㎠h) 시험 2주경과 후 시험 4주경과 후
1 77 65 63
2 55 38 43
3 35 43 45
4 88 71 62
5 71 65 55
6 23 33 38
7 48 43 44
8 65 40 46
9 79 66 61
[표 6] 여드름 완화효과
시험자
시험전 상태
효과 판정
시험 2주 경과 후 시험 4주 경과 후
1 1 - +
2 3 ++ ++
3 2 + ++
4 1 + +
5 2 - +
6 3 - ++
7 2 ++ +++
8 1 + ++
9 2 + +
10 2 + ++
* 시험 전 상태: 1-여드름 약간 있음 2-여드름 중등도 있음 3-여드름 매우 심함
* 효과 판정; -: 효과 거의 없음 +: 효과 약간 있음
++: 효과 상당히 있음 +++: 효과 매우 좋음(치료 거의됨)
상기 표 5 및 6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지를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여드름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극 또는 선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면 5-알파-리덕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활성 남성 호르몬의 생성을 억제하고, 여드름의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의 생육을 억제함으로써 피지분비를 억제하고 여드름을 개선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 의 조성물은 천연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9)

  1. 대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선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대극 및 선퇴 0.01 내지 1 : 1 내지 0.01 중량비로 이루어진 한약재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건조 중량으로써 0.001 내지 1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대극 또는 선퇴 1 내지 5 부피배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가열 또는 냉침한 다음 잔사를 제거한 추출액을 농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대극 및 선퇴 0.01 내지 1 : 1 내지 0.01 중량비 혼합물에 1 내지 5부피배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가열 또는 냉침한 다음 잔사를 제거한 추출액을 농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디에틸에테르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은 50 내지 100℃의 온도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냉침은 0 내지 40℃의 온도에서 1 내지 30일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090052889A 2009-06-15 2009-06-15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06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889A KR101106690B1 (ko) 2009-06-15 2009-06-15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889A KR101106690B1 (ko) 2009-06-15 2009-06-15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323A true KR20100134323A (ko) 2010-12-23
KR101106690B1 KR101106690B1 (ko) 2012-01-18

Family

ID=43509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889A KR101106690B1 (ko) 2009-06-15 2009-06-15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6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626B1 (ko) * 2018-10-02 2019-04-15 박노수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1054637A1 (ko) * 2019-09-18 2021-03-25 한국한의학연구원 선퇴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377B1 (ko) 2015-07-27 2017-09-05 (주)스킨러버스코스메틱 여드름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KR20180097880A (ko) 2017-02-24 2018-09-03 김종삼 편백수와 이산화염소수를 포함하며, 각종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KR102210855B1 (ko) * 2019-11-18 2021-02-01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장 누수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092A (ko) * 1996-10-14 1998-07-15 성재갑 대극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90029503A (ko) * 2007-09-18 2009-03-23 방선이 예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626B1 (ko) * 2018-10-02 2019-04-15 박노수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1054637A1 (ko) * 2019-09-18 2021-03-25 한국한의학연구원 선퇴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33216A (ko) * 2019-09-18 2021-03-26 한국 한의학 연구원 선퇴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6690B1 (ko) 201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mitris et al. Melissa officinalis ssp. altissima extracts: A therapeutic approach targeting psoriasis in mice
KR101873028B1 (ko) 허브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2367B1 (ko) 회화나무꽃 추출물의 누룩 발효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100780666B1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관중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134323A (ko)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123456A (ko) 피지생성 억제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지루성 피부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220903B1 (ko) 피부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90070455A (ko) 초임계 추출법을 이용한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10018388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879094B1 (ko) 천연 정유 성분 및 그의 하이드로졸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30184A (ko) 항 여드름 효능을 갖는 꾸지뽕나무 추출물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89409A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88665A (ko) 생강 초임계 추출물 및 발효 미나리 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2221627B1 (ko)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003920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9277A (ko) 항산화, 항염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8301B1 (ko) 복분자 추출물과,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여드름성 조성물
KR102282645B1 (ko) 천궁 및 황금 혼합 추출물 또는 이들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및 비듬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94340A (ko) 피지분비 억제용 조성물
KR101575722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균, 항염 조성물
KR20150011644A (ko) 항산화, 미백 및 항염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JP5972732B2 (ja) 抗菌剤及び皮膚外用剤
JP2008247841A (ja) 美白剤およびメラニン生成抑制剤
KR102475130B1 (ko) 펜타사이클릭 트리터펜 카페익 액씨드 에스터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