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301B1 - 복분자 추출물과,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여드름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분자 추출물과,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여드름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301B1
KR101938301B1 KR1020150115336A KR20150115336A KR101938301B1 KR 101938301 B1 KR101938301 B1 KR 101938301B1 KR 1020150115336 A KR1020150115336 A KR 1020150115336A KR 20150115336 A KR20150115336 A KR 20150115336A KR 101938301 B1 KR101938301 B1 KR 101938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cne
composition
propolis
wi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1042A (ko
Inventor
이지원
박진오
양인정
김덕하
윤철수
Original Assignee
유씨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씨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씨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5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30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1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3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6Salicaceae (Willow family), e.g. pop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여드름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복분자 추출물, 및 버드나무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높은 NO 생성 억제활성, 및 항균 활성력을 동시에 나타냄으로써, 여드름 치료에 높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분자 추출물과,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여드름성 조성물{ANTI-ACNE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RUBUS COREANUS, AND WILLOW OR PROPOLIS}
본 발명은, 복분자 추출물과,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여드름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심상성 좌창 : Acne vulgaris)은 모낭 및 피지선에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여드름 발생원인은 크게 피지분비의 증가, 모낭상피의 이상 과각질화, 및 혐기성 피부 상재균인 프로피오니 박테리움 아크네의 증식 등이 원인이라할 수 있겠으나, 이 외에도 호르몬의 불균형, 스트레스, 치우친 식생활, 몸 상태의 불량 등 신체나 정신 상태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여드름의 발생원인은 매우 복잡하다.
여드름의 진행과정을 살펴보면, 초기단계는 지나치게 분비된 피지가 모공에 쌓여 모포안이 피지의 압력으로 팽창되어 코메도(Comedo)가 되고, 모공이 막힌 것은 흰 여드름(폐쇄면포)이 되고, 모공의 끝이 조금 열려서 검게 보이는 것은 검은 여드름(개방면포)이 된다. 더욱더 여드름이 진행되면 세균이 염증을 일으켜서 피부가 붉고 좁쌀 같은 것이 생기는 홍색 구진형이 되고, 이것이 곪아서 고름을 지닌 농포형이 된다.
여드름은 90% 정도가 10대에 나타나지만, 20~30대의 성인 남녀에게도 나타나기도 한다. 10대의 여드름과 성인의 여드름은 다소의 차이를 보인다. 10대 여드름은 주로 피지분비가 왕성하게 되는 봄, 여름에 걸쳐서 이마, 얼굴전체 및 지성피부에서 발생하기 쉬운 반면, 성인 여드름의 경우는 부위가 한정되지 않고 연중 내내 발생을 되풀이 하는 경향이 있다. 성인 여드름의 원인으로 주목받는 호르몬에는 피지선을 자극해서 피지를 분비시키는 남성호르몬과 그 작용을 억제하는 여성호르몬의 균형이 붕괴되면서 피지가 과잉으로 분비되어 여드름이 발생한다.
종래에 여드름 치료를 위하여 에리스로마이신, 벤조일퍼록사이드 등의 항생제를 이용하여 여드름 균을 억제하거나, 트리클로산, 살리실산 등을 이용하여 여드름 균을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피부 정상균총을 파괴하고, 항생제 내성균을 증식키며, 여드름의 주원인 중 하나인 과도한 피지분비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근본적인 여드름 치료방법으로서는 한계가 있다.
또한,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젠을 사용하여 피지분비를 조절하여 여드름 치료를 수행해 왔으나, 호르몬제는 인체 항상성에 교란을 주어 심각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비타민 A 유도체를 이용한 피부각질 제거방법 등도 있으나, 이러한 치료방법은 어느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지만, 대부분 피부발적, 피부과민 또는 광과민 등의 부작용 및 빈번한 재발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나아가, 여드름은 대개 예외없이 염증을 수반하고 있고, 특히, 화농성 염증성 여드름의 경우, 사춘기 이후 성인에서까지 피부에 영구적인 흔적을 남기기 때문에, 여드름의 바람직한 치료를 위해서는 염증 반응을 억제해주는 것도 반드시 필요하지만, 주로 항균 효과에 의존한 제품이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최근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여드름 치료 및 예방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고,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여드름 치료 및 예방에 대한 종래의 기술은 하기 특허문헌 1 내지 4의 것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로써, 하기 특허문헌 1 내지 4의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의 배경기술로서 합체된다.
특허문헌 1은, 구아바(Psidium guajava) 과실 추출물 또는 쿤제아 에리코이데스(Kunzea ericoides) 잎 추출물 또는 이 둘 모두를 포함하는 피지샘에 피지 생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여드름의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병솔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되, 상기 병솔꽃나무의 부위별, 추출용매별 및 농도별로 최적의 항여드름균 효과를 가지는 추출물을 선정하여 함유함으로써, 여드름 증상 완화 및 예방에 유효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천연 식물인 꾸지뽕나무를 이용하여 여드름 증상을 악화시키는주요 병원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의 생육을 억제함으로써, 기존의 여드름 치료방법에 비하여 부작용이 없고, 지속적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안전성이 우수한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4는, 복분자(Rubus coreanus MIQ) 뿌리의 활성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복분자(Rubus coreanus MIQ) 뿌리의 활성분획물이 여드름의 초기 증상을 억제하는 5α-리덕타아제(5α Reductase)저해에 의한 피지 과잉생성 억제작용, 과각질화 억제작용, 진행성 여드름에 대해 유도성 나이트릭옥사이드 활성 억제작용을 나타냄으로써 여드름 예방 및 개선하는 효과를 가짐은 물론이고, 경피수분손실 억제작용에 의한 피부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복분자추출물에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를 병용하여 함유하는 복합 조성물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아니하다.
KR 공개 10-2014-0008335 A (2014.01.21.) KR 등록 10-1507889 B1 (2015.04.07.) KR 공개 10-2011-0130184 A (2011.12.05.) KR 공개 10-2014-0025239 A (2014.03.04.)
피부 질환은 대부분의 질환과 마찬가지로 염증 반응을 동반하며, 특히, 여드름의 경우 예외없이 염증을 동반한다. 따라서, 현 시장에서는 염증에 관련된 산화질소합성효소(NOS)를 직접적으로 억제하여 염증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세균(특히, 여드름 균)에 억제하여, 염증발현 효과도 있는 천연 식물을 찾아내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복분자 추출물에 버드나무 추출물, 및/또는 프로폴리스를 혼합한 복합제제가, 각각의 제제에 비해, 현저한 NO 생성 억제활성, 및 항균 활성력을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복분자 추출물, 및 버드나무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여드름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복분자 추출물 : 버드나무 추출물 = 1 : 1 ~ 4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여드름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복분자 추출물 : 프로폴리스 = 1 : 0.5 ~ 2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여드름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복분자 추출물 : 프로폴리스 추출물 : 버드나무 추출물 = 1 : 1 : 2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여드름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1 ~ 2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여드름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항균작용 및 항염작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여드름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고, 토너,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앰플, 로션, 에센스, 영양 크림, 아이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포밍 워시,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젤, 워시오프 팩, 필오프 팩, 시트상 마스크 팩, 하이드로젤 마스크 팩, 리포젤 마스크팩, 클레이 마스크 팩, 비누, 스프레이, 선 크림, 선 로션, 선 밤, 선 미스트, 비비 크림,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및 프라이머 제품 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높은 NO 생성 억제활성, 및 항균 활성력을 동시에 나타냄으로써, 여드름 치료에 높은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복분자 추출물, 및 버드나무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여드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항여드름 효과(여드름의 예방 및 치료)를 높히기 위해서는, 상기 유효성분은 복분자 추출물 : 버드나무 추출물 = 1 : 1 ~ 4 중량비로 함유하거나, 복분자 추출물 : 프로폴리스 = 1 : 0.5 ~ 2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유효성분은 복분자 추출물 : 프로폴리스 추출물 : 버드나무 추출물 = 1 : 1 : 2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서, 항균 및 항염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이해는 후술할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1 ~ 2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01 미만에서는 원하는 소기 효과를 나타낼 수 없고, 20 중량% 초과에서는, 추출물의 효과 증가 정도는 미미한데 반해, (비록 세포 독성이 문제되지 않는 범위 내일지라도) 세포 독성의 상승으로 인한 피부트러블 야기할 우려가 있을 수 있고, 유통기한을 단축시키는 등의 보관 안정성 문제나 제제화 공정 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항균작용 및 항염작용을 동시에 가질 뿐 아니라, 각 성분의 조합으로 인해, 보다 증가된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이해는 후술할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항여드름성 조성물은,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이의 비제한적인 예시로, 토너,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앰플, 로션, 에센스, 영양 크림, 아이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포밍 워시,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젤, 워시오프 팩, 필오프 팩, 시트상 마스크 팩, 하이드로젤 마스크 팩, 리포젤 마스크팩, 클레이 마스크 팩, 비누, 스프레이, 선 크림, 선 로션, 선 밤, 선 미스트, 비비 크림,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및 프라이머 제품 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권리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한다.
실시예
복분자 추출물의 제조
복분자 뿌리를 정제수로 세척, 건조하고 세절하였다. 정제수와 에탄올 3 : 7 혼합용매를 약 10배 부피량으로 가하여 추출하였다. 냉각콘덴서를 장착하여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였고, 60 내지 80℃ 온도를 유지하면서 12시간동안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였고, 잔사는 같은 방법으로 1회 더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상온으로 냉각하여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Buchi Rotavapor R-124, Water Bath B-480 Made in switzerland, Eyela A-3S Tokyo rikakikai)를 사용하여 60∼80℃로 유지하면서 증류하였으며, 이때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회수하면서 감압농축한 후에, 동결건조시켜 복분자 뿌리의 추출물 분말을 얻었다.
버드나무 추출물의 제조
버드나무 표피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모두 동일한 과정을 거쳐 동결건조 분말을 얻었다.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제조
프로폴리스 원괴를 물로 깨끗이 세척하고, 주정과 절단된 프로폴리스 원괴를 교반기에 넣어 교반시켜 프로폴리스를 추출한 후, 이를 필터에 통과시키고 농축 및 건조과정을 거쳐 프로폴리스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된 추출물을 가지고,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은 배합비율로 섞어, 다양한 배합비율의 추출물 베이스를 각각 제조하였다.
혼합 중량비
샘플 이름 Y1 Y2 Y3 Y4 Y5 Y6 Y7
복분자
추출물
1 - - 1 1 1 2
프로폴리스 추출물 - 1 - 1 1 2 1
버드나무 추출물 - - 1 1 2 1 1
혼합 중량비
샘플 이름 Y8 Y9 Y10 Y11 Y12 Y13
복분자
추출물
1 1 2 1 1 2
프로폴리스 추출물 1 2 1 - - -
버드나무 추출물 - - - 1 2 1
상기 제조된 추출물 베이스에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방한 부형제 등을 섞어 화장료 조성물을 최종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원료명 함량 (wt%)
잔량
글리세린 10
1,3-부틸렌글라이콜 10
EDTA-2Na 0.05
Oil 20
Y5 추출물 베이스 0.1
실시예 2
원료명 함량 (wt%)
잔량
글리세린 10
1,3-부틸렌글라이콜 10
EDTA-2Na 0.05
Oil 20
Y5 추출물 베이스 5
실험예
상기 제조된 추출물 베이스(농도 1wt%, 5wt%)에 대해서, 하기와 같은 NO 생성 억제 효과 측정 실험, 세포 독성 평가 시험, 및 항균력 시험을 시행하였다.
NO(Nitro oxide) 생성 억제 효과 실험
활성 산소 중 하나이며, 염증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NO의 생성량을 griess reagent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 확인 방법:
① RAW264.7 세포를 DMEM 배지를 이용하여 1.0×105 cell/㎖로 조절한 후 48 well plate에 접종하고, 18시간 전배양하였다.
② 시험물질과 LPS (1㎍/㎖)를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동시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③ 세포배양 상등액 100㎕와 Griess 시약 100㎕를 혼합하여 96 well plate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의 형태로 측정하였다.
* Positive control:2-Amino-4-methylpyridine (10uM)
세포독성 평가( MTT assay) 실험
살아있는 세포들이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rtrazolium bromide)를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탈수소 효소의 환원 작용으로 bule formazon product로 전환시키고, 이 형성된 청색의 생성물을 용매(solvent)로 용출하여 ELISA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살아있는 세포의 상대적 growth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확인 방법은 아래와 같았다.
- 확인 방법:
① RAW264.7 세포를 DMEM 배지를 이용하여 1.0×105 cells/㎖로 조절한 후 48 well plate 에 접종하고, 18시간 전배양하였다.
② 시험물질과 LPS (1 ㎍/㎖)를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동시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③ MTT solution(2 ㎎/㎖)을 100 ㎕를 가하고 37℃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④ 배지를 제거하고 300 ~ 500 ㎕정도의 DMSO로 생성된 결정을 녹였다(pipetting).
⑤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상과 같이, 대식세포에서 복분자뿌리추출물, 프로폴리스추출물, 버드나무추출물의 LPS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성인자인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고, 결과는 하기 표 5(농도별 NO 생성 억제 효과)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NO production ( % ) cell viability ( % )
LPS (-) -6.44 114.0
LPS (+) 100.00 100.0
2-Am 10 uM 0.51 100.6
Y1 1.0 % 89.72 100.1
5.0 % 58.98 96.1
Y2 1.0 % 81.06 92.8
5.0 % 51.81 84.1
Y3 1.0 % 74.58 88.6
5.0 % 25.46 81.2
Y4 1.0 % 61.20 108.1
5.0 % 30.42 105.5
Y5 1.0 % 41.20 110.9
5.0 % 2.13 108.1
10 % 1.73 102.2
Y6 1.0 % 63.15 108.5
5.0 % 14.03 105.8
Y7 1.0 % 69.26 108.1
5.0 % 22.50 105.5
Y8 1.0 % 74.62 102.5
5.0 % 48.13 101.3
Y9 1.0 % 85.53 102.1
5.0 % 29.57 101.0
Y10 1.0 % 65.01 102.6
5.0 % 35.65 101.8
Y11 1.0 % 66.48 101.8
5.0 % 26.07 100.9
Y12 1.0 % 48.23 101.1
5.0 % 7.79 100.0
Y13 1.0 % 77.84 101.8
5.0 % 22.79 100.0
각각의 추출물 처리시 모두 NO 생성억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각각의 추출물 중 버드나무 추출물이 가장 높은 NO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복분자 추출물에 프로폴리스, 또는 버드나무 추출물을 혼합함으로써, NO 생성억제 활성이 높아짐은 물론, 세포에 대한 독성이 낮아지는 놀라운 발견을 하였는 바, 각각의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이들의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복합추출물 처리시 복분자뿌리추출물: 프로폴리스추출물: 버드나무추출물 처리비율이 1:1:2 일 때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가장 독성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전반적으로 추출물의 1% 넘어 농도가 진해질 수도록 독성도 증가하였는 바, 독성과 NO 억제활성을 고려한 추출물의 농도는 0.001wt% ~ 20 wt% 범위가 바람직할 것으로 보이고, 1 wt% ~ 10 wt%가 보다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여드름균 항균 효과 시험
항균력 효과 검정시험으로 액체 배양 희석법과 Paper disc method법에 의하여 항균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균주는 한국유전자은행으로부터 분양 받았으며, 균주는 여드름의 원인균인 Propionibacterium acnes (KCTC 3314)로 실험 방법과 결과는 하기와 같다.
상기 시료를 포함하는 추출물의 항균력을 측정하기 위해 고체 배양 희석법(Agar Serial Dilution Method)을 이용하여 최소 저해 농도를 측정하였다. 배양배지는 Reinforced clostridial 배지(Merck, Germany)를 사용하였으며, 균을 배양배지에 접종한 후 혐기조건, 37℃ incubator에서 3일동안 혐기성 배양하였다.
먼저 72시간 배양한 균주를 조절하여 1.5 x 108 cfu/ml로 희석하고 각 well에 접종한 후 각 시료를 농도별로 준비하여 처리하였다. 균 희석액 및 시료를 접종한 well plate를 혐기조건에서 3일간 배양 후 균의 생육이 나타나지 않는 최소 농도를 최소저해농도(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로 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이때, 최소저해농도는 값이 작을수록 항균효과가 높음을 의미한다.
시료명 최소저해농도(MIC, %)
Y1 2.5
Y2 5
Y3 2.5
Y4 1.5
Y5 1
Y6 1.5
Y7 1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분자뿌리 추출물, 프로폴리스추출물, 버드나무추출물의 단일 조성보다 복합조성 처리시 여드름 균주에 대한 더 강력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시료를 포함하는 추출물들의 여드름 균주 저해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Paper disc method법에 의하여 다음와 같이 실험 하였다. RC 평판 배지에 배양된 각 균주를 1 백금이량 취해서 RC 액체 배지 10 mL에서 3일 배양하여 활성화시킨 후 RC 평판배지 1개당 균액을 약 107 cfu/mL이 되게 접종하여 멸균된 도발봉으로 균일하게 도말하였다. 그 후 멸균된 paper disc(6 mm, Satorius, Germany)를 고체 평판 배지에 올려놓은 다음 용매에 녹인 시료를 5mg/disc가 되도록 흡수시켜 혐기조건으로 37℃ 3일 배양하였다. 비교군으로 항균활성이 강력하다고 알려진 합성 방부제인 Triclosan을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이 때, disc주위의 투명존은 해당 균주에 대해 증식억제 정도의 지표이며, 직경이 클수록 해당 균주에 대해 항균력 효과가 높음을 의미한다.
시료명 투명존 직경(mm)
Y1 7.2
Y2 7.5
Y3 9.3
Y4 10.6
Y5 12.5
Y6 10.8
Y7 13.2
Triclosan 21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분자뿌리 추출물, 프로폴리스추출물, 버드나무추출물의 단일 조성보다 복합조성 처리시 여드름 균주에 대한 더 강력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여드름 예방 및 개선에 대한 임상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에센스의 여드름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의 방법으로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로는 얼굴에 여드름을 가지고 있는 10대 후반 내지 30대 초반 사이의 남녀 50명을 선정하였다. 실시예 1의 에센스는 얼굴 좌측, 비교 제제예 1의 에센스는 얼굴 우측에 아침, 저녁으로 1일 2회 도포하여 8주간 여드름 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판정방법은 실험 시작 전의 피시험자의 피부상태, 여드름의 상태에 따라 일정한 등급을 매기고 사진촬영을 하였고, 8주 후 여드름예방 및 개선 정도를 사진촬영 및 육안관찰에 의해 판정하였으며, 판정기준은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등급 피부상태 판정기준
0 정상적인 상태
1 면포의 수가 매우 작거나 염증이 진행되지 않은 상태
2 면포의 수나 크기가 중간정도로 염증이 진행되지 않은 상태
3 적은 수의 염증성 구진이 존재하는 상태
4 작고 광범위한 결정 및 염증성 면포가 존재하는 상태
5 적은 수 및 작은 크기의 구진성 결절이 존재하는 상태
6 중간정도의 염증성 결절이 존재하는 상태
7 많은 수의 염증성 결절이 존재하는 상태
8 심한 결절성 면포가 존재하는 상태
9 심한 낭포 및 염증성 결절이 존재하는 상태
임상시험 결과에 대한 판단은, 상기 표 7의 판정기준으로 피시험자의 여드름에 대한 등급이 3등급 이상의 감소를 나타내면 '효과우수'로 판단하고, 1 내지 2 등급의 감소를 나타내면 '효과중간'으로 판단하고, 감소가 나타나지 않으면 '효과없음'으로 판단하고, 시험전의 등급보다 시험후의 등급이 높으면 '악화됨'으로 판단한다.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에센스의 여드름 예방 및 개선효과
에센스 구분 효과우수 효과중간 효과없음 악화됨 부작용
실시예 1 시험군 (n=50) 36(72%) 12(24%) 2(4%) 0 0
실시예 2 시험군 (n=50) 42(84%) 7(14%) 1(2%) 0 0
비교예 대조군 (n=50) 0 5(10%) 37(74%) 8(16%) 0
* 비교예는 실시예 1,2의 기본 처방에 추출물 베이스만을 넣지 않은 것
상기 임상결과에서 나타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는 비교예에 비하여 여드름 개선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7)

  1. 복분자 추출물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면서,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버드나무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더 함유하며, 이들 유효성분을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1 내지 20 중량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여드름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복분자 추출물 : 프로폴리스 추출물 : 버드나무 추출물 = 1 : 0.5 ~ 2 : 0.5 ~ 2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여드름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항균작용 및 항염작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여드름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의 조성물을 포함하고,
    토너,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앰플, 로션, 에센스, 영양 크림, 아이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포밍 워시,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젤, 워시오프 팩, 필오프 팩, 시트상 마스크 팩, 하이드로젤 마스크 팩, 리포젤 마스크팩, 클레이 마스크 팩, 비누, 스프레이, 선 크림, 선 로션, 선 밤, 선 미스트, 비비 크림,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및 프라이머 제품 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115336A 2015-08-17 2015-08-17 복분자 추출물과,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여드름성 조성물 KR101938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336A KR101938301B1 (ko) 2015-08-17 2015-08-17 복분자 추출물과,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여드름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336A KR101938301B1 (ko) 2015-08-17 2015-08-17 복분자 추출물과,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여드름성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152A Division KR101974556B1 (ko) 2018-04-30 2018-04-30 복분자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여드름성 조성물
KR1020180143205A Division KR102089767B1 (ko) 2018-11-20 2018-11-20 복분자 추출물 및 버드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여드름성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042A KR20170021042A (ko) 2017-02-27
KR101938301B1 true KR101938301B1 (ko) 2019-01-14

Family

ID=58315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336A KR101938301B1 (ko) 2015-08-17 2015-08-17 복분자 추출물과,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여드름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3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009A (ko) 2020-10-14 2022-04-22 나명일 겨울딸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681B1 (ko) * 2017-08-25 2019-06-17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소포로리피드, 윈터체리뿌리, 고수 및 프로폴리스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여드름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0184A (ko) 2010-05-27 2011-12-05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항 여드름 효능을 갖는 꾸지뽕나무 추출물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A2823534C (en) 2010-12-28 2018-09-11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psidium guajava extract and a kunzea ericoides extract for providing sebum control and treating acne
KR102062854B1 (ko) 2012-08-22 2020-01-07 유씨엘 주식회사 복분자 뿌리의 활성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07889B1 (ko) 2014-11-04 2015-04-07 한국콜마주식회사 병솔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여드름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009A (ko) 2020-10-14 2022-04-22 나명일 겨울딸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042A (ko) 201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5339A (ko) 여드름 치료용 크림 조성물
KR101460569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피부미백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97160B1 (ko)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68290B1 (ko)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애기수영 및/또는 대황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938301B1 (ko) 복분자 추출물과,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여드름성 조성물
JP2008184416A (ja) 皮膚外用剤、細胞賦活剤、抗酸化剤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40025239A (ko) 복분자 뿌리의 활성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7528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79094B1 (ko) 천연 정유 성분 및 그의 하이드로졸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38053B1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20100134323A (ko)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5520869B (zh) 含有红参浓缩液的粉刺改善用组合物
KR20110130184A (ko) 항 여드름 효능을 갖는 꾸지뽕나무 추출물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7765A (ko) 렌틸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KR20080001031A (ko) 하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92724A (ko) 항염 진정효과가 우수한 병풀추출물 함유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공정
KR101974556B1 (ko) 복분자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여드름성 조성물
KR102089767B1 (ko) 복분자 추출물 및 버드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여드름성 조성물
KR20180082058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5591A (ko) 부아메라열매오일과 클로브꽃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3098A (ko) 영실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생물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4746B1 (ko) 여드름 개선용 한방조성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34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725

Effective date: 201801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