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626B1 -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626B1
KR101968626B1 KR1020180117328A KR20180117328A KR101968626B1 KR 101968626 B1 KR101968626 B1 KR 101968626B1 KR 1020180117328 A KR1020180117328 A KR 1020180117328A KR 20180117328 A KR20180117328 A KR 20180117328A KR 101968626 B1 KR101968626 B1 KR 101968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arts
skin
liqui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수
Original Assignee
박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수 filed Critical 박노수
Priority to KR1020180117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7Gnetophyta, e.g. Ephedraceae (Mormon-te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연교(連翹)추출물, 마황(麻黃)추출물, 대황(大黃)추출물, 황금(黃芩)추출물 및 천궁(川芎)추출물 중 하나 이상과, 활석(滑石)추출물, 감초(甘草)추출물 및 선퇴(蟬退)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약재를 증류하는 단계; 및 상기 증류하는 단계에 의하여 얻어지는 액상 조성물에 대한 멸균을 실시하는 단계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종래에 한방에서 피부에 사용되지 않던 재료인 연교추출물, 마황추출물, 대황추출물, 황금추출물 등을 이용하면서 약재를 통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억제, 멜라닌(melanin) 합성 억제, 및 멜라닌 과립분비 억제 등의 효과를 통해 피부의 미백, 보습, 주름 개선, 독성 배출, 항균 등에 우수한 효능을 갖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MATERIAL FOR WHITENING OF SKIN COMPRISING ORIENTAL MEDIC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실시예들은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교(連翹)추출물, 마황(麻黃)추출물, 대황(大黃)추출물, 황금(黃芩)추출물, 천궁(川芎)추출물, 활석(滑石)추출물, 감초(甘草)추출물, 선퇴(蟬退)추출물 등 한의사 처방의 한약재를 주 성분으로 하여 피부의 미백 효과를 갖는 조성물의 제조 기술에 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업무 또는 육아나 가사에서 오는 스트레스로 인한 감정 변화, 빈약한 식생활, 불규칙하고 부족한 수면, 여성호르몬, 경구피임약, 및 체내 독소 제거 기능의 저하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피부의 색 반점이나 색소 침착 등 다양한 피부 트러블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환경적인 먼지 오염, 수술 후 또는 출산 후 불충분한 회복, 부인과 염증, 간 및 신장의 결핍, 원활하지 않은 기혈 순환, 유전적 원인 등과 같은 요인들로 인하여 황변 피부가 발생하거나 및 주름의 발생이 증가할 수도 있다.
또한, 위와 같은 환경적인 요인들로 인하여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의 발생도 증가하고 있는데, 아토피성 피부염이란 가렵고, 건조하고, 민감한 피부로 인해 피부에 붉은 발진, 진물 등이 생기거나, 피부가 건조해지거나, 피부가 두꺼워지고 인설(비듬 같은 피부껍질)이 생기는 등의 현상으로 인해 많은 사람을 괴롭게 하는 증후군을 말한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팔꿈치 안쪽, 무릎의 뒤쪽, 목 등 관절의 안쪽에 주로 발생하며, 5세 이하의 아이들에게서 3 내지 5%의 빈도로, 많게는 10%까지의 빈도로 나타나고 있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약을 함유하는 다양한 스킨케어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공보 제10-1523554호는 아토피 피부질환의 개선을 위한 한방비누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한약재 기반의 제품들은 피부의 미백, 보습 및 주름 개선 등에 있어서 별반 두드러지는 효능을 보이지 못하고 있으며, 그 효능이 객관적으로 입증되지 못한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3554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종래에 한방에서 피부에 사용되지 않던 재료인 연교(連翹)추출물, 마황(麻黃)추출물, 대황(大黃)추출물, 황금(黃芩)추출물, 천궁(川芎)추출물 등과, 피부 치료 효능을 가진 활석(滑石)추출물, 감초(甘草)추출물, 선퇴(蟬退)추출물 등 한의사 처방의 한약재를 이용하며,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억제, 멜라닌(melanin) 합성 억제, 및 멜라닌 과립분비 억제 등의 기전을 통해 피부의 미백, 보습, 주름 개선, 독성 배출, 항균 등에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연교(連翹)추출물, 마황(麻黃)추출물, 대황(大黃)추출물, 황금(黃芩)추출물 및 천궁(川芎)추출물 중 하나 이상과, 활석(滑石)추출물, 감초(甘草)추출물 및 선퇴(蟬退)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피부에 도포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연교추출물, 마황추출물, 대황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천궁추출물을 1:1:1:2:1의 중량 비율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활석추출물, 감초추출물 및 선퇴추출물을 40:30:8의 중량 비율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활석(滑石)추출물 20/141 중량부, 감초(甘草)추출물 15/141 중량부, 석고(石膏)추출물 10/141 중량부, 황금(黃芩)추출물 10/141 중량부, 길경(桔梗)추출물 10/141 중량부, 방풍(防風)추출물 5/141 중량부, 천궁(川芎)추출물 5/141 중량부, 당귀(當歸)추출물 5/141 중량부, 적작약(赤芍藥)추출물 5/141 중량부, 대황(大黃)추출물 5/141 중량부, 마황(麻黃)추출물 5/141 중량부, 박하(薄荷)추출물 5/141 중량부, 연교(連翹)추출물 5/141 중량부, 망초(芒硝)추출물 5/141 중량부, 형개(荊芥)추출물 5/141 중량부, 백출(白朮)추출물 5/141 중량부, 치자(梔子)추출물 5/141 중량부, 생강(生薑)추출물 4/141 중량부, 금은화(金銀花)추출물 4/141 중량부, 현삼(玄蔘)추출물 4/141 중량부 및 선퇴(蟬退)추출물 4/141 중량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연교추출물, 마황추출물, 대황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천궁추출물 중 하나 이상과, 활석추출물, 감초추출물 및 선퇴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약재를 증류하는 단계; 및 상기 증류하는 단계에 의하여 얻어지는 액상 조성물에 대한 멸균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재를 증류하는 단계에서, 상기 약재는 연교추출물, 마황추출물, 대황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천궁추출물을 1:1:1:2:1의 중량 비율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재를 증류하는 단계에서, 상기 약재는 활석추출물, 감초추출물 및 선퇴추출물을 40:30:8의 중량 비율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재를 증류하는 단계에서, 상기 약재는 활석추출물 20/141 중량부, 감초추출물 15/141 중량부, 석고추출물 10/141 중량부, 황금추출물 10/141 중량부, 길경추출물 10/141 중량부, 방풍추출물 5/141 중량부, 천궁추출물 5/141 중량부, 당귀추출물 5/141 중량부, 적작약추출물 5/141 중량부, 대황추출물 5/141 중량부, 마황추출물 5/141 중량부, 박하추출물 5/141 중량부, 연교추출물 5/141 중량부, 망초추출물 5/141 중량부, 형개추출물 5/141 중량부, 백출추출물 5/141 중량부, 치자추출물 5/141 중량부, 생강추출물 4/141 중량부, 금은화추출물 4/141 중량부, 현삼추출물 4/141 중량부 및 선퇴추출물 4/141 중량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증류하는 단계 전에, 상기 약재를 증류수 또는 육각수에 담가 두어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멸균을 실시하는 단계는, 상기 액상 조성물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 또는 상기 액상 조성물을 냉각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멸균을 실시하는 단계 후에, 불순물 제거를 위하여 상기 액상 조성물을 필터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액상 조성물을 필터에 통과시키는 단계는, 복수 회 반복 수행되며, 회차가 증가될 때마다 상기 액상 조성물이 통과하는 필터의 밀도를 증가시키면서 반복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액상 조성물을 필터에 통과시키는 단계는 상온에서 수행되며,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반복 수행되는 상기 액상 조성물을 필터에 통과시키는 단계 사이에 상기 액상 조성물을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멸균을 실시하는 단계 후에, 상기 액상 조성물을 용기 내에 수용하여 밀봉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된 상기 액상 조성물을 증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증탕하는 단계 후에, 상기 용기 내의 상기 액상 조성물을 적외선에 의해 살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종래에 한방에서 피부에 사용되지 않던 재료인 연교(連翹)추출물, 마황(麻黃)추출물, 대황(大黃)추출물, 황금(黃芩)추출물 및 천궁(川芎)추출물 중 하나 이상과, 피부 치료 효능을 가진 활석(滑石)추출물, 감초(甘草)추출물 및 선퇴(蟬退)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억제, 멜라닌(melanin) 합성 억제, 및 멜라닌 과립분비 억제 등의 기전을 통해 피부의 미백, 보습, 주름 개선, 피부 치료 등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여드름, 염증, 고름과 같은 피부의 독성 배출과, 기미, 아토피, 가려움증, 알레르기, 두드러기, 피부열감, 피부의 붉은기(홍조) 등의 피부 트러블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가지며, 또한 항균 작용을 가져 피부의 여드름 개선이나 모공의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도포 전의 환자의 피부 사진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약 6개월 이상 도포한 후의 환자의 피부 사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도포 전의 환자의 피부 사진에서 색상값을 추출한 위치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도포 후의 환자의 피부 사진에서 색상값을 추출한 위치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5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도포 전후의 환자의 피부색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도포 전후의 환자의 피부색을 흑백으로 변환하여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한방 약재를 소정의 중량 비율로 조합한 약재를 준비한다(S1). 이때 약재는 연교(連翹)추출물, 마황(麻黃)추출물, 대황(大黃)추출물, 황금(黃芩)추출물 및 천궁(川芎)추출물 중 하나 이상과, 활석(滑石)추출물, 감초(甘草)추출물 및 선퇴(蟬退)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연교추출물, 마황추출물, 대황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천궁추출물 등은 주로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다. 먼저, 연교추출물은 악티게닌(arctigenin) 성분을 포함하여 자외선, 스트레스, 오염물질 등에 의해 피부 내 색소침착(기미, 주근깨 생성)을 야기하는 멜라닌(melanin)의 과생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가 높아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갖는다. 연교추출물의 악티게닌은 피부 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미백, 화농성 피부질환, 항산화, 항주름 등의 효과를 가져 생리 활성에 도움이 되고, 노화 방지에 유용하며 광범위한 항균, 항염증에 도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연교추출물은 피부가 면역 보호벽을 만들 수 있게 도와주고 모세 혈관의 투과성을 높여 혈관과 피부 세포 사이의 영양분 교환이 활발해질 수 있도록 하며, 여드름 발생을 낮추고 피지선으로부터의 피지 분비를 억제하여 지성 피부의 여드름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황추출물은 마그노리그난(magnolignan) 성분을 포함하여 티로시나아제의 성숙을 막고 세포막 안의 티로시나아제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대황추출물은 라폰티신(rhaponticin) 성분을 포함하여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고 피부 미백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황금추출물은 멜라닌 색소 생성 효소인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자외선을 차단 및 미백 효과가 있고,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노화를 지연시키고 피부 진정 및 항염, 향균 작용을 하며, 아토피 피부에도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천궁추출물은 피부의 기미, 주근깨, 잡티 등의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한편, 활석추출물, 감초추출물 및 선퇴추출물은 피부 치료에 주로 효능을 가지는 약재들이다. 먼저 활석추출물은 피부의 습진, 습창, 피부병 등의 치료 효능이 있고, 열 치료에 유용하며, 새살이 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감초추출물은 감초의 주성분인 글리시리진(glycyrrhizic)을 포함하여 파상풍 독소, 뱀독, 복어독 등에 대한 해독 효능이 있고 항염증 효능도 있다. 또한, 두드러기, 습진, 아토피,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등 각종 피부질환 개선 효능이 있으며, 인체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간 기능 개선에 의한 만성피로회복 및 혈색을 맑게 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감초 추출물의 주 구성 성분인 글라블리딘(glabridin)은 피부에 대한 항염 작용과 티록시나아제 억제 및 멜라닌 합성 억제에 의한 미백 작용을 한다. 또한, 글리시리진산(glycyrrhizinic acid) 및 글리시레틴산(glychrrhetinic acid) 또한 항염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감초추출물은 피부 진정, 항알러지, 항균, 항산화, 피부종양방지, 히아루론산분해효소억제, 노화 방지, 항균, 중금속 해독, 항염, 여드름 방지, 미백, 면역 촉진, 비듬 방지, 혈관신생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억제, 및 태양광 차단 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선퇴추출물은 열을 제거하고 해독하는 효과가 있으며, 피부 두드러기, 발진, 가려움, 풍진(발진성피부전염병), 종기 및 곪는 증상의 각종 피부 질환에 효과적이고, 다른 약재와 함께 사용 시 항알레르기 작용이 생겨 두드러기 예방에 효과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약재는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연교추출물, 마황추출물, 대황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천궁추출물 중 하나 이상과, 피부 치료 효과가 있는 활석추출물, 감초추출물 및 선퇴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이러한 약재들의 적절한 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피부의 미백, 보습 및 주름 개선 등의 효과를 갖는다. 예를 들어, 약재는 연교추출물, 마황추출물, 대황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천궁추출물을 1:1:1:2:1의 중량 비율로 포함한다. 또는, 약재는 활석추출물, 감초추출물 및 선퇴추출물을 40:30:8의 중량 비율로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약재는 활석추출물 20/141 중량부, 감초추출물 15/141 중량부, 석고(石膏)추출물 10/141 중량부, 황금추출물 10/141 중량부, 길경(桔梗)추출물 10/141 중량부, 방풍(防風)추출물 5/141 중량부, 천궁추출물 5/141 중량부, 당귀(當歸)추출물 5/141 중량부, 적작약(赤芍藥)추출물 5/141 중량부, 대황추출물 5/141 중량부, 마황추출물 5/141 중량부, 박하(薄荷)추출물 5/141 중량부, 연교추출물 5/141 중량부, 망초(芒硝)추출물 5/141 중량부, 형개(荊芥)추출물 5/141 중량부, 백출(白朮)추출물 5/141 중량부, 치자(梔子)추출물 5/141 중량부, 생강(生薑)추출물 4/141 중량부, 금은화(金銀花)추출물 4/141 중량부, 현삼(玄蔘)추출물 4/141 중량부 및 선퇴추출물 4/141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량부는 약재 전체의 중량을 1로 하였을 경우 각 약재의 상대적인 중량 비율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활석은 통상 곱돌이라고 지칭되며 마그네슘, 규산염, 수산화이온이 들어 있는 규산염 광물을 의미한다. 또한, 감초는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북동부와 시베리아, 몽골, 중국 북부 등지에 분포하는 식물을 의미한다. 또한, 석고는 유산염류강에 속한 천연의 함수유산칼슘을 의미한다. 또한, 황금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인 황금의 뿌리를 지칭한다. 또한, 길경은 초롱꽃과의 도라지의 뿌리를 지칭한다. 또한, 방풍은 산형과 방풍의 뿌리를 건조 한 것을 지칭한다. 또한, 천궁(川芎)은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인 궁궁이의 뿌리를 말린 것을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당귀는 당귀 뿌리를 온수 처리하여 말린 것을 지칭한다. 또한, 적작약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적작약(paeonia lactiflora pallas)의 뿌리를 말린 것을 지칭한다. 또한, 대황은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의 이름이다. 또한, 마황은 마황속(ephedra)의 식물을 지칭한다. 또한, 박하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박하의 줄기와 잎을 지칭한다. 또한, 연교는 물푸레나무과의 의성개나리, 산개나리의 열매를 지칭한다. 또한, 망초는 황산나트륨과 식염,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등이 혼재된 결정체이다. 또한, 형개는 꿀풀과의 한해살이풀의 이름이다. 또한 백출은 화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흰삽주의 뿌리줄기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치자는 꼭두서니과의 늘푸른떨기나무 치자나무의 열매이다. 또한, 생강은 생강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또한, 금은화는 이동과의 덩굴성 갈잎떨기나무 인동덩굴의 꽂봉오리이다. 또한, 현삼은 현삼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현삼의 뿌리이다. 또한, 선퇴는 곤충 매미의 허물을 의미한다. 전술한 것 외에,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의미를 정의하지 않은 약재의 명칭은 해당 명칭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의도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것과 같은 배합을 가진 약재가 준비된 후 일단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S2). 불순물 제거를 위한 과정의 일 예로서, 약재를 증류수나 육각수에 수 일(예컨대, 2 내지 3일) 동안 담가둘 수 있다. 육각수란 자화 또는 이온 투여 등의 방법에 의하여 물 분자들이 6각 고리 구조를 이루게 된 물을 지칭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불순물 제거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불순물이 제거되면 약재를 증류한다(S3). 예를 들어, 약재를 약탕기에 넣고 소정의 시간(예컨대, 240분) 동안 끓이며, 끓이는 과정에서 증류되는 증류수를 비커 등 별도의 용기에 모음으로써 정제된 액상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약탕기에 의해 약재를 증류하고 증류수를 비커에 모으는 과정은 동일한 약재에 대해 복수 회(예컨대, 3회) 반복 진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약재를 증류시킨 액상 조성물에 대한 멸균 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 멸균 과정은 액상 조성물을 소정의 시간(예컨대, 약 15 내지 20분) 동안 압력기에 넣는 압축 멸균 과정 및/또는 액상 조성물을 0℃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냉동 멸균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액상 조성물을 압력기에서 20분 이상 압축 멸균시킨 후(S4), 이를 냉동시켜 냉동 멸균할 수 있다(S5).
일 실시예에서는, 멸균 과정의 실시 후 다시 상온 상태로 녹인 액상 조성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추가로 실시한다. 불순물의 제거는 멸균된 액상 조성물을 필터로 거르는 것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S6). 필터에 의한 거름 과정은 복수 회 실시될 수 있으며, 각 실시 회수 사이에 액상 조성물을 냉동시키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액상 조성물을 필터로 거른 후(S6), 액상 조성물을 소정 시간(예컨대, 24시간) 냉동시켰다가, 다시 상온에서 필터로 거르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7).
이상의 단계 S6 내지 S7은 복수 회(예컨대, 3회) 반복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거름 과정의 회차가 더해질수록 더 밀도가 높은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더욱 정밀하게 불순물을 제거한다.
이상의 증류, 멸균 및 불순물 제거에 의해 약재가 액상으로 정제되면, 정제된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보관을 위하여 적절한 용량으로 분할할 수 있다(S8).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을 용량 각 50cc의 복수의 병에 분할한 후 밀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인 살균을 위하여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담긴 병을 압력기로 증탕하고(S9), 증탕된 상기 조성물을 적외선에 소정의 시간(예컨대, 하루 정도) 동안 노출시켜 살균시킬 수도 있다(S10). 본 명세서에서 증탕이란, 병 등 용기에 담긴 약재가 일정한 온도로 서서히 달여지도록 함으로써 영양분의 파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하는 가열 방식을 지칭한다.
적외선 살균까지 완료된 후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사용을 위하여 피부에 도포되기 전까지 영하의 온도에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연교추출물, 마황추출물, 대황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천궁추출물 중 하나 이상과, 활석추출물, 감초추출물 및 선퇴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연교추출물, 마황추출물, 대황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천궁추출물의 1:1:1:2:1의 중량 비율을 갖거나, 활석추출물, 감초추출물 및 선퇴추출물의 40:30:8의 중량 비율을 갖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활석추출물 20/141 중량부, 감초추출물 15/141 중량부, 석고추출물 10/141 중량부, 황금추출물 10/141 중량부, 길경추출물 10/141 중량부, 방풍추출물 5/141 중량부, 천궁추출물 5/141 중량부, 당귀추출물 5/141 중량부, 적작약추출물 5/141 중량부, 대황추출물 5/141 중량부, 마황추출물 5/141 중량부, 박하추출물 5/141 중량부, 연교추출물 5/141 중량부, 망초추출물 5/141 중량부, 형개추출물 5/141 중량부, 백출추출물 5/141 중량부, 치자추출물 5/141 중량부, 생강추출물 4/141 중량부, 금은화추출물 4/141 중량부, 현삼추출물 4/141 중량부 및 선퇴추출물 4/141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종래에 한방에서 피부에 사용되지 않던 재료인 연교추출물, 마황추출물, 대황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천궁추출물 등과, 피부 치료 효능을 가진 활석추출물, 감초추출물 및 선퇴추출물 등을 포함함으로써,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멜라닌 합성 억제, 및 멜라닌 과립분비 억제 등의 기전을 통해 피부의 미백, 보습, 주름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액상 조성물 형태의 약재와 유상(oil phase) 성분이 혼합되어 피부에 도포되기 위한 크림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액상 조성물과 유상 성분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계면활성제 및 그 외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자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제조된,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한의원에 피부 트러블로 내원한 환자들을 선별하고 실시예들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미스트 형태로 환자의 피부에 도포하여 미백, 보습 및 주름 개선 효과에 대한 시험을 하였다.
하기 표 1은 연령 및 성별이 무작위로 선별된 20명의 환자에게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일정 기간 피부에 도포하고 도포 전과 후의 경과를 각 환자 별로 1점 내지 5점 사이에서 평가하도록 한 것으로서, 점수가 많을수록 효과가 큰 것을 나타낸다.
피험자 사용 후 미백의 점수는?
(1점 ~ 5점)
사용 후 보습의 점수는?
(1점 ~ 5점)
사용 후 주름개선 효과가 느껴지셨나요? (1점 ~ 5점)
1 5 4 3
2 4 4 4
3 4 5 3
4 5 4 5
5 5 5 5
6 4 5 4
7 5 5 5
8 4 3 3
9 4 4 3
10 5 4 4
11 4 4 5
12 5 4 3
13 4 5 4
14 5 4 4
15 4 4 5
16 4 5 4
17 5 4 4
18 4 4 4
19 5 4 5
20 4 5 5
평균 4.45 4.3 4.1
상기 표에 기재된 것과 같이, 5점 만점의 평가표에 대하여 미백 효과는 평균 4.45점, 보습 효과는 평균 4.3점, 주름 개선 효과는 평균 4.1점으로 평가되어,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평가표의 중간값인 3점과 비교하여 미백, 보습 및 주름 개선 모두에서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점수 형태로 표현된 효과 외에도, 20명의 환자로부터 실시예들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도포 후 아토피, 가려움증, 두드러기, 알러지 등이 개선되었다거나, 피부가 환해지고 촉촉해진 느낌을 받았다거나, 피부의 기미가 개선되었거나, 피부 트러블이 진정되었다는 등의 보고를 받음으로써, 실시예들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피부의 미백 및 보습과 함께 각종 독성 물질의 제거 등에 있어서 우수한 효능을 갖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도포 전의 환자의 피부 사진이다. 또한,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크림 제형으로 제조하여 약 6개월 정도 아침 및 저녁에 각각 피부에 도포한 후의 환자의 피부 사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전체적인 검은 톤이 사라진 미백 효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피부에 다수 존재하는 기미가 상당 부분 제거 되었고, 피부의 잔주름이 줄어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독성 배출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 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도 2a 및 2b에 도시된 환자의 사진에 대한 수치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피부 미백용 조성물 도포 전의 사진인 도 2a와 피부 미백용 조성물 도포 후의 사진인 도 2b에서 사진의 촬영 위치를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위하여 환자의 얼굴상에서 최대한 동일한 위치를 각 사진에서 대상 영역으로 설정하였다. 양 사진에서 동일한 위치를 대상 영역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환자의 눈, 코, 귀 등 신체 부위의 위치가 고려되었다. 다음으로, 각 사진의 대상 영역에 모자이크 필터를 적용하여 대상 영역을 일정 크기(예컨대, 10 픽셀(pixel))의 셀들로 구획하여 각 셀의 대표 색상을 추출하고, 각 사진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는 소정의 개수의 포인트를 선정하여 해당 포인트에 위치한 셀들의 색상의 RGB 값을 비교하였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도포 전의 환자의 피부 사진에서 색상값을 추출한 위치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며,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도포 후의 환자의 피부 사진에서 색상값을 추출한 위치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모자이크 필터가 적용된 각 사진에서 서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며 가로로 연속된 9개의 포인트, 및 서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며 세로로 연속된 9개의 포인트를 선정하여 해당 포인트에 위치한 셀들로부터 색상값을 RGB 데이터의 형태로 추출하였다.
도 5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도포 전후의 환자의 피부색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로서, 상부에 위치한 9개의 행은 도 3 및 도 4의 가로로 연속된 9개의 포인트의 색상값을 피부 미백용 조성물 도포 전후에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며, 하부에 위치한 9개의 행은 도 3 및 도 4의 세로로 연속된 9개의 포인트의 색상값을 피부 미백용 조성물 도포 전후에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시되는 것과 같이, 피부 미백용 조성물 도포 후에 RGB 값이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피부톤이 밝아졌음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좀 더 정확한 비교를 위하여 도 3 및 도 4의 사진에 동일한 조건의 흑백 필터를 적용한 후 도 5와 동일한 방식으로 비교를 수행하였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도포 전후의 환자의 피부색을 흑백으로 변환하여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며, 도포 전후의 RGB 값의 차이가 도시되었다. 흑백 필터를 적용한 후 도 5와 동일한 방식으로 18개의 포인트의 색상값을 비교한 결과, 0 내지 256의 값을 갖는 RGB 데이터로 피부 색상을 나타내었을 때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R(적색), G(녹색) 및 B(청색) 각각의 색상 값이 적게는 3에서 많게는 13까지 증가하였으며, 이는 해당 수치만큼 피부톤이 밝아진 것이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미백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연교추출물, 마황추출물, 대황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천궁추출물 중 하나 이상과, 활석추출물, 감초추출물 및 선퇴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피부에 도포되기 위한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로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활석추출물 20/141 중량부, 감초추출물 15/141 중량부, 석고추출물 10/141 중량부, 황금추출물 10/141 중량부, 길경추출물 10/141 중량부, 방풍추출물 5/141 중량부, 천궁추출물 5/141 중량부, 당귀추출물 5/141 중량부, 적작약추출물 5/141 중량부, 대황추출물 5/141 중량부, 마황추출물 5/141 중량부, 박하추출물 5/141 중량부, 연교추출물 5/141 중량부, 망초추출물 5/141 중량부, 형개추출물 5/141 중량부, 백출추출물 5/141 중량부, 치자추출물 5/141 중량부, 생강추출물 4/141 중량부, 금은화추출물 4/141 중량부, 현삼추출물 4/141 중량부 및 선퇴추출물 4/141 중량부를 포함하는,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연교추출물, 마황추출물, 대황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천궁추출물 중 하나 이상과, 활석추출물, 감초추출물 및 선퇴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약재를 증류하는 단계; 및
    상기 증류하는 단계에 의하여 얻어지는 액상 조성물에 대한 멸균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약재를 증류하는 단계에서, 상기 약재는 활석추출물 20/141 중량부, 감초추출물 15/141 중량부, 석고추출물 10/141 중량부, 황금추출물 10/141 중량부, 길경추출물 10/141 중량부, 방풍추출물 5/141 중량부, 천궁추출물 5/141 중량부, 당귀추출물 5/141 중량부, 적작약추출물 5/141 중량부, 대황추출물 5/141 중량부, 마황추출물 5/141 중량부, 박하추출물 5/141 중량부, 연교추출물 5/141 중량부, 망초추출물 5/141 중량부, 형개추출물 5/141 중량부, 백출추출물 5/141 중량부, 치자추출물 5/141 중량부, 생강추출물 4/141 중량부, 금은화추출물 4/141 중량부, 현삼추출물 4/141 중량부 및 선퇴추출물 4/141 중량부를 포함하는,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하는 단계 전에, 상기 약재를 증류수 또는 육각수에 담가 두어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을 실시하는 단계는, 상기 액상 조성물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 또는 상기 액상 조성물을 냉각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을 실시하는 단계 후에, 불순물 제거를 위하여 상기 액상 조성물을 필터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조성물을 필터에 통과시키는 단계는, 복수 회 반복 수행되며, 회차가 증가될 때마다 상기 액상 조성물이 통과하는 필터의 밀도를 증가시키면서 반복 수행되는,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조성물을 필터에 통과시키는 단계는 상온에서 수행되며,
    반복 수행되는 상기 액상 조성물을 필터에 통과시키는 단계 사이에 상기 액상 조성물을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을 실시하는 단계 후에, 상기 액상 조성물을 용기 내에 수용하여 밀봉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된 상기 액상 조성물을 증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증탕하는 단계 후에, 상기 용기 내의 상기 액상 조성물을 적외선에 의해 살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80117328A 2018-10-02 2018-10-02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68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328A KR101968626B1 (ko) 2018-10-02 2018-10-02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328A KR101968626B1 (ko) 2018-10-02 2018-10-02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626B1 true KR101968626B1 (ko) 2019-04-15

Family

ID=66104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328A KR101968626B1 (ko) 2018-10-02 2018-10-02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6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743B1 (ko) 2019-06-18 2020-04-02 원경아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4323A (ko) * 2009-06-15 2010-12-2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43019A (ko) * 2009-10-20 2011-04-27 주식회사 콧데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68898A (ko) * 2009-09-04 2012-06-27 무니색하 매다사니 감염성 질환의 예방, 제거 및 치료를 위한 현삼과 추출물
KR101523554B1 (ko) 2014-04-07 2015-05-29 노병승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용 한방비누 제조 방법
KR20160088280A (ko) * 2016-07-18 2016-07-25 한국 한의학 연구원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4323A (ko) * 2009-06-15 2010-12-2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68898A (ko) * 2009-09-04 2012-06-27 무니색하 매다사니 감염성 질환의 예방, 제거 및 치료를 위한 현삼과 추출물
KR20110043019A (ko) * 2009-10-20 2011-04-27 주식회사 콧데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23554B1 (ko) 2014-04-07 2015-05-29 노병승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용 한방비누 제조 방법
KR20160088280A (ko) * 2016-07-18 2016-07-25 한국 한의학 연구원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743B1 (ko) 2019-06-18 2020-04-02 원경아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0817B2 (ja) ニキビ除去スキンケア製品とその製造方法
KR101676601B1 (ko)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용 피부 외용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1194059B1 (ko) 한방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83343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KR20100116333A (ko) 한약재를 이용한 피부보호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피부보호제
KR102533052B1 (ko) 한방 샴푸 조성물
CN102205055A (zh) 一种肌肤修复用药物及制备方法
CN105796960A (zh) 一种护理清洗伤口的中药药液
KR101523554B1 (ko)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용 한방비누 제조 방법
KR100564108B1 (ko)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CN102512611A (zh) 一种治疗复发性口腔溃疡的中药及制备方法
KR100931093B1 (ko) 모근 강화 및 두피 청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12249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101968626B1 (ko) 한약처방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67832B1 (ko)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247562A (zh) 一种治疗痤疮的中药配方
CN104958543A (zh) 中药祛痘净肤液及其制备方法
WO2017051950A1 (ko)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용 한방비누 제조 방법
KR10103440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318052C (zh) 一种治疗痤疮的药物组合物及制备方法
CN111419940B (zh) 一种祛痘的中草药组合物
CN102008672A (zh) 治疗疥疮的中药组合物酊剂
CN111346173A (zh) 中药组合物、中药精油、中药护肤品和制备方法
CN105106795A (zh) 一种美白保健片及其制备方法
CN108743471A (zh) 一种抗菌消炎护肤霜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